KR101721482B1 -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 Google Patents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482B1
KR101721482B1 KR1020150101528A KR20150101528A KR101721482B1 KR 101721482 B1 KR101721482 B1 KR 101721482B1 KR 1020150101528 A KR1020150101528 A KR 1020150101528A KR 20150101528 A KR20150101528 A KR 20150101528A KR 101721482 B1 KR101721482 B1 KR 101721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insulating layer
transfer bar
heat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450A (ko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레테크
전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레테크, 전영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레테크
Priority to KR1020150101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4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9Met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에 관한 것으로서, 전등으로 사용되는 랜턴의 제 기능과 더불어 겨울철 캠핑, 등산 등의 야외활동이나 외부 작업시에 주머니 속에 넣어 핫팩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히터 기능을 가지는 랜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Lantern with a heating function}
본 발명은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에 관한 것으로서, 전등으로 사용되는 랜턴의 제 기능과 더불어 겨울철 캠핑, 등산 등의 야외활동이나 외부 작업시에 주머니 속에 넣어 핫팩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히터 기능을 가지는 랜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이나 낚시 또는 등산 등의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랜턴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랜턴은 전원을 직접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하는 형태의 것과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하는 형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근래에 들어서는 수용 수명의 연장 및 광량의 증대를 목적으로 엘이디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랜턴이 각광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엘이디 랜턴은 주로 텐트 내부를 밝게 비추기 위한 용도 및 낚시를 하는 경우 바늘 및 어종 확인과 주변을 밝게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고, 등산이나 트레킹 등의 야외 활동시에도 야간 및 어두운 환경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지하 공간 및 어두운 실내에서도 내부 조명만으로 충분한 광량의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내부 조명수단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된 랜턴을 이용하여 주변 및 해당 작업공간을 밝게 하여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상부에는 LED소자가 구비되고, 하부는 충전기가 내장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전력소모가 적은 LED소자를 통해 상기 충전기를 소형 경량화함으로써, 하부는 한 손 파지가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되, 제작이 용이하고 내부 구성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충전기 하부에 중량체인 자석을 배치함으로써 자성체 구조물의 임의의 경사면에 고정될 수 있는 엘이디 랜턴이 제안된 바 있고, 특허문헌 2에서는 사용자가 조사방향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고, 랜턴의 사용용도에 적합한 형태의 광원부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랜턴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은 종래의 특허문헌에서의 랜턴은 여전히 전등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랜턴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을 뿐, 종래의 랜턴 기능과 더불어 겨울철 캠핑, 등산 등의 야외활동이나 외부 작업시에 주머니 속에 넣어 핫팩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히터 기능을 가지는 랜턴에 대하여 제안된 바는 없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2239호 등록특허 제10-1192723호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LED가 구비되어 전등으로 사용되는 랜턴의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선이 삽입된 열 전달바에서 온열이 발생하므로 겨울철 캠핑, 등산 등의 야외활동이나 외부 작업시에 주머니 속에 넣어 핫팩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와 상기 열 전달바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므로 상기 열 전달바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몸체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LED의 성능 및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하부의 일측 모서리부분 및 타측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단차형성되는 일측 단차홈 및 타측 단차홈이 형성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용홈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상부에 고정되고 LED가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몸체의 일측 단차홈 및 타측 단차홈의 면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 단열층 및 타측 단열층과;
상기 일측 단열층 및 타측 단열층에 각각 고정되고, 열선 삽입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일측 열전달바 및 타측 열전달바와;
상기 일측 열전달바 및 상기 타측 열전달바의 열선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상부면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수용홈으로 단차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안착고정되는 일측 안착홈 및 타측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는 투명커버가 상기 일측 안착홈 및 타측 안착홈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 단차홈 및 타측 단차홈에는 내면방향으로 함몰형성된 제1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열전달바 및 타측 열전달바에는 내면방향으로 함몰형성된 제2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단열층 및 타측 단열층에는 상기 제1 끼움홈 및 제2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 단열층 및 타측 단열층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몸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전측 마감캡 및 후측 마감캡이 각각 마감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일측 열전달바의 일측면 및 하부면과, 상기 타측 열전달바의 타측면 및 하부면에는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측 하부에는 구동드라이버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드라이버는 상기 수용홈 내에 상기 배터리가 위치하지 않은 상기 배터리의 전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수의 LED가 구비되어 전등으로 사용되는 랜턴의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선이 삽입된 열 전달바에서 온열이 발생하므로 겨울철 캠핑, 등산 등의 야외활동이나 외부 작업시에 주머니 속에 넣어 핫팩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랜턴 기능만 사용하거나 히터 기능만 사용하거나 혹은 랜턴기능과 히터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와 상기 열 전달바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므로 상기 열 전달바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몸체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LED의 성능 및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배터리(20), 인쇄회로기판(30), 일측 단열층(40a) 및 타측 단열층(40b), 일측 열전달바(50a) 및 타측 열전달바(50b), 그리고 발열선(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몸체(10)의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의 수용홈(1)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터리(20)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이 안착고정되는 일측 안착홈(110a) 및 타측 안착홈(110b)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측 안착홈(110a)은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의 일측에 상기 수용홈(1) 방향으로 단차 형성되고, 상기 일측 안착홈(110a)의 상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일단부가 안착고정된다.
