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603B1 -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배수펌프 - Google Patents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배수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603B1
KR101720603B1 KR1020150124874A KR20150124874A KR101720603B1 KR 101720603 B1 KR101720603 B1 KR 101720603B1 KR 1020150124874 A KR1020150124874 A KR 1020150124874A KR 20150124874 A KR20150124874 A KR 20150124874A KR 101720603 B1 KR101720603 B1 KR 10172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ntroller
mounting plate
cabl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066A (ko
Inventor
최용주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4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6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8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86Mechanical details of the pump control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93Details or arrangements of the w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09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F04D15/0218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the condition being a liquid level or a lack of liqui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자동 배수펌프에 관한 것으로,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모터의 알피엠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고장유무에 대해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물론, 각종의 오수를 취급하는 열악한 환경에서 고장이 잦을 수밖에 없는 제어기를 가능한 오수에 침수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터와 임펠러로 이루어진 모터펌프를 내장하고 있으며, 하부에는 오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한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펌프본체와;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기준전압과 비교를 통해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검출 비교기와; 상기 모터의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역기전력 검출부와; 상기 모터를 회전시켜 주는 스위칭 신호와 속도 데이터를 혼합하여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모터의 구동을 오프 제어하고, 상기 검출한 역기전력을 통해 모터의 회전 알피엠을 판단하여 구동제어신호의 가변 유무를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구동제어신호를 가변출력 후 모터의 회전수가 회전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여 이상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배수펌프{DRAIN PUMP WITH TROUBLE SHOOTING FUNCTION}
본 발명은 배수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모터의 알피엠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고장유무에 대해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물론, 각종의 오수를 취급하는 열악한 환경에서 고장이 잦을 수밖에 없는 제어기를 가능한 오수에 침수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배수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펌프는 모터의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하여 지하 또는 각종 수조 속에 잔존하는 오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압송시키는 기능을 갖는 기계 구성요소이다.
종래의 배수펌프는 그 수조내의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어 수위를 조절하거나,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급수용으로 배수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 수조 내에 설치된 배수펌프는 자동배수를 위해 수위조절기를 별도로 요구하였으며, 이 수위조절장치는 수조 내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하 연동 승강되는 플로트와, 그 플로트에 연결되어 승하강시 온오프 동작되는 접점스위치와, 그 접점스위치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배수펌프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제어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플로트와 접점스위치는 무게가 가벼운 실 등의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연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플로트는 수조 내의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승강되고, 이어서 연결부재에 긴장력을 제공하게 됨에 따라 접점스위치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수조 내의 오수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플로트가 같이 상승하게 되어 접점스위치를 온동작시켜 제어기에 신호가 입력되고, 제어기에서 모터를 작동시켜 수조 내의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수조 내의 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배수펌프에 사용되는 모터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임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0)를 구동시켜주는 모터 스위치부(13), 모터(10)의 설정속도 데이터를 받아 모터(10)의 현재 속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증가 또는 감소된 속도 데이터를 출력하고 출력된 속도 데이터를 혼합하여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11),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상기 제어기(11)에서 출력된 구동 제어 신호로 스위칭하여 상기 모터(10)를 회전시켜 주는 모터 스위치부(13) 및 상기 전원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으로부터 과전압을 검출하여 안정된 구동 전압으로 공급해 주는 과전류검출 비교기(1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어부(11)에서 모터(10)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 신호를 모터 스위치부(13)로 전송하여 모터(100)를 회전시킨다. 이때 발생되는 센싱 저항부(14)의 전압을 측정하여 과전류검출 비교기(15)가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전류 발생 시 제어기(11)에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제어기(11)에서 모터의 회전속도 신호에 비례하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면 모터(10)는 단순히 그에 맞는 속도로 회전을 하기 때문에 모터(10)에 부하가 걸리게 되면 속도가 감소하게 되며 전류 소모도 크게 되고, 알피엠을 따로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모터(10)의 회전속도를 알 수가 없어 배수되는 오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었고, 모터가 고장나는 경우 고장발생 초기에 발견하여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적당한 방안이 없는 실정이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배수펌프는 기본적인 실링처리에도 불구하고 각종 물질로 오염된 오수를 취급하는 열악한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다 보니 쉽게 고장이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한 고장 중 모터펌프가 고장나는 경우 고장발생 초기에 발견하여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적당한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이같은 고장은 오수로 인한 부식으로 전자쪽 제어기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 경우 상대적으로 내구성을 갖춘 모터펌프까지 포함된 전체 제품을 폐기 처리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80779호(2012.07.1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모터의 알피엠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고장유무에 