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109B1 - 냉장고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냉장고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109B1
KR101721109B1 KR1020110005621A KR20110005621A KR101721109B1 KR 101721109 B1 KR101721109 B1 KR 101721109B1 KR 1020110005621 A KR1020110005621 A KR 1020110005621A KR 20110005621 A KR20110005621 A KR 20110005621A KR 101721109 B1 KR101721109 B1 KR 101721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take
taken out
door
obj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214A (ko
Inventor
김성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5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1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1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using a combination of separate elements interconnected by heat-conducting means, e.g. with heat pipes or thermally conductive bars between separate heat-sink elements
    • F21V29/71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using a combination of separate elements interconnected by heat-conducting means, e.g. with heat pipes or thermally conductive bars between separate heat-sink elements using split or remote units thermally interconnected, e.g. by thermally conductive bars or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2Details of end part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en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6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parallel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comb-like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9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외관을 결정하는 도어의 외면을 미관상 좋게 하고,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냉장고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냉장고 디스펜서는,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는 케비티; 상기 케비티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취출대상물이 취출될 수 있는 취출구; 상기 케비티에 구비되어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대상물이 취출되도록 하는 취출레버; 및 상기 취출레버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복수개의 취출대상물들 중 상기 취출레버가 작동되면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될 취출대상물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디스펜서{DISPENSER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외관을 결정하는 도어의 외면을 미관상 좋게 하고,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냉장고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의 상변화를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사용하여 냉장고 내부에 저장되는 음식물들을 냉동 또는 냉장저장하는 장치를 말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홈바 및 디스펜서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단순히 저장하는 장치를 넘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장치로 의미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대형화 추세에 따라 도어가 냉장고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어 양쪽으로 개폐하는 양문형 냉장고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양문형 냉장고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냉장고(10)는, 내측에 냉동 또는 냉장 저장을 위한 다수개의 서랍과 트레이가 구비된 본체(1)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의 전면에는 좌우측을 각각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도어(2a,2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어의 전면에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2c,2d)가 각각의 도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어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홈바(3)와 디스펜서(4)가 구비된다.
상기 홈바(3)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도어를 열지 않고도 음료수나 주류 등을 꺼낼 수 있도록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도어를 열때 발생하는 냉기의 손실을 줄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4)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도어를 열지 않고도 물 또는 얼음을 외부로 직접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펜서(4)는 취출 공간을 형성하도록 도어의 내측으로 함몰된 케비티(7)를 포함한다. 상기 케비티(7)의 내측에는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취출구(9a)와 취출되도록 하는 스위치나 레버(8)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나 레버(8)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컵 또는 다른 용기를 접촉하여 뒤로 밀어서 작동시킨다. 한편 상기 케비티(7)의 하부에는 잔수받이 통(9b)을 구비하여 잔수를 수집하여 추후에 잔수받이 통을 꺼내어 청소가 쉽게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4)에는 도어상에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5)과 디스펜서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조작할 수 있는 다수개의 조작버튼(6)들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의 경우, 물취출구와 얼음취출구가 같이 있거나, 분리되어 있다고 하더라고 구별이 되지 않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기 어려워 잘못 취출하는 등 사용자 편의성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의 경우, 디스펜서나 손잡이 등 냉장고의 전면에 장착해야 할 부품이나 장치들이 많기 때문에 장착할 공간을 도어의 전면에 여러군데 형성하면 성형과정에 있어서 도어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도 크고, 장착 또는 이동에 있어서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의 경우, 상기와 같이 잔수받이 통이 있거나 케비티의 형상이 직육면체에 가까워서, 물이나 얼음을 취출하여 받기 위한 병을 취출구에 가져가기 위해서는 병의 높이가 한정되어 높이가 있거나 목이 긴 병은 직접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 디스펜서 사용시 사용자가 디스펜서로부터 취출될 대상을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킨 냉장고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전면에 장착되는 각종 장치나 부품들을 위한 장착 공간을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 과정이나 이동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냉장고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디스펜서의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높이가 높거나 목이 긴 병도 사용이 가능한 냉장고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냉장고 디스펜서는,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는 케비티; 상기 케비티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취출대상물이 취출될 수 있는 취출구; 상기 케비티에 구비되어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대상물이 취출되도록 하는 취출레버; 및 상기 취출레버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복수개의 취출대상물들 중 상기 취출레버가 작동되면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될 취출대상물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측면은, 냉장고 디스펜서 사용시 사용자가 디스펜서로부터 취출될 대상을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킨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취출대상물의 표시는 상기 복수개의 취출대상물 중 각각의 취출대상물마다 다른색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취출될 취출대상물의 표시는 발광되어 다른 