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490B1 -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490B1
KR101719490B1 KR1020160104519A KR20160104519A KR101719490B1 KR 101719490 B1 KR101719490 B1 KR 101719490B1 KR 1020160104519 A KR1020160104519 A KR 1020160104519A KR 20160104519 A KR20160104519 A KR 20160104519A KR 101719490 B1 KR101719490 B1 KR 10171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kirt
coupled
film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온
Priority to KR1020160104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는, 막재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막재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광투과성의 광투과막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결합부가 구비되는 클램핑장치; 중앙결합부에 결합되어 클램핑장치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홀더; 일측 단부가 홀더 상에 결합되고 막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타측 단부가 막재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며 제1 결합부를 차폐하는 제1 스커트; 일측 단부가 홀더 상에 결합되고 광투과막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타측 단부가 광투과막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며 제2 결합부를 차폐하는 제2 스커트; 및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가 결합된 부분에서 홀더를 차폐하도록 홀더에 결합되는 누수방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막재과 광투과막의 중앙에서 누수방지커버가 홀더에 결합되면서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클램핑장치 전체를 차폐하면서도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의 고정단 부분과 자유단 부분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으며, 누수방지효과가 우수한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시공방법{APPARATUS FOR NATURAL LIGHT OF MEMBRANE STRUCTURE WITH LEAKAGE PREVENTION AND SAFET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막구조물의 내부로 햇빛과 같은 자연광이 유입되도록 하면서도 누수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차양을 포함하여 운동장, 야외 무대 또는 공공연장 등에 설치되는 막 구조물은 지붕의 프레임에 막재를 고정하여 우천시 비를 피하거나 차양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막 구조물은 기둥 등을 포함하는 골조와, 골조에 결합되는 막재를 포함하고, 또한 골조와 막재를 서로 연결하는 고정장치 등을 포함한다.
채광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막 구조물과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315932호는 "보호막이 접착된 채광수단을 구비한 막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직립되게 매설되는 기둥 형태의 지주부재와; 상기 지주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막과; 상기 막에 연결되어 막 구조물의 내부로 햇빛이 용이하게 채광되도록 함과 아울러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해 주는 채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채광수단은, 빗물이 잘 흘러내리도록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제1캡프로파일과; 상기 제1캡프로파일의 저면 일측에 위치되되, 몸체의 일단에 "C"자형 고정홈을 구비함과 아울러 몸체의 일단이 상기 제1캡프로파일의 저면 일측에 설치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C"자형 고정홈에 억지 끼움 되어 내부로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시트와;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시트의 상면 일측에 고주파에 의해 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캡프로파일의 상면을 따라 고주파에 의해 접착되어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하는 보호막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할 때 막 구조물의 내부로 햇빛이 용이하게 채광되면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다만, 한국등록특허 제10-1315932호에서 개시되는 막 구조물의 경우, 제1 캡프로파일 및 보호막이 제1 결합패널 등을 차폐하고 있으나, 제1 캡프로파일 및 보호막을 고정시키는 볼트 등은 여전히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하여 외부의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또한 제1 캡프로파일 및 보호막이 제1 결합패널에 고정결합되는 지점과 시트와 접촉하는 지점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멀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1 캡프로파일 및 보호막의 소성변형 및/또는 탄성변형의 발생가능성 및 발생빈도가 높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결합패널 쪽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선된 막구조물 및 누수방지장치가 요구된다.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15932호(등록일: 2013.10.01)
본 발명의 목적은, 막구조물의 내부로 햇빛과 같은 자연광이 유입되도록 하면서도 누수방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클램핑장치 쪽으로 빗물 등이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또한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의 자유단 부분이 탄성변형되거나 소성변형될 가능성 및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막재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막재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광투과성의 광투과막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결합부가 구비되는 클램핑장치; 상기 중앙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핑장치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홀더; 플라스틱판, 금속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가 상기 홀더 상에 결합되고 상기 막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타측 단부가 상기 막재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며 상기 제1 결합부를 차폐하는 제1 스커트;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이루어지며, 일측 단부가 상기 홀더 상에 결합되고 상기 광투과막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타측 단부가 상기 광투과막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며 상기 제2 결합부를 차폐하는 제2 스커트; 및 상기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가 결합된 부분에서 상기 홀더를 차폐하도록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누수방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에서 상기 홀더는, 상단에서 