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598B1 - 사료용 유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 사육 방법 - Google Patents

사료용 유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 사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598B1
KR101719598B1 KR1020160012323A KR20160012323A KR101719598B1 KR 101719598 B1 KR101719598 B1 KR 101719598B1 KR 1020160012323 A KR1020160012323 A KR 1020160012323A KR 20160012323 A KR20160012323 A KR 20160012323A KR 101719598 B1 KR101719598 B1 KR 101719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livestock
weight
aci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488A (ko
Inventor
윤관식
Original Assignee
윤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관식 filed Critical 윤관식
Publication of KR20160143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0Ophthalmic agents for accommodation disorders, e.g. myop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12Oxygen or sulfur at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2Diglyce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 체내 축적되지 않고 곧 바로 흡수되어 빠르게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어 가축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사료용 유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 사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료용 유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 사육 방법{Oil composition for Livestock feed, Feed additives for promoting growth, Livestock feed composition and Method for Breeding Livesto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축 체내 축적되지 않고 곧 바로 흡수되어 빠르게 에너지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사료용 유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 사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료는 가축의 생명을 유지하고 젖·고기·알·털가죽 등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유기(有機) 또는 무기(無機) 영양소를 공급하는 물질을 일컫는다. 각종 가축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단백질·비타민·광물질 등의 영양소뿐만 아니라 성장촉진제와 질병 예방제 등을 고루 섞어 만든 것이다.
사료는 가축의 섭취에 의해 생존 및 축산물 생산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면역기능을 강화시키고, 축산물의 질을 향상시키며, 축사환경을 개선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가축의 생산성 증가는 축사 환경을 개선하거나 사료 효율을 개선하여 이루어지는데, 사료 효율의 개선은 기존 사료 조성에 새로운 조성을 첨가하거나 배합 비율을 달리하거나 급여 방식에 변화를 주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35444호는 동물 사료 및 이를 이용한 동물의 사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 동물 사료 및 대나무 숯을 포함하여 체중 또는 증체량을 증가하는 동물 사료를 제안하고 있다.
지방은 가축의 필수 영양소 중 하나로, 다른 영양소에 비해 에너지가가 높으며 단위 중량당 가장 비싼 에너지원이다. 따라서 체내에서 지방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경우 가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료의 원재료비를 저감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디글리세라이드는 지방산과 글리세린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하여 제1, 제2 또는 제1, 제3 위치의 글리세린에 지방산이 결합된 유지 조성물로 '트리글리세라이드'라고 불리는 일반유지와 특별히 구분하여 취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디글리세라이드가 일반 중성유지와 비교시 소화, 흡수되는 과정은 같으나, 구조적으로 안정하면서 리파아제에 의해 분해와 흡수된 다음 재합성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중성지방으로 거의 재합성되지 않음으로써, 섭취하더라도 혈중 중성지방의 함량이 상승하지 않고 체지방을 축적시키지 않는 생리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져, 비만 개선, 다이어트를 위한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2007-512407호에는 체지방 축적 방지, 질병 예방 및 영양분 공급 등을 목적으로 공액화 리놀레산이 구성된 디글리세라이드가 다량 함유된 유지조성물을 식품, 약학적 조성물, 및 사료 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1996-269478호는 분자 내에 C8~C10 중쇄지방산 잔기를 2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31 중량% 이상 함유하는 유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통상 사용되고 있는 조리유보다 대사가 빠르고 그리고 생체로의 지방 축적이 작다고 기재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1993-56755호는 가축용 사료 첨가물 및 가축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 탄소수 6~12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하여 닭 콕시듐증 발생을 억제하고, 체지방 이상 축적을 억제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354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0564호 일본 공개특허 2007-512407호 일본 공개특허 1996-269478호 일본 공개특허 1993-56755호
본 발명의 과제는 지방원으로서 가축에 급여시 지방으로 축적되지 않고 신속히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어 가축의 성장이 촉진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사료용 유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 사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성지방산 중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의 함량이 10 내지 90 중량%이고, 1, 3번 위치에 결합된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의 함량이 10 내지 80 중량%인 디글리세라이드를 5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사료용 유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사료용 유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사료용 유지 조성물 및 배합사료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사료용 유지 조성물로 배합사료 내 지방원의 40 내지60 중량%로 대체한 가축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축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유지 조성물은 가축 체내 지방 대사 과정에서 지방으로 축적되지 않고 신속히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어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 첨가 급여가 넙치 사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예 4의 실험 종료시 넙치 체중 및 증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 첨가 급여가 넙치 사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예 4의 넙치 일간성장률 및 사료 섭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 첨가 급여가 넙치 사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예 4의 넙치 사료 전환율 및 단백질 이용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 첨가 급여가 넙치 사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예 4의 넙치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 첨가 급여가 넙치 사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예 5의 실험 종료시 넙치 체중 및 증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 첨가 급여가 넙치 사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예 5의 넙치 일간성장률 및 사료 섭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 첨가 급여가 넙치 사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예 5의 넙치 사료 전환 효율 및 단백질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 첨가 급여가 넙치 사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예 5의 넙치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료용 유지 조성물은 구성지방산 중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의 함량이 10 내지 90 중량%이고, 1, 3번 위치에 결합된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의 함량이 10 내지 80 중량%인 디글리세라이드를 50 중량% 이상 함유한다.
