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545B1 - 점화기 및 점화기 조립체 및 그 검지 시스템 및 검지 방법 - Google Patents

점화기 및 점화기 조립체 및 그 검지 시스템 및 검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545B1
KR101715545B1 KR1020157025359A KR20157025359A KR101715545B1 KR 101715545 B1 KR101715545 B1 KR 101715545B1 KR 1020157025359 A KR1020157025359 A KR 1020157025359A KR 20157025359 A KR20157025359 A KR 20157025359A KR 101715545 B1 KR101715545 B1 KR 101715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igniter
reader
insulating laye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437A (ko
Inventor
시게루 야마우찌
겐이찌로 도모이
다까아끼 유이
도시유끼 사까이
신고 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시스테무즈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시스테무즈,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시스테무즈
Publication of KR20150120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2Bridge initiators
    • F42B3/121Initiators with incorporated integrated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5/00Testing or checking of ammu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ir Bag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점화기는, 발열체와, 그 발열체에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착화약과, 절연층에 관통하여, 상기 발열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 핀을 갖고, 상기 도전 핀의 타단부는, 상기 발열체에 착화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 부품이 접속되도록, 상기 절연층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 내이며, 또한 상기 도전 핀의 근방에, IC 태그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점화기 및 점화기 조립체 및 그 검지 시스템 및 검지 방법 {IGNITER, IGNITER ASSEMBLY, AND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점화기 및 점화기 조립체 및 그 검지 시스템 및 검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백 장치와 같은 전기적인 착화를 이용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IC 태그 내장 점화기 및 점화기 조립체 및 그 검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시스템은, 운전자나 파일럿을 보호하기 위해 충돌시에 에어백을 순간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가스 발생기(인플레이터)로서, 전기식 점화기 혹은 점화기 조립체(이니시에이터, 이하,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단순히 점화기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점화기 조립체는, 점화기를 수지와 일체 성형한 상태에서 또한 금속제 컬러를 코킹하여 설치한 것, 혹은 점화기와 금속제 컬러를 수지로 일체 성형한 것이며, 모두 점화용 발열체를 내부에 갖고, 이것에 접속된 도전 핀이 외부로 연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절연체로 피복된 LSI 등의 전자 부품과 함께 무선 태그(RFID 태그 혹은 단순히 IC 태그라 칭함)가 배치되고 전체를 절연체로 피복한 구조로 하고, 곤포된 상태에서도 전자 부품의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에어백을 작동하는 전력 및 에어백의 작동 신호를 차체측으로부터 에어백측에 비접촉으로 전송 가능한 에어백 장치이며, 에어백측에, 화약을 점화 혹은 착화하기 위한 점화 회로나 스큅과 함께, 당해 에어백측이 갖는 에어백의 고유 정보를 보유하는 RFIC 태그(RFID 태그 혹은 단순히 IC 태그라고 칭함)를 구비하고, 차체측과 스티어링측의 사이를 비접촉 상태로 결합한 경우에, 접속되어야 할 에어백을 차체측으로부터 확인 가능하게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미소 루프를 구비하고 소형 금속 RFID 태그와 통신하는 RFID 태그 리더/라이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센터 핀 단부와 원통 형상의 슬리브와 브리지 와이어가 가교되고, 또한 이너 컵 내에 형성되는 공간에 착화약을 충전한 상태에서 비도전성의 컵형 케이스로 덮인 이니시에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금속제의 컵 내에, 1개의 도전 핀이 고정된 헤더가 배치되고, 도전 핀과 헤더를 브리지 와이어에 의해 접속한 이니시에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2657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6249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90813호 공보 미국 특허 제3971320호 공보 미국 특허 제5686691호 공보
긴급시에 에어백에 의해 운전자나 파일럿을 확실하게 보호하기 위해, 점화 장치의 정확한 조립 제조가 요구된다.
또한, 점화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은 안전상의 견지로부터 금속제 실드로 보호하는 것이 요망된다.
제품이나 부품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는, 종래는 바코드를 제품이나 부품에 부착하거나, 혹은 제품이나 부품에 직접 번호를 각인하는 등의 방법이 행해지고 있었다. 이 경우 제품이나 부품이, 바코드를 부착하는 스페이스나, 육안 확인할 수 있는 각인이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점화기 조립체는 크기 자체가 작아, 종래와 같은 바코드의 부착이 곤란하고, 또한 직접 제조 정보를 각인해도 작기 때문에 육안으로의 확인이 곤란한 것, 및 점화기 조립체는 최종 단계에서 수지 몰드되어 버려, 외부로부터 육안이나 기계식 판독기로 각인을 읽을 수 없으므로, 점화기에 대해서는 직접 제조 정보를 기록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행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에어백 등의 중요 보안 부품에 만일 이상이 있으면, 원인을 해석하고, 대상 범위를 특정하기 위해 각 부품의 번호, 제조 기록을 추적하지만, 점화기는 상기한 같이 각각 관리가 되어 있지 않으므로, 문제 범위를 불필요하게 넓게 설정할 수밖에 없거나, 점화기에 대해 재발 방지의 대책을 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의 전자 부품은, 에어백용을 상정한 것이 아니다. 특허문헌 2의 RFID 태그(IC 태그)는 에어백 수납체의 상에 배치된 전력 축적용 콘덴서의 바로 위, 환언하면, 에어백 수납체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금속제 실드로 보호되어 있지는 않다.
가령, 특허문헌 1의 금속제 실드로는 보호되어 있지 않은 구성을 이니시에이터에 응용한 경우는, 전자 부품이 절연물로 덮여 있을 뿐이므로, 작동시의 충격으로부터 전자 부품의 내부를 보호할 수 없다.
