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334B1 - 욕조 프레임의 구조 - Google Patents

욕조 프레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334B1
KR101716334B1 KR1020160070811A KR20160070811A KR101716334B1 KR 101716334 B1 KR101716334 B1 KR 101716334B1 KR 1020160070811 A KR1020160070811 A KR 1020160070811A KR 20160070811 A KR20160070811 A KR 20160070811A KR 101716334 B1 KR101716334 B1 KR 101716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thtub
sealing member
detachable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두
최화순
Original Assignee
인디건설(주)
조성두
최화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디건설(주), 조성두, 최화순 filed Critical 인디건설(주)
Priority to KR102016007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8Sealing between wall and bathtub or shower tr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6Devices for fastening baths to floors or walls; Adjustable bath feet ; Lining panels or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조를 지지하는 욕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욕조 프레임은, 상하 수평 프레임과 이들 수평 프레임에 직교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한쪽 방향에서 욕실 벽에 고정된다. 또한, 욕조 출입 방향에 설치된 2개 이상의 수직 프레임 바에 의해 구획된 전방 개구를 향해 제 1 착탈부재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방 개구를 밀폐하는 전방 밀폐부재의 양쪽 측면에 각각 상기 제 1 착탈부재와 위치가 대응하는 제 2 착탈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방 밀폐부재가 전방 개구를 막으면서 설치될 때 제 1 착탈부재와 제 2 착탈부재가 서로 자성결합되도록 한 구조이다.

Description

욕조 프레임의 구조{STRUCTURE OF BATH FRAME}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에 시공되어 설치되는 욕실의 욕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욕조를 거치하는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욕실공사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은 욕조 시공이다. 보통의 욕조 시공은 욕조 설치 환경을 만드는 작업과 욕조를 실제 설치하는 작업으로 나뉜다. 특히 전자가 중요하다. 배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바닥 구배를 포함한 바닥 공사, 욕조의 높이를 고려해서 적절한 높이의 지지벽돌을 구축하는 공사, 타일 공사 등을 한다. 특히 욕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프레임 공사는 욕조의 높이 등을 고려해서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대개 벽돌을 쌓고 몰탈작업을 하며 마감 처리를 하게 되는데 현장에서 많은 시간과 숙력된 작업이 필요하다.
욕조의 설치 시공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이 알려졌다.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 제699534호는 시공현장에서 벽돌조적이나 몰탈작업, 욕조의 절단작업 등을 할 필요가 없는 욕조의 거치 구조와 시공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르면,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욕조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20)과 이 프레임(20)을 구성하는 가로틀채 상에 소정 폭으로 절단된 고정 에이프런(50A)을 선시공한 후에, 욕조를 포함한 상판과 점검 에이프런(50B)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점검 에이프런(50B)은 거치 프레임에 다수의 고정볼트에 의해서 조립된다.
그러나 종래 특허문헌에서는 프레임(20)과 구별되는 별도의 브라켓(30A, 30B)을 구비해서 벽면에 설치해야 해서 번거로움이 있을뿐더러, 특히 고정 에이프런(50A)과 점검 에이프런(50B)을 별도로 구별해서 설치해야 했다. 고정 에이프런(50A)는 욕실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본딩해서 접착 고정한 다음에 다시 점검 에이프런(50B)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작업에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또한, 고정볼트(52)로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점검 에이프런(50B)은 평판형 석재나 수지판을 제안하지만, 이 점검 에이프런(50B)이 석재라면 욕조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긴 길이의 석재를 준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고정볼트(52)의 사용에 의해서 석재가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다면 현실적으로 수지판을 사용하게 되는데,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고 부재 자체가 파손에 취약하며 특히 그 경우에도 고정볼트(52)에 의한 손상위험이 상존한다. 이런 문제는 욕실시공의 신뢰성 자체에 악영향을 초래하기 때문에 매우 치명적이다 하겠다. 게다가 유지보수를 위해서 점검 에이프런(50B)을 프레임에서 분리하려면 다수의 고정볼트(52)를 분리하고 체결해야 하는데,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고 부재의 파손 위험이 발생하는 불이익이 초래된다.
