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814B1 - 전자책 직구매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책 직구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814B1
KR101715814B1 KR1020150147658A KR20150147658A KR101715814B1 KR 101715814 B1 KR101715814 B1 KR 101715814B1 KR 1020150147658 A KR1020150147658 A KR 1020150147658A KR 20150147658 A KR20150147658 A KR 20150147658A KR 101715814 B1 KR101715814 B1 KR 101715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library
book
publisher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영
김도형
김희상
박병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씨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씨오
Priority to KR102015014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직구매 방법은, 출판사 플랫폼으로부터 전자책의 메타데이터가 제공되면, CMS 플랫폼이 도서관 플랫폼으로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도서관 플랫폼이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도서관 플랫폼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책들에 대한 전자책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 정보를 포함한 카탈로그를 이용하여,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부터 전자책들의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CMS 플랫폼이,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부터 전송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구매요청된 전자책이 상기 도서관 플랫폼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구매요청과 함께 예산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CMS 플랫폼이 상기 예산과, 상기 구매요청된 전자책들의 목록과,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분석결과와, 상기 구매요청된 전자책들을 제공하는 출판사들의 목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예산 내에서 가능한 전자책들의 구매목록을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목록을 수신한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부터 최종적으로 확정된 전자책에 대응되는 출판사 플랫폼으로, 구매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판사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구매요청에 대한 승인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CMS 플랫폼이, 구매요청된 전자책을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책 직구매 방법{Method Of Directly Purchasing An Electronic Book}
본 발명은 각 도서관 사서가 온라인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전자책을 직구매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네트워크가 발전하고, 스마트폰 및 테블릿PC 등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전자책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각 도서관에서도, 보다 많은 도서관 회원들이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자책을 유통사에서 구매 후 대여하고 있다.
전자책이 출판사에서 생성되면, 출판사는 해당 콘텐츠를 전자책 유통사에 제공한다. 전자책 유통사의 총판 또는 대리점들은 도서관들로 신간 목록 또는 베스트 목록 등을 엑셀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신간 목록 또는 베스트 목록은 각 총판 또는 대리점의 직원에 의해 자사의 매출 이익을 많이 낼수 있는 전자책 위주의 목록으로 수작업화 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각 도서관은 신간 목록 또는 베스트 목록을 수시로 공급받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원하는 전자책을 신속하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도서관 사서는 원하는 전자책을 검색 및 구매할 수 없으며, 출판사는 도서관에서 구매한 전자책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을 할 수 없다. 그에 따라 도서관은 양질의 컨텐츠를 구매하지 못하게 되고 출판사는 유통사의 판매내역을 신뢰할 수 없는 시장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의 전자책 구매프로세서는 출판사 => 유통사 => 총판 => 대리점 =>도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서관은 원하는 도서목록을 충분히 확인한 후 전자책을 구매할 할 수 없다. 즉, 도서관은 유통업자 또는 총판/대리점 영업자가 제안하는 대로 책을 구입할 수밖에 없다. 유통업자가 가격이나 기타 조건 등을 출판사에서 정한 판매가가 아니라 유통사에서 정한 판매가로 판매하고 출판사에서는 실시간 판매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출판사는 원치 않는 거래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중간 유통업자들의 마진 때문에 전체적인 거래 비용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즉, 현재의 전자책 다단계 공급 구조에 의하면, 전자책을 공급하는 출판사와, 전자책을 구입하는 도서관 모두 경제적으로 불이익을 받고 있다.
출판선진국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전자책 이용률이 급속히 증대하면서 도서관이 전자책산업 활성화에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복잡한 유통구조로 인해, 전자책 공급가격이 높으며, 따라서, 도서관이 다양한 전자책을 확보가 어렵다. 또한, 전자책 목록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지 않기 때문에, 빠른 신간 정보를 선호하는 도서관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가 낮다.
전자책과 관련된 각 주체별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출판사의 입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B2B시장(도서관 납품모델)의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고 있으며, 도서관에 어떤 전자책이 어떻게 얼마나 판매되고 있는지를 정산 및 통계할 수 있는 자료가 없다.
출판사를 포함한 CP(Contents Provider)가 수익성 증대를 위해 전자책을 도서관에 직접 판매하기를 원하지만, 영업, 마케팅, 플랫폼 등의 문제로 인해 유통사를 통해 전자책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이 요구된다.