특허문헌 2 내지 5에도, 에어백 수납체 내의 점화기 조립체에 IC 태그를 내장하는 것의 기재는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점화기나 점화기 조립체에 IC 태그를 설치하여, 신뢰성의 향상과 동시에 IC 태그를 내장해도 종래와 외형 치수가 바뀌지 않는 점화기 조립체 및 그 검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것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점화기는, 발열체와, 그 발열체에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착화약(이후 점화약이라고도 하는 경우가 있음)과,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발열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 핀을 갖고, 상기 도전 핀의 타단부는, 상기 발열체에 착화 전류를 공급하는 부품(전류 공급 부품, 혹은 전류 공급 부재라고도 함)이 접속되도록, 상기 절연층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 내이며, 또한 상기 도전 핀의 근방에, IC 태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화 전류를 공급하는 부품(전류 공급 부품)은, 핀에 직접 접속하는 커넥터나, 용접이나 브레이징에 의해 접속되는 리드 와이어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화기나 점화기 조립체 자체의 크기가 작아, 이에 대해 라벨의 부착이나 각인에 의한 인식이 종래부터 매우 곤란했던 것을, IC 태그를 내장함으로써 종래 곤란했던 점화기나 점화기 조립체의 품질 관리뿐만 아니라, 작동시에 이상이 확인된 점화기 조립체의 원인 해석이나 문제 범위의 특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건 발명은, 이 점으로부터 IC 태그를 내장하는 대상이, 사이즈가 작아, 작동시에 열이나 충격을 수반하는 점화기나 점화기 조립체인 것에 큰 의미가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되는 IC 태그 내장 점화기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실시예의 점화기 조립체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며, 조립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b는 조립 후의 점화기 조립체에 있어서의 IC 태그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a의 IC 태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점화기 조립체를 채용한 가스 발생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점화기에 접속되는 전류 공급 회로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 및 점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IC 태그가 매설된 점화기의 제1 도전 핀(P1), 제2 도전 핀(P2)의 삽입 상태를,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점화기의 제1 도전 핀(P1), 제2 도전 핀(P2)의 삽입이 정상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점화기의 제1 도전 핀(P1), 제2 도전 핀(P2)의 삽입이 반대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점화기 컬러의 커넥터 삽입 공간 내에 있어서의,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의 검출부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b는 검출부와 점화기 내의 IC 태그와의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점화기 조립체의 실드 용기의 내부 회로로부터 절연층을 통해 외부로 전기 신호선(도전 핀)이 인출되는 것에 있어서, 점화기의 도전 핀의 근방의 절연층의 내부에 IC 태그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ID 번호에 기초하는 생산 로트나 출하 정보가 얻어지므로, 점화기나 점화기 조립체의 품질 관리뿐만 아니라, 작동시에 이상이 확인된 점화기 조립체의 원인 해석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점화기 조립체의 실드 용기의 내부 회로로부터 절연층을 통해 외부로 복수의 전기 신호선(도전 핀)이 인출되는 것에 있어서, 이 도전 핀의 근방의 절연층의 내부에 IC 태그를 설치하고, 이 IC 태그를 검출하는 창으로서 실드 용기 내의 착화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 부품의 접속용 공간을 이용한다. 이 경우, 실드 용기 내부의 검출해야 할 도전 핀의 바로 근처에 IC 태그를 내장하고, 리더/라이터의 전자파를 절연층의 외부측으로부터 검출해야 할 도전 핀의 바로 근처에 핀 포인트로 보내고, 절연층의 반대측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IC 태그를 불러냄으로써 IC 태그 통신을 행한다. IC 태그 리더/라이터의 검출부 선단의 코일 안테나에는 1차 전류가 흐르고,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는 IC 태그의 코일 안테나가 대향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배치에 의해, 2개의 안테나 코일이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상호 유도에 의해 2차 전류가 IC 태그의 코일 안테나에 유기된다. 즉, IC 태그는, 고주파의 1차 전류로부터 2차 전류를 유도함으로써 동작하고, IC 태그 정보는 2차 전류로부터 1차 전류로 반대로 가도록 유도한다.
또한, 실드 용기와 신호선의 절연층을, 1차 전류와 2차 전류의 상호 유도에 의한 전자 결합의 장소로서 사용하므로, 검출부 선단의 코일 안테나와 대항하는 IC 태그의 코일 안테나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바꾸어 말하면 IC 태그를 덮는 절연층의 두께가 얇을수록 결합 능률이 좋아진다.
이에 의해 금속인 실드 용기 내라도 IC 태그 통신이 가능해져, 점화기 조립체의 ID 번호 등 고유 식별 정보를 IC 태그 리더/라이터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최종적으로 조립된 각종 장치의 신뢰성도 향상된다. 또한, 만일의 리콜 회수 작업에 있어서는, ID 번호에 기초하는 생산 로트나 출하 정보 등의 축소를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a∼도 5에 의해, 본 발명의 점화기 및 점화기 조립체, 및 그것을 채용한 에어백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되는 점화기(200)의 종단면,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이다.
점화기(200)는, 차지 홀더(201), 헤더(202), 이 헤더(202)에 고정된 아일릿(209) 및 커버(203)를 갖고, 이들에 둘러싸인 공간 내에 점화약(204)(점화약(204a, 204b))이 봉입되어 있다. 제1 전극(제1 도전 핀(206)(P1)의 일단부)과 제2 전극(제2 도전 핀(207)(P2)의 일단부에 접속된 아일릿(209)의 타단부)으로 구성되는 전극 사이가 브리지 와이어(205)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전 핀(P1, P2)의 제1, 제2 전극측(근원 부분)은 수지제의 절연층으로 밀봉되어 있다. 부호 208은 유리 부재 등의 튼튼한 절연재이다. 차지 홀더, 아일릿 및 커버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지로 구성된 헤더(202) 내이며, 또한 제1 도전 핀(206)(P1)의 근방에, 코일면이 제1 도전 핀(센터 핀, P1), 제2 도전 핀(아일릿 핀, P2)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 OH-OH'와 직각 방향으로 되도록 하여, 평판 형상의 IC 태그(100)가 매설되어 있다. 헤더(202)의 외주부에는, 금속제 실드 용기(점화기 컬러)(305)가 고정되어 있다. 이 점화기 컬러의 내측은 수지(312)로 덮인 통형상의 커넥터 삽입 공간(전류 공급 부품의 접속용 공간)(306)으로 되어 있고, 이 전류 공급 부품의 접속용 공간(306)에, 제1 도전 핀(206)과 제2 도전 핀(207)이 돌출되어 있다. 점화기 컬러의 내측에는, 점화기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314)도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점화기 컬러(305) 상단부면(309)의 일부에, 위치 결정용 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제 실드 용기(점화기 컬러)와 점화기가 일체화된 것을, 점화기 조립체라고 정의한다.
또한, IC 태그(100)는 제1 도전 핀(206)과 제2 도전 핀(207) 중 어느 한쪽에 대응시키거나, 혹은 축선 OH-OH'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헤더(202)에 매립되어 있으면 된다.
부호 309는, 커넥터의 삽입 공간(306)의 단부에 설치된 환상의 플랜지부이며, 그 IC 태그(100)에 대응하는 측에, OH-OH'와 직각 방향(반경 방향)으로 신장된 위치 결정부(요철 구조)(3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부(310)는, 나중에 서술하는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에 대한 위치 결정부로 되는 것이다. 또한, 위치 결정부(310)는 요철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위치 결정용 핀과 구멍 등, 점화기(200)의 도전 핀(P1, P2)과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구조여도 된다.
