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311A -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311A
KR20100031311A KR1020080090337A KR20080090337A KR20100031311A KR 20100031311 A KR20100031311 A KR 20100031311A KR 1020080090337 A KR1020080090337 A KR 1020080090337A KR 20080090337 A KR20080090337 A KR 20080090337A KR 20100031311 A KR20100031311 A KR 20100031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frame
zone
full duplex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2561B1 (ko
Inventor
류탁기
손중제
장영빈
한승희
강현정
쉬밍시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561B1/ko
Priority to PCT/KR2009/005183 priority patent/WO2010030144A2/en
Publication of KR20100031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3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for modu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 프레임(Relay Frame) 구성에 관한 것으로, 단일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방식의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의 릴레이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성 장치에 있어서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 및 릴레이 링크 데이터 통신 모두를 수행하거나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 만을 수행하되,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만 가능한 경우, 릴에이 존에서의 릴레이를 위한 방송 정보 전송 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존재할 경우에만 수행하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전 이중 방식 릴레이 시스템과 반 이중 방식 릴레이 시스템이 공존하는 상황뿐만 아니라 전 이중 방식 또는 반 이중 방식 단독 모드로 존재할 경우에도 불필요한 정보 전송 없이 효과적으로 운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Half Duplex, Full Duplex, 릴레이, IEEE IEEE 802e,IEEE IEEE 802.16j.

Description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CONSTITUTION IN FULL DUPLEX RELAY AND HALF DUPLEX RELAY COEXISTENCE SYSTEM}
본 발명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m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릴레이 및 반 이중 릴레이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프레임 구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초기 셀 설계에 의해 망 구축시에는, 각 지역의 환경 및 건물 등에 의한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계기(Repeater)를 추가로 설치하여 서비스하고 있는데, 중계기는 잡음 증폭에 의한 성능 열화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중계기에서 진화된 형태로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단순 증폭하는 것이 아니라 복호 및 전달(decode and forward)하는 릴레이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릴레이 시스템은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스루풋 향상(throughput enhancement) 및 커버리지 확장(coverage extension)을 위한 목적으로 현재 활발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실용화를 위한 표준화 작업이 IEEE IEEE 802.16j에서 추진되고 있다. 릴레이를 도입할 경우 기존 싱글 홉 시스템에 비해 배치(deployment)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이면서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릴레이는 하나의 안테나 셋(set)을 사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 중 하나의 동작만을 수행하는 방식과 두 개의 안테나 셋을 사용하여 동시 송 수신이 가능한 방식,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전자를 반 이중(Half Duplex) 릴레이라 칭하고 후자를 전 이중(Full Duplex) 릴레이라 칭한다.
전자의 경우 동일 주파수 자원 영역 내에서 동시에 수신과 송신을 하지 못하고, 시간을 나누어서 한번에 하나의 동작만을 수행한다.
이 경우, 기지국(BS:Base Station)와 중계국(또는 릴레이)(RS:릴레이 Station)사이의 통신, 중계국과 단말(MS:Mobile Station) 사이의 통신의 두 번의 신호 전송으로 인해 싱글 홉 시스템에 비해 2배의 자원 소모가 불가피하여 스펙트럼 효율이 감소하고, 릴레이의 송수신 스위칭 시간이 부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 입장에서는 릴레이를 위한 방송 정보를 따로 전송해야 하는 비효율성이 존재하며, 시간적으로 릴레이 링크(릴레이 link)와 억세스 링크(억세스 link)를 나누어 사용하기 때문에,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싱글 홉 사용자들 의 상향링크 커버리지(uplink coverage)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릴레이가 2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조인 전 이중 릴레이가 제안되었으며, 상기 전 이중 릴레이는 동일 주파수에서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위 노드 및 하위 노드와 통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릴레이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 이중 릴레이의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IEEE IEEE 802.16j 규격은 반 이중 릴레이 기준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전 이중 릴레이를 운용하기에 비효율적이다.
