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511B1 -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511B1
KR101715511B1 KR1020150137807A KR20150137807A KR101715511B1 KR 101715511 B1 KR101715511 B1 KR 101715511B1 KR 1020150137807 A KR1020150137807 A KR 1020150137807A KR 20150137807 A KR20150137807 A KR 20150137807A KR 101715511 B1 KR101715511 B1 KR 101715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base station
data
burst
b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준
김병관
안광훈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7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92Adapting at the relay station communication parameters for supporting cooperative relaying, i.e. transmission of the same data via direct - and relay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Abstract

기지국과 복수의 복호 전송 릴레이를 포함하는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지국과 복수의 복호 전송 릴레이를 포함하는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에서, 상기 기지국은 각 릴레이의 채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은 각 릴레이의 채널 상태를 확인한 결과, 어느 릴레이의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 중에서 데이터 전송이 열악한 채널 환경인 배드 버스트(Bad burst)가 있는 경우, 해당 릴레이인 제1 릴레이를 제외한 다른 릴레이에 상기 배드 버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용할 만한 여유 무선 자원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은 다른 릴레이인 제2 릴레이에 여유 무선 자원이 있으면, 상기 제1 릴레이에 상기 배드 버스트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미리 상기 배드 버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릴레이에 전송하여 협력 전송을 위한 준비를 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2 릴레이는 동시에 상기 배드 버스트 데이터를 상기 제1 릴레이에 전송하는 협력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은 협력 전송이 이루어진 후, 상기 배드 버스트를 통한 채널 상태를 재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Method for operating complementary relay station in decode and forward relay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과 복수의 복호 전송 릴레이를 포함하는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호 전송 릴레이를 사용하여 성능을 강화하되, 기지국과 복수의 릴레이 사이의 통신 환경에서 릴레이 사이에 협력 통신을 통하여 기지국과 릴레이 사이의 통신 용량을 높이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시스템은 음성 서비스 위주로 발전해왔으며, 점차 음성뿐만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 및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도 가능한 통신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음성 위주의 통신시스템은 전송 대역폭이 비교적 작고, 사용료가 비싸므로 급증하는 사용자들의 서비스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게다가 통신 산업의 발달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 증가로 인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급증하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정도의 광대역을 갖고 효율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위해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즉,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은 다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들을 사용하여 물리 채널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다.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를 이용해서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복호 후 전송 (decode and forward) 릴레이 통신 시스템은 적은 비용으로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을 넓히고 통신 속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IEEE 802.16j와 같은 복호 후 전송 (decode and forward) 방식의 릴레이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릴레이, 단말로 구성이 된다.
중앙집중형으로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다운링크(Downlink) 릴레이 기반 통신에서, 단말과 릴레이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말이 릴레이와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이를 릴레이에 전송하며 릴레이는 다시 이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게 된다.
기지국은 이렇게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릴레이와 단말기 사이의 무선 링크에 맞는 변조 및 부호 레벨(modulation and coding scheme level)을 사용하여 릴레이와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게 된다.
반 이중 방식의 릴레이를 사용한 통신 시스템의 경우 기지국과 릴레이 사이에 추가적인 무선 자원이 할당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경우 기지국의 셀 영역을 통상 3개의 섹터로 나누어서 각각의 섹터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배치한다.
릴레이를 배치하는 경우 기지국과 릴레이가 어떤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통신하는가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지국과 단말이 통신하는 영역인 액세스 영역(access zone)과 기지국과 릴레이가 통신하는 영역인 릴레이 영역(relay zone)의 구분을 어떻게 하는가의 문제도 있다.
도 1은 기지국의 셀 영역을 3개의 섹터로 분할하고, 각 섹터에 2개의 릴레이를 배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액세스 영역(Access zone)에서 기지국(100)이 단말과 통신하는 경우 섹터별로 1/3의 주파수 밴드를 할당하여 인접한 섹터 사이의 간섭을 피하게 된다.
복호 전송 기반의 반 이중 방식의 릴레이를 사용한 통신 시스템의 경우, 기지국과 릴레이 사이에 추가적인 무선 자원이 할당되어야 한다.
도 2는 IEEE 802.16j 기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IEEE 802.16j와 같은 이동형 릴레이 시스템 통신 표준에서는 릴레이 영역(relay zone)이라는 무선 자원 영역을 따로 두고서, 이 영역을 통하여 기지국과 릴레이가 통신을 하게 된다.