상기 사료용 유지 조성물은 구성 지방산으로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을 고함량 함유하는 디글리세라이드를 다량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료 내 지방원으로 사용되는 중성지방(트리글리세라이드)는 가축 체내 지방분해효소에 의해 2-모노글리세라이드와 자유 지방산으로 분해되고, 2-모노글리세라이드는 다시 트리글리세라이드로 재합성 되어 피하조직 내 지방으로 축적된다. 이와 달리 1,3-디글리세라이드는 지방분해효소에 의해 글리세린으로 분해되므로, 트리글리세라이드로 재합성되는 2-모노글리세라이드로 전환되지 않고, 분해된 유리 지방산은 간으로 운반되어 신속하게 에너지원이 되어 대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료용 유지 조성물은 가축의 지방원으로 급여시 축적되지 않고 신속히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어 가축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디글리세라이드를 구성하는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은 체내 효소에 의해 유리 지방산으로 분해된 뒤 소장 세포에서 쉽게 흡수되어 유리 지방산의 상태로 문맥에 들어가 간으로 옮겨서 신속하게 에너지원으로 대사된다. 반면, 탄소수 16 이상의 지방산은 장점막 세포에 의해 재에스테르 결합을 하여 중성지방이 되어 단백질 등과 함께 카이로미크론이라는 리포 단백질이 되어, 전신으로 운반되며, 체지방으로 축적된다. 탄소수 14 이하 지방산은 탄소수 16 이상의 지방산과 달리 지방산의 β-산화를 위한 미토콘드리아 속으로 진입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카르니틴을 필요로 하지 않아 신속하게 대사된다.
특히 본 발명의 사료용 유지 조성물은 디글리세라이드의 구성지방산 중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탄소수 16 이상의 지방산의 중량비는 4 내지 7로, 자유 지방산으로 분해시 축적되지 않는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의 함량을 높이고, 중성지방산으로 재합성되어 체내 체지방으로 축적되는 탄소수 16 이상의 지방산의 함량을 낮췄다.
상기 디글리세라이드는 1,3-디글리세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3-디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은 40 중량% 이상이다. 1,2-디글리세라이드 및 2,3-디글리세라이드는 가축 체내 지방분해효소인 리파아제에 의해 2-모노글리세라이드와 하나의 지방산은 분해되며, 이들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거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지 않은 지방산은 다시 글리세라이드나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합성하는데 사용되어 피하조직 내 지방으로 축적된다. 반면 1,3-디글리세라이드는 가축 체내 리파아제에 의해 글리세롤과 두 개의 지방산으로 분해되므로, 1,2-디글리세라이드 및 2,3-디글리세라이드를 급여한 경우 보다 가축 혈중 지방산 수치는 높으며 중성지방 수치는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디글리세라이드는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 중 50 내지 70 중량%로 함유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대적으로 가축 지방 과축적의 원인이 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많아지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추가적인 정제공정이 필요하여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가축의 성장, 육질개선에 필요한 중성지방의 함량이 오히려 감소하여 성장이 저하되거나 육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디글리세라이드의 구성 지방산은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의 함량이 70 내지 90 중량%, 탄소수 16 이상의 지방산의 함량은 10 내지 30 중량%인 것이 신속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 위한 생리 효과면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디글리세라이드를 구성하는 지방산 중에서, 가축 체내에서 리파아제에 의해 자유 지방산으로 분해되는 1, 3번 위치에 결합된 지방산 중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 함량이 60 내지 80 중량%인 것이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글리세라이드를 구성하는 구성 지방산 중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은 공지된 종류가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대표적으로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카프르산, 운데카노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한다. 신속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 위한 생리 효과면에서 바람직하기로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16 이상의 지방산은 유지 조성물의 산화 안정도, 지방산의 소화흡수 측면에서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바람직하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은 배합사료 내 지방원을 대체하거나 첨가제의 형태로 배합사료에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는 상기 사료용 유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가축용 사료 조성물은 상기 사료용 유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배합사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디글리세라이드가 0.005 내지 2.5 중량% 포함되도록 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사료용 유지 조성물을 배합사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 0.01 내지 3.0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배합사료에 포함되는 상기 유지 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그 사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사육되는 가축의 영양상태가 불균형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축용 사료 조성물은 배합사료 내 지방원의 40 내지 60 중량%을 상기 유지 조성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렇게 배합사료 내 지방원을 대체하는 경우 종래 지방원으로 사용되었던 우지, 어유, 대두유에 비해 품질 변이가 없고, 사용원가가 적게 들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상기 가축용 사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되거나 시판되는 임의의 배합사료에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을 추가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축 배합사료는 급여하는 가축의 종류에 따라 그 조성 및 제조방법을 달리하므로, 본 발명에서 그 조성 및 제조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가축은 돼지, 닭, 오리, 메추라기, 거위, 꿩, 칠면조, 소, 젖소, 말, 당나귀, 양, 염소, 개, 고양이, 토끼, 각종 양식 어류 및 새우이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필요한 경우 동물의 건강상태를 개선하거나, 생산성 향상과 고품질 축산물 생산을 위한 긍정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 각종 항생제, 생균제, 효소제, 유기산제, 향미제, 감미제, 항산화제 및 기타 기능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가축의 사육 목적에 따라 적정 체중이 되는 통상적인 기간 동안 급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축용 사료 조성물을 가축에 급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축에 급여시킬 경우 기존의 사료와 비교하여 일당증체량 및 사료효율이 증가하여 실질적인 생산량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가축 혈중 중성지방 수치는 감소하면서도 지방산 수치는 증가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일 뿐 이러한 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사료 첨가용 유지 조성물의 제조
