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103B1 -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103B1
KR101719103B1 KR1020160125973A KR20160125973A KR101719103B1 KR 101719103 B1 KR101719103 B1 KR 101719103B1 KR 1020160125973 A KR1020160125973 A KR 1020160125973A KR 20160125973 A KR20160125973 A KR 20160125973A KR 101719103 B1 KR101719103 B1 KR 101719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opening
passage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갑석
Original Assignee
장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갑석 filed Critical 장갑석
Priority to KR1020160125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협잡물 처리기의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패널;과,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의 타단에 결합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협잡물 처리기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통로의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여 상기 통로로 유통되는 폐수를 상기 스크린으로 유통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의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 공간의 개폐를 결정하는 개폐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통로 상에 설치되는 협잡물 처리기의 고장으로 폐수의 원활한 유통이 곤란하게 되면 개폐수단을 통해 안내판을 후방으로 위치 이송시켜 간편히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신속하게 개방하고, 그 개방된 공간으로 폐수의 원활한 유통을 유도하여 폐수의 범람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만약 개폐수단의 작동이 곤란한 경우에는 분리수단을 통해 간편히 고정패널과 함께 안내판을 협잡물 처리기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회수하여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신속하게 개방할 수 있어 협잡물 처리기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폐수의 범람을 매우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수단의 개폐봉 끝단에 형성되는 탄성바퀴를 통해 고정패널을 탄성 지지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협잡물과 고정패널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해소하여 충격으로 인한 고정패널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을 갖는 안내판 자체의 특성상 외부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해소할 수 있어 고정패널 및 안내판을 통해 장기간 안정적으로 공간의 폐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렉시블한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안내판의 특성상 안내판이 "ㄴ" 형상으로 휘어지면서 끝단이 통로 내측에 밀착되어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구조이므로, 안내판을 통해 다양한 폭을 갖는 공간을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어 장치의 사용 편의성 및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Guiding device for contaminants processor}
본 발명은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로 상에 설치되는 협잡물 처리기의 고장으로 폐수의 원활한 유통이 곤란하게 되면 개폐수단을 통해 안내판을 후방으로 위치 이송시켜 간편히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신속하게 개방하고, 그 개방된 공간으로 폐수의 원활한 유통을 유도하여 폐수의 범람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만약 개폐수단의 작동이 곤란한 경우에는 분리수단을 통해 간편히 고정패널과 함께 안내판을 협잡물 처리기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회수하여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신속하게 개방할 수 있어 협잡물 처리기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폐수의 범람을 매우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및 오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폐수(하수 및 오수)에는 각종 협잡물과 침사 등이 혼합되어 있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수가 유통되는 통로 상에 협잡물 종합 처리기가 설치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협잡물 처리기는 폐수에 잔존하는 협잡물을 스크린을 통해 집진하고, 그 집진된 협잡물은 수집(회수)되어 외부로 이송하는 방식으로 협잡물을 걸러내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폐수가 유통되는 통로 상에 협잡물 처리기가 설치되면 상기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내측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간으로 폐수와 함께 협잡물의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간을 폐쇄하여 폐수를 상기 협잡물 처리기의 스크린으로 안내하는 판 형상의 안내판이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안내판은 협잡물 처리기의 양측 프레임에 용접되어 결합 고정되는 특성상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상기 협잡물 처리기의 고장 발생으로 기능이 상실되어 스크린에 집진된 협잡물의 제거가 수행되지 못한 경우에 폐수의 원활한 유통이 방해되어 폐수가 통로의 수위를 넘어 주변으로 범람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내판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상기 협잡기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개방하여 폐수의 원활한 유통을 유도해야 하지만, 종래의 안내판은 분리 제거가 곤란함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 발생시 해결능력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폐수가 유통되는 통로의 전체 폭의 크기에 따라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내측 사이 공간의 폭 역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데, 종래의 안내판을 다양한 크기의 폭을 용이하게 보상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상기 공간의 폭에 맞게 현장에서 제작해야 함으로 사용 관리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의 