상기 타측 안착홈(110b)은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의 타측에 상기 수용홈(1) 방향으로 단차 형성되고, 상기 타측 안착홈(110b)의 상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타단부가 안착고정된다.
상기 몸체(10)의 하부의 모서리 부분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단차홈(130a) 및 타측 단차홈(130b)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측 단차홈(130a)은 상기 몸체(10)의 하부 일측 모서리 부분에 상기 몸체(10)의 내측으로 단차 형성된다.
상기 일측 단차홈(130a) 내에는 상기 일측 단열층(40a)이 밀착 고정되고, 상기 일측 단열층(40a) 내에는 상기 일측 열전달바(50a)가 밀착 고정된다.
상기 타측 단차홈(130b)은 상기 몸체(10)의 하부 타측 모서리 부분에 상기 몸체(10)의 내측으로 단차 형성된다.
상기 타측 단차홈(130b) 내에는 상기 타측 단열층(40b)이 밀착 고정되고, 상기 타측 단열층(40b) 내에는 상기 타측 열전달바(50b)가 밀착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상부에는 복수의 LED(310)가 구비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일단부는 상기 몸체(10)의 일측 안착홈(110a)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타단부는 상기 몸체(10)의 타측 안착홈(110b)의 상부에 안착고정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상부에는 투명커버(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투명커버(330)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상기 몸체(10)의 일측 안착홈(110a) 및 타측 안착홈(110b)에 각각 피스 등의 고정부재(9)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전측 하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LED(310)를 구동시키는 구동드라이버(3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드라이버(360)는 상기 수용홈(1) 내에 상기 배터리(20)가 위치하지 않은 상기 수용홈(1)의 전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몸체(1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사용자가 상기 몸체(10)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 열전달바(50a) 및 상기 타측 열전달바(50b)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몸체(10)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1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LED(310)의 성능 및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단차홈(130a)의 내면에 상기 일측 단열층(40a)의 외면이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타측 단차홈(130b)의 내면에 상기 타측 단열층(40b)의 외면이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일측 단열층(40a) 및 상기 타측 단열층(40b)은 강도와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발열선(60)이 삽입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상기 일측 열전달바(50a) 및 상기 타측 열전달바(50b)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단열층(40a) 및 상기 타측 단열층(40b)의 내면에 각각 밀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측 열전달바(50a) 및 상기 타측 열전달바(50b) 내부에는 각각 상기 몸체(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선 삽입공(51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열선 삽입공(510)에는 상기 발열선(60)이 삽입된다.