취출대상물과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수개의 LED를 포함하고, 상기 LED에 의해 취출대상물의 표시가 발광되어 다른 취출대상물과 구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복수개의 취출대상물들은 적어도 물, 얼음, 분쇄된 얼음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취출대상물들 중 상기 취출레버가 작동되면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될 취출대상물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가 접촉 선택한 취출대상물을 발광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선택가능한 취출대상물들 표시위치가 각각 사전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각각 다른 표시위치에서 선택된 취출대상물이 발광하여 표시된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선택가능한 취출대상물들이 동일위치에서 표시되되, 상기 사용자의 누적적 접촉 횟수에 따라 표시되는 취출대상물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선택가능한 취출대상물들이 동일위치에서 표시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접촉지점을 이동함에 의해 표시되는 취출대상물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취출될 취출대상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질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누름스위치가 포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상기 누름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취출대상물을 발광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냉장고 디스펜서는, 상기 냉장고는 두 개의 도어가 좌우측에 구비되는 양문형 냉장고이고, 상기 케비티는 상기 일측 도어에서 타측 도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케비티의 상기 일측 도어와 타측 도어 각각에 도어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측면은, 도어의 전면에 장착되는 각종 장치나 부품들을 위한 장착 공간을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 과정이나 이동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냉장고 디스펜서 사용시 사용자가 디스펜서로부터 취출될 대상을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전면에 장착되는 각종 장치나 부품들을 위한 장착 공간을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 과정이나 이동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a, 도3b, 도 3c는 취출레버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변화를 보여주는 일 실시예의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취출레버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변화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들의 개략도.
도 7은 취출레버가 눌려져서 작동되는 개략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냉장고 디스펜서는, 냉장고(100)의 도어(111,112)에 구비되는 케비티(120)와, 상기 케비티(120)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취출대상물이 취출될 수 있는 취출구(130)와, 상기 케비티에 구비되어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대상물이 취출되도록 하는 취출레버(150) 및 상기 취출레버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한다.
냉장고 본체(100)는 내측에 냉동 또는 냉장 저장을 위한 다수개의 서랍과 트레이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양문형 냉장고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좌우측을 각각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도어(111,112)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양문형 냉장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 도어(111,112)는 냉장고 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도어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161,162)가 각각의 도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어(111)에는 디스펜서가 구비되며, 디스펜서는 도어를 열지 않고도 물 또는 얼음을 도어의 외부로 직접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취출을 위해 케비티(1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비티(120)는 도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취출구와 레버 등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외측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평면상에 취출구나 레버 등이 장착되면 도어의 외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외관상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하려면, 취출구나 레버 등은 도어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cavity)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장고 등을 옮기는 이송 작업 중에 돌출된 부분이 있으면 파손의 위험이 있으며, 이송 작업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작업상의 편의성을 위해서도 도어에 케비티를 구비하여 취출구와 레버 등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비티는 도어의 외면을 형성하는 강판을 포밍(form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비티(120)에는 물 또는 얼음 등을 취출할 수 있는 취출구(1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취출구(130)는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냉장고 도어 내부에 저장되거나 통과한 물 또는 냉장고 도어 내부에서 생성되어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공급하여 사용자가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취출구(130)는 복수개의 취출대상물이 취출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취출구에 다수개의 취출관이 연결되어 있어서, 물이 취출되거나 얼음이 취출되거나 분쇄된 얼음이 취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비티(120)에는 취출레버(150)가 구비된다. 상기 취출레버(150)는 도 7과 같이 사용자의 레버 누름 또는 접촉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취출구(130)에서 물 또는 얼음 등이 취출되도록 한다. 즉, 물이 취출되도록 취출구를 개방하거나 도어 내부의 물 공급 배관의 밸브를 개방할 수 있으며, 얼음이 취출되도록 취출구를 개방하고 도어 내부의 얼음공급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얼음분쇄기를 가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레버에 의해 하나의 취출구로 다양한 대상이 취출되는 구성은 이미 공지된 내용이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취출레버에는 디스플레이(140)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되듯이, 상기 디스플레이(140)는 취출레버의 전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140)에는 취출대상물이 표시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140)는 상기 복수개의 취출대상물들 중 상기 취출레버가 작동되면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될 취출대상물이 표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측면은, 냉장고 디스펜서 사용시 사용자가 디스펜서로부터 취출될 대상을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킨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취출대상물의 표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취출대상물 중 각각의 취출대상물마다 다른색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취출될 취출대상물의 표시는 발광되어 다른 취출대상물과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a, 도 3b, 도 3c는 이와 같이 복수개의 취출대상물 중 취출레버에서 취출될 취출대상물의 표시가 발광 또는 색이 변화되어 다른 취출대상물이 표시와 구별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 3a내지 도 3c에서 디스플레이(140)의 가장 상측에 표시되는 것은 분쇄된 얼음이고 가운데 표시되는 것은 각진 얼음이고 가장 하측에 표시되는 것은 물이다. 도 3a 내지도 3c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각종 표시들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표현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3a는 사용자가 가장 상측에 위치한 분쇄된 얼음을 선택한 경우를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 해당하는 가장 상측의 디스플레이상의 표시(141)는 발광되거나 색이 변화되어 다른 취출대상물의 표시와 구별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의 레버가 도 7과 같이 눌려지면 취출구(130)에서 분쇄된 얼음이 취출된다.