대해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물론, 각종의 오수를 취급하는 열악한 환경에서 고장이 잦을 수밖에 없는 제어기를 가능한 오수에 침수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배수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배수펌프는, 모터와 임펠러로 이루어진 모터펌프를 내장하고 있으며, 하부에는 오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한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펌프본체와;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기준전압과 비교를 통해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검출 비교기와; 상기 모터의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역기전력 검출부와; 상기 모터를 회전시켜 주는 스위칭 신호와 속도 데이터를 혼합하여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모터의 구동을 오프 제어하고, 상기 검출한 역기전력을 통해 모터의 회전 알피엠을 판단하여 구동제어신호의 가변 유무를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구동제어신호를 가변출력 후 모터의 회전수가 회전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여 이상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의 회전수는 펄스파에 임의의 상수를 곱하여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본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기를 수위변화에 따라 침수되지 않도록 승강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터는, 상기 펌프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방향으로 신장 및 축소 가능하게 다수개가 접철된 안테나폴과; 상면에는 상기 제어기가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폴의 최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폴의 신장시 상승하고 수축시 하강하는 장착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터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를 통해 수위 상승하면 그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판을 상승시켜 상기 제어기가 침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가 내장된 제어기 카트리지가 구비되어 상기 장착판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판에 대한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의 장착을 위하여 상기 장착판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ㄱ자 단면의 가이드레일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어기가 내장된 카트리지본체와,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하부에서 좌편과 우편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끼워지도록 한 납작한 판형의 슬라이딩 캐비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와 상기 모터 간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 제1케이블과 상기 모터에 연결된 제2케이블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 캐비닛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복수의 제1고정풀리와; 상기 슬라이딩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제1고정풀리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풀리와 함께 상기 제1케이블을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되도록 지지하여 상기 제1고정풀리에 대하여 접근하면 상기 제1케이블의 인출을 허용하고 상기 제1고정풀리에 대하여 멀어지면 인출되었던 상기 제1케이블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제1이동풀리와; 상기 제1이동풀리가 상기 제1고정풀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1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1케이블이 상기 슬라이딩 캐비닛 내부에 인입되려는 경향을 가지면서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슬라이딩 캐비닛 내부로부터 인출이 허용되도록 하며, 상기 장착판의 내부에서 고정 설치된 복수의 제2고정풀리와; 상기 장착판의 상단부 내부에서 상기 제2고정풀리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고정풀리와 함께 상기 제2케이블을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되도록 지지하여 상기 제2고정풀리에 대하여 접근하면 상기 제2케이블의 인출을 허용하고 상기 제2고정풀리에 대하여 멀어지면 인출되었던 상기 제2케이블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제2이동풀리와; 상기 제2이동풀리가 상기 제2고정풀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2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2케이블이 상기 장착판 내부에 인입되려는 경향을 가지면서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장착판의 내부로부터 인출이 허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주기적으로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되, 오수가 없어서 상기 모터가 공회전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공회전으로 인해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주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수펌프는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모터의 알피엠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고장유무에 대해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터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하여 각종의 오수를 취급하는 열악한 환경에서 고장이 잦을 수밖에 없는 제어기를 가능한 오수에 침수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를 취급하는 열악한 환경에서 고장이 잦을 수밖에 없는 제어기를 상대적으로 내구성을 갖추고 있는 모터펌프로부터 별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기가 고장나더라도 모터펌프까지 포함하여 제품 전체를 폐기하지 않고 해당부분만 교체하여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기가 전류 검출을 통해 오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로트 등과 같이 오수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이들의 고장을 염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기와 모터펌프를 연결하는 케이블들을 필요한 경우에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되, 이들 케이블이 풀리구조에 의해 신축 또는 입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오수를 취급하는 열악한 환경에서 풀리구조를 이루는 복수의 풀리, 스프링 중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그와 관계없이 작동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배수펌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에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에서 모터의 고장진단을 위한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에서 모터의 고장진단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에서 제어기 카트리지의 착탈 가능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에서 제어기에 연결되는 제1케이블의 풀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에서 모터펌프에 연결되는 제2케이블의 풀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에서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제어기 카트리지를 승강시키는 리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배수펌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에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에서 모터의 고장진단을 위한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는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도록 제작되는 휴대용의 배수펌프로서 모터(140) 및 임펠러로 이루어진 모터펌프를 내장하는 펌프본체(110)와, 제어기가 포함된 PCB를 내장하고 있는 제어기 카트리지(130)와,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130)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터(120)로 이루어진다.
