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588B1 -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 Google Patents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588B1
KR101713588B1 KR1020150139665A KR20150139665A KR101713588B1 KR 101713588 B1 KR101713588 B1 KR 101713588B1 KR 1020150139665 A KR1020150139665 A KR 1020150139665A KR 20150139665 A KR20150139665 A KR 20150139665A KR 101713588 B1 KR101713588 B1 KR 101713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container
state
cassette body
tubula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종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139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4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from supply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다수의 튜브형 용기를 내용물 충전을 위한 작업 라인 상에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카세트가 기존에 비해 2배 이상의 확대된 크기 및 그에 따른 수용 능력 역시 2배 이상으로 증가되면서도 튜브형 용기를 배출하는 영역에서의 튜브형 용기 몰림에 따른 정체 현상이 방지되는 형태를 갖는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는 내부가 튜브형 용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튜브형 용기의 배출을 위한 개폐부를 일측 하부에 형성한 상태로 기울어지게 위치하여 수납된 튜브형 용기들이 중력에 의한 구름 현상을 통해 상기 개폐부로 배출되게 하는 카세트 본체와, 상기 카세트 본체의 수납공간을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분할된 공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의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Cassette for supplying tube container}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다수의 튜브형 용기를 내용물 충전을 위한 작업 라인 상에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카세트가 기존에 비해 2배 이상의 확대된 크기 및 그에 따른 수용 능력 역시 2배 이상으로 증가되면서도 튜브형 용기를 배출하는 영역에서의 튜브형 용기 몰림에 따른 정체 현상이 방지되는 형태를 갖는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 형태의 용기는 사용자가 용기의 외측을 눌러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입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형태로써, 이에 따라 튜브형 용기는 통상 길이방향의 일단에 입구가 형성되어 이러한 입구의 개폐를 위해 캡이 나사 결합 방식 또는 원터치 개폐 형태로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은 밀봉을 위해 실링 처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튜브형 용기가 적용되는 상품의 일례로 치약이나 화장품이 있다.
도 1은 튜브형 용기 내에 치약을 충전하는 장치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도 1을 참조하여 튜브형 용기 내에 내용물이 충전되는 공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용기에 치약을 충전하기 위한 장치는 본체(10), 공급부(11), 방향전환부(12), 순환부(13), 이물질 제거부, 내용물 주입부 등을 포함한다.
즉, 본체(10)의 상부에 공급부(11)가 마련되고, 공급부(11)의 일측에는 방향전환부(12)가 위치하며, 본체(10)의 상부 내측에는 순환부(13)와 이물질 제거부 및 내용물 주입부 등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공급부(11)를 통해 누운 상태로 배출되는 튜브형 용기들은 방향전환부(12)를 통해 수직으로 세워져 순환부(13)로 공급되며, 순환부(13)를 따라 이송되는 튜브형 용기는 이물질 제거부 및 내용물 주입부로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이물질 제거공정 및 치약 주입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치약이 충전된 튜브형 용기의 길이방향 일단을 실링 처리하여 튜브형 용기에 대한 치약 충전 공정이 완료된다.
