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527B1 -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527B1
KR101713527B1 KR1020150126319A KR20150126319A KR101713527B1 KR 101713527 B1 KR101713527 B1 KR 101713527B1 KR 1020150126319 A KR1020150126319 A KR 1020150126319A KR 20150126319 A KR20150126319 A KR 20150126319A KR 101713527 B1 KR101713527 B1 KR 101713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material
space
lower case
freshness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이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원 filed Critical 이승원
Priority to KR1020150126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15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58Inorganic comp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선도가 크게 요구되는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의 수분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면은 폐쇄되고 하부면은 개방되어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상부케이스(100), 상부면은 개방되고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04, 205)이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200) 및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200) 공간부에 수용되는 LED 발광부(300)와 기능성물질 충진부(400)를 포함하는 신선도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A DEVICE FOR MAINTAIN FRESHNESS}
본 발명은 신선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선도가 요구되는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의 수분조절, 부패방지 또는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은 그 신선도가 제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결정적 요인이 될 수 있다. 채소나 과일은 약 60∼7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분함유에 의해 그 신선도가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채소나 과일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수분의 함유량이 급격히 저하되어, 신선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보관용기 또는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되고 있다.
한편, 발광다이오드 소자(LED; Light Emitting Diode)는 화합물 반도체 단자에 전류를 흘려서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접합한 광전변환소자로서, 수은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고체 디바이스로 장수명일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이 낮아 새로운 광원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장점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소자는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조명장치뿐만 아니라 식물재배 및 냉장고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는 다른 일반적인 다이오드와 동일하게 극성을 가지고 있으며, 캐소드(음극)에서 애노드(양극)로 정전압을 가해서 사용한다. 전압이 낮은 동안에는 전압을 올려도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고 발광도 하지 않으나, 어느 전압 이상이 되면 전류가 빠르게 흘러서 전류량에 비례해서 발광한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단순히 시야를 확보하는 것에서부터 식품이 보관된 저장용기에 빛을 조사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180,723호에서는 과일이 저장되는 상자 및 상기 상자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자 내부에 저장되는 과일에 특수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자의 중단에 형성되어 상측과 하측에 저장된 과일에 동시에 빛을 조사하는 과일의 신선도 유지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과일이 저장된 상자 내부에 특수파장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설치하여 과일의 신선도와 영양분이 유지될 수는 있으나,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과량의 빛으로 인해 과일 표면의 수분이 증발되어 장기간 과일의 신선도를 지속시키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 제285,360호에서는 과일이 저장된 용기 덮개에 통기공이 형성된 필름을 부착시킨 과일 포장상자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통기공을 통해 내부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여 과일에 악취 또는 곰팡이가 발생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는 있으나, 외부 환경조건에 따라 과일의 신선도가 달라질 수 있고 또한 발생한 유해가스와 세균으로 인하여 친환경적인 과채류와 화훼류를 제공함에는 여전히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상품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180723호 한국등록실용 제028536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흡착효과와 살균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물질, 특수 파장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LED 램프 및 수분 조절이 가능한 부직포가 구비된 신선도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는, 상부면은 폐쇄되고 하부면은 개방되어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상부케이스(100); 상부면은 개방되고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04, 205)이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200); 및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200) 공간부에 수용되는 LED 발광부(300)와 기능성물질 충진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다수개의 관통공(204, 205)은 LED램프(302)가 수용되는 제1관통공(204) 및 기체상 물질이 통과하는 