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135B1 -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135B1
KR101718135B1 KR1020160163169A KR20160163169A KR101718135B1 KR 101718135 B1 KR101718135 B1 KR 101718135B1 KR 1020160163169 A KR1020160163169 A KR 1020160163169A KR 20160163169 A KR20160163169 A KR 20160163169A KR 101718135 B1 KR101718135 B1 KR 101718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per
constituting
pieces
le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학진
Original Assignee
장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학진 filed Critical 장학진
Priority to KR1020160163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씨를 맥간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서화가(書畵家)들에게 새로운 창작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작 활동을 영위해 나갈 수 있게 하는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먹을 찍은 붓으로 써내려간 글씨가 표현된 한지와, 펼쳐진 맥간의 이면이 양면테이프의 접착층 일측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맥간부재를 준비하는 공정(S1); 맥간부재를 구성하는 맥간의 표면을 한지의 이면에 부착시킨 후, 한지에 표현된 글씨의 윤곽을 따라 서로 부착된 한지와 맥간부재를 도려내어 하나 이상의 제 1 단위조각체들을 형성하는 공정(S2); 제 1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한지부분에 표현된 글씨의 테두리를 따라 칼집을 형성한 후, 제 1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한지부분을 제거하여 제 2 단위조각체들을 형성하는 공정(S3); 제 2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양면테이프의 이형지의 글씨부분만을 걷어내어 제 3 단위조각체들을 형성하는 공정(S4); 제 3 단위조각체들의 맥간 글씨부분을 판재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공정(S5); 및 맥간의 글씨부분이 부착된 판재의 표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여 서예 작품을 완성시키는 공정(S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MAKING METHOD OF A CALLIGRAPHY WORKS USING A BARLEY STEM}
본 발명은 글씨(한자 또는 한글)를 맥간(麥稈; 밀짚이나 보릿짚 줄기)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간(麥稈)은 '밀짚이나 보릿짚 줄기'를 말하며, 이러한 맥간뿐만 아니라 볏짚 등과 같은 짚풀은 예로부터 우리 생활문화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즉, 짚풀 등은 초가집의 지붕, 곡식의 쭉쩡이나 티끌을 골라내는 키, 비가 오면 사용하는 도롱이, 물건 등을 담아 이동할 때 사용하는 망태기 및 광주리 등을 제작하는 재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한편, 최근에는 맥간을 이용한 맥간공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맥간공예는 보릿대의 한 쪽을 쪼개어 편 후 정해진 도안에 맞게 나란히 연결 접착시킨 다음 오려 내거나 잘라 내고 거꾸로 붙여진 맥간조각을 순서대로 지지판에 붙인 후 그 표면에 칠을 입히는 것으로, 맥간공예는 목칠공예 기법과 모자이크 방식을 응용하여 빛의 각도 및 보릿대 결의 방향에 따라 입체감과 미적 효과를 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맥간공예의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69276 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46567 호'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맥간공예는 독창성이 탁월하다 하겠으나 주워진 도안과 판을 이용해 제작되기 때문에 창작활동으로 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맥간공예는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작방법이 복잡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지 못한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글씨를 맥간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서화가(書畵家)들에게 새로운 창작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작 활동을 영위해 나갈 수 있게 하는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은, 먹을 찍은 붓으로 써내려간 글씨가 표현된 한지와, 펼쳐진 맥간의 이면이 양면테이프의 접착층 일측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맥간부재를 준비하는 공정(S1); 맥간부재를 구성하는 맥간의 표면을 한지의 이면에 부착시킨 후, 한지에 표현된 글씨의 윤곽을 따라 서로 부착된 한지와 맥간부재를 도려내어 하나 이상의 제 1 단위조각체들을 형성하는 공정(S2); 제 1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한지부분에 표현된 글씨의 테두리를 따라 칼집을 형성한 후, 제 1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한지부분을 제거하여 제 2 단위조각체들을 형성하는 공정(S3); 제 2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양면테이프의 이형지의 글씨부분만을 걷어내어 제 3 단위조각체들을 형성하는 공정(S4); 제 3 단위조각체들의 맥간 글씨부분을 판재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공정(S5); 및 맥간의 글씨부분이 부착된 판재의 표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여 서예 작품을 완성시키는 공정(S6);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정(S2)에서, 맥간부재와 한지는 풀칠에 의해 서로 부착되고, 제 1 단위조각체들은 칼날에 의해 한지에서 도려내어지며, 제 1 단위조각체들이 도려내진 한지에는 절개공들이 형성될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정(S3)에서, 칼집은 칼날에 의해 형성되되, 칼집은 양면테이프의 이형지까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정(S5)는, 공정(S2)에서 제 1 단위조각체들이 도려내어져 절개공이 형성된 한지를 판재에 고정시키고, 절개공에 대응하는 제 3 단위조각체들을 맞춰 넣은 후 수행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공정(S5)에서, 판재는 공정(S1)에 제공되는 한지에 표현된 글씨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판재에는 다양한 색상이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단위조각체들이 도려내어져 절개공이 형성된 한지와 상기 판재는 테이프에 의해 고정되며, 맥간의 글씨부분을 판재 측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맥간의 글씨부분가 판재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정(S6)은, 판재에 고정된 한지와, 판재에 부착된 글씨부분을 제외한 제 3 단위조각체를 제거한 후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맥간을 이용해 글씨를 표현한 서예 작품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작품세계와 미래를 준비하는 서화가들에게 새로운 창작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맥간(麥稈), 즉 밀짚 줄기 또는 보릿짚 줄기를 이용해 글씨를 표현한 서예 작품을 제작할 수 있게 하려는 것으로, 하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제 1 공정: 한지 및 맥간부재 준비(S1)
본 발명에 따른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한지 및 맥간부재를 준비한다.
