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694B1 - 이동 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694B1
KR101717694B1 KR1020100110426A KR20100110426A KR101717694B1 KR 101717694 B1 KR101717694 B1 KR 101717694B1 KR 1020100110426 A KR1020100110426 A KR 1020100110426A KR 20100110426 A KR20100110426 A KR 20100110426A KR 101717694 B1 KR101717694 B1 KR 101717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data communic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930A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6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전화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로 데이터 이용량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랜을 이용한 무료 데이터 서비스 이용 지역을 벗어나 이동전화망을 통한 유료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경우 그 전환 사실과 데이터 이용량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통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랜망과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에 이동 전화망으로 핸드 오버되는 이동 단말과; 상기 무선랜망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계속하여 제공하는 이동 전화망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전화망은,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형태에 따라 데이터 통신 서비스 종류 전환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장치 및 그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이동 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for using data communication service via mobile phone network}
본 발명은 이동 전화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로 데이터 이용량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랜을 이용한 무료 데이터 서비스 이용 지역을 벗어나 이동전화망을 통한 유료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경우 그 전환 사실과 데이터 이용량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통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음성 통신 서비스는 물론 스마트폰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스마트폰을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는 무선랜(Wi-Fi) 존에서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무선 랜 존을 벗어난 지역에서는 이동전화망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 스마트폰 등 이동 단말에 제공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는 무선랜 존에서 이동전화망으로 단말이 이동할 경우 무선랜망과 이동전화망 사이에 핸드 오버가 수행되고, 이동전화망으로 핸드 오버된 단말은 이동 전화망에서 제공하는 유료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자의 부지불식간에 자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유료 서비스로의 전환이 이용자가 모르는 상태에서 발생할 경우 이용자가 생각지도 않았던 서비스 이용료를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자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자체에 이동전화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차단 기능을 설치하고, 무선랜 존에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이동전화망 존으로 이동할 경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이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더라도 단말 사용자가 사전에 데이터 서비스 차단 기능을 설정해 놓지 않은 경우에는 위에서 언급한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한 유료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없었고,
또한, 유료로라도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연속적으로 이용하려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을 통하여 무선랜을 이용한 무료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지역을 벗어나 이동전화망을 통한 유료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경우 그 전환 사실과 데이터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통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유료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데이터 통신 서비스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통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일 양태로서, 무선랜망과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에 이동 전화망으로 핸드 오버되는 이동 단말과; 상기 무선랜망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계속하여 제공하는 이동 전화망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전화망은,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형태에 따라 데이터 통신 서비스 종류 전환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장치가 제시된다.
한편, 상기 이동 전화망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 발생 정보를 과금정책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교환기와; 핸드 오버된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가입자정보저장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에 따라 서비스 종류 전환 통지를 위한 단문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를 단문메시지센터로 전송하는 과금정책처리장치와;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저장장치와;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로부터의 단문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에 따라 서비스 종류 전환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문메시지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에는 서비스 이용의 한도가 정해진 경우, 무한대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서비스 이용의 한도가 정해진 경우에 서비스 종류 전환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양태로서, 이동전화망과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에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전화망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전화망은,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형태에 따라 데이터 이용량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장치가 제시된다.
한편, 상기 이동 전화망은,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접속한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정보를 과금정책처리장치에 전송하는 교환기와;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가입자정보저장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에 따라 데이터 이용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 이용량을 포함하는 단문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를 단문메시지센터로 전송하는 과금정책처리장치와;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저장장치와;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로부터의 단문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에 따라 서비스 이용량을 통지하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문메시지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에는 서비스 이용의 한도가 정해진 경우, 무한대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서비스 이용의 한도가 정해진 경우에 데이터 이용량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는, 현재 접속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 제공되는 데이터양을 검출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이전의 누적 이용량에 현재 접속 상태에서 검출된 데이터양을 누적 합산하고, 누적 합산된 값이 데이터 이용 한도량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경우 그 비율값을 포함한 단문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를 상기 단문메시지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누적 합산된 값이 데이터 이용 한도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에서는 상기 교환기로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차단을 요청하고, 상기 단문메시지센터로 서비스 이용 차단 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교환기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로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차단하고, 상기 단문메시지센터에서는 서비스 이용 차단을 통지하는 단문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종료되면,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에서는 현재까지의 누적 합산량을 상기 가입자정보저장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가입자정보저장장치에서는 전송받은 누적 합산량을 이전의 누적 이용량으로 갱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에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이 무선랜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에 이동 전화망으로 핸드오버되는 단계; 상기 이동 전화망에서 핸드오버된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이동 전화망에서 상기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로 서비스 종류 전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방법이 제시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는 서비스 이용의 한도가 정해진 경우, 무한대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서비스 이용의 한도가 정해진 경우에 서비스 종류 전환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종류 전환 메시지는 단문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에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에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동 전화망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이동 전화망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이동 전화망에서 상기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에 따라 현재 데이터 이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이용량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방법이 제시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이용량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에 데이터 이용량 한도가 정해져 있음을 판단하고, 현재 접속 상태에서의 데이터 이용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 이용량을 이전의 누적 이용량에 합산하고, 합산된 현재의 누적 이용량이 데이터 이용 한도량의 일정 비율에 도달할 경우 상기 데이터 이용량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합산된 현재의 누적 이용량이 데이터 이용 한도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전화망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로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제공을 차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 데이터 통신 차단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을 통하여 무선랜을 이용한 무료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지역을 벗어나 이동전화망을 통한 유료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경우 그 전환 사실과 데이터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유료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데이터 통신 서비스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통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망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통신 이용 정보 메시지가 이동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망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무선랜망(200) 또는 이동전화망(300)과 무선 접속되어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40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100)과; 상기 이동 단말(100)과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동 전화망(300)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100)에 대한 핸드 오버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랜망(200)과; 상기 이동 단말(100)과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무선랜망(200)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100)에 대한 핸드 오버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 전화망(300)과; 상기 무선랜망(200) 또는 상기 이동 전화망(300)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IMS망(40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이 포함된다.