그리고, 상기 전 이중 릴레이는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모든 자원을 재사용하면서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안테나 간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간섭은 동일 릴레이에서의 두 개 안테나 간 간섭이므로, 릴레이는 송신 신호를 알고 있는 관계로 수신 안테나의 신호에서 간섭 제거가 가능하다. 간섭 제거는 RF(Radio Frequency)단 간섭 제거와 기저 대역 간섭 제거의 두 단계로 수행 가능하다. 간섭 제거가 효과적으로 수행 가능할 경우, 전 이중 릴레이에서의 문제가 해결되므로, 이를 적용하면 반 이중 릴레이에서 발생하는 자원 소모에 의한 비효율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전 이중 릴레이와 빈 이중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고, 따라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환경, 또는 전 이중 방식 또는 반 이중 방식 단독으로 존재할 경우에서 효과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EEE IEEE 802.16m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단일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방식의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의 릴레이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성 장치에 있어서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 및 릴레이 링크 데이터 통신 모두를 수행하거나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 만을 수행하되,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만 가능한 경우, 릴에이 존에서의 릴레이를 위한 방송 정보 전송 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존재할 경우에만 수행하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레거시 통 신 시스템과 새로운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를 지원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에 있어서 새로운 시스템 존의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레거시 존의 자원을 재사용하여 새로운 시스템이 활용하는 경우, 억세스 링크 통신과 함께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을 가능하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단일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방식의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의 릴레이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성 방법에 있어서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 및 릴레이 링크 데이터 통신 모두를 수행하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 만을 수행하되,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만 가능한 경우, 릴레이존 에서의 릴레이를 위한 방송 정보 전송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존재할 경우에만 수행하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레거시 통신 시스템과 새로운 통신 시스템일 공존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를 지원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시스템 존의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을 가능하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 레거시 존의 자원을 재사용하여 새로운 시스템이 활용하는 경우, 억세스 링크 통신과 함께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을 가능하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전 이중 방식 릴레이 시스템과 반 이중 방식 릴레이 시스템이 공존하는 상황뿐만 아니라 전 이중 방식 또는 반 이중 방식 단독 모드로 존재할 경우에도 불필요한 정보 전송 없이 효과적으로 운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항상 송수신 가능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특징을 이용하여 기지국 프레임 및 2-hop 이상 상황의 상위 노드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 반 이중 방식 릴레이의 억세스 링크(accesslink) 통신 구간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통신 을 가능하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자원 운용의 자유도가 증가하게 되고, 전 이중 방식 릴레이만 존재할 경우 발생하는 프레임 구성의 비효율성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전 이중 방식 릴레이가 안테나 1에서 릴레이 링크(relay link) 통신을 하는 동안 안테나 2에서 억세스 링크 통신을 수행하게 프레임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IEEE 802.16j 기반 시스템의 단일 시스템이 동작하는 경우와 IEEE 802.16m 시스템에서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과 새로운 시스템(new system)이 같이 동작하는 경우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통신 자원을 억세스 링크 통신 자원과 동일 구간에 FDM 방식으로 구성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와 단일 시스템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예) IEEE IEEE 802.16j 시스템) 및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예) IEEE IEEE 802.16m 시스템)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 이중 릴레이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전 이중 릴레이 시스템은 안테나 셋을 2개 사용하여 상위 노드와의 통신과 하위 노드와의 통신을 동시에 수행 가능한 시스템이다.
상기 전 이중 릴레이는 송수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단(110, 155), 아날로그 디지털 또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을 위한 변환부(115, 150), 신호의 변복조를 위한 송수신 모뎀(120, 130)과 데이터 처리시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버퍼(125), 기저대역에서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간섭 신호 제어기(135), 무선 대역에서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딜레이 변환기(140), 크기 변환기(145), 커플러(16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단(110, 155), 상기 변환부(115, 150), 상기 송수신 모뎀(120, 130)을 포함하여 송수신부라 칭하기로 한다.
먼저, 첫 번째로 (1)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반 이중 방식 릴레이는 한 순간에 송신과 수신 중 하나의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릴레이 링크 통신과 억세스 링크 통신을 TDM 방식으로 수행해야 하며 이는 IEEE 802.16j 규격에서 정의된 프레임 구조의 특징이다. 그러나 전 이중 방식 릴레이는 송신과 수신 동작을 동시에 수행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 IEEE 802.16j 규격에 정의된 프레임 구조에 따라 전 이중 방식 릴레이를 운용하게 되면 자원 운용의 제약이 발생하게 되고, 전 이중 방식 릴레이만 단독으로 존재할 경우 불필요한 시그널링 및 비효율성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반 이중 방식 릴레이의 프레임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효과적 지원을 위한 변경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프레임 구조의 특징은 하기와 같다.