제 1 공정(S1)에서 한지는 먹을 찍은 붓으로 글씨를 쓸 수 있는 통상의 화선지 등이 준비되며, 한지에는 최종적으로 제작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서예 작품의 글씨와 동일한 글씨가 전술한 바와 같이 먹을 찍은 붓을 이용해 표현된다.
바람직하게는, 한지에 표현되는 글씨의 글씨체는 서화가(書畵家)의 사상(思想)이 담긴 순수 창작물 일 수 있다.
한편, 맥간부재는 평평하게 펼쳐진 맥간의 이면이 양면테이프의 접착층 일측에 부착된 형태로 준비된다.
즉, 맥간부재는 하부에서 상부 측으로 양면테이프 및 맥간이 적층된 형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는 맥간을 전술한 바와 같이 평평하게 펼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례로, 원통형상의 맥간을 펼치는 방법으로는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는 맥간의 일측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후 맥간의 내부에 심봉을 게재시킨 상태 하에서 맥간의 외부를 문지르면 원통형상의 맥간은 평평하게 펼쳐지는데, 이때 맥간의 내부는 맥간의 이면을 형성하고 맥간의 외부는 맥간의 표면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펼쳐진 맥간들은 맥간 표면의 결 방향이 동일하게 양면테이프에 부착되거나, 맥간 표면의 결 방향이 다르게 양면테이프에 부착될 수 있다.
제 2 공정: 제 1 단위조각체 형성(S2)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공정(S1)에서 한지 및 맥간부재가 준비되면, 다음으로 맥간부재를 구성하는 맥간의 표면을 한지의 이면에 부착시킨 후, 한지에 표현된 글씨의 윤곽을 따라 서로 부착된 한지와 맥간부재를 도려내어 하나 이상의 제 1 단위조각체들을 형성한다.
제 2 공정(S2)에서 맥간부재를 구성하는 맥간의 표면과 한지의 이면은 통상의 풀칠에 의해 부착된다.
또한 제 2 공정(S2)에서 제 1 단위조각체들은 한지에 표현된 글씨의 윤곽을 따라 안내되는 통상의 칼날에 의해 서로 부착된 한지 및 맥간부재에서 도려내어지며, 도려내어진 제 1 단위조작체들은 하부에서 상부 측으로 양면테이프, 맥간 및 한지가 적층된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제 1 단위조각체들이 도려내어진 한지, 즉 제 1 공정(S1)에서의 제공된 한지에는 각각의 제 1 단위조각체들에 대응하는 절개공들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의 제 1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한지에는 제 1 공정(S1)에서의 한지에 표현된 글씨 중 어느 하나 또는 글씨 전부가 도려내어질 수 있다.
제 3 공정: 제 2 단위조각체 형성(S3)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공정(S2)에서 제 1 단위조각체들이 형성되면, 다음으로 제 1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한지에 표현된 글씨의 테두리를 따라 칼집(가느다랗고 길게 에어낸 틈)을 형성한 후, 제 1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한지를 제거하여 제 2 단위조각체들을 형성한다.
