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062B1 - 디스펜서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062B1
KR102560062B1 KR1020210019151A KR20210019151A KR102560062B1 KR 102560062 B1 KR102560062 B1 KR 102560062B1 KR 1020210019151 A KR1020210019151 A KR 1020210019151A KR 20210019151 A KR20210019151 A KR 20210019151A KR 102560062 B1 KR102560062 B1 KR 102560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spenser
elastic member
ligh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5306A (ko
Inventor
김민기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062B1/ko
Priority to CN202210066034.5A priority patent/CN114909866B/zh
Priority to EP22152410.1A priority patent/EP4043816A1/en
Priority to CN202311484283.7A priority patent/CN117516056A/zh
Priority to US17/588,646 priority patent/US20220397718A1/en
Publication of KR2022011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5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디스펜서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펜서 케이스; 상기 디스펜스케이스에 설치되고 전면에 곡면구간을 갖는 조작부가 형성된 터치케이스; 상기 터치 케이스 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는 터치 어셈블리; 상기 터치 어셈블리 하방에 배치되며, 하방으로 물을 배출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평판형상을 갖는 터치 기판에 제1 터치센서와 제2의 터치센서가 설치되고, 제1터치센서와 조작부사이에 제1전달부재와 제1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제2터치센서와 조작부사이에 제2전달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펜서 장치 {dispenser device}
본 발명은 디스펜서장치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는 외부에서 조작 가능한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펜서를 통해서 필터장치에 의해 정수된 물을 취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는 얼음이 만들어지는 아이스 메이커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의 조작을 통해서 얼음을 취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의 조작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펜서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5383호에는 디스펜서의 일측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는 조작부와, 냉장고의 동작 상태와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깨끗한 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디스펜서와 연결된 배관 또는 탱크를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 처리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95996호에는 디스펜서에서 정수된 물이 취출되는 노즐관의 일측에 노즐관 내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이 구비되어 노즐관 내부를 살균하는 디스펜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별도 제공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별도 구성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디스펜서 일측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자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외관이 상대적으로 깔끔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의 외측에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별도로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한 전체적인 조작과 상태 표시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직관적인 사용자의 조작 유도와 상태의 표시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구조가 간결하고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외관 구조가 간결하고 깔끔하게 보일 수 있는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직관적인 사용자의 조작 유도와 상태 표시가 가능한 터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터치 어셈블리에 형성되며, 조작 상태를 표시하며, 가공방법이 간단하면서, 충분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표시부가 구비된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터치 어셈블리에 터치 감도가 우수한 정전 용량 방식으로 형성되고, 터치 감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작부가 구비되는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스펜서장치는, 디스펜서 케이스; 상기 디스펜스케이스에 설치되고 전면에 곡면구간을 갖는 조작부가 형성된 터치케이스; 상기 터치 케이스 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는 터치 어셈블리; 상기 터치 어셈블리 하방에 배치되며, 하방으로 물을 배출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평판형상을 갖는 터치 기판에 제1 터치센서와 제2의 터치센서가 설치되고, 제1터치센서와 조작부사이에 제1전달부재와 제1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제2터치센서와 조작부사이에 제2전달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달부재와 상기 제2전달부재는, 각각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 표면의 정전기를 상기 터치센서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케이스는, 전면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조작부 배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탄성부재 전면의 일 측단은, 상기 제1 탄성부재 전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탄성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조작부 배면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터치 기판에서 상기 조작부까지의 거리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상기 터치기판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터치 기판에 구비된 발광 부재에서 조사된 빛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면은 상기 조작부의 배면과 대응하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 홀의 개구된 전면보다 더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전달부재 및 상기 제2전달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유도하는 터치부와, 상기 발광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표시부가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에는 발광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터치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차단층이 제거되어 빛이 투과되도록 형성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표시부는, 레이저 가공으로 차단층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표시부는, 복수개의 미세홀로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미세홀의 직경은, 인접한 미세홀들간의 간격보다 더 작게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터치 기판의 전면에서 상기 조작부 배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표시부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라이트 홀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라이트 홀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기 표시부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투명재질의 플라스틱 소재의 전면에 형성된 차단층과 상기 차단층이 제거된 상태를 갖는 표시부를 형성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후방에 설치된 기판; 상기 표시부에 대향하는 상기 기판 전면에 설치된 발광부재; 상기 조작부와 기판사이에 상기 발광부재의 빛을 상기 표시부로 안내하기 위한 라이트 홀을 형성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차단층이 국부적으로 제거되어, 빛의 투과가 가능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부는, 복수개의 미세홀로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라이트 홀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기 표시부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터치 어셈블리의 전면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유도하는 터치부와 함께 상기 디스펜서의 설정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투명한 소재의 터치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차단층을 일부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직접 타공 없이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미세한 홀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미세하고 균일한 크기의 개구로 구성된 표시부의 성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터치 어셈블리의 전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유도하는 터치부는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전달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조작부의 배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조작부상에 형성된 터치부를 사용자가 조작하더라도 효과적인 터치 조작의 감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장착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디스펜서의 취출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디스펜서의 일 구성인 터치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터치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3의 Ⅶ- Ⅶ'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Ⅷ- Ⅷ'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Ⅸ-Ⅸ' 단면도이다.
