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297B1 -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 - Google Patents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297B1
KR101715297B1 KR1020110117143A KR20110117143A KR101715297B1 KR 101715297 B1 KR101715297 B1 KR 101715297B1 KR 1020110117143 A KR1020110117143 A KR 1020110117143A KR 20110117143 A KR20110117143 A KR 20110117143A KR 101715297 B1 KR101715297 B1 KR 101715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parallel
parallel conductor
parallel conductors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793A (ko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7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2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01F30/12Two-phase, three-phase or polyphase transfor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병렬도체를 권선하되, 각 병렬도체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서로 다르게 설계하여 병렬도체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권선리드를 결합한 후 버스바를 이용하여 붓싱부에 연결시 이웃하는 권선리드가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권선리드와 버스바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Winding structure for furnace transformer}
본 발명은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병렬도체를 권선하되, 각 병렬도체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서로 다르게 설계하여 병렬도체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권선리드를 결합한 후 버스바를 이용하여 붓싱부에 연결할 때, 이웃하는 권선리드가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권선리드와 버스바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도록 하는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용 변압기는 철, 합금 또는 비철금속의 생산과정 중에 아크용해 공정에 사용되는 로 설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아크용해공정은 저 전압의 대전류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로 설비에 공급되는 전원은 광범위하게 전압 및 전류조절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로용 변압기는 3상 송전선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로 부하에 적합한 전력으로 변환시켜 주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수한 조건들을 견딜수 있게 마련되고 있다.
즉, 2차 부하단에 흐르는 대전류 및 빈번한 단락전류에 견뎌야 하며, 로의 빈번한 온/오프(ON/OFF)에 따라 광범위하게 2차측의 전압을 조정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용 변압기는 2차측 전압을 광범위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주 변압기에 고압권선과 저압권선 및 탭 권선이 구성된다.
하지만 2차측 전압이 대전류이므로, 2차측에 직접적으로 탭 권선을 연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일정한 간격의 탭 전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직렬변압기의 고압권선과, 저압권선을 이용하여 2차측의 탭 전압을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로용 변압기의 경우 2차측 대전류로 인해 권선을 여러개의 병렬도체로 구성하고, 병렬도체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권선리드를 결합한 후 그 권선리드를 버스바(Bus-Bar)를 이용하여 붓싱부에 연결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로용 변압기의 스페이서(spacer)(1)에 제 1 내지 제 4 병렬도체(2~5)를 순차적으로 권선하되, 제 1 병렬도체(2)와 제 2 병렬도체(3)의 시작점(2a,3a)과 종료점(2b,3b)이 동일하고, 제 3 병렬도체(4)와 제 4 병렬도체(5)의 시작점(4a,5a)과 종료점이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는 로용 변압기에 권선되는 병렬도체의 시작점과 종료점이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게 되므로 인해 시작점과 종료점에 버스바의 연결을 위해 권선리드를 결합할 때 권선리드가 이웃하는 타 권선리드에 간섭되고, 이에 의해 권선리드에 버스바를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지 못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병렬도체를 권선하되, 각 병렬도체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서로 다르게 설계하여 병렬도체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권선리드를 결합한 후 버스바를 이용하여 붓싱부에 연결시 이웃하는 권선리드가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권선리드와 버스바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도록 하는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는, 다수의 병렬도체를 권선하는 것을 포함하는 로용변압기의 권선구조에 있어서, 상기 병렬도체의 권선 시작점과 종료점을 각기 다르게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병렬도체가 2가닥 이상일 경우 제 1 병렬도체와 제 2 도체의 시작점을 달리하여 나란히 권선한 후, 상기 제 1 병렬도체와 제 2 병렬도체의 종료점 이후 다시 제 3 병렬도체와 제 4 병렬도체를 서로 다른 시작점으로 권선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병렬도체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각각 권선리드를 결합하여 버스바를 통해 붓싱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병렬도체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서로 다르게 설계하여 병렬도체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권선리드를 결합한 후 버스바를 이용하여 붓싱부에 연결시 이웃하는 권선리드가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권선리드와 버스바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병렬도체의 권선리드와 버스바 연결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병렬도체의 권선리드와 버스바를 이용하여 붓싱부에 연결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는 로용 변압기의 스페이서(spacer)(1)에 다수의 병렬도체(2~5)를 권선하되, 상기 병렬도체(2~5)의 권선 시작점(2a~5a)과 종료점(2b,3b)을 각기 다르게 설정하는 한편, 상기 병렬도체가 2가닥 이상일 경우 제 1 병렬도체(2)와 제 2 병렬도체(3)의 시작점(2a,3a)을 달리하여 나란히 권선한 후 제 1 병렬도체(2)와 제 2 병렬도체(3)의 종료점(2b,3b) 이후 다시 제 3 병렬도체(4)와 제 4 병렬도체(5)를 서로 다른 시작점(4a)(5a)으로 권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구성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다수의 병렬도체(2~5)를 권선할 때, 그 병렬도체(2~5)의 시작점을 다르게 설정하여 병렬도체(2~5)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결합되는 권선리드(10)가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권선리드(10)에 버스바(21)를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도면에서는 스페이서(1)에 제 1 내지 제 4 병렬도체(2~5)가 권선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즉, 제 1 병렬도체(2)와 제 2 병렬도체(3)를 권선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제 1 병렬도체(2)의 시작점(2a)과 제 2 병렬도체(3)의 시작점(3a)이 서로 다르게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병렬도체(2)와 제 2 병렬도체(3)의 종료점(2b,3b) 또한 도면과 같이 서로 다르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병렬도체(2)의 종료점(2b) 이후 부터 다시 제 3 병렬도체(4)의 시작점(4a)이 시작하도록 하고, 또한 제 2 병렬도체(3)의 종료점(3b) 이후 부터 다시 제 4 병렬도체(5)의 시작점(5a)이 시작하도록 함으로써, 권선되는 각각의 병렬도체(2~5)의 시작점과 종료점 위치가 서로 이격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각각의 병렬도체(2~5)의 시작점과 종료점에는 권선리드(10)를 결합하고, 그 각각의 권선리드(10)에는 버스바(21)를 연결하여 권선리드(10)와 버스바(21)의 연결에 의해 병렬도체(2~5)가 붓싱부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본 발명은 로용 변압기에 권선되는 병렬도체(2~5)의 시작점과 종료점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계되므로, 각각의 병렬도체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연결되는 권선리드가 서로 간섭하지 않게 되며, 이에따라 권선리드와 버스바의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해져 작업성 향상 및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스페이서 2~5: 병렬도체
2a~5a: 시작점 2b,3b: 종료점
10: 권선리드 21: 버스바