그러나 튜브형 용기에 대한 이러한 내용물 충전장치는 공급부에 다수의 튜브형 용기가 담긴 상태에서 공급부의 기울어진 쪽 하부를 향해 튜브형 용기들이 몰리면서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형태이므로, 공급부에 담긴 튜브형 용기의 수가 많을 경우 공급부의 튜브형 용기 배출 영역에 지나치게 많은 수의 튜브형 용기들이 밀집되면서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막힘 현상으로 튜브형 용기의 배출이 정지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내용물 충전장치는 공급부의 크기가 비교적 작고 따라서 공급부의 튜브형 용기 수용 능력도 비교적 떨어져, 튜브형 용기에 치약을 충전하는 공정 중 공급부에 튜브형 용기를 공급하는 작업이 비교적 자주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는 해당 작업자의 번거로움 초래 및 공급부에 튜브형 용기의 공급이 제때 이루어지지 못해 결과적으로 내용물 충전장치의 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고 그에 따른 생산성 저하 현상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한국 등록실용 제20-0450188호(2010.09.09.공고), “튜브형 용기 내 내용물 충전장치의 홀더링크 처짐 방지용가이더” 한국 등록특허 제10-0521243호(2005.10.17.공고), “자동 충전 및 캡핑 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내부에 수용된 다수의 튜브형 용기를 내용물 충전을 위한 작업 라인 상에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카세트가 기존에 비해 2배 이상의 확대된 크기 및 그에 따른 수용 능력 역시 2배 이상으로 증가되면서도 튜브형 용기를 배출하는 영역에서의 튜브형 용기 몰림에 따른 정체 현상이 방지되는 형태를 갖는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는 내부가 튜브형 용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튜브형 용기의 배출을 위한 개폐부를 일측 하부에 형성한 상태로 기울어지게 위치하여 수납된 튜브형 용기들이 중력에 의한 구름 현상을 통해 상기 개폐부로 배출되게 하는 카세트 본체와, 상기 카세트 본체의 수납공간을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분할된 공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의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는 상기 카세트 본체의 내측에서 상기 수납공간을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격벽과, 상기 격벽을 수직 방향을 따라 승하강시켜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된 공간들을 서로 폐쇄시키거나 연결시키는 동시에 연결 시 연결 영역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격벽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 구동부는 상기 카세트 본체에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왕복 이동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로드 및 격벽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승하강 동력을 상기 격벽에 전달하는 승하강 동력 전달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카세트 본체에 형성되는 용기 배출홀의 선택적 개방을 위해 상기 용기 배출홀에 대한 개방 및 폐쇄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카세트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상기 용기 배출홀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도어에 동력을 제공하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카세트 본체의 상기 용기 배출홀을 형성한 일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카세트 본체에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 및 상기 도어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로드의 승하강 동력을 상기 도어에 전달하는 승하강 부재, 상기 승하강 부재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상태로 상기 카세트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로드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카세트 본체에 결합되는 제1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는 동시에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카세트 본체에 결합되는 제2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 및 제2 지지플레이트에 길이방향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승하강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 본체는 튜브형 용기의 수납을 위해 개방된 일측을 기준으로 그 반대 쪽의 일면을 바닥면으로 정할 때 상기 바닥면이 투명한 동시에 다수의 관통홀을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는 상기 카세트 본체에 서로 이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동일 방향의 일단이 각각 상기 카세트 본체의 회전을 위한 고정 힌지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력 전달바와, 상기 회전력 전달바들의 상기 고정 힌지부들에 길이방향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동력 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의 구간 회전 및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카세트 본체는 상기 수납공간의 튜브형 용기를 상기 개폐부를 통해 배출하는 세워진 상태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 튜브형 용기를 공급받기 위해 눕혀진 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는 상기 카세트 본체가 튜브형 용기의 수납을 위해 개방된 일측을 기준으로 그 반대쪽의 일면을 바닥면으로 정할 때 상기 바닥면과 마주하는 방향에 상기 회전력 전달바들이 위치하며, 상기 카세트 본체가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카세트 본체의 개방된 일측과 마주하는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카세트 본체의 세워지는 동작 간 및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카세트 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시키는 차단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는 상기 카세트 본체가 튜브형 용기의 수납을 위해 개방된 일측을 기준으로 그 반대쪽도 개방되어 상기 반대쪽의 개방 영역은 투명한 바닥 플레이트를 통해 차단되되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한 형태이며, 상기 회전력 전달바들에 길이방향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크로스바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일면에 상기 크로스바와 마주하는 배치 상태로 고정되는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크로스바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고정 및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둘 이상의 간격 조절바를 더 포함하여, 상기 카세트 본체의 수납공간에 대한 상기 간격 조절바의 돌출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바닥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수납공간의 체적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튜브형 용기를 내용물 충전을 위한 작업 라인 상에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카세트가 기존에 비해 2배 이상의 확대된 크기 및 그에 따른 수용 능력 역시 2배 이상으로 증가되면서도 튜브형 용기를 배출하는 영역에서의 튜브형 용기 몰림에 따른 정체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카세트에 대한 튜브형 용기의 공급 주기가 길어져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튜브형 용기의 공급 정지 및 그에 따른 내용물 충전 작업의 중단 현상이 적극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내용물 충전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및 이를 적용한 내용물 충전장치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및 이를 적용한 내용물 충전장치의 일부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에서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에 튜브형 용기가 공급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및 이를 적용한 내용물 충전장치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및 이를 적용한 내용물 충전장치의 일부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에서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에 튜브형 용기가 공급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100)는 카세트 본체(110)와 격벽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세트 본체(110)는 다수의 튜브형 용기(200)를 공급받아 수납하는 것으로서, 즉, 카세트 본체(110)의 내부에는 튜브용 용기(200)의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카세트 본체(110)는 수납된 튜브형 용기(200)의 배출을 위해 일측 하부에 개폐부(12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카세트 본체(110)는 개폐부(120)를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시키는 상태로 기울어지게 위치하여 튜브형 용기(200)를 들을 개폐부(120)를 통해 배출한다. 다시 말해, 카세트 본체(110)의 수납공간(111)에 담긴 튜브형 용기(200)들은 중력에 의한 구름 현상을 통해 카세트 본체(110)의 개폐부(120)로 이동되어 개폐부(120)를 통해 배출된다.