도 10은 사용자가 전방에서 터치 어셈블리를 바라봤을 때, 사용자의 시야각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디스펜서의 일 구성인 라이팅 어셈블리와 아이스 슈트 및 노즐 어셈블리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와 아이스 슈트 및 노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은 상기 디스펜서의 얼음 취출 조작시의 상기 취출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펜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펜서의 구동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한쌍의 도어가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또는 양문형)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설명에 앞서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에서 도어의 아웃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방향을 전방, 상기 아웃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후측 방향을 후방,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리고, 상기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좌우 양측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된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캐비닛의 저장 공간은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어 냉동실과 냉장실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0)는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와,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도어(10)의 전면은 아웃 플레이트(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11)는 일 예로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0)에는 디스펜서(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0)는 상기 도어(10)가 닫혀진 상태에서 외부에서 정수된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 및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11)가 금속 소재로 형성된 경우 상기 디스펜서(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주요 구성들은 금속 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되 표면에 금속 질감의 코팅 또는 필름이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0)의 상방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아이스 메이커(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12)는 상기 디스펜서(20)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20)의 조작을 통해 얼음을 취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2)는 냉동실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냉동실 도어의 후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0)가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아이스 메이커(12)는 상기 냉장실 도어 배면의 단열된 제빙실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20)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고 동작 상태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2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장착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디스펜서의 취출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펜서(20)는 상기 도어(10)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에서 조작을 통해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20)는 함몰 공간(210)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케이스(21)가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에 의해 사용자가 컵 또는 용기를 접근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 공간(210)의 내측면 중앙에는 레버(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22)의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20)를 통한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개시될 수 있다. 상기 레버(22)는 하단을 축으로 상단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22)의 수직 상방에 얼음이 배출되는 아이스 슈트(24)의 출구(241)가 배치되고,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전단에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부(2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22)와 아이스 슈트(24) 및 출수부(25)의 중심은 동일한 수직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컵 또는 용기를 이용하여 상기 레버(22)를 조작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아이스 슈트(24)와 출수부(25)을 통해 배출되는 얼음 또는 물이 컵 또는 용기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22)의 수직 상방에는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에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설정 상태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터치 어셈블리(30)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어셈블리(30)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상부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의 내부에는 상기 아이스 슈트(24)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슈트(24)를 전방에서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30)는 전방에서 볼 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운드진 전면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위한 터치부(316)와 조작 상태의 표시를 위한 표시부(3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316)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디스펜서의 기능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의 전면에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조작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316)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315)는 상기 터치부(316)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터치부(316)는 가로 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세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큐브 상태의 얼음, 정수된 물, 분쇄 상태의 얼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316)는 선택되는 대상이 그림 또는 문자의 형태로 나타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선택 대상을 확인하고 조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15)는 상기 각각의 상기 터치부(316) 상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터치부(316)에 대응하는 표시부(315)가 빛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 및 설정 상태를 가시화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펜서(20)의 상부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 또한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의 하단이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내부에는 상기 아이스 슈트(24)와 노즐 어셈블리(5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 및 이들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들을 포함하여 취출부(27)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24)와 상기 출수부(25)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함몰 공간(210)을 통해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링 라이트(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 라이트(730)는 상기 디스펜서(2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확산부재(7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 라이트(730)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의 하단과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취출부(27)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서 발광될 수 있다.