하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누수방지커버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후 상측으로 이탈이 저지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는 고정돌부; 상기 고정돌부에서 상기 막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홀더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제1 날개; 및 상기 고정돌부에서 상기 광투과막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홀더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제2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커트는, Z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와 상기 누수방지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커트는, Z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와 상기 누수방지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는,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홈 하측에 위치하는 중공의 배수공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를 관통한 후 상기 홀더에 체결되되 하단부가 상기 배수공 쪽으로 돌출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에서, 상기 중앙결합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 상측에서 상기 네크부보다 폭이 크게 이루어지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헤드부가 삽입되어 헤드삽입홈; 및 상기 헤드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헤드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헤드부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에서 상기 제2 스커트는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막재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막재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광투과성의 광투과막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결합부가 구비되는 클램핑장치 상에서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중앙결합부에 결합시 상기 클램핑장치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단에서 하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 하측에 위치하는 중공의 배수공을 포함하는 홀더를 준비하는 홀더준비단계; 플라스틱판, 금속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Z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 상에 결합되는 제1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막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스커트를 상기 홀더 상에 조립하는 제1 스커트조립단계;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이루어지며, Z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 상에 결합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막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스커트를 상기 홀더 상에 조립하는 제2 스커트조립단계;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를 관통한 후 상기 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핀의 하단부가 상기 배수공 쪽으로 돌출되는 고정핀 결합단계; 상기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가 결합된 부분에서 상기 홀더를 차폐하도록 누수방지커버를 상기 홀더에 결합시키되, 상기 누수방지커버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후 상측으로 이탈이 저지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는 고정돌부, 상기 고정돌부에서 상기 막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홀더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제1 날개 및 상기 고정돌부에서 상기 광투과막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홀더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제2 날개를 포함하는, 제1 누수방지커버조립단계; 및 상기 제1 스커트의 제1 탄력지지부가 상기 막재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며 상기 제1 결합부를 차폐하고, 상기 제2 스커트의 제2 탄력지지부가 상기 광투과막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며 상기 제2 결합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홀더를 상기 중앙결합부에 결합시키는 제1 홀더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막재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막재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광투과성의 광투과막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결합부가 구비되는 클램핑장치 상에서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의 시공방법으로서, 상단에서 하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 하측에 위치하는 중공의 배수공을 포함하는 홀더를 상기 클램핑장치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중앙결합부에 결합시키는 제2 홀더결합단계; 플라스틱판, 금속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Z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 상에 결합되는 제1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막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며, 제1 탄력지지부가 상기 막재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고, 상기 제1 결합부를 차폐하는 제1 스커트를 상기 홀더 상에 조립하는 제1-1 스커트조립단계;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이루어지며, Z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 상에 결합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막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며, 제2 탄력지지부가 상기 광투과막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고, 상기 제2 결합부를 차폐하는 제2 스커트를 상기 홀더 상에 조립하는 제2-1 스커트조립단계;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를 관통한 후 상기 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핀의 하단부가 상기 배수공 쪽으로 돌출되는 고정핀 결합단계; 및 상기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가 결합된 부분에서 상기 홀더를 차폐하도록 누수방지커버를 상기 홀더에 결합시키되, 상기 누수방지커버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후 상측으로 이탈이 저지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는 고정돌부, 상기 고정돌부에서 상기 막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홀더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제1 날개 및 상기 고정돌부에서 상기 광투과막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홀더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제2 날개를 포함하는, 제2 