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826B1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Google Patents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826B1
KR101716826B1 KR1020150113456A KR20150113456A KR101716826B1 KR 101716826 B1 KR101716826 B1 KR 101716826B1 KR 1020150113456 A KR1020150113456 A KR 1020150113456A KR 20150113456 A KR20150113456 A KR 20150113456A KR 101716826 B1 KR101716826 B1 KR 101716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hollow fiber
fiber membrane
dischar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9271A (en
Inventor
노수홍
이종찬
남성현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826B1/en
Publication of KR20170019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2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Abstract

중공사막이 고정된 헤더 내부에서 오염물질이 쌓이고 중공사막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중공사막 모듈의 분리 세척 시, 헤더 내부에 축적되는 오염물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원수가 수용되는 물통에 결합되는 헤더와, 상기 헤더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끝단은 자유단을 이루며 수두에 의해 원수를 여과하는 중공사막, 상기 헤더에 설치되고 물통 내부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중공사막이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헤더 또는 상기 하우징은 원수 또는/및 세척수를 내외로 유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부가 형성된 구조의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It is possible to minimize contamina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due to the accumulation of contaminants inside the header hav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fixed therein and to prevent contamination accumulated in the header whe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separated and washed, A hollow fiber membrane which is connected to the water tube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eader and has a free end and filtering the raw water by the head; a housing, which is installed in the header and extends into the water tube, Wherein the header or the housing has at least one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raw water and / or wash water into and out of the header or the housing.

Description

중공사막 모듈{HOLLOW FIBER MEMBRANE MODULE}[0001]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0002]

본 발명은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세척이 용이한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at is easy to clean.

일반적으로, 분리막 기술은 고분자 재료의 물질 선택투과 성질을 이용한 분리기술의 하나로, 그 형태에 따라 평막, 관상막, 중공사막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separation membrane technology is one of the separation techniques using the material selective permeability of polymer materials, and it is divided into a flat membrane, a tubular membrane, and a hollow fiber membrane depending on the type thereof.

분리막을 이용한 막여과 공정은 기존 수처리 공정에 비해 부지면적을 적게 차지하고, 막의 공칭 공경보다 큰 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안전을 요하는 정수처리 시설에 사용된다. 또한, 분리막 기술은 소규모 모듈화가 가능하여 소규모 수처리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membrane is used for water treatment facility which occupies less area than existing water treatment process and can completely remove material larger than nominal pore size of membrane. In addition, the membrane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a small-scale water treatment by allowing a small-scale modularization.

분리막은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모듈(module)화하여 용도에 따라 선택된다. 이중에서 중공사막은 직경이 0.2~2mm이며 중앙이 비어있는 실관 형태의 중공사를 이용한 것이다. 중공사막은 단위부피당 막면적비가 다른 형식의 분리막에 비하여 크다. 이에, 중공사막은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공사막은 직경이 작으므로 자체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별도의 지지체가 필요 없다는 장점으로 인해 많이 사용된다.The separator is a module which is convenient for use and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Among them, hollow fiber membranes are hollow tubes with a diameter of 0.2 ~ 2 mm and hollow center.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larger than that of membranes having different membrane area ratios per unit volume. Therefore, the hollow fiber membrane has high productivity. In addition, the hollow fiber membranes are often used because they are small in diameter and can maintain their own shape,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support.

그러나, 분리막 모듈은 높은 압력차를 필요로 하므로 분리막의 오염이 가속화되는 문제가 있으며, 부유물질에 의한 막 오염을 줄이기 위해 에너지 소모가 많은 펌프와 블로워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분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고에너지, 고비용이 소요되는 구조로, 전력이 부족한 지역이나 저개발국가의 경우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어 사용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However, since the membrane module requires a high pressure differe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amination of the membrane is accelerated, and a pump and a blower, which have high energy consumption, are required to reduce membrane contamination due to suspended substances. Thus,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conventional membrane module takes a high energy and high cost, and it is difficult to use the water treatment system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maintaining maintenance in a region where power is insufficient or in an underdeveloped country.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물통의 수두압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무동력 수처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막모듈에 부착되는 오염물질을 제대로 세척하지 못한다. 이에, 여과가 지속되는 동안 물의 생산량이 계속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non-powered water treatment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water is filtered using a water head pressure of a water bottle. However, the structure does not properly clean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membrane module. Thu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water production is continuously reduced during filtration.