상기 링 라이트(730)는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 라이트(730)는 전체 중 일부만 외부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들은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 라이트(730)는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으며, 발광되는 패턴, 또는 발광 상태 변화 연계되어 상기 냉장고(1) 및 디스펜서의 동작 상태를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2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펜서(20)는 전체적으로, 디스펜서 케이스(21)와, 터치 어셈블리(30) 및 라이팅 어셈블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를 포함한 다양한 구성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는 상기 함몰 공간(210)을 형성하는 내측면을 형성하는 함몰부(211)와, 상기 함몰부(2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케이스 테두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테두리(212)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의 배면과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테두리(212)와 상기 함몰부(211)의 둘레 사이에는 플레이트 삽입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삽입홈(213)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의 개구 둘레를 따라 절곡된 단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와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11)는 상기 함몰 공간(21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함몰 공간(210)은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211)의 후벽면에는 상기 레버(22)가 장착되는 레버 장착부(214)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22)는 상기 레버 장착부(214)의 내측에서 하단이 축결합되어 상단을 눌러 회전 조작할 수 있으며, 스프링에 의해 후방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22)는 조작 후 상기 스프링(221)의 탄성력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22)의 미조작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22)의 상단은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후면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11)의 상단 좌우 양측에는 상기 터치 어셈블리(30)가 장착되는 터치 장착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장착부(215)는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터치 케이스(31)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11)의 후면에는 슈트 지지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슈트 지지부(216)는 상기 레버 장착부(214)의 상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후면이 안착되도록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슈트(24)는 상기 취출부(27) 내측에서 안정적인 지지 상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정확한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슈트 지지부(216)의 상방에는 라이팅 장착부(2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 장착부(217)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 장착부(217)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후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 후단의 가로 폭과 대응하는 크기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후단이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 장착부(217)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 장착부(217)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를 구성하는 라이팅 모듈(42)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의 상면에는 연결 통로(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통로(23)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2)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20)로 취출되기 위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12) 상면에서 후방 및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통로(23)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2)와 상기 디스펜서(2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통로(23)의 개구된 하면은 얼음 출구(23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얼음 출구(231)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 장착부(217)의 상방 즉, 상기 함몰부(21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출구(231)는 상기 아이스 슈트(24)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통로(23)를 따라 이동된 얼음은 상기 함몰 공간(210)의 내측에서 상기 아이스 슈트(2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통로(23)가 형성된 상기 함몰부(211)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211) 상면에는 상기 연결 통로(23)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셔터(26)는 상단이 축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20)의 얼음 취출 조작시에만 개방되어 상기 연결 통로(23)를 통해 얼음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셔터(도 14에서 26)는 얼음 배출 동작 이외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냉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디스펜서의 일 구성인 터치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터치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3의 Ⅶ- Ⅶ'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3의 Ⅷ- Ⅷ'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4의 Ⅸ-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사용자가 전방에서 터치 어셈블리를 바라봤을 때, 사용자의 시야각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어셈블리(30)는 전체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터치 케이스(31)와, 상기 터치 케이스(31)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하는 터치 장치(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스(31)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상단의 외형 및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위한 취출부(27)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스(31)는 복잡한 외관 형상과 장착 구조의 구현을 위해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스(31)는 상기 취출부(27)의 상부를 형성하므로 어퍼 케이스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스(31)는 전면부(311)와 하면부(312) 그리고 조작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터치 케이스(31)는 상기 조작부(313)가 다른 구성과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전면부(311)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전면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함몰 공간(210)의 상단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부(311)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전면부 결합 돌기(3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 결합 돌기(311a)는 후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11) 하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면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312)는 상기 전면부(311)의 하단에서 상기 함몰부(211)의 후면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의 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함몰 공간(2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312)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하면부 결합 돌기(312a)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면부(312)의 중앙에는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배치를 위해 개구(31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312b)의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3)는 상기 아이스 슈트(24)를 전방에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취출부(27)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3)는 상기 터치부(316) 및 표시부(315)가 형성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13)의 외측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이 돌출되고 양측방으로 갈수록 후방을 