안내판은 흐르는 폐수에 잔존하는 협잡물에 충돌되는 충격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데, 이러한 충격을 해소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장기간 사용시 충격의 누적으로 인해 상기 안내판과 스크린으로부터 빈번하게 분리 이탈되어 상기 안내판의 기능이 쉽게 상실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통로 상에 설치되는 협잡물 처리기의 고장으로 폐수의 원활한 유통이 곤란하게 되면 개폐수단을 통해 안내판을 후방으로 위치 이송시켜 간편히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신속하게 개방하고, 그 개방된 공간으로 폐수의 원활한 유통을 유도하여 폐수의 범람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만약 개폐수단의 작동이 곤란한 경우에는 분리수단을 통해 간편히 고정패널과 함께 안내판을 협잡물 처리기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회수하여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신속하게 개방할 수 있어 협잡물 처리기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폐수의 범람을 매우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개폐수단의 개폐봉 끝단에 형성되는 탄성바퀴를 통해 고정패널을 탄성 지지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협잡물과 고정패널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해소하여 충격으로 인한 고정패널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을 갖는 안내판 자체의 특성상 외부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해소할 수 있어 고정패널 및 안내판을 통해 장기간 안정적으로 공간의 폐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플렉시블한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안내판의 특성상 안내판이 "ㄴ" 형상으로 휘어지면서 끝단이 통로 내측에 밀착되어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구조이므로, 안내판을 통해 다양한 폭을 갖는 공간을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어 장치의 사용 편의성 및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는 협잡물 처리기의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패널;과,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의 타단에 결합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협잡물 처리기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통로의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여 상기 통로로 유통되는 폐수를 상기 스크린으로 유통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의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 공간의 개폐를 결정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고정패널을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판과, 일단이 상기 안내판과 결합되는 제2판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판과 제2판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되, 회동 가능하게 연결 결합하는 회동핀과, 상기 고정패널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의 제2판을 지지하여 상기 제2판의 위치를 고정하고, 타단에는 제1고정구멍이 형성되는 개폐봉과, 상기 개폐봉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과 결합 고정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1고정구멍과 수직 이격되게 제2고정구멍이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구멍을 관통 위치하여 상기 고정돌기에 의지하여 상기 개폐봉의 회동을 방지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개폐봉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봉과 제2판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개폐봉의 용이한 회동을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제2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해소하여 상기 제2판이 충격으로 인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바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고정패널과 함께 상기 안내판을 분리 회수할 수 있는 분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분리수단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수직으로 길게 결속홈이 형성되는 결속가이드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패널의 일단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끝단에는 상기 결속홈에 슬라이드 결속되어 상기 고정패널의 위치를 고정하는 결속돌기가 형성되는 분리가이드와, 상기 고정패널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용이한 파지를 유도하는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로의 내측에 밀착되는 상기 안내판의 타단 일 측면에는 거칠기;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에 의하면, 통로 상에 설치되는 협잡물 처리기의 고장으로 폐수의 원활한 유통이 곤란하게 되면 개폐수단을 통해 안내판을 후방으로 위치 이송시켜 간편히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신속하게 개방하고, 그 개방된 공간으로 폐수의 원활한 유통을 유도하여 폐수의 범람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만약 개폐수단의 작동이 곤란한 경우에는 분리수단을 통해 간편히 고정패널과 함께 안내판을 협잡물 처리기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회수하여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신속하게 개방할 수 있어 협잡물 처리기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폐수의 범람을 매우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수단의 개폐봉 끝단에 형성되는 탄성바퀴를 통해 고정패널을 탄성 지지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협잡물과 고정패널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해소하여 충격으로 인한 고정패널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을 갖는 안내판 자체의 특성상 외부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해소할 수 있어 고정패널 및 안내판을 통해 장기간 안정적으로 공간의 폐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렉시블한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안내판의 