특히, 중공사막의 선단이 고정되는 헤더 부분에서는 중공사막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오염물질이 상대적으로 더 축적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상기 헤더 부분의 중공사막에 축적된 오염물질은 중공사막을 따라 성장하여 오염을 더욱 가속화시키게 된다. 이에, 중공사막의 오염이 심화되면서 결국 모듈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Particularly, in the header portion where the tip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fixed, the mo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limited, and the pollutant is relatively accumulated more. The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of the header portion grow along the hollow fiber membrane to further accelerate contamination. As a result, the contamina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increas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module is deteriorated.

또한, 중공사막 오염으로 감소된 모듈 성능을 회복하기 위해, 수조로부터 모듈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분리 세척이 주기적으로 진행되나, 종래 구조의 경우 헤더의 중공사막 연결부위는 폐쇄되어 있어서, 세척수의 흐름이 정체되므로 헤더 부분에서는 오염물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결국, 종래 구조의 모듈은 분리 세척으로도 감소된 모듈의 성능을 회복하는 데 한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답변 : 종래 구조를 자세하게 기재할 필요는 없으며 간략하게 서술하는게 바람직합니다.) Further, in order to recover the reduced module performance due to the contamina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s, separate washing for separating and washing the module from the water tank is performed periodically.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n the header is closed, So that it is not easy to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header portion.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odule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has a limitation in restoring the performance of the reduced module even by the separation cleaning. (Answer: It is not necessary to describe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detail, and it is desirable to describe it briefly.)

중공사막이 고정된 헤더 내부에서 오염물질이 쌓이고 중공사막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Provided is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 which contaminants are accumulated in a header having a hollow fiber membrane fixed therein and contamina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can be minimized.

또한, 중공사막 모듈의 분리 세척 시, 헤더 내부에 축적되는 오염물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apable of more easily discharging contaminants accumulated in a header whe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separated and washed.

본 실시예의 중공사막 모듈은, 원수가 수용되는 물통에 결합되는 헤더와, 상기 헤더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끝단은 자유단을 이루며 수두에 의해 원수를 여과하는 중공사막, 상기 헤더에 설치되고 물통 내부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중공사막이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헤더 또는 상기 하우징은 원수나 세척수를 내외로 유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부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eader coupled to a water reservoir in which raw water is received, a hollow fiber membran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header and a free end and filtering raw water by a head, And a header in which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disposed. The header or the housing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outlet for circulating raw water or washing water is formed.

상기 배출부는 상기 헤더 또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let may include an outlet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er or the housing.

상기 배출구는 헤더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원주방향에 대한 폭은 좁은 슬릿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let may be elonga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header and narrow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배출구는 헤더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축방향에 대한 폭은 좁은 슬릿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outlet may be elong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eader and narrower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배출구는 헤더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층으로 적층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layers with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header.

상기 배출구는 마주하는 양 측면이 경사져 형성되어, 헤더 내면에서 외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일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both facing sides are inclined so that th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er surfa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er.

상기 배출구는 헤더 내에 중공사막을 지지하는 고정부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in the header.

상기 배출부는 상기 헤더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원수나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discharge pip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eader for discharging raw water or washing water, and a cap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ipe.

상기 배출관은 헤더 중앙부를 관통해 헤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 선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원수나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배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The discharge pipe may extend through the center of the header and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header axis, and the inner end may be provided with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raw water or washing water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배출홀은 마주하는 양 측면이 경사져 형성되어, 배출관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일 수 있다. The discharge hol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both opposite sides are inclined so that th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상기 배출관은 내측 선단이 점차적으로 중심부로 모아져 원뿔형태로 형성되고 선단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end of the discharge pipe gradually converges to the central portion to be formed into a conical shape, and a hole may be formed at the tip thereof.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 헤더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과 연결되어 처리수가 모이는 콜렉터, 상기 콜렉터에 연결되어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may include a collector installed in the header and connect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to collect the treated water, and a treated water pipe connected to the collector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상기 헤더는 물통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ader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ortion for engagement with the bucke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장치에 의하면, 중공사막의 움직임이 둔한 헤더 내부에서 중공사막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contamina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n the header where the movemen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dull.

또한, 헤더 내부에 쌓이는 오염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 처리할 수 있어, 헤더 내에 오염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ollutant accumulated in the header can be discharged more easily, and the pollutan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posited in the header.

또한, 중공사막 모듈 분리 세척시 배출부가 세척수의 이동 통로가 되어 중공사막과 헤더의 고정부위 주위의 축적된 오염을 보다 깨끗이 세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separated and washed, the discharging part becomes a moving passage of the washing water, so that accumulated dirt around the fixing par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the header can be cleaned more thoroughly.

