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138B1 - 휴대용 광 계측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광 계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138B1
KR101718138B1 KR1020150052738A KR20150052738A KR101718138B1 KR 101718138 B1 KR101718138 B1 KR 101718138B1 KR 1020150052738 A KR1020150052738 A KR 1020150052738A KR 20150052738 A KR20150052738 A KR 20150052738A KR 101718138 B1 KR101718138 B1 KR 10171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optical
measurement
platform
measure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591A (ko
Inventor
유봉국
Original Assignee
유봉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봉국 filed Critical 유봉국
Priority to KR102015005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138B1/ko
Priority to PCT/KR2015/011899 priority patent/WO2016167432A1/ko
Publication of KR2016012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30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 G01M11/31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with a light emitter and a light receiver being disposed at the same side of a fibre or waveguide end-face, e.g. reflectometers
    • G01M11/3109Reflectometers detecting the back-scattered light in the time-domain, e.g. OTDR
    • G01M11/3145Details of the optoelectronics or data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30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 G01M11/31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with a light emitter and a light receiver being disposed at the same side of a fibre or waveguide end-face, e.g. reflectometers
    • G01M11/3109Reflectometers detecting the back-scattered light in the time-domain, e.g. OTD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광 계측기에 관한 것으로, 계측 용도가 서로 상이한 다수의 계측모듈, 탈장착부를 구비하며 다수의 계측모듈 중 특정 계측모듈이 장착되면, 장착된 계측모듈의 타입을 인식하고, 인식된 계측모듈의 타입에 대응되는 제어모드로 상기 장착된 계측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플랫폼을 구비하며, 장착된 계측모듈은 플랫폼의 제어하에 장착된 계측모듈에 연결된 계측 대상 광케이블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여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플랫폼은 수신된 광신호에 대응하는 계측정보를 외부 분석단말기로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광 계측기{A PORTABLE OPTICAL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은 계측 대상 광 케이블의 광 상태 분석이나 광 상태 분석을 위한 광원을 제공하는 휴대용 광 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에 따른 데이터서비스 초고속화로 인해, 최근 데이터 트래픽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를 수용하기 위한 다양한 망의 형태가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에는 광선로를 통해 광신호 형태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급증한 데이터 트래픽 및 초고속화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통신 환경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통신 환경의 이용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광선로를 이용하는 통신 환경은, 광선로가 지하, 옥내를 비롯한 옥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포설되어 있기 때문에, 광선로의 상태 분석하여 장애구간을 찾아내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이에, 광선로의 상태 분석을 위한 광 파워미터,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시간대역 광반사 측정기) 등의 다양한 광 계측기들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광계측기는, 광선로의 상태 분석을 위한 모든 기능 즉, 광 계측기의 구동, 신호처리 및 분석 기능 등의 구성을 모두 구비하기 때문에, 가격 절감과 사이즈 및 무게 축소에 한계를 갖는다. 또한, 계측자는 계측용도별로 광 파워미터, OTDR 등의 광 계측기를 구비해야 하므로 비용부담이 발생되며, 동시에 여러 가지 계측장비를 휴대하기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1. 국내공개특허 제2007-010408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하나는 계측목적에 따라 계측모듈을 선택적으로 플랫폼에 장착하여 계측 대상 광케이블의 상태를 계측할 수 있는 휴대용 광 계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다른 하나는 플랫폼에 장착된 계측모듈의 제어 및 신호처리하는 구성을 플랫폼에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계측모듈 크기를 소형화시킨 휴대용 광 계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 계측기는, 계측 용도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계측모듈 중 하나의 계측모듈; 그리고 탈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계측모듈의 타입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동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하나의 계측모듈이 장착되면, 장착된 계측모듈의 타입을 인식하고, 인식된 계측모듈의 타입에 대응되는 제어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구동정보 중 상기 인식된 계측모듈의 타입에 대응되는 하나의 구동정보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하나의 계측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플랫폼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된 계측모듈은, 상기 플랫폼의 제어하에 상기 장착된 계측모듈에 연결된 계측 대상 광케이블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수신된 광신호에 대응하는 계측정보를 외부의 모바일로 제공한다.