상기 일측 열전달바(50a) 및 상기 타측 열전달바(50b)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 열전달바(50a)의 하부면과 일측면, 그리고 상기 타측 열전달바(50b)의 하부면과 타측면에는 각각 요철부(5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부(530)가 형성됨으로써 외부 공기와 접하는 상기 일측 열전달바(50a) 및 상기 타측 열전달바(50b)의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상기 발열선(60)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일측 열전달바(50a) 및 상기 타측 열전달바(50b)의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단열층(40a) 및 상기 타측 단열층(40b)이 각각 상기 몸체(10)의 일측 단차홈(130a) 및 타측 단차홈(130b)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일측 단열층(40a)의 상부면과 타측면에는 상기 일측 단열층(40a)의 외면방향으로 돌출되는 끼움돌기(7)가 각각 복수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타측 단열층(40b)의 상부면과 일측면에는 상기 타측 단열층(40b)의 외면방향으로 돌출되는 끼움돌기(7)가 각각 복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일측 단차홈(130a) 및 타측 단차홈(130b)에는 상기 끼움돌기(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몸체(10)의 일측 단차홈(130a) 및 타측 단차홈(130b)의 내면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제1 끼움홈(3)이 각각 복수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7)가 끼움고정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열전달바(50a) 및 상기 타측 열전달바(50b)가 각각 상기 일측 단열층(40a) 및 상기 타측 단열층(40b)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일측 단열층(40a)의 하부면과 일측면에는 상기 일측 단열층(40a)의 외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끼움돌기(7)가 각각 복수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타측 단열층(40b)의 하부면과 타측면에는 상기 타측 단열층(40b)의 외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끼움돌기(7)가 각각 복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 열전달바(50a) 및 상기 타측 열전달바(50b)에는 상기 끼움돌기(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일측 열전달바(50a) 및 상기 타측 열전달바(50b)의 내면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제2 끼움홈(5)이 각각 복수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7)가 끼움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는 전측 마감캡(70a) 및 후측 마감캡(70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마감캡(70a)은 상기 몸체(10)의 전단부를 마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측 마감캡(70b)은 상기 몸체(10)의 후단부를 마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측 마감캡(70a)의 후측은 상기 일측 안착홈(110a) 및 타측 안착홈(110b)의 전측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후측 마감캡(70b)의 전측은 상기 일측 안착홈(110a) 및 타측 안착홈(110b)의 후측 상부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투명커버(330)의 전측 및 후측은 각각 상기 전측 마감캡(70a)의 후측 및 상기 후측 마감캡(70b)의 전측을 관통하여 상기 일측 안착홈(110a) 및 타측 안착홈(110b)에 각각 피스 등의 고정부재(9)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20)의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상기 발열선(60)은 상기 일측 열전달바(50a)의 열선 삽입공(510) 및 상기 타측 열전달바(50b)의 열선 삽입공(510)에 삽입된 상태로 각각 상기 몸체(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열되는 부분을 넓혀 보다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열선(60)은 상기 몸체(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일측 열전달바(50a)의 열선 삽입공(510)을 통과하고, 상기 전측 마감캡(70a)의 내부를 거쳐, 상기 몸체(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타측 열전달바(50b)의 열선 삽입공(510)을 통과하여 구비되는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전측 마감캡(70a)의 내부에는 상기 발열선(60)이 억지끼움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상부 전단부에는 상기 LED(310)의 발광여부와 상기 발열선(60)의 발열여부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2)의 조작을 근거로 상기 LED(310)와 상기 발열선(60)을 제어하는 제어부(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상기 스위치(2)를 짧게 한번 누르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구동드라이버(360)을 구동시켜 상기 LED(310)를 발광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스위치(2)를 짧게 두번 누르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발열선(60)이 발열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스위치(2)를 길게 한번 누르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LED(310)가 발광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스위치(2)를 길게 두번 누르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발열선(60)의 발열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상기 LED(310)를 발광시켜 랜턴 기능만 사용하거나 상기 발열선(60)을 발열시켜 히터 기능만 사용하거나 혹은 상기 LED(310)를 발광시키고 상기 발열선(60)을 발열시켜 랜턴기능과 히터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10; 몸체, 110a; 일측 안착홈,
110b; 타측 안착홈, 130a; 일측 단차홈,