둘째, 도서관의 입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유통사별로 중복되는 전자책과 영업에 따른, 전자책 선정의 문제점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즉, 즉시 구매와 복본 조사가 요구된다. 또한, 도서관회원의 구매 요청 목록을 전자책 주문과 바로 연결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구매한 콘텐츠의 납품율을 높여할 필요가 있다. 납품이 완료된 컨텐츠도 출판사에서 정산 내역을 늦게 받아 출판사에 판매권한이 없음에도 판매가 되어 도서관에 컨텐츠를 서비스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콘텐츠를 매월 대리점의 영업자를 통해 받기 때문에 간편하게 구매할 수 없어 신간 등을 매월 확보할 수 없다.
셋째, 일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도서관에 신간이나 베스트셀러 전자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도서관 이용자가 전자책을 구매 요청해도, 시간이 오래 걸려 사용자의 불만족이 증가되고 있다.
신간 전자책의 입고나 추천 도서 알림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전자책 뷰어의 안정성이 필요하며, 모바일 전자책 뷰어의 기능이 향상도 되어야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출판사와 도서관이 전자책 구매와 관련된 업무를 직접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전자책 직구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직구매 방법은, 업무제휴된 출판사 플랫폼으로부터 전자책의 메타데이터가 제공되면, CMS 플랫폼이 업무제휴된 도서관 플랫폼으로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도서관 플랫폼이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도서관 플랫폼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책들에 대한 전자책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 정보를 포함한 카탈로그, 도서관의 구매예산, 도서관의 관심카테고리, 출판사, 타도서관 대출베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바탕으로 생성된, 전자책들의 구매요청을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CMS 플랫폼이,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부터 전송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구매요청된 전자책이 상기 도서관 플랫폼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CMS 플랫폼이, 상기 구매요청과 함께 수신된 상기 구매예산과,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대출베스트와, 상기 구매요청된 전자책들의 목록과,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분석결과와, 상기 구매요청된 전자책들을 제공하는 출판사들의 목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예산 내에서 가능한 전자책들의 구매목록을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목록을 수신한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부터 최종적으로 확정된 전자책에 대응되는 출판사 플랫폼으로, 구매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판사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구매요청에 대한 승인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CMS 플랫폼이, 구매요청된 전자책을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국내 도서관업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복잡한 다단계 전자책 공급 구조(출판사→유통사→총판(대리점)→도서관)가 단순화될 수 있으며, 또한, 효율화(출판사→도서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판사는 약 30% 수익이 증대되고, 도서관의 경우도 약30%의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서관의 전자책 공급이 확대될 수 있으며, 전자책의 이용률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출판사는 수익이 높아짐에 따라 양질의 전자책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서관 사서는 전자책을 구매하기 전에 출판사에서 승인한 컨텐츠에 한해 콘텐츠 전문을 모두 볼 수 있으며 도서관 이용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컨텐츠를 직접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국민들은 도서관을 통해 도서관 사서가 선정한 다양한 전자책을 무료로 읽을 수 있으며, 이는 전자책 이용률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책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직구매 방법을 제공하는 전자책 직구매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작구매 방법을 서비스하는 CMS 플랫폼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직구매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직구매 방법을 제공하는 전자책 직구매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직구매 방법을 서비스하는 CMS 플랫폼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도서관과 출판사가, 온라인에서 전자책을 직거래하도록 할 수 있는 플랫폼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직구매 방법을 제공하는 전자책 직구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책을 제공하는 출판사 플랫폼(20), 도서관의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도서관 플랫폼(30), 출판사 플랫폼(20)과 도서관 플랫폼(30) 간의 전자책 구매를 중계하는 CMS 플랫폼(10) 및 도서관 플랫폼(30)으로부터 전자책을 대여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라 함)(40)를 포함한다.
첫째, 출판사 플랫폼(또는 출판서 서버라 함)(20)은 출판사의 관리자에 의해 관리된다. 출판사 플랫폼(20)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구현되었다.
둘째, 도서관 플랫폼(또는 도서관 서버라 함)(30)은 도서관의 관리자에 의해 관리된다. 도서관 플랫폼(30)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구현되었다.
셋째, CMS 플랫폼(또는 서비스 서버라 함)(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판사 플랫폼(20) 및 도서관 플랫폼(30)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 관리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3),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4),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위한 저장부(15) 및 상기 통신부, 입력부, 출력부와 저장부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를 포함한다.