상기 플랫폼은 상기 탈장착부에 계측모듈이 장착되면, 장착된 계측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복수의 계측모듈의 타입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동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전원을 공급받는 계측모듈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타입을 인식하고, 인식된 계측모듈의 타입에 대응되는 제어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구동정보 중 상기 인식된 계측모듈의 타입에 대응되는 하나의 구동정보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하나의 계측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활성화된 구동정보를 이용하여 광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신호 처리한 결과를 상기 모바일에서 분석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 상기 모바일에 제공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한 결과는 상기 광신호의 파장 및 파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플랫폼은 상기 모바일로 상기 신호 처리한 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외부정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은 상기 전송된 계측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계측 대상 케이블의 고장구간, 파워 및 파장 중 적어도 하나를 계측한다.
상기 복수의 계측모듈은 해당 계측모듈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정합부; 계측 대상 광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광 어댑터; 및 상기 플랫폼에 의해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어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광 어댑터를 통해 수신되는 광 신호를 계측 용도에 따라 계측하는 계측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계측모듈은 시간대역 광반사 측정기(OTDR), DWDM 분석기, CWDM 분석기, 광 파워미터, 가시광 레이저(VFL: Visual Fault Locator), 광원 (Light Source) 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용의 플랫폼 및 플랫폼에 탈장착 가능한 계측용도가 서로 다른 다수의 계측모듈을 이용함으로써, 계측용도에 맞게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계측모듈의 제어 또는 구동을 위한 구성과 신호처리를 위한 구성이 플랫폼에 구비됨으로써, 탈장착 가능한 계측모듈뿐 아니라 전체 광 계측기의 사이즈를 줄이고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에서 신호처리된 계측정보를 모바일 등에서 분석하여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휴대용 광 계측기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필요시 이용되는 기능의 계측모듈을 사용함에 따라 결합된 계측모듈에 맞게 해당 모듈만 동작되므로 휴대용 광 계측기의 전체 프로그램이 한꺼번에 동작하는 종래에 비해 배터리 소모가 적고, 작은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는 등의 하드웨어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에서 계측모듈이 탈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에서 플랫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에서 플랫폼에 장착된 계측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 계측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광 계측기는 광 네트워크 등에 연결된 광 케이블 중 계측 대상 광케이블을 연결하여 해당 선로의 광 상태를 계측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에서 계측모듈이 탈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1000)는 플랫폼(100)과 계측모듈(200)을 포함하며, 플랫폼(100)과 계측모듈(200)은 상호 탈착 또는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휴대용 광계측기(1000)에서 플랫폼(100)은 본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플랫폼(100)은 계측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계측모듈(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계측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플랫폼(100)은 계측모듈(200)이 구동할 수 있는 전원을 계측모듈(200)에 공급한다.
계측모듈(200)은 특정된 하나의 기능(예; 광을 이용한 계측 동작 또는 광선로 상에 광을 공급하는 동작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플랫폼(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플랫폼(1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플랫폼(100)에 장착되는 계측모듈(200)은 서로 다른 특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계측모듈(200a, 200b, ..., 200n) 중 하나이다. 복수의 계측모듈(200a, 200b, 200n 등)은 예컨대 시간대역 광반사 측정모듈(OTDR 모듈), CWDM 분석모듈, DWDM 분석모듈, 광 파워미터 모듈, 가시광 레이저(VFL: Visual Fault Locator) 모듈, 광원 (Light Source) 모듈 등이다.
여기서 시간대역 광반사 측정모듈이나 광 파워미터 모듈의 경우에는 광선로로 전송되는 광신호의 파장 대역의 차이에 따라 파장대역별로 구분하여 광선로 진단모듈이나 광 파워미터 모듈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같은 시간대역 광반사 측정모듈이나 광 파워미터 모듈이라도 파장대역이 다른 시간대역 광반사 측정모듈이나 광 파워미터 모듈이 플랫폼(100)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광 계측기(1000)를 이용하여 광을 계측하고자 하는 계측자는 이용 목적에 맞게 계측모듈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기능이나 동작 특성(예: 파장 대역의 차이)을 나타내는 계측모듈(200)에 대응하여, 플랫폼(100)은 장착 가능한 모든 계측모듈(200)에 대응하는 처리 프로세스 즉, 응용프로그램이나 응용프로그램 및 파라미터를 구비하며, 장착된 계측모듈(200)의 기능이나 동작 특성에 부합하는 처리 프로세스를 활성화하여 동작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 계측기(1000)는 그래프나 통계 데이터 표시 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이면 모바일과의 연동으로 모바일에서 이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 계측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1000)는 플랫폼(100)과 계측모듈(200)을 포함한다.