제 3 공정(S3)에서 칼집은 한지에 표현된 글씨의 내측 및 외측 테두리를 따라 안내되는 통상의 칼날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칼집은 제 1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양면테이프의 이형지까지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제 3 공정(S3)에서 제 1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던 한지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예로 제 1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한지에 수분을 공급하고, 한지가 눅눅해져 맥간부재와의 접착력이 약해지면 제 1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한지를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 2 단위조각체들은 제 1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던 한지가 제거됨에 따라 하부에서 상부 측으로 양면테이프 및 맥간이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데, 이때 매각에는 전술한 칼집에 의해 글씨부분와 글씨부분을 제외한 잉여부분으로 분할되어지고, 마찬가지로 양면테이프의 접착층 및 양면테이프의 이형지 또한 글씨부분과 잉여부분으로 분할되어진다.
제 4 공정: 제 3 단위조각체 형성(S4)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공정(S3)에서 제 2 단위조각체들이 형성되면, 다음으로 제 2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양면테이프의 이형지에서 글씨부분만을 걷어내어 제 3 단위조각체들을 형성한다.
제 4 공정(S4)에서는 제 3 공정(S3)에서 형성된 칼집에 의해 양면테이프에서 글씨부분에 해당하는 이형지만을 용이하게 걷어낼 수 있으며, 이렇게 양면테이프에서 글씨부분에 해당하는 이형지만을 걷어내더라도 맥간의 글씨부분은 양면테이프의 접착층의 점착력에 의해 제 3 단위조각체에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제 3 단위조각체는 제 3 공정(S3)에서 형성되는 제 2 단위조각체와 마찬가지로 하부에서 상부 측으로 양면테이프 및 맥간이 적층된 형태를 가지되, 전술한 바와 같이 이형지의 글씨부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맥간의 글씨부분의 이면에는 양면테이프의 접착층만이 부착되어 지고, 맥간의 글씨부분에 부착된 접착층의 타측은 후술하는 제 5 공정(S5)에서 판재에 부착될 수 있도록 노출되어 진다.
제 5 공정: 판재에 맥간 부착(S5)
전술한 바와 같이 제 4 공정(S4)에서 제 3 단위조각체들이 형성되면, 다음으로 제 2 공정(S2)에서 제 1 단위조각체들이 도려내어져 절개공이 형성된 한지를 판재에 고정시키고, 제 1 단위조각체들이 도려내어진 절개공에 대응하는 제 3 단위조각체들을 맞춰 넣은 후, 맥간의 글씨부분을 판재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제 5 공정(S5)에서 절개공이 형성된 한지와 판재의 고정은 통상의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5 공정(S5)에서의 판재는 제 1 공정(S1)에서 제공되는 한지에 표현된 글씨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도록 제공되되, 판재에는 다양한 색상이 도포되어 제공된다.
판재는 1㎝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판재의 두께가 1㎝ 미만이면 후술하는 제 6 공정(S6)에서 판재가 뒤틀리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판재의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판재는 목재, 종이, 합성수지, MDF 등일 수 있다.
한편, 제 5 공정에서 판재에 맥간의 글씨부분을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맥간의 글씨부분을 판재 측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부착된다.
제 6 공정: 맥간이 부착된 판재 표면에 보호피막 형성(S6)
제 5 공정(S5)에서 맥간의 글씨부분이 판재에 부착되면, 다음으로 판재에서 한지 및 제 3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맥간의 잉여부분과 양면테이프의 잉여부분을 제거한 후, 맥간의 글씨부분이 부착된 판재의 표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을 완성시킨다.