넷째, 사용자 단말기(40)는 테블릿PC,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서관의 관리자가 도서관 플랫폼(20)을 통해 자신들의 구매 예산과 도서관의 관심 카테고리, 출판사 및 타도서 대출베스트, 우수 수상 내역, 출판사 추천 등의 조건을 CMS 플랫폼으로 전송하면, CMS 플랫폼(10)은 상기 조건에 맞춰 도서관에 추천 리스트를 내부 추천 알고리즘에 의해 전자책의 구매추천 목록을 형성한다.
상기 구매목록은 도서관 플랫폼(20)으로 전송된다.
이 경우, CMS 플랫폼(10)은 예산 범위에 맞는 책의 묶음 목록을 복수 개 제공할 수 있다. 도서관의 관리자는 복수 개의 구매목록들 중에서, 자신의 도서관의 실정에 맞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 신청을 할 수 있다.
상기 구매 신청이 CMS 플랫폼(10)으로 전송되더라도, 바로 전자책이 구매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매 신청에 포함된 출판사가 도서관의 규모나 성격을 보고 그 구매를 승인해야 최종적으로 구매가 완료된다. 출판사는 해당 구매 내역을 취소할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직구매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CMS 플랫폼(10)은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MS 플랫폼(10)은 전자책의 메타데이터(metadata)를 실시간으로 동기화시켜 도서관 플랫폼(30)에 제공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 관리상 필요한 각종 정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작성자, 목적, 저장 장소 등과 같이 데이터의 속성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Atom Feed를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서관 사서는 각 출판사의 신간이나 베스트 셀러 등을 인터넷을 통해 따로 검색하지 않아도 된다. 도서관 사서는 Atom RSS Feed를 이용하여 각 출판사 플랫폼(20)의 메타데이터를 상기 CMS 플랫폼(10)을 통해 읽어와, 사서의 RSS Feed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서관 사서는 상기 메타데이터가 반영되어 도서관 플랫폼(30)에 저장된 전자책 정보를 검색하여, 각 출판사의 신간이나 베스트 셀러 등을 확인할 수 있다. Atom Feed는 출판형식의 프로토콜을 XML화 시킨 RSS를 의미한다.
둘째, CMS 플랫폼(10)은 복본 조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CMS 플랫폼(10)이, 도서관 자료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메타데이터들을 검색하여 전자책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도서관 플랫폼(30)이 전자책의 구매를 요청하면, 상기 CMS 플랫폼(10)은 상기 도서관 플랫폼(30)에 저장되어 있는 메타데이터들을 검색하여, 구매가 요청된 전자책이 이미 도서관 플랫폼(3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전자책인지의 여부를 파악한다. 이미 도서관 플랫폼(3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전자책으로 판단되면, CMS 플랫폼(10)은 도서관 플랫폼으로 본복임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서관은 복본을 다시 구매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서관은 구매한 콘텐츠의 중복 구매를 방지하기 위해, 도서관에서 보유한 컨텐츠를 수동으로 복본 조사하고 있다. 종래의 복본 조사 방법은, 대리점 또는 유통사의 직원이, 수동으로 도서관 사이트를 검색하는 것에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복본 조사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셋째, CMS 플랫폼(10)은 타도서관의 대출 베스트 내역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MS 플랫폼(10)은 타도서관의 대출 베스트 내역을 도서관 플랫폼(3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도서관 플랫폼(30)은 자시의 대출 베스트 내역을 상기 CMS 플랫폼(10)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도서관 플랫폼(30)은 자관의 전자책들의 대출 목록들뿐만 아니라 타도서관의 대출 베스트 전자책들의 목록을 데이터 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으며, 도서관의 사서는 전자책 구매시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서관 플랫폼(30)은 사용자들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전자책들을 많이 확이 확보할 수 있다.
넷째, CMS 플랫폼(10)은 구매목록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CMS 플랫폼(10)은 도서관이 자신의 예산 내에서 전자책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합리적인 구매추천 목록을 도서관에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MS 플랫폼(10)은, 도서관 예산에 맞추어, 다양한 출판사의 전자책들을 자동으로 리스트화 할 수 있다. CMS 플랫폼(10)은 도서관에서 요구하는 전자책 카테고리와 상기 리스트와 출판사리스트 및 판매가, 판매카피를 분석하며, 내부 추천 알고리즘에 따라, 구매 추천 리스트를 작성한 후 상기 구매 가능 리스트를 도서관 플랫폼(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CMS 플랫폼(10)은 자동으로 복본 조사하며, 따라서, 도서관에서 콘텐츠를 구매 시 중복 구매가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자책을 중계하는 대리점 또는 유통사의 직원이, 수동으로 도서관의 예산 내에서 추천목록 선택하여, 추천목록을 도서관에 제공한다. 이 경우, 대리점 또는 유통사는 자신의 이익률이 좋은 전자책 위주로 추천목록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도서관은 불필요한 전자책을 구매할 수 있다.