플랫폼(100)은 내부정합부(110), 제어부(120), 메모리(130), 전원공급부(140), 신호처리부(150), 외부 정합부(160) 및 탈장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100)은 제작자에 의해 임의로 추가되는 표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80)는 숫자나 문자 등을 표시하는 단순 기능의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예컨대 세븐 세그먼트나 복수의 LED 등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내부정합부(110)는 계측모듈(200)의 내부정합부(210)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여 플랫폼(100)과 계측모듈(200)간에 전원신호, 제어신호, 광신호 등의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한다. 이때 계측모듈(200)의 내부정합부(210)와의 인터페이스는 SFP(Small Form Factor Pluggable) 방식이거나 USB 방식, RS232 방식, UART 방식 등 체결된 양 장치간에 수행 가능한 공지된 기술 중 하나가 이용된다.
제어부(120)는 특정 계측모듈(200)이 장착되면, 장착된 계측모듈(200)의 타입을 인식하고, 계측모듈(200)의 타입에 대응하는 제어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어모드에 따라 메모리(130)에 기 저장된 계측모듈(200)의 타입에 대응하는 구동정보(처리프로세스 또는 처리프로세서 및 파라미터)를 활성화하여 신호처리부(150)가 활성화된 구동정보를 이용하여 동작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설정된 제어모드에 따라 계측모듈(200)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장착된 계측모듈(200)이 OTDR이면 OTDR 제어모드에 따라 계측모듈(200)을 제어하고, 계측모듈(200)이 광파워미터이면 광파워미터 제어모드에 따라 계측모듈(200)을 제어한다.
메모리(130)는 다수의 계측모듈(200a 내지 200c)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동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20)에 의해 하나의 구동정보를 활성화시켜 신호처리부(150)가 활성화된 구동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메모리(130)는 장착된 계측모듈(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전원공급부(140)는 각 구성 및 장착된 계측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장치(140)는 배터리나 솔라셀 등 일 수 있다.
신호처리부(150)는 제어부(120)에 의해 활성화된 구동정보를 이용하여 동작하며, 계측모듈(200)로부터 광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수신된 광신호를 활성화된 구동정보에 따라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계측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50)는 외부정합부(160)에 의해 모바일(300)과 통신 연결이 된 상태이면 산출한 계측값을 모바일(300)에 제공한다. 여기서, 계측값은 광신호의 파장 및 파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외부 정합부(16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신호처리부(150)에 의해 파악된 계측값을 정합 프로토콜에 맞추어 로우 데이터(raw data) 또는 상호 약속한 (예를 들면, SOR (Standard OTDR Record) 파일 포맷) 형태로 모바일(300)에 전송한다. 이때, 외부 정합부(160)는 USB,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유, 무선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거나 모바일(300)의 이어폰잭에 연결되어 UART 통신으로 계측값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계측모듈(200)은 내부정합부(210), 메모리(220), 광 어댑터(230) 및 계측부(240)를 포함한다.
내부정합부(210)는 플랫폼(100)의 내부정합부(110)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플랫폼(100)과 계측모듈(200)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계측모듈의 정합부(210)는 신호 송수신을 위한 다수의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포트는, 플랫폼(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신호 및 제어신호를 공급받고, 플랫폼(100)으로 식별정보 및 광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각각의 포트들이 될 수 있다.
내부정합부(210)는 플랫폼(100)으로부터 전원신호를 수신하여 계측모듈(200)의 각 구성에 공급한다. 메모리(200)는 전원이 공급되면, 플랫폼(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계측모듈(200)의 메모리(220)에 저장된 식별정보(식별번호 또는 식별코드 등)를 해당포트를 통해 플랫폼(100)으로 출력한다. 이때, 식별정보는 플랫폼(100)에 탈착 또는 장착 가능한 다수의 계측모듈(200a 내지 200c) 개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저장되고,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식별정보는 서로 상이한 전압값에 대한 이진 비트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계측모듈(200)의 광 어댑터(230)는 계측모듈(200)과 계측 대상 케이블(10)을 연결한다.