도 3b는 사용자가 가운데 위치한 각진 얼음을 선택한 경우를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상의 표시(142)인 각진 얼음 표시는 발광되거나 색이 변화되어 다른 취출대상물의 표시와 구별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의 레버가 도 7과 같이 눌려지면 취출구(130)에서 각진 얼음이 취출된다.
도 3c는 사용자가 가장 상측에 위치한 분쇄된 얼음을 선택한 경우를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상의 표시(143)는 발광되거나 색이 변화되어 다른 취출대상물의 표시와 구별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의 레버가 도 7과 같이 눌려지면 취출구(130)에서 물이 취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복수개의 취출대상물들은 적어도 물, 얼음, 분쇄된 얼음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취출대상물들 중 상기 취출레버가 작동되면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될 취출대상물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140)는 다수개의 LED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LED에 의해 취출대상물의 표시가 발광되어 다른 취출대상물과 구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가 접촉 선택한 취출대상물을 발광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디스플레이에 터치 패드(정압/정전)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터치 함에 의해 선택이 이루어진다. 다만, 이러한 입력이 일반적인 버튼형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선택가능한 취출대상물들 표시위치가 각각 사전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각각 다른 표시위치에서 선택된 취출대상물이 발광하여 표시된다. 하지만, 도 4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선택가능한 취출대상물들이 동일위치에서 표시(144)되되, 상기 사용자의 누적적 접촉 횟수에 따라 표시되는 취출대상물이 달라지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좌상측의 취출레버의 디스플레이(140)에는 분쇄된 얼음만이 표시(144)되어 있다. 이런 경우, 취출레버가 눌려지면 취출구에서는 분쇄된 얼음만 취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접촉하면, 접촉감지 센서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어 디스플레이의 표시(144)가 도 4의 우상측과 같이 변화된다. 그에 따라, 취출레버가 눌려지면 취출구에서는 각진 얼음만이 취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다시 접촉하면, 접촉감지 센서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어 디스플레이의 표시(144)가 도 4의 하측과 같이 변화된다. 그에 따라, 취출레버가 눌려지면 취출구에서는 물만이 취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다시 접촉하면, 접촉감지 센서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어 디스플레이의 표시(144)가 다시 도 4의 좌상측과 같이 변화되어고 취출구에서는 분쇄된 얼음이 취출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선택가능한 취출대상물들이 동일위치에서 표시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접촉지점을 이동함에 의해 표시되는 취출대상물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접촉한 후 도 5의 A 또는 B 방향으로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 디스플레이의 표시(144)가 이동하며 변화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취출될 취출대상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질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각각의 취출대상물에 해당하는 누름스위치(145a,145b,145c)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름스위치의 내부에는 LED가 내장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누름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취출대상물을 발광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냉장고는 두 개의 도어가 좌우측에 구비되는 양문형 냉장고이다. 여기서, 상기 케비티(120)는 일측 도어에서 타측 도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비티의 상기 일측 도어와 타측 도어 각각에 도어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161,162)가 구비된다. 이러한 손잡이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케비티(120)가 양측 도어(111,112)를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케비티가 도어 양측에 걸쳐서 형성된 것이다. 도 2는 이렇게 타측도어까지 연장되어 하나의 케비티를 형성하는 부분(120a)을 보여준다. 또한, 손잡이는 도어의 양측에 걸친 단일의 케비티 내부에 양측 도어의 손잡이(161,162)가 모두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측면은, 도어의 전면에 장착되는 각종 장치나 부품들을 위한 장착 공간을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 과정이나 이동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다. 즉, 별도의 장착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기왕에 형성한 디스펜서의 케비티를 이용하여 장착공간을 마련하여, 장착공간을 형성하여야 하는 작업을 줄이며, 냉장고를 이동할 때에도 손잡이 등을 제거하지 않고고도 그대로 이동할 수 있어서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는 도어의 표면에서 보았을때 상기 케비티 내부에서 도어의 표면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는 전술하였듯이 이동시 파손의 위험을 줄이고 미관상 보기가 좋기 때문이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냉장고 111,112 : 도어
120 : 케비티 130 : 취출구
140 : 디스플레이 150 : 취출레버
161,162 : 손잡이

Claims (13)

  1.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는 케비티;
    상기 케비티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취출대상물이 취출될 수 있는 취출구; 및
    상기 케비티에 설치되어,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대상물을 취출시키는 취출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레버는,
    상기 취출레버의 전면에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취출대상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누름 또는 접촉에 의해 취출대상물을 선택하기 위한 취출대상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취출대상물이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도록, 상기 취출레버를 작동시키는 취출 동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른 취출대상물과 구별되도록, 취출될 취출대상물의 표시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취출대상물의 표시는 상기 복수개의 취출대상물 중 각각의 취출대상물마다 다른색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복수개의 취출대상물들은 적어도 물, 얼음, 분쇄된 얼음을 포함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취출대상물들 중 상기 취출레버가 작동되면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될 취출대상물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질 수 있는,