상기 무선랜망과 상기 이동전화망 간의 핸드 오버에 관한 기술 및 상기 이동 단말을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에 관한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시스템은 상기 이동전화망(300)과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100)과; 상기 이동 단말과 무선 접속하기 위한 기지국(310)과; 상기 기지국(310)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제어기(RNC)(320)와; 상기 기지국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랜망(200)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100)에 대한 핸드 오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과금정책처리장치(PCRF,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350)에 전송하는 교환기(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330)와; IMS망(400)과의 통로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340)와; 상기 게이트웨이(340)와 연결되고, 특정 이동 단말에 대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에 대해 과금하는 과금정책처리장치(PCRF)(350)와;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와 연결되고 가입자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로 전송하는 가입자정보저장장치(SPR, 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360)와;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로부터 단문메시지생성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문메시지센터(SMSC)(37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기지국(310)과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또한, 상기 단문메시지센터(370)에서 작성한 단문메시지를 이동 전화망을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기지국(310)은 상기 이동 단말(100)과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제어기(320)는 자신에게 소속된 기지국을 관리한다.
상기 기지국제어기(320)와 교환기(330) 간에는 Iu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고, 세션 생성/수정/삭제 등과 같은 제어메시지는 RANAP프로토콜이 이용되고, 생성된 세션을 통해 송수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에는 GTP-U 프로토콜이 이용된다.
상기 교환기(330)는 상기 무선랜망(200)과 연결되고, 상기 무선랜망에서 이동 전화망으로 이동하게 되는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 정보를 상기 무선랜망(200)으로부터 전송받고, 전송받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 발생 정보를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교환기(330)는 상기 이동 단말(100)로부터 IMS망(400) 상의 특정 서버로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데이터 통신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교환기(330)는 HLR(Home Location Register)(미도시)과 연결되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340)는 상기 이동전화망(300)과 상기 IMS망(400)과의 연결 통로 역할을 하고,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와 연동하여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IMS 망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경유한 데이터량을 검출한다.
즉, 상기 게이트웨이(340)는 통과하는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량과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될 이동 단말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에 전송한다.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는 상기 게이트웨이(340)로부터 전송받은 이동 단말 정보 및 데이터량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동 단말의 현재 데이터 통신 접속에 대한 데이터 이용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데이터 이용량 검출 모듈(352)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이용량 검출 모듈(352)은 가입자정보저장장치(360)로부터 전송받은 현 데이터 통신 접속 전까지의 이전의 누적 이용량에 현 데이터 통신 접속을 통해 이용한 데이터량을 누적 합산하고, 그 누적 합산량이 월 한도량을 초과하였는지 여부 또는 월 한도량에 대한 설정된 비율(예컨대, 70%, 80% 등) 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단문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를 상기 단문메시지센터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 단말 또는 핸드 오버된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전송받고 이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종류 전환을 위한 단문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문메시지센터(370)로 전송한다.
상기 가입자정보저장장치(360)는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저장한다. 즉, 월 데이터 통신 이용 한도량에 대한 정보, 무한대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무한대 이용 정보, 이전까지의 누적 이용량 등을 저장하였다가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단문메시지센터(370)는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로부터 단문메시지 생성 요청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 단말(100)에서 데이터 통신 서비스망에 접속한다(S302).