이에,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수명을 연장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easy to maintain and extend the service life, and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에서 배출구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로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로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중공사막 모듈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분리 세척하였을 때 세척 효과를 종래와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3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harge port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shown in FIG.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cleaning effect whe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eparated and wash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herever possible,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And the like.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이하 본 실시예는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분리막이 중공사막인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압력차이에 의해 원수를 여과하는 분리막이면 모두 적용가능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s an example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paration membrane in which water treatment is performed is a hollow fiber membra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eparation membrane that filters raw water by pressure difference is applicable.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중공사막 모듈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FIG. 1 and FIG. 2 show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3 shows a cross section of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10)은 원수가 수용되는 물통(20)에 결합되는 헤더(40)와, 상기 헤더(40)에 설치되고 물통(20) 내부로 연장되는 하우징(42), 상기 헤더(40)에 설치되고 하우징(42) 내부로 연장되어 압력차에 의한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중공사막(44)을 포함한다.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 includes a header 40 coupled to a water bottle 20 containing raw water and a housing 42 installed in the header 40 and extending into the water bottle 20, And a hollow fiber membrane 44 installed in the header 40 and extending into the housing 42 to perform water treatment by pressure difference.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 헤더(40)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44)과 연결되어 처리수가 모이는 콜렉터(46), 상기 콜렉터(46)에 연결되어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관(48)을 포함한다.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es a collector 46 installed in the header 40 and connect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to collect the treated water and a treatment water pipe 48 connected to the collector 46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

상기 헤더(40)는 물통(20)에 중공사막 모듈(10)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물통(20)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30)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30)는 예를 들어, 물통에 형성된 체결구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모듈이 끼워지는 물통(20) 측면의 체결구에는 상기 체결부의 수나사와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헤더(40)는 물통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헤더(40)을 물통(20)에 결합시키게 되면 헤더(40)가 물통(20) 측면에 밀착되면서 설치되고, 헤더(40)의 내측 선단 및 헤더에 설치된 하우징(42)은 물통(20) 내부로 삽입된다.The header 40 has a coupling part 30 for coupling with the water bottle 20 so that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ter bottle 20. The fastening part 30 may be coupled to, for example, a fastening hole formed in a bucket.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fastening part 30 has a structure in which a male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er. In response, a female screw may be formed on the fastening hole on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20 in which the module is inserted, so as to be fastened to the male screw of the fastening part. Thus, the header 40 can be coupled to the water bottle in a screw-engagement manner. When the header 40 is 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20, the header 4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water container 20. The housing 42 installed at the inner side of the header 40 and the header is connected to the water container 20, .

상기 하우징(42)은 일단이 헤더(40) 선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개방된 원통형태를 이룬다. 상기 하우징(42)은 원통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통이나 다각 단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42)은 중공사막(44)을 감싸 보호한다.One end of the housing 42 is coupled to the tip of the header 40, and the other end is cylindrical. The housing 42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tube or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The housing 42 surrounds and protects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상기 콜렉터(46)는 헤더(40)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콜렉터(46)에 이웃하여 헤더(40) 내부에 중공사막을 고정하는 고정부(47)가 위치한다. 고정부(47)는 중공사막(44)의 일단을 지지하며, 하우징(42) 내부와 콜렉터(46) 사이를 차단한다.The collector (46) is formed inside the header (40). A fixing portion 47 for fix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in the header 40 is located adjacent to the collector 46. The fixing part 47 supports 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and blocks the inside of the housing 42 and the collector 46.

상기 중공사막(44)은 고정부(47)에 일단이 결합되어, 내부통로(45)가 콜렉터(46)와 연통된다. 상기 중공사막(44)은 고정부(47)에 결합되어 헤더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하우징을 따라 연장된다.The hollow fiber membrane 44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xing portion 47 so that the internal passage 45 communicates with the collector 46.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47 and is disposed in the header inner space and extends along the housing.

상기 중공사막(44)은 일단이 고정부(47)에 지지되어 콜렉터(46)에 연통되고 하우징(42)을 따라 연장되며, 타단은 구속되지 않아 자유롭게 유동가능한 자유단을 이룬다. 이에, 적은 운동에너지에도 중공사막(44)이 잘 흔들릴 수 있어 세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The hollow fiber membrane 44 has a free end whose one end is supported by the fixing part 47 and communicates with the collector 46 and extends along the housing 42 while the other end is not constrained and can freely flow. Therefore,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can be shaken even with a small kinetic energy, thereby maximizing the cleaning effect.