특성상 안내판이 "ㄴ" 형상으로 휘어지면서 끝단이 통로 내측에 밀착되어 협잡물 처리기와 통로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구조이므로, 안내판을 통해 다양한 폭을 갖는 공간을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어 장치의 사용 편의성 및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의 평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100)는 고정패널(10)과, 안내판(20)과, 개폐수단(3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패널(10)은 상기 협잡물 처리기(1)의 프레임(1b)의 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프레임(1b)에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패널(10)은 상기 프레임(1b)에 결합 고정되어 타단에 결합되는 후설될 상기 안내판(2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판(20)은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10)의 타단에 결합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협잡물 처리기(1)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통로(2)의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의 공간(3)을 폐쇄하여 상기 통로(2)로 유통되는 폐수를 상기 스크린(1a)으로 유통되도록 안내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판(20)은 플렉시블한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특성상 "ㄴ" 형상으로 휘어지면서 끝단이 통로(2)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게 되므로, 상기 공간(3)의 폭(W)이 좁은 경우에는 상기 안내판(20)의 끝단이 통로 내측으로 진행되다가 일찍 휘어지면서 통로(1) 내측에 밀착되고, 상기 공간(3)의 폭(W)이 큰 경우에는 상기 안내판(20)이 끝단이 통로(2) 내측으로 길게 진행되다가 휘어지면서 통로(2) 내측에 밀착되어 통로(2)의 공간(3)을 폐쇄할 수 있어 상기 안내판(20)을 통해 다양한 폭(W)의 공간(3)을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판(20)이 통로(2)를 타고 흐르는 폐수를 상기 스크린(1a)으로 안내하는 특성상, 흐르는 폐수의 수압에 직접적으로 마찰되는 동시에 폐수에 잔존하는 협잡물과 연속적으로 충돌되어 항상 충격에 노출되는데, 상기 안내판(20)의 재료인 고무재질이 갖는 충격흡수성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안내판(20)이 충격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상기 공간(3)을 폐쇄하고 폐수를 스크린(1a)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로(2)의 내측에 밀착되는 상기 안내판(20)의 타단 일 측면에는 거칠기(60);를 더 형성하여,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판(20)과 통로(2) 내측과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상기 안내판(20)이 유통되는 폐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안내판(20)의 타단이 후방으로 밀려 뒤집혀 상기 안내판(20)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30)은 상기 안내판(20)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 공간(3)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패널(10)을 일단이 상기 프레임(1b)에 결합되는 제1판(11)과, 일단이 상기 안내판(20)과 결합되는 제2판(12)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판(11)과 제2판(12)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되, 회동 가능하게 연결 결합하는 회동핀(31)과, 상기 고정패널(1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1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10)의 제2판(12)을 지지하여 상기 제2판(12)의 위치를 고정하고, 타단에는 제1고정구멍(32a)이 형성되는 개폐봉(32)과, 상기 개폐봉(32)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1b)과 결합 고정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1고정구멍(32a)과 수직 이격되게 제2고정구멍(33a)이 형성되는 고정돌기(33)와, 상기 고정구멍(32a,33a)을 관통 위치하여 상기 고정돌기(33)에 의지하여 상기 개폐봉(32)의 회동을 방지하는 고정핀(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협잡물 처리기(1)의 고장으로 인해 상기 안내판(20)을 통해 폐쇄되는 상기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 공간(3)의 개방이 요구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34)을 회수하여 상기 개폐봉(32)의 결속을 해제한 후, 상기 개폐봉(32)을 회동시켜 상기 개폐봉(32)의 일단에 지지 결속되는 상기 제2판(12)의 결속을 해제한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판(12)과 함께 탄성을 갖는 상기 안내판(20)을 후방으로 강제 회동시켜 상기 안내판(20)이 상기 프레임(1b)의 측면에 근접 밀착되게 하여 상기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의 공간(3)이 신속하게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통로(2)로 유통되는 폐수가 상기 공간(3)을 통해 유통되어 폐수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한다.
반대로, 상기 협잡물 처리기(1)의 설치 및 수리가 완료되어 상기 안내판(20)을 통해 상기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 공간(3)의 폐쇄가 요구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판(12)과 함께 상기 안내판(20)을 전방으로 강제 회동시켜 상기 안내판(20)의 타단을 상기 통로(2)의 내측에 밀착시켜 상기 안내판(20)을 통해 상기 공간(3)이 폐쇄되도록 배치한 후, 상기 개폐봉(32)을 회전 복귀시켜 상기 개폐봉(32)의 일단에 상기 제2판(12)이 지지 결속되도록 배치한 후에 상기 고정핀(34)을 상기 고정구멍(32a,33a)으로 관통 위치시켜 상기 고정핀(34)에 의지하여 상기 개폐봉(32)이 견고히 고정되게 하여 상기 제2판(12)과 함께 상기 안내판(20)이 견고히 고정시켜 상기 공간(3)을 폐쇄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와 도 3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봉(32)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봉(32)과 제2판(12)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개폐봉(32)의 용이한 회동을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제2판(1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해소하여 상기 제2판(12)이 충격으로 인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바퀴(40);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패널(10)을 