그리고, 기지국의 섹터 안에 여러 개의 릴레이가 존재하여 기지국이 릴레이 영역(relay zone)을 통하여 복수의 릴레이들과 통신하는 경우에 각각의 릴레이들은 자기 자신에게 할당된 무선 자원 영역만을 사용한다. 이에 대한 예시는 도 3에 설명되어 있다.
도 3은 기지국에서 두 개의 릴레이로 데이터 전송 시의 프레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분홍색의 영역을 통하여 기지국에서 릴레이1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하늘색 영역을 통하여 기지국에서 릴레이2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릴레이1의 입장에서는 분홍색의 무선 자원 영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지만, 하늘색의 무선 자원 영역에서는 아무 동작도 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릴레이2의 경우는 하늘색의 무선 자원 영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지만, 분홍색의 영역에서는 아무 동작도 하지 않는다. 이처럼 종래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는 자기 자신에게 할당된 무선 자원 영역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2514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지국이 복수의 릴레이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기존 방식에서 릴레이가 사용하지 않는 무선 자원 영역을 활용하여 통신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릴레이 영역(relay zone)을 통하여 기지국이 복수의 릴레이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각각의 릴레이들이 자신에게 할당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활용하여 무선 자원 사용에 있어서 그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과 복수의 복호 전송 릴레이를 포함하는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에서, 상기 기지국은 각 릴레이의 채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은 각 릴레이의 채널 상태를 확인한 결과, 어느 릴레이의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 중에서 데이터 전송이 열악한 채널 환경인 배드 버스트(Bad burst)가 있는 경우, 해당 릴레이인 제1 릴레이를 제외한 다른 릴레이에 상기 배드 버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용할 만한 여유 무선 자원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은 다른 릴레이인 제2 릴레이에 여유 무선 자원이 있으면, 상기 제1 릴레이에 상기 배드 버스트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미리 상기 배드 버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릴레이에 전송하여 협력 전송을 위한 준비를 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2 릴레이는 동시에 상기 배드 버스트 데이터를 상기 제1 릴레이에 전송하는 협력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은 협력 전송이 이루어진 후, 상기 배드 버스트를 통한 채널 상태를 재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은 채널 상태를 재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채널 상태가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배드 버스트 영역의 크기를 줄이고, 이전 변조 기법보다 빠른 고속의 변조 기법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드 버스트와 관련된 정보는 배드 버스트 데이터, 배드 버스터의 위치 및 변조 기법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릴레이가 데이터 버스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에 다시 물리계층을 통하여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만큼 미리 상기 제2 릴레이에 상기 배드 버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릴레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영역에서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2 릴레이는 동시에 상기 배드 버스트 데이터를 상기 제1 릴레이에 전송하는 협력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릴레이는 상기 제1 릴레이에 상기 배드 버스트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기지국과 동일한 배드 버스트 데이터를 상기 제1 릴레이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복수의 릴레이는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릴레이 사이의 협력 통신을 통하여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과 릴레이 사이에 채널 상태가 나쁜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성능 향상으로 이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지국의 셀 영역을 3개의 섹터로 분할하고, 각 섹터에 2개의 릴레이를 배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IEEE 802.16j 기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기지국에서 두 개의 릴레이로 데이터 전송 시의 프레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릴레이1 사이의 성능이 열악한 데이터 버스트를 릴레이2의 보조 데이터 버스로 지원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기지국과 복수의 복호 전송 릴레이를 포함하는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호 전송 릴레이를 사용하여 성능을 강화하되, 기지국과 복수의 릴레이 사이의 통신 환경에서 릴레이 사이에 협력 통신을 통하여 기지국과 릴레이 사이의 통신 용량을 높이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과 복수의 복호 전송 릴레이를 포함하는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에서, 먼저 기지국은 각 릴레이의 채널 상태를 확인한다(S510).
그리고, 기지국은 각 릴레이의 채널 상태를 확인한 결과, 어느 릴레이의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 중에서 데이터 전송이 열악한 채널 환경인 배드 버스트(Bad burst)가 있는 경우, 해당 릴레이인 제1 릴레이를 제외한 다른 릴레이에 배드 버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용할 만한 여유 무선 자원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520).
그리고, 기지국은 다른 릴레이인 제2 릴레이에 여유 무선 자원이 있으면, 제1 릴레이에 배드 버스트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미리 배드 버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2 릴레이에 전송하여 협력 전송을 위한 준비를 한다(S530).
