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667B1 - 캐리어 - Google Patents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667B1
KR101720667B1 KR1020160018302A KR20160018302A KR101720667B1 KR 101720667 B1 KR101720667 B1 KR 101720667B1 KR 1020160018302 A KR1020160018302 A KR 1020160018302A KR 20160018302 A KR20160018302 A KR 20160018302A KR 101720667 B1 KR101720667 B1 KR 101720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oupling
lower portion
infant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수
이인열
박소영
Original Assignee
(주)동인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기연 filed Critical (주)동인기연
Priority to KR102016001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667B1/ko
Priority to PCT/KR2016/002874 priority patent/WO201714212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의 상부를 감싸며,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캐리어 상부; 상기 유아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캐리어 하부; 및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를 분리 또는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유아와 상기 착용자 간의 밀착 정도를 조절하는 캐리어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리어{Carrier}
본 발명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캐리어는, 보통 유아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본체에 한 쌍의 어깨 벨트가 결합되고, 그들 어깨 벨트를 보호자의 좌우 어깨 둘레에 장착하여 지지하는 구성의 아기띠가 있으며, 아기띠의 구성에 보호자가 유아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유아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힙시트 구성을 추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유아용 캐리어는 보호자가 유아를 업거나 가슴에 안고자 할 경우 사용되어지며, 보통 유아와 함께 보호자가 외출할 때 사용된다. 유아는 보호자에 업히거나 안겨진 상태에서 다리가 일정 각도로 빠져나오는 경우 편안함을 느낀다.
또한, 유아용 캐리어는 유아와 함께 보호자가 외출시 사용되므로, 상기의 편리함 및 안락함을 구현하는 것과 더불어 유아의 안전성도 특별히 담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전까지의 유아용 캐리어는 상기와 같이 유아의 안락함과 안정감 그리고 보호자의 편안함을 구현하기 위해서만 많은 개발이 이루어졌을 뿐,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따라서, 현재에는 유아용 캐리어에 대해서 유아 및 보호자의 안락함과 편안함에 더불어 유아의 안전성을 함께 구현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용 캐리어의 보관성 및 휴대성을 극대화하고, 이와 동시에 유아의 안전성을 비약적으로 향샹시키며, 유아의 안락함과 편안함을 구현하는 캐리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는, 유아의 상부를 감싸며,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캐리어 상부; 상기 유아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캐리어 하부; 및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를 분리 또는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유아와 상기 착용자 간의 밀착 정도를 조절하는 캐리어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리어 결합부는,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를 고리 연결을 통해 서로 결속시켜, 상기 유아와 상기 착용자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가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리어 결합부는, 상기 캐리어 상부 또는 상기 캐리어 하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를 연결시키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를 연결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 고리 연결 및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아와 상기 착용자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를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캐리어 상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보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캐리어 하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 보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는, 상기 제2 보정수단이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어 고리연결됨으로써, 상기 유아와 상기 착용자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결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보정수단에 마련되는 제1 결합수단; 및 상기 캐리어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결합수단과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2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는, 상기 제2 보정수단이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어 고리연결되는 1차 결합이후,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상기 제2 결합수단이 결합함으로써 완전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보정수단은, 상기 제2 결합수단과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3 