제2관통공(20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공간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메인구획판(203)에 의해 제1공간부(201)와 제2공간부(202)로 구획되되, 상기 제1공간부(201)에는 상기 LED 발광부(300)가 수용되고, 상기 제2공간부(202)에는 상기 기능성물질 충진부(400)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기능성물질 충진부(400)에 구비되는 기능성물질은 에틸렌산화제, 가스상 물질 흡착제 및 살균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입자상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기능성물질은 과망간산칼륨,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이산화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기능성물질은 상기 제2공간부에 위치하는 상부그물망(402)과 하부그물망(403)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하부케이스(200)에는 상기 제2공간부(202)를 다수개의 제3공간부(209)로 분할하기 위한 보조구획판(20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기능성물질 충진부(400)에 구비되는 기능성물질은 에틸렌산화제, 가스상 물질 흡착제 및 살균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입자상 물질이고, 상기 다수개의 제3공간부(209)에는 기능이 상이한 기능성물질이 각각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하부케이스(200) 저면 외부에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방출할 수 있는 부직포(207)가 구비되되, 상기 부직포(207)는 자체중량의 2배 내지 100배의 수분을 흡수하고, 가온에 의해 수축하여 수분을 방출하는 특성을 가진 수팽윤성과 수불용성을 가지는 화합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 유지장치는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 유해가스를 분해할 수 있는 산화제 및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제가 내장되어 있어, 저장물의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 유지장치는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저장물, 특히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의 부패를 억제하고 성숙을 지연시킬 수 있어 저장물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물의 신선도 유지장치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방출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어, 저장용기 내의 수분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저장물의 신선도를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선도 유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선도 유지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선도 유지장치의 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부케이스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기능성물질 수용을 위한 그물망의 다양한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능성물질이 수용되고 또 특수파장을 조사하는 LED 발광부가 구비되어, 용기 내에 수용된 저장물의 신선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의 신선도 유지장치를 상부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신선도 유지장치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3은 상기 도1에 도시된 신선도 유지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의 신선도 유지장치는 상부케이스(100), 하부케이스(200), LED 발광부(300) 및 기능성물질 충진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부케이스(1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의 신선도 유지장치의 상부케이스는(100)는 상부면은 폐쇄되어 있으면서 하부면은 개방되어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공간부에는 후술할 LED 발광부(300)와 기능성물질 충진부(400)가 수용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상호 결합되는 상기 하부케이스(200)는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지만,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04, 2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소정의 공간부를 갖게 된다.
상기 하부케이스(200)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부와 관련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케이스(200)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메인구획판(203)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과 외측은 독립된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메인구획판(203)의 내측은 제1공간부(201), 상기 메인구획판(203)의 외측은 제2공간부(202)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제1공간부(201)과 상기 제2공간부(202)에 수용되는 물질은 상호 접촉하거나 반응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1공간부(201)에는 후술할 LED 발광부(300)가 내장되고, 상기 제2공간부(202)에는 기능성 물질 충진부(400)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200)에는 보조구획판(208)이 더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보조구획판(208)은 상기 메인구획판(203)과 상호 직교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메인구획판(203)과 동일한 형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보조구획판(208)은 상기 제2공간부를 다시 다수개의 독립된 제3공간부(209)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구획판(208)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3공간부(209)에는 후술할 기능이 상이한 다종의 충진물이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즉,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에 상기와 같은 다수개의 제3공간부(209)가 형성됨으로써, 다수개의 제3공간부(209)에 기능성 물질을 각각 수용시킬 수 있고, 따라서 특정 기능성 물질만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기능성 물질간의 혼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원하지 않는 기능성 물질들간의 반응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상기 하부케이스(200)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204, 205)에 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제1관통공(204)은 상기 제1공간부(201)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2관통공(205)은 상기 제2공간부(202)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204)에는 후술할 LED 램프(302)가 수용되고, 상기 제2관통공(205)은 제2공간부(202)에 수용되는 기능성물질로부터 발산되는 가스상 물질과 본 발명 장치 주위로부터의 기체상 물질이 상기 제2공간부(202)로 유입하거나 유출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하편, 상기 하부케이스(200) 저면 외곽부에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방출할 수 있는 부직포(207)가 구비될 수 있다.