누수방지커버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막재과 광투과막의 중앙에서 누수방지커버가 홀더에 결합되면서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클램핑장치 전체를 차폐하면서도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의 고정단 부분과 자유단 부분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고,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의 자유단 부분이 탄성변형되거나 소성변형될 가능성 및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핀이 홀더에 결합되고 홀더에 배수공이 형성됨으로써, 홀더 쪽으로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스커트에 제1 절곡부가 형성되고 제2 스커트에 제2 절곡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가 홀더와 누수방지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됨으로써,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막재의 가운데에 별도의 채광창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채광창 설치에 따른 막재의 신장율 차이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는, 막구조물(막재 구조물)의 일부가 광투과성(예컨대, 소재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이루어져 이를 통하여 태양광 등이 투과할 수 있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위하여 설치되는 장치 부분에서 누수(빗물 등의 유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막재(10), 광투과막(20) 및 막재(10)가 반복하여 배열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막재(10)는 막구조물을 이루는 통상의 막재에 해당되는 것이고, 광투과막(20)은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지는 막에 해당되는 것이다. 막재(10)는, 통상의 막재(幕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코팅된 직물(COATED FABRIC)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투과막(20)은 테프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막재(10)와 광투과막(20) 각각의 크기, 모양, 비중 등은 설치되는 막구조물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재(10) 및 광투과막(20)이 대체로 수평방향을 따라 편평하게 놓인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막구조물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단면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는, 클램핑장치(100), 홀더(200), 제1 스커트(300), 제2 스커트(400) 및 누수방지커버(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핀(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클램핑장치(100)는 제1 결합부(111, 120, 141, 142, 151) 제2 결합부(112, 130, 143, 144, 152) 및 중앙결합부(113, 114)가 구비된다.
클램핑장치(100)는, 막구조물에서 막재(10)와 광투과막(20)의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는 장치이며, 제1 결합부(111, 120, 141, 142, 151)가 막재(10)가 결합되는 부분이고, 제2 결합부(112, 130, 143, 144, 152)가 광투과막(20)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중앙결합부(113, 114)는 제1 결합부(111, 120, 141, 142, 151)와 제2 결합부(112, 130, 143, 144, 152)의 사이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1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제1 클램핑플레이트(120), 제2 클램핑플레이트(130), 다수의 가스켓(141, 142, 143, 144) 및 체결수단(151, 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제1 플레이트(111), 제2 플레이트(112), 네크부(113) 및 헤드부(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전후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전후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제1 플레이트(111)는 막재(10) 쪽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전체적으로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플레이트(112)는 광투과막(20) 쪽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전체적으로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 플레이트(111)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동일평면을 이룬다.
네크부(113)는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12) 사이에서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 돌출된다.
헤드부(114)는 네크부(113)의 상측에서 네크부(113)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네크부(113)보다 좌우폭이 크게 이루어진다.
제1 클램핑플레이트(120)는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플레이트(111)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제1 클램핑플레이트(120)가 하측에 위치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제2 클램핑플레이트(130)는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 플레이트(112)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제2 클램핑플레이트(130)가 하측에 위치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막재(10)는, 제1 결합부(111, 120, 141, 142, 151)에 결합됨에 있어서, 단부 부분이 심부재(11, 와이어)를 둘러싼 후 접히고, 이렇게 접힌 부분이 제1 플레이트(111)와 제1 클램핑플레이트(120)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이때, 제1 플레이트(111)와 제1 클램핑플레이트(120) 사이에는 가스켓(141, 142)이 밀착되게 개재되며, 막재(10)는 이러한 가스켓(141, 142) 사이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수단(151, 볼트 및 너트 등)이 제1 플레이트(111), 막재(10), 가스켓(141, 142) 및 제1 클램핑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제1 결합부(111, 120, 141, 142, 151) 부분에서의 결합이 완료된다.
가스켓(141, 142)은 탄성고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결합부(111, 120, 141, 142, 151) 부분에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아울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광투과막(20)은, 제2 결합부(112, 130, 143, 144, 152)에 결합됨에 있어서, 단부 부분이 심부재(21, 와이어)를 둘러싼 후 접히고, 이렇게 접힌 부분이 제2 플레이트(112)와 제2 클램핑플레이트(130)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이때, 제2 플레이트(112)와 제2 클램핑플레이트(130) 사이에는 역시 가스켓(143, 144)이 밀착되게 개재되며, 광투과막(20)은 이러한 가스켓(143, 144) 사이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수단(152, 볼트 및 너트 등)이 제2 플레이트(112), 광투과막(20), 가스켓(143, 144) 및 제2 클램핑플레이트(130)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제2 결합부(112, 130, 143, 144, 152) 부분에서의 결합이 완료된다.