IC 태그(100)는 평판 형상이며, IC 태그의 배치는 도전 핀의 축방향과 직각으로 설치한다. 즉, 점화기(200)의 내부 발열체로부터 외부를 향해 나오는 도전 핀(P1, P2)의 근원에 IC 태그(100)를 편평하게 설치한다. 이와 같이, IC 태그(100)는 점화기(200)의 절연층(혹은 브리지 와이어)의 면에 대해 평행, 수평 배치(평행 배치)로 되어 있다. 또한, IC 태그(100)는 반드시 수평 배치일 필요는 없고, 다른 구성 부재와의 관계에서 필요에 따라서, 헤더(202) 내에 경사져 배치되어도 된다. 단, 그 경우에는,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의 검지부를, IC 태그(100)의 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점화기(200)의 내부에 다른 전자 회로도 내장되는 경우에는, 도전 핀의 수는 복수, 즉 3개 이상으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IC 태그(100)는 도전 핀(P1, P2)의 근방에 있어서 헤더(202)를 구성하는 수지제의 절연층(헤더(202)) 중에 밀봉된다. 즉, 점화기(200)는 그 내부의 발열체나 도전 핀(P1, P2)의 근원 부분과 함께, 금속제 실드 용기(점화기 컬러)(305) 내에 삽입되고, 수지제의 절연층으로 밀봉된다. 그로 인해, 밀봉 후에는 도전 핀(P1, P2)만이 외측으로 신장되어, IC 태그(100)는 본래는 보이지 않는다. 만일 점화기(200)의 도전 핀(P1, P2)이 180도 회전하여 좌우 반대로 된 상태에서 금속제 실드 용기(점화기 컬러)(305) 내에 배치되고(역삽입), 수지로 밀봉되었다고 해도, 도전 핀(P1, P2)의 극성을 외관으로는 알 수 없다. 도 1b에서는, 설명의 사정상, 의도적으로 보이도록 IC 태그(100)를 점선으로 표현하고 있다.
도 2a는, 도 2b에 의해, 본 실시예의 점화기 조립체의 조립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a는, 점화기(200)와 점화기 컬러(305)가 일체로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b는, 조립 후의 IC 태그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금속제 실드 용기(점화기 컬러)(305)의 내측에는, 커넥터의 삽입 공간(306) 및 점화기(200)가 배치되는 공간(314)이 있다. 점화기(200)를, 점화기(200)를 배치하는 공간(314)에 배치하고, 수지(312)를 충전하여 양자를 일체화함으로써, 도 1a의 상태로 조립된다. IC 태그(100)는 도전 핀(P1)의 부근에 매설되어 있다. 도 2a는 설명을 위해, 수지(312)가 금속제 실드 용기(점화기 컬러)(305)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고, 수지(312)에는 도전 핀(P1, P2)이 관통하는 구멍(315, 316)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수지(312)를 사출하였을 때, 도전 핀(P1, P2)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이며, 수지(312)의 배치나 구멍은,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a의 수지(312)와 점화기(200)의 헤더(202)가, 동시에 수지 성형된다고 하는 것과 같은 다른 방법으로 조립되었다고 해도, 결과적으로 도 1a를 실현할 수 있으면 어느 방법이어도 된다.
도 3은 IC 태그(100)의 확대 사시도이다. IC 태그(100)는, 평판 형상의 기판 표면측에 설치된 IC 태그 본체부와, 기판의 이면에 형성된 IC 태그 절연 기판(103)을 갖고 있다. IC 태그 본체부는, IC 칩(101)과, 이 IC 칩(101)의 주위에 나선 조에 복수회 권취된 면 형상의 코일 안테나(102) 및 보호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 안테나는 그 내측 단부가 IC 칩(101)에 접속되고, 그 외측 단부는 이면의 절연층을 개재하여 IC 칩(10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UHF나 마이크로파대의 IC 태그에는, 크게 구별하면, (1) 파장 의존성이 현저한 반파장 공진 다이폴 기조의 안테나를 내장하는 1변이 10cm 정도인 IC 태그, (2) 파장 의존성이 없는 코일이나 콘덴서를 사용한 공진 회로를 내장한 1변이 10㎜ 이하인 초소형 사이즈의 IC 태그가 있다.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평판 형상의 기판 상에 형성되는 평면 코일이나, 도시하지 않았지만 원통 형상의 코일 등이 있다. 코일에는 눈에는 보이지 않는 부유 용량이 있어 부품 소자로서의 콘덴서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가 있고, 도 3은 이 생략된 결선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점화기 혹은 점화기 조립체에 사용하는 IC 태그(100)에 어떠한 종류의 것을 사용할지는, 점화기 또는 점화기 조립의 구조 등에 따라서 정하면 된다. 소형화를 우선하는 경우에는, 상기 평판 형상의 초소형 사이즈의 IC 태그가 적합하다.
도 4는, 점화기 조립체를 채용한 가스 발생기(300)의 단면도이다. 가스 발생기(300)는, 내압성을 갖는 금속제의 외각 용기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 원통 형상의 개구부를 갖고, 여기에 내압성의 금속제 원통 용기(304)가 고정되어 있다. 이 원통 용기의 안측의 공간에는 점화기(200)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점화기(200)를 포함하는 점화기 조립체는, 도 1a에 도시한 점화기 조립체와는 세부의 구성이 약간 다르지만, 도전 핀(P1, P2)의 근방에 있어서 수지 중에 IC 태그(100)를 설치한다고 하는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가스 발생기(300)에 있어서의 금속제 내통 용기(304)의 외측에는, 가스 발생제 성형체(302)가 충전되어 있다. 부호 303은 가스 배출구이다.
