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626B1 -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4626B1 KR101714626B1 KR1020160122676A KR20160122676A KR101714626B1 KR 101714626 B1 KR101714626 B1 KR 101714626B1 KR 1020160122676 A KR1020160122676 A KR 1020160122676A KR 20160122676 A KR20160122676 A KR 20160122676A KR 101714626 B1 KR101714626 B1 KR 1017146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ertion hole
- screw hole
- hole
- gasket
- hea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스킷 조립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중심축선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 삽입홀을 갖는 머리부와 머리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볼트,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몸체부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홀과 나사홀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삽입홀을 포함하는 너트, 및 제1 및 제2 삽입홀에 각각 나사 결합되며 일단부에 회전수단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회전되면서 타단부가 제1 및 제2 삽입홀로부터 출몰될 수 있는 이격바를 포함하며, 제1 삽입홀은 제1 삽입홀의 중심축선 방향이 머리부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을 갖도록 관통 형성되고, 제2 삽입홀은 제2 삽입홀의 중심축선 방향이 나사홀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을 갖도록 관통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스킷 조립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개스킷과 같은 부품을 설치 위치에 조립하기 위하여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고정구가 사용된다.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는 개스킷의 크기에 대응하여 대형으로 제조되기도 한다.
부품들의 조립에 사용된 볼트 및 너트는 장기간 사용에 따라 녹이 슬거나 파손되는 등의 손상이 생기는데, 손상된 볼트 또는 너트는 해당 부품이 장착된 제품 또는 구조물 등의 사용시 안전을 위해 또는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적시에 교체되어야 한다. 또는 조립된 부품 자체의 수리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조립된 부품을 분리하기 위해 볼트 및 너트의 체결 상태를 해제해야 한다.
볼트 및 너트의 분해 작업이 신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볼트 또는 너트는 손쉽게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분리시 상태에 따라 분해가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특히, 최초 체결시 볼트 및 너트를 필요 이상의 외력으로 조인 경우로서, 볼트 또는 너트와 부품 몸체, 그리고 이들 사이에 개재된 와셔 사이에 매우 큰 마찰력과 조임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는 볼트 또는 너트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가 쉽지 않다.
볼트 또는 너트가 녹이 슨 경우, 또는 조립된 부품에 도장 작업이 진행된 경우로서 볼트 또는 너트, 그리고 와셔에 페인트가 도포된 상태로 굳은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분리가 용이한 볼트 또는 너트에 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79199호의 "볼트와 너트"를 들 수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 및 분리가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에 항상 같은 수의 나사부와 공간부가 구비되며, 볼트와 너트에 있는 공간부는 서로의 나사부가 원활히 수용될 수 있도록 구조되게 하여 볼트의 공간부와 너트의 나사부 그리고 볼트의 나사부와 너트의 공간부가 서로 대응되게 한 다음, 체결하는 볼트나 너트를 회전하지 않고 직진방향으로 서로의 체결위치까지 도달하게 한 후에 볼트나 너트를 간단히 회전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볼트와 너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볼트에 의하더라도 체결된 볼트 및 너트의 분해가 효과적인 것은 아니어서, 볼트 및 너트를 더욱 손쉽게 분해할 수 있는 개선된 볼트 및 너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부품 조립용 고정구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볼트 및 너트와 부품 사이 또는, 와셔가 개재된 체결 구조에 있어서는 볼트 및 너트와 와셔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여 볼트 및 너트가 손쉽게 분해될 수 있는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는, 중심축선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 삽입홀을 갖는 머리부와 머리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볼트,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몸체부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홀과 나사홀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삽입홀을 포함하는 너트, 및 제1 및 제2 삽입홀에 각각 나사 결합되며 일단부에 회전수단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회전되면서 타단부가 제1 및 제2 삽입홀로부터 출몰될 수 있는 이격바를 포함하며, 제1 삽입홀은 제1 삽입홀의 중심축선 방향이 머리부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을 갖도록 관통 형성되고, 제2 삽입홀은 제2 삽입홀의 중심축선 방향이 나사홀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을 갖도록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에 있어서, 제1 삽입홀 또는 제2 삽입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는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에 있어서, 다수의 제1 삽입홀 중 2개의 인접하는 삽입홀은 어느 하나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몸체부 쪽으로 접근하도록 관통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몸체부로부터 멀어지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에 있어서, 다수의 제2 삽입홀 중 인접하는 2개의 삽입홀은 어느 하나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나사홀 쪽으로 접근하도록 관통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나사홀로부터 멀어지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에 있어서, 제1 삽입홀의 일단의 중심점으로부터 머리부의 중심축선까지의 최단거리와 제1 삽입홀의 타단의 중심점으로부터 머리부의 중심축선까지의 최단거리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에 있어서, 제2 삽입홀의 일단의 중심점으로부터 나사홀의 중심축선까지의 최단거리와 제2 삽입홀의 타단의 중심점으로부터 나사홀의 중심축선까지의 최단거리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이격바에는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이격바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핀이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바가 볼트의 머리부 및 너트를 접촉된 다른 부재와의 사이에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볼트 및 너트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 볼트 및 너트의 분해가 수월해 진다.