안정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b)으로부터 상기 고정패널(10)과 함께 상기 안내판(20)을 분리 회수할 수 있는 분리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분리수단(50)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b)의 측면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수직으로 길게 결속홈(51a)이 형성되는 결속가이드(51)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패널(10)의 일단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끝단에는 상기 결속홈(51a)에 슬라이드 결속되어 상기 고정패널(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결속돌기(52a)가 형성되는 분리가이드(52)와, 상기 고정패널(1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용이한 파지를 유도하는 파지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협잡물 처리기(1)의 고장으로 인해 상기 안내판(20)을 통해 폐쇄되는 상기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 공간(3)의 개방이 요구되면, 1차 상기 개폐수단(30)을 통해 상기 공간(3)의 개방을 수행하는데 상기 개폐수단(30)의 고장 등의 이유로 인해 상기 개폐수단(30)의 원활한 작동이 곤란한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패널(10)과 함께 상기 분리가이드(52)를 수직으로 들어올려 상기 분리가이드(52)의 결속돌기(52a)가 상기 결속가이드(51)의 결속홈(51a)을 슬라이드 되면서 이탈 분리되게 하여 상기 분리가이드(52)와 함께 상기 고정패널(10) 및 안내판(20)이 외부로 분리 이탈되어 간편히 상기 공간(3)이 개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패널(10)과 함께 상기 분리가이드(52)의 용이한 승강을 위해 상기 파지부(53)에 크레인과 같은 외부 장치의 와이어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패널(10)과 함께 상기 분리가이드(52)가 용이하게 승강되도록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100)는 통로(2) 상에 설치되는 협잡물 처리기(1)의 고장으로 폐수의 원활한 유통이 곤란하게 되면 상기 개폐수단(30)을 통해 상기 안내판(20)을 후방으로 위치 이송시켜 간편히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의 공간(3)을 신속하게 개방하고, 그 개방된 공간(3)으로 폐수의 원활한 유통을 유도하여 폐수의 외부 범람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개폐수단(30)의 작동이 곤란한 경우에는 상기 분리수단(50)을 통해 간편히 상기 고정패널(10)과 함께 안내판(20)을 협잡물 처리기(1)의 프레임(1b)으로부터 분리 회수하여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의 공간(3)을 신속하게 개방할 수 있어 협잡물 처리기(2)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폐수의 범람을 매우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30)의 개폐봉(32) 끝단에 형성되는 상기 탄성바퀴(40)를 통해 상기 고정패널(10)을 탄성 지지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협잡물과 상기 고정패널(10)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해소하여 충격으로 인한 상기 고정패널(10)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의 공간(3)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을 갖는 상기 안내판(20) 자체의 특성상 외부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해소할 수 있어 상기 고정패널(10) 및 안내판(20)을 통해 장기간 안정적으로 공간(3)의 폐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렉시블한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상기 안내판(20)의 특성상 상기 안내판(20)이 "ㄴ" 형상으로 휘어지면서 끝단이 통로(2) 내측에 밀착되어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의 공간(3)을 폐쇄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안내판(20)을 통해 다양한 폭(W)을 갖는 공간(3)을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어 장치의 사용 편의성 및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의 공간(3)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먼저, 하수 및 오수처리장에 설치된 협잡물 처리기(1)의 고장으로 폐수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기 위해 협잡물 처리기(1)와 폐수가 유통되는 통로(2) 사이 공간(3)의 개방이 요구되면,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단(30)의 조작으로 공간(3)를 폐쇄하는 안내판(20)을 협잡물 처리기(1)의 후방으로 이송 위치시켜 신속하고 간편하게 공간(3)을 개방하도록 한다.
만약, 상기 개폐수단(30)의 고장으로 인해 상기 안내판(20)의 이송을 통한 공간(3)의 개방이 곤란한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판(20)과 결합되는 고정패널(10)과 함께 분리가이드(52)를 강제 승강시켜 협잡물 처리기(1)와 결합되어 상기 분리가이드(52)를 결속하는 결속가이드(51)로부터 회수 분리하여 신속하게 공간(3)을 개방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협잡물 처리기(1)의 수리가 완료되어 개방된 공간(3)의 폐쇄가 요구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30)을 통해 상기 안내판(20)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간편히 상기 공간(3)이 폐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협잡물 처리기 1a. 스크린
1b. 프레임 2. 통로
3. 공간 W. 폭
10. 고정패널 11. 제1판
12. 제2판 20. 안내판
30. 개폐수단 31. 회동핀
32. 개폐봉 33. 고정돌기
34. 고정핀 40. 탄성바퀴
50. 분리수단 51. 결속가이드
51a. 결속홈 52. 분리가이드
52a. 결속돌기 53. 파지부
60. 거칠기
100.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

Claims (5)

  1. 하수 및 오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폐수가 유통되는 통로(2) 상에 설치되어 폐수에 잔존하는 협잡물을 집진 제거하는 협잡물 처리기(1)의 스크린(1a)으로 폐수를 안내하여 상기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의 공간(3)으로 폐수와 함께 협잡물의 유통을 차단하는 협잡물 처리기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처리기(1)의 프레임(1b)의 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프레임(1b)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패널(10);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10)의 타단에 결합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협잡물 처리기(1)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통로(2)의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의 공간(3)을 폐쇄하여 상기 통로(2)로 유통되는 폐수를 상기 스크린(1a)으로 유통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의 안내판(20); 및