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습도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 부직포(207)는 주변에 수분이 과량으로 있는 경우에는 수분을 흡수하고, 반대로 수분이 적거나 일정 온도로 가온되면 흡수한 수분을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 장치를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을 보관하는 용기에 넣어 두면, 용기 내의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의 신선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207)의 재료인 고분자 수지는 수팽윤성 및 수불용성을 가지는 화합물로, 자체중량의 2배 내지 100배의 물을 흡수한 후, 가온에 의해 수축하여 수분을 방출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고분자 수지는 (메타)아크릴아미드 유도체의 중합체, 알킬비닐에테르 중합체 또는 이들 중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아미드 유도체는 구체적인 예로 N-n-프로필아크릴아미드, N-n-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아크릴로일피롤리딘, N-(메타)크릴로일피롤리딘, N-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타)크릴로일피페리딘 및 N-(메타)크릴로일알라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메타)아크릴아미드 유도체는 각각 단독 중합 또는 2종 이상 공중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비닐에테르는 구체적인 예로 메틸비닐에테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수분 흡수량 조절 또는 형태를 개량하기 위하여 친수성 단량체, 친유성 단량체 및 이온성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단량체는 구체적인 예로,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및 N-비닐-2-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밖에, 초산비닐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공중합하고, 이를 가수분해하여 친수성이 부여된 생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친유성 단량체는 구체적인 예로, N-n-부틸아크릴아미드, N-n-부틸메타크릴아미드, N-tert-부틸아크릴아미드, N-tert-부틸메타크릴아미드, N-n-헥실아크릴아미드, N-n-헥실메타크릴아미드, N-n-옥틸아크릴아미드, N-n-옥틸메타아크릴아미드, N-tert-옥틸아크릴아미드, N-n-도데실아크릴아미드 및 N-n-도데실메타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초산비닐, 염화비닐,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수불용성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중결합을 갖는 가교성 단량체와 (메타)아크릴아미드 유도체의 공중합체 및 N-알콕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유도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결합을 갖는 가교성 단량체는 구체적인 예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갖는 디비닐에테르, 알릴비닐에테르, 알릴비닐아세탈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가교성 단량체와 공중합하는 (메타)아크릴아미드 유도체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 N-알콕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유도체는 구체적인 예로 N-하이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tert-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고분자 수지의 수분 흡수 또는 방출 온도는 10 내지 100℃의 범위에서 제어할 수 있으며, 상술한 고분자 수지의 선택 사용에 따라 온도 범위는 조절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제1공간부에 수용되는 LED 발광부(3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LED 발광부(300)는 특수파장을 조사하는 PCB 기판(301), 상기 PCB 기판(3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LED 램프(302), 상기 LED 램프(30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303) 및 상기 PCB 기판(301)을 보호하는 보호필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LED 램프(302)의 점멸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206)가 상기 하부케이스(200)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LED 발광부(300)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200)의 메인구획판(203)에 의해 형성된 제1공간부에 수용되고, 상기 다수개의 LED 램프(302)는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제1관통공(204)에 수용된다.
상기 PCB 기판(301)은 통상 세라믹 인쇄회로기판, 메탈 코아(Metal Core)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Flexible) 인쇄회로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PCB 기판에 장착되는 LED 램프(302)의 개수는 저장물의 종류, 저장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LED 램프(302)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용기 내에 저장된 과채류나 화훼류 등의 부패를 억제하여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LED 램프(302)는 휘도가 높고 수명이 긴 광원으로, 적색, 녹색, 청색, 백색 등 가시광선 영역의 빛, 자외선(UV) 영역의 빛, 적외선(IR) 영역의 빛을 각각 발광하는 LED 램프(3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 램프(302)는 360 내지 405nm 범위의 자외선 영역, 430 내지 490nm, 495 내지 610nm, 615 내지 680nm 범위의 가시광선 영역, 760 내지 1300nm 범위의 적외선 영역 또는 이들 영역대의 파장을 복합적으로 