향하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3)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13)의 하단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3)에는 터치부(316)와 표시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316)는 상기 조작부(313)의 표면에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부(316)는 상기 터치 장치(32)의 감지부재(3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기 터치부(316) 조작시 상기 감지부재(35)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15)는 상기 터치부(316)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장치(32)에 구비된 발광부재(33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15)는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331)가 온 되면, 상기 발광부재(331)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면서 빛나게 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 또는 설정 상태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표시부(315)는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케이스(31)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15)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차단층(3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층(314)은 코팅, 도색 또는 필름 부착, 인쇄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차단층(314)은 빛의 투과가 가능한 터치 케이스(31)의 전체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315)는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해 상기 차단층(314)을 국부적으로 제거하여 빛의 투과가 가능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공을 통해 상기 표시부(315)는 매우 미세한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15)는 하나의 터치부(316)당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15)는 다수의 스팟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특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터치 케이스(31)를 빛의 투과가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한 후, 상기 터치 케이스(31) 표면을 코팅, 도색, 필름 부착, 인쇄, 또는 스프레이 등의 방법으로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차단층(31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층(314)은 빛의 투과가 가능한 터치 케이스(31)의 전체면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층(314)이 형성된 터치 케이스(31) 영역에는 상기 발광부재(331)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314)을 형성한 후, 레이저(Laser) 가공 등을 통해 상기 차단층(314)의 표면을 벗겨내어 투명하게 함으로써, 상기 표시부(315)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331)가 온되면, 상기 발광부재(331)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표시부(315) 후면으로 안내되어, 상기 표시부(315)를 밝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315)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20)의 조작상태 및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시부(315)는 상기 레이저 가공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세홀(315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15)가 복수개의 미세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미세홀의 직경(d2)보다, 인접한 미세홀들 간의 사이 간격을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세홀(315a)이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미세홀(315a)을 통과한 빛의 확산에 의해서 인접한 미세홀(315a)들 간에 중첩될 수 있는데, 인접한 미세홀들 간의 간격이 미세홀의 직경보다 크게 배치하여, 각각의 미세홀(315a)들로부터 통과한 빛을 보다 더 선명하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미세 홀의 직경(d2)은 약 0.3 내지 0.7mm일 수 있고, 인접한 미세홀들 간의 사이 간격은 1 내지 1.5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층(314)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금속 소재의 아웃 플레이트(11)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차단층(314)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터치 케이스(31)는 상기 도어(10)와 보다 일체감 있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315)는 미세한 크기로 형성되고, 레이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차단층(314)의 제거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331)가 꺼진 상태에서는 상기 표시부(315)가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재(331)가 켜진 상태에서만 상기 표시부(315)가 외부에서 명확하게 식별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표시부(315)는 상기 터치부(316)와 일체화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터치부(316)의 영역에 상기 터치부(316)와 동일 형상으로 상기 표시부(315)가 형성되어 발광부재(331)가 켜지게 되면, 상기 터치부(316)의 형상이 밝게 빛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에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와 결합되기 위한 케이스 결합 돌기(313a)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결합 돌기(313a)는 좌우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결합 돌기(313a)는 상기 조작부(313) 중 곡면으로 된 전면과 직선으로 된 양측면이 서로 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결합 돌기(313a)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바디 구속홈(412b)에 걸림 구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에는 더 상기 터치 장치(32)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 후크(31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후크(313b)는 상기 터치 장치(32)의 상단에 형성된 구속홈(321)과 결합하여, 상기 터치 장치(32)를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에는 상기 터치 장치(32)의 장착을 위한 스크류(36)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36)는 상기 터치 장치(32)의 하단 좌우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 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장치(32)는 곡면 형상의 상기 조작부(313)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장치(32)는 상기 터치부(316)의 조작을 인식하고, 상기 표시부(315)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조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장치(32)는 터치 센서(332)와 상기 발광부재(331)가 장착된 터치 기판(33)과, 상기 터치 기판(33)의 전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터치 기판(33)은 상기 터치 장치(32)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재(3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35)는 상기 터치부(316)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3개의 감지부재(35)가 구비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감지부재(35)의 수는 상기 터치부(316)의 구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35)는 터치 센서(332)와, 탄성부재(351) 그리고 전달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332)는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332)로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316)를 터치할 때의 정전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332)는 상기 터치 기판(33)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3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터치 센서(332)는 상기 터치 기판(33)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조작부(313)상에 형성된 터치부(316)를 사용자가 조작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351) 및 전달부재(352)에 의해 효과적인 터치 조작의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332)의 전방에는 탄성부재(35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51)는 스폰지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블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51)는 상기 터치 센서(332)에서 상기 조작부(313) 까지의 거리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장치(32)의 장착시 상기 탄성부재(351)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탄성부재(351)는 상기 터치 장치(32)의 전면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51)는 