요컨대 종래 특허문헌의 해결방법으로도 욕조 시공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획기적으로 경감되었다거나 유지보수 작업이 크게 용이해졌다고 말하기 어렵고, 반면 부재 선택의 어려움과 파손 위험이 증가되는 불이익에 직면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욕조 프레임 구조와 이 구조를 이용한 새로운 욕조 시공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욕조 시공이 매우 쉬워서 작업시간을 크게 경감할 수 있는 구조와 방법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욕조 프레임에 있어 유지, 관리, 보수를 위한 개폐수단을 마련하되, 그 개폐수단은 지극히 간단하게 원터치로 설치되고 원터치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욕조를 지지하는 욕조 프레임으로서:
상하 수평 프레임과 이들 수평 프레임에 직교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한쪽 방향에서 욕실 벽에 고정되며, 욕조 출입 방향에 설치된 2개 이상의 수직 프레임 바에 의해 구획된 전방 개구를 향해 상기 수직 프레임 바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제 1 착탈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 개구를 밀폐하는 전방 밀폐부재의 양쪽 측면에 각각 상기 제 1 착탈부재와 위치가 대응하는 제 2 착탈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 개구를 막으면서 전방 밀폐부재를 설치할 때 상기 제 1 착탈부재와 상기 제 2 착탈부재가 서로 자성결합되도록 한 구조이며, 상기 제 1 착탈부재 및 상기 제 2 착탈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욕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제 1 착탈부재 또는 제 2 착탈부재는 금속 편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욕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대리석, 석재, 나무, 세라믹,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욕조 프레임에 있어서, 욕조 바닥에 대면하여 설치되는 상기 욕조 프레임의 하부 수평 프레임 앞쪽에 수평 지지바가 욕조 바닥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전방 밀폐부재는 상기 수평 지지바 위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욕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바의 전후 방향의 표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욕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욕조 프레임의 상부 수평 프레임 위쪽으로는 욕조 수용부를 둘러싸는 영역에 상부 밀폐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밀폐부재는 상기 전방 밀폐부재와 동일한 재질이거나 또는 상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욕조 프레임에 있어서, 욕조 출입 방향에 설치되는 상기 수직 프레임 바는 N+1개이며(N은 0보다 큰 정수), 상기 전방 밀폐부재는 N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욕조 시공 방법에 관한다. 즉, 본 발명의 방법은:
(a) 바닥공사 및 벽 타일공사를 포함한 기초 공사를 하는 단계;
(b) 욕조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욕조 프레임의 상부 수평 프레임 위로 욕조 수용부를 둘러싸는 영역에 상부 밀폐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욕조 프레임의 복수 개의 전방 수직 프레임에 의해서 욕조 출입 방향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전방 개구를 전방 밀폐부재에 의해서 밀폐 시공을 할 때 상기 전방 수직 프레임마다 설치되어 있는 제 1 착탈부재와 상기 전방 밀폐부재의 양쪽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 2 착탈부재가 서로 자성결합하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욕조 프레임의 위쪽 방향에서 욕조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욕조를 욕실에 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시공방법보다 훨씬 개선된 효율을 발휘한다. 더욱 신속하게 그리고 더욱 수월하게 욕조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럼에도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욕조 프레임과 전방 밀폐부재가 자석식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자력보다 더 큰 세기의 힘을 가해서 밀폐부재를 욕조 프레임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욕조 프레임(100)의 대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 프레임 바(122)의 제 1 착탈부재(130d)의 설치와 구성 예를 나타낸다. 제 1 착탈부재(130d)는, 도 2(a)의 실시예에서는 금속편으로, 도 2(b)의 실시예에서는 자석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욕조 프레임(100)이 욕조 벽과 바닥에 시공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방 밀폐부재(200)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특히 도 4(a)는 제 2 착탈부재(210)가 자석인 경우, 도 4(b)는 제 2 착탈부재(220)가 금속편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 5는 욕조 프레임에 밀폐부재(200, 290)을 설치한 상태와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욕조 프레임(100)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나타낸다. 욕조 프레임(100)은 도시된 것처럼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다수의 프레임 바로 구성되는 수평 프레임과 다수의 프레임 바들로 구성되는 수직 프레임이 서로 직교하면서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은 욕조 프레임의 공간을 구획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의 공간 A ~H는 각각의 성격은 다음 표 1과 같다.