결합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제3 결합수단은, 상기 완전 결합시, 상기 제2 결합수단과 결합함으로써 추가 결합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리어 상부 및 캐리어 하부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완전 결합을 보완하기 위해 서로 분리 또는 결합가능하게 형성되는 보완 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캐리어 상부에 마련되어, 암버클이 형성되는 제1 보완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캐리어 하부에 마련되어, 수버클이 형성되는 제2 보완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는, 상기 완전 결합이후, 상기 제1 보완 결합수단과 상기 제2 보완 결합수단이 서로 결합하는 버클 결합함으로써 보완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캐리어 상부에 마련되어, 암단추가 형성되는 제1 추가 보완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캐리어 하부에 마련되어, 수단추가 형성되는 제2 추가 보완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는, 상기 보완 결합이후, 상기 제1 추가 보완결합수단과 상기 제2 추가 보완결합수단이 맞단추 결합함으로써 추가 보완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리어 상부에 마련되며 유아의 몸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통제하는 통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풍부는,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 및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유아의 몸이 위치한 공간 사이에 형성되어, 다수의 통기성 홀이 형성된 통풍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팅 장치는, 상기 캐리어 하부에 고정연결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캐리어 하부에 상기 연결수단에 기설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연결수단에 고리연결되는 조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팅 장치는, 상기 조정수단을 상기 연결수단에 고리연결시킨 후, 상기 조정수단을 잡아 당겨 상기 캐리어 하부를 들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는, 캐리어 상부와 캐리어 하부를 연결하는 캐리어 결합부의 결합구성이 고리의 형태와 더불어 벨크로 타입으로 구현되어, 캐리어 결합부 하나로 캐리어 상부와 캐리어 하부를 분리결합함과 동시에 유아와 보호자 간의 밀착 조정을 함께 구현할 수 있어, 캐리어의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함에도 불구하고 제품이 심플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는, 캐리어 상부와 캐리어 하부를 분리가능하게 구현하여 유아용 캐리어의 보관성 및 휴대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캐리어 상부와 캐리어 하부를 연결하는 캐리어 결합부의 결합구성에 유아와 보호자간의 밀착을 조정할 수 있는 보정수단을 마련하여 캐리어 상부와 캐리어 하부가 분리된 후 재결합시 유아와 착용자가 완전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안락함과 편안함을 구현함과 동시에 유아의 안전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더불어 유아의 성장에 따라 캐리어를 재구매하지 않을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비용적으로 큰 효과가 있어 시장성이 매우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는, 어깨 벨트 부분과 엉덩이 지지부분을 연결하는 캐리어 결합부의 결합구성을, 고리연결부로 1차결합을, 벨크로부로 2차결합을, 버클부로 3차결합을, 맞단추부로 4차결합을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의 캐리어가 분리가능하게 구현되더라도 재결합시 네 차례에 걸친 결합을 통해 결합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므로, 유아의 안정성이 담보되어 착용자의 불안함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상부몸체 분리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하부몸체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제1 결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제2 결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제3 결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결합 완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통풍부의 세부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리프팅 장치의 작동 제1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리프팅 장치의 작동 제2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1)는, 캐리어 상부(10), 캐리어 하부(20), 캐리어 결합부(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구성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캐리어(1)는, 착용자(도시하지 않음)가 유아(도시하지 않음)를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 상부(10)는, 유아의 상부를 감싸안도록 구성되어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된다.
구체적으로, 캐리어 상부(10)는 유아의 몸을 감싸는 상부 몸체(11), 상부 몸체(1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벨트(12), 상부 몸체(11) 상에 마련되어, 유아의 몸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통제할 수 있는 통풍부(13), 및 상부 몸체(11) 상에 마련되어 기타 물품(도시하지 않음)들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수납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몸체(11)는, 유아의 몸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캐리어(1) 상부의 기본 골격을 이룬다. 일례로 상부 몸체(11)는, 어깨띠일 수 있다.