계측부(240)는 계측 대상 케이블(10)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를 용도에 따라 계측한다. 여기서, 다수의 계측모듈(200a 내지 200c)의 계측부(240) 세부구성은 계측용도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계측모듈이 OTDR이면 계측부(240)는 OTDR의 구성이 될 수 있고, 계측모듈이 광파워미터이면 계측부(240)는 광파워미터의 구성이 될 수 있다. 다만, 계측부(240)는 플랫폼(100)의 제어부(120)에 의해 구동되고, 플랫폼(100)의 신호처리부(150)에 의해 신호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즉, 계측부(240)는 최소한의 제어 또는 구동을 위한 구성과 신호처리를 위한 구성을 구비한다.
계측부(240)는 광 어댑터(230)를 통해 수신되는 광신호를 내부정합부(210)를 통해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 이때, 광신호는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모바일(3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PDA 등 휴대가 가능하면서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가진 단말기를 통칭한다. 모바일(300)은 전송된 계측정보를 분석하여 광케이블(광선로)의 고장 구간, 파워 및 파장 등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GUI 등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모바일(300)은 계측정보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 있어야만 한다. 플랫폼에서 신호처리된 계측정보를 스마트폰(300)에서 분석하여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휴대용 광 계측기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1000)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1000)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광계측기(1000)와 전반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1000)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광계측기(1000)에 대해 계측부(240) 대신 광원부(240a)를 사용하는 차이가 있다.
즉, 계측부(240)는 계측모듈(200)이 OTDR 모듈이나 광 파워미터 모듈, CWDM 분석모듈, DWDM 분석모듈 등과 같이 모듈로 광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에 적용되는 구성인데 비해, 광원부(240a)는 광케이블로 레이저나 LED 광 등의 광원을 조사하는 가시광 레이저(VFL: Visual Fault Locator) 모듈, 광원 (Light Source) 모듈 등에 적용되는 구성이다. 즉, 광원부(240a)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레이저 빔이나 LED 광을 광케이블에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계측부(240)와 광원부(240a)를 통칭하여 계측부라고 칭한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에서 플랫폼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에서 플랫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설명의 이해를 위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계측모듈(200)을 플랫폼(100)에 장착시키면, 플랫폼(100)은 특정 계측모듈(200)의 장착을 감지하고(S501), 장착된 계측모듈(200)로 전원을 공급한다(S502).
다음으로, 계측모듈(200)은 플랫폼(100)에서 제공한 전원으로 동작하고 자신의 고유 식별정보를 플랫폼(10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플랫폼(100)은 계측모듈(2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S503), 수신된 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장착된 계측모듈(200)의 종류 즉, 타입을 식별한다(S504).
그런 다음 플랫폼(100)은 식별한 계측모듈(200)의 타입에 대응되는 제어모드를 설정하고(S505), 메모리(130)에 저장된 구동정보 중 식별한 계측모듈(200)의 타입에 대응되는 구동정보를 활성화시킨다(S506).
플랫폼(100)은 설정된 제어모드에 따라 계측모듈(2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계측모듈(200)을 동작시킨다. 이때 계측모듈(200)이 OTDR 모듈이나 광 파워미터 모듈인 경우에 광케이블로 광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광신호를 플랫폼에 전송한다.
그러나 계측모듈(200)이 가시광 레이저(VFL: Visual Fault Locator) 모듈, 광원 (Light Source) 모듈인 경우 계측모듈(200)로 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플랫폼(100)은 가시광 레이저 모듈 또는 광원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가시광 레이저 모듈 또는 광원 모듈에서 광 케이블로 해당 광원이 출력되게 한다.