홀더(200)는 중앙결합부(113, 114)에 결합되어 클램핑장치(100)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에서 홀더(20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200)는 전후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전후방향의 길이가 클램핑장치(100)의 전후방향 길이와 같거나 이에 상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200)는 고정홈(210), 배수공(220), 헤드삽입홈(230) 및 걸림턱(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삽입홈(230)은 홀더(200)의 아래쪽에서 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클램핑장치(100)의 헤드가 꼭 맞게 끼워진다.
홀더(200)에서 걸림턱(24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걸림턱(240)은 헤드삽입홈(230)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헤드가 걸려 헤드삽입홈(2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고정홈(210)은 홀더(200)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홈(210)은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할수록 폭(좌우폭)이 증가하도록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공(220)은 홀더(200)의 중앙에 형성되며 헤드삽입홈(230)과 고정홈(210)의 중간에 위치한다.
배수공(220)은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며, 홀더(200)의 전후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더(200) 상에는 고정핀(600)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고정핀(600)의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홈(210)과 배수공(220)을 연통시키는 구멍이 미리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고정핀(600)이 홀더(200)에 결합되면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커트(300)는 제1 결합부(111, 120, 141, 142, 151) 부분을 차폐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플라스틱판 또는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커트(300)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커트(300)는 일측 단부가 홀더(200) 상에 결합되고 막재(10)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타측 단부가 막재(10)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된다.
제1 스커트(300)에서 홀더(200) 상에 결합되는 부분을 제1 절곡부(310)로 칭하고, 막재(10)에 닿는 부분을 제1 탄력지지부(320)로 칭하도록 한다.
제1 절곡부(310)는 대체로 Z자 형태로 절곡되며 홀더(200)의 고정홈(210)에 삽입된다.
제2 스커트(400)는 제2 결합부(112, 130, 143, 144, 152) 부분을 차폐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지거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2 스커트(400)는 태양광 등이 투과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스커트(400)는 일측 단부가 홀더(200) 상에 결합되고 광투과막(20)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타측 단부가 광투과막(20)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된다.
제2 스커트(400)에서 홀더(200) 상에 결합되는 부분을 제2 절곡부(410)로 칭하고, 광투과막(20)에 닿는 부분을 제2 탄력지지부(420)로 칭하도록 한다.
제2 절곡부(410)는 대체로 Z자 형태로 절곡되며 홀더(200)의 고정홈(210)에 삽입된다.
제1 절곡부(310)와 제2 절곡부(410)는 고정홈(210)에 삽입된 후 고정핀(600)에 의해 고정되며, 이때 제1 절곡부(310)와 제2 절곡부(410)는 홀더(200)의 상단면 및 고정홈(210)의 내측면 전체에 걸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결합됨으로써, 제1 절곡부(310)와 홀더(200)의 유격이 방지되고, 또한 제2 절곡부(410)와 홀더(200)의 유격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스커트(300) 및 제2 스커트(400)의 전체적인 변형을 방지 내지는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결국, 막재(10)와 제1 탄력지지부(320) 사이로 물이 유입되거나 광투과막(20)과 제2 탄력지지부(420)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핀(600)은 고정홈(210)에 삽입되어 제1 절곡부(310) 및 제2 절곡부(410)를 관통한 후 홀더(200)에 체결된다. 그리고 고정핀(600)은 그 단부(하단부)가 배수공(220) 쪽으로 돌출된다.
누수방지커버(500)는 홀더(2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제1 스커트(300) 및 제2 스커트(400)가 결합된 부분에서 홀더(200)를 차폐한다. 즉, 누수방지커버(500)는 홀더(200)에 결합되면서 제1 절곡부(310) 및 제2 절곡부(410)를 차폐한다.