상부 몸체(11)는, 양측에 각각 어깨벨트(12)가 연장형성되고 하측에 후술할 캐리어 결합부(30)가 형성된다. 상부 몸체(11)는, 유아의 몸에 닿는 면에는 통기성이 좋도록 다수의 조그마한 홀이 형성된 통풍재질이 형성되고, 유아의 몸에 닿는 면의 반대면 상에는 상기 통풍재질로 외부 공기의 유입이 통제되도록 하는 통풍부(13) 및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어깨벨트(12)는, 착용자의 어깨가 들어갈 수 있도록 고리의 형태로 상부 몸체(11)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어깨에 장착되어 캐리어(1)를 상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즉, 어깨벨트(12)는 상부 몸체(11)의 상측에서 연장형성되다가 상부 몸체(11)의 측면으로 연결되어 고리형태로 상부 몸체(11)에 형성될 수 있고, 어깨벨트(12)를 통해 캐리어(1)에 수용된 유아의 하중을 착용자의 어깨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어깨벨트(12)는, 착용자의 어깨를 쿠션감있게 감싸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착용자의 어깨에 견고하게 장착되기 위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통풍부(13)는, 상부 몸체(11) 상에 유아의 몸이 닿는 면의 반대면에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는 비어있는 공간인 내부공간(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통풍부(13)에 대한 구성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통풍부의 세부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부(13)는 통풍 수단(131) 및 개폐수단(132)을 포함한다.
통풍 수단(131)은, 통풍부(13)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과 유아의 몸이 위치한 공간 사이에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면 상에 통기성이 좋도록 다수의 조그마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통풍수단(131)은, 상부 몸체(11)의 유아의 몸에 닿는 면에서부터 통풍부(13)의 내부 공간까지 관통된 조그마한 홀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통풍 수단(131)은, 외부의 공기가 통풍 수단(131)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유아의 몸이 위치한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개폐수단(132)은, 통풍부(13)의 내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은폐되도록 폐쇄할 수 있다. 개폐수단(132)은, 통풍부(13)의 경계선 상에 형성되어 통풍부(13)의 크기 및 모양을 한정할 수 있으며, 일례로 지퍼(zipper)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풍부(13)는, 통풍수단(131)을 구비하여 유아의 몸에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캐리어(1)를 착용자가 장착시 무더운 날에도 유아의 쾌적함을 증대시키고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풍수단(131)이 통풍부(13)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과 유아의 몸이 위치한 공간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통풍부(13)의 개폐수단(132)을 통해 유아의 몸에 외부 공기의 유입을 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캐리어(1)는, 유아가 더위를 느낄 경우, 개폐수단(132)을 통해 내부공간을 개방하여 통풍수단(131)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몸에 외부 공기가 순환되도록 할 수 있고, 유아가 추위를 느낄 경우, 개폐수단(132)을 통해 내부공간을 폐쇄시켜 통풍수단(131)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몸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캐리어(1)는, 유아의 몸과 외부 공기와의 사이에 통풍수단(131)만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공간이 마련되므로, 내부공간의 공기가 단열 역할을 할 수 있어, 더위뿐만 아니라 추위에서도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수납부(14)는, 상부 몸체(11) 상에 유아의 몸이 닿는 면의 반대면에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4)는, 상부 몸체(11)의 통풍부(13) 윗면 상에 마련되나, 이는 일례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부분에 수납부(14)가 마련될 수 있다.
수납부(14)는, 수납 공간에 수납품을 인입 또는 저장하도록 수납 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141)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수단(141)은, 수납부(14)의 경계선 상에 형성되어 수납부(14)의 크기 및 모양을 한정할 수 있으며, 일례로 지퍼(zipper)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 하부(20)는, 유아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된다.
구체적으로, 캐리어 하부(20)는,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하부 몸체(21) 및 하부 몸체(21)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되며,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벨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몸체(21)는,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캐리어(1) 하부의 기본 골격을 이룬다. 일례로 하부 몸체(21)는, 힙시트일 수 있다.
하부 몸체(21)는, 수직으로 받는 유아의 하중을 수평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내부에 플레이트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고, 이 플레이트 부재를 통해 유아의 둔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몸체(21)는, 양측에는 각각 허리벨트(22)가 연장형성될 수 있고 상측에는 캐리어 결합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허리 벨트(22)는, 착용자의 허리를 쿠션감 있게 감싸는 소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하부 몸체(21)의 양측에 연장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몸체(21)의 좌측에 연장형성되는 좌측 허리벨트(22)와 하부 몸체(21)의 유측에 연장형성되는 우측 허리벨트(22)가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장치(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서로 결합하여 착용자의 허리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허리벨트(22)는, 하부 몸체(21)의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수평분산된 유아의 하중을 착용자의 허리로 전달하여, 착용자가 캐리어(1)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허리벨트(22)는, 착용자의 허리에 견고하게 장착되기 위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허리벨트(22)는, 외면에 포켓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포켓부(221)는 주머니 형태로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으며, 허리벨트(2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허리벨트(22)와의 사이 공간이 형성되로록 할 수 있다.