혼합지방산(400g) 및 글리세롤(92g)을 250℃에서 알칼리 촉매로 NaOH를 첨가하여 2시간 동안 에스테르화를 진행하여 산가 1 이하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글리세라이드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된 글리세라이드 조성물의 자방산 및 글리세라이드 분석은 하기 기재된 방법으로 분석하여 아래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1. 지방산 조성 분석을 위한 기체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은 HP-INNOWAX(Agilent사, 미국),carrier gas는 헬륨(2.1㎖/분)이며 오븐온도는 150∼260℃, 불꽃이온화검출기(FID) 275℃인 조건에서 샘플을 25g/ℓ농도로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2. 글리세라이드 조성 분석을 위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글리세라이드 조성 분석을 위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은 수펄코실 LC-Si(Supelcosil LC-Si) 5㎛, 25㎝[Aupelco사, 미국]를 사용하며, 이동상용매는 용매A(벤젠 70: 클로로포름 30: 아세트산 2)와 용매B(에틸 아세테이트)를 쓰고, 샘플의 주입 농도는 1㎎/㎖(클로로포름 용매)하여, 증발 산란광 검출기(ELSD)를 사용하여 유량속도 2.3㎖/분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3. 글리세라이드의 위치 이성체 분석을 위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은 ChromSpher Lipids, 5㎛, 25㎝[varian, USA]를 사용하며, 이동상 용매는 0.5%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을 포함하는 노르말-헥산(n-hexane)을 사용하며, 샘플의 주입 농도는 1㎎/㎖ (클로로포름 용매)하여 증발 산란광 검출기(ELSD)를 사용하여 유량속도 2.3㎖/분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구분
구분(중량%)
유리 지방산
0.6
글리세라이드 조성

모노글리세라이드 24.5
디글리세라이드
1,3-DG 40.5
1,2-DG 13.5
트리글리세라이드 20.9
디글리세라이드 구성 지방산 조성
실시예 1
1,3 1,2 전체
C8:0
(카프릴산)
8.2 10.2 8.7
C10:0
(카프르산)
7.8 9.8 8.3
C12:0
(라우르산)
47.0 58.2 49.8
C14:0
(미리스트산)
16.4 13.2 16.4
C16:0
(팔미트산)
9.6 5.6 8.8
C18:0
(스테아르산)
11.0 3.0 8.0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탄소수 16 이상의 지방산 3.9 10.6 5.0
실험예 1 : 이유자돈에 대한 유지 조성물 평가
시험동물 및 시험설계
3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Duroc] 이유자돈 160두를 공시하였고, 시험 개시시 체중은 6.84 ± 0.87kg 이었으며, 사양시험은 6주간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 PC)과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 PC-100kcal down) 2종류의 사료를 준비하였고, 이때 각 군간의 동물의 처리는 다음과 같고 처리당 4반복, 반복당 5두씩 임의 배치하였다: (%는 중량%임)
- 양성 대조군: 사료
-실험군 1: 사료+ 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0.1 중량%
-실험군 2: 사료+ 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0.2 중량%
-실험군 3: 사료+ 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0.3 중량%
- 음성 대조군: 100 kcal 감량된 사료
- 비교군 1: 100 kcal 감량된 사료+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0.1 중량%
- 비교군 2: 100 kcal 감량된 사료+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0.2 중량%
- 비교군 3: 100 kcal 감량된 사료+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0.3 중량%
시험사료 및 사양관리
시험사료는 NRC (2012) 요구량에 따라 배합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일반사료로 자유채식토록 하였으며, 물은 자동급수기를 이용하여 자유로이 먹을 수 있도록 조절하였다.
조사 항목
(1) 생산성
일당증체량은 개시시, 2주 및 종료시 (6주)에 처리구별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일당사료섭취량은 체중 측정시 사료급여량에서 잔량을 제하여 계산하였고, 사료효율은 증체량을 사료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2) 영양소 소화율
영양소 소화율은 2주 및 종료시 (6주)에 산화크롬 (Cr2O3)을 표시물로서 0.2% 첨가하여 7일간 급여 후 항문마사지법으로 분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분은 60℃의 건조기에서 72시간 건조시킨 후 Willey mill로 분쇄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사료의 일반성분과 표시물로 혼합된 Cr은 AOAC (2000)의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3) 혈액특성
혈액채취는 종료시 (6주)에 각 처리구당 8두를 임의 선발하여 경정맥(Jugular vein)에서 K3EDTA Vacuum tube(Becton Dicknson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를 이용하여 혈액을 2 mL 채취하여 분석하였고, 자동혈액분석기 (ADVID 120, Bayer, USA)를 이용하여 백혈구(WBC), 적혈구(RBC) 및 림프구를 조사하였다. 또한 혈청 생화학적 검사는 각각 경정맥에서 Vacuum tube (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를 이용하여 혈액 5mL 채취 후 4℃에서 3,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청을 enzymatic colorimetric method (Allain et al., 1974)에 의하여, 총 콜레스테롤 및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검사시약 (Cholesterol Kit No. 352, Sigma Chemical, St. Louis, MO, USA)에 반응시켜 자동생화학 분석기 (HITACHI 747,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Naoyuki와 Yoshiharu (1995)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4) 분내 미생물 조성
시험 종료시 (6주)에 처리구별로 8두를 선발하여 항문마사지법으로 분을 채취한 뒤, 실험시까지 -20℃에서 냉동 보관하였으며, 이후 멸균된 생리식염수에 현탁하여 균질화 시킨 다음 103에서 107까지 단계 희석하여 생균수측정용 시료로 사용 하였다. 실험처리에 의한 돈분내의 LactobacillusE. coli의 균수를 측정하기 위해 Lactobacillus에는 MRS agar, E. coli에는 MacConkey agar (Difco, USA)를 사용하였고, 37℃에서 38시간 배양 후 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5) 분내 악취물질 발생