구체적으로 누수방지커버(500)는 고정돌부(510), 제1 날개(520) 및 제2 날개(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후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진다. 누수방지커버(500)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제1 스커트(300) 및 제2 스커트(400)의 전후방향의 길이와 같거나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돌부(510)는 고정홈(210)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여 고정홈(210)에 삽입된 후 상측으로 이탈이 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고정돌부(510)는 하측의 폭이 큰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돌부(510)는 고정홈(210)에 삽입됨에 있어서 일부가 탄성변형되고, 고정홈(210)에 고정돌부(510)가 삽입된 후에는 탄성회복된 부분이 고정홈(210) 내부에서 홀더(200)에 걸려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고정돌부(510)가 고정홈(210)에서 이탈되도록 강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누수방지커버(500)가 홀더(200)에서 분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날개(520)는 고정돌부(510)에서 막재(10)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가 홀더(200)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한다. 제1 날개(520)의 단부는 제1 스커트(300)의 상부면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제1 스커트(300)와 제1 날개(520) 사이로 빗물 등이 유입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날개(530)는 고정돌부(510)에서 광투과막(20)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가 홀더(200)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한다. 제2 날개(530)의 단부는 제2 스커트(400)의 상부면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제2 스커트(400)와 제2 날개(530) 사이로 빗물 등이 유입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막재(10)와 광투과막(20)의 중앙에서 누수방지커버(500)가 홀더(200)에 결합되면서 제1 스커트(300) 및 제2 스커트(4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클램핑장치(100) 전체를 차폐하면서도 제1 스커트(300) 및 제2 스커트(400)의 고정단 부분(제1 절곡부(310) 및 제2 절곡부(410))과 자유단 부분(제1 탄력지지부(320) 및 제2 탄력지지부(420))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으며, 제1 스커트(300) 및 제2 스커트(400)의 자유단 부분이 탄성변형되거나 소성변형될 가능성 및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어 누수방지효과가 우수한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핀(600)이 홀더(200)에 결합되어 홀더(200)에 배수공(220)이 형성됨으로써, 홀더(200) 쪽으로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누수방지커버(500)에 의하여 홀더(200)의 고정홈(210) 쪽으로 빗물 등의 유입가능성이 낮을 뿐 아니라, 고정홈(210) 쪽으로 약간의 빗물 등이 유입되더라도 고정핀(600)이 결합되는 구멍을 통하여 빗물 등은 배수공(220)으로 이동하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스커트(300)에 제1 절곡부(310)가 형성되고 제2 스커트(400)에 제2 절곡부(410)가 형성되며, 이러한 제1 절곡부(310) 및 제2 절곡부(410)가 홀더(200)와 누수방지커버(500)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됨으로써, 제1 스커트(300) 및 제2 스커트(40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막재(10)의 가운데에 별도의 채광창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채광창 설치에 따른 막재(10)의 신장율 차이를 방지할 수 있고, 막재(10)의 인장력을 훼손하지 않고 광투과막(20)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시공방법은, 상술한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홀더준비단계(S1), 제1 스커트조립단계(S2), 제2 스커트조립단계(S3), 제1 누수방지커버조립단계(S4) 및 제1 홀더결합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클램핑장치(100), 홀더(200), 제1 스커트(300), 제2 스커트(400), 누수방지커버(500) 및 고정핀(600)의 구체적인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다.
홀더준비단계(S1)에서는, 중앙결합부(113, 114)에 결합시 클램핑장치(100)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홀더(200)를 준비한다.
제1 스커트조립단계(S2)에서는, 일측 단부가 홀더(200) 상에 결합되고 막재(10)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스커트(300)를 홀더(200) 상에 조립한다. 즉, 제1 절곡부(310) 부분을 홀더(200)의 고정홈(210)에 삽입하여 제1 스커트(300)를 홀더(200) 상에 조립한다.