이 중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모터 스위치부(141), 모터(140)의 설정속도 데이터를 받아 모터(140)의 현재 속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증가 또는 감소된 속도 데이터를 출력하고 는 제어기(135), 상기 모터(140)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기준전압과 비교를 통해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검출 비교기(210), 모터(140)의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역기전력 검출부(2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모터(140)를 회전시켜 주는 모터 스위칭 신호와 속도 데이터를 혼합하여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모터(140)의 구동을 오프 제어하고, 상기 검출한 역기전력을 통해 모터(140)의 회전 알피엠을 판단하여 구동제어신호의 가변 유무를 결정한다.
상기 과전류검출 비교기(21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 전원의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는 로우패스필터(211) 및 기준전압과 상기 로우패스필터(211)의 출력을 비교하여 출력하는 제1 비교기(212)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역기전력 검출부는(220)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기준전압과 역기전력을 비교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제2 비교기(221) 및 상기 제2 비교기(221)의 펄스신호에서 DC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하이패스필터(222)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는 위 설명된 것처럼 모터 구동을 위한 구성에 의하여 아래 설명되는 동작 과정을 통해 고장을 진단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에서 모터의 고장진단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135)는 속도 데이터에 따른 모터 구동제어신호를 모터 스위치부(141)로 출력한다(S100).
이후, 역기전력 검출부(220)가 모터(140)의 역기전력에 따른 펄스파를 검출한 후, 하이패스필터(222)에서 펄스파에서 DC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면 제어기(135)는 모터(140)의 회전수를 파악한다(S200). 이때 상기 모터(140)의 회전수는 펄스파에 임의의 상수(예를 들어 30)를 곱하여 최종적으로 파악한다.
이후, 전 단계에서 검출한 모터(140)의 회전 알피엠(rpm)이 속도에 비례한 회전수인가를 판단하며(S300), 이 판단결과 비례한 회전수가 아닌 경우 속도에 비례한 회전수와 일치하도록 구동제어신호를 가변한다(S400). 예를 들어 속도에 비례한 모터 회전수가 600 rpm이라 가정하면 파악된 회전 알피엠이 800 rpm인 경우 모터 스위치부(141)에 인가되는 구동제어신호의 크기를 작게 가변하고, 반대로 회전 알피엠이 400 rpm인 경우에는 구동제어신호의 크기를 크게 가변한다.
이후,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가변 출력한 후 제어기(135)는 다시 측정한 모터(140)의 회전수가 속도에 비례한 회전수인가를 다시 판단한다(S500). 판단결과 속도에 비례한 회전수가 아닌 경우 설정한 회전 오차범위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S600).
이후, 전 단계의 판단결과 회전 오차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여 이상신호를 제어기(135)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700). 예를 들어 속도에 비례한 모터 회전수가 600 rpm이고, 회전 오차범위가 10%라 가정하면 다시 측정한 모터 회전수가 540 rpm ~ 660 rpm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모터(140)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기(135)는 과전류검출 비교기(210)에서 과전류가 검출되면 모터(140)의 구동을 오프 제어한다(S800, S900).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리프터(120)에 의해 제어기(135)가 침수되지 않도록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제어기 카트리지를 승강시킬 수 있고 제어기 카트리지(130)를 펌프본체(110)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교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제어기(135)가 장기간 고장나지 않도록 보호하고, 고장나는 경우에도 모터와 임펠러로 이루어진 모터펌프까지 포함하여 전체를 폐기하지 않고 해당부분만 교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에서 제어기(135)의 승강 및 제어기 카트리지의 착탈 가능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미 전술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는 펌프본체(110)와, 제어기(135)가 포함된 PCB를 내장하고 있는 제어기 카트리지(130)와,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130)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터(120)를 구비한다.