    냉장고 디스펜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가 접촉 선택한 취출대상물을 발광하여 표시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선택가능한 취출대상물들 표시위치가 각각 사전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각각 다른 표시위치에서 선택된 취출대상물이 발광하여 표시되는,
    냉장고 디스펜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선택가능한 취출대상물들이 동일위치에서 표시되되,
    상기 사용자의 누적적 접촉 횟수에 따라 표시되는 취출대상물이 달라지는,
    냉장고 디스펜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선택가능한 취출대상물들이 동일위치에서 표시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접촉지점을 이동함에 의해 표시되는 취출대상물이 달라지는,
    냉장고 디스펜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누름스위치가 포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상기 누름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취출대상물을 발광하여 표시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11.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두 개의 도어가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양문형 냉장고이고,
    상기 케비티는 상기 일측 도어에서 타측 도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케비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일측 도어와 타측 도어 각각에 도어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수개의 LED를 포함하고,
    상기 LED에 의해 취출대상물의 표시가 발광되어 다른 취출대상물과 구별되는, 냉장고 디스펜서.
  13. 두 개의 도어가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각 도어 전면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일 측 도어에서 타측 도어까지 연장 형성되는 케비티;
    상기 케비티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취출대상물이 취출될 수 있는 취출구;
    상기 케비티에 설치되어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대상물을 취출시키는 취출레버; 및
    상기 도어의 전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비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측 도어와 타측 도어 각각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취출레버는,
    상기 취출레버의 전면에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될 취출대상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누름 또는 접촉에 의해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될 취출대상물을 선택하기 위한 취출대상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취출대상물이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도록, 상기 취출레버를 작동시키는 취출 동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른 취출대상물과 구별되도록, 취출될 취출대상물의 표시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KR1020110005621A 2011-01-19 2011-01-19 냉장고 디스펜서 KR101721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621A KR101721109B1 (ko) 2011-01-19 2011-01-19 냉장고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621A KR101721109B1 (ko) 2011-01-19 2011-01-19 냉장고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214A KR20120084214A (ko) 2012-07-27
KR101721109B1 true KR101721109B1 (ko) 2017-03-29

Family

ID=4671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621A KR101721109B1 (ko) 2011-01-19 2011-01-19 냉장고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649B1 (ko) 2013-02-27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71481B1 (ko) * 2015-06-16 2016-11-0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 기기의 디스펜서 구조물과 그 작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64771B1 (ko) 2016-04-19 2018-06-05 주식회사 대우전자 냉장고 디스펜서용 레버의 제조방법
KR101864825B1 (ko) 2016-04-19 2018-06-05 주식회사 대우전자 냉장고 디스펜서용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방법
KR102202412B1 (ko) * 2018-11-29 202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125B1 (ko) * 2007-11-05 2009-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367A (ko) * 2008-04-08 2009-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125B1 (ko) * 2007-11-05 2009-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214A (ko) 201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993B1 (ko) 디스펜서용 조작레버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8413460B2 (en)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810459B1 (ko) 냉장고 디스펜서
US10921054B2 (en) Refrigerator
KR101721109B1 (ko) 냉장고 디스펜서
KR101836592B1 (ko) 냉장고
KR10173018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디스펜서
US8245735B2 (en) Select fill sensor system for refrigerator dispensers
US7866165B2 (en) Refrigerator with a dispenser
KR102238962B1 (ko)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CA2935155C (en) Refrigerator
KR20150113574A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100709407B1 (ko) 냉장고 디스펜서
KR20170044628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디스펜서
KR102030847B1 (ko) 가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810460B1 (ko) 냉장고
KR102560062B1 (ko) 디스펜서 장치
KR102533644B1 (ko) 냉장고
KR102375257B1 (ko) 냉장고
KR20120084594A (ko) 냉장고 디스펜서
KR2014010409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