다음으로, 접속된 데이터 통신 서비스망이 무선랜망일 경우(S304), 상기 이동 단말이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도중에 무선랜망 서비스 존을 벗어나 이동 전화망 서비스 존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무선랜망과 상기 이동전화망 사이에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가 수행된다(S306).
다음으로,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 정보를 전송받은 이동 전화망의 교환기(330)는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로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 발생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 통신 이용 형태 정보를 상기 가입자정보저장장치(360)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에서는 상기 전송받은 데이터 통신 이용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가 월 이용 한도량의 조건을 갖는 경우이면(S308), 데이터 통신 서비스 종류 전환 메시지의 생성 요청 신호를 상기 단문메시지센터(370)로 전송하고, 상기 단문메시지센터(370)에서는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 통신 서비스 종류 전환 메시지의 생성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통신 서비스 종류 전환을 통지하기 위한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S310).
상기 S308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가 데이터 통신 무한대 이용 가입자인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전환 종류 전환을 이동 단말로 통지할 필요없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종료시까지 진행하게 된다(S309).
또한, 상기 S304 단계에서 접속한 망이 이동 전화망일 경우에는, 이동 전화망의 교환기는 접속한 이동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로 전송하고,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상기 가입자정보저장장치(360)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에서는 상기 전송받은 데이터 통신 이용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가 월 이용 한도량의 조건을 갖는 경우이면(S305), 아래의 데이터 이용량 메시지 통지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S305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가 데이터 통신 무한대 이용 가입자인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를 이동 단말로 통지할 필요없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종료시까지 진행하게 된다(S309).
다음으로, 상기 이동 단말(100)이 이동 전화망(300)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도중에, 상기 이동 전화망(300)의 과금정책처리장치(350)에서는 상기 게이트웨이(340)을 통해 이동 단말에 제공되는 데이터량을 검출하여, 상기 가입자정보저장장치(360)로부터 전송받은 이전의 누적 이용량에 검출된 상기 데이터량을 합산하고(S312), 현재의 누적 합산량이 월 한도량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314).
다음으로, 상기 S314 단계에서 월 한도량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현재의 누적 합산량이 월 한도량의 일정 비율(예컨대, 월 한도량의 70%, 80%, 90% 등)일 경우,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에서 상기 단문메시지센터(370)로 일정 비율로 이용중임을 알리는 데이터 이용량 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단문메시지센터에서는 데이터 이용량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S316).
다음으로, 위 S314 단계에서 현재의 누적 합산량이 한도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에서 상기 교환기(330)로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데이터 통신 차단 신호를 전송하고, 교환기(330)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로의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고(S316),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에서 상기 단문메시지센터로 서비스 이용 차단 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단문메시지 센터에서는 서비스 이용 차단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위 S312 내지 S320 단계는 이동 단말과의 현재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이 종료할 때까지 반복된다.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종료되면(S322),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350)에서는 상기 가입자정보저장장치(360)로 서비스 종료시까지 합산된 서비스 이용 데이터량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가입자정보저장장치(360)에서는 해당 가입자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 누적 데이터량으로 갱신 저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통신 이용 정보 메시지가 이동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서비스 종류 전환 통지 메시지의 예이고, 도 4의 (b)는 월 한정량의 일정 비율만큼 사용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의 예이고, 도 4의 (c)는 서비스 이용 한도량이 초과하여 서비스가 차단된 후 서비스 차단 통지 메시지의 일 예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위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위 실시예를 바탕으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하거나 치환할 수 있는 것에도 미치며,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을 통하여 무선랜을 이용한 무료 데이터 서비스 이용 지역을 벗어나 이동전화망을 통한 유료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경우 그 전환 사실과 데이터 이용량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통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데이터 통신 서비스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 이동 단말 200 : 무선랜망
300 : 이동전화망 400 : IMS망
310 : 기지국 320 : 기지국제어기
330 : 교환기 340 : 게이트웨이
350 : 과금정책처리장치 360 : 가입자정보저장장치
370 : 단문메시지센터

Claims (8)

  1. 무선랜망과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에 이동 전화망으로 핸드 오버되는 이동 단말과;
    상기 무선랜망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계속하여 제공하는 이동 전화망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전화망은,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형태에 따라 데이터 통신 이용 정보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 전화망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 발생 정보를 과금정책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교환기와;
    핸드 오버된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가입자정보저장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 이용 정보 통지를 위한 단문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를 단문메시지센터로 전송하는 과금정책처리장치와;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저장장치와;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로부터의 단문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통신 이용 정보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문메시지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이용 정보 단문메시지는,
    서비스 종류 전환 통지 단문메시지, 또는 데이터 이용량 통지 단문메시지, 또는 데이터 이용 한도량 초과 통지 단문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에는 서비스 이용의 한도가 정해진 경우, 무한대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서비스 이용의 한도가 정해진 경우에 서비스 종류 전환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장치.