반 이중 방식 릴레이와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차별화된 프레임 구성 방식과, 억세스 링크 통신 자원 구간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통신을 지원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기반으로 프레임을 구성할 때, 반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은 릴레이 존에서만 가능하지만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은 릴레이 존뿐만 아니라 기존의 억세스 존으로 정의된 구간(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flexible) 억세스 존으로 명명)에서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릴레이가 전 이중 방식인지 반 이중 방식인지를 인지하고, 각각에 대한 스케줄링 및 제어 신호 전송을 다르게 적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한다. 또한, 2-hop 이상의 multi-hop 환경에서는 릴레이의 경우에도 하위 릴레이가 전 이중 방식인지 반 이중 방식인지를 구분하여 프레임을 구성한다.
억세스 링크 통신 자원 구간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구조에 있어서 제어(control)와 데이터(data) 통신 지원 여부에 따라 하기와 같이 2 가지 방식이 존재 가능하다.
1 번째로, 억세스 링크 통신 자원 구간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제어 신호(자원 할당 정보 및 기지국과 릴레이 간 제어 신호)와 데이터 통신 모두를 지원하는 구조가 있고,
2 번째로, 억세스 링크 통신 자원 구간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제어 신호에 대한 통신만을 지원하는 구조(릴레이 링크에 대한 데이터 통신은 기존 릴레이 존에서만 수행)가 있다.
1 번째 방식의 경우.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모든 릴레이 링크 통신이 기존 억세스 존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전 이중 릴레이 단독 모드일 경우에는 릴레이 존 없이 플렉서블(flexible) 억세스 존만으로 프레임 구성이 가능하며, 전 이중 방식 릴레이는 필요치 않은 기존 릴레이 존에 중복 전송되는 방송 정보 시그널링에 대한 오버헤드를 제거할 수 있다.
2 번째 방식의 경우, 릴레이 링크의 제어 신호에 대한 통신만을 억세스 존에서 허용하므로 릴레이 존은 그대로 유지되고 이 구간에서 릴레이 링크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 때, 릴레이 존에 릴레이를 위한 방송 정보가 존재하게 되는데, 전 이중 방식 릴레이만 단독으로 존재할 경우 이것은 불필요한 시그널링이므로 이를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존재할 경우에만 전송되는 멀티캐스트(multicast) 형태의 정보로 정의해야 한다.
따라서, 2 번째 방식의 프레임 구성 방식에서는 하기와 같은 특징을 추가적으로 가진다. 즉,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존재할 경우에만 존재하는 멀티캐스트 형태의 릴레이 방송 정보(IEEE 802.16j에서의 R-FCH 해당 정보)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에서 열거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릴레이 프레임 구조는 IEEE 802.16j 기반 시스템의 단일 시스템이 동작하는 경우와 IEEE 802.16m 시스템에서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템이 같이 동작하는 경우에 대해 적용 가능하며, 각각의 경우에 대해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다.
이제, (2) 단일 시스템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전술한 릴레이 프레임 구성 방안을 단일 시스템 환경에 적용하면, 2-hop 지원 상황에서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를 각각 도 2, 도 3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FD-RS(Full Duplex Relay Station)는 전 이중 방식 릴레이를 의미하고, HD-RS(Half Duplex Relay Station)는 반 이중 방식 릴레이를 의미한다.
도 2는 하향 링크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데, 억세스 존과 릴레이 존의 구성 방식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설계할 수 있고, 도 3의 상향 링크 레임 구조 또한 두 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hop 환경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a>와 <b>는 엑서스 존과 릴레이 존의 위치가 바뀐 것이고, 각각의 경우에서, 억세스 존에서도 기지국이 FD-RS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프레임이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hop 환경에서 상향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a>와 <b>는 억세스 존과 릴레이 존의 위치가 바뀐 것이고, 각각의 경우에서, 억세스 존에서도 FD-RS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프레임이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2의 하향 링크 2가지 형태와 도 3의 상향 링크 2가지 형태의 조합으로 총 4가지 형태의 프레임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도 2 및 상기 도 3의 프레임 구성 상에서의 특징은 릴레이 존 뿐만 아니라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를 위한 릴레이 링크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이다(도 2에서 BS->FD-RS 통신, 도 3에서 FD-RS->BS 통신).