다섯째, CMS 플랫폼(10)은 풀텍스 리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서관의 사서는, 구매하고자 하는 전자책의 풀텍스트를 리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판사 플랫폼(20)은, 자사의 전자책을 도서관의 사서가 직접 검토 후 구매할 수 있도록, 전자책 뷰를 승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서관 사서는 전자책의 전문을 모두 리뷰한 후, 해당 전자책을 구매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서관은 더 좋은 전자책들을 구매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서관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자책에 대한 리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CMS 플랫폼이 상기 리뷰 요청을 상기 출판사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출판사 플랫폼이 상기 리뷰 요청을 승인하면, 상기 도서관 플랫폼은, 상기 출판사 플랫폼 또는 상기 CMS 플랫폼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전자책의 풀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종래에는, 도서관 사서도 전자책을 구매하기 전에 전자책의 전문을 볼 수 없으며, 단지 메타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전자책의 구매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출판사의 승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판사는 도서관 플랫폼이 요청한 전자책의 구매를 승인하거나 또는 취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관 플랫폼이 주문한 전자책들은 다수의 출판사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출판사는 도서관 플랫폼이 주문한 전자책의 구매를 승인 또는 취소할 수 있다. 출판사는, 출판사와 작가와의 계약 해지, 카피수 부족, 대표 도서관 납품 불가 등의 이유로 인해, 전자책의 구매를 취소할 수 있다.
전자책의 구매를 취소한 출판사는, 취소된 전자책과 비슷한 도서를 도서관플랫폼으로 제안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종래에는, 출판사는 도서관에서 구매한 전자책의 리스트를 전혀 알 수 없으며, 또한, 자사의 전자책이 도서관에 추천, 판매, 납품되었는지의 여부를 전혀 알지 못한다. 이 경우, 출판사는 대리점 또는 유통사에 의해 판매가 완료된 후, 한 달 이후에 해당 판매 내역을 통보받을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주문 내역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판사는 도서관의 주문 내역을 실시간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관의 주문 내역을 출판사에서 직접 승인 또는 취소할 수 있기 때문에, 출판사는 주문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종래에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대리점 또는 유통사가 판매 내역을 포함한 판매 현황을 1개월 후에 출판사에 일방적으로 통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출판사의 불만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출판사는 판매 내역, 판매 카피수에 대해 명확한 정보를 알 수 없다.
여덟째, 본 발명에 의하면, 출판사는 도서관을 대상으로 직접 마켓팅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판사의 관리자는 자사의 전자책의 수상 내역 또는 추천 내역 등을 메타데이터로 생성하여 출판사 플랫폼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관리는 북코디네이션이라 한다. 출판사는 상기 북코디네이션을 통해 해당 전자책을 도서관에 직접 마케팅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종래에는, 대리점 또는 유통사가, 전자책 목록을 엑셀로 작성하여, 상기 엑셀을 도서관에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출판사는 자사의 전자책이 도서관에 제공되는지의 여부를 알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출판사는 아무리 좋은 전자책을 보유하고 있어도, 도서관에 직접 상기 전자책을 홍보할 수 없다.
아홉째, 본 발명에 의하면, 출판사는 도서관 플랫폼으로부터 전송된 전자책 대신, 또 다른 전자책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판사의 관리자는 도서관의 규모들에 비해 구매량이 적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구매조건이 맘에 들지 않는 경우, 도서관이 요청하는 전자책 대신, 출판사가 원하는 조건의 전자책을 구매하도록 도서관에 제안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대형 도서관이 많은 이용자들에도 불구하고, 적은 수량의 전자책을 구매하면, 출판사 입장에서는 판매기회를 잃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서관이 요청한 전자책을 판매 할지의 여부를 출판사가 결정하여 승인할 수 있으며, 출판사의 입장에 유리한 전자책을 제안할 수 있다.