상기 헤더(40)의 외측면에는 처리수관(48)이 설치된다. 상기 처리수관(48)은 헤더(40) 내부의 콜렉터(46)에 연통된다. 중공사막(44)에 의해 콜렉터(46)에 모인 처리수는 처리수관(48)을 통해 중공사막 모듈(10)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처리수관(48)은 별도의 호스 등을 설치하여 아래로 길게 연장시킬 수 있다. 아래로 연장된 호스는 사이폰 원리에 의한 흡입압을 중공사막(44)에 가하게 된다. 이에, 중공사막(44)의 유효투과압력을 증가시켜 수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A treatment water pipe (48)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er (40). The treatment water pipe 48 communicates with the collector 46 inside the header 40.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or 46 by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 through the treatment water pipe 48. The treatment water pipe 48 may be extended downward by providing a separate hose or the like. The downwardly extending hose applies the suction pressure by the siphon principle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Accordingly, the effective permeation pressur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can be increased to enhance the water treatment ability.

본 실시예의 중공사막 모듈은 배출부를 구비하여 헤더 내외로 원수 흐름을 형성하고, 중공사막 모듈 세척시 헤더 내외로 세척수가 유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헤더 내부에서 오염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세척 효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discharge portion to form a raw water flow inside and outside the header and a structure in which wash water flows into and out of the header when clean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ly, contaminants can be prevented from accumulating inside the header, and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헤더(40)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 형성되어 원수나 세척수가 유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7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구는 헤더 외에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discharge port 70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er 40 and through which raw water or washing water flows. The outlet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in addition to the header.

상기 배출구(70)는 중공사막 모듈 사용 과정에서 헤더(40) 내외로 유통되는 원수의 흐름을 형성한다. 즉, 물통내의 원수가 헤더 밖에서 배출구를 통해 헤더 내부로 유입되거나 헤더 내부에서 배출구를 통해 헤더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구(70)를 통해 유통되는 원수에 의해 헤더 내부에는 원수의 흐름이 형성된다.The outlet (70) forms a flow of raw water circulating in and out of the header (40) during the us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at is, the raw water in the water tank may be introduced into the header through the outlet outside the header, or may be discharged from the header through the outlet inside the header. The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70 forms a flow of raw water inside the header.

헤더는 중공사막의 일단이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부분으로, 헤더의 내부에서는 중공사막의 움직임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이에, 헤더의 내부 즉, 중공사막의 고정부에서는 중공사막이 거의 흔들리지 않아 오염물질이 축적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이 배출구에 의해 헤더 내부에 원수의 흐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원수의 흐름에 의해 헤더(40) 내부에 오염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중공사막의 세척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 header is a portion where 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fixed by the fixing portion, and the movemen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hardly occurs inside the header. Therefore, at the inside of the header, that is, at the fixed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hardly shaken and contaminants accumulate. 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flow of the raw water inside the header is formed by the discharge port, thereby preventing the contaminants from accumulating in the header 40 by the flow of the raw water and enhancing the cleaning power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또한, 상기 배출구(70)는 중공사막 모듈의 세척시 세척수가 유통되는 통로를 이룬다. 중공사막 모듈 세척시 세척수는 모듈의 상하 운동이나 회전운동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서 배출구(70)를 통해 유통된다. 이와 같은 세척수의 흐름을 통해 하우징 내부의 중공사막 표면에 붙어 있던 슬러지 및 오염물질들이 하우징의 개방된 선단은 물론 배출구(70)를 통해서도 배출처리된다. 따라서, 헤더 내부와 하우징 내부에서의 오염물질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7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when clean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During washing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e washing water flows through the discharge port 70 from inside the housing by up-down movement or rotational movement of the module. Through the flow of the wash water, the sludge and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nside the housing ar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70 as well as the open end of the hous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pollutant cleaning efficiency inside the header and inside the housing.

상기 헤더(40)에 형성되는 배출구(70)는 헤더(40)에 관통 형성된 구멍으로, 헤더(40)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원주방향에 대한 폭은 상대적으로 좁은 사각의 슬릿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축방향은 도 2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하며, 원주방향은 x축 방향을 의미한다. The outlet 70 formed in the header 40 is a hole formed in the header 40 and has a rectangular slit shape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header 40 and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Here, the axial direction means the y-axis direction in Fig. 2,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eans the x-axis direction.