제 6 공정(S6)에서 한지 및 제 3 단위조각체의 잉여부분을 판재의 표면에서 제거하면 판재에는 제 1 공정(S1)에서 서화가 한지에 써 내려간 글씨와 동일한 맥간 글씨부분만이 남아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 하에서 판재에 표면에 보호피막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6 공정에서 보호피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례로, 보호피막을 투명 에폭시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투명 에폭시수지를 도포한 후 투명 에폭시수지가 경화되도록 건조시키는데, 이러한 과정을 7~8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보호피막은 잘 부서지는 맥간의 보호할 뿐만 아니라 맥간 표면의 색이 변하는(황변현상) 것을 방지해 준다. 마지막으로 표구에 의해 액자틀 속에 넣어 줌으로서 작품의 손상을 막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서예 작품은 맥간을 이용해 글씨를 표현한 서예 작품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작품세계와 미래를 준비하는 서화가들에게 새로운 창작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7)

  1. 서예 작품 제작방법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제작되는 상기 서예 작품의 글씨와 동일한 글씨가 먹을 찍은 붓으로 표현된 한지와, 펼쳐진 맥간의 이면이 양면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접착층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맥간부재를 준비하는 공정(S1);
    풀칠을 이용해 상기 맥간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맥간의 표면을 상기 한지의 이면에 부착시킨 후, 상기 한지에 표현된 글씨의 윤곽을 따라 서로 부착된 상기 한지와 상기 맥간부재를 도려내어 하나 이상의 제 1 단위조각체들을 형성하면서 상기 한지에는 도려내어진 상기 제 1 단위조각체들에 의해 절개공들이 형성되는 공정(S2);
    상기 제 1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한지부분에 표현된 글씨의 테두리를 따라 칼집을 형성한 후, 상기 제 1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상기 한지부분에 수분을 공급해 상기 한지부분이 눅눅해지면 상기 한지부분을 제거하여 제 2 단위조각체들을 형성하는 공정(S3);
    상기 제 2 단위조각체를 구성하는 양면테이프의 이형지의 글씨부분만을 걷어내어 제 3 단위조각체들을 형성하는 공정(S4);
    상기 제 3 단위조각체들의 맥간 글씨부분을 판재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공정(S5); 및
    상기 맥간의 글씨부분이 부착된 판재의 표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여 상기 서예 작품을 완성시키는 공정(S6);을 포함하며,
    상기 공정(S1)에서의 상기 글씨의 글씨체는 서화가의 사상이 담긴 순수 창작물이고,
    상기 공정(S5)는,
    상기 공정(S2)에서 상기 제 1 단위조각체들이 도려내어져 상기 절개공이 형성된 상기 한지를 테이프를 이용해 상기 판재에 고정시키고, 상기 절개공에 대응하는 상기 제 3 단위조각체들을 맞춰 넣은 후 상기 맥간의 글씨부분을 상기 판재 측으로 가압하여 부착시키되, 상기 판재는 상기 공정(S1)에 제공되는 한지에 표현된 글씨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판재에는 다양한 색상이 도포되는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정(S3)에서,
    상기 칼집은 칼날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칼집은 상기 양면테이프의 상기 이형지까지 형성되는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정(S6)은,
    상기 판재에 고정된 상기 한지와, 상기 판재에 부착된 글씨부분을 제외한 상기 제 3 단위조각체를 제거한 후 수행되는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
KR1020160163169A 2016-12-02 2016-12-02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 KR101718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69A KR101718135B1 (ko) 2016-12-02 2016-12-02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69A KR101718135B1 (ko) 2016-12-02 2016-12-02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135B1 true KR101718135B1 (ko) 2017-03-20

Family

ID=5850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169A KR101718135B1 (ko) 2016-12-02 2016-12-02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699A (ko) 2017-07-28 2019-02-11 이성재 보릿대 공예품 제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011U (ko) * 2008-01-07 2009-07-13 이상수 보릿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KR20130141953A (ko) * 2012-06-18 2013-12-27 전경옥 리프아트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011U (ko) * 2008-01-07 2009-07-13 이상수 보릿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KR20130141953A (ko) * 2012-06-18 2013-12-27 전경옥 리프아트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699A (ko) 2017-07-28 2019-02-11 이성재 보릿대 공예품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557B2 (en) Gel nail sticker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CN101049791A (zh) 一种麦秆画的制作方法
KR101718135B1 (ko) 맥간을 이용한 서예 작품 제작방법
CN101157321A (zh) 立体布艺年画及其制作方法
CN103407317A (zh) 瓷砖彩雕喷绘工艺及其制品
KR200324789Y1 (ko) 에어층을 갖는 입체 스티커
CN101638024B (zh) 水晶画及其制作方法
CN102248849B (zh) 彩色剪纸创意工艺画的制作方法
CN201989548U (zh) 一种激光镂空贴画
CN101100155B (zh) 一种布棉画的制作方法
CN207711632U (zh) 一种diy贺卡套装
CN203185962U (zh) 一种玉石雕刻粘贴画
KR20170062143A (ko) 맥간공예용의 맥간시트의 제조방법
KR101370854B1 (ko) 리프아트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CN206999752U (zh) Ab胶印刷结构
US1927546A (en) Plastic art and the product thereof
US20130334093A1 (en) Decorative craft kits
CN210278263U (zh) 一种卡通上色玩具
JP3194242U (ja) 絵画
CN201048494Y (zh) 一种花盆
KR200176515Y1 (ko) 치장용 스티커 시트
JPS6331612Y2 (ko)
CN104325830A (zh) 一种拼布画组合及其制作方法
JP2004066646A (ja) ちぎり絵制作用の台紙およびその台紙を使用したちぎり絵の制作方法
JP3204687U (ja) 壁装飾用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