이 경우, 출판사의 관리자는 다른 전자책을 추천할 수도 있으나, 자기가 원하는 조건에 따른 구매목록을 다시 도서관 플랫폼에 제안할 수도 있다.
상기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Atom Feed에 적용될 전자책 카탈로그의 표준 XML 구조를 제공할수 있다. 출판사의 전자책 카탈로그 리스트와 메타데이터가 자동으로 공급(Feed) 될 수 있도록, XML 표준 카탈로그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출판사가 카탈로그를 수정할 경우 클라우드 플랫폼과 동기화시키는 신디케인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출판사의 전자책 카탈로그 리스트와 메타데이터가 자동으로 공급(Feed)될 수 있도록 Atom Feed XML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출판사가 카탈로그를 수정할 경우 클라우드 플랫폼과 동기화(Syndication)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표준메타데이터 포맷(Dublin Core, ONIX, PRISM)을 KORMARC로 변환할 수 있는 연동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OPDS(Open Publishing Distribution System) 스펙을 지원하는 Atom Feed 생성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출판사 플랫폼(20)이 자동으로 피드(Feed)한 OPDS(Open Publishing Distribution System) 구조의 카탈로그를 이용하여, 도서관의 사서가 브라우징 또는 검색을 통해 전자책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주문리스트가 생성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서관의 사서가 생성된 주문리스트를 이용하여 원클릭으로 주문하면, 주문한내역이 개별 출판사로 자동으로 발주된다. 자동 발주된 주문리스트는 출판사의 관리자에 의해 바로 확인될 수 있다.
주문된 전자책은 도서관 플랫폼(30)에 탑재 전, CMS 플랫폼(10), 예를 들어,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회원들에게 바로 서비스할 수 있는 전자책으로 변환될 수 있다. 대상 콘텐츠를 DRM Packaging 할 수 있는 DRM 솔루션이 제공될 수 있다.
도서관 플랫폼(30), 예를 들어, 전자책 플랫폼과 연계하여 회원인증을 할 수 있는 API가 제공될 수 있다. 콘텐츠를 DRM 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라이브러리가 적용될 수 있다. DRM 해제된 콘텐츠를 이용자가 읽을 수 있는 EPUB 뷰어가 제공될 수 있다.
도서관 담당자는 메타데이터 생성기(Editor)를 이용하여 KORMARC 데이터를 생성 및 편집할 수 있다. 기존 출판 메타데이터(DC, ONIX)가 자동으로 KORMARC로 변환되어, 도서관 플랫폼(30), 예를 들어 도서관리시스템에 탑재될 수 있다.
주문한 콘텐츠가 도서관에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복본 체크용 Open API가 제공될 수 있다. 도서관 플랫폼(30)의 전자책 플랫폼과 연동하여, 구매 예정 콘텐츠에 대한 복본 조사가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서관의 신규 사용자, 신규 구매 계정 등의 사용자관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신규 전자책 카탈로그 생성 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출판사에게 발주된 주문리스트에 대한 알림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도서관 사용자가 구매한 전자책(출판사 목록에서 주문한 전자책)에 대해서 정산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출판사 담당자와 도서관 담당자가 정산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월별, 도서관별, 전자책별 주문리스트 및 정산이 가능하다.
출판사 플랫폼(20)이 메타데이터를 일괄 관리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타 일괄 업로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출판사 플랫폼(20)에서 관리되는 메타데이터가 CMS 플랫폼(10), 즉, 서비스플랫폼에 Atom Feed로 제공할 수 있다.
CMS 플랫폼(10)은, 계약 출판사 관리, 도서관 이용자 관리, 주문관리, 정산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CMS 플랫폼(10)은, 출판사별, 도서관별, 주문, 정산 등의 통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출판사 및 도서관의 담당자는 CMS 플랫폼(10)에 질문 및 의견 개진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시판 형태의 피드백 전용 시스템이 개발될 수 있다.
EPUB 컨텐츠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서 읽을 수 있도록 Android용 전자책 뷰어가 제공될 수 있다. EPUB 컨텐츠를 아이폰, 아이패드에서 읽을 수 있도록 iOS용 전자책 뷰어가 제공될 수 있다. EPUB 컨텐츠를 PC에서 읽을 수 있도록 PC용 전자책 뷰어가 개발될 수 있다. 제공되는 모든 전자책 뷰어에 DRM 라이브러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직구매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1. 도서관 및 출판사와 업무 제휴(S302) >
CMS 플랫폼(10)은 도서관 및 출판사와 업무 제휴를 한다.