제2 스커트조립단계(S3)에서는, 일측 단부가 홀더(200) 상에 결합되고 광투과막(20)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스커트(400)를 홀더(200) 상에 조립한다. 즉, 제2 절곡부(410) 부분을 홀더(200)의 고정홈(210)에 삽입하여 제2 스커트(400)를 홀더(200) 상에 조립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 시공방법에서는, 제1 스커트조립단계(S2) 이후에 제2 스커트조립단계(S3)가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제2 스커트조립단계(S3) 이후에 제1 스커트조립단계(S2)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절곡부(310)와 제2 절곡부(410)가 고정홈(210) 상에서 안착되는 순서가 달라지게 된다.
제1 스커트조립단계(S2) 및 제2 스커트조립단계(S3) 이후에는 고정핀 결합단계(S3')가 이루어지며, 고정홈(210)에 삽입된 고정핀(600)이 제1 절곡부(310)와 제2 절곡부(410)를 관통한 후 홀더(200)에 고정되면서 제1 스커트(300)와 제2 스커트(400)가 홀더(200) 상에 고정결합되게 된다.
제1 누수방지커버조립단계(S4)에서는 제1 스커트(300) 및 제2 스커트(400)가 결합된 부분에서 홀더(200)를 차폐하도록 누수방지커버(500)를 홀더(200)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제1 홀더결합단계(S5)에서는, 제1 스커트(300)의 타측 단부(제1 탄력지지부(320))가 막재(10)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며 제1 결합부(111, 120, 141, 142, 151)를 차폐하고, 제2 스커트(400)의 타측 단부(제2 탄력지지부(420))가 광투과막(20)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며 제2 결합부(112, 130, 143, 144, 152)를 차폐하도록, 홀더(200)를 중앙결합부(113, 114)에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 시공방법은, 상술한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2 홀더결합단계(S10), 제1-1 스커트조립단계(S20), 제2-1 스커트조립단계(S30) 및 제2 누수방지커버조립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클램핑장치(100), 홀더(200), 제1 스커트(300), 제2 스커트(400), 누수방지커버(500) 및 고정핀(600)의 구체적인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2 홀더결합단계(S10)에서는 클램핑장치(100)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홀더(200)를 중앙결합부(113, 114)에 결합시킨다.
제1-1 스커트조립단계(S20)에서는, 일측 단부(제1 절곡부(310))가 홀더(200) 상에 결합되고 막재(10)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타측 단부가 막재(10)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며 제1 결합부(111, 120, 141, 142, 151)를 차폐하는 제1 스커트(300)를 홀더(200) 상에 조립한다.
제2-1 스커트조립단계(S30)에서는, 일측 단부가 홀더(200) 상에 결합되고 광투과막(20)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타측 단부가 광투과막(20)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며 제2 결합부(112, 130, 143, 144, 152)를 차폐하는 제2 스커트(400)를 홀더(200) 상에 조립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1) 시공방법에서는, 제1-1 스커트조립단계(S20) 이후에 제2-1 스커트조립단계(S30)가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제2-1 스커트조립단계(S30) 이후에 제1-1 스커트조립단계(S20)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절곡부(310)와 제2 절곡부(410)가 고정홈(210) 상에서 안착되는 순서가 달라지게 된다.
제1-1 스커트조립단계(S20) 및 제2-1 스커트조립단계(S30) 이후에는 고정핀 결합단계(S30')가 이루어지며, 고정홈(210)에 삽입된 고정핀(600)이 제1 절곡부(310)와 제2 절곡부(410)를 관통한 후 홀더(200)에 고정되면서 제1 스커트(300)와 제2 스커트(400)가 홀더(200) 상에 고정결합되게 된다.