캐리어 결합부(30)는,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를 분리 또는 결합시키거나, 유아와 착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즉, 캐리어 결합부(30)는,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를 고리연결을 통해 완전 결합이 아닌 서로 결속만 시킴으로써, 유아와 착용자간의 이격거리를 조절가능하게 하고,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를 벨크로 결합시켜 분리 또는 완전결합함으로써,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리어 결합부(30)는, 캐리어 상부(10)에 마련되어 캐리어 하부(20)와 연결되기 위해 구성되는 제1 결합부(31)와, 캐리어 하부(20)에 마련되어 캐리어 상부(10)와 연결되기 위해 구성되는 제2 결합부(3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결합부(32)가 제1 결합부(31)에 고리 연결되됨과 동시에 벨크로 결합되면서, 유아와 착용자간의 이격거리를 조절가능하게 하고,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a를 참고하여 제1 결합부(31)에 대한 구성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상부몸체 분리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31)는 제1 보정수단(311), 제3 결합수단(312), 제1 보완 결합수단(313), 제1 추가 보완결합수단(314)을 포함한다.
제1 보정수단(311)은, 캐리어 상부(10)에 마련되며, 관통홀(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도록 캐리어 상부(10)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은 후술할 제2 보정수단(321)이 삽입될 수 있을 만큼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수단(312)은, 제1 보정수단(311)의 일면에 마련되며, 수벨크로 형태로 형성되어 암벨크로 형태로 형성된 제2 결합수단(323)과 맞닿아 벨크로 결합할 수 있다.
제3 결합수단(312)은, 제1 보정수단(311)에 제2 보정수단(321)이 삽입되는 1차 결합(고리연결) 이후, 제2 보정수단(321)에 구비된 제1 결합수단(322)이 제2 결합부(32)에 형성된 제2 결합수단(323)과 완전결합시에 제2 결합수단(323)과 맞닿아 벨크로 결합하여 추가 결합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결합수단(312)은, 유아와 착용자간의 이격거리가 설정완료된 후(보정작업이 완료된 후), 제1 결합수단(322)이 제2 결합부(32)에 형성된 제2 결합수단(323)과 완전결합하기 전에 유아와 착용자간의 이격거리를 임시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제1 보완 결합수단(313)은, 캐리어 상부(10)에 마련되며, 암버클의 형태로 형성되어 수버클로 형성된 제2 보완 결합수단(324)과 결합할 수 있다.
제1 보완 결합수단(313)은, 제1 결합수단(322)과 제2 결합수단(323)이 결합하는 완전 결합 이후, 제2 보완 결합수단(324)과 버클 결합하여 완전 결합을 보완할 수 있다.
제1 추가 보완결합수단(314)은, 캐리어 상부(10)에 마련되며, 암단추(314a)가 형성될 수 있고 수단추(325a)가 형성된 제2 추가 보완결합수단(325)과 결합할 수 있다.
제1 추가 보완결합수단(314)은, 제1 보완 결합수단(313)과 제2 보완 결합수단(324)이 결합하는 보완 결합 이후, 제2 추가 보완결합수단(325)과 맞단추 결합하여 보안 결합을 추가 보완할 수 있다.
이하 도 2b를 참고하여 제2 결합부(32)에 대한 구성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하부몸체 분리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32)는 제2 보정수단(321), 제1 결합수단(322), 제2 결합수단(323), 제2 보완결합수단(324), 제2 추가 보완결합수단(325)을 포함한다.