상기 터치 기판(33) 상에 장착되고, 상기 터치 장치(32)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32a)를 통과하여, 상기 조작부(313) 배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51)는 일례로, 상기 터치 기판(33) 상에 납땜 등의 방법으로 상기 터치 기판(33) 전면에 고정되어, 상기 조작부(313) 배면에 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기판(33)과 상기 탄성부재(351)가 접하는 테두리 부분을 납땜 작업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51)는, 상기 조작부(313) 중앙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351a)와, 상기 제1 탄성부재(351a) 좌우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351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기판(33)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351a) 및, 제2 탄성부재(351b)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1 터치센서와 제2터치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351a)는 상기 조작부(313)상에서 전방으로 가장 돌출될 부분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장치(32)는 상기 조작부(313) 배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장치(32) 상에 가장 전방으로 나온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제1 탄성부재(351a)의 전면은 상기 조작부(313) 배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313) 배면 중앙부의 형상과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탄성부재(351a)의 전면은, 상기 개구부(32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좌우 양측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351b)는 상기 제1 탄성부재(351a)를 기준으로 좌우 양 측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351b)가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터치 장치(32) 전면 중앙에서 양 측방으로 이격된 위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351b) 전면은 상기 조작부(313) 배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부(35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작부(313)는 중앙에서 양 측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만일 제2 탄성부재(351b)의 전면이 상기 제1 탄성부재(351a)와 같이 좌측와 우측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면, 상기 조작부(313)의 라운드진 부분에 의해서 상기 제2 탄성부재(351b) 전면의 전체면이 상기 조작부(313) 배면에 밀착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터치하는 위치에 따라 터치 감도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제2 탄성부재(351b)는 상기 제1 탄성부재(351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수록,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도록 경사진 경사부(351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탄성부재(351b)는 상기 제1 탄성부재(351a)와 멀어지는 방향, 즉 외측방으로 갈수록 상기 조작부(313) 배면에 의해 눌려지는 압력이 더 커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313) 배면에 균일한 접촉면을 확보할 수 있게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2 탄성부재(351b)와 대응하는 조작부(313) 상에서 중심을 다소 벗어난 방향으로 터치를 하게 되더라도,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제1 탄성부재(351a)는, 상기 터치 장치(32) 개구부(32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약 1 내지 4 mm,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3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탄성부재(351a)와 상기 제2 탄성부재가 상기 개구부(32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오버랩 되는 부분의 길이가 적어도 2mm 이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51)의 외측면에는 전달부재(3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352)는 상기 조작부(313) 표면의 정전기를 상기 터치 센서(332)로 전달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5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51)의 변형시 함께 변형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352)는 얇은 금속 박막 또는 전도성 필름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레시블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352)는 상기 탄성부재(351)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과 상기 터치 센서(332)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달부재(352)는 상기 탄성부재(351)의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명을 따라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기판(33)에는 발광부재(3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331)는 각각의 상기 감지부재(35)와 대응하는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331)는 상기 감지부재(35)에 의한 사용자의 터치 감지시 해당되는 발광부재(331)가 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331)는 일 예로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34)는 상기 터치 기판(33)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4)는 상기 터치 장치(32)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장치(3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기판(33)과 상기 조작부(313) 배면 사이를 채우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4)는 상기 발광부재(331)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표시부(315)로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4)는 상기 감지부재(35)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재(34)의 전면은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과 대응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장치(32)의 장착시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4)의 둘레는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기판(33)의 전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4)의 상면에는 상기 장착부 후크(313b)가 결합되는 후크 결합부(34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기판(33)의 하단에는 상기 스크류(36)가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36)는 스크류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터치 장치(32)가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4)에는 가이드 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341)은 상기 터치부(316) 및 감지부재(35)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감지부재(35)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341)은 상기 감지부재(35)와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51)가 탄성 변형되더라도 상기 감지부재(35)가 배치 위치를 벗어나거나 이상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재(35)는 상기 터치 기판(3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홀(341)의 개구된 전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장치(32)가 장착될 때, 상기 감지부재(35)의 전면은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과 접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재(35)는 상기 가이드 홀(341) 내에서 압축되어 상기 터치부(316) 조작의 감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341)의 상방에는 라이트 홀(3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홀(342)은 상기 발광부재(331)에서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새지 않고 상기 표시부(315)로 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터치 기판(33)의 전면에서 상기 조작부(313) 배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331)는 상기 라이트 홀(342)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홀(342)은 상기 표시부(315)와 상기 발광부재(331) 사이에 빛이 조사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이트 홀(342)의 상하 방향의 길이(d1)는, 상기 표시부(315)의 상하 방향의 길이(d2)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15)의 중심선은, 상기 라이트 홀(342)의 상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315)는 상기 라이트 홀(342)의 하단부보다 상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표시부(315)의 상단과 상기 라이트 홀(342)의 상단 사이의 길이가, 상기 표시부(315)의 하단과 상기 라이트 홀(342)의 하단 사이의 길이보다 더 