이유자돈의 분내 악취발생은 암모니아, 총 메캅탄 및 황화수소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 종료시 (6주)에 각 처리구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 배설된 분을 모든 이유자돈으로부터 채취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암모니아, 총 메캅탄, 황화수소 및 휘발성지방산 측정은 분 300 g을 취하여 2,600 mL 부피의 밀봉된 플라스틱 용기에 넣고 24시간 발효시킨 후 실온에 5일간 보관하면서 Gastec(Model GV-100, Gastec, Japan)을 사용하여 보관 5일 경과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6) 분변지수
분변지수는 전체 시험기간 동안 매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지수로 (Score = 1 hard, dry pellet; 2 firm, formed stool; 3 soft, moist stool that retains shape; 4 soft, unformed stool that assumes shape of container; 5 watery liquid that can be poured)수치화 하였다.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결과
(1) 생산성
Phase 1의 일당증체량에 있어서 실험군 2 및 실험군 3 처리구가 음성 대조군 및 비교군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hase 2의 일당증체량에 있어서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비교군 2 및 비교군 3이 음성 대조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시험기간의 일당증체량에 있어서 실험군 3 처리구가 음성대조군 및 비교군 1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실험군 1 및 실험군 3 처리구가 음성 대조군 처리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분 양성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음성 대조군 비교군 1 비교군 2 비교군 3
Phase 1(1~14일)
일당증체량(ADG, g) 366 371 383 390 333 343 362 373
사료섭취량(ADFI, g) 424 421 428 430 397 387 401 418
G/F 0.863 0.881 0.895 0.907 0.839 0.886 0.903 0.892
Phase 2(14~42일)
일당증체량(ADG, g) 521 537 543 553 492 519 537 541
사료섭취량(ADFI, g) 826 817 838 847 821 832 585 841
G/F 0.631 0.657 0.648 0.653 0.602 0.624 0.626 0.643
(1~42일)
일당증체량(ADG, g) 469 482 490 499 439 460 479 485
사료섭취량(ADFI, g) 692 685 701 708 680 683 705 700
G/F 0.678 0.704 0.699 0.705 0.649 0.673 0.679 0.693
(2) 영양소 소화율
아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 질소 및 에너지 소화율에 있어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구분(%) 양성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음성
대조군
비교군 1 비교군 2 비교군 3
2 주
건물 79.60 80.04 80.68 79.54 80.23 79.96 79.27 80.10
질소 75.56 73.37 74.08 75.27 75.67 73.89 74.36 73.98
에너지 소화율 79.75 77.45 79.38 77.97 77.93 79.53 78.83 78.02
6 주
건물 77.74 77.68 77.34 77.03 76.88 76.94 76.79 76.35
질소 73.00 72.68 73.23 73.50 73.40 72.88 73.03 72.60
에너지 소화율 76.61 75.70 75.94 76.05 76.01 76.40 76.02 75.98
(3) 혈액 특성
아래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WBC, RBC, 림프구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 있어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구분 양성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음성
대조군
비교군 1 비교군 2 비교군 3
WBC, 103/l 13.46 15.30 12.73 15.34 15.87 14.55 14.61 15.42
RBC, 106/l 5.22 5.30 5.40 5.75 5.61 5.77 5.32 6.08
림프구, % 48.7 50.8 48.1 51.9 48.6 53.7 49.1 51.5
HDL 콜레스테롤, mg/dL 35 35 38 38 32 34 33 36
LDL 콜레스테롤, mg/dL 48 56 58 58 55 59 55 55
총 콜레스테롤, mg/dL 96 101 108 108 94 96 107 103
(4) 분내 미생물 조성
아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내 LactobacillusE. coli 균수에 있어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구분( log10cfu/g) 양성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음성 대조군 비교군 1 비교군 2 비교군 3
Lactobacillus 7.36 7.40 7.51 7.53 7.59 7.42 7.23 7.49
E. coli 5.18 4.84 5.05 4.97 5.18 5.01 4.82 4.77
(5) 분내 악취물질 발생
아래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총 메캅탄 발생에 있어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구분
(ppm)
양성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음성 대조군 비교군 1 비교군 2 비교군 3
암모니아 11.48 12.10 11.15 13.10 10.23 9.58 9.33 9.68
황화수소 9.7 9.8 9.4 10.0 9.4 8.9 8.4 8.9
총 메캅탄 7.8 8.0 7.7 8.7 7.7 7.5 7.4 7.7
(6) 분변지수
아래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시험기간 동안 분변지수에 있어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내지 않았다.
구분 양성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음성 대조군 비교군 1 비교군 2 비교군 3
2 주 3.0 3.0 3.0 3.0 3.0 3.0 3.0 3.0
6 주 3.0 3.0 3.0 3.0 3.0 3.0 3.0 3.0
실험예 2 : 육계에 대한 유지 조성물 평가 1
시험동물 및 시험설계
1 일령 ROSS 308 (암, 수) 510수 공시하였고, 시험 개시 체중은 41 ±0.17g으로 사양시험은 5주간 실시하였다. 각 군간의 동물의 처리는 다음과 같고, 처리당 6반복, 반복당 17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 양성 대조군: 사료
- 음성 대조군: 100 kcal 감량된 사료
- 실험군 1: 100 kcal 감량된 사료+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0.075 중량%
- 실험군 2: 100 kcal 감량된 사료+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0.10 중량%
- 실험군 3: 100 kcal 감량된 사료+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0.15 중량%
시험사료와 사양관리
시험사료는 NRC (1994) 요구량에 따라 배합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가루형태 사료를 급여하였다. ROSS 308 병아리를 3단 케이지에서 사육하였으며, 처리구별 위치를 조절하였고, 사료와 물은 자유 채식토록 하였다.