상기 펌프본체(110)는 모터와 임펠러를 포함하는 모터펌프를 내장하고 있으며, 하부에는 오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11)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흡입구(111)를 통해 흡입한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12)에는 통상적으로 배출되는 오수를 외지로 안내하기 위한 호스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111)가 형성된 펌프본체(110)의 하부는 오수에 포함된 일정 이상 크기의 고형물을 걸러내는 실질적 필터의 역할을 한다.
상기 리프터(120)는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130)를 장착 및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프터(120)는 베이스(123)와, 안테나폴(122)과, 장착판(12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23)는 펌프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폴(122)을 지지하면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을 제공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베이스(123)가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펌프본체(110)의 상부 일측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폴(122)은 제어기 카트리지(130)가 장착되는 장착판(121)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23)에서 상방향으로 신장 및 축소 가능하게 다수개의 단위폴이 접철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테나폴(122)은 국내에서 2000년대 초까지 차량에 설치되었던 안테나폴의 구성을 거의 그대로 채용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123) 내부에 모터 및 기어조립체가 설치되고 상기 기어조립체로부터 안테나폴(122)의 내부까지는 안테나폴(122)을 접철작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릴 또는 랙벨트가 설치될 수 있다(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62462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42383호 참조). 상기 리프터(120)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실제 동작하면서 상기 장착판(121)에 장착된 제어기 카트리지(130)의 승강을 유도하는 것은 바로 안테나폴(122)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폴(122)은 제어기(135)에 의해 제어되면서 수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장착판(121)을 승강시켜 제어기(135)가 침수되지 않도록 한다. 즉, 수위가 높아지면 제어기(135)에 의해 상기 안테나폴(122)이 신장되어 상기 장착판(121)에 장착된 제어기 카트리지(130)를 상승시키고 반대로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안테나폴(122)이 수축되어 상기 장착판(121)에 장착된 제어기 카트리지(130)를 하강시키는 것이다. 이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차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안테나폴(122)의 경우 그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및 기어조립체, 랙벨트의 구성을 배제하고 수작업만 조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장착판(121)은 상면에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130)가 장착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안테나폴(122)의 최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폴(122)의 신장시 상승하고 수축시 하강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과 같이 상기 베이스(123)에 대응하여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130)의 장착을 위하여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ㄱ자 단면의 가이드레일(121a) 한 쌍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121a)의 소재는 견고한 금속성 소재가 아닌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판(121)과 일체로 성형된다. 이같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121a)이 구비되면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130) 하부에 납작한 판형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캐비닛(130b)이 상기 가이드레일(121a)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리프터(120)에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보호캡(125)이 구비되며 상기 장착판(121)의 상부에 씌워져서 장착판(121)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어기 카트리지(13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130)는 제어기(135)가 포함된 PCB를 내장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기(135)를 보호하며 상기 제어기(135)가 상기 장착판(121)의 상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130)는 상기 제어기(135)가 내장된 카트리지본체(130a)와 상기 카트리지본체(130a)의 하부에서 좌편과 우편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21a)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도록 한 납작한 판형의 슬라이딩 캐비닛(130b)으로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2는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130)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장착판(121)에 부착된 상태의 모습을, 도 6은 제어기 카트리지(130)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장착판(121)으로부터 이탈된 모습을 보여준다. 