격벽부(130)는 카세트 본체(110)의 수납공간(111)을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며, 이러한 격벽부(130)는 분할한 수납공간(111)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격벽부(130)가 격벽(131) 및 격벽 구동부(132)를 포함한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격벽(131)은 카세트 본체(110)의 내측에서 카세트 본체(110)의 수납공간(111)을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격벽(131)이 하나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수납공간(111)이 2개의 공간으로 분할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격벽 구동부(132)는 격벽(131)을 수직 방향을 따라 승하강시켜 해당 격벽(131)을 통해 분할된 공간들을 서로 폐쇄시키거나 연결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격벽 구동부(132)는 격벽(131)의 승하강 높이 조절을 통해 분할된 공간 간의 연결 영역 크기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격벽 구동부(132)가 실린더(132a) 및 승하강 동력 전달바(132c)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실린더(132a)는 카세트 본체(110)에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승하강 동력 전달바(132c)는 실린더(132a)의 로드(132b)가 왕복 이동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출되는 동시에 실린더(132a)의 로드(132b) 및 격벽(131)과 각각 연결되어 실린더(132a)의 승하강 동력을 격벽(131)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실린더(132a)의 구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되는 실린더(132a)의 로드(132b)와 연동하여 승하강 동력 전달바(132c)가 승강 또는 하강되면서 격벽(131)도 함께 승하강되고, 이때 실린더(132a)의 로드(132b)가 승강 또는 하강되는 높이에 따라 격벽(131)은 카세트 본체(110)의 분할된 2개의 공간을 서로 폐쇄시키는 상태로 놓이거나 서로 연결시키는 상태에 놓이게 되고, 또한 카세트 본체(110)의 분할된 2개의 공간을 서로 연결시키는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카세트 본체(110)의 개폐부(120)가 도어(121) 및 도어 구동부(122)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어(121)는 카세트 본체(110)에 형성되는 용기 배출홀(112)의 선택적 개방을 위해 용기 배출홀(112)에 대한 개방 및 폐쇄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형태로 카세트 본체(110)에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도어(121)가 카세트 본체(110)의 용기 배출홀(112)이 형성된 일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카세트 본체(110)에 용기 배출홀(112)이 형성되고, 이러한 용기 배출홀(112)이 도어(121)를 통해 개폐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튜브형 용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카세트 본체(110)의 일면 전체가 도어를 형성하고, 이렇게 도어를 형성하는 카세트 본체(110)의 일면 전체가 도어 구동부(122)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카세트 본체(110) 내 튜브형 용기에 대한 개폐 동작을 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어 구동부(122)는 카세트 본체(110)의 용기 배출홀(112)에 대해 도어(121)가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의 전환을 할 수 있도록 도어(121)에 동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어(121)가 카세트 본체(110)에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형태로 결합되므로, 도어 구동부(122)는 도어(121)를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및 그를 통해 승하강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즉, 도어 구동부(122)는 실린더(122a), 승하강 부재(122c), 가이드부(122d)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실린더(122a)는 카세트 본체(110)에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승하강 부재(122c)는 실린더(122a)의 로드(122b) 및 도어(121)와 각각 연결되어 실린더(122a)의 로드(122b) 승하강 시 그 승하강 동력을 도어(121)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가이드부(122d)는 승하강 부재(122c)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상태로 카세트 본체(110)에 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부(122d)가 실린더(122a)의 로드(122b)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상태로 카세트 본체(110)에 결합되는 제1 지지플레이트(122d-1), 제1 지지플레이트(122d-1)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는 동시에 마주보는 상태로 카세트 본체(110)에 결합되는 제2 