조사항목 및 방법
(1) 생산성
증체량은 개시시, 1주 3주 및 종료 시(5주)에 처리구별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사료섭취량은 체중 측정시 사료급여량에서 잔량을 제하여 계산하였고, 사료요구율은 사료섭취량을 증체량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2) 육질 특성
시험 종료 시 (5주) 처리구별 임의로 6수씩 선별하여 경골탈퇴 방법으로 도살 한 다음 간, 비장, F낭, 복강지방, 가슴근육 및 근위의 무게를 측정하여 생체중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였다. pH는 pH meter (77P, Istek,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육색은 색차계 (Model CR-410. Minolta Co., Japan)를 이용하여 각 가슴육 샘플 1개당 2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 색판은 L*=89.2, a*=0.921, b*=0.783으로하였다. 저장감량 (drip loss)은 시료를 4 cm 두께의 일정한 모양으로 정형한 후 polyethylene bag에 넣어 4℃ 냉장실에서 7일간 보관하면서 1일, 3일, 5일 및 7일 후 발생되는 감량을 측정하였다.
(3) 혈액 특성
혈액채취는 각 처리당 6마리를 임의 선발하여 종료 시 (5주)에 경정맥 (Jugular)에서 K3EDTA Vacuum tube (Becton Dicknson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를 이용하여 혈액을 2 mL 채취하여 분석하였고, 자동혈액분석기 (ADVID 120, Bayer, USA)를 이용하여 FFA (free fatty acid)를 조사하였다. 또한 혈청생화학적 검사는 종료 시 (5주)에 경정맥에서 Vacuum tube (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를 이용하여 혈액을 5 ml 채취하고 4℃에서 3,000 rpm으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얻은 혈청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리된 혈청의 Protein, BUN, Creatinine, Triglyceride 및 Glucose 의 함량은 nephelometer 방법으로 nephelometer (Behring, Germany) 분석기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 분내 악취 발생 정도
육계의 분내 가스발생은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총 메캅탄의 발생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 종료 시 (5주)에 각 처리구에서 동일한 시간동안 배설된 분을 채취 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총 메캅탄의 측정은 분 300g을 취하여 2,600 mL 부피의 밀봉된 플라스틱 용기에 넣고 24시간 발효시킨 후 실온에 5일간 보관하면서 Gastec(Model GV-100, Gastec, Japan)을 사용하여 보관 5일 경과시 측정하였다.
(5) 영양소 소화율
영양소 소화율은 종료 시 (5주)에 산화크롬 (Cr2O3)을 표시물로서 0.2% 첨가하여 7일간 급여 후 분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분은 60℃의 건조기에서 72시간 건조시킨 후 Willey mill로 분쇄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사료의 일반성분과 표시물로 혼합 된 Cr은 AOAC (2000)의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1) 생산성
육계 사료 내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 9에 나타내었다. 7-21일차 증체량(BWG)에 있어 실험군 1, 실험군 2 및 실험군 3 첨가 처리구가 음성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지 조성물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사료 요구율(FCR)에 있어서 실험군 1, 실험군 2 및 실험군 3이 음성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유지 조성물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21-35일차 사료 요구율에 있어 실험군 1이 음성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체 시험 구간 증체량에 있어 설험군 1이 음성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사료 요구율에 있어서는 실험군 1이 음성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유지 조성물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구분 양성대조군 음성대조군 실험군
실험군1 실험군2 실험군3
1-7 일
BWG, g 189 187 191 192 193
FI, g 216 213 215 215 216
FCR 1.144 1.142 1.128 1.124 1.116
7-21 일
BWG, g 574 557 591 600 600
FI, g 935 953 938 934 928
FCR 1.633 1.713 1.591 1.558 1.546
21-35 일
BWG, g 906 893 917 918 963
FI, g 1535 1537 1542 1539 1540
FCR 1.699 1.723 1.686 1.678 1.608
전체 기간
BWG, g 1668 1638 1699 1710 1756
FI, g 2686 2704 2695 2689 2683
FCR 1.612 1.652 1.588 1.573 1.531
(2) 도체 및 육질특성
육계 사료 내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도체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 10에 나타내었다. 저장감량(drip loss)에 있어 1일째에 음성 대조군이 실험군 2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유지 조성물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저장감량 5일째에 있어 음성 대조군이 실험군 3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저장감량 7일째에 있어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유지 조성물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도체 특성에 pH, 육색, 간, 비장, F낭, 가슴근육, 복강지방 및 근위에 있어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Items 양성 대조군 음성 대조군 실험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pH 5.41 5.41 5.41 5.44 5.40
가슴육 육색(Breast muscle color)
Lightness (L*) 57.14 57.30 57.43 57.06 57.38
Redness (a*) 13.77 13.23 13.35 13.13 13.36
Yellowness (b*) 12.27 12.39 12.22 12.42 23.44
저장감량, %
1d 2.60 2.76 1.89 1.70 1.75
3d 5.43 5.43 5.21 5.05 5.18
5d 8.99 9.93 8.76 8.60 8.27
7d 14.64 14.46 13.04 12.98 12.43
상대적 장기 중량, %
2.63 2.64 2.64 2.67 2.65
비장 0.13 0.13 0.13 0.13 0.12
파브리시우스 낭
(Bursa of Fabricius)
0.20 0.19 0.19 0.20 0.19
가슴육 9.49 9.35 9.50 9.84 9.78
(3) 혈액특성
육계 사료 내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 첨가 급여가 육계의 혈액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 11에 나타내었다. 단백질, BUN, Creatinine, 트리글리세라이드, FFA 및 글루코오스에 있어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구분 양성 대조군 음성 대조군 실험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단백질, g/dL 3.37 3.18 3.12 3.28 3.47