제2 누수방지커버조립단계(S40)에서는, 제1 스커트(300) 및 제2 스커트(400)가 결합된 부분에서 홀더(200)를 차폐하도록 누수방지커버(500)를 홀더(200)에 결합시킨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10 : 막재 20 : 광투과막
100 : 클램핑장치 110 : 베이스플레이트
111 : 제1 플레이트 112 : 제2 플레이트
113 : 네크부 114 : 헤드부
120 : 제1 클램핑플레이트 130 : 제2 클램핑플레이트
141, 142, 143, 144 : 가스켓 151, 152 : 체결수단
200 : 홀더 210 : 고정홈
220 : 배수공 230 : 헤드삽입홈
240 : 걸림턱 300 : 제1 스커트
310 : 제1 절곡부 320 : 제1 탄력지지부
400 : 제2 스커트 410 : 제2 절곡부
420 : 제2 탄력지지부 500 : 누수방지커버
510 : 고정돌부 520 : 제1 날개
530 : 제2 날개
600 : 고정핀
S1 : 홀더준비단계 S2 : 제1 스커트조립단계
S3 : 제2 스커트조립단계 S4 : 제1 누수방지커버조립단계
S5 : 제1 홀더결합단계
S10 : 제2 홀더결합단계 S20 : 제1-1 스커트조립단계
S30 : 제2-1 스커트조립단계 S40 : 제2 누수방지커버조립단계

Claims (7)

  1. 막재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막재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광투과성의 광투과막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결합부가 구비되는 클램핑장치;
    상기 중앙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핑장치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홀더;
    플라스틱판, 금속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가 상기 홀더 상에 결합되고 상기 막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타측 단부가 상기 막재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며 상기 제1 결합부를 차폐하는 제1 스커트;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이루어지며, 일측 단부가 상기 홀더 상에 결합되고 상기 광투과막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타측 단부가 상기 광투과막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며 상기 제2 결합부를 차폐하는 제2 스커트; 및
    상기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가 결합된 부분에서 상기 홀더를 차폐하도록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누수방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단에서 하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누수방지커버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후 상측으로 이탈이 저지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는 고정돌부;
    상기 고정돌부에서 상기 막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홀더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제1 날개; 및
    상기 고정돌부에서 상기 광투과막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홀더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제2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커트는,
    Z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와 상기 누수방지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커트는,
    Z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와 상기 누수방지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홈 하측에 위치하는 중공의 배수공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를 관통한 후 상기 홀더에 체결되되 하단부가 상기 배수공 쪽으로 돌출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결합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 상측에서 상기 네크부보다 폭이 크게 이루어지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헤드부가 삽입되어 헤드삽입홈; 및
    상기 헤드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헤드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헤드부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5. 삭제
  6. 막재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막재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광투과성의 광투과막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결합부가 구비되는 클램핑장치 상에서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중앙결합부에 결합시 상기 클램핑장치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단에서 하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 하측에 위치하는 중공의 배수공을 포함하는 홀더를 준비하는 홀더준비단계;
    플라스틱판, 금속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Z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 상에 결합되는 제1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막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스커트를 상기 홀더 상에 조립하는 제1 스커트조립단계;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이루어지며, Z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 상에 결합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막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스커트를 상기 홀더 상에 조립하는 제2 스커트조립단계;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를 관통한 후 상기 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핀의 하단부가 상기 배수공 쪽으로 돌출되는 고정핀 결합단계;
    상기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가 결합된 부분에서 상기 홀더를 차폐하도록 누수방지커버를 상기 홀더에 결합시키되, 상기 누수방지커버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후 상측으로 이탈이 저지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는 고정돌부, 상기 고정돌부에서 상기 막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홀더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제1 날개 및 상기 고정돌부에서 상기 광투과막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홀더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제2 날개를 포함하는, 제1 누수방지커버조립단계; 및
    상기 제1 스커트의 제1 탄력지지부가 상기 막재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며 상기 제1 결합부를 차폐하고, 상기 제2 스커트의 제2 탄력지지부가 상기 광투과막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며 상기 제2 결합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홀더를 상기 중앙결합부에 결합시키는 제1 홀더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시공방법.