억세스 존에서 수행되는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은 제어 정보와 데이터 모두 수행하는 방식과 제어 정보만을 수행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전 이중 방식 릴레이를 위한 제어 정보만 억세스 존을 통해 송수신하는 경우, 릴레이 존에서 전송되는 릴레이를 위한 방송 정보는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존재할 경우에만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형태이다.
3-hop 이상 환경에서의 프레임 구성 방법은 하향 링크일 때 <도 4>, 상향 링크일 때 <도 5>와 같다. 2-hop인 경우와 다른 점은 기지국 프레임 뿐만 아니라 릴레이 프레임에서도 하위 노드와의 통신이 지원된다는 점이다.
이 경우, 기지국 프레임과 유사하게, 하위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릴레이 링크 통신 구간이 반 이중 방식 릴레이는 릴레이 존에 국한되는데 반해, 전 이중 방식 릴레이는 억세스 존에서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hop 환경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의 구조 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a>와 <b>는 억세스 존과 릴레이 존의 위치가 바뀐 것이고, 각각의 경우에서, 억세스 존에서도 기지국이 FD-RS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또는 FD-RS가 sub FD-RS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프레임이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hop 환경에서 상향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a>와 <b>는 억세스 존과 릴레이 존의 위치가 바뀐 것이고, 각각의 경우에서, 억세스 존에서도 FD-RS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또는 sub FD-RS가 FD-RS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프레임이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단일 시스템 하에서 본 발명의 프레임 구성 방안을 적용하는 실시 예로서 IEEE 802.16j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성 방법을 하기에 설명할 것이다.
단일 시스템 환경으로 동작하는 IEEE 802.16j 시스템에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면 두 가지 타입으로 구성 가능하다. 타입 A는 전 이중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이 억세스 존에서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 모두 송수신 가능한 구조이고 타입 B는 제어 신호만 송수신 가능한 구조이다.
먼저, 타입 A(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에 있어서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모두 억세스 존에서 전송 가능)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2-hop 환경에서 타입 A 프레임 구조는 <도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릴레이가 수신하는 릴레이 링크 통신이 릴레이 존뿐 아니라 기지국 프레임의 억세스 존에서도 가능하다 이러한 억세스 존을 플렉서블 억세스 존이라고 칭한다. 그리고, 릴레이를 위한 제어 신호인 R-MAP 신호와 더불어 릴레이를 위한 데이터 버스트 또한 억세스 존에서 전송 가능한 구조이다.
이제, 타입 B(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에 있어서 제어 신호만 억세스 존에서 전송 가능)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2-hop 환경에서 타입 B 프레임 구조는 <도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타입 B 프레임 구조의 경우 타입 A와는 다르게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데이터 버스트 통신은 릴레이 존에서만 가능하고, 제어 신호의 송수신만 억세스 존에서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EEE 802.16j 환경에 적용한 2-hop 환경에서의 프레임 구조 타임 A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으로부터 릴레이가 수신하는 릴레이 링크 통신이 릴레이 존뿐 아니라 기지국 프레임의 억세스 존에서도 가능하다. 이러한 억세스 존을 플렉서블 억세스 존이라고 칭한다. HD-RS의 경우는 기존과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EEE 802.16j 환경에 적용한 2-hop 환경에서의 프레임 구조 타임 B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타입 B 프레임 구조의 경우 타입 A와는 다르게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데이터 버스트 통신은 릴레이 존에서만 가능하고, 제어 신호의 송수신만 억세스 존에서 가능하다.
3-hop 이상의 경우에는 릴레이 프레임에도 릴레이 존이 존재하게 되며, 3-hop의 경우 기지국 프레임과 비슷하게 릴레이 프레임의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에서의 제어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다.
3-hop 이상의 멀티 홉 환경에서의 타입 A 프레임 구조는 <도 8>과 같다. 2-hop인 환경과 다른 점은 릴레이 프레임에서도 억세스 존외에 릴레이 존이 존재한다는 점인데, 즉, 상위 릴레이는 하위 릴레이에게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처럼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3-hop 이상의 멀티 홉 환경에서 타입 A 프레임 구조는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할 경우 자원 운용의 자유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만약,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플렉서블 억세스 존 만으로 프레임을 구성하여 불필요한 오버헤드 없이 전 이중 방식 릴레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타입 B 프레임 구조에서는 타입 A와는 다르게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억세스 존과 릴레이 존이 모두 존재한다. 그러나, 릴레이 존에서의 R-FCH는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경우 불필요한 오버헤드이므로, 전 이중 방식 릴레이만 존재할 경우 전송되지 않는다.