만약, 플랫폼(100)은 계측모듈(200)로부터 광신호가 수신되면(S508), 신호처리부(150)를 통해 계측모듈(200)의 타입에 대응되는 신호처리 프로세서를 구동하여 광신호를 처리하고(S509), 처리된 결과를 모바일(300)에서 분석할 수 있는 형태로 신호처리하여 전송한다(S510).
그러면 계측정보를 수신한 모바일(300)은 구비된 계측정보 분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계측 대상 광케이블의 고장 구간, 파워 및 파장 등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GUI 등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신호처리부(150)에서 처리한 결과가 단순히 계측값을 표시하는 것이면, 제어부(120)는 신호처리부(150)에서 처리한 결과를 표시부(180)에 제공하여 계측값이 숫자나 문자로 표시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광계측기에서 플랫폼에 장착된 계측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설명의 이해를 위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계측모듈(200)이 플랫폼에 장착되면(S601), 계측모듈(200)은 플랫폼(1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S602). 또한, 전원공급에 의해 계측모듈(200)이 활성화되면, 기저장된 식별정보를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S603).
다음으로, 계측모듈(200)은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플랫폼(100)으로부터 수신하면, 제어신호에 따라 계측부(240) 또는 광원부(240)를 구동시킨다(S604). 이때, 계측모듈의 타입에 따라, 계측부의 구성 및 동작은 상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측모듈(200)이 OTDR 모듈이나 광 파워미터 모듈, CWDM 분석모듈, DWDM 분석모듈 등과 같이 모듈로 광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면, 계측모듈(200)은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계측 대상 광케이블(10)을 통해 광신호를 수신하면(S605), 수신된 광신호를 광전변환하여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S606).
만약 계측모듈이 가시광 레이저(VFL: Visual Fault Locator) 모듈, 광원 (Light Source) 모듈 등과 같이 광케이블로 레이저나 LED 광 등의 광원을 조사하는 모듈이면, 계측모듈(200)은 플랫폼(100)의 제어에 따라 광 케이블로 해당 광원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광신호를 수신한 플랫폼(100)의 동작은 도 5의 흐름도에 따라 수행된다. 한편, 플랫폼(100)에서 특정 계측모듈(200a)이 탈거되면, 광계측기의 기능이 중단 또는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0 : 휴대용 광 계측기
100 : 플랫폼 200, 200a 내지 200c : 계측모듈
110, 210 : 내부정합부 130, 220 : 메모리
120 : 제어부 140 : 전원공급부
150 : 신호처리부 160 : 외부정합부
170 : 탈장착부 10 : 광케이블
230 : 광 어댑터 240 : 계측부

Claims (6)

  1. OTDR 모듈, 광 파워미터 모듈, CWDM 분석모듈, DWDM 분석 모듈, 가시광 레이저 모듈 및 광원 모듈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내부 정합부;
    상기 OTDR 모듈, 광 파워미터 모듈, CWDM 분석모듈, DWDM 분석 모듈, 가시광 레이저 모듈 및 광원 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상기 내부 정합부를 통해 연결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OTDR 모듈, 광 파워미터 모듈, CWDM 분석모듈, DWDM 분석 모듈, 가시광 레이저 모듈 및 광원 모듈 중 어떤 모듈이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모듈이 광케이블을 진단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 저장된 구동정보에 따라 상기 감지된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감지된 모듈로부터 진단 대상 광케이블에 대한 계측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감지된 모듈에 대응하는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모바일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모바일이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사용하여 광케이블의 상태를 진단하도록 하는 외부정합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OTDR 모듈, 광 파워미터 모듈, CWDM 분석모듈, DWDM 분석 모듈, 가시광 레이저 모듈 및 광원 모듈 각각은 광 어댑터 및 계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러된 신호는 광신호의 파장, 파워 계측값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광 계측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52738A 2015-04-14 2015-04-14 휴대용 광 계측기 KR10171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738A KR101718138B1 (ko) 2015-04-14 2015-04-14 휴대용 광 계측기
PCT/KR2015/011899 WO2016167432A1 (ko) 2015-04-14 2015-11-06 휴대용 광 계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738A KR101718138B1 (ko) 2015-04-14 2015-04-14 휴대용 광 계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591A KR20160122591A (ko) 2016-10-24
KR101718138B1 true KR101718138B1 (ko) 2017-04-04

Family

ID=5712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738A KR101718138B1 (ko) 2015-04-14 2015-04-14 휴대용 광 계측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8138B1 (ko)