본 발명에서는, 점화기(200)에 IC 태그를 내장하거나 부가하기 위해, 초소형 사이즈의 IC 태그를 사용한다. 이러한 소형화의 용도에 적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외형 치수가, 2.5㎜×2.5㎜ 두께가 0.4㎜인 UHF대의 초소형 태그((주) 히타치 가세이(등록 상표) IM5-PK2525형 태그)가 있다. 이 태그는, 일례로서,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의 소정의 검출 전파 출력으로, 수 ㎜ 정도의 비거리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도 5에 의해, 본 실시예의 점화기(200)에 접속되는 전류 공급 회로(400)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전류 공급 회로(400)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ECU 내에 설치된다. 차량에 탑재된 에어백 시스템은, 전류 공급 회로(400)를 포함하는 ECU와, 이 ECU와 접속되고 각각 가스 발생기(300)와 에어백이 케이스 내에 수용된 복수의 에어백 모듈을 갖고 있다. 전류 공급 회로(400)를 포함하는 ECU와 개개의 가스 발생기(300)가, 각각 도체에 의해 이들 각 에어백 모듈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공급 회로(400)는, 예를 들어 1매의 기판 상에 형성된다. 이 기판의 일단부에는, 전류 공급 회로(400)를 점화기(200)의 제1 도전 핀(206)(P1) 및 제2 도전 핀(207)(P2)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접속 단자)(401, 40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설명상 제1 도전 핀(206)이 정, 제2 도전 핀(207)이 부(접지)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전류 공급 회로(400)는, 기판 상에, 적어도 스위치 회로(410, 411), 펄스 발생기(412, 413), 단선 검지 회로(414), 전압 변환기(421) 및 콘덴서(420) 등의 각 소자가 배치된 것이며, 외부의 직류 전원인 배터리(430)와, 가스 발생기(300) 내에 조립된 점화기(200)를 이그니션 키(431)를 통해, 접속하는 전류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전류 경로는, 1개의 점화기(200)에 대해 2개씩 존재하고 있고, 각각, 2개의 도선(리드 와이어)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 상의 스위치 회로(410, 411), 펄스 발생기(412, 413) 및 단선 검지 회로(414)는, 또한, 인터페이스(415)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 유닛(MCU)(422)에 접속되어 있다. MCU(422)에는 ROM(423)이 접속되고, 또한 인터페이스(424)를 통해, 기판 외부의 충격 검지 센서(440), 엔진의 컨트롤러나 브레이크 센서 등(450)에 접속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의 케이스 내에 수용된 가스 발생기로서는, 도 4에 도시하는 싱글형의 것 외에, 듀얼형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의 전류 공급 회로(400)에는, 4개의 점화기(200)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예를 들어 각각, 운전석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조수석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등에 설치되는 것이며, 각 점화기에, IC 태그(100)가 매설되어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각 점화기의 제1 도전 핀(P1)측에, IC 태그(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IC 태그(100)는, 외부로부터 각 점화기의 ID 번호 등 고유 식별 정보나 제조 정보를 취득하거나, 혹은 점화기와 전류 공급 회로 접속부(401, 402)가 적절하게 접속되는지 여부(역삽입 등)를 검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전기 공급 회로(400)의 스위치 회로(410, 411)는, 전류 경로를 개폐하고, 점화기(200)가 작동이 필요가 없을 때에는 직류 전류를 차단해 두고, 점화기(200)의 작동시에는 전류의 공급을 개시한다. 스위치 회로(410, 411)는, 전류 경로마다(1개의 도선마다) 1개 설치되어 있다. 단선 검지 회로는, 미약 전류에 의해 점화기의 이상(점화기의 발열부와 점화약의 접촉 불량, 또는 발열부의 단선)을 검지하기 위한 것이다.
스위치 회로(410, 411)와 펄스 발생기(412, 413)는, 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펄스 발생기로부터 스위치 회로의 개폐를 지시하는 제어용 펄스를 보냄으로써, 스위치 회로가 개폐된다. 이 펄스 발생기에 대한 제어용 펄스 전달의 지시는, 충격 검지 센서(440)로부터의 지령을 받아, MCU(422)로부터 보내진다. 스위치 회로(410, 411)는, 사이리스터, MOS-FET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회로는, 정극측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전류 공급 회로 내로의 통전은 배터리만으로 이루어진다. 콘덴서(420)는, 백업용 전원으로서 필요한 전류를 축전하고, 배터리로부터의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배터리에 대신에 전류를 공급한다.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충격 검지 센서로부터의 지령이 ECU로 보내져, 펄스 발생기에 대해 스위치 회로를 폐쇄하기 위한 지령이 전달된다. 이 지령에 기초하여 배터리로부터의 전류가 점화기 작동의 착화 펄스로서, 전류 경로를 거쳐서 점화기(200)로 보내진다. 이 착화 펄스를 받아, 점화기(200) 내의 화약이 점화되어 에어백이 전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점화기나 점화기 조립체 자체의 크기가 작고, 이에 대해 라벨의 부착이나 각인에 의한 인식이 종래부터 매우 곤란했던 것을, IC 태그를 내장함으로써 종래 곤란했던 점화기나 점화기 조립체의 품질 관리뿐만 아니라, 작동시에 이상이 확인된 점화기 조립체의 원인 해석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이 점으로부터 IC 태그를 내장하는 대상이, 사이즈가 작고, 작동시에 열이나 충격을 수반하는 점화기나 점화기 조립체인 것에 큰 의미가 있다.
본 실시예의 점화기나 점화기 조립체는, 운전석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조수석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사이드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커튼용 인플레이터, 니 볼스터용 인플레이터, 인플레이터블 시트 벨트용 인플레이터, 튜블러 시스템용 인플레이터, 프리텐셔너용 인플레이터 등의 각종 인플레이터(가스 발생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또한, 본 발명과 같이, 도전 핀의 근방에 IC 태그를 내장하여, 이들을 수지로 일체화한 점화기 조립체에 있어서는, 도전 핀에 접속되는 전류 공급 부품은 실시예 1의 커넥터에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특허문헌 4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이, 용접이나 브레이징 등에 의해 도전 핀에 접속되는 리드 와이어여도 된다.
또한 점화기 조립체가 도전 핀의 역삽입을 감지할 필요가 없는 구조라도, 문제 발생시에 있어서의 원인 해석이나 문제 범위의 특정을 위해, 내부에 IC 태그를 조합한 점화기 조립체로 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 점화기 조립체에 사용하는 점화기가, 특허문헌 5에서 개시하고 있는 도전 핀이 1개인 경우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IC 태그를 내장하는 대상이, 사이즈가 작고, 작동시에 열이나 충격을 수반하는 점화기 조립체라도, 외부로부터 간단하게, 수지에 매설되고 정규로 조립되어 IC 태그의 검지를 행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실시예 1에서 서술한 점화기(200)와 전류 공급 회로(400)의 접속부(401, 402)가 적절하게 접속되는지를 검지하는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 및 점화기(200)의 사시도이다.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는, 본체의 표면에 설치된 조작부(501)나 표시부(502),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고주파 안테나 회로(도시 생략), 전원 및 제어 회로부(도시 생략) 및 본체의 선단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검출부(51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의 안테나와 검출부(510)는, 본체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신장된 한 쌍의 신호 전송부(T)(케이블)(511, 512)로 접속되어 있다. 본체 내부의 안테나 회로와 외부에 노출되는 검출부(510)는, 한 쌍의 케이블(511, 512)의 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코일면을 갖는 미소 루프의 검지 코일(Detecting Coil)로 되어 있다. 미소 루프 코일의 검지 코일(510)(D)의 코일 권취수는, 1회 권취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고주파 정합 등 회로 능률의 사정에 따라, 2회 권취 혹은 그 이상이어도 된다.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는, 결합부(오목부 혹은 볼록부)(503)를 더 갖고, 이것을 가스 발생기(300)(혹은 점화기 조립체)의 깊이 H의 위치 결정부(요철 구조)(310)와 기계적으로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그 검출부(510)의 검지 코일이 점화기(200)의 절연성 수지의 통 형상의 커넥터 삽입 공간(306) 내의 소정의 위치, 즉, 점화기(200) 내의 IC 태그(100)를 검출 가능한 위치 및 소정의 깊이 H에 고정된다.