    상기 안내판(20)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협잡물 처리기(1)와 통로(2) 사이 공간(3)의 개폐를 결정하는 개폐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수단(30)은 상기 고정패널(10)을 일단이 상기 프레임(1b)에 결합되는 제1판(11)과, 일단이 상기 안내판(20)과 결합되는 제2판(12)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판(11)과 제2판(12)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되, 회동 가능하게 연결 결합하는 회동핀(31)과, 상기 고정패널(1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1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10)의 제2판(12)을 지지하여 상기 제2판(12)의 위치를 고정하고, 타단에는 제1고정구멍(32a)이 형성되는 개폐봉(32)과, 상기 개폐봉(32)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1b)과 결합 고정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1고정구멍(32a)과 수직 이격되게 제2고정구멍(33a)이 형성되는 고정돌기(33)와, 상기 고정구멍(32a,33a)을 관통 위치하여 상기 고정돌기(33)에 의지하여 상기 개폐봉(32)의 회동을 방지하는 고정핀(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봉(32)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봉(32)과 제2판(12)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개폐봉(32)의 용이한 회동을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제2판(1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해소하여 상기 제2판(12)이 충격으로 인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바퀴(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b)으로부터 상기 고정패널(10)과 함께 상기 안내판(20)을 분리 회수할 수 있는 분리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분리수단(50)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b)의 측면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수직으로 길게 결속홈(51a)이 형성되는 결속가이드(51)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패널(10)의 일단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끝단에는 상기 결속홈(51a)에 슬라이드 결속되어 상기 고정패널(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결속돌기(52a)가 형성되는 분리가이드(52)와,
    상기 고정패널(1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용이한 파지를 유도하는 파지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2)의 내측에 밀착되는 상기 안내판(20)의 타단 일 측면에는 거칠기(60);를 더 형성하여,
    상기 안내판(20)과 통로(2) 내측과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상기 안내판(20)이 유통되는 폐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안내판(20)의 타단이 후방으로 밀려 뒤집혀 상기 안내판(20)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
KR1020160125973A 2016-09-30 2016-09-30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 KR101719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973A KR101719103B1 (ko) 2016-09-30 2016-09-30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973A KR101719103B1 (ko) 2016-09-30 2016-09-30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103B1 true KR101719103B1 (ko) 2017-03-22

Family

ID=5849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973A KR101719103B1 (ko) 2016-09-30 2016-09-30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1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839A (ko) * 2000-08-03 2002-02-09 한상관 수문의 개폐장치 구성방법
KR101005893B1 (ko) * 2010-09-27 2011-01-06 김상국 개폐식 제진기
KR20110002487U (ko) * 2009-09-04 2011-03-10 장관 농업용 급수 개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839A (ko) * 2000-08-03 2002-02-09 한상관 수문의 개폐장치 구성방법
KR20110002487U (ko) * 2009-09-04 2011-03-10 장관 농업용 급수 개폐기
KR101005893B1 (ko) * 2010-09-27 2011-01-06 김상국 개폐식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367B1 (ko) 그레이팅 안전 덮개 조립체
KR101719103B1 (ko) 협잡물 처리기의 안내장치
KR101914114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20120071647A (ko) 건설중장비의 캐빈 윈도우 가드 장치
KR101613686B1 (ko)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가변구조
KR20170061474A (ko) 하폐수 처리용 수직형 스크린 장치
KR101486040B1 (ko)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KR101962440B1 (ko) 개폐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20170118311A (ko) 하수관로의 협잡물처리 스크린장치
JP5120996B2 (ja) 消火栓装置
CN212206702U (zh) 一种水质采样器
CN107628337A (zh) 一种污水收集装置
KR101147130B1 (ko) 수문용 이물질 선별장치
JP2805740B2 (ja) 除塵設備
KR101054424B1 (ko) 드럼세탁기의 잔수 배출구조
KR20060094616A (ko) 세면대용 거름망설치 배수관
CN210944458U (zh) 一种用于一体成型电梯门口的临时防护装置
CN218686778U (zh) 环境污水处理的初滤除固器
JP5885216B2 (ja) 洗濯機用防水パン
KR200430146Y1 (ko) 오,폐수의 협잡물 제거장치의 레이크 구조
CN211515370U (zh) 一种材料腐蚀处理设备
JP6413683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及び建設機械
CN220394424U (zh) 一种水利工程施工护坡
CN210676174U (zh) 一种用于五金件的高效型清洗机
KR102655105B1 (ko) 자연 친화적 하천의 수질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