지지플레이트(122d-2), 제1 지지플레이트(122d-1) 및 제2 지지플레이트(122d-2)에 길이방향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는 동시에 승하강 부재(122c)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가이드바(122d-3)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카세트 본체(110)는 튜브형 용기(200)의 수납을 위해 개방된 일측을 기준으로 그 반대 쪽의 일면을 바닥면으로 정할 때, 이러한 바닥면이 투명한 동시에 다수의 관통홀을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카세트 본체(110)의 투명한 바닥면을 통해 카세트 본체(110) 내 수납공간(111)의 튜브형 용기(200)가 개폐부(120)를 통해 배출되는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바닥면이 튜브형 용기(200)의 빠짐이 방지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수의 관통홀을 갖는 형태이므로, 소재 절감을 통해 카세트 본체(110)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카세트 본체(110)의 바닥면이 카세트 본체(110)와는 독립되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져, 이러한 플레이트형 바닥면의 위치 조절을 통해 카세트 본체(110)의 수납공간(111) 체적이 조정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설명에서 더 기재키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100)에 튜브형 용기(200)가 공급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100)는 한 쌍의 회전력 전달바(141), 회전축(142), 회전동력 발생부(1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력 전달바(141)는 카세트 본체(110)에 서로 이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동일 방향의 일단이 각각 카세트 본체(110)의 회전을 위한 고정 힌지부(141a)를 형성한다.
회전축(142)은 두 회전력 전달바(141)의 고정 힌지부(141a)들에 길이방향의 양단이 각각 고정된다.
회전동력 발생부(143)는 회전축(142)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회전동력 발생부(143)가 유압모터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동력 발생부(143)는 회전축(142)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회전력 전달바(141), 회전축(142), 회전동력 발생부(143)의 구성에 의해서, 회전축(142)의 구간 회전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카세트 본체(110)는 수납공간(111)의 튜브형 용기(200)를 개폐부(120)를 통해 배출하는 세워진 상태 또는 수납공간(111)에 튜브형 용기(200)를 공급받기 위해 눕혀진 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는 회전동력 발생부(143)를 조정하여 카세트 본체(110)를 눕혀진 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이렇게 눕혀진 카세트 본체(110)의 수납공간(111)에 튜브형 용기(200)를 공급하며, 다시 회전동력 발생부(143)를 조정하여 카세트 본체(110)를 세워진 상태로 위치시켜 개폐부(120)를 통한 튜브형 용기(200)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개폐부(120)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이 도어 구동부(122)를 통해 자동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튜브형 용기(200)의 수납을 위해 카세트 본체(110)의 개방된 일측을 기준으로 그 반대 쪽의 카세트 본체(110) 일면을 바닥면으로 정할 때, 이러한 바닥면과 마주하는 방향에 회전력 전달바(141)들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100)에는 카세트 본체(110)의 세움 과정에서 카세트 본체(110)의 수납공간(111) 내 튜브형 용기(200)를 카세트 본체(110)의 수납공간(111)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차단벽체(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차단벽체(150)는 카세트 본체(110)가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카세트 본체(110)의 개방된 일측과 마주하는 상태로 위치하여 카세트 본체(110)의 세워지는 동작 및 세워진 상태에서 카세트 본체(110)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카세트 본체(110)는 튜브형 용기(200)의 수납을 위해 개방된 일측을 기준으로 그 반대쪽도 개방되어 이러한 반대쪽의 개방 영역은 투명한 바닥 플레이트(113)를 통해 차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바닥 플레이트(113)는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바닥 플레이트(113)를 통해 카세트 본체(110)의 수납공간(111) 내 체적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크로스바(161), 가동 플레이트(162), 둘 이상의 간격 조절바(163)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1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크로스바(161)는 회전력 전달바(141)들에 길이방향의 양단이 각각 고정된다.
가동 플레이트(162)는 바닥 플레이트(113)의 일면에 크로스바(161)와 마주하는 배치 상태로 고정된다.