또한, 제1 삽입홀의 중심축선 방향이 머리부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삽입홀의 중심축선 방향이 나사홀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이격바에 더 작은 회전력을 가하더라도 볼트 및 너트를 접촉된 다른 부재와 쉽게 이격시킬 수 있고, 이로써 볼트 및 너트의 분해가 더 수월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의 볼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볼트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볼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볼트의 이격바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1 삽입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삽입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의 너트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너트의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너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너트의 이격바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2 삽입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2 삽입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 및 14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이격바에 돌출핀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볼트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볼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볼트의 이격바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1 삽입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삽입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의 너트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너트의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너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너트의 이격바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2 삽입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2 삽입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 및 14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이격바에 돌출핀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는 볼트, 너트, 및 이격바를 포함한다. 볼트 및 이에 결합되는 이격바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그리고 너트 및 이에 결합되는 이격바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의 볼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볼트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볼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볼트의 이격바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1 삽입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삽입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의 너트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너트의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너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너트의 이격바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2 삽입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2 삽입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0)는 머리부(110)와 몸체부(120)를 포함한다. 머리부(110)는 머리부(110)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머리부(1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삽입홀(111)을 갖는다. 제1 삽입홀(111)은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이 제1 삽입홀(111)을 통해 이격바(301)가 나사 결합된다.
제1 삽입홀(111)은 머리부(110)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는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원주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는 3개의 제1 삽입홀(111)을 갖는 머리부(110)를 제시하고 있다. 다만, 도시된 예는 일례로 제시된 것이고, 머리부(110)는 도시된 예와 달리 더 적거나 더 많은 개수의 제1 삽입홀(111)을 가질 수도 있다.
몸체부(120)는 머리부(110)의 일면에서 머리부(110)의 중심축과 동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너트(2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격바(30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삽입홀(111)에 나사 결합된다. 이격바(301)의 일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310)이 형성되어, 결합홈(310)에 드라이버 등과 같은 회전수단(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이격바(301)는 결합홈(310)에 결합된 회전수단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그리고 회전에 따라 이격바(301)의 타단부는 제1 삽입홀(111)로부터 제1 삽입홀(111)의 내외로 출몰될 수 있다. 즉, 이격바(301)는 제1 삽입홀(111)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제1 삽입홀(111)로부터 머리부(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볼트(10)의 사용 상태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0)는 후술할 너트(20)와 결합되면서 개스킷 등과 같은 피고정부재들(51,52)이 서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머리부(110)와 피고정부재(51) 사이에는 와셔(53)가 개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볼트(10) 및 너트(20)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볼트(10) 또는 너트(20) 중 어느 하나를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분해하게 된다.
하지만, 볼트 및 너트를 지나치게 큰 회전력으로 결합하였거나, 또는 너트, 와셔, 및 볼트 각각이나 이들과 피고정부재의 접촉 부분에 녹이 슬어 접촉 면에서 매우 큰 마찰력을 가지는 경우에는 볼트 및 너트의 분해가 쉽지 않다. 이들 상에 도장이 이루어져 페인트의 접착력이 더해짐으로써 분해가 더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볼트를 회전시키기 어려운 상태에서는 머리부(110)와 피고정부재(51)의 접촉면 사이, 또는 와셔(53)가 개재된 경우에는 머리부(110)와 와셔(53)의 접촉면 사이가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접촉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격바(301)는 머리부(110)와 와셔(53)의 접촉면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바(301)의 회전에 따라 이격바(301)의 타단부는 제1 삽입홀(111)로부터 돌출되며, 돌출됨에 따라 머리부(110)와 와셔(53) 사이에 간격(G)이 생긴다.