상기 배출구(70)는 헤더(40)의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촘촘히 배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70)의 크기나 형성 개수는 원수의 배출량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헤더(40)의 외주면 전체를 따라 배출구(70)가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헤더(40) 전면에 걸쳐 원수가 배출구(70)를 통해 헤더(40) 내외로 유통된다. 헤더(40) 전체에서 오염물질을 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헤더의 외주면을 따라 배출구(70)의 간격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The outlets 70 may be closely arrang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er 40 at intervals. The size or the number of the discharge ports 70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discharge amount of the raw water. The outlet ports 70 are densely arranged along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er 40 so that the raw water is distribut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eader 40 through the outlet port 70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header 40. The spacing of the discharge ports 7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er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so as to uniformly treat contaminants in the entire header 40. [

상기한 구조 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70)는 헤더(40)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축방향에 대한 폭은 상대적으로 좁은 슬릿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배출구(70)는 축방향인 y축 방향으로는 길이가 짧고 원주방향인 x축 방향으로는 길게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70)는 헤더의 원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헤더(40)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층으로 적층 형성될 수 있다.3, the discharge port 70 may be formed in a slit shape extending lo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eader 40 and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in the axial direction. That is, the discharge port 7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is short in the y-axis dir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elongated in the x-axis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outlet 70 may be continuously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layers spac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header 40.

상기 헤더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각 배출구는 헤더 중심을 향해 관통 형성되거나, 중심축을 지나는 직선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가 한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의 경우 헤더에 배출구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제조에 보다 유리하다.Each outlet formed along the head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formed to penetrate toward the center of the header, or may be formed in one direction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axis.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 one direction, the discharge port can be formed more easily in the header, which is more advantageous in manufacturin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서, 상기 배출구(70)는 헤더(40) 내에 중공사막(44)을 지지하는 고정부(47)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배출구의 일측 선단은 고정부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되고 타측 선단은 대략 하우징 전까지 연장된다. 4, the discharge port 7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xing portion 47 for support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in the header 40, as shown in Fig. One end of the outlet is extended to a position close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approximately the housing.

이와 같이 배출구(70)가 고정부에 근접하여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중공사막의 고정부 근처에서 배출구(70)를 통한 원수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Thus, the discharge port 70 is formed sufficiently long to be close to the fixed portion, so that the flow of the raw water through the discharge port 70 can be formed near the fixed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따라서, 배출구(70)를 통해 유통되는 원수나 세척수의 흐름에 의해 종래 헤더(40) 내부에서 쌓이던 오염물질이나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중공사막(44) 표면의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conventional header 40 or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located in the housing can be easily removed by the flow of raw water or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70 .

도 5는 상기 배출구(70)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출구(70)는 폭을 이루는 마주하는 양 측면이 헤더(40)의 두께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헤더(40) 내면에서 외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Fig. 5 shows a sectional structure of the discharge port 70. Fig. As shown in FIG. 5, the discharge port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widthwise opposite sides are incli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eader 40 so that th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inner surfa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er 40 .

즉, 상기 배출구(70)는 헤더(40)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을 따라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다. 배출구(70)는 헤더(40)의 내측에서 구멍의 폭이 가장 크며, 헤더(40) 외측에서 구멍의 폭이 가장 작다. 따라서, 원수나 세척수가 헤더(40) 내부에서 외부로 흐르면서 헤더(40) 내부에 쌓인 오염물질은 원수나 세척수와 함께 배출구(70)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반면에 헤더(40) 외부에 있는 오염물질은 배출구(70)의 좁은 폭으로 인해 헤더(40) 내부로 유입되기 어렵다. 이에, 물통 속의 오염물질이 헤더(4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헤더(40)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outlet 70 is formed so that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side along the radi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header 40. The outlet 70 has the largest width of the hole inside the header 40 and the smallest width of the hole outside the header 40. Accordingly, as the raw water or the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header 40, the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header 40 can be discharged more easily through the outlet 70 together with the raw water or the washing water. Contaminants outside the header 40, on the other hand, are less likely to enter the header 40 due to the narrow width of the outlet 70. Accordingly, contamination of the header 40 can be minimized by minimizing the inflow of contaminants into the header 40.

도 6은 중공사막 모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이하 실시예에서 본 중공사막 모듈은 배출부의 구조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부는 위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다. 이에,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portion.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는 상기 헤더(4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원수나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관(72)과, 필요에 따라 상기 배출관(72)을 개폐하는 마개(76)를 포함할 수 있다.6, the discharge unit includes a discharge pipe 72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header 40 and discharging raw water or washing water, and a cap 7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ipe 72, if necessary can do.

상기 배출부는 헤더(40) 외주면에 형성되는 배출구(70)와 별도로 헤더 중앙부에 배출관(72)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배출구 없이 배출관(72)만이 설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ipe 72 at a central portion of the header in addition to the discharge port 70 formed 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er 40, and may include only the discharge pipe 72 without a discharge port.

