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014B1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및 자동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및 자동 편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7014B1 KR101717014B1 KR1020160048882A KR20160048882A KR101717014B1 KR 101717014 B1 KR101717014 B1 KR 101717014B1 KR 1020160048882 A KR1020160048882 A KR 1020160048882A KR 20160048882 A KR20160048882 A KR 20160048882A KR 101717014 B1 KR101717014 B1 KR 1017170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deo
- sequence
- video sequence
- original
- original video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6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53 supple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06 flow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50 mo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92 diminish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5—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04N21/811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comprising music, e.g. song in MP3 forma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생성례를 도시하는 비디오 컨텐츠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생성례를 도시하는 비디오 컨텐츠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이용한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생성례를 도시하는 비디오 컨텐츠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비디오 컨텐츠를 이용한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생성례를 도시하는 비디오 컨텐츠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표 재생시간 설정에 따른 정적 프레임의 제거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경음악 설정에 따른 정적 프레임의 제거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비디오 컨텐츠를 이용한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생성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료화면을 이용한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생성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110 :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120 : 프레임 이미지 처리 모듈
122 : 추가 비디오 시퀀스 추출 모듈
124 : 자료화면 입력 모듈 130 :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
132 : 비디오 프레임 제거 모듈 134 : 재생시간 설정 모듈
136 : 배경음악 설정 모듈 140 :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
142 : 비디오 시퀀스 제거 모듈 144 : 추가 비디오 시퀀스 삽입 모듈
146 : 자료화면 삽입 모듈 148 : 재생모드 변경 모듈
149 : 화면 전환 효과 모듈 150 :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저장 모듈
Claims (40)
- 삭제
-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하나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 및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상기 비디오 시퀀스들 및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은, 상기 프레임들 별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는 촬영 객체를 검출하는 프레임 이미지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은, 상기 프레임 이미지 처리 모듈의 의해 검출된 상기 촬영 객체를 기준으로 연속적인 프레임들을 하나의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하나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 및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상기 비디오 시퀀스들 및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은, 카메라 이동 중 촬영된 프레임들 또는 카메라 회전 중 촬영된 프레임들인 카메라 조정 프레임들을 검출하는 프레임 이미지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은, 상기 프레임 이미지 처리 모듈에 의해 검출된 상기 카메라 조정 프레임들을 기준으로 연속적인 프레임들을 하나의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하나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 및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상기 비디오 시퀀스들 및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은, 상기 프레임들 별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는 프레임 이미지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은, 상기 프레임 이미지 처리 모듈에 의해 검출된 촬영 객체를 기준으로 연속적인 프레임들을 하나의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는 제 1 시퀀스 설정 방법, 상기 프레임 이미지 처리 모듈에 의해 검출된 카메라 조정 프레임들을 기준으로 연속적인 프레임들을 하나의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는 제 2 시퀀스 설정 방법, 랜덤한 수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하나의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는 제 3 시퀀스 설정 방법,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으로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을 정의하는 제 4 시퀀스 설정 방법 또는 그 조합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삭제
-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하나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 및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상기 비디오 시퀀스들 및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은,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생성 이후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추가 재배치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를 다시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2차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하나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 및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상기 비디오 시퀀스들 및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은,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생성 이후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추가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새로운 원본 비디오 컨텐츠로서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하나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 및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상기 비디오 시퀀스들 및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상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으로 인식하는 터치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시간의 증감 또는 터치 압력의 증감에 따라 상기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에 포함되는 프레임 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하나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 및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상기 비디오 시퀀스들 및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은, 디바이스 흔들림을 감지하여 상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으로 인식하는 