공간분류기호 프레임에서의 성격/의미
A 욕조를 수용(예: 도 6의 10)
B 욕실 벽 개구
C 욕실 반대쪽 벽 개구
D 욕실 출입방향의 전방 개구
E 욕실 출입방향의 전방 개구
F 욕실 출입방향의 전방 개구
G 욕실 출입방향 반대쪽 벽을 향함
H 욕실 출입방향 반대쪽 벽을 향함
I 욕실 바닥 개구
X 상방향 닫힘 개구
Y 상방향 닫힘 개구
수평 프레임은 상부 수평 프레임과 하부 수평 프레임을 분류되며, 상부 수평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바(101, 102, 105, 106)의 연결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개구(A)는 기본적으로 욕조를 수용하기 위함이다. 프레임 바 (103)와 프레임 바(104)는 서로 대향되는 욕조 벽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 바(102)는 욕실 출입방향 반대쪽 벽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개구(X)와 개구(Y)는 상부 밀폐부재가 설치되는 개구이다.
욕조가 개구(A)를 통해 수용된 다음에,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의 프레임 바를 따라서 소정 길이와 폭의 상부 밀폐부재(도 5의 2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밀폐부재는 마감재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부 수평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바(110, 111, 113, 114)는 욕실 바닥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부 수평 프레임과 하부 수평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프레임 바들(120, 121, 122, 123, 124, 125, 126)은 수직 프레임을 구성한다. 이로써 자연스럽게 다양한 개구가 형성된다. 개구(B)와 개구(C)는 욕실 벽을 향한다.
전술한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 바는 가격과 시공의 점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목재, 합성수지재, 철재, 세라믹재여도 좋다.
본 발명의 원리와 특징은 바람직한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어떤 한 부분만 분리해서 거기에만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고 제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반드시 잊지 말아야 할 원리와 특징은 욕조 출입 방향(도 1의 개구 D, E, F 방향)에 집중되어 있음을 이제 설명하려고 한다. 도 1에서는 4개의 수직 프레임 바(120, 121, 122, 123)이 표현되어 있고, 이에 따라 3개의 개구가 있다. 이 개구는 밀폐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3개의 밀폐부재(미도시, 도 5의 200)가 이 개구 D, E, F를 밀폐하게 될 것이다. 이 밀폐부재를 대리석이라고 가정할 때, 이 대리석을 어떻게 개구에 설치할 것인가 본 발명에서는 자성결합에 의해서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예컨대 수직 프레임 바(120, 121, 122, 123)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제 1 착탈부재(130: a, b, c, d, e, f)를 설치한다. 도면을 보면서 다시 설명한다. 수직 프레임 바(121)의 대략 중간 위치에 좌우에 각각 제 1 착탈부재(130b, 130c)를 설치한다. 수직 프레임 바(122)의 대략 중간 위치에 좌우에 각각 제 1 착탈부재(130d, 130e)를 설치한다. 수직 프레임 바(120)의 대략 중간 위치에, 이 경우에는 우측에만 제 1 착탈부재(130a)를 설치한다. 수직 프레임 바(123)의 대략 중간 위치에, 이 경우에는 좌측에만 제 1 착탈부재(130f)를 설치한다.
이들 제 1 착탈부재(130: a, b, c, d, e, f)는 본 발명의 어느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금속편일 수 있다(이 경우 제 1 착탈부재와 대응하는 후술하는 제 2 착탈부재는 자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1 착탈부재(130: a, b, c, d, e, f)는 자석일 수 있다(이 경우 제 1 착탈부재와 대응하는 후술하는 제 2 착탈부재는 금속편이거나 혹은 극성이 다른 자석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착탈부재(130: a, b, c, d, e, f)의 구성과 설치의 예에 관해서 좀 더 상세히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실시예로서, 도 1의 수직 프레임 바(122)를 확대해서 나타냈다. 이러한 구성은 다른 수직 프레임 바(120, 121, 123)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실시예에서, 수직 프레임 바(122)의 제 1 착탈부재(130d)의 구성은 이러하다. 수직 프레임 바(122)의 한쪽 측면에 금속편(135)이 설치되었다. 바람직하게는 볼트(131, 132)를 이용해서 수직 프레임 바(122)의 표면에 고정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직 프레임 바(122)의 다른 쪽 측면에 제 1 착탈부재(130e)가 설치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직 프레임 바(122)의 제 1 착탈부재(130d)의 구성은 이러하다. 수직 프레임 바(122)의 한쪽 측면에 금속편(135)이 설치되었다. 바람직하게는 볼트(131, 132)를 이용해서 수직 프레임 바(122)의 표면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에 자석(137, 138)을 금속편(135) 표면에 위치시킨다. 자석(137, 138)은 금속편(135)과 자성결합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직 프레임 바(122)의 다른 쪽 측면에 제 1 착탈부재(130e)가 설치될 것이다.