도시된 바에서는 간격(G)이 다소 과장되어 표현되었으며, 실제 간격(G)은 매우 미세할 수 있다.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이격바(301)가 회전에 따라 머리부(110)와 와셔(53) 사이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그 간격(G)이 비록 미세하더라도 머리부(110)와 와셔(53) 사이의 마찰력은 크게 감소한다.
도장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머리부(110)와 와셔(53) 사이가 이격됨으로써 페인트에 의한 접착력이 크게 감소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진행된 후에 이격바(301)를 제1 삽입홀(111) 내로 다시 삽입되도록 원위치시킨 다음, 머리부(110)를 분해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과정이 진행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더 작은 회전력으로도 볼트(1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더욱 손쉽게 볼트(10)를 분해할 수 있다.
한편, 제1 삽입홀(111)의 중심축선 방향은 머리부(110)의 중심축선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이러한 구조의 예를 제시한다.
또는 제1 삽입홀(111)의 중심축선 방향은 머리부(110)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제1 삽입홀(111)에 삽입된 이격바(301)는 머리부(110)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며, 그로 인해 머리부(110)는 결합된 와셔(53)와의 접촉 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 아닌 경사진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도 1 내지 4에 제시된 구조와 비교하여 이격바(301)에 더 작은 회전력을 가하더라도 머리부(110)와 와셔(53)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볼트(10)의 분해가 더 수월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볼트(10) 구조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 5 및 6에서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 삽입홀(111) 중 가장 인접하는 2개의 삽입홀(111)은, 머리부(110)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그리고 서로 만나지 않는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면서 또한 이들 2개의 삽입홀(111) 중 어느 하나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몸체부(120) 쪽으로 접근하도록 관통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몸체부(120)로부터 멀어지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하는 2개의 삽입홀(111)이 이와 같이 서로 어긋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으로써 2개의 삽입홀(111)에 삽입된 이격바(301)는 머리부(110)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이면서 또한 서로 어긋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볼트(10)를 분해하고자 할 때, 인접하는 이격바(301)를 서로 어긋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차례대로 돌출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돌출시킴으로써 이격바(301)에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머리부(110)가 접촉면에서 쉽게 이격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볼트(10)의 분해가 더 수월해진다.
또 다른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홀(111)은, 제1 삽입홀(111)의 일단의 중심점으로부터 머리부(110)의 중심축선까지의 최단거리와 제1 삽입홀(111)의 타단의 중심점으로부터 머리부(110)의 중심축선까지의 최단거리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삽입홀(111)이 이와 같이 형성되면, 제1 삽입홀(111)의 관통 방향이 머리부(110)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에 근접하게 되어, 이 제1 삽입홀(111) 내의 이격바(301)를 돌출시키면 머리부(110)는 볼트(10)가 분해되는 회전방향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그로 인해 회전수단에 의해 이격바(301)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더 작더라도 머리부(110)가 접촉 면으로부터 쉽게 이격될 수 있다.
너트(2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너트(2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나사홀(212)을 갖는다. 나사홀(212)에 볼트(10)의 몸체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너트(20)는 나사홀(212)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너트(2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삽입홀(211)을 갖는다. 제2 삽입홀(211)은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제2 삽입홀(211)을 통해 이격바(302)가 나사 결합된다.
제2 삽입홀(211)은 나사홀(212)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는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서는 원주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는 3개의 제2 삽입홀(211)을 갖는 너트(20)를 제시하고 있다. 다만, 도시된 예는 일례로 제시된 것이고, 너트(20)는 도시된 예와 달리 더 적거나 더 많은 개수의 제2 삽입홀(211)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삽입홀(211)에 나사 결합되는 이격바(302)에도 결합홈(310)이 형성되며, 이격바(302)는 결합홈(310)에 결합된 회전수단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고, 회전에 따라 이격바(302)의 타단부가 제2 삽입홀(211)로부터 제2 삽입홀(211)의 내외로 출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너트(20)의 사용 상태를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20)는 볼트(10)의 몸체부(120)와 결합되면서 개스킷 등과 같은 피고정부재들(51,52)이 서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너트(20)와 피고정부재(52) 사이에는 와셔(54)가 개재될 수 있다.