단, 이처럼 제어기 카트리지(130)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제어기(135)와 모터 간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어기(135)에 연결된 제1케이블(131)과 상기 모터에 연결된 제2케이블(114)이 서로 연결되는데, 연결시의 편리함, 장착 후 깔끔한 선정리를 위해 상기 제1케이블(131) 및 제2케이블(114)이 필요한 경우에 한 해 외력을 가하여 길게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차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130)에 포함된 제어기(135)는 주기적으로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되, 오수가 없어서 상기 모터가 공회전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즉시 중단시키도록 제어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장이 많은 플로트 센서와 같이 고장이 많은 부가 장치 없이도 선체에 오수가 고여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필요할 경우에만 모터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같은 제어기(135)의 제어방법에서는 상기 제어기(135)가 모터의 소모 전류에 의하여 결정되는 미세 전압에 의해 모터가 공회전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으며, 모터가 공회전하는 것을 판별된 경우 전자식 스위치를 동작시켜 전원을 차단하면 된다. 나아가, 상기 제어기(135)는 공회전으로 인해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주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기준시간동안의 작동횟수를 줄임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에서 제어기(135)에 연결되는 제1케이블의 풀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에서 모터에 연결되는 제2케이블의 풀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는, 제어기 카트리지(130)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제어기(135)와 모터 간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어기(135)에 연결된 제1케이블(131)과 상기 모터에 연결된 제2케이블(114)이 서로 연결되는데, 연결시의 편리함, 장착 후 깔끔한 선정리를 위해 상기 제1케이블(131) 및 제2케이블(114)이 필요한 경우에만 외력에 의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케이블(131)이 인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130)의 슬라이딩 캐비닛(130b) 내부에는 제1고정풀리(132a)와, 제1이동풀리(132b)와, 제1스프링(133)이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풀리(132a)는 상기 슬라이딩 캐비닛(130b)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제1이동풀리(132b)는 상기 슬라이딩 캐비닛(130b) 내부에서 상기 제1고정풀리(132a)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풀리(132a)와 함께 상기 제1케이블(131)을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되도록 지지하여 상기 제1고정풀리(132a)에 대하여 접근하면 상기 제1케이블(131)의 인출을 허용하고 상기 제1고정풀리(132a)에 대하여 멀어지면 인출되었던 상기 제1케이블(131)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프링(123)은 상기 제1이동풀리(132b)가 상기 제1고정풀리(132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지지한다.
이같은 풀리구조에 의하면 도 7a에서 도 7b에 이르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제1케이블(131)이 상기 슬라이딩 캐비닛(130b) 내부에 인입되려는 경향을 가지면서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슬라이딩 캐비닛(130b) 내부로부터 인출이 허용된다. 참고로 상기 제1케이블(131)의 끝단에는 상기 제2케이블(114)과의 연결을 위해 제1연결단자(134)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케이블(114)이 인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리프터(120)의 장착판(121) 내부에는 제2고정풀리(126a)와, 제2이동풀리(126b)와, 제2스프링(127)이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풀리(126a)는 상기 장착판(12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제2이동풀리(126b)는 상기 장착판(121) 내부에서 상기 제2고정풀리(126a)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고정풀리(126a)와 함께 상기 제2케이블(114)을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되도록 지지하여 상기 제2고정풀리(126a)에 대하여 접근하면 상기 제2케이블(114)의 인출을 허용하고 상기 제2고정풀리(126a)에 대하여 멀어지면 인출되었던 상기 제2케이블(114)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프링(116)은 상기 제2이동풀리(126b)가 상기 제2고정풀리(126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지지한다.
이같은 풀리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케이블(131)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케이블(114)이 상기 리프터(120)의 장착판(121) 내부에 인입되려는 경향을 가지면서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장착판(121) 내부로부터 통공(121d)을 통해 더 길게 인출이 허용된다. 참고로 상기 제2케이블(114)의 끝단에는 상기 제1케이블(131)과의 연결을 위해 제2연결단자(113)가 설치된다.