제2 보정수단(321)은, 캐리어 하부(20)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제1 보정수단(311)의 관통홀로 삽입되어 1차 결합(고리연결)할 수 있다.
제2 보정수단(321)은, 제1 보정수단(311)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고리연결됨으로써 서로 결속되도록 한다. 이 고리연결은,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는 완전 결합이 아닌 서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므로 유아와 착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결합수단(322)은, 제2 보정수단(321)의 일면에 마련되며, 수벨크로 형태로 형성되어 암벨크로 형태인 제2 결합수단(323)과 맞닿아 벨크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결합수단(322)은, 제1 보정수단(311)에 제2 보정수단(321)이 삽입되는 1차 결합(고리연결) 이후, 유아와 착용자간의 이격거리 설정이 완료된 이후(보정작업), 제2 결합수단(323)과 맞닿아 벨크로 결합하여 완전 결합한다. 여기서 1차 결합(고리연결)은 완전한 결합이 아닌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결속된 상태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말하며, 완전 결합은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서로간의 이동이 통제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말한다.
제2 결합수단(323)은, 캐리어 하부(20)의 일면에 마련되며, 암벨크로 형태로 형성되어 수벨크로 형태인 제1 결합수단(322) 및 제3 결합수단(312)과 맞닿아 벨크로 결합할 수 있다.
제2 보완결합수단(324)은, 캐리어 하부(20)에 마련되며, 수버클의 형태로 형성되어 암버클의 형태로 형성된 제1 보완결합수단(313)과 결합할 수 있다.
제2 보완결합수단(324)은, 제1 결합수단(322)과 제2 결합수단(323)이 결합하는 완전 결합 이후, 제1 보완 결합수단(313)과 버클 결합하여 완전 결합을 보완할 수 있다.
제2 추가 보완결합수단(325)은, 캐리어 하부(20)에 마련되며, 수단추(325a)가 형성될 수 있고, 암단추(314a)가 형성된 제1 추가 보완결합수단(314)과 결합할 수 있다.
제2 추가 보완결합수단(325)은, 제1 보완 결합수단(313)과 제2 보완 결합수단(324)이 결합하는 보완 결합 이후, 제1 추가 보완결합수단(314)과 맞단추 결합하여 보안 결합을 추가 보완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제1 결합부(31)와 제2 결합부(32)를 통해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제1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제2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제3 결합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결합 완성도이다.
도 3 에서 도 6으로 갈수록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결합되는 과정이며, 도 6에서 도 3으로 갈수록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분리되는 과정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는 1차 결합(고리연결)한다.
1차 결합은,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를 대면하도록 위치시키고, 캐리어 하부(20)의 제2 보정수단(321)을 캐리어 상부(10)의 제1 보정수단(311)의 관통홀에 삽입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1차 결합은,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서로 이동가능하도록 고리 연결시키는 것을 말하며, 이후 진행될 보정작업간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서로 멀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1차 결합 이후, 유아와 착용자간의 이격거리를 정하기 위해 보정 작업이 수행된다.
보정작업은, 제2 보정수단(321)이 제1 보정수단(311)에 삽입된 후,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서로 멀리 이탈되는 것이 제약된 상태에서, 제1 보정수단(311)이 제2 보정수단(321)을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이루어진다.
제1 보정수단(311)이 제2 보정수단(321)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유아와 착용자 간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제2 보정수단(321) 상의 위치에 제1 보정수단(311)을 위치시키면서 보정작업이 이루어지고, 보정작업이 완료되면, 제1 보정수단(311)에 위치한 수벨크로 형태의 제3 결합수단(312)이 제2 결합수단(323)과 결합하여 임시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3 결합수단(312)은 후술할 완전결합에서 추가결합력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도 4를 살펴보면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는 완전 결합한다.