상기 배출관(72)은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내부가 빈 관 형태의 구조물로, 헤더 중앙부를 관통해 헤더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discharge tube 72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n inner hollow tube-like structure and extends in the header axis direction through the center portion of the header.

상기 헤더(40) 외측으로 연장된 배출관(72)의 외측 선단에는 배출관(7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마개(76)가 설치된다. 마개(76)는 배출관(72)을 막거나 개방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그 구조나 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마개(76)가 배출관(72) 선단을 닫은 상태에서는 배출관(72)을 통해 원수나 세척수가 유통되지 않는다. 마개(76)가 개방되면 하우징 내부의 원수나 세척수가 배출관(72)을 통해 밖으로 유통된다. 이에, 중공사막 모듈 세척시에는, 상기 배출관(72)에서 마개(76)를 열어 배출관(72)을 개방하고, 중공사막 모듈 사용시에는 배출관(72)에 마개(76)를 설치하여 배출관(72)을 닫는다.A cap 76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ipe 72 is installed at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pipe 72 extending outside the header 40. The cap 76 is sufficient to block or open the discharge pipe 72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its structure or form. When the cap 76 is closed at the tip of the discharge pipe 72, the raw water or the washing water does not flow through the discharge pipe 72. When the cap 76 is opened, raw water or washing water inside the housing flows out through the discharge pipe 72. Whe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cleaned, the discharge pipe 72 is opened by opening the cap 76 in the discharge pipe 72 and the cap 76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72 whe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used, Lt; / RTI >

상기 배출관(72)의 내측 선단은 헤더(40)의 고정부(47)를 지나 하우징(42) 쪽으로 연장된다. 배출관(72)은 헤더(40) 중앙에 배치되므로 배출관(72)과 헤더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 상에 중공사막(44)이 배치된다. 이에, 상기 배출관(72)의 외주면을 따라 중공사막(44)이 위치한다.The inner tip of the outlet tube 72 extends beyond the fixed portion 47 of the header 40 toward the housing 42. Since the discharge pipe 72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header 40,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is disposed on the space between the discharge pipe 7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er. The hollow fiber membrane 44 is position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tube 72.

본 실시예에서, 헤더(40) 내부로 연장된 상기 배출관(72)의 내측 선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원수나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홀(74)이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discharge hole 74 through which raw water or washing water is discharged is arranged at an interval in the inner front end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72 extending into the header 40 along the peripheral surface.

상기 배출홀(74)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배출홀(74)은 위에서 설명된 배출구와 같이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74)의 크기나 형태 및 형성 개수는 원수의 배출량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The discharge hole 74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discharge hole 74 may be formed in a slit shape like the discharge hole described above. The size, shape and number of the discharge holes 74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discharge amount of the raw water.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출홀(74)은 폭을 이루는 마주하는 양 측면이 배출관(72)의 두께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배출관(72)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7, the discharge hole 74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both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discharge hole 74 are incli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ischarge pipe 72, so that the width of the discharge hole 74 becomes narrower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72 It has a lagging structure.

즉, 상기 배출홀(74)은 배출관(72)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을 따라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형성된다. 배출홀(74)은 배출관(72)의 내측에서 구멍의 폭이 가장 작으며, 배출관(72) 외측에서 구멍의 폭이 가장 크다. 따라서, 세척수가 배출관(72) 외부에서 내부로 흐르면서 헤더나 하우징 내부에 쌓인 오염물질은 원수나 세척수와 함께 배출홀(74)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배출관(72)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반면에 배출관(72) 내부로 이미 배출된 오염물질은 배출홀(74)의 좁은 폭으로 인해 배출관(72) 내부에서 외측으로 다시 나오기 어렵다. 이에, 물통 속의 오염물질이 배출관(72)에서 다시 헤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헤더(40)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discharge hole 74 is formed so that its widt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long the radi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discharge pipe 72. The discharge hole 74 has the smallest width of the hole inside the discharge pipe 72 and the largest width of the hole outside the discharge pipe 72. Accordingly, as the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ipe 72 to the inside, the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header or the housing can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72 more easily through the discharge hole 74 together with the raw water or the washing water. On the other hand, the contaminants already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pipe (72) are difficult to come out from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72) due to the narrow width of the discharge hole (74). Accordingly, contamination of the header 40 can be minimized by restraining the contaminants in the bucket from flowing into the header from the discharge tube 72 as much as possible.