즉, 타입 B 프레임 구조에서의 릴레이를 위한 프레임 관련 방송 정보는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존재할 경우에만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형태의 정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전 이중 방식 릴레이를 위한 제어 신호인 R-MAP 신호만 하향 링크 억세스 존에서 송신 가능하고, 데이터 버스트는 릴레이 존에서 전송된다. 3-hop 이상의 멀티 홉 환경에서의 타입 B 프레임 구조는 <도 9>와 같다.
타입 B 프레임 구조의 장점은 기존의 반 이중 방식 릴레이 기준의 프레임 구조에서 큰 변화 없이 두 가지 릴레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EEE 802.16j 환경에 적용한 3-hop 환경에서의 프레임 구조 타임 A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2-hop인 환경과 다른 점은 릴레이 프레임에서도 억세스 존외에 릴레이 존이 존재한다는 점인데, 즉, 상위 릴레이는 하위 릴레이에게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처럼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3-hop 이상의 멀티 홉 환경에서 타입 A 프레임 구조는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 가 공존할 경우 자원 운용의 자유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만약,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플렉서블 억세스 존 만으로 프레임을 구성하여 불필요한 오버헤드 없이 전 이중 방식 릴레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EEE 802.16j 환경에 적용한 2-hop 환경에서의 프레임 구조 타임 B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타입 A와는 다르게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억세스 존과 릴레이 존이 모두 존재한다. 그러나, 릴레이 존에서의 R-FCH는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경우 불필요한 오버헤드이므로, 전 이중 방식 릴레이만 존재할 경우 전송되지 않는다.
즉, 타입 B 프레임 구조에서의 릴레이를 위한 프레임 관련 방송 정보는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존재할 경우에만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형태의 정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전 이중 방식 릴레이를 위한 제어 신호인 R-MAP 신호만 하향 링크 억세스 존에서 송신 가능하고, 데이터 버스트는 릴레이 존에서 전송된다. 3-hop 이상의 멀티 홉 환경에서의 타입 B 프레임 구조는 <도 9>와 같다.
타입 B 프레임 구조의 장점은 기존의 반 이중 방식 릴레이 기준의 프레임 구조에서 큰 변화 없이 두 가지 릴레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제, (3)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템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전 이중 방 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프레임 구성 방법을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템이 공존하는 IEEE 802.16m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앞서 단일 시스템 환경에서의 프레임 구성과 유사한 구조를 새로운 시스템의 자원 구간에 적용하면 된다.
한가지 달라지는 점은 레거시 존의 자원을 억세스 링크 자원으로 재활용하여 사용할 경우, 이 구간에서도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 또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나머지 프레임 구성 방법은 단일 시스템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다.
IEEE 802.16m 시스템은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템의 멀티플렉싱에 있어서 하향 링크에서는 TDM 구성과, 상향 링크에서는 TDM, FDM 두 가지 구성을 모두 지원한다.
먼저, 하향 링크의 경우에 본 발명의 프레임 구성 방법을 적용하면, <도 10>, <도 11>과 같다. <도 10>은 2-hop인 경우에 대한 프레임 구조이고, <도 11>은 3-hop 이상 멀티 홉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억세스 서브-존에 BS->MS 신호뿐 아니라 BS->FD-RS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때, 도면에서와 같이 억세스 서브-존과 릴레이 서브-존의 배치에 따라 2가지 방식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탬이 공존 하는 IEEE 802.16m 시스템의 하향링크에 적용한 2-hop 환경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a>와 <b>의 프레임 구성 1, 2는 새로운 존에서 릴레이 서브 존과 플렉서블 억세스 서브 존의 위치가 바뀐 것을 나타낸다.