완전 결합은, 보정작업이 완료되고 제3 결합수단(312)이 제2 결합수단(323)과 결합하여 임시 고정된 후에 제1 결합수단(322)이 제2 결합수단(323)과 결합하여 완전 고정시킴으로 이루어진다.
완전 결합은,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서로 이동하는 것이 완전히 불가능하도록 완전 고정된 것을 말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1)는,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를 연결하는 캐리어 결합부(30)의 결합구성이 고리의 형태(1차 결합)와 더불어 벨크로 타입(완전 결합)으로 구현되어, 1차 결합과 완전 결합 과정 사이에 보정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리어 결합부(30) 하나로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를 분리 또는 결합함과 동시에 유아와 보호자 간의 밀착 조정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1)는,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함에도 불구하고 제품이 심플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는 보완 결합한다.
보완 결합은, 캐리어 상부(10)에 형성된 제1 보완 결합수단(313)이 캐리어 하부(20)에 형성된 제2 보완 결합수단(324)과 버클 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보완 결합은 제2 보완 결합수단(324)인 수버클이 제1 보완 결합수단(313)인 암버클과 버클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보완 결합은,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완전 결합 이후, 혹여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의 결합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을 살펴보면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는 추가 보완 결합한다.
추가 보완 결합은, 캐리어 상부(10)에 형성된 제1 추가 보완결합수단(314)이 캐리어 하부(20)에 형성된 제2 추가 보완결합수단(325)과 맞단추 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추가 보완 결합은 제2 추가 보완결합수단(325)에 형성된 수단추(325a)가 제1 추가 보완결합수단(314)에 형성된 암단추(314a)와 맞단추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추가 보완 결합은,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보완 결합 이후, 혹여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분리되는 것을 추가 방지하여,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의 결합을 보완 결합에 더해 추가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는, 1차 결합, 보정 작업, 완전 결합, 보완 결합, 추가 보완결합 순으로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의 결합 과정이 진행된다.
착용자들은 분리가능하게 구현되는 캐리어에 대해서 결합력에 대한 불안감이 팽배하고 그로 인해 유아의 안전성에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캐리어(1)는,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를 연결하는 캐리어 결합부(30)의 결합구성을, 고리 연결로 1차 결합을, 벨크로 결합인 완전결합으로 2차 결합을, 버클 결합인 보완 결합으로 3차 결합을, 맞단추 결합인 추가 보완결합으로 4차 결합을 구현함으로써, 네 차례에 걸친 결합을 통해 결합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아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고 분리 가능하게 구현되는 캐리어(1)에 대한 착용자의 불안함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캐리어(1)가 분리되는 과정은 보정작업없이 결합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1)는,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를 분리 가능하게 구현하여 캐리어(1)의 보관성 및 휴대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1)는,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를 연결하는 캐리어 결합부(30)의 결합구성에 유아와 보호자간의 밀착을 조정할 수 있는 보정수단을 마련하여, 캐리어 상부(10)와 캐리어 하부(20)가 분리된 후 재결합시 유아와 착용자가 완전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안락함과 편안함을 구현함과 동시에 유아의 안전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더불어 유아의 성장에 따라 캐리어(1)를 재구매하지 않을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비용적으로 큰 효과가 있어 시장성이 매우 큰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는, 리프팅 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리프팅 장치(40)는, 캐리어 하부(20) 상에 마련되어 캐리어 하부(20)를 들어올릴 수 있다.
리프팅 장치(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 및 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리프팅 장치의 작동 제1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리프팅 장치의 작동 제2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장치(40)는, 연결수단(41) 및 조정수단(42)을 포함한다.