움직임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은, 상기 디바이스 흔들림 시간의 증감 또는 흔들림 세기의 증감에 따라 상기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에 포함되는 프레임 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하나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 및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상기 비디오 시퀀스들 및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은,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시간이 목표 재생시간에 부합하도록 프레임들 중 일부를 제거하는 비디오 프레임 제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은,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목표 재생시간을 설정하는 재생시간 설정 모듈; 및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각 프레임을 분석하여 연속 프레임들 간의 코릴레이션인 프레임 코릴레이션을 연산하는 프레임 이미지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프레임 제거 모듈은, 상기 목표 재생시간에 부합하도록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 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 중 프레임 코릴레이션이 제 1 설정치 이상인 프레임들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은,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오디오 트랙에 포함될 배경음악의 재생시간을 상기 목표 재생시간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은,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오디오 트랙에 포함될 배경음악을 설정하는 배경음악 설정 모듈; 및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각 프레임을 분석하여 연속 프레임들 간의 코릴레이션인 프레임 코릴레이션을 연산하는 프레임 이미지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프레임 제거 모듈은, 상기 배경음악의 연주시간에 부합하도록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 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 중 프레임 코릴레이션이 제 1 설정치 이상인 프레임들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하나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 및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상기 비디오 시퀀스들 및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은, 카메라 이동 중 촬영된 프레임들 또는 카메라 회전 중 촬영된 카메라 조정 프레임들을 검출하는 프레임 이미지 처리 모듈; 및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 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 중 상기 프레임 이미지 처리 모듈의 연산 결과 카메라 이동 중 촬영된 비디오 프레임 또는 카메라 회전 중 촬영된 프레임인 카메라 조정 프레임을 제거하는 비디오 프레임 제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하나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 및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상기 비디오 시퀀스들 및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은,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 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압축 재생하는 방법, 연장 재생하는 방법, 또는 역 재생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랜덤하게 적용하는 재생모드 변경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하나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 및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상기 비디오 시퀀스들 및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은,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가 촬영된 시간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대에 다른 카메라 장치에 의해 촬영된 추가 비디오 컨텐츠를 로딩하여 상기 추가 비디오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의 추가 비디오 시퀀스를 추출하는 추가 비디오 시퀀스 추출 모듈; 및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를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가 촬영된 시간대에 선행 또는 후행하는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교체하거나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가 촬영된 시간대에 인접하게 선행 또는 인접하게 후행하는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의 일부 프레임들과 교체하는 추가 비디오 시퀀스 삽입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 삽입 모듈은,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포함된 제 1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에 포함된 제 2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를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 삽입 모듈은,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포함된 제 1 촬영시간 정보 및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에 포함된 제 2 촬영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를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하나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 및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상기 비디오 시퀀스들 및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은,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가 촬영된 장소에 해당하는 자료화면 비디오 시퀀스를 입력받는 자료화면 입력 모듈; 및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에 상기 자료화면 비디오 시퀀스를 삽입하는 자료화면 삽입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하나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비디오 시퀀스 설정 모듈;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디오 시퀀스 재배치 모듈; 및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상기 비디오 시퀀스들 및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은, 재배치된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시작지점 또는 종료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 화면 전환 효과를 적용하는 화면 전환 효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 삭제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을 수신받아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단일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 및/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에 따른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프레임들 별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는 촬영 객체를 검출하는 제 1 부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제 1 부단계에 의해 검출된 상기 촬영 객체를 기준으로 연속적인 프레임들을 하나의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는 제 2 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을 수신받아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단일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 및/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에 따른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카메라 이동 중 촬영된 프레임들 또는 카메라 회전 중 촬영된 프레임들인 카메라 조정 프레임들을 검출하는 제 3 부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제 3 부단계에 의해 검출된 상기 카메라 조정 프레임들을 기준으로 연속적인 프레임들을 하나의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는 제 4 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을 