간격 조절바(163)들은 크로스바(161)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고정 및 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이러한 크로스바(161), 가동 플레이트(162), 간격 조절바(163)의 구성에 의해서, 카세트 본체(110)의 수납공간(111)에 대한 간격 조절바(163)의 돌출 길이 조절을 통해 바닥 플레이트(113)를 기준으로 수납공간(111)의 체적을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도 2 내지 도 6의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는, 카세트 본체에 형성되는 비교적 넓은 수납공간이 격벽부를 통해 둘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튜브형 용기의 수납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카세트 본체의 분할된 공간에 각각 수용된 튜브형 용기들이 격벽의 차단 작용에 의해 개폐부로의 과도한 쏠림 및 그에 따른 배출구 주변에서의 밀집 현상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배출구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도 6의 (a)는 격벽에 의한 카세트 본체의 두 공간에 튜브형 용기들이 공급된 상태에서 해당 카세트 본체가 튜브형 용기들의 배출을 위해 세워진 상태를 예시한 것이고, (b)는 개폐부가 개방되면서 카세트 본체 내 튜브형 용기들의 배출이 진행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는 튜브형 용기를 내용물 충전을 위한 작업 라인 상에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카세트가 기존에 비해 2배 이상의 확대된 크기 및 그에 따른 수용 능력 역시 2배 이상으로 증가되면서도 튜브형 용기를 배출하는 영역에서의 튜브형 용기 몰림에 따른 정체 현상은 방지될 수 있게 하고, 카세트에 대한 튜브형 용기의 공급 주기를 길게 하여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튜브형 용기의 공급 정지 및 그에 따른 내용물 충전 작업의 중단 현상을 적극 방지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튜브용기 공급용 카세트 110 : 카세트 본체
111 : 수납공간 112 : 용기 배출홀
113 : 바닥 플레이트 120 : 개폐부
121 : 도어 122 : 도어 구동부
122a : 실린더 122b : 로드
122c : 승하강 부재 122d : 가이드부
122d-1 : 제1 지지플레이트 122d-2 : 제2 지지플레이트
122d-3 : 가이드바 130 : 격벽부
131 : 격벽 132 : 격벽 구동부
132a : 실린더 132b : 로드
132c : 승하강 동력 전달바 141 : 회전력 전달바
141a : 고정 힌지부 142 : 회전축
143 : 회전동력 발생부 150 : 차단벽체
161 : 크로스바 162 : 가동 플레이트
163 : 간격 조절바 200 : 튜브형 용기

Claims (10)

  1. 내부가 튜브형 용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튜브형 용기의 배출을 위한 개폐부를 일측 하부에 형성한 상태로 기울어지게 위치하여 수납된 튜브형 용기들이 중력에 의한 구름 현상을 통해 상기 개폐부로 배출되게 하는 카세트 본체;
    상기 카세트 본체의 수납공간을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분할된 공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의 격벽부;
    상기 카세트 본체에 서로 이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동일 방향의 일단이 각각 상기 카세트 본체의 회전을 위한 고정 힌지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력 전달바;
    상기 회전력 전달바들의 상기 고정 힌지부들에 길이방향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동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구간 회전 및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카세트 본체는 상기 수납공간의 튜브형 용기를 상기 개폐부를 통해 배출하는 세워진 상태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 튜브형 용기를 공급받기 위해 눕혀진 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카세트 본체의 내측에서 상기 수납공간을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격벽;
    상기 격벽을 수직 방향을 따라 승하강시켜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된 공간들을 서로 폐쇄시키거나 연결시키는 동시에 연결 시 연결 영역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격벽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구동부는 상기 카세트 본체에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왕복 이동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로드 및 격벽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승하강 동력을 상기 격벽에 전달하는 승하강 동력 전달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카세트 본체에 형성되는 용기 배출홀의 선택적 개방을 위해 상기 용기 배출홀에 대한 개방 및 폐쇄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카세트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기 용기 배출홀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도어에 동력을 제공하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카세트 본체의 상기 용기 배출홀을 형성한 일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카세트 본체에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 및 상기 도어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로드의 승하강 동력을 상기 도어에 전달하는 승하강 부재, 상기 승하강 부재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상태로 상기 카세트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로드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카세트 본체에 결합되는 제1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는 동시에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카세트 본체에 결합되는 제2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 및 제2 지지플레이트에 길이방향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승하강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본체는 튜브형 용기의 수납을 위해 개방된 일측을 기준으로 그 반대 쪽의 일면을 바닥면으로 정할 때 상기 바닥면이 투명한 동시에 다수의 관통홀을 형성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본체는 튜브형 용기의 수납을 위해 개방된 일측을 기준으로 그 반대쪽의 일면을 바닥면으로 정할 때 상기 바닥면과 마주하는 방향에 상기 회전력 전달바들이 위치하며,