CMS 플랫폼(10)은 업무 제휴한 도서관의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도서관 플랫폼(30) 및 업무 제휴한 출판사의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출판사 플랫폼(20)과 통신을 수행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 2. 전자책 업데이트(S304) >
출판사 플랫폼(20)은 새롭게 생성된 전자책에 대한 정보를 CMS 플랫폼(10)으로 전송한다.
CMS 플랫폼(10)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출판사의 관리자는, 상기 출판사 플랫폼(20)에 단권의 전자책을 등록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전자책들을 일괄적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출판사의 관리자는 판매 개시, 판매 종료, 북코디네이션을 통한 마켓팅을 진행할 수 있다.
<3. 전자책 구매 신청(S306) >
도서관의 사서는 출판사가 등록한 모든 전자책들을 확인하여 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서관의 사서는 도서관의 예산 내에서 CMS 플랫폼(10)이 추천한 리스트로 일괄 주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CMS 플랫폼(10)은 상기 복본 조사 서비스, 상기 대출 베스트 내역 제공 서비스, 상기 구매 목록 제공 서비스 및 상기 풀텍스트 리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4. 구매신청 승인(S308) >
도서관 플랫폼(30)에 의해 주문된 내역은, 출판사별로 메일로 전송된다.
출판사의 관리자는 주문내역을 출판사 플랫폼(2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출판사의 관리자는 주문을 승인할 수도 있으며, 취소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출판사의 관리자 또는 출판사 플랫폼(20)은 취소한 전자책에 대한 타 전자책 등을 추천할 수 있다.
출판사의 관리자가 상기 주문 내역에 대해 승인을 하지 않으며, 기 설정된기간(예를 들어, 3일)이 지나면, 상기 주문 내역은 자동으로 승인 처리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들을 통해, 주문 내역을 수신한 모든 출판사에서 승인이 완료되면, 도서관 플랫폼(30)에 의해 주문된 전자책들의 주문이 확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서비스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출판사 승인 서비스 및 주문 내역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5. 전자책 제공(S310) >
CMS 플랫폼(10)은 주문이 확정된 내역을 바탕으로, 전자책을 도서관 플랫폼(30)으로 제공한다.
< 6. 사용자가 전자책 대출 >
전자책을 제공받은 도서관 플랫폼(30)은, 상기 전자책을 요청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40)로 상기 전자책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책 직구매 방법을 제공한다.
도서관의 전자책 구매 의사결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출판사나 CP(Contents Provider)의 신속하고 정확한 도서 목록(Book Catalogue) 제공과 간편한 주문 방법에 있다.
출판사가 도서 목록을 업데이트하거나 변경하면, CMS 플랫폼(10)은, 목록정보와 메타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든 도서관에 공유시킨다. 또한, CMS 플랫폼(10)은 공유된 정보를 동기화시켜 주문 시스템과 연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Atom Feed를 활용한 신디케이션(Syndication)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순한 웹기반의 직거래 플랫폼이 아니다. 본 발명은 플랫폼에 연결된 출판사와 도서관 사이트들의 모든 도서 목록 정보를 동시에 동기화할 수 있는 신디케이션 기술(Atom/HTTP를 적용한 Open API 개발)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공공 도서관의 레거시 시스템을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것 없이, 연동될 수 있는 API를 통해, 복본 체크 등 다양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판사와 도서관뿐 아니라 이용자도 모바일 앱(App) 환경에서 대출, 반납, 예약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고려하여, XML기반의 도서 정보 교환의국제표준인, 오닉스(ONIX)를 적용한 메타데이터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으며, 글로벌 전자책 업계의 표준 카탈로그 XML 구조(OPDS)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국내 도서관들은 해외의 오픈 도서관(OpenLibrary)과 전자책 유통사가 보유한 수십만 종의 저작권 만료된(Public Domain) 전자책 콘텐츠를 무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도서목록의 신디케이션 기술은, 도서관의 공급체인 혁신뿐 아니라, 기존의 전자책서점과 출판사 사이트의 콘텐츠 목록을 실시간으로 취합하여, 개방형 전자책 유통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기술에 의해 개발된 통합 전자책 리더(뷰어) 앱에 의하면, 사용자는 Atom Feed를 활용해서 모든 유통업체와 출판사의 전자책을 한 곳에서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출판 콘텐츠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상품의 목록과 메타데이터가 실시간으로 공유되고 업데이트되면, 타 산업에서도 클라우드 신디케이션 기술이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판사 플랫폼(20)에서 관리되는 전자책(신간 포함)의 목록과 메타데이터가, 표준화된 XML 카탈로그 구조(OPDS)와 Atom Feed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 및 동기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서관 사서가 실시간으로 브라우징이나 다양한 검색 옵션을 이용하여 전자책을 검색할 수 있는, 카탈로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서관 사서는 검색 결과 목록에서 선택해서 원 클릭으로 전자책을 주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서관 사서가 원 클릭 주문 시에 도서관에서 운영 중인 도서관 플랫폼(30)에서 보유 중인 전자책이 실시간으로 체크될 수 있는 복본 체크 서비스(API)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서관에서 주문한 전자책의 메타데이터가 도서관에서 운영 중인 도서관 플랫폼(30)의 