그리고, 기지국과 제2 릴레이는 동시에 배드 버스트 데이터를 제1 릴레이에 전송하는 협력 전송을 수행한다(S540).
그리고, 기지국은 협력 전송이 이루어진 후, 배드 버스트를 통한 채널 상태를 재확인한다(S550).
S550 단계 이후에, 기지국은 채널 상태가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면, 배드 버스트 영역의 크기를 줄이고, 이전 변조 기법보다 빠른 고속의 변조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드 버스트와 관련된 정보는 배드 버스트 데이터, 배드 버스터의 위치 및 변조 기법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기지국은 제2 릴레이가 데이터 버스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에 다시 물리계층을 통하여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만큼 미리 제2 릴레이에 배드 버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릴레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영역에서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S540 단계에서 제2 릴레이는 제1 릴레이에 배드 버스트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여 기지국과 동일한 배드 버스트 데이터를 제1 릴레이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릴레이1 사이의 성능이 열악한 데이터 버스트를 릴레이2의 보조 데이터 버스로 지원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대역 무선 통신환경에서 기지국에서 릴레이1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일부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채널 환경이 나빠지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4에서 이러한 데이터 버스트는 고속의 변조 기법을 사용할 수 없어서 전송 효율이 나빠지게 된다. 이런 일이 발생하는 경우 기지국은 미리 릴레이1로 전송할 데이터 버스트 중에서 채널 환경이 나쁜 데이터 버스트를 릴레이2로 전송하고, 이 데이터가 릴레이1의 어떤 무선 자원 영역에서 수신하는가의 정보도 같이 전달한다.
그리고, 기지국이 실제로 릴레이1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에서 기지국뿐만 아니라 릴레이2도 같은 데이터를 같은 자원 영역에서 릴레이1로 전송하게 된다. 기지국과 릴레이2가 릴레이1로 협력해서 전송하므로 기존의 채널 환경이 나쁜 데이터 버스트의 채널 환경이 좋아지게 된다.
도 4에서 기지국에서 릴레이1로의 전송 중에서 갈색으로 표시된 영역의 데이터 전송이 열악한 상태이며, 이를 배드 버스트(bad burst)라고 한다. 이때, 기지국은 미리 2 프레임 시간 정도 이전에 릴레이2의 여유 자원 영역을 통하여 이 배드 버스트(bad burst) 데이터와 배드 버스트(bad burst)의 위치 및 변조 기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는 보라색의 보조 버스트(burst)에 해당한다.
릴레이2는 보라색의 보조 버스트(burst)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약 2 프레임 시간 정도 후에 릴레이1의 자원 영역에서 수신 모드 대신에 송신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릴레이2는 기지국과 동일한 배드 버스트(bad burst)를 릴레이1로 전송하기 시작한다.
릴레이2가 보조 데이터 버스트를 수신하는 경우에 채널 상태가 양호한 영역을 활용하므로 갈색의 배드 버스트(bad burst) 보다 적은 자원을 사용하여 수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릴레이1과 릴레이2를 서로 바꿔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기지국에서 릴레이1로의 전송에서 채널 상태가 나쁜 데이터 버스트는 릴레이2의 도움을 받게 되고, 기지국에서 릴레이2의 전송에서 채널 상태가 나쁜 데이터 버스트는 릴레이1의 도움을 동시에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한 섹터 안에 2개의 릴레이가 있는 경우, 제1 릴레이는 기존에 사용하지 않던 제2 릴레이로 할당된 영역을 사용하여 제2 릴레이의 전송을 돕는다. 마찬가지로 제2 릴레이는 기존에는 사용하지 않던 제1 릴레이 영역을 사용하여 제1 릴레이의 전송을 돕는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제1 릴레이와 제2 릴레이는 서로 상호 보완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면 전체 통신 성능을 끌어올리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기지국

Claims (6)

  1. 기지국과 복수의 복호 전송 릴레이를 포함하는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에서,
    상기 기지국은 각 릴레이의 채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은 각 릴레이의 채널 상태를 확인한 결과, 어느 릴레이의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 중에서 데이터 전송이 열악한 채널 환경인 배드 버스트(Bad burst)가 있는 경우, 해당 릴레이인 제1 릴레이를 제외한 다른 릴레이에 상기 배드 버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용할 만한 여유 무선 자원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은 다른 릴레이인 제2 릴레이에 여유 무선 자원이 있으면, 상기 제1 릴레이에 상기 배드 버스트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미리 상기 배드 버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릴레이에 전송하여 협력 전송을 위한 준비를 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2 릴레이는 동시에 상기 배드 버스트의 데이터를 상기 제1 릴레이에 전송하는 협력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은 협력 전송이 이루어진 후, 상기 배드 버스트를 통한 채널 상태를 재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은 상기 채널 상태가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배드 버스트 영역의 크기를 줄이고, 이전 변조 기법보다 빠른 고속의 변조 기법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드 버스트와 관련된 정보는 배드 버스트의 데이터, 배드 버스터의 위치 및 변조 기법을 포함하는 정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릴레이가 데이터 버스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에 다시 물리계층을 통하여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만큼 미리 상기 제2 릴레이에 상기 배드 버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릴레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영역에서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2 릴레이는 동시에 상기 배드 버스트의 데이터를 상기 제1 릴레이에 전송하는 협력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릴레이는 상기 제1 릴레이에 상기 배드 버스트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기지국과 동일한 배드 버스트의 데이터를 상기 제1 릴레이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KR1020150137807A 2015-09-30 2015-09-30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KR101715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807A KR101715511B1 (ko) 2015-09-30 2015-09-30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807A KR101715511B1 (ko) 2015-09-30 2015-09-30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511B1 true KR101715511B1 (ko) 2017-03-14