또한, 끼워 맞춤부(503)는,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를 점화기 조립체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이 끼워 맞춤부(503)의 측 바로 근처에 제1 도전 핀(P1), 먼 측에 제2 도전 핀(P2)이 배치될 때를 「정」, 이 역삽입을 「오」로서 구별하는 표시의 역할이 있다. 또한, 끼워 맞춤부(503)의 소정의 깊이 H만큼 검출부(510)가 끼워 맞춤되었을 때, IC 태그(100)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전자파 출력이 조정되는 것으로 한다.
도 7은,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의 끼워 맞춤부(503)를 점화기 조립체의 요철 구조(310)와 끼워 맞춤시켜, 검출부(510)를 기계적으로 커넥터 삽입 공간(306) 내의 소정의 회전 위치와 소정의 깊이에 세트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즉, 검출부(510)를 커넥터 삽입 공간(306) 내에 삽입하여, IC 태그(100)의 바로 근처까지 접근시킨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의 검출부 검지 코일(510)과 IC 태그의 코일이 전자 결합되어, 상호 유도에 의해 검지 코일의 1차 전류에 대응하는 2차 전류가 IC 태그의 코일 안테나에 유기된다. 이에 의해, 제1 도전 핀(P1)의 근본에 내장된 수 ㎜ 정도의 짧은 비거리의 초소형 IC 태그(100)라도, 그 유무를 비접촉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8a, 도 8b는, IC 태그(100)가 매설된 점화기(200)의 제1 도전 핀(P1), 제2 도전 핀(P2)의 상태를,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도 8a는, 제1 도전 핀(P1)에 근접한 측에 IC 태그(100)가 매설되어 있고, 점화기(200)의 제1 도전 핀(P1), 제2 도전 핀(P2)의 삽입이 정상적인 상태이다. Φ1은 전자 유도의 자력선을 나타내고 있다.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의 결합부(503)는 가스 발생기(300)의 위치 결정부(요철 구조)(310)와 1대 1로 대응한다.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의 내부 고주파 안테나 회로로부터 신호 전송부(511, 512)까지를 일련의 검출 장치로 한다. 끼워 맞춤부의 깊이가 소정의 H이며, 여기에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가 끼워 맞춤되었을 때에만, 그 검출부(510)의 루프 안테나가 바로 아래의 IC 태그(100)의 코일면과 평행하게 되고, 또한 검출부(510)와 IC 태그가 소정의 거리 내에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검출부(510)와 IC 태그는 자속 Φ1에 의해 전자 결합된다. 즉, 검출이 가능 상태로 된다.
정규 삽입의 경우, 검출부(510)가 IC 태그(100)의 루프면과 전자 결합됨으로써 신호 전송부(511, 512)를 거쳐서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의 내부 고주파 안테나 회로 등에 의해 외부 통신이 가능해진다. IC 태그의 코일과 검출부(510)의 미소 루프는, 변압기의 1차 코일, 2차 코일에 상당하는 상호 유도의 관계가 성립된다. 신호 전송부의 고주파 전류를 1차 전류로 하면, 이 1차 전류에 의해 유기된 자력선이 IC 태그의 코일 안테나에 2차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2차 전류에 의해 동작한 IC 태그(100)는 그 ID 등의 식별 정보의 타 고유 정보의 신호를, 신호 전송부를 반대로 거슬러, 내부의 고주파 안테나 회로로 반환시킨다.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로부터 보았을 때의 감도는, 신호 전송부와 태그(100)가 접근하고 있을수록 높은 감도로 된다. 그로 인해, 위치 결정부(503)가 점화기(200)의 요철 구조(310)와 일치하였을 때, 검출부(510)의 바로 아래 부근에 있어서 IC 태그(100)를 검출하고, 그 결과가,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의 표시부(502)에 표시된다.
만일 잘못하여 제1 도전 핀(P1), 제2 도전 핀(P2)이 점화기 조립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 IC 태그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난다. 도 8b는, 제2 도전 핀(P2)에 근접한 측에 IC 태그(100')가 매설되어 있고, 점화기(200)의 제1 도전 핀(P1), 제2 도전 핀(P2)의 삽입이 반대인 경우이다. 이때, IC 태그(100')는, 검출부(510)의 자속 Φ1'에 의해 검출 가능한 범위의 밖에 있어,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는 IC 태그(100')를 검출할 수 없다.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의 표시부(502)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으므로, 도 8b의 상태는, 오삽입, 혹은 IC 태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다.
이와 같이, IC 태그를 설치한 점화기(200)가 잘못하여 180도 회전하여, 결과적으로 제1 도전 핀(P1), 제2 도전 핀(P2)이 점화기 조립체 내에 역방향으로 오삽입되어 일체화되면, IC 태그의 위치가, 끼워 맞춤부(503)에 대해 반대측으로 어긋난다. 도 8b의 상태는, 이 어긋남 폭을 검출부(D)에 의해 검출할 수 없는 전자적 거리로 되도록 검출 전자파 출력 등이 미리 조정되어 있다.