이격바(302)는 너트(20)와 와셔(54)의 접촉면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바(302)의 회전에 따라 이격바(302)의 타단부는 제2 삽입홀(211)로부터 돌출되며, 돌출됨에 따라 너트(20)와 와셔(54) 사이에 간격(G)이 생긴다.
이와 같은 과정이 진행된 후에 이격바(302)를 제2 삽입홀(211) 내로 다시 삽입되도록 원위치시킨 다음, 너트(20)를 분해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과정이 진행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더 작은 회전력으로도 너트(2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너트(20)를 손쉽게 분해할 수 있다.
한편, 제2 삽입홀(211)의 중심축선 방향은 나사홀(212)의 중심축선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는 이러한 구조의 예를 제시한다.
또는 제2 삽입홀(211)의 중심축선 방향은 나사홀(212)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제2 삽입홀(211)에 삽입된 이격바(302)는 나사홀(212)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며, 그로 인해 너트(20)는 결합된 와셔(54)와의 접촉 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 아닌 경사진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도 7 내지 10에 제시된 구조와 비교하여 이격바(302)에 더 작은 회전력을 가하더라도 너트(20)와 와셔(54)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너트(20)의 분해가 더 수월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너트(20) 구조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 11 및 12에서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2 삽입홀(211) 중 인접하는 2개의 삽입홀(211)은, 나사홀(212)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면서 또한 이들 2개의 삽입홀(211) 중 어느 하나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나사홀(212) 쪽으로 접근하도록 관통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나사홀(212)로부터 멀어지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삽입홀(211)은, 제2 삽입홀(211)의 일단의 중심점으로부터 나사홀(212)의 중심축선까지의 최단거리와 제2 삽입홀(211)의 타단의 중심점으로부터 나사홀(212)의 중심축선까지의 최단거리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삽입홀(211)이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제1 삽입홀(111)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머리부(110)에 결합된 이격바(301)의 내부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핀(303)이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 돌출핀(303)은, 머리부(110)의 상면을 통해 노출되는 돌출핀(303)의 상면에 돌출핀(303)의 길이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예컨대 타격을 위한 또 다른 핀 부재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헤머 등과 같은 타격 수단을 이용하여 타격함으로써 이격바(301)의 외부로, 그리고 머리부(100)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격바(301)를 회전시키기에 앞서 이와 같이 돌출핀(303)을 돌출시키는 작업을 선행하여 머리부(110)의 하면과 와셔(53) 사이를 미세하게나마 이격시킨 이후에 이격바(301)를 회전시킴으로써 이격바(301)를 좀더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볼트(10) 및 너트(20)의 상호 결합력이 지나치게 견고하거나 접촉면 사이의 마찰력이 매우 커 이격바(301)의 회전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돌출핀(303)은 이격바(301)의 대안으로 적용되는 이격수단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핀(303)만을 돌출시키는 작업만으로 머리부(110)와 와셔(53) 사이를 이격시킨 후 볼트(10)의 분리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돌출핀(303)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홈에 의해 돌출핀(303)의 외면과 이격바(301)의 내면 사이의 마찰면적을 줄여 돌출핀(303)이 더 용이하게 돌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너트(20)에 결합된 이격바(302)에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돌출핀(303)이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다만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상기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나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볼트 20: 너트
110: 머리부 111: 제1 삽입홀
120: 몸체부 211: 제2 삽입홀
212: 나사홀 301,302: 이격바
303: 돌출핀 310: 결합홈
110: 머리부 111: 제1 삽입홀
120: 몸체부 211: 제2 삽입홀
212: 나사홀 301,302: 이격바
303: 돌출핀 310: 결합홈
Claims (7)
- 중심축선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 삽입홀(111)을 갖는 머리부(110)와, 머리부(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몸체부(120)를 포함하는 볼트(10);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몸체부(120)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홀(212)과, 나사홀(212)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삽입홀(211)을 포함하는 너트(20); 및
제1 및 제2 삽입홀(111,211)에 나사 결합되며, 일단부에 회전수단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10)이 형성되고, 회전되면서 타단부가 제1, 제2 삽입홀(111,211)로부터 출몰될 수 있는 이격바(301,302);를 포함하며,