위에서 언급된 풀리구조의 경우 제1케이블(131)과 제2케이블(114)을 인입 및 입출하기 위한 구성만을 고려한다면 다소 복잡한 면이 있으나 설치공간 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큰 폭을 요구하지 않으며, 다수의 풀리나 스프링 중 어느 하나가 이탈되거나 손상되는 경우에도 전체 기능 측면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정도로 내구성 측면에서 신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같이 신뢰도 높은 구성은 오수를 취급하는 열악한 환경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배수펌프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첨부된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수펌프에서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제어기 카트리지를 승강시키는 리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도 9a는 배수는 필요하지만 제어기 카트리지(130)까지 침수되지는 않을 정도의 저수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펌프본체에 내장된 모터펌프(모터(140)+임펠러(150))가 작동되어 오수를 흡입구(111)에서 흡입하여 배출구(112)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한편, 별도로 설치된 수위센서의 센싱을 통해 저수위임을 판단한 제어기(135)는 리프터(120)의 안테나폴(122)을 동작시키지 않고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9b는 배수는 물론 제어기 카트리지(130)까지 침수될 정도의 중수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앞서와 같이 펌프본체에 내장된 모터펌프가 작동되어 오수를 흡입구(111)에서 흡입하여 배출구(112)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수위센서의 센싱을 통해 중수위임을 판단한 제어기(135)는 리프터(120)의 안테나폴(122)을 동작시켜 수축된 상태에서 신장되도록 하여 제어기 카트리지(130)가 장착되어 있는 장착판(121)의 높이를 수위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승시킨다.
도 9c는 오수가 범람할 정도로 고수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앞서와 같이 펌프본체에 내장된 모터펌프가 최대로 작동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한편, 수위센서의 센싱을 통해 고수위임을 판단한 제어기(135)는 리프터(120)의 안테나폴(122)을 더욱 동작시켜 최대한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제어기 카트리지(130)가 장착되어 있는 장착판(121)의 높이를 수위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펌프는 오수를 배출하는 동작뿐만 아니라 수위에 대응하여 제어기(135)가 내장된 제어기 카트리지(130)를 승강시키는 동작에 의해 제어기(135)가 침수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펌프본체 111 : 흡입구
112 : 배출구 120 : 리프터
121 : 장착판 122 : 안테나폴
123 : 베이스 125 : 보호캡
130 : 제어기 카트리지 130a : 카트리지본체
130b : 슬라이딩 캐비닛 132a : 제1고정풀리
132b : 제1이동풀리 133 : 제1스프링
135 : 제어기 140 : 모터
141 : 모터 스위치부 210 : 과전류 검출 비교기
220 : 역기전력 검출부

Claims (11)

  1. 오수를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에 있어서,
    모터와 임펠러로 이루어진 모터펌프를 내장하고 있으며, 하부에는 오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한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펌프본체와;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기준전압과 비교를 통해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검출 비교기와; 상기 모터의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역기전력 검출부와; 상기 모터를 회전시켜 주는 스위칭 신호와 속도 데이터를 혼합하여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모터의 구동을 오프 제어하고, 상기 검출한 역기전력을 통해 모터의 회전 알피엠을 판단하여 구동제어신호의 가변 유무를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구동제어신호를 가변출력 후 모터의 회전수가 회전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여 이상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펌프본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기를 수위변화에 따라 침수되지 않도록 승강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터는, 상기 펌프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방향으로 신장 및 축소 가능하게 다수개가 접철된 안테나폴과; 상면에는 상기 제어기가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폴의 최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폴의 신장시 상승하고 수축시 하강하는 장착판으로 이루어지며, 수위센서의 센싱을 근거로 수위가 상승하면 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기가 상기 장착판을 상승시켜 상기 제어기가 침수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어기가 내장된 제어기 카트리지가 구비되어 상기 장착판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장착판에 대한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의 장착을 위하여 상기 장착판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ㄱ자 단면의 가이드레일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어기가 내장된 카트리지본체와,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하부에서 좌편과 우편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끼워지도록 한 납작한 판형의 슬라이딩 캐비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기와 상기 모터 간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 제1케이블과 상기 모터에 연결된 제2케이블이 서로 연결되며,상기 슬라이딩 캐비닛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복수의 제1고정풀리와; 상기 슬라이딩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제1고정풀리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풀리와 함께 상기 제1케이블을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되도록 지지하여 상기 제1고정풀리에 대하여 접근하면 상기 제1케이블의 인출을 허용하고 상기 제1고정풀리에 대하여 멀어지면 인출되었던 상기 제1케이블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제1이동풀리와; 상기 제1이동풀리가 상기 제1고정풀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1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1케이블이 상기 슬라이딩 캐비닛 내부에 인입되려는 경향을 가지면서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슬라이딩 캐비닛 내부로부터 인출이 허용되도록 하며,