발명자들은,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에 의해, 본 실시예의 점화기 조립체의 IC 태그를 검지할 수 있을지에 대해,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에 대해,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a는, 점화기 컬러(305)의 커넥터 삽입 공간(306) 내에 있어서의,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의 검출부(510)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b는, 검출부(510)와 점화기(200) 내의 IC 태그의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실험은, 커넥터 삽입 공간(306) 내에서,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의 검출 전자파 출력을 27dBm(920㎒)로 하고, 검출부(510)의 위치(회전각 θ)를 IC 태그의 위치로부터 90도씩 이동시켜 행하였다. 또한, IC 태그의 바로 위에 검출부가 위치하고 있을 때(θ=0)의 검출부와 금속의 아일릿(209)까지의 거리를 6㎜, 도중의 IC 태그(100)와의 대향 거리는 4㎜, 검출부(510)의 코일 직경은 5㎜, IC 태그는 한 변이 2.5㎜인 코일을 갖는 (주) 히타치 가세이 IM5-PK2525형 태그이다. 회전각 θ(OV-OV'에 대한 각도)가 0°, 환언하면, 도 8a의 구성에서 IC 태그(100)의 바로 위에 검출부(510)가 위치하는 조건 하에서는, 검출부(510)에 의해 IC 태그(100)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회전각 θ가 180°, 즉, 도 8b의 구성에서는, IC 태그(100)를 검지할 수 없었다. 또한, 회전각 θ가 ±90°, 즉, OV-OV'에 직각인 위치에서도 IC 태그(100)를 검지할 수 없었다. 이 검출 실험예에 의하면, 검출부(510)는 IC 태그(100)를 소정의 대향 위치에서 핀 포인트에,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화기 조립체의 절연층 내에 IC 태그를 배치함으로써, 완성된 점화기 조립체에 있어서 만일 이상이 확인되었을 때, IC 태그에 의해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그 원인 해석이나 문제가 발생한 범위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금속제 실드 용기를 갖는 점화기 조립체의 내부에 IC 태그를 매설하고, 금속제 실드 용기 내의 커넥터 접속용 공간을 IC 태그의 검지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에 장착한 후라도 점화기 조립체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외부로부터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 등으로 효율적으로, 각 점화기에 대응한 IC 태그의 정보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완료 후의 단체의 점화기 조립체의 전기 부품의 브리지 와이어(205)나 점화약(204) 등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외부로부터 효율적으로, 점화 회로의 도전 핀의 역삽입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는, 일체적인 구조가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IC 태그에의 신호 전송부(T)(511) 등, 리더/라이터 장치의 각 부분을 개별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이들이 케이블이나 전자적으로 와이어리스로 서로 접속되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500)는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안테나를 갖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와는 별도로 설치된 신호 전송부나 검출부를 갖는 다이폴 안테나를 갖고, 양자 사이를 IC 태그 통신용 전자파와 동일한 전자파로 통신한다. 다이폴 안테나에는, 점화기(200)의 요철 구조에 대응하는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를 채용한 가스 발생기(300)의 조립 방법에 의하면, 점화기 고유의 ID 번호 등 고유 식별 정보를 취득할 뿐만 아니라, 점화기 조립체의 제1 도전 핀(P1), 제2 도전 핀(P2)의 위치 관계를 판정하고 나서, 이것을 가스 발생기(300)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스 발생기의 2개의 도전 핀의 삽입 상태의 정, 오를 판별한 후, 가스 발생기를 공지의 자동차 안전 장치(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에 내장하고, 또한 상기 가스 발생기를 에어백 장치(예를 들어, 시트 벨트의 프리텐셔너)에 내장한 후, 차량에 탑재한다. 본 실시예의 판별 방법을 채용하면, 점화기 조립체가 갖는 2개의 도전 핀을 용이하고 또한 종래법에 비해 보다 저비용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어백 장치(에어백용 가스 발생기)나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등의 자동차 안전 장치의 조립에 있어서도, 2개의 도전 핀을 잘못 취하는 일 없이, 각 도전 핀에 대응하는 착화 전원의 전극에 적합하도록 조립할 수 있어, 이들 장치에 대한 신뢰성도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판정 방법은, 도전 핀이 3개 이상인 점화기 및 점화기 조립체에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점화기 조립체의 위치 결정부는, 기계적인 구조로 확보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2에서는, 광학식 검지 기구를 채용한다.
점화기 조립체와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고정하는 수단은, 기계적인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b의 플랜지부(309)의 표면에,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에 대한 위치 결정부로서 검지용 마크를 형성하고, 이것을,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에 설치한 카메라로 검지하고, 화상 처리하여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확인하는 광학식 검지 구조로 치환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점화기 조립체의 플랜지부(309)의 표면에,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에 대한 위치 결정부로서 검지용의 마크를 형성한다. 그리고, 리더/라이터 장치 또는 점화기 조립체를, XY 좌표에서 이동 가능한 테이블 상이나 로봇 아암 상에 두고, 위치 결정부의 마크를,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에 설치한 카메라로 검지하고, 화상 처리하여 양자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확인하고, 리더/라이터 장치와 점화기 조립체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행한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역삽입의 검지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점화기 조립체의 소정의 위치에 IC 태그를 매설함으로써, 점화기 조립체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외부로부터 비접촉으로, 효율적으로, 도전 핀의 역삽입 검출을 행할 수 있다.
100 : IC 태그
101 : IC 칩
102 : 코일 안테나
200 : 점화기
201 : 차지 홀더
202 : 헤더
203 : 수지제 커버
204 : 점화약(착화약)
205 : 브리지 와이어
206 : 제1 도전 핀(P1)
207 : 제2 도전 핀(P2)
209 : 아일릿
300 : 가스 발생기
301 : 점화약
302 : 가스 발생제 성형체
303 : 가스 배출구
305 : 점화기 컬러(금속제 실드 용기)
306 : 커넥터의 삽입 공간
309 : 금속제 실드 용기 보유 지지용 환상의 플랜지부
310 : 위치 결정부
312 : 수지
315 : 구멍
316 : 구멍
500 :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
503 : 결합부
510 : 검출부
H : 소정의 깊이

Claims (15)

  1. 발열체와, 그 발열체에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착화약과,
    절연층에 관통하고, 상기 발열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 핀을 갖고,
    상기 도전 핀의 타단부는, 상기 발열체에 착화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 부품이 접속되도록, 상기 절연층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 내이며, 또한 상기 도전 핀의 근방에, IC 태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IC 태그는, IC 칩과, 그 IC 칩의 주위에 권취된 코일 안테나를 갖고,
    상기 IC 태그는, 상기 코일 안테나의 면이 상기 도전 핀과 직각 혹은 그것에 가까운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
  2. 점화기와 점화기 컬러가 일체화된 점화기 조립체로서,
    상기 점화기는,
    발열체와, 그 발열체에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착화약과,
    절연층에 관통하고, 상기 발열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 핀을 갖고,
    상기 도전 핀의 타단부는, 상기 발열체에 착화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 부품이 접속되도록, 상기 절연층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 내이며, 또한 상기 도전 핀의 근방에, IC 태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IC 태그는, IC 칩과, 그 IC 칩의 주위에 권취된 코일 안테나를 갖고,
    상기 IC 태그는, 상기 코일 안테나의 면이 상기 도전 핀과 직각 혹은 그것에 가까운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핀은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 내이며, 또한 상기 복수의 도전 핀 중 어느 하나의 근방에, 상기 IC 태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점화기 조립체를 보유 지지하는 상기 점화기 컬러에, 상기 IC 태그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점화기 컬러의 플랜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 핀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에 직각 방향으로 신장된 요철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태그 내장의 점화기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점화기 컬러의 플랜지부에 설치된, 광학식 검지 기구에 의한 검지용의 마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태그 내장의 점화기 조립체.
  6.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를 사용한, 점화기 조립체의 검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점화기 조립체는,
    금속제 실드 용기와,
    상기 금속제 실드 용기 내에 고정된 점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점화기는,
    발열체와,
    절연층을 통해 상기 발열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도전 핀을 갖고,
    상기 복수의 도전 핀의 타단부는, 상기 금속제 실드 용기 내의 전류 공급 부품의 접속용 공간에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 내이며, 또한 상기 복수의 도전 핀 중 어느 하나의 근방에, IC 태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IC 태그는, IC 칩과, 그 IC 칩의 주위에 권취된 코일 안테나를 갖고,
    상기 IC 태그는, 상기 코일 안테나의 면이 상기 하나의 근방의 도전 핀과 직각 혹은 그것에 가까운 각도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용 공간을, 상기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에 의해 상기 IC 태그를 검출하는 창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 조립체의 검지 시스템.