130b; 타측 단차홈, 20; 배터리,
30; 인쇄회로기판, 310; LED,
330; 투명커버, 360; 구동드라이버,
40a; 일측 단열층, 40b; 타측 단열층,
50a; 일측 열전달바, 50b; 타측 열전달바,
510; 열선 삽입공, 530; 요철부
60; 발열선, 70a; 전측 마감캡,
70b; 후측 마감캡, 1; 수용홈.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하부의 일측 모서리부분 및 타측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단차형성되는 일측 단차홈 및 타측 단차홈이 형성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용홈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상부에 고정되고 LED가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몸체의 일측 단차홈 및 타측 단차홈의 면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 단열층 및 타측 단열층과;
    상기 일측 단열층 및 타측 단열층에 각각 고정되고, 열선 삽입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일측 열전달바 및 타측 열전달바와;
    상기 일측 열전달바 및 상기 타측 열전달바의 열선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면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수용홈으로 단차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안착고정되는 일측 안착홈 및 타측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는 투명커버가 상기 일측 안착홈 및 타측 안착홈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 단차홈 및 타측 단차홈에는 내면방향으로 함몰형성된 제1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열전달바 및 타측 열전달바에는 내면방향으로 함몰형성된 제2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단열층 및 타측 단열층에는 상기 제1 끼움홈 및 제2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단열층 및 타측 단열층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전측 마감캡 및 후측 마감캡이 각각 마감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열전달바의 일측면 및 하부면과, 상기 타측 열전달바의 타측면 및 하부면에는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측 하부에는 구동드라이버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드라이버는 상기 수용홈 내에 상기 배터리가 위치하지 않은 상기 배터리의 전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KR1020150101528A 2015-07-17 2015-07-17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KR101721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528A KR101721482B1 (ko) 2015-07-17 2015-07-17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528A KR101721482B1 (ko) 2015-07-17 2015-07-17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450A KR20170009450A (ko) 2017-01-25
KR101721482B1 true KR101721482B1 (ko) 2017-03-30

Family

ID=5799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528A KR101721482B1 (ko) 2015-07-17 2015-07-17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4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908Y1 (ko) 2006-05-10 2006-07-18 (주)동성테크밸리 다용도 손난로
KR101443594B1 (ko) 2014-02-10 2014-09-24 이병학 조명 겸용 난방장치
US8858006B2 (en) 2011-12-28 2014-10-14 Je Woo Corporation, Ltd. Light emitting diode lamp
KR101477975B1 (ko) 2013-07-08 2015-01-02 김동희 향기 손난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239A (ko) 2003-02-10 200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용 광학 스캐너의 구동방법
KR101192723B1 (ko) 2012-01-26 2012-10-18 차진길 휴대용 랜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908Y1 (ko) 2006-05-10 2006-07-18 (주)동성테크밸리 다용도 손난로
US8858006B2 (en) 2011-12-28 2014-10-14 Je Woo Corporation, Ltd. Light emitting diode lamp
KR101477975B1 (ko) 2013-07-08 2015-01-02 김동희 향기 손난로
KR101443594B1 (ko) 2014-02-10 2014-09-24 이병학 조명 겸용 난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450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2861C (en) Lighting system and housing therefor
TWI707712B (zh) 節電式自動發光籃框
KR101098001B1 (ko) 엘이디 모듈의 탈착 및 분리 가능한 엘이디 전구
KR101249386B1 (ko) 직류 및 교류전원을 공급토록 컨버터가 구비되는 엘이디 등기구
JP2009021203A (ja) 複合体光学光源燈
US20100177521A1 (en) Led lamp
CN101660856A (zh) 具有制冰机的制冷器具
JP2018518809A (ja) 灯器具用光源モジュール締結装置
CN202432303U (zh) 一种塑胶贝壳式led日光灯管
CN202581064U (zh) 一种读书灯
KR101721482B1 (ko) 히터기능을 가지는 랜턴
EP2826699A1 (en) A portable light for a bicycle
WO2014012420A1 (zh) 多用途电池灯
KR102606223B1 (ko) 직선형 마그네틱 엘이디 조명등
US20210071834A1 (en) Multi-colored retrofit light fixture
CN201097912Y (zh) 发光杯体
CN201688164U (zh) 一种led灯
TWI458913B (zh) 光源模組及其發光二極體燈具
KR200442202Y1 (ko) 천장 직부형 인테리어 조명장치
CN219674041U (zh) 一种用于展示冰柜内展品的led灯具
JP3139440U (ja) 誘導灯型ソケット構造
CN106545792A (zh) 一种直照式和柔光式双面变换的拍摄用led照明灯
KR200392927Y1 (ko) 발광 카페트
CN202426127U (zh) 饮水杯
KR101241574B1 (ko)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