  7. 막재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막재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광투과성의 광투과막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결합부가 구비되는 클램핑장치 상에서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의 시공방법으로서,
    상단에서 하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 하측에 위치하는 중공의 배수공을 포함하는 홀더를 상기 클램핑장치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중앙결합부에 결합시키는 제2 홀더결합단계;
    플라스틱판, 금속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Z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 상에 결합되는 제1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막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며, 제1 탄력지지부가 상기 막재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고, 상기 제1 결합부를 차폐하는 제1 스커트를 상기 홀더 상에 조립하는 제1-1 스커트조립단계;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이루어지며, Z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 상에 결합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막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며, 제2 탄력지지부가 상기 광투과막의 상부면에 탄력지지되고, 상기 제2 결합부를 차폐하는 제2 스커트를 상기 홀더 상에 조립하는 제2-1 스커트조립단계;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를 관통한 후 상기 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핀의 하단부가 상기 배수공 쪽으로 돌출되는 고정핀 결합단계; 및
    상기 제1 스커트 및 제2 스커트가 결합된 부분에서 상기 홀더를 차폐하도록 누수방지커버를 상기 홀더에 결합시키되, 상기 누수방지커버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후 상측으로 이탈이 저지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는 고정돌부, 상기 고정돌부에서 상기 막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홀더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제1 날개 및 상기 고정돌부에서 상기 광투과막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홀더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제2 날개를 포함하는, 제2 누수방지커버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시공방법.





KR1020160104519A 2016-08-17 2016-08-17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시공방법 KR10171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19A KR101719490B1 (ko) 2016-08-17 2016-08-17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19A KR101719490B1 (ko) 2016-08-17 2016-08-17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490B1 true KR101719490B1 (ko) 2017-03-24

Family

ID=5850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519A KR101719490B1 (ko) 2016-08-17 2016-08-17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368B1 (ko) * 2021-11-29 2023-04-10 정덕구 Etfe 필름을 활용한 구조물의 단열 보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518B1 (ko) * 2012-09-26 2013-01-21 주식회사 동아스트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
KR101315932B1 (ko) 2013-05-30 2013-10-08 주식회사 동아스트 보호막이 접착된 채광수단을 구비한 막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05405B1 (ko) * 2014-07-21 2016-03-23 주식회사 타이가 지붕막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518B1 (ko) * 2012-09-26 2013-01-21 주식회사 동아스트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
KR101315932B1 (ko) 2013-05-30 2013-10-08 주식회사 동아스트 보호막이 접착된 채광수단을 구비한 막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05405B1 (ko) * 2014-07-21 2016-03-23 주식회사 타이가 지붕막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368B1 (ko) * 2021-11-29 2023-04-10 정덕구 Etfe 필름을 활용한 구조물의 단열 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118B1 (ko) 실외 지붕 골조용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어셈블리
KR101719490B1 (ko) 누수방지와 안전성이 확보된 막구조물의 채광장치 및 시공방법
US9422724B2 (en) Seal for a pipe penetration in a roof underlay
KR101298271B1 (ko) 금속 패널 지붕의 연결 구조 및 금속 패널 지붕의 시공방법
KR101742702B1 (ko) 막구조물 하이테크 클램핑 시스템
KR101517394B1 (ko) 방수기능 개선을 위한 융합형 하이브리드 막 구조물
KR101129783B1 (ko) 아파트 또는 주택의 창틀과 벽체에 설치되는 물끊기 바와 우수배출용 패드
KR101224518B1 (ko)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
KR20170121474A (ko) 차양용 몰딩바
KR20190104916A (ko) 캐노피 결합구조
KR102006261B1 (ko) 구조 성능을 보강한 막구조 접합 시스템
CN110494619B (zh) 用于地上泳池的窗
KR20160126109A (ko) 난간용 포스트 캡 및 그 포스트 캡을 구비한 난간용 포스트
KR101976314B1 (ko) 캐노피 결합구조
KR200472551Y1 (ko) 채광 패널 구조물
JP6670152B2 (ja) 屋根設置パネル
KR101121089B1 (ko) 투광 복층 패널
KR101315932B1 (ko) 보호막이 접착된 채광수단을 구비한 막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A2941091A1 (en) Modular metal covering for buildings
KR102604707B1 (ko)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2573991B1 (ko) 건축용 누수방지창틀
KR102391083B1 (ko) 캐노피 차양판 마감부재
KR101052892B1 (ko) 차양장치용 차양 지붕재 고정판
KR101468105B1 (ko) 광원부의 정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신호등
CN214246365U (zh) 一种用于屋顶发电系统的装饰组件密封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