메타데이터(KORMARC)로 자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출판사 담당자에게 주문 내역을 이메일로 자동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판사는 전자책 및 메타데이터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출판사에서 관리되는 카탈로그 및 메타데이터가 Atom Feed형태로 CMS 플랫폼(10), 예를 들어, 직구매시스템(서비스플랫폼)에 제공될 수 있도록, 카탈로그 피딩(Feeding) 서버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OPDS(Open Publication Distribution System) 스펙을 지원하는Atom Feed 서버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서관에서 주문하여 납품 완료된 전자책을 도서관 회원들에게 즉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서관의 기존 도서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회원인증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서관이 보유 중인 전자책을 신작, 대출 베스트, 추천, 도서 분류 등에 따라 검색할 수 있는, 카탈로그 및 메타데이터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유 중인 전자책을 대출, 반납, 반납연기, 예약, 예약 취소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리자가 이용현황을 알 수 있도록, 이용자별, 콘텐츠별, 기간별, 대출이력 등의 통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CMS 플랫폼 20: 출판사 플랫폼
20: 도서관 플랫폼 40: 사용자 단말기

Claims (3)

  1. 업무제휴된 출판사 플랫폼으로부터 전자책의 메타데이터가 제공되면, CMS 플랫폼이 업무제휴된 도서관 플랫폼으로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을 이용하려 하는 사용자들이, 상기 전자책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도서관 플랫폼이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도서관 플랫폼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책들에 대한 전자책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 정보를 포함한 카탈로그, 도서관의 구매예산, 도서관의 관심카테고리, 출판사, 타도서관 대출베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바탕으로 생성된, 전자책들의 구매요청을 상기 CMS 플랫폼이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CMS 플랫폼이, 구매요청된 전자책이 상기 도서관 플랫폼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CMS 플랫폼이, 상기 구매요청과 함께 수신된 상기 구매예산과,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대출베스트와, 상기 구매요청된 전자책들의 목록과,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분석결과와, 상기 구매요청된 전자책들을 제공하는 출판사들의 목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예산 내에서 가능한 전자책들의 구매목록을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목록을 수신한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부터 최종적으로 확정된 전자책에 대응되는 출판사 플랫폼으로, 상기 CMS 플랫폼이 구매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판사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구매요청에 대한 승인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CMS 플랫폼이, 구매요청된 전자책을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데이터는 데이터 관리상 필요한 데이터의 속성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직구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MS 플랫폼이 타도서관 대출 베스트 내역을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도서관 플랫폼이 타도서관의 도서관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CMS 플랫폼으로 전송된 대출 베스트 내역을, 상기 CMS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자책에 대한 리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CMS 플랫폼이 상기 리뷰 요청을 상기 출판사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출판사 플랫폼이 상기 리뷰 요청을 승인하면, 상기 도서관 플랫폼이, 상기 출판사 플랫폼 또는 상기 CMS 플랫폼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전자책의 풀텍스트를 뷰하는 단계; 및
    상기 출판사 플랫폼에서 콘텐츠의 마켓팅을 위해 풀텍스트를 뷰 할 수 있도록 승인하면, 상기 도서관 플랫폼이 상기 출판사 플랫폼 또는 상기 CMS 플랫폼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전자책의 풀텍스트를 뷰하는 단계는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책 정보에는 상기 대출 베스트 내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전자책 직구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판사 플랫폼이, 상기 구매요청에 대해 승인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출판사 플랫폼이, 상기 구매요청된 전자책을 대체할 수 있는 또 다른 전자책을 추천하거나, 또는 상기 출판사 플랫폼의 관리자가 원하는 조건에 따른 구매목록을 제안하는 단계;
    상기 CMS 플랫폼이 상기 또 다른 전자책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조건에 따른 구매목록을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또 다른 전자책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CMS 플랫폼이 상기 또 다른 전자책에 대한 구매 요청을 상기 출판사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도서관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조건에 다른 구매목록이 수신되면, 상기 CMS 플랫폼이 상기 조건에 따른 구매목록을 상기 출판사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책 직구매 방법.