WO (1) WO20161674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588A1 (ko) * 2017-11-08 2019-05-16 (주)지씨아이 초 분해능 알고리즘을 적용한 광선로 고장 구간 추출 방법
KR102353293B1 (ko) * 2021-03-26 2022-01-20 주식회사 케이엠데이타 계전/계측기와의 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nfc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0069B1 (en) * 2016-12-16 2018-01-30 Afl Telecommunications Llc Optical fiber test apparatus with combined light measurement and fault detection
KR102004879B1 (ko) * 2017-07-14 2019-07-29 주식회사 이스트포토닉스 Sfp형 광섬유 고장점 탐지장치
US10656343B1 (en) * 2019-02-04 2020-05-19 Cotsworks, Llc Fiber optic visual fault loc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1837A1 (en) 2002-01-30 2003-07-31 Stuart Young Modular sensor platform
JP2006071602A (ja) 2004-09-06 2006-03-16 Anritsu Corp 光線路異常診断装置及び診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524A (ja) * 1996-11-25 1998-06-09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接続試験方法及び装置
US6871156B2 (en) * 2003-04-30 2005-03-22 The Boeing Company Smart connector patch panel
KR100796313B1 (ko) 2006-04-21 2008-01-2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광선로 계측기 및 광선로 계측 방법
KR20130003615A (ko) * 2011-06-30 2013-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러그 앤 플레이 센서 모듈, 센서 노드 및 플러그 앤 플레이 접속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1837A1 (en) 2002-01-30 2003-07-31 Stuart Young Modular sensor platform
JP2006071602A (ja) 2004-09-06 2006-03-16 Anritsu Corp 光線路異常診断装置及び診断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588A1 (ko) * 2017-11-08 2019-05-16 (주)지씨아이 초 분해능 알고리즘을 적용한 광선로 고장 구간 추출 방법
US10848240B2 (en) 2017-11-08 2020-11-24 Gci Inc. Method for extracting optical line fault section by applying super-resolution algorithm
KR102353293B1 (ko) * 2021-03-26 2022-01-20 주식회사 케이엠데이타 계전/계측기와의 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nfc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591A (ko) 2016-10-24
WO2016167432A1 (ko)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138B1 (ko) 휴대용 광 계측기
US1026800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fiber optic cable network testing platform
US11405101B2 (en) OTDR receive device with connectivity feedback
CA2850537C (en) Wireless diagnostic system
US10107849B2 (en) Diagnostic system for a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diagnosing a home appliance
US20180292293A1 (en) Optical Time-Domain Reflectometer (OTDR) With Integrated, Retractable Launch Cable
CN105306137A (zh) 光纤检测方法、检测设备、检测平台及网元管理系统
US20230358635A1 (en) Optical power detector and reader
KR101727099B1 (ko) 휴대용 otdr
US8560264B2 (en) Direct current circuit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92150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 optical loss measurement
US10749597B2 (en) Wireless inspection solution
CN110633766A (zh) 一种用于环境监测仪器结果上报的二维码生成装置
CN102244880B (zh) 移动终端和单板调控方法
KR101820303B1 (ko) 광원, 광전 변환부 및 써큘레이터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휴대용 otdr
JP5560647B2 (ja) 光損失測定装置
US10973110B1 (en) Wireless tool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esting, and setting up lighting fixtures
RU2011112058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считывания
CN110769334B (zh) 一种无源光纤设备的合并测试方法及系统
CN209046646U (zh) 小型便携式光缆快速搜寻器及光缆搜寻设备
KR101539272B1 (ko) 수질 환경 정보 측정 장치, 수질 환경 정보 측정 방법, 및 수질 환경 정보 측정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907859B1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로직분석 계측기의 탐침 자동인식 및 디지털 신호 계측 시스템 및 계측방법
KR101944072B1 (ko) Led 집광모듈을 이용한 유휴 광코아 감시 장치
CN105823734A (zh) 一种便携式土质、水质检测设备
KR20170115743A (ko) Usb 기반 조명기기 시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