수신받아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단일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 및/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에 따른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은, 상기 제 4 단계 이후에,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추가 재배치 활성화 입력을 수신받아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를 다시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2차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을 수신받아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단일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 및/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에 따른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은, 상기 제 4 단계 이후에,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추가 편집 활성화 입력을 수신받아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 2 단계 내지 제 4 단계를 수행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을 수신받아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단일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 및/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에 따른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상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으로 수신받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터치 시간의 증감 또는 터치 압력의 증감에 따라 상기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에 포함되는 프레임 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을 수신받아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단일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 및/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에 따른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디바이스의 흔들림을 상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으로 수신 받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디바이스 흔들림 시간의 증감 또는 흔들림 세기의 증감에 따라 상기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에 포함되는 프레임 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을 수신받아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단일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 및/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에 따른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은, 상기 제 1 단계 이후에,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목표 재생시간을 설정하는 제 7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각 프레임을 분석하여 연속 프레임들 간의 코릴레이션인 프레임 코릴레이션을 연산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목표 재생시간에 부합하도록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 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 중 프레임 코릴레이션이 제 1 설정치 이상인 프레임들을 제거하는 제 9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을 수신받아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단일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 및/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에 따른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은, 상기 제 1 단계 이후에,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의 오디오 트랙에 포함될 배경음악을 설정하는 제 10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의 각 프레임을 분석하여 연속 프레임들 간의 코릴레이션인 프레임 코릴레이션을 연산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배경음악의 연주시간에 부합하도록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 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 중 프레임 코릴레이션이 제 1 설정치 이상인 프레임들을 제거하는 제 1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을 수신받아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단일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 및/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에 따른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 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압축 재생하는 방법, 연장 재생하는 방법, 또는 역 재생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랜덤하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을 수신받아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단일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 및/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에 따른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은,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가 촬영된 시간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대에 다른 카메라 장치에 의해 촬영된 추가 비디오 컨텐츠를 로딩하는 제 13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추가 비디오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의 추가 비디오 시퀀스를 추출하는 제 14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를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가 촬영된 시간대에 선행 또는 후행하는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교체하거나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가 촬영된 시간대에 인접하게 선행 또는 인접하게 후행하는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의 일부 프레임들과 교체하는 제 1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
-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5 단계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포함된 제 1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에 포함된 제 2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를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
-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5 단계는,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포함된 제 1 촬영시간 정보 및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에 포함된 제 2 촬영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추가 비디오 시퀀스를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을 수신받아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단일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 및/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에 따른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은,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가 촬영된 장소에 해당하는 자료화면 비디오 시퀀스를 로딩하는 제 16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에 상기 자료화면 비디오 시퀀스를 삽입하는 제 17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편집 활성화 입력을 수신받아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집합을 단일의 원본 비디오 시퀀스로 정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컨텐츠를 