상기 배출홀(74)은 배출관(72) 내외로 유통되는 원수나 세척수의 흐름을 형성한다. 이에, 중공사막 모듈 세척시 세척수는 모듈의 상하 운동이나 회전운동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서 배출홀(74)을 통해 배출관(72) 내부로 유통되어, 배출관(72)을 통해 빠져나가는 흐름이 형성된다. 따라서 중공사막 다발의 오염물질이 내부에 정체되지 않고 세척수의 흐름을 따라 중공사막 모듈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The discharge hole 74 forms a flow of raw water or washing water circulating in and out of the discharge pipe 72. During washing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discharge pipe 72 through the discharge hole 74 in the housing by the vertical movement or rotation of the module, and flows out through the discharge pipe 72. Therefore, the contaminants of the hollow fiber bundle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long with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without being stagnated inside.

이와 같이 하우징 내부의 중공사막 표면에 붙어 있던 슬러지 및 오염물질들이 세척수와 같이 배출관(72)을 통해 배출처리됨으로써, 헤더 내부와 하우징 내부에서의 오염물질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ludge and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nside the housing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72 like the washing water, so that the contamination clea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side the header and inside the housing.

또한, 상기 배출관(72)의 내측 선단은 개방되거나 막혀진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관(72)의 내측 선단은 점차적으로 중심부로 모아져 원뿔형태로 형성되며, 그 선단에는 별도의 홀(78)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내부 중심부에 배출관(72)이 배치됨에 따라 중공사막은 배출관(72)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배치된다. 이에, 중공사막 중심부를 지난 세척수는 상기 홀(78)을 통해 하우징 내부에서 배출관(72)으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tip of the discharge tube 72 may be an open or clogged structure.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tip of the discharge tube 72 is gradually gathered to the central portion and formed into a conical shape, and a separate hole 78 may be formed at the tip thereof. As the discharge tube 72 is dispos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disposed around the discharge tube 72 around the discharge tube 72. Accordingly,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can be more easily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the discharge pipe 72 through the hole 78.

도 8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분리 세척했을 때 세척 효과를 종래와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8 is a graph showing the cleaning effect whe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eparated and wash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본 실험은 중공사막의 오염도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실제 일반 하수를 원수로 하여 중공사막 모듈을 반복 사용한 후 모듈의 오염도를 실시예와 비교예가 같도로 한 뒤 분리 세척 실험을 실시하였다.In order to maximize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hollow fiber membrane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by using the conventional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s a raw sewage as the raw water.

도 6에서, 비교예는 헤더에 배출구가 형성되지 않은 종래의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 분리 세척시 회복되는 생산성 회복률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헤더에 배출구가 형성된 중공사막 모듈의 분리 세척 시 회복되는 생산성 회복률을 나타내고 있다. 배출구의 형성 구조를 제외하고 실시예와 비교예의 중공사막 모듈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In FIG. 6, the comparative example shows the productivity recovery rate recovered in the conventional washing and washing machine without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header. The embodiment shows recovery rate of productivity recovered by separate cleaning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aving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header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Except for the formation of the discharge port,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ave the same structure.

중공사막 모듈의 분리 세척은 비교예와 실시예 모두 중공사막 모듈로 660ℓ의 하수를 여과한 후 실시하였다. Separate washing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was performed after filtration of 660 liters of sewage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 both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공사막 모듈을 분리 세척한 결과 비교예의 경우 분리 세척을 하더라도 본래 생산성의 70% 밖에 회복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was separated and washed, it was confirmed that even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only 70% of the productivity was recovered.

이에 반해, 실시예의 경우 중공사막 모듈 분리 세척시 헤더의 배출구를 통해 오염물질의 배출이 보다 확실히 이루어지면서, 분리 세척 후 본래 생산성의 95%까지 회복됨을 알 수 있다.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discharge of the pollutant is more reliably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header whe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separated and washed, and recovered to 95% of the original productivity after the separation washing.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중공사막 모듈은 헤더에 배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비교하여 중공사막 세척 효율 및 내부 오염물질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처리수 생산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clean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the internal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and maintain the productivity of the treated water by forming the discharge part in the head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While the illustr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other embodiments will be consider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중공사막 모듈 20 : 물통
30 : 체결부 40 : 헤더
42 : 하우징 44 : 중공사막
45 : 내부통로 46 : 콜렉터
47 : 고정부 48 : 처리수관
70 : 배출구 72 : 배출관
74 : 배출홀 76 : 마개
78 : 홀
10: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20: Bucket
30: fastening part 40: header
42: housing 44: hollow fiber membrane
45: inner passage 46: collector
47: stationary part 48: treated water pipe
70: exhaust port 72: exhaust pipe
74: discharge hole 76: stopper
78: Hole