BUN, mg/dL 2.40 2.62 2.62 2.55 2.65
Creatinine, mg/dL 0.113 0.108 0.122 0.108 0.132
Triglyceride, mg/dL 48 45 43 41 43
FFA, uEq/L 449 443 434 443 460
Glucose, mg/dL 178 175 173 172 176
(4) 분내 악취 물질
육계 사료 내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 첨가 급여가 육계의 분내 악취 물질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 12에 나타내었다. 분내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총 메캅탄 발생에 있어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구분(ppm) 양성대조군 음성 대조군 실험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NH3 5.33 5.50 5.17 5.50 5.33
R.SH 2.42 2.08 2.25 2.25 2.08
H2S 1.75 1.58 1.58 1.67 1.25
(5) 영양소 소화율
육계 사료 내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 첨가 급여가 육계의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 13에 나타내었다. 건물 소화율에 있어 실험군 3이 음성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지 조성물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질소 소화율에 있어 실험군 1, 실험군 2 및 실험군 3이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지 조성물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에너지 소화율에 있어 실험군 2 및 실험군 3이 음성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구분
(%)
양성 대조군 음성 대조군 실험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건물 소화율 72.56 71.37 73.17 73.55 73.75
질소 소화율 66.65 65.69 67.78 68.29 68.73
에너지 소화율 74.32 73.43 75.18 75.56 75.98
실험예 3: 육계에 대한 유지 조성물 평가 2
Ross 308 1일령 600수를(4처리×5반복 반복당 30수)에 대해 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을 급여하였다. 이때 시판 육계 사료에 유지 조성물은 0.1, 0.2 및 0.4 중량%의 함량으로 36일간 급여하였다. 전기사료(ME, 3080 kcal/kg; CP, 20.5%)는 20일간 급여하였고, 후기사료(ME, 3100 kcal/kg; CP, 19.5%)는 16일간 급여하였다.
이때 각 군간의 동물의 처리는 다음과 같다: (%는 중량%임)
- 양성 대조군: 사료
-실험군 1: 사료+ 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0.1 중량%
-실험군 2: 사료+ 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0.2 중량%
-실험군 3: 사료+ 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0.4 중량%
구분 양성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초기 체중(g) 41.5 41.7 41.6 41.7
최종 체중(g) 2205.4 2218.4 2293.1 2254.5
증체량(g/일)
1~20일 43.8 44.3 46.1 46.8
21~36일 88.8 89.1 91.6 87.9
1~36일 61.8 62.2 64.3 63.2
FI g/일/마리
1~20일 68.1 66.8 67.9 69.4
21~36일 173.9 176.9 185.1 175.4
1~36일 110.4 110.8 114.8 111.8
사료요구율(FCR)
1~20일 1.56 1.51 1.47 1.48
21~36일 1.96 1.99 2.02 1.99
1~306 1.79 1.78 1.79 1.77
지방산(μEq/L) 317.7 211.50 387.7 411.6
중성지방(mg/dL) 92.60 99.20 56.60 63.00
상기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첨가에 따라 체중이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실험 전기의 일당 증체량은 유지 조성물 첨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사료 요구율도 선형적으로 개선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혈액에서 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첨가에 따라 유리 지방산 농도가 선행적으로 증가하였고, 대조적으로 혈중 중성지방 농도는 선형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실험예 4: 넙치에 대한 유지 조성물 평가 1
각 수조 당 넙치 40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고, 각 수조의 넙치 평균 체중은 13.4 g 이었다. 사료는 오전 8시 오후 18시 포식량 공급하였다. 수조의 수온은 15 내지 21 ℃ 이었고, 12주 동안 사육하였다. 이때 각 군간의 동물의 사료 처리는 다음 표 15과 같다. 성장률과 사료이용효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간성장율(specific growth rate (%)), 사료섭취량 (feed intake), 사료 전환율(feed conversion ration), 단백질 이용 효율(protein efficiency ration)는 다음과 같이 구하였고, 그 결과는 결과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L
Specific growth rate (%) = (Ln final weight (g)- Ln initial weight (g))/experimental days×100.
Feed intake (g/fish) = dry feed fed/fish
Feed conversion ratio =dry feed fed/wet weight gain
Protein efficiency ratio = wet weight gain/total protein intake
Survival rate (%) = final fish number/initial fish number×100
성분 (중량%) 대조군 실험군
어분 55.0 55.0
대두박 6.0 6.0
옥수수 글루텐 박 4.0 4.0
밀가루 26.5 26.5
혼합 미네랄 1.0 1.0
혼합 비타민 1.0 1.0
콜린클로라이드 0.5 0.5
어유 6.0 3.0
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 3.0
도 1은 실험 종료시 넙치 체중 및 증체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넙치 일간성장률 및 사료 섭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사료 전환율 및 단백질 이용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넙치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로 넙치 사료 내 지방원의 50 중량%로 대체하여 사육한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 실험 종류시 넙치 체중, 일간성장율(specific growth rate(%))과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예 5: 넙치에 대한 유지 조성물 평가 2
각 수조 당 넙치 50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고, 각 수조의 넙치 평균 체중은 6.8 g 이었다. 사료는 오전 8시 오후 18시 포식량 공급하였다. 수조의 수온은 23 내지 28 ℃ 이었고, 8주 동안 사육하였다. 이때 각 군간의 동물의 사료 처리는 다음 표 16과 같다. 결과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었다.