레거시 존의 자원을 억세스 링크 자원으로 재활용하여 사용할 경우, 이 구간, 즉, 플렉시블 억세스 존에서도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 또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나머지 프레임 구성 방법은 단일 시스템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플렉시블 억세스 서브-존에 BS->MS 신호뿐 아니라 BS->FD-RS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탬이 공존하는 IEEE 802.16m 시스템의 하향링크에 적용한 3-hop 환경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3-hop 이상 multi-hop에 해당하는 프레임 구조로서, 릴레이 프레임 구조에서도 억세스 서브-존 및 릴레이 서브-존이 존재하게 되며, 억세스 서브-존에서 억세스 링크 통신 뿐만 아니라 하위 FD-RS 와의 통신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레거시 존에서 릴레이는 아이들 모드로 동작하거나 단말(16mMS)를 위한 억세스 링크 통신 자원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데, 재사용할 경우 릴레이가 단말 과의 통신뿐 아니라 하위 FD-RS와의 통신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IEEE 802.16m 시스템 상향 링크의 경우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템에서의 멀티플렉싱은 TDM 방식과 FDM 방식 2 가지가 있는데, 먼저 TDM 구조에 본 발명의 프레임 구성 방식을 적용하면 <도 12>, <도 13>과 같다.
<도 12>는 2-hop, <도 13>은 3-hop 이상의 multi-hop 환경의 프레임 구조이다. 상향 링크의 프레임 구조는 하향 링크 프레임 구조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구성 가능하다. <도 12>에서와 같이 2-hop의 경우에는 억세스 서브-존에서 MS->BS 통신뿐 아니라 FD-RS->BS 통신이 가능하며, <도 13>의 2-hop 이상 multi-hop인 경우에는 릴레이 프레임에서도 억세스 서브-존과 릴레이 서브-존이 존재하는데, 억세스 서브-존에서 단말과 통신뿐 아니라 하위 전 이중 방식 릴레이(sub FD-RS)와의 통신도 수행 가능하다. 억세스 서브-존과 릴레이 서브-존의 배치 방법에 따라 각각 2가지 프레임 구성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탬이 공존하는 IEEE 802.16m 시스템의 상향 링크가 TDM 구성일 경우 2-hop 환경에 적용한 상향 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에서와 같이 2-hop의 경우에는 플렉서블 억세스 서브-존에서 16mMS->BS 통신 뿐 아니라 FD-RS->BS 통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릴레이 서브 존에서 FD-RS->BS 및 HD-RS->BS 통신도 가능하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탬이 공존하는 IEEE 802.16m 시스템의 상향 링크가 TDM 구성일 경우 3-hop 환경에 적용한 상향 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3-hop 이상 multi-hop인 경우에는 릴레이 프레임에서도 플렉서블 억세스 서브-존과 릴레이 서브-존이 존재하는데, 플렉서블 억세스 서브-존에서 단말과 통신뿐 아니라 하위 전 이중 방식 릴레이(sub FD-RS)와의 통신도 수행 가능하다.
릴레이 서브 존에서 FD-RS->BS, HD-RS->BS, FD-RS -> sub FD-RS, HD-RS -> sub HD-RS 등의 통신도 가능하다.
레거시 존에서 릴레이는 아이들 모드로 동작하거나 단말(16mMS)를 위한 억세스 링크 통신 자원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데, 재사용할 경우 릴레이가 단말과의 통신뿐 아니라 하위 FD-RS와의 통신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상향 링크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템이 FDM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 대해 본 발명의 프레임 구성 방식을 적용하면 <도 14>, <도 15>와 같다. 2-hop 환경인 경우 <도 14>와 같은 프레임 구조를 갖는데, 플렉서블 억세스 서브-존 자원 구간에서 기지국과 단말과의 억세스 링크 통신과 함께 기지국과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의 릴레이 링크가 지원된다.
기지국과 반 이중 방식 릴레이와의 통신은 릴레이 서브-존에서만 수행된다. 레거시 존의 재활용에 있어서 TDM 방식과 다른 점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릴레이 서브-존 시간 구간의 레거시 존 자원만 재활용 가능하다는 것인데 이는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한번에 송수신 중 한가지 동작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15>는 3-hop 이상의 multi-hop 환경의 프레임 구조로서, 릴레이 프레임에서도 억세스 서브-존 및 릴레이 서브-존이 존재한다. 억세스 서브-존에서는 단말과의 통신 뿐 아니라 하위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의 통신도 지원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탬이 공존하는 IEEE 802.16m 시스템의 상향 링크가 FDM 구성일 경우 2-hop 환경에 적용한 상향 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억세스 서브-존 자원 구간에서 기지국과 단말과의 억세스 링크 통신과 함께 기지국과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의 통신이 지원된다. 그리고, 기지국과 반 이중 방식 릴레이와의 통신은 릴레이 서브-존에서만 수행된다.