이제 이 제 1 착탈부재(130: a, b, c, d, e, f)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 2 착탈부재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 1의 개구 D, E, F를 밀폐하는 밀폐부재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제 2 착탈부재는 밀폐부재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밀폐부재는 그것이 대리석이든, 다른 천연석재나 인조석재이든, 목재이든, 세라믹재나 합성수지재이든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이들 밀폐부재를 기본적으로 탈착자재로 설치되기 때문에, 결합하고 해제할 때마다 욕실 바닥을 손상케 할 수 있으며, 더욱이 밀폐부재와 욕실 바닥 사이의 작은 틈을 통해서 물이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유지관리도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서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수평지지바(140)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즉 수평지지바(140)를 욕실 바닥에 밀착하여 고정, 설치한 다음에, 수평지지바(140)의 상부 표면(143) 위에 밀폐부재를 올려놓는다. 상부 표면(143)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밀폐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수평지지바(140)의 상부 표면(143) 위에 밀폐부재를 올려놓으면, 밀폐부재의 좌우 측면에 설치된 제 2 착탈부재가 전술한 제 1 착탈부재에 대응하여 자성결합으로 착탈되도록 한다.
수평 지지바(140)의 전후 방향의 표면(141)에는 다수의 통공이 설치된 것이 좋다.
도 4를 보자. 밀폐부재(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a)의 실시예는 밀폐부재(200)의 좌우 측면에 설치된 제 2 착탈부재(210)가 자석으로 이루어져 있는 구성을 제시한다. 이들 자석은 밀폐부재(200)의 표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자석을 밀폐부재(200)의 미리 결정되는 위치(설치 시 제 1 착탈부재에 자성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함에 있어, 접착부재(215)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축용 실란트를 사용한다. 자석을 밀폐부재(200)의 표면에 위치시킨 후에 예컨대 실리콘 실란트를 자석 주위에 충전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재는 다양한 방식으로 채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의 실시예는 제 1 착탈부재가 금속편인 경우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만약 제 1 착탈부재가 자석이라면 이번에는 밀폐부재(200)의 제 2 착탈부재는 금속편로 충분할 수도 있다(물론 제 2 착탈부재가 극성이 다른 자석부재여도 좋다). 도 4(b)는 제 2 착탈부재가 금속편(220)인 실시예를 제안한다. 밀폐부재(200)의 좌우 측면에 금속편(220)이 설치된다. 이 금속편(220)은 수직으로 절곡된 접착면(225)을 가지며, 이 접착면(225)에 고정볼트(225)를 설치하여 금속편(220)을 밀폐부재(220) 표면에 고정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건축용 실란트 충전를 통해서 고정하는 힘을 강화할 수도 있다.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밀폐부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a)의 실시예가 호적이다. 그러나 목재, 합성수지재의 판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b)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설명에 기초해서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밀폐부재(200)가 욕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 원리를 종합하여 나타낸다.