발산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저장물의 종류 및 저장 목적에 따라 적절한 영역대의 파장을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LED 램프(302)는 360 내지 405nm 범위의 파장을 조사하는 LED 램프(302)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LED 램프(302)로부터 발생하는 파장이 상기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저장물 즉 과일, 채소 등의 부패를 억제하고 성숙을 지연시켜 저장물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한편, PCB 기판(301)이 원하지 않는 수분과 접촉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절연과 이물질 등이 상기 PCB 기판(301)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투명 보호필름과(미도시) 같은 기판 보호를 위한 적절한 수단이 더 부가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제2공간부에 수용되는 기능성물질 충진부(4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능성물질로는 가스상 물질 흡착제, 살균제 및 에틸렌 산화제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균제, 멸균제 등 수요자의 요구를 고려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을 용기에 보관하거나 이송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특히 복숭아는 숙성과정 중에서 에틸렌을 많이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과일류, 채소류, 화훼류, 생선류, 식품류 등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이들 물질이나 세균을 확실히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살균제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수급이 용이하고 비교적 제어가 용이한 이산화염소(ClO2)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력이 강하고 물에 잘 녹으며 아울러 휘발성이 높은 물질인 이산화염소(ClO2)는 유독성 무기물 제거, 중금속 제거, 살균 및 소독, 의류표백, 악취제거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산화염소(ClO2)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산화염소(ClO2)를 담체에 피복시킨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착제로는 가스상 유해 오염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흡착력이 우수하고 흡착된 오염물질을 쉽게 탈착시킬 수 있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 광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 산화제로는 가스상 물질을 산화시킬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수급이 용이하고 에틸렌에 대한 산화력이 우수한 과망간산칼륨(KMnO4)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기능성물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공간부(202)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기능성물질은 비표면적이 큰 소정 크기의 입자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상기 제2공간부(202)의 제2관통공(205)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200)에는 각각 상부그물망(402)과 하부그물망(40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그물망(402)과 하부그물망(403)은 기능성물질은 통과하지 못하지만 가스상 물질은 통과가 가능한 정도의 미세한 기공이 형성된 망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물질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그물망에 기능이 상이한 물질이 종류별로 수용된 후, 상기 제3공간부에 각각 내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는 온도 변화나 습기에 변형이 적고, 비교적 무게가 가벼우면서 내구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00) 상면 중앙에는 홀로그램 스티커(10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스티커(102)에는 제품의 홍보를 위한 회사명이나 해당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내용물을 도시한 도면 등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양면접착테이프(101) 등 공지의 수단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200)는 암수나사 체결방식, 억지끼움방식 또는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방식 등 공지의 다양한 체결방법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기능성물질을 교체나 재충전하기에 용이하도록 암수나사 체결방식 또는 억지끼움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는 본 발명의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외형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가능함은 자명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상부케이스
101 : 양면접착테이프 102 : 홀로그램 스티커
200 : 하부케이스
201 : 제1공간부 202 : 제2공간부
203 : 메인구획판 204 : 제1관통공
205 : 제2관통공 206 : 스위치
207 : 부직포 208 : 보조구획판
209 : 제3공간부
300 : LED발광부
301 : PCB기판 302 : LED 램프
303 : 전지
400 : 기능성물질 충진부
401 : 충진물 402 : 상부 보호망
403 : 하부 보호망

Claims (9)

  1. 상부면은 폐쇄되고 하부면은 개방되어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상부케이스(100);
    상부면은 개방되고 하부면에는 LED 램프가 수용되는 다수개의 제1 관통공(204) 및 기체상 물질이 통과하는 제2 관통공(205)이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200); 및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200) 공간부에 수용되는 LED 발광부(300)와 기능성물질 충진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메인구획판(203)에 의해 제1공간부(201)와 제2공간부(202)로 구획되되, 상기 제1공간부(201)에는 상기 LED 발광부(300)가 수용되고, 상기 제2공간부(202)에는 상기 기능성물질 충진부(400)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물질 충진부(400)에 구비되는 기능성물질은 에틸렌산화제, 가스상 물질 흡착제 및 살균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입자상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물질은 과망간산칼륨,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이산화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물질은 