    상기 카세트 본체가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카세트 본체의 개방된 일측과 마주하는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카세트 본체의 세워지는 동작 간 및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카세트 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시키는 차단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본체는 튜브형 용기의 수납을 위해 개방된 일측을 기준으로 그 반대쪽도 개방되어 상기 반대쪽의 개방 영역은 투명한 바닥 플레이트를 통해 차단되되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한 형태이며,
    상기 회전력 전달바들에 길이방향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크로스바;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일면에 상기 크로스바와 마주하는 배치 상태로 고정되는 가동 플레이트;
    상기 크로스바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고정 및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둘 이상의 간격 조절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세트 본체의 수납공간에 대한 상기 간격 조절바의 돌출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바닥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수납공간의 체적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KR1020150139665A 2015-10-05 2015-10-05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KR101713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665A KR101713588B1 (ko) 2015-10-05 2015-10-05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665A KR101713588B1 (ko) 2015-10-05 2015-10-05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588B1 true KR101713588B1 (ko) 2017-03-08

Family

ID=5840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665A KR101713588B1 (ko) 2015-10-05 2015-10-05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5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5031A (ja) * 2001-01-30 2002-08-14 Kawata Mfg Co Ltd 粉粒体の供給装置および粉粒体の供給方法
KR100521243B1 (ko) 2003-06-30 2005-10-17 이탁영 자동 충전 및 캡핑 장치
JP2006103802A (ja) * 2005-11-21 2006-04-20 Takeuchi Press Ind Co Ltd チューブ供給量制御装置
KR200450188Y1 (ko) 2008-08-04 2010-09-09 (주)아모레퍼시픽 튜브형 용기 내 내용물 충전장치의 홀더링크 처짐 방지용가이더
KR20140144757A (ko) * 2013-06-10 2014-12-22 한국기계연구원 검체 튜브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5031A (ja) * 2001-01-30 2002-08-14 Kawata Mfg Co Ltd 粉粒体の供給装置および粉粒体の供給方法
KR100521243B1 (ko) 2003-06-30 2005-10-17 이탁영 자동 충전 및 캡핑 장치
JP2006103802A (ja) * 2005-11-21 2006-04-20 Takeuchi Press Ind Co Ltd チューブ供給量制御装置
KR200450188Y1 (ko) 2008-08-04 2010-09-09 (주)아모레퍼시픽 튜브형 용기 내 내용물 충전장치의 홀더링크 처짐 방지용가이더
KR20140144757A (ko) * 2013-06-10 2014-12-22 한국기계연구원 검체 튜브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0576B1 (en) Tube-sealing and bag-making filling machine
KR101274587B1 (ko) 튜브 사출성형기용 튜브용기 정렬 공급장치
EP1439502A3 (en) Vending machine
KR101713588B1 (ko) 튜브 용기 공급용 카세트
DE102007012697A1 (de) Entleermagazin für eine Schragenentleereinrichtung zum Entleeren von mit stabförmigen Produkten gefüllten Schragen
ITMI20090932A1 (it) Irrigatore a goccia per pianta in vaso.
CN212049615U (zh) 一种环保粉体生产用下料装置
CA2499462A1 (en) Upright product outlet bag evacuation packaging
CN209957341U (zh) 一种容量可调节的全自动灌装机
CN105758191A (zh) 残极加料组件及具有其的工业炉
CN206456588U (zh) 液压驱动型液体分装器
KR102198049B1 (ko) 고정된 수납 개수에 상관없이 인출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루프형 스틱포장용기 이송장치
CN114162561A (zh) 一种自动理料的棒料出料机构
US4633645A (en) Packaging machine
KR102263264B1 (ko)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배합사료물 투입장치
CN209915407U (zh) 防液体过期存储柜
KR100860853B1 (ko) 직진식 충진기
CN111687805A (zh) 具有高效出料结构的螺丝储存装置
CN110217563A (zh) 一种二合一移液吸头排列机器人
CN110562696A (zh) 芯片自动输料机、芯片料盘、芯片自动检测线及其上料方法
KR20160062934A (ko) 스크류 공급장치
CN219193809U (zh) 一种石灰成品入仓装置
ITMO20060136A1 (it) Apparato erogate
CN210028640U (zh) 一种半干污泥斗提料斗结构
CN215098393U (zh) 一种饲料生产用防止包装袋受冲击脱落的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