  4.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에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이 무선랜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에 이동 전화망으로 핸드오버되는 단계;
    상기 이동 전화망에서 핸드오버된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이동 전화망에서 상기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로 데이터 통신 이용 정보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전화망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 발생 정보를 과금정책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교환기와;
    핸드 오버된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가입자정보저장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 이용 정보 통지를 위한 단문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를 단문메시지센터로 전송하는 과금정책처리장치와;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저장장치와;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로부터의 단문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통신 이용 정보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문메시지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는 서비스 이용의 한도가 정해진 경우, 무한대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서비스 이용의 한도가 정해진 경우에 서비스 종류 전환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방법.
  6.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에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에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동 전화망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이동 전화망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이동 전화망에서 상기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에 따라 현재 데이터 이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이용량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전화망은,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접속한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정보를 과금정책처리장치에 전송하는 교환기와;
    상기 이동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가입자정보저장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에 따라 데이터 이용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 이용량을 포함하는 단문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를 단문메시지센터로 전송하는 과금정책처리장치와;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저장장치와;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로부터의 단문메시지 생성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이용량을 통지하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문메시지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이용량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서비스 이용 형태 정보에 데이터 이용량 한도가 정해져 있음을 판단하고,
    현재 접속 상태에서의 데이터 이용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 이용량을 이전의 누적 이용량에 합산하고,
    합산된 현재의 누적 이용량이 데이터 이용 한도량의 일정 비율에 도달할 경우 상기 데이터 이용량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합산된 현재의 누적 이용량이 데이터 이용 한도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전화망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로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제공을 차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 데이터 통신 차단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방법.
KR1020100110426A 2010-11-08 2010-11-08 이동 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717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426A KR101717694B1 (ko) 2010-11-08 2010-11-08 이동 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426A KR101717694B1 (ko) 2010-11-08 2010-11-08 이동 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930A KR20120048930A (ko) 2012-05-16
KR101717694B1 true KR101717694B1 (ko) 2017-03-17

Family

ID=4626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426A KR101717694B1 (ko) 2010-11-08 2010-11-08 이동 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557B1 (ko) * 2015-03-26 2016-10-26 주식회사 케이티 와이파이 활성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그리고 이동 통신 데이터 네트워크 활성화 방법
KR101707331B1 (ko) * 2015-10-28 2017-02-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방식 전환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7195361A1 (ja) 2016-05-13 2017-11-16 楽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情報処理システム
CN108769443B (zh) * 2018-05-30 2021-04-09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防止无效服务扣费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7506A1 (en) * 2008-07-18 2010-01-2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data and bandwidth usa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474B1 (ko) * 2005-08-05 2011-10-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와이브로 시스템과 cdma 시스템 간의 sip 메시지를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7506A1 (en) * 2008-07-18 2010-01-2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data and bandwidth us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930A (ko)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09171A (zh) 通信系统、节点装置、通信方法和程序
KR101717694B1 (ko) 이동 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정보 통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02527A (ko)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이동통신단말기
EP2658236B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device
JP200817783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課金制御方法
JP5444204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機、関門交換機及び通信方法
JP2009260529A (ja) 通信料金管理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装置
CN100413352C (zh) 基于热计费业务发送话费信息的方法及系统
JP5749000B2 (ja) 移動通信端末及び端末制御方法
KR101652316B1 (ko) 로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로밍 서비스 장치 및 로밍 단말
JP2009284011A (ja) パケット転送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転送方法
KR101452413B1 (ko) 패킷 한도 만료 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148135A (zh) 语音呼叫业务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KR101691215B1 (ko) 이동 단말기의 한도설정 시스템, 한도설정 서버 및 그 한도설정 방법
KR101223076B1 (ko)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
KR101587034B1 (ko) 영역을 기반으로 차등적으로 통신요금을 과금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54447B1 (ko) 보호자 동의를 전제로 한 콜렉트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1068760B1 (ko) 억세스 포인트 인접 지역에서 발신하는 경우 할인 과금방법 및 시스템
CN103906026A (zh) 计费方法、装置和系统
KR101971120B1 (ko) 데이터 호 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28284B1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별 이용료 산출 및 공지 방법
KR100621333B1 (ko) 호 단절 감지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816444B1 (ko) 무선환경 감지에 따른 점검 메시지 통보 방법 및 시스템
JP2006115047A (ja) 無線通信端末、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移動中通信警告方法
KR101474258B1 (ko) 로밍중계서버 및 그에 의한 국제 로밍 시 문자메시지의 정액 요금제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