레거시 존의 재활용에 있어서 TDM 방식과 다른 점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릴레이 서브-존 구간에서 레거시 존 자원만 재활용 가능하다는 것인데 이는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한번에 송수신 중 한가지 동작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탬이 공존하는 IEEE 802.16m 시스템의 상향 링크가 FDM 구성일 경우 3-hop 환경에 적용한 상 향 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3-hop 이상의 multi-hop 환경의 프레임 구조로서, 릴레이 프레임에서도 플렉서블 억세스 서브-존 및 릴레이 서브-존이 존재한다.
플렉서블 억세스 서브-존에서는 단말과의 통신뿐 아니라 하위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의 통신도 지원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FD-RS는 HD-RS의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생성하여 송신하는 송신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및 중계국의 송신기는 제어부(1615), 프레임 생성부(1610), 부호화기(1620), OFDM변조기(1625), DAC(1630), RF송신기(16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615)는 상기 프레임 생성부(1410)를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 생성부(1610)가 전술한 하향링크 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프레임을 생성하게 한다.
상기 프레임 생성부(1610)는 상기 제어부(1615)의 제어에 의해 전술한 상향링크 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부호화기(1620)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hop 수에 따라 수신 노드는 릴레이의 경우 상위 또는 하위의 릴레이 또는, 기지국, 또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부호화기(1620)는 상기 프레임 생성부(1610)로부터의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부호 및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변조기(1625)는 상기 부호화기(1420)로부터의 데이터를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샘플데이터(OFDM심볼)를 출력한다.
상기 DAC(1630)는 상기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RF처리기(1635)는 상기 DAC(1430)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도 1과 비교하면, 중계기의 경우 상기 부호화기(1620), OFDM 변조기(1625)가 도 1의 송신 모뎀(130)에 해당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615)는 프로토콜 제어부로서, 상기 프레임 생성부(161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615)는 상기 프레임 생성부(161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구현하는 경우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615)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 상기 제어부(1615)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여, 중계국 및 기지국의 수신기는 RF수신기(1705), ADC(1710) OFDM복조부(1715) 복호화기(1720), 프레임 처리부(1725), 제어부(1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수신기(1705)는 안테나로부터의 RF(Radio Frequency)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ADC(1710)은 상기 RF수신기(1705)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복조부(1715)는 상기 ADC(1710)에서 출력되는 샘플데이터를 FFT(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복호화기(1720)는 상기 OFDM복조부(1715)로부터의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서 실제 수신하고자 하는 부반송파들의 데이터(버스트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demodulation) 및 복호(decoding)하여 출력한다.
상기 프레임 처리부(1725)는 상기 복호화기(1520)로부터 제공받은 전술한 프레임을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1730)는 상기 프레임 처리부(1725)를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에 기록된 사향을 처리하게 한다.
상기 도 1과 비교하면, 중계기의 경우 상기 복호화기(1720), OFDM 복조부(1715)가 도 1의 수신 모뎀(120)에 해당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730)는 프로토콜 제어부로서, 상기 프레임 처리부(1725)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730)는 상기 프레임 처리부(1725)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 이중 릴레이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hop 환경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hop 환경에서 상향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hop 환경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hop 환경에서 상향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EEE 802.16j 환경에 적용한 2-hop 환경에서의 프레임 구조 타임 A에 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EEE 802.16j 환경에 적용한 2-hop 환경에서의 프레임 구조 타임 B에 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EEE 802.16j 환경에 적용한 3-hop 환경에서의 프레임 구조 타임 A에 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EEE 802.16j 환경에 적용한 2-hop 환경에서의 프레임 구조 타임 B에 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탬이 공존 하는 IEEE 802.16m 시스템의 하향링크에 적용한 2-hop 환경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탬이 공존하는 IEEE 802.16m 시스템의 하향링크에 적용한 3-hop 환경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탬이 공존하는 IEEE 802.16m 시스템의 상향 링크가 TDM 구성일 경우 2-hop 환경에 적용한 상향 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탬이 공존하는 IEEE 802.16m 시스템의 상향 링크가 TDM 구성일 경우 3-hop 환경에 적용한 상향 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탬이 공존하는 IEEE 802.16m 시스템의 상향 링크가 FDM 구성일 경우 2-hop 환경에 적용한 상향 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거시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탬이 공존하는 IEEE 802.16m 시스템의 상향 링크가 FDM 구성일 경우 3-hop 환경에 적용한 상향 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생성하여 송신하는 송신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및,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Claims (4)

  1. 단일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방식의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의 릴레이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성 장치에 있어서,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 및 릴레이 링크 데이터 통신 모두를 수행하거나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 만을 수행하되,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만 가능한 경우, 릴에이 존에서의 릴레이를 위한 방송 정보 전송 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존재할 경우에만 수행하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레거시 통신 시스템과 새로운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를 지원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에 있어서,