Family

ID=5845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807A KR101715511B1 (ko) 2015-09-30 2015-09-30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655A1 (ko) * 2018-09-28 2020-04-02 넥서스텍(주) 와이파이 협력 통신 릴레이의 멀티홉 개선 경로 선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258A (ko) * 2007-01-11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릴레이 기반 시스템을 이용한 cr 환경의 통신 방법 및 그장치
KR20090118058A (ko) * 2007-03-10 2009-11-17 더 홍콩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러지 적응형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협력과 스케줄링으로 다운링크 처리율을 최적화하는 방법
KR20100031311A (ko) * 2008-09-12 2010-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KR20100125145A (ko) 2009-05-20 2010-11-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비 직교 복호 후 전달 프로토콜의 소스 안테나 스위칭 방법
US8099042B2 (en) * 2007-06-29 2012-01-17 Ntt Docomo, Inc. Method and system for a reliable relay-associated and opportunistic cooperative transmission schem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258A (ko) * 2007-01-11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릴레이 기반 시스템을 이용한 cr 환경의 통신 방법 및 그장치
KR20090118058A (ko) * 2007-03-10 2009-11-17 더 홍콩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러지 적응형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협력과 스케줄링으로 다운링크 처리율을 최적화하는 방법
US8099042B2 (en) * 2007-06-29 2012-01-17 Ntt Docomo, Inc. Method and system for a reliable relay-associated and opportunistic cooperative transmission schemes
KR20100031311A (ko) * 2008-09-12 2010-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KR20100125145A (ko) 2009-05-20 2010-11-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비 직교 복호 후 전달 프로토콜의 소스 안테나 스위칭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655A1 (ko) * 2018-09-28 2020-04-02 넥서스텍(주) 와이파이 협력 통신 릴레이의 멀티홉 개선 경로 선택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9199C2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ретранс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терминал связи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KR101020460B1 (ko) Ofdma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정보를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931155B1 (e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7907540B2 (en) Relay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2333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96598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methods, and data structure
CN112219434A (zh) 用户设备、基站和无线通信方法
CN111656852A (zh) 用于5g网络中的回程的方法和装置
CN110061764B (zh) 基于noma和中继技术的协作d2d传输方案
CA2750957A1 (en) Method for allocating backhaul link resources in rela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apparatu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using same
WO2012046403A1 (ja) 基地局、端末、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CN102388670A (zh) 通过利用继电器在无线通信系统中传送和接收数据的设备和方法
JP2012507230A (ja) 移動電話通信ネットワークでのデータ伝送
US8743904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radio resource allocation in multi-hop relay system
KR101715511B1 (ko)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CN101510800B (zh) 基于干扰相消的双中继信号传输方法
KR101712914B1 (ko)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한 릴레이 동작 방법 및 장치
US8478189B2 (en) Relay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the same system
KR101859619B1 (ko) 이동통신망에서 릴레이를 이용한 멀티캐스팅 방법
KR102201784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에서의 간섭 완화 처리 방법
JP5595425B2 (ja) 無線中継装置及び無線中継方法
KR10192153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그룹화를 이용한 가상 전이중 릴레이 구현 방법
JP2023093587A (ja) 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KR101650270B1 (ko)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방법
US200901132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restoration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