Claims (3)

  1. 다수의 병렬도체를 권선하는 것을 포함하는 로용 변압기의 권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병렬도체 내의 1쌍인 복수 가닥 중에서 각 가닥의 권선 시작점과 종료점을 각기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용 변압기의 권선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도체가 2가닥 이상일 경우 제 1 병렬도체와 제 2 병렬도체의 시작점을 달리하여 나란히 권선한 후, 상기 제 1 병렬도체와 상기 제 2 병렬도체의 종료점 이후 다시 제 3 병렬도체와 제 4 병렬도체를 서로 다른 시작점으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용 변압기의 권선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도체 내 각 가닥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각각 권선리드를 결합하여 버스바를 통해 붓싱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
KR1020110117143A 2011-11-10 2011-11-10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 KR101715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143A KR101715297B1 (ko) 2011-11-10 2011-11-10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143A KR101715297B1 (ko) 2011-11-10 2011-11-10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793A KR20130051793A (ko) 2013-05-21
KR101715297B1 true KR101715297B1 (ko) 2017-03-13

Family

ID=4866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143A KR101715297B1 (ko) 2011-11-10 2011-11-10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2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331Y1 (ko) 2003-10-17 2004-01-03 한빛이디에스(주) 변압기 병렬결선을 이용한 대전력용 정전압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5254A (ja) * 1995-11-20 1997-06-06 Nippon Steel Corp 電気炉
JPH10134304A (ja) * 1996-10-31 1998-05-22 Sony Corp ロータリートランス
KR200453829Y1 (ko) * 2007-12-28 2011-05-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331Y1 (ko) 2003-10-17 2004-01-03 한빛이디에스(주) 변압기 병렬결선을 이용한 대전력용 정전압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793A (ko) 201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5869C (en) Wind-on core manufacturing method for split core configurations
US7752735B2 (en) Coil bus transform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102543A (ko) 실리콘 로드의 점화 및 스타팅 장치
JP2012524388A (ja) 巻線および巻線の製造方法
CN103779041A (zh) 一种脉冲变压器及其制造方法
KR200453829Y1 (ko)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
KR101715297B1 (ko) 로용 변압기의 권선구조
US9419530B2 (en) Power estimation device using coaxial winding transformer
CN202230853U (zh) 移相变压器
JP6063647B2 (ja) 変圧器及びこれを用いた配電系統
KR101126214B1 (ko) 배전계통 송전선로상의 무정전 변압기 변경 연결방법
CN2901526Y (zh) 干式端部调压变压器
CN103928225A (zh) 一种将220kV无励磁调压变压器器身改造为有载调压变压器器身的方法
JP2006180678A (ja) 回転子とその巻線方法
WO2015045560A1 (ja) カップリングコイルの構造及び変圧器
KR101559455B1 (ko) 용접기용 트랜스포머
CN104376990A (zh) 三角形卷铁芯变压器的引线结构
CN108922746B (zh) 三相变压器
KR101494599B1 (ko) 전철 급전용 단권 몰드변압기
CN217361334U (zh) 一种具有新型引线结构的变压器
CN203721420U (zh) 一种脉冲变压器
CN217280384U (zh) 一种干式变压器高压线圈桩头的引出结构
KR102023129B1 (ko) 변압기용 코일조립체의 권선 및 탭 연결구조
CN209962857U (zh) 一种电感器
CN107248449B (zh) 一种变压器渐进式绕线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