KR1020150147658A 2015-10-23 2015-10-23 전자책 직구매 방법 KR101715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658A KR101715814B1 (ko) 2015-10-23 2015-10-23 전자책 직구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658A KR101715814B1 (ko) 2015-10-23 2015-10-23 전자책 직구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814B1 true KR101715814B1 (ko) 2017-03-20

Family

ID=5850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658A KR101715814B1 (ko) 2015-10-23 2015-10-23 전자책 직구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8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793A (ko) * 2018-11-30 2020-06-09 조민선 도서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34544B1 (ko) * 2019-12-11 2020-08-26 브이에스커뮤니티(주) 도서관 구매 도서 추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220017728A (ko) * 2020-08-05 2022-02-14 주식회사 유비케어 의료 데이터 거래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의료 데이터 거래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5995A (ko)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조은커뮤니티 네트워크상의 전자책 도서관의 운영시스템
KR20150045551A (ko) * 2013-10-18 2015-04-29 (주)다산서고 전자도서의 정보를 콘텐츠 공급업체 별로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5858A (ko) * 2014-01-16 2015-07-27 (주)아이이펍 전자책 제작, 유통 지원 웹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5995A (ko)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조은커뮤니티 네트워크상의 전자책 도서관의 운영시스템
KR20150045551A (ko) * 2013-10-18 2015-04-29 (주)다산서고 전자도서의 정보를 콘텐츠 공급업체 별로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5858A (ko) * 2014-01-16 2015-07-27 (주)아이이펍 전자책 제작, 유통 지원 웹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웹게시물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793A (ko) * 2018-11-30 2020-06-09 조민선 도서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82337B1 (ko) * 2018-11-30 2021-07-26 조민선 도서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34544B1 (ko) * 2019-12-11 2020-08-26 브이에스커뮤니티(주) 도서관 구매 도서 추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220017728A (ko) * 2020-08-05 2022-02-14 주식회사 유비케어 의료 데이터 거래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의료 데이터 거래 플랫폼 시스템
KR102420664B1 (ko) * 2020-08-05 2022-07-14 주식회사 유비케어 의료 데이터 거래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의료 데이터 거래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735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national procurement, such as via an electronic reverse auction
US20150161709A1 (en) Pop-up recommendation lists
US20090292599A1 (en) Transactional advertising
KR101612201B1 (ko) 온라인 콘텐츠 포털에 대한 콘텐츠 관련 메타데이터의 대량 입수
US20220147988A1 (en) Creating a smart contract on a blockchain ledger
US8234182B2 (en) Systems for providing customized or personalized memorabilia in association with vendor bidding
CN102893298A (zh) 允许内容创建者和内容提供商营销和分配媒体内容的系统和方法
JP2008539512A (ja) 動的でリアルタイムの環境におけるデジタルグッズの設置方法
US202102565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electronic commerce between supplier and seller
US10217155B2 (en) Product cross-selling method and system
KR20160076162A (ko) 가격 정보의 검색이 가능한 부품 중개 시스템
US201400953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roduct upgrade transactions
KR101715814B1 (ko) 전자책 직구매 방법
EP3614328A1 (en) Computer system for conducting a new product campaign and method
JP5719414B2 (ja) アフター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サーバー、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87793B1 (en) Optimized search results system and methods
JP6765180B2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0940398B1 (ko) 인터넷을 이용한 ucc 형태의 기술 교육용 콘텐츠 판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4361B1 (ko) 광고 컨텐츠 협업 모델을 갖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
JP7023043B2 (ja) 査定先設定装置、査定先設定システム、及び査定先設定方法
JP6932734B2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2218800B1 (ko) 광고 트래픽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6328314B1 (ja) 電子商取引統合管理システム
US201101255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dynamic market
WO2014087376A1 (en) Order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