성분 (중량%) 대조군 실험군
어분 55.0 55.0
대두박 6.0 6.0
옥수수 글루텐 박 4.0 4.0
밀가루 26.5 26.5
혼합 미네랄 1.0 1.0
혼합 비타민 1.0 1.0
콜린클로라이드 0.5 0.5
어유 6.0 4.0
전분 - 1.5
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 0.5
도 5는 실험 종료시 넙치 체중 및 증체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넙치 일간성장률 및 사료 섭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사료 전환율 및 단백질 이용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넙치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 첨가에 따라 넙치의 최종 체중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6)

  1. 전체 100 중량%가 되도록 디글리세라이드 50 내지 70 중량%와,
    트리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 유리 지방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잔부를 포함하는 유지 조성물이고,
    상기 디글리세라이드 중 1,3-디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은 40 중량% 이상이며,
    상기 디글리세라이드의 구성 지방산 중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의 함량이 70 내지 90 중량%, 탄소수 16 이상의 지방산의 함량은 10 내지 30 중량%이며,
    상기 디글리세라이드의 구성 지방산 중 1,3번 위치에 결합된 지방산에 대한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의 함량이 60 내지 80 중량%인 체중 증가 촉진용 사료 첨가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지방산 중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탄소수 16 이상의 지방산의 중량비가 4 내지 7인 것인 체중 증가 촉진용 사료 첨가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4 이하의 지방산은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카프르산, 운데카노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체중 증가 촉진용 사료 첨가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6 이상의 지방산은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체중 증가 촉진용 사료 첨가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체중 증가 촉진용 사료 첨가제 및 배합사료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용 사료 조성물은 돼지, 닭, 오리, 메추라기, 거위, 꿩, 칠면조, 소, 젖소, 말, 당나귀, 양, 염소, 개, 고양이, 토끼, 양식 어류 또는 새우 사육용인 것인 가축용 사료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 증가 촉진용 사료 첨가제의 함량은 배합사료 총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인 가축용 사료 조성물.
  13. 제11항의 가축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방법.
  14. 제1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체중 증가 촉진용 사료 첨가제로 배합사료 내 지방원의 40 내지 60 중량%로 대체한 가축용 사료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용 사료 조성물은 돼지, 닭, 오리, 메추라기, 거위, 꿩, 칠면조, 소, 젖소, 말, 당나귀, 양, 염소, 개, 고양이, 토끼, 양식 어류 또는 새우 사육용인 것인 가축용 사료 조성물.
  16. 제15항의 가축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방법.
KR1020160012323A 2015-06-05 2016-02-01 사료용 유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 사육 방법 KR101719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059 2015-06-05
KR20150080059 2015-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488A KR20160143488A (ko) 2016-12-14
KR101719598B1 true KR101719598B1 (ko) 2017-03-24

Family

ID=5744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323A KR101719598B1 (ko) 2015-06-05 2016-02-01 사료용 유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 사육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3363296A4 (ko)
JP (1) JP6491397B2 (ko)
KR (1) KR101719598B1 (ko)
CN (1) CN108471784A (ko)
BR (1) BR112018007258A2 (ko)
CA (1) CA3002794C (ko)
CO (1) CO2018003076A2 (ko)
MX (1) MX2018006543A (ko)
MY (1) MY189441A (ko)
PH (1) PH12018501152A1 (ko)
RU (1) RU2682389C1 (ko)
WO (2) WO20161953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908A (ko) * 2017-05-16 2018-11-26 윤관식 동물용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동물 사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598B1 (ko) * 2015-06-05 2017-03-24 윤관식 사료용 유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 사육 방법
CN107691362A (zh) * 2017-10-31 2018-02-16 北京泽牧久远生物科技研究院 一种肉驴育肥预混料及其饲喂方法
CN110959761A (zh) * 2019-12-23 2020-04-07 榆林学院 一种羊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2407A (ja) * 2003-11-28 2007-05-17 オンビオ コーポレーション 共役リノール酸のジグリセライドの豊富な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5620B2 (ko) * 1973-04-04 1976-10-04
JP2831835B2 (ja) * 1990-10-23 1998-12-02 花王株式会社 養魚用飼料
JP3034678B2 (ja) * 1991-06-17 2000-04-17 花王株式会社 家畜用飼料添加物及び家畜用飼料
US5462967A (en) * 1991-06-17 1995-10-31 Kao Corporation Feed additive for livestock and feed for livestock
JP3599821B2 (ja) 1995-03-29 2004-12-08 花王株式会社 調理用油脂
US5859270A (en) * 1996-03-13 1999-01-12 Cargill, Incorporated Method for preparation of purified monoglycerides; and, products
KR19990073078A (ko) * 1999-04-03 1999-10-05 김길환 공역화리놀레인산(cla)을함유한사료조성물
JP3769203B2 (ja) * 2001-03-26 2006-04-19 花王株式会社 ペットフード又は飼料
JP4116844B2 (ja) * 2001-09-13 2008-07-09 花王株式会社 油脂組成物
JP4381042B2 (ja) * 2003-06-20 2009-12-09 日清丸紅飼料株式会社 豚用飼料添加剤
KR20060035444A (ko) 2004-10-22 2006-04-26 담양군 동물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의 사육 방법
ITFI20050024A1 (it) * 2005-02-14 2006-08-15 Fernando Cantini Lipidi per l'alimentazione degli animali
EP1978102B1 (de) * 2007-04-02 2010-07-07 Cognis IP Management GmbH Ein Gemisch enthaltend Fettsäureglyceride
KR100856456B1 (ko) * 2007-07-27 2008-09-04 주식회사 일신웰스 면역 증강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
KR100979537B1 (ko) * 2008-10-15 2010-09-02 청원양돈영농조합법인 기능성 물질을 이용한 돼지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돼지사육방법
IT1393045B1 (it) * 2009-03-16 2012-04-11 Cantini Composizioni contenenti monogliceridi di acidi organici da c1 a c7 e glicerolo, loro preparazione ed uso come antibatterici in zootecnia.