연결수단(41)은, 캐리어 하부(20)에 고정되며, 후술할 조정수단(42)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수단(41)은, 캐리어 하부(20)의 허리 벨트(22)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캐리어 하부(20)의 하부 몸체(21)를 기준으로 양측 각각의 허리벨트(22) 상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š, 연결수단(41)은, 바람직하게 포켓부(221)와 허리벨트(22) 사이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연결수단(41)은, 일례로 버클 조리개의 형태로 형성되어 허리벨트(22)에 직접 연결되어 고정되거나, 웨빙끈(Webbing strap; 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허리벨트(22)와 간접적으로 고정연결될 수 있다.
조정수단(42)은, 캐리어 하부(20)에 연결수단(41)으로부터 기설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수단(41)에 고리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수단(42)은, 캐리어 하부(20)의 하부 몸체(21)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 몸체(21)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조정수단(42)은, 일례로 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정수단(42)은 웨빙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정수단(42)은, 연결수단(41)과 기설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고, 연결수단(41)에 고리연결될 수 있다. 조정수단(42)은, 연결수단(41)과 기설정간격 이격된 후 연결수단(41)에 고리연결되므로, 기설정간격만큼 연결수단(41)을 조정수단(42)이 위치한 지점까지 잡아당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연결수단(41)이 기설정간격 이동한 만큼 캐리어 하부(20)가 들어올려질 수 있다.
리프팅 장치(40)의 작동에 대한 상세한 매커니즘은 도 8 및 도 9를 다시 참조하여 하기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리프팅 장치의 작동 제1도이다.
도 8을 살펴보면, 먼저 연결수단(41)은 포켓부(221)와 허리벨트(22) 사이에 숨겨져있다. 조정수단(42)은, 연결수단(41)과 연결되기 위해 포켓부(221)와 허리벨트(22)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고(화살표 a방향으로 인입), 이후 연결수단(41)과 고리 연결된다.
도 9를 통해 다음 단계를 알아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리프팅 장치의 작동 제2도이다.
도 9를 살펴보면,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조정수단(42)이 포켓부(221)와 허리벨트(22)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어(화살표 a방향으로 인입) 연결수단(41)과 고리연결되고 난 후, 조정수단(42)을 다시 포켓부(221)와 허리벨트(22) 사이의 공간 외부로 빼내어 화살표 b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정수단(42)이 기설정간격만큼 연결수단(41)을 조정수단(42)이 위치한 지점까지 잡아당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연결수단(41)이 기설정간격 이동한 만큼 캐리어 하부(20)가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캐리어(1)는 리프팅 장치(40)를 추가 구비함으로써, 착용자가 유아를 업은 채로 캐리어(1)를 장착할 경우, 유아의 하중을 편하고 쉽게 버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캐리어 10: 캐리어 상부
11: 상부 몸체 12: 어깨 벨트
13: 통풍부 131: 통풍수단
132: 개폐수단 14: 수납부
141: 개폐수단 20: 캐리어 하부
21: 하부 몸체 22: 허리 벨트
221: 포켓부 30: 캐리어 결합부
31: 제1 결합부 311: 제1 보정수단
312: 제3 결합수단 313: 제1 보완 결합수단
314: 제1 추가 보완결합수단 314a: 암단추
32: 제2 결합부 321: 제2 보정수단
322: 제1 결합수단 323: 제2 결합수단
324: 제2 보완 결합수단 325: 제2 추가 보완결합수단
325a: 수단추 40: 리프팅 장치
41: 연결수단 42: 조정수단

Claims (11)

  1. 유아의 상부를 감싸며,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캐리어 상부;
    상기 유아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캐리어 하부; 및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를 분리 또는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유아와 상기 착용자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캐리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결합부는,
    상기 캐리어 상부 또는 상기 캐리어 하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를 연결시키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를 연결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캐리어 상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보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보정수단에는 상기 유아와 상기 착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한 후의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제3 결합수단이 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결합부는,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를 고리 연결을 통해 서로 결속시켜, 상기 유아와 상기 착용자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가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 고리 연결 및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아와 상기 착용자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를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캐리어 하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 보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는,