Claims (12)

원수가 수용되는 물통에 결합되는 헤더와, 상기 헤더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끝단은 자유단을 이루며 수두에 의해 원수를 여과하는 중공사막, 상기 헤더에 설치되고 물통 내부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중공사막이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헤더 또는 상기 하우징은 원수나 세척수를 내외로 유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헤더 또는 상기 하우징의 헤더쪽 선단부 외주면을 따라 배열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마주하는 양 측면이 경사져 형성되어, 헤더 내면에서 외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이고, 상기 헤더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원주방향에 대한 폭은 좁은 슬릿 형태로 이루어진 중공사막 모듈.
A hollow fiber membrane tha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eader and has a free end and that filters raw water by a head; a hollow fiber membrane that is installed in the header and extends into the water tube, Wherein the header or the housing is formed with at least one outlet for circulating raw water or washing water in and out,
Wherein the discharge portion includes an outlet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header or the header-side end portion of the hous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outlet has a sloped side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er, the slit having a narrower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longer length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head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헤더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축방향에 대한 폭은 좁은 슬릿 형태로 이루어진 중공사막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let is elong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eader and has a narrow slit shape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헤더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층으로 적층 형성된 중공사막 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utlet is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at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hea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과 연결되어 처리수가 모이는 콜렉터, 상기 콜렉터에 연결되어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관을 더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llector connected to the header and connect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to collect the treated water, and a process water pipe connected to the collector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물통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der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portion for engagement with the bucket.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헤더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원수나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5 to 8,
Wherein the discharge portion includes a discharge pip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header for discharging raw water or washing water, and a cap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ip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헤더 중앙부를 관통해 헤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 선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원수나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배열 형성된 구조의 중공사막 모듈.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scharge tube extends through the center of the header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header axis, and discharge holes through which the raw water or the wash water is discharged are arrang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tub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마주하는 양 측면이 경사져 형성되어, 배출관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의 중공사막 모듈.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scharge hole is inclined so that the width of the discharge hole becomes narrower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tub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내측 선단이 점차적으로 중심부로 모아져 원뿔형태로 형성되고 선단에는 홀이 형성된 중공사막 모듈.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tube has an inner tip gradually gathered to a central portion to form a conical shape, and a hole is formed at a tip thereof.
KR1020150113456A 2015-08-11 2015-08-11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1716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456A KR101716826B1 (en) 2015-08-11 2015-08-11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456A KR101716826B1 (en) 2015-08-11 2015-08-11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271A KR20170019271A (en) 2017-02-21
KR101716826B1 true KR101716826B1 (en) 2017-03-15

Family

ID=5831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456A KR101716826B1 (en) 2015-08-11 2015-08-11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82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354A (en) * 2001-10-15 2003-04-22 Suido Kiko Kaisha Ltd Structure for fix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o partition plate in filtration colum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4904B2 (en) * 1995-05-25 2002-09-17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device
KR101231295B1 (en) * 2010-08-23 2013-02-07 주식회사 효성 Submerg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1442779B1 (en) * 2013-02-25 2014-09-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354A (en) * 2001-10-15 2003-04-22 Suido Kiko Kaisha Ltd Structure for fix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o partition plate in filtration colum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271A (en)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3208B2 (en) Disc filter
US9339745B2 (en) Trash tolerant filter support for a disc filter
CN101351262A (en) Hollow-fiber membrane module
US9782703B2 (en) Device for separating a heterogeneous mixture of matter and method for cleaning a filter unit
KR20130082363A (en) Membrane module using hallow fiber
JP2015123424A (en) Filter device,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treatment method of ballast water
JP2014024031A (en)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KR101716826B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1442779B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1744234B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N210057907U (en) Membrane module
JP4488402B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2269800B1 (en) Submersed membrane module for wastewater treatment
KR200373515Y1 (en) The membrane unit that can prevent fouling of air diffuser
KR102269801B1 (en) Frame structure of submersed membrane module for wastewater treatment
KR101974612B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in-out mode with high washing efficiency
KR20180035576A (en) Submerged membrane cassette and water-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515685B1 (en) Membrane module comprising section divider for reducing membrane fouling
KR20090001741U (en) A filter device
US20160207002A1 (en) Spiral aerator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aving same
JP2006281198A (en) Immersion type filter
JP4818508B2 (en) Water treatment equipment
KR20060021552A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device using thereof
CZ33254U1 (en) A filter for filtration of contaminated, in particular process water, and the filter vessel of this filter
JP2006181506A (en) Hollow fibe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