  7.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를 사용한, 점화기 조립체의 검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점화기 조립체는,
    금속제 실드 용기와,
    상기 금속제 실드 용기 내에 고정된 점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점화기는,
    발열체와,
    절연층을 통해 상기 발열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도전 핀을 갖고,
    상기 복수의 도전 핀의 타단부는, 상기 금속제 실드 용기 내의 전류 공급 부품의 접속용 공간에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 내이며, 또한 상기 복수의 도전 핀 중 어느 한쪽의 근방에, IC 태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용 공간은, 상기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에 의해 상기 IC 태그를 검출하는 창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금속제 실드 용기에, 상기 IC 태그의 위치에 대응한, 상기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용의,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는, IC 태그 통신용의 전자파를 방사하는 안테나 회로 및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의 결합부를 상기 금속제 실드 용기의 상기 위치 결정부에 끼워 맞춤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코일부가 상기 IC 태그의 코일 면과 평행하게 되고,
    상기 검출부와 상기 IC 태그가 소정의 거리 내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검출부와 상기 IC 태그는 자속에 의해 전자 결합되고,
    상기 검출부와 상기 IC 태그가 소정의 거리 밖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검출부와 상기 IC 태그는 자속에 의한 검출 가능한 범위의 밖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 조립체의 검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안테나 회로와,
    상기 본체의 선단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신장된 신호 전송부에 접속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신호 전송부의 축에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 검지 코일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를 상기 위치 결정부와 기계적으로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그 검출부가 상기 점화기의 상기 전류 공급 부품의 접속용 공간 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 조립체의 검지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제1 안테나 회로와,
    상기 본체와는 다른 부재로서 일체로 설치된, 제2 안테나, 신호 전송부 및 검출부와,
    상기 제2 안테나에 설치된 상기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신호 전송부의 축에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 검지 코일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를 상기 위치 결정부와 기계적으로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그 검출부가 상기 점화기의 상기 접속용 공간 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 조립체의 검지 시스템.
  10.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를 사용한, 점화기 조립체의 검지 방법으로서,
    상기 점화기 조립체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금속제 실드 용기와,
    상기 금속제 실드 용기 내에 고정된 점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점화기는,
    발열체와,
    절연층을 통해 상기 발열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도전 핀을 갖고,
    상기 복수의 도전 핀의 타단부는, 상기 금속제 실드 용기 내의 전류 공급 부품의 접속용 공간에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 내이며, 또한 상기 복수의 도전 핀 중 어느 한쪽의 근방에, IC 태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는, IC 태그 통신용의 전자파를 방사하는 안테나 회로 및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를 상기 금속제 실드 용기에 세트하고,
    상기 접속용 공간을 창으로서 이용하여, 상기 IC 태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 조립체의 검지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를 갖는 금속제 실드 용기와,
    상기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를 상기 금속제 실드 용기의 상기 위치 결정부에 세트하고,
    상기 검출부와 상기 IC 태그의 자속에 의한 전자 결합을 검지하였을 때, 상기 복수의 도전 핀이 상기 점화기에 대해 정규의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검출부와 상기 IC 태그의 자속에 의한 전자 결합을 검출할 수 없을 때, 상기 복수의 도전 핀이 상기 점화기에 대해 정규의 위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 조립체의 검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IC 칩과, 그 IC 칩의 주위에 권취된 코일 안테나를 갖고,
    상기 IC 태그는, 상기 코일 안테나의 면이 상기 도전 핀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IC 태그는, 고주파의 1차 전류로부터 2차 전류를 유도함으로써 동작하고, 그 IC 태그의 정보가 2차 전류로부터 1차 전류로 반대로 거스르도록 유도됨으로써, 상기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와의 IC 태그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 조립체의 검지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 통신용 리더/라이터 장치가 상기 금속제 실드 용기에 끼워 맞춤되었을 때, 상기 검출부의 코일부가 상기 IC 태그의 코일 면과 평행하게 되고, 또한 상기 검출부와 상기 IC 태그가 소정의 거리 내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만, 상기 검출부와 상기 IC 태그가 자속에 의해 전자 결합되어 상기 IC 태그와의 IC 태그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 조립체의 검지 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157025359A 2013-03-18 2013-03-18 점화기 및 점화기 조립체 및 그 검지 시스템 및 검지 방법 KR101715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7710 WO2014147721A1 (ja) 2013-03-18 2013-03-18 点火器及び点火器組立体及びその検知システム並びに検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437A KR20150120437A (ko) 2015-10-27
KR101715545B1 true KR101715545B1 (ko) 2017-03-13

Family

ID=5157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359A KR101715545B1 (ko) 2013-03-18 2013-03-18 점화기 및 점화기 조립체 및 그 검지 시스템 및 검지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88235B2 (ko)
EP (1) EP2977272B1 (ko)
JP (1) JP6018699B2 (ko)
KR (1) KR101715545B1 (ko)
CN (1) CN105050867B (ko)
WO (1) WO2014147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4958A1 (de) * 2014-10-15 2016-04-21 Skidata Ag Verfahren zur Lokalisierung von Insassenschutz- und Rückhaltesystemen eines verunfallten Kraftfahrzeugs
WO2017197389A1 (en) * 2016-05-13 2017-11-16 Tk Holdings Inc. Smart initiator assembly
JP6813997B2 (ja) * 2016-09-02 2021-01-13 株式会社ダイセル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小型飛行体
JP6706190B2 (ja) * 2016-11-29 2020-06-03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CN107248565B (zh) * 2017-07-12 2019-11-15 北京昆兰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主动高压隔离电池箱及其动高压隔离连接器
JP7266412B2 (ja) * 2019-01-18 2023-04-28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KR102199142B1 (ko) 2019-05-31 2021-01-06 (주)파워피디 점화 장치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336178B1 (ko) 2019-05-31 2021-12-08 (주)고려엔지니어링 점화 장치 진단용 센서 및 이의 조립 방법
US20220136813A1 (en) * 2020-10-29 2022-05-05 Ryan Parasram Addressable Ignition Stage for Enabling a Detonator/Ignitor
CN113324447B (zh) * 2021-04-30 2023-07-07 物华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火工品测试装置
DE102021113570A1 (de) 2021-05-26 2022-12-01 Zf Automotive Germany Gmbh Mikrogasgener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krogasgenerato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5650A (ja) * 2004-10-26 2006-05-18 Asahi Kasei Chemicals Corp 無線icタグ付き雷管または点火具