BRPI1014871A8 (pt) * 2009-04-03 2018-04-10 Dsm Ip Assets Bv composição de indução de saciedade
MX2013001606A (es) * 2010-08-10 2013-09-06 Can Technologies Inc Destilado de acido laurico para alimento animal.
CA2843196A1 (en) * 2011-08-03 2013-02-07 University Of Guelph Novel 1,3-diacylglycerol (1,3-dag) for hard fat applications
BR112016007999A2 (pt) * 2013-10-09 2019-11-26 Nutrition Sciences N.V. composição de ácidos graxos de cadeia média e ração suplementada com esta composição
KR101719598B1 (ko) * 2015-06-05 2017-03-24 윤관식 사료용 유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 사육 방법
CN105724781A (zh) * 2016-02-23 2016-07-06 广州英赛特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饲用组合物及其在制备动物饲料添加剂中的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2407A (ja) * 2003-11-28 2007-05-17 オンビオ コーポレーション 共役リノール酸のジグリセライドの豊富な油脂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908A (ko) * 2017-05-16 2018-11-26 윤관식 동물용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동물 사육 방법
KR102149081B1 (ko) 2017-05-16 2020-08-28 윤관식 동물용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동물 사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3296A1 (en) 2018-08-22
CA3002794C (en) 2020-03-31
PH12018501152A1 (en) 2019-01-21
WO2017209382A1 (ko) 2017-12-07
CO2018003076A2 (es) 2018-06-12
KR20160143488A (ko) 2016-12-14
BR112018007258A2 (pt) 2018-10-30
JP6491397B2 (ja) 2019-03-27
RU2682389C1 (ru) 2019-03-19
MY189441A (en) 2022-02-12
JP2018529349A (ja) 2018-10-11
CA3002794A1 (en) 2017-12-07
WO2016195369A1 (ko) 2016-12-08
EP3363296A4 (en) 2019-06-19
CN108471784A (zh) 2018-08-31
MX2018006543A (es) 201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mal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organic acids on performance and serum biochemistry of broiler chicken
Tůmová et al. The effect of 1-week feed restriction on performance, digestibility of nutrients and digestive system development in the growing rabbit
KR101719598B1 (ko) 사료용 유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 사육 방법
AU2005316151B2 (en) Preparation and use of high omega-3 and omega-6 feed
Czech et al. Blood immunological and biochemical indicators in turkey hens fed diets with a different content of the yeast Yarrowia lipolytica
Serpunja et al. The effect of sodium stearoyl-2-lactylate (80%) and tween 20 (20%) supplementation in low-energy density diet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meat quality, relative organ weight, serum lipid profiles, and excreta microbiota in broilers
Noci et al.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and adipose tissue of steers offered unwilted or wilted grass silage supplemented with sunflower oil and fishoil
Thomas et al. Evaluation of different blends of medium-chain fatty acids, lactic acid, and monolaurin on nursery pig growth performance
KR20130067293A (ko) 동물사료용 라우르산 증류물
Heo et al.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s on performance, nitrogen excretion, and odor emission of growing pullets and laying hens
Turner et al. Effects of feeding high carbohydrate or fat diets. 2. Apparent digestibility and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of the posthatch poult
US20190075824A1 (en) Weight gain promoting feed additive, livestock feed composition and livestock breeding method
ÖLMEZ et al. Effect of probiotic mixture supplementation to drinking water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parameters and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in native Turkish geese
Almeida et al. Use of blend based on an emulsifier, monolaurin, and glycerides of butyric acid in the diet of broilers: Impacts on intestinal health, performance, and meat
Stanaćev et al. Phyto additives (Allium sativum L.) in the diet of fattening chickens.
JPH10215787A (ja) オレイン酸強化動物性食品の生産方法及びオレイン酸強化動物性食品
Omar Response of broiler chicks to a high olive pulp diet supplemented with two antibiotics
Rabie et al. Utiliz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to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EP1959751A2 (en) Use of fatty acid analogues
Sobhy et al. Impact of protected and non-protected lactic acid used as an acidifier in the diet on Oreochromis niloticus
Nassef et al. EFFECT OF FISH OIL REPLACEMENT WITH SOYBEAN OIL ON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 BIOCHEMICAL ANDHEMATOLOGICAL PARAMETERS OF NILE TILAPIA
OMAR et al.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Rabbits Fed Oil Supplemented Diets
Shields Evaluation of the nutritional value of glycerol, a byproduct of biodiesel production, for swine
Elnaggar et al.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ARAMETERS OF BROILER CHICKENS FED A DIET SUPPLEMENTED WITH ORGANIC ACIDS
Ahmed et al. Effect of encapsulated organic acid (GALLINAT+) supplementation with diet on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performance of broiler at different 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