작게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 전방에 서서 상기 표시부(315)를 바라보는 경우, 사용자의 눈 높이는 상기 표시부(315) 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315)를 바라본 상태에서, 시야각이 상기 발광부재(331) 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표시부(315)를 통과하는 불빛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15)가 상기 라이트 홀(342)의 상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깝게 형성될 경우, 상측에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야각이 상기 발광부재(331)와 상기 라이트 홀(342) 하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시야각이 상기 라이트 홀(342)의 하방에 위치되지 않게 되어, 표시부(315)를 통과하는 불빛 전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곡면으로 형성된 터치 어셈블리(30) 상에서, 표시부(315)를 통과하는 빛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316)를 터치하게 되면, 상기 감지부재(35)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부재(35)와 대응하는 상기 발광부재(331)가 온되어 상기 표시부(315)로 빛을 조사하게 되어 상기 표시부(315)를 밝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315)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20)의 조작 상태 및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 및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의 인접 구성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디스펜서의 일 구성인 라이팅 어셈블리와 아이스 슈트 및 노즐 어셈블리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와 아이스 슈트 및 노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에 후단이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에는 상기 아이스 슈트(24)와 상기 노즐(55)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24)는 상하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연결 통로(23)를 통해 배출되는 얼음이 지나는 공간(2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개구된 상단은 상기 연결 통로(23)를 향하여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통로(23)의 단부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상부는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하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24) 상부의 좌우 양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24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24) 하부의 좌우 양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양측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부(2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부(243)와 하부 고정부(244)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슈트(24)는 상기 디스펜서(20) 내의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24) 하부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24) 하단의 슈트 출구(241)는 하방을 향하고, 상기 아이스 슈트(24) 하단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하방에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투명 또는 및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빛의 확산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슈트 발광부재(331)가 온될 경우 상기 아이스 슈트(24) 자체가 빛날 수 있다. 즉, 적어도,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 하방으로 노출된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하단이 빛나게 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펜서(20)의 사용 상태를 시각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전면 하단에는 슈트 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슈트 홈(242)은 하단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55)이 장착된 상기 라이팅 장착부의 출수부(25)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하단과 상기 출수부(25)의 하단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20)의 컵 또는 용기를 동일 위치 또는 큰 이동 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과 얼음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전방에는 노즐 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50)는 정수된 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에 형성된 노즐 삽입부(435) 내측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50)는 정수된 물이 출수되는 노즐(55)과, 상기 노즐(55)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55)을 지나는 물을 살균하는 살균 장치(52) 그리고 상기 노즐(55)과 연결된 배관(501) 및 피팅(5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55)은 상기 노즐(55)의 상단에 형성된 배관 연결부(554)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 연결부(554)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는 배관(501)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관 연결부(554)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노즐(55)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50)의 개구된 상면에는 살균 장치(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52)는 상기 노즐(55)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노즐(55) 내부를 살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52)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 엘이디(522)가 장착된 살균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 장치(52)는 상기 노즐(55)의 상단에 장착되는 살균 케이스(5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 엘이디(522)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50) 내측을 전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라이트 가이드(60)와 확산부재(70)가 장착되는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를 포함하여, 취출부 바디(45)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43)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 커버(4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24)는 상기 어퍼 바디(4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41)의 내측에는 아이스 슈트(24)의 하부 고정부(244)와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4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결합부(415)는 후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고정부(244)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50)는 상기 로어 바디(43)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41)에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와,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모듈(42) 그리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빛을 확산시켜 외부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확산부재(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외측단이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의 사이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모듈(42)의 엘이디가 온되면 상기 확산부재(70)가 빛나면서 상기 출수부(25)의 외측면에서 링 형상으로 빛나게 된다. 