제 1 원본 비디오 시퀀스 내지 제 n 원본 비디오 시퀀스(n은 2 이상의 정수)로 구분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적어도 제 k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가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k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에 후행하거나 제 k-1 원본 비디오 시퀀스에 선행하도록 랜덤하게 재배치하여 상기 원본 비디오 시퀀스들 및/또는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들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인 시퀀스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에 따른 재배치 비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시퀀스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이 상기 재배치된 상기 서브셋 비디오 시퀀스의 시작지점 또는 종료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 화면 전환 효과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8882A KR101717014B1 (ko) | 2016-04-21 | 2016-04-21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및 자동 편집 방법 |
PCT/KR2017/003062 WO2017164640A1 (en) | 2016-03-22 | 2017-03-22 |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contents automatically technical field |
US16/087,167 US11438510B2 (en) | 2016-03-22 | 2017-03-22 |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contents automatically technical fiel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8882A KR101717014B1 (ko) | 2016-04-21 | 2016-04-21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및 자동 편집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9575A Division KR101751863B1 (ko) | 2017-03-08 | 2017-03-08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및 자동 편집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7014B1 true KR101717014B1 (ko) | 2017-03-15 |
Family
ID=58402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8882A KR101717014B1 (ko) | 2016-03-22 | 2016-04-21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및 자동 편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701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32839A (ja) * | 2001-01-20 | 2002-08-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ビデオシーケンスのラベルオブジェクト映像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 |
KR20050003690A (ko) * | 2003-07-04 | 2005-01-12 | 주식회사 엠투그래픽스 | 동영상의 자동편집장치와 그 방법 및 동영상자동편집방법이 저장된 기록매체 |
US7627823B2 (en) | 1998-12-28 | 2009-12-01 | Sony Corporation | Video information editing method and editing device |
US8315507B2 (en) | 2006-01-05 | 2012-11-20 | Nec Corporation | Video generation device, video generation method, and video generation program |
US20150131973A1 (en) * | 2013-11-11 | 2015-05-14 | Magisto Ltd.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generation of clips from a plurality of images based on an inter-objects relationship score |
US9058841B2 (en) | 2010-07-15 | 2015-06-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editing video sequences |
-
2016
- 2016-04-21 KR KR1020160048882A patent/KR1017170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627823B2 (en) | 1998-12-28 | 2009-12-01 | Sony Corporation | Video information editing method and editing device |
US7904813B1 (en) | 1998-12-28 | 2011-03-08 | Sony Corporation | Method for editing video information and editing device |
JP2002232839A (ja) * | 2001-01-20 | 2002-08-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ビデオシーケンスのラベルオブジェクト映像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 |
KR20050003690A (ko) * | 2003-07-04 | 2005-01-12 | 주식회사 엠투그래픽스 | 동영상의 자동편집장치와 그 방법 및 동영상자동편집방법이 저장된 기록매체 |
US8315507B2 (en) | 2006-01-05 | 2012-11-20 | Nec Corporation | Video generation device, video generation method, and video generation program |
US9058841B2 (en) | 2010-07-15 | 2015-06-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editing video sequences |
US20150131973A1 (en) * | 2013-11-11 | 2015-05-14 | Magisto Ltd.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generation of clips from a plurality of images based on an inter-objects relationship sco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3851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contents automatically technical field | |
KR101396409B1 (ko) | 동영상 촬영장치 및 그 방법 | |
KR100564893B1 (ko) | 프레임정보 기술방법 및 그 장치, 프레임정보 생성방법 및 그 장치, 특수재생방법 및 그 장치, 특수재생 제어정보 생성장치 및 컴퓨터 독출가능한 기록매체 | |
JP5877895B2 (ja) | 所定の人間を含むビデオサマリー | |
JP5092000B2 (ja) | 映像処理装置、方法、及び映像処理システム | |
EP4195658A1 (en) | Video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CN103026704B (zh) |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集成电路 | |
JP4253139B2 (ja) | フレーム情報記述方法、フレーム情報生成装置及び方法、映像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 |
JP2009529826A (ja) | サムネールイメージ基盤のビデオブラウジング | |
KR20160098949A (ko) | 동영상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KR101812103B1 (ko) | 썸네일이미지 설정방법 및 설정프로그램 | |
US8862974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 |
JP2017538331A (ja) | ビデオキャプチャの処理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 |
US20120301113A1 (en) | Picture editing apparatus and picture editing method | |
JP2006140559A (ja) |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方法 | |
KR20090131220A (ko) |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20120251081A1 (en) | Image editing device, image editing method, and program | |
JP2008131617A (ja) | 映像処理装置 | |
KR101828601B1 (ko)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및 자동 편집 방법 | |
KR100860510B1 (ko) | 모바일 장치에서 시각 효과가 삽입된 슬라이드 쇼의 생성방법 | |
KR102361811B1 (ko)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및 자동 편집 방법 | |
KR101751863B1 (ko)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및 자동 편집 방법 | |
KR101827985B1 (ko)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및 자동 편집 방법 | |
KR101717014B1 (ko) | 비디오 컨텐츠 자동 편집 시스템 및 자동 편집 방법 | |
JP2015126517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8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3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