    상기 제2 보정수단이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어 고리연결됨으로써, 상기 유아와 상기 착용자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보정수단에 마련되는 제1 결합수단; 및
    상기 캐리어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결합수단과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2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상부와 상기 캐리어 하부는,
    상기 제2 보정수단이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어 고리연결되는 1차 결합이후,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상기 제2 결합수단이 결합함으로써 완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수단은,
    상기 제2 결합수단과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상부 및 캐리어 하부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완전 결합을 보완하기 위해 서로 분리 또는 결합가능하게 형성되는 보완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아의 몸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통제하는 통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풍부는,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 및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유아의 몸이 위치한 공간 사이에 형성되어, 다수의 통기성 홀이 형성된 통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하부 상에 마련되어 상기 캐리어 하부를 들어올리는 리프팅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상기 캐리어 하부에 고정연결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캐리어 하부에 상기 연결수단으로부터 기설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연결수단에 고리연결되는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상기 조정수단을 상기 연결수단에 고리연결시킨 후, 상기 조정수단을 잡아 당겨 상기 캐리어 하부를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KR1020160018302A 2016-02-17 2016-02-17 캐리어 KR101720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302A KR101720667B1 (ko) 2016-02-17 2016-02-17 캐리어
PCT/KR2016/002874 WO2017142122A1 (ko) 2016-02-17 2016-03-22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302A KR101720667B1 (ko) 2016-02-17 2016-02-17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667B1 true KR101720667B1 (ko) 2017-03-28

Family

ID=5849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302A KR101720667B1 (ko) 2016-02-17 2016-02-17 캐리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0667B1 (ko)
WO (1) WO20171421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5912B1 (ja) * 2020-09-08 2021-10-06 コンビ株式会社 保育補助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888B1 (ko) * 2013-01-14 2014-02-07 임계화 힙시트캐리어
KR200474432Y1 (ko) * 2013-10-21 2014-11-04 주식회사 아이알 유아용 포대기
KR200476693Y1 (ko) * 2014-02-19 2015-03-24 기원플러스 주식회사 유아용 아기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0447A (ja) * 2006-06-14 2007-12-27 Lucky Kogyo Kk スリング
KR20100002191U (ko) * 2008-08-21 2010-03-04 이진섭 아기 포대기
KR101196108B1 (ko) * 2010-05-14 2012-11-01 배진권 유아용 운반구
KR101453460B1 (ko) * 2014-03-19 2014-10-22 (주)케리비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888B1 (ko) * 2013-01-14 2014-02-07 임계화 힙시트캐리어
KR200474432Y1 (ko) * 2013-10-21 2014-11-04 주식회사 아이알 유아용 포대기
KR200476693Y1 (ko) * 2014-02-19 2015-03-24 기원플러스 주식회사 유아용 아기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2122A1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634B2 (en)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side panels and torso band
CN107847057B (zh) 婴儿背带
EP1992257B1 (en) Reversible infant carrier
KR200459539Y1 (ko)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
US9949575B2 (en) Child carrier
US9848713B2 (en) Convertible infant carrier
US10631664B2 (en) Two-piece baby carrier
US9038868B2 (en) Twin baby carrier
CN104825013B (zh) 用于婴儿或小孩的携带装置
US20140097215A1 (en) Modular baby carrier
KR20100017379A (ko) 운반 장치
JP2012524603A (ja) ベビー・キャリア
TW201350059A (zh) 幼兒背負裝置
KR101426751B1 (ko) 유아용 포대기
US11399638B2 (en) Multifunctional infant carrier
US20170318865A1 (en) Infant wrap and carrier
TWI555488B (zh) 幼兒背帶
KR101453460B1 (ko)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KR101720667B1 (ko) 캐리어
KR200482010Y1 (ko) 멀티 백 겸용 아기띠
KR20100044985A (ko) 아기띠
JP2015057170A (ja) 子守帯
KR20140050139A (ko) 유아용 캐리어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CN217987162U (zh) 婴儿背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