한편,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와 상기 확산부재(70)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와 확산부재(70)를 포함하여 라이트 링이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라이팅 모듈(42)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엘이디 (422)와 상기 엘이디 (422)가 장착되는 라이트 기판(4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이디 (422)는 좌우 양측에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엘이디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상기 엘이디의 색상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펜서(20) 또는 냉장고(1)의 동작 상태 또는 설정 상태에 따라서 상기 링 라이트는 다른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상기 슈트 엘이디(423)가 온되면,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외측면 중간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슈트 엘이디(423)가 온되면,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하방으로 노출된 아이스 슈트(24)의 하단이 밝게 빛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펜서(20)의 동작을 가시화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41)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되며, 상기 아이스 슈트(24)와 라이팅 모듈(42) 그리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60)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이팅 모듈(42)은 로어 커버(4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로어 커버(44)는 상기 라이팅 모듈(42)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로어 바디(43)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41)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어퍼 베이스(411)와, 상기 어퍼 베이스(411)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24)가 관통되는 어퍼 개구(4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개구(410)의 좌우 양측에는 바디 결합부(4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하부 고정부(244)와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41)에는 상기 라이팅 모듈(42)의 장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베리어(413)가 구비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후방에 상기 라이팅 모듈(42)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베이스(411)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어퍼 테두리(412)가 형성되어, 상기 라이팅 모듈(42)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모듈(42)은 상기 로어 바디(4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로어 커버(44)에 의해 상기 로어 바디(43)의 외관 즉,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라이팅 모듈(4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어 커버(44)의 외측면은 외관이 보다 돋보일 수 있도록 필름이 부착되거나 코팅 또는 도색 처리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로어 커버(44)의 외측면에는 금속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코팅 처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커버(44)의 외측면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 또는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는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확산부재(70)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를 통해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확산부재(7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확산되어 외측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고르고 밝게 빛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의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확산부재(70)의 일부는 균일한 밝기로 링 형상으로 발광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정면과 측면 등 어느 위치에서 바라보게 되더라도 균일한 밝기의 상기 링 라이트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확산부재(70)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빛의 확산을 위한 확산제가 첨가되어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의 결합시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와 확산부재(70)는 어퍼 바디(41) 및 로어 바디(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60) 및 확산부재(70)는 라이팅 모듈에 의해 링 형태로 발광되어 최종적으로는 외부로 가시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스펜서(20)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는 상기 디스펜서의 얼음 취출 조작시의 상기 취출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의 조작부(313)를 터치 조작하여 상기 디스펜서(20)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13)에 제공되는 다수의 터치부(316) 중 어느 하나를 터치 조작하여 상기 디스펜서(20)의 동작 상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동작 상태는 해당하는 상기 발광부재(331)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표시부(315)를 투과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13)를 통해 조각 얼음, 큐브 얼음, 정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메뉴의 상방에 표시부(315)가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상기 조작부(313)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20)가 조작 얼음 또는 큐브 얼음 배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레버(22)를 조작하여 얼음 취출 조작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셔터(26)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2)에서 만들어진 얼음은 상기 연결 통로(23)를 통해 이동되고, 상기 아이스 슈트(24)를 지나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22)의 조작을 종료하거나 설정된 얼음이 배출된 후에는 상기 레버(22)가 회전되어 상기 연결 통로(23)의 개구를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얼음의 취출 조작을 위한 상기 레버(22) 조작을 수행하기 전 상기 취출부(27)의 상태는, 상기 엘이디의 오프로 인해 상기 아이스 슈트(24)가 발광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의 취출 조작을 위해 상기 레버(22)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슈트 엘이디(423)가 온될 수 있다. 상기 슈트 엘이디(423)가 온되면 상기 슈트 엘이디(423)는 상기 아이스 슈트(24) 하부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그리고, 슈트 엘이디(42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아이스 슈트(24)를 밝힐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라이팅 모듈(42) 하방으로 노출된 상기 아이스 슈트(24) 하단이 발광되어 외부로 가시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얼음이 취출되는 출구인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하단이 밝게 빛나는 것을 통해 상기 아이스 슈트(24)로 얼음이 취출 되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조작부(313)에 잠금풀림 표시부(320)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펜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펜서의 구동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펜서(20)를 구성하는 터치 어셈블리(30)에는 잠금풀림 표시부(3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풀림 표시부(320)는 일례로, 큐브 상태의 얼음 정수된 물, 분쇄 상태의 얼음이 조작부(313) 또는 레버(22)의 입력으로 모두 동작하지 않는 상태일 때, 잠금풀림 표시부(320)가 온되어,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잠금풀림 표시부(320)는, 잠금 풀림을 도형 또는 기호 등으로 나타낸 안내부(317)와, 발광부재 등을 통해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발광부(3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풀림 표시부(320)는 상기 터치 어셈블리(30)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풀림 표시부(320)는 큐브 상태의 얼음, 정수된 물, 또는 분쇄 상태의 얼음이 동시에 취출되는 것을 아니므로, 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각각의 표시부(315)가 동시에 온(on) 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잠금풀림 표시부(320)는 얼음 또는 정수된 물이 취출하기 위한 동작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잠금풀림 표시부(320)가 온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 어셈블리(30)는 라운드진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터치 기판(33)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어, 필수적인 얼음 또는 정수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구동 회로 외에 상기 잠금풀림 표시부(320)를 동작시키는 회로를 추가할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터치 어셈블리(30)에는 상기 큐브 얼음, 물, 또는 분쇄 얼음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각각의 표시부(315)가 동시에 켜지는 상황은 없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315)가 전부 꺼지는 경우에 상기 잠금풀림 표시부(320)의 LED가 동작하는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SW1, SW12, SW13은 각각 큐브 얼음, 정수, 분쇄 얼음의 구동회로를 Switch로 간략화한 것이고, LED1, LED12, LED13은 각각 큐브 얼음, 정수, 분쇄 얼음의 3개 엘이디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LED4는 잠금풀림을 표시한다.
SW1, SW2, SW3 중 어느 하나의 구동회로라도 동작하는 경우, R4을 통해 Q1의 Base로 전류가 공급되며 Q1이 turn on 된다. 이때 LED4는 Q1의 Collector-Emitter를 통해 GND와 연결되어 점등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잠금풀림 표시부(320)가 온 되지 않게 된다.