상기 제2공간부에 위치하는 상부그물망(402)과 하부그물망(403)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200)에는 상기 제2공간부(202)를 다수개의 제3공간부(209)로 분할하기 위한 보조구획판(20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물질 충진부(400)에 구비되는 기능성물질은 에틸렌산화제, 가스상 물질 흡착제 및 살균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입자상 물질이고, 상기 다수개의 제3공간부(209)에는 기능이 상이한 기능성물질이 각각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200) 저면 외부에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방출할 수 있는 부직포(207)가 구비되되, 상기 부직포(207)는 자체중량의 2배 내지 100배의 수분을 흡수하고, 가온에 의해 수축하여 수분을 방출하는 특성을 가진 수팽윤성과 수불용성을 가지는 화합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KR1020150126319A 2015-09-07 2015-09-07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KR101713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319A KR101713527B1 (ko) 2015-09-07 2015-09-07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319A KR101713527B1 (ko) 2015-09-07 2015-09-07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527B1 true KR101713527B1 (ko) 2017-03-08

Family

ID=5840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319A KR101713527B1 (ko) 2015-09-07 2015-09-07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5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073B1 (ko) * 2017-04-04 2018-06-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과일 숙성도 조절 장치
KR20220085530A (ko) * 2020-12-15 2022-06-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오존이 잔류되지 않는 에틸렌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틸렌 제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2140A (ja) * 1989-12-01 1991-07-25 Sansui Shoji Kk 青果物保管箱内の環境浄化方法
KR100285360B1 (ko) 1999-01-22 2001-03-15 임광철 스윙감속기의 역회전 방지장치
US20050056158A1 (en) * 2003-08-15 2005-03-17 Chiang Chia C. Improved Fruit Ripening Display
JP2005065622A (ja) * 2003-08-26 2005-03-17 Mbr:Kk 野菜保存用照射装置
KR101180723B1 (ko) 2012-03-16 2012-09-07 이승원 과일의 신선도 유지장치
KR20130121506A (ko) * 2012-04-27 2013-11-0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다용도 보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2140A (ja) * 1989-12-01 1991-07-25 Sansui Shoji Kk 青果物保管箱内の環境浄化方法
KR100285360B1 (ko) 1999-01-22 2001-03-15 임광철 스윙감속기의 역회전 방지장치
US20050056158A1 (en) * 2003-08-15 2005-03-17 Chiang Chia C. Improved Fruit Ripening Display
JP2005065622A (ja) * 2003-08-26 2005-03-17 Mbr:Kk 野菜保存用照射装置
KR101180723B1 (ko) 2012-03-16 2012-09-07 이승원 과일의 신선도 유지장치
KR20130121506A (ko) * 2012-04-27 2013-11-0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다용도 보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073B1 (ko) * 2017-04-04 2018-06-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과일 숙성도 조절 장치
KR20220085530A (ko) * 2020-12-15 2022-06-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오존이 잔류되지 않는 에틸렌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틸렌 제거방법
KR102437543B1 (ko) * 2020-12-15 2022-08-31 대한민국 오존이 잔류되지 않는 에틸렌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틸렌 제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15650T3 (es) Sistema de almacenamiento de alimentos que comprende un recipiente y un material adsorbente, y procedimiento para extender la vida comercial de un producto
CA2373333C (en) Energy-activated compositions for controlled sustained release of a gas
US7273567B1 (en) Energy-activated compositions for controlled sustained release of a gas
CN205856047U (zh) 利用紫外线发光二极管的杀菌器
KR102191212B1 (ko) 다기능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KR101296848B1 (ko) 다용도 살균 소독기
ES2833399T3 (es) Producto y procedimiento para generar vapor de peróxido de hidrógeno
KR20140071143A (ko) 다기능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KR101713527B1 (ko)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CA2562139A1 (en) A deodorizer
JP3196756U (ja) 空気清浄機
KR102233270B1 (ko) Uv led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 장치
KR20170003283A (ko) 공기정화 선도유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80723B1 (ko) 과일의 신선도 유지장치
JPH06107971A (ja) 被覆用組成物
US20220111083A1 (en) Portable systems and methods for disinfecting objects using light sources
KR101842767B1 (ko) 신선도 유지 장치
JP6410122B2 (ja) ボックス型空気清浄用具
CN2768782Y (zh) 大风量多室紫外消毒臭氧装置
KR101718760B1 (ko) 과일, 채소 및 화훼류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KR20100011054U (ko) 거치용 엘이디 살균장치
CN201386962Y (zh) 用于冰箱的照明杀菌复合灯具
KR101718758B1 (ko) 엘이디 시트
KR101690717B1 (ko) 저장용기용 조명장치
CN204950052U (zh) 一种除臭杀菌鞋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