    새로운 시스템 존의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레거시 존의 자원을 재사용하여 새로운 시스템이 활용하는 경우, 억세스 링크 통신과 함께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을 가능하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단일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방식의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의 릴레이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성 방법에 있어서,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 및 릴레이 링크 데이터 통신 모두를 수행하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 만을 수행하되,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에 대한 릴레이 링크 제어 신호 통신만 가능한 경우, 릴레이존 에서의 릴레이를 위한 방송 정보 전송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존재할 경우에만 수행하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레거시 통신 시스템과 새로운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를 지원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시스템 존의 억세스 존에서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을 가능하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
    레거시 존의 자원을 재사용하여 새로운 시스템이 활용하는 경우, 억세스 링크 통신과 함께 전 이중 방식 릴레이의 릴레이 링크 통신을 가능하게 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090337A 2008-09-12 2008-09-12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KR101502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337A KR101502561B1 (ko) 2008-09-12 2008-09-12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PCT/KR2009/005183 WO2010030144A2 (en) 2008-09-12 2009-09-11 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generation in full duplex relay and half duplex relay coexiste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337A KR101502561B1 (ko) 2008-09-12 2008-09-12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311A true KR20100031311A (ko) 2010-03-22
KR101502561B1 KR101502561B1 (ko) 2015-03-25

Family

ID=4200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337A KR101502561B1 (ko) 2008-09-12 2008-09-12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2561B1 (ko)
WO (1) WO2010030144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0253A1 (en) * 2010-06-21 2011-12-29 Nokia Siemens Networks Oy Outband/inband or full-duplex/half-duplex mixture backhaul signaling in relay enhanced networks
KR20170020348A (ko) * 2014-06-18 2017-02-2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에서 능력 업데이트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15511B1 (ko) * 2015-09-30 2017-03-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825A (ko) * 1995-10-11 1997-05-30 이향연 다중텔렉스시스템
JP4805751B2 (ja) * 2006-08-18 2011-11-0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0975705B1 (ko) * 2006-09-27 2010-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WO2008044902A1 (en) * 2006-10-13 2008-04-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laying method of relay station(rs) using a direct relaying zone in multi-hop relay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0253A1 (en) * 2010-06-21 2011-12-29 Nokia Siemens Networks Oy Outband/inband or full-duplex/half-duplex mixture backhaul signaling in relay enhanced networks
KR20170020348A (ko) * 2014-06-18 2017-02-2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에서 능력 업데이트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15511B1 (ko) * 2015-09-30 2017-03-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호 전송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호 보완형 릴레이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30144A2 (en) 2010-03-18
KR101502561B1 (ko) 2015-03-25
WO2010030144A3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41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85977B1 (ko) 전이중 중계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자원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 방법 및 장치
JP4876104B2 (ja) 多重ホップ中継方式を使用する広帯域無線アクセス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中継局により構成されたブロードキャストメッセージの送信情報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80143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9025517B2 (en) Flexible ways to indicate downlink/uplink backhaul subframe configurations in a relay system
US7944879B2 (en) Resource allocating apparatus and method in multihop rela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20072391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35869A (ko)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9011256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 방식을 사용하는 중계국의 네트워크 진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35867A (ko)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EP2255461A1 (en)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of transmissions in a communication network employing repeaters
KR20080047001A (ko)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장치 및 방법
EP19625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02561B1 (ko) 전 이중 방식 릴레이와 반 이중 방식 릴레이가 공존하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KR100972957B1 (ko)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프레임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493455B1 (ko) 전 이중 릴레이를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US200902686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WO2009145013A1 (ja) 中継局装置、マルチホップシステム、および中継方法
KR101336218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70117407A (ko)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KR2009011321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07649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