욕조 프레임의 상부 쪽에서는, 욕조 수용부를 둘러싸는 영역에 상부 밀폐부재(290)가 마감재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욕조 프레임의 개구 D, E, F는,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전방 밀폐 부재(200)에 의해서 폐쇄된다. 전방 밀폐부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지지바의 상부 표면(143) 위에 올려놓으면서 개구 안쪽으로 집어넣으면 좌우의 제 2 착탈부재(210)가 개구의 수직 프레임 바에 설치된 제 1 착탈부재(130c, 130d)와 서로 접하면서 자성결합으로 원 터치로 설치된다. 종래처럼 고정 볼트로 고정한다거나 접착하지 않기 때문에, 분리 시에는 반대방향으로 결합된 자력보다 더 큰 힘으로 전방 밀폐부재(200)를 빼냄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밀폐부재(290)와 상기 전방 밀폐부재(200)는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재질로 구성하여 다양한 연출을 시도할 수 있다. 이들 밀폐부재(200, 290)들은 각각 대리석, 석재, 나무, 세라믹,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부 밀폐부재(290)의 경우 합성수지재인 경우에는 충격에 강해야 소재가 아니라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방 개구가 3개인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다면 욕조 출입 방향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바는 4개가 된다. 이와 같은 숫자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욕조 출입 방향에 설치되는 상기 수직 프레임 바는 N+1개(N은 0보다 큰 정수)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개구는 N개가 형성된다. 그렇다면 전방 밀폐부재(200)도 전방 개구에 대응해서 N개 구비될 것이다. 이로써 다양한 욕조 디자인 시공이 가능할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욕조 프레임을 사용하는 욕조 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a) 단계: 욕조 시공을 위한 기초 공사를 한다. 이 기초 공사에는 바닥공사와 벽 타일 공사를 포함한다. 바닥 공사에는 배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닥 구배와, 욕조를 높이를 고려해서 욕조 수용부 아래쪽에서 욕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축하는 공사와, 필요 시에 이루어지는 욕조 수용부 아래쪽의 타일 공사를 포함할 수 있다. 벽 타일 공사에는 급수를 위한 수도장치를 고려해서 욕조 주위의 벽 타일 공사를 포함한다.
(b) 단계: 욕조 프레임을 설치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욕조 프레임, 즉 상하 수평 프레임과 이들 수평 프레임에 직교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며, 욕조 출입 방향에 설치된 2개 이상의 수직 프레임 바에 자성결합이 가능한 제 1 착탈부재가 설치되고, 그러한 수직 프레임 바에 의해서 전방 개구들이 마련되어 있는 욕조 프레임을 욕조 설치 위치에 시공한다.
(c) 단계: 욕조 프레임에 상부 밀폐부재를 설치한다. 욕조 프레임의 상부 수평 프레임 위로, 욕조 수용부를 둘러싸는 영역에 상부 밀폐부재를 설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상부 수평 프레임 위에 위치시키고 접착수단에 의해서 고정하여 설치한다. 이는 일종의 상부 마감재로 기능하며, 다른 종류의 석재, 목재, 세라믹 혹은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상부 밀폐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d) 단계: 전방 밀폐부재를 설치한다. 욕조 프레임의 복수 개의 전방 수직 프레임에 의해서 욕조 출입 방향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전방 개구를 전방 밀폐부재에 의해서 밀폐 시공을 한다. 이때 상기 전방 수직 프레임마다 설치되어 있는 제 1 착탈부재와 전방 밀폐부재의 양쪽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 2 착탈부재가 서로 자성결합하도록 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전방 밀폐부재를 설치한다.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전방 밀폐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종류의 석재, 목재, 세라믹 혹은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전방 밀폐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전방 밀폐부재를 설치할 때,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 지지바 위에 전방 밀폐부재를 올려 놓는다.
(e) 단계: 욕조를 설치한다. 상기 욕조 프레임의 위쪽 방향의 욕조 수용부에 욕조를 안치시키며, 마감실링을 한다.