JP2006282091A (ja) * 2005-04-04 2006-10-19 Honda Motor Co Ltd タイヤ情報転送装置、タイヤ情報転送方法および車両
JP2009272768A (ja) * 2008-05-01 2009-11-19 Fujitsu Ltd 無線タグ及び無線タグを有する導電性パイプ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1320A (en) 1974-04-05 1976-07-27 Ici United States Inc. Electric initiator
JPH02595A (ja) 1987-10-08 1990-01-05 Tokyo Keiki Co Ltd メモリパッケージの位置決め構造
US5686691A (en) 1995-12-22 1997-11-11 Oea, Inc. Slurry-loadable electrical initiator
DE69923054T2 (de) * 1998-09-28 2005-05-25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Sakai Gasgenerator für luftsack und luftsackvorrichtung
ATE267727T1 (de) * 1999-02-16 2004-06-15 Daicel Chem Gasgenerator für einen mehrstufigen airbag und airbagvorrichtung
JP2002000595A (ja) * 2000-06-22 2002-01-08 Toshiba Corp 永久磁石形モータおよびct装置
JP3846269B2 (ja) * 2001-11-01 2006-11-15 株式会社ダイフク 輪体および移動体および輪体の製造方法
US7119693B1 (en) 2002-03-13 2006-10-10 Celis Semiconductor Corp. Integrated circuit with enhanced coupling
ATE548627T1 (de) * 2002-08-30 2012-03-15 Nippon Kayaku Kk Mikrogaserzeuger mit automatischer zündfunktion
US6913199B2 (en) * 2002-12-18 2005-07-05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f optical code reads
US7210703B2 (en) * 2004-10-26 2007-05-01 Autoliv Asp, Inc. One-piece initiator device for inflators
DE102005009644B4 (de) * 2005-03-03 2013-09-12 Schott Ag Zündvorrichtung für eine pyrotechnische Schutzvorrich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Zündvorrichtung sowie Gasgenerator mit einer solchen Zündvorrichtung
US20060260498A1 (en) * 2005-04-05 2006-11-2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gniter assembly
WO2006128257A1 (en) 2005-06-02 2006-12-07 Global Tracking Solutions Pty Ltd An explosives initiator, and a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dentifiable initiators
JP4546355B2 (ja) 2005-08-30 2010-09-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20090266265A1 (en) * 2006-01-06 2009-10-29 Nipponkayaku Kabushikikaisha Ignition Device,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Gas Generator for Seat Belt Pretensioner
US8733250B2 (en) * 2006-01-27 2014-05-27 Schott Ag Metal-sealing material-feedthrough and utilization of the metal-sealing material feedthrough with an airbag, a belt tensioning device, and an ignition device
JP2007226574A (ja) 2006-02-23 2007-09-06 Hamamatsu Toa Denki Kk 無線タグ内蔵電子部品
JP2008013031A (ja) 2006-07-05 2008-01-24 Honda Motor Co Ltd 着火装置
JP4627537B2 (ja) 2006-09-04 2011-02-09 株式会社日立情報システムズ 小型金属rfidタグを内装する金属製rfidタグ
JP4705550B2 (ja) * 2006-10-26 2011-06-22 日本化薬株式会社 スクイブならびに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装置および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用ガス発生装置
JP4668889B2 (ja) * 2006-12-01 2011-04-13 日本化薬株式会社 点火素子搭載コンデンサ、ヘッダーアッシー、スクイブならびに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装置および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用ガス発生装置
US7950693B2 (en) * 2008-05-20 2011-05-31 Autoliv Asp, Inc. Dual stage inflator
AU2009308168B2 (en) * 2008-10-24 2014-10-30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lectronic detonator system
JP4644296B2 (ja) * 2009-07-29 2011-03-02 昭和金属工業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5689065B2 (ja) * 2009-10-15 2015-03-25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剤組成物及びその成型体、並びにこれを用いたガス発生器
JP5526726B2 (ja) * 2009-11-20 2014-06-1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タグ
CN102289689B (zh) * 2010-05-11 2014-05-14 株式会社日立系统 使用了ic标签的控制机器的操作状态检测装置
MX2013000536A (es) * 2010-07-15 2013-07-29 Nippon Kayaku Kk Composicion de ignicion en polvo para aparato de encendido.
JP5638963B2 (ja) * 2011-01-07 2014-12-10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DE102012217070A1 (de) * 2012-09-21 2014-03-27 Karsten Schwuchow Anzünderträger, Anzündeinhei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nzündeinheit
JP5985950B2 (ja) * 2012-10-04 2016-09-0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とその組立方法
JP6243404B2 (ja) * 2013-03-29 2017-12-06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5650A (ja) * 2004-10-26 2006-05-18 Asahi Kasei Chemicals Corp 無線icタグ付き雷管または点火具
JP2006282091A (ja) * 2005-04-04 2006-10-19 Honda Motor Co Ltd タイヤ情報転送装置、タイヤ情報転送方法および車両
JP2009272768A (ja) * 2008-05-01 2009-11-19 Fujitsu Ltd 無線タグ及び無線タグを有する導電性パイ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437A (ko) 2015-10-27
JPWO2014147721A1 (ja) 2017-02-16
US20160052481A1 (en) 2016-02-25
EP2977272A1 (en) 2016-01-27
CN105050867A (zh) 2015-11-11
CN105050867B (zh) 2017-06-09
EP2977272B1 (en) 2018-03-14
US9688235B2 (en) 2017-06-27
WO2014147721A1 (ja) 2014-09-25
EP2977272A4 (en) 2016-10-26
JP6018699B2 (ja)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545B1 (ko) 점화기 및 점화기 조립체 및 그 검지 시스템 및 검지 방법
KR102089381B1 (ko) 점화기 조립체, 에어백 시스템 및 그 검지 시스템과 검지 방법
ES2350906T3 (es) Dispositivo de conexión eléctrica que comprende unos medios de indicación de estado de emparejamiento.
US9633301B2 (en) IC module, dual IC c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C module
EP1528621A1 (en) Loop coil antenna
US20160043565A1 (en) Electricity supply device and electricity reception device
AU2019245602B2 (en)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JP2007009414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US20200036411A1 (en) Vehicle components, switch to be arranged on a vehicle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vehicle component
US10663269B2 (en) Initiator grounding clip
JP2019532294A (ja) 車両、特に自動車用センサ装置
TWI444901B (zh) An operation state detecting device for a control machine using an IC tag
JP4546355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9194796A (ja) 携帯機
EP3576220B1 (e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system
US20190242727A1 (en) Capacitive proximity sensor
JP3187269B2 (ja) ロック装置
JP4397731B2 (ja) 点火装置
US20190313532A1 (en) Sensor Device for a Vehicle, Motor Vehicle
JP3151128B2 (ja) 車両用キー装置
CN113196027A (zh) Rfid天线、rfid标签及物理量测定装置
JPWO2018020580A1 (ja) イニシエータ電流遮断器
CN113635857A (zh) 安全带锁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