SW1, SW2, SW3의 모든 구동회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Q1의 Base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LED4는 VDD와 R5 통해 연결되며 점등한다. 즉, 상기 잠금풀림 표시부(320)가 온 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회로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된 터치 기판(33)상에 상기 잠금풀림 표시부(320)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 하여금 잠금풀림 표시부(320)를 통해 조작부(313) 또는 레버(22)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가시화하여 알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8)

  1. 정면부와 양측면부에 의해 형성된 함몰 공간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케이스;
    상기 함몰 공간내에 상기 정면부 전방에 일렬로 배치되는 아이스 슈트와 출수부;
    물과 얼음을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가 전방에 형성된 곡면구간과,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의 양측면부를 마주보는 측면구간이 형성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와 출수부를 감싸는 터치케이스; 및
    상기 터치 케이스의 조작부와 상기 아이스 슈트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하는 터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장치는,
    상기 터치 케이스와 상기 아이스 슈트사이에 설치되는 평판형상의 터치기판;
    상기 조작부를 마주하도록 이격되어 상기 터치기판에 설치된 제1터치센서와 제2터치센서;
    상기 제1터치센서와 조작부사이에 설치된 제1전달부재와 제1탄성부재;
    상기 제2터치센서와 조작부사이에 설치된 제2전달부재와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터치 장치가 상기 터치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케이스 측면구간으로 향할수록 전후 방향의 두께가 줄어드는 경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달부재와 상기 제2전달부재는,
    각각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 표면의 정전기를 상기 제1 터치센서와 상기 제2 터치센서로 전달하도록 하는 디스펜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조작부 배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1탄성부재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배치되는 디스펜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장치가 상기 터치 케이스에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양 측단 중 상기 터치케이스 측면구간과 인접한 일 측단은, 상기 제1 탄성부재 전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 디스펜서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장치는,
    상기 터치기판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터치 기판에 구비된 발광 부재에서 조사된 빛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면은 상기 조작부의 배면과 대응하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제1 가이드홀과 상기 제2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된 디스펜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는,
    상기 터치 장치의 전면 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조작부와 접하는 디스펜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전달부재 및 상기 제2전달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유도하는 터치부와,
    상기 발광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표시부가 형성된 디스펜서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케이스는 투명재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는,
    레이저 가공으로 상기 차단층 일부를 제거하여 복수개의 미세홀로 형성된 디스펜서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홀의 직경은, 인접한 미세홀들간의 간격보다 더 작게 형성된 디스펜서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터치 기판의 전면에서 상기 조작부 배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표시부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라이트 홀이 형성된 디스펜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홀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기 표시부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디스펜서장치.
  16. 투명재질의 플라스틱 소재의 전면에 형성된 차단층과
    상기 차단층이 제거된 상태를 갖는 표시부를 형성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후방에 설치된 기판;
    상기 표시부에 대향하는 상기 기판 전면에 설치된 발광부재;
    상기 조작부와 기판 사이에 상기 발광부재의 빛을 상기 표시부로 안내하기 위한 라이트 홀을 형성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차단층을 국부적으로 제거하여,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홀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기 표시부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표시장치.
KR1020210019151A 2021-02-10 2021-02-10 디스펜서 장치 KR102560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151A KR102560062B1 (ko) 2021-02-10 2021-02-10 디스펜서 장치
CN202210066034.5A CN114909866B (zh) 2021-02-10 2022-01-20 照明组件、分配器装置以及冰箱
EP22152410.1A EP4043816A1 (en) 2021-02-10 2022-01-20 Lighting module and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CN202311484283.7A CN117516056A (zh) 2021-02-10 2022-01-20 家用电器
US17/588,646 US20220397718A1 (en) 2021-02-10 2022-01-31 Lighting module and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151A KR102560062B1 (ko) 2021-02-10 2021-02-10 디스펜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306A KR20220115306A (ko) 2022-08-17
KR102560062B1 true KR102560062B1 (ko) 2023-07-27

Family

ID=8311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151A KR102560062B1 (ko) 2021-02-10 2021-02-10 디스펜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0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3062A (ja) * 2013-10-25 2015-04-30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KR101815383B1 (ko) * 2016-06-30 2018-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3062A (ja) * 2013-10-25 2015-04-30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KR101815383B1 (ko) * 2016-06-30 2018-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306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1054B2 (en) Refrigerator
US9285159B2 (en) Refrigerator and dispenser for refrigerator
EP3264014B1 (en) Refrigerator
CN107192207B (zh) 冰箱
CN106104182B (zh) 冰箱
US20130082948A1 (en) Display for refrigerator
US20120180517A1 (en) provided in a liquid dispenser
KR102560062B1 (ko) 디스펜서 장치
US20220397718A1 (en) Lighting module and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102057509B1 (ko) 냉장고
KR102514371B1 (ko) 라이팅 모듈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KR102115615B1 (ko)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44628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디스펜서
EP4276393A1 (en) Refrigerator
KR102102781B1 (ko) 냉장고
US10527344B2 (en) Appliance user interface and display
JP2021152447A (ja) 冷蔵庫
KR20190073319A (ko) 냉장고
KR20210035137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