욕조 밑에는 욕조 프레임 안쪽 바닥이 있다. 욕조 바닥과 욕조 사이에는 공간이 있다. 그 공간을 보기 위해서는 전방 밀폐부재를 떼어내어야 한다. 대개 관리상의 필요에 의해서 전방 밀폐부재를 프레임에서 분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터치 방식으로 전방 밀패부재를 프레임에서 분리할 수 있다. 자성결합으로 전방 밀폐부재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력보다 더 큰 힘으로서 밀거나 당겨서 전방 밀폐부재를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욕조 시공도 간편하지만 유지보수 또한 훨씬 용이하다는 장점을 거둔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상하 수평 프레임과 이들 수평 프레임에 직교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한쪽 방향에서 욕실 벽에 고정되며, 욕조 출입 방향에 설치된 2개 이상의 수직 프레임 바에 의해 구획된 전방 개구를 향해 상기 수직 프레임 바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제 1 착탈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 개구를 밀폐하는 전방 밀폐부재의 양쪽 측면에 각각 상기 제 1 착탈부재와 위치가 대응하는 제 2 착탈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 개구를 막으면서 전방 밀폐부재를 설치할 때 상기 제 1 착탈부재와 상기 제 2 착탈부재가 서로 자성결합되도록 한 구조이며, 상기 제 1 착탈부재 및 상기 제 2 착탈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욕조 프레임과 전방 밀폐부재는 제 1 착탈부재와 제 2 착탈부재에 의해 자력으로 결합되고, 전방 밀폐부재는 욕조 프레임의 유지, 관리, 보수를 위해 전방 밀폐부재에 자력보다 더 큰 세기의 힘을 인가하면 욕조 프레임에서 분리되는 욕조 프레임의 욕조 시공 방법으로서:
    (a) 바닥공사 및 벽 타일공사를 포함한 기초 공사를 하는 단계;
    (b) 욕조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욕조 프레임의 상부 수평 프레임 위로 욕조 수용부를 둘러싸는 영역에 상부 밀폐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욕조 프레임의 복수 개의 전방 수직 프레임에 의해서 욕조 출입 방향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전방 개구를 전방 밀폐부재에 의해서 밀폐 시공을 할 때 상기 전방 수직 프레임마다 설치되어 있는 제 1 착탈부재와 상기 전방 밀폐부재의 양쪽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 2 착탈부재가 서로 자성결합하도록 하는 단계;
    (e) 상기 욕조 프레임의 위쪽 방향에서 욕조를 설치하는 단계; 및
    (f) 욕조 프레임의 유지, 관리, 보수를 위해 전방 밀폐부재에 자력보다 더 큰 세기의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전방 밀폐부재를 욕조 프레임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욕조 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70811A 2016-06-08 2016-06-08 욕조 프레임의 구조 KR101716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811A KR101716334B1 (ko) 2016-06-08 2016-06-08 욕조 프레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811A KR101716334B1 (ko) 2016-06-08 2016-06-08 욕조 프레임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334B1 true KR101716334B1 (ko) 2017-03-14

Family

ID=5845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811A KR101716334B1 (ko) 2016-06-08 2016-06-08 욕조 프레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3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534B1 (ko) * 2006-03-10 2007-03-23 주식회사 새턴바스 욕조의 거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9078160A (ja) * 2006-01-27 2009-04-16 Hajime Tominaga 車椅子用浴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8160A (ja) * 2006-01-27 2009-04-16 Hajime Tominaga 車椅子用浴槽
KR100699534B1 (ko) * 2006-03-10 2007-03-23 주식회사 새턴바스 욕조의 거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498B1 (ko) 조립식 욕실 바닥
KR20140022946A (ko) 건물용 외장 패널 고정용 고정수단 및 그 고정수단을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100730901B1 (ko) 건축물 창호 보강 시스템
KR101716334B1 (ko) 욕조 프레임의 구조
KR101215934B1 (ko) 건축용 몰딩장치
KR20110014791A (ko) 하향식 피난사다리의 시공방법
KR101725520B1 (ko) Uv 램프가 설치된 욕조
KR20070009270A (ko) 황토패널의 구조
JP2021512244A (ja) 建築用部材
KR100364341B1 (ko) 엘레베이터 도어프레임
KR102094495B1 (ko) 커튼월 외장 시스템의 외부 장식물 설치 구조
EP2267236A1 (en) Access flo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KR101397401B1 (ko) 기둥매입형 모듈러유닛을 이용한 건축물 수직 증축 방법
KR20100031310A (ko) 건물의 벽체구조물
KR20120027659A (ko) 타일 시공장치
KR20210001236A (ko)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KR20050103166A (ko) 조립식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101088735B1 (ko) 방수턱 일체형 조립식벽체
CN110965719A (zh) 一种墙面瓷砖安装结构
KR101069563B1 (ko) 하이브리드형 조립식 욕실 쉬트 몰딩 콤파운드 방수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99581B1 (ko) 조립식 벽마감을 위한 결합부재
JP5204693B2 (ja) 玄関部布基礎の天端型枠
KR200497827Y1 (ko) 건축물 개방부 차폐 구조
KR20100025641A (ko) 교체가능한 타일시공구조
KR100671051B1 (ko) 콘크리트 벽체용 치장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