    상기 장착판의 내부에서 고정 설치된 복수의 제2고정풀리와; 상기 장착판의 상단부 내부에서 상기 제2고정풀리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고정풀리와 함께 상기 제2케이블을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되도록 지지하여 상기 제2고정풀리에 대하여 접근하면 상기 제2케이블의 인출을 허용하고 상기 제2고정풀리에 대하여 멀어지면 인출되었던 상기 제2케이블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제2이동풀리와; 상기 제2이동풀리가 상기 제2고정풀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2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2케이블이 상기 장착판 내부에 인입되려는 경향을 가지면서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장착판의 내부로부터 인출이 허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수는 펄스파에 임의의 상수를 곱하여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주기적으로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되, 오수가 없어서 상기 모터가 공회전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공회전으로 인해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주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11. 삭제
KR1020150124874A 2015-09-03 2015-09-03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배수펌프 KR10172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874A KR101720603B1 (ko) 2015-09-03 2015-09-03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배수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874A KR101720603B1 (ko) 2015-09-03 2015-09-03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배수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066A KR20170028066A (ko) 2017-03-13
KR101720603B1 true KR101720603B1 (ko) 2017-03-29

Family

ID=5841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874A KR101720603B1 (ko) 2015-09-03 2015-09-03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배수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706A (ko) 2020-02-21 2021-08-31 정금재 역수방지변 일체형 펌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3089A (ja) * 2004-02-19 2005-09-02 Nidec Shibaura Corp ポンプ
KR100826542B1 (ko) * 2006-11-28 2008-04-30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이동식 분수
JP2011510602A (ja) * 2008-01-14 2011-03-31 エアロバイロメント 摺動導体送電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999U (ko) * 1997-03-17 1998-11-05 문동철 소형 수중펌프
KR100885683B1 (ko) * 2007-04-04 2009-02-26 (주)모토닉 브러시형 직류 모터의 알피엠 측정장치 및 방법
KR20120080779A (ko) 2011-01-10 2012-07-18 현대씨즈올 주식회사 해상 엔진용 워터 펌프의 자가 고장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3089A (ja) * 2004-02-19 2005-09-02 Nidec Shibaura Corp ポンプ
KR100826542B1 (ko) * 2006-11-28 2008-04-30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이동식 분수
JP2011510602A (ja) * 2008-01-14 2011-03-31 エアロバイロメント 摺動導体送電ケーブ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706A (ko) 2020-02-21 2021-08-31 정금재 역수방지변 일체형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066A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3244B2 (en) Fluid level sensor systems and methods
KR101448435B1 (ko) 수위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720603B1 (ko)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배수펌프
KR20120137782A (ko) 권취 장치
JP4849932B2 (ja) 自動運転型水中ポンプ
KR101733132B1 (ko) 센싱영역 외에서 수위예측이 가능한 배수펌프
KR101733109B1 (ko) 제어기 보호용 리프터를 구비한 배수펌프
JP2006070729A (ja) 水中ポンプ
KR101689162B1 (ko)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
CN111828708B (zh) 用于控制水阀装置的方法、水阀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101362782B1 (ko) 수중펌프 제어장치
CN209948996U (zh) 电机闭环监测控制系统
CN110161201B (zh) 一种污水排水口水质远程监测系统
CN114314402A (zh) 晾衣机升降控制方法和晾衣机升降控制装置
KR101977596B1 (ko) 응급구조 재난용 수중모터펌프
CN216477899U (zh) 潜水泵装置
CN219052278U (zh) 水位计清洗装置
KR100780311B1 (ko) 수위조절장치
CN212453043U (zh) 一种可自动提升过滤装置的智能一体化泵站
KR20170028071A (ko) 저소음 임펠러를 구비한 배수펌프 및 이를 이용한 듀얼 배수펌프 시스템
CN219181028U (zh) 一种具有防淹升降支架的电气柜
CN216766085U (zh) 一种带有报警功能的一体化泵站
JP5004463B2 (ja) 油タンクからの油の抜き取り方法
CN211603957U (zh) 一种液位控制装置
CN218324956U (zh) 一种煤矿水仓自动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