제1 삽입홀(111)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는 다수로 이루어지고, 제1 삽입홀(111)의 중심축선 방향이 머리부(110)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을 갖도록 관통 형성되며,
다수의 제1 삽입홀(111) 중 가장 인접하는 2개의 삽입홀은, 서로 만나지 않는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어느 하나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몸체부(120) 쪽으로 접근하도록 관통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몸체부(120)로부터 멀어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이격바(301,302)는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이격바(301,302)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핀(303)이 관통 결합되고, 돌출핀(303)의 외주면에는 돌출핀(303)의 외면과 이격바(301,302)의 내면 사이의 마찰면적을 줄이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삽입홀(211)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는 다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삽입홀(211)은 제2 삽입홀(211)의 중심축선 방향이 나사홀(212)의 중심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을 갖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 - 청구항 2에 있어서,
다수의 제2 삽입홀(211) 중 인접하는 2개의 삽입홀은 어느 하나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나사홀(212) 쪽으로 접근하도록 관통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나사홀(212)로부터 멀어지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 -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 삽입홀(211)의 일단의 중심점으로부터 나사홀(212)의 중심축선까지의 최단거리와 제2 삽입홀(211)의 타단의 중심점으로부터 나사홀(212)의 중심축선까지의 최단거리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2676A KR101714626B1 (ko) | 2016-09-24 | 2016-09-24 |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2676A KR101714626B1 (ko) | 2016-09-24 | 2016-09-24 |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4626B1 true KR101714626B1 (ko) | 2017-03-09 |
Family
ID=5840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2676A KR101714626B1 (ko) | 2016-09-24 | 2016-09-24 |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462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6983U (ko) * | 1985-10-14 | 1987-05-11 | 니뽕 게이긴조꾸 가부시끼가이샤 | 석고등의 보드에 대한 물품 고정구 |
JPH06346910A (ja) * | 1993-06-04 | 1994-12-20 | Kayou Kogyo Kk | ねじ具 |
KR20090103582A (ko) * | 2008-03-28 | 2009-10-01 | (주)씨에프 이엔티 | 나사 체결구조 및 그 나사 조립체 |
KR101366168B1 (ko) * | 2011-08-26 | 2014-02-24 | 강남훈 | 나사 체결 장치 |
-
2016
- 2016-09-24 KR KR1020160122676A patent/KR1017146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6983U (ko) * | 1985-10-14 | 1987-05-11 | 니뽕 게이긴조꾸 가부시끼가이샤 | 석고등의 보드에 대한 물품 고정구 |
JPH06346910A (ja) * | 1993-06-04 | 1994-12-20 | Kayou Kogyo Kk | ねじ具 |
KR20090103582A (ko) * | 2008-03-28 | 2009-10-01 | (주)씨에프 이엔티 | 나사 체결구조 및 그 나사 조립체 |
KR101366168B1 (ko) * | 2011-08-26 | 2014-02-24 | 강남훈 | 나사 체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348643A1 (en) | One-piece self-locking nut | |
US10323679B2 (en) | One-piece self-locking nut | |
WO2015050942A1 (en) | Asymmetric fastener recess and key | |
CN105358846B (zh) | 紧固元件和紧固组件 | |
US20150219144A1 (en) | Fastening device | |
KR20180043692A (ko) | 풀림 방지 체결구 | |
KR101714626B1 (ko) | 개스킷 조립용 고정구 | |
JP2019039555A (ja) | 緩み止め締結構造 | |
KR101714638B1 (ko) | 개스킷 조립용 볼트 | |
EP3365126A1 (en) | One-piece self-locking nut | |
KR101714646B1 (ko) | 개스킷 조립용 너트 | |
KR20160071137A (ko) | 스틸박스거더 연결구조 | |
RU2529094C1 (ru) | Гайка самоконтрящаяся для закрытых зон | |
EP2868940B1 (en) | Dowel element | |
WO2015019630A1 (ja) | アンカーボルト | |
US20160123368A1 (en) | Fastener for blind hole | |
JP4949180B2 (ja) | 締結具 | |
RU2737098C2 (ru) | Крепеж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 |
US20160208840A1 (en) | Fastener With Removable Head End | |
KR20120132659A (ko) | 체결구 조립체 | |
KR101558700B1 (ko) | 리버스 리벳 | |
JP2018035941A (ja) | 締結構造およびピン部材 | |
JP2019190493A (ja) | 板材のボルト止め部構造 | |
CN110821938A (zh) | 一种防松紧固螺栓 | |
TWM448577U (zh) | 水泥螺栓總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