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481B1 - 저장장치 적층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장장치 적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481B1
KR101713481B1 KR1020160045868A KR20160045868A KR101713481B1 KR 101713481 B1 KR101713481 B1 KR 101713481B1 KR 1020160045868 A KR1020160045868 A KR 1020160045868A KR 20160045868 A KR20160045868 A KR 20160045868A KR 101713481 B1 KR101713481 B1 KR 101713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interface
auxiliary
pow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4675A (ko
Inventor
유 홍-치
장 마오-팅
Original Assignee
왈톤 어드밴스드 엔지니어링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왈톤 어드밴스드 엔지니어링 인크. filed Critical 왈톤 어드밴스드 엔지니어링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12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2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83Plurality of storag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저장장치 및 보조저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저장장치의 전력입력인터페이스 및 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로 각각 전력을 얻고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메인저장장치 내부에 관련 전자부품을 전지적으로 연결시키고, 다시 전력출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보조저장장치의 전력수신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보조저장장치가 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메인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는 상기 보조저장장치의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전력이 인가된 후의 보조저장모듈과 상기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메인저장장치간에는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저장장치적층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저장장치 적층시스템{STORAGE DEVICE STACKING SYSTEM}
본 발명은 저장장치적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메인저장장치의 부속적 저장장치 확충을 위해 전력에 의한 직렬 연결 및 데이터의 상호 교환을 이용하며, 특히 메인저장장치에서 전체 전력 및 전체 데이터를 관리하는 전원 및 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에 해당하는 저장장치 적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화 시대에 들어선 지금, 다양한 정보들은 디지털화된 데이터가 되어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미디어를 저장하는 방식을 통해 보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재 네트워크의 보편화는 저장 방식이 당초의 단일 하드디스크 어레이를 적재 방안으로 하는 방식에서 원격 네트워크 저장 방안으로 전환되면서 변천하고 있다.
저장시스템에 관한 문헌은 아래 여러 특허출원안에서 찾아볼 수 있다.
먼저, TW 102104843에는 크라우드 네트워크 하드디스크 어레이 공급시시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복수 개의 저렴한 단일 하드웨어로 구축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동태적 네트워크 하드디스크 어레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본체는 제어본체 및 복수 개의 저장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저장본체는 상기 제어본체가 접속하도록 하드디스크를 개방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본체는 하드디스크 어레이 계산절차를 수행하여 자체 및 복수 개의 저장본체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하드디스크 어레이 클러스터로 구축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단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본체에 접속하기만 하면 바로 하드디스크 어레이 클러스터에 접근 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 따른 하드디스크 어레이 클러스터는,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 복수 개의 본체로 구축되고 본체의 추가, 제거 그리고 위치와 역할에 대한 선택을 통해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클라우드 네트워크 하드디스크 어레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각기 다른 저장공간, 저장속도 및 데이터 안전성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어서, TW 102108564에는 여러 개의 클라우드 저장공간을 구비하여 네트워크장치의 현지 저장공간에 대한 지원 순서대로 지원하는 저장공간확충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네트워크장치로부터 저장 대기 중인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현지저장공간의 잔여용량을 검사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때, 만일 현지저장공간의 잔여용량이 디볼트 값과 같거나 클 경우 상기 시스템은 새로운 데이터를 현지저장공간에 저장하도록 되어 있고, 만일 현지저장공간의 잔여용량이 상기 디볼트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시스템은 현지저장공간에 가장 먼저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하여 지원 순서대로 복사된 데이터를 대응하는 클라우드 저장공간에 저장하도록 되어 있으며, 현지저장공간의 잔여용량이 상기 디볼트 값과 같거나 더 클때까지 현지 저장공간에서 복사된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TW I333620에는 휴대 가능한 네트워크 접근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파이어와이어(FireWire) 또는 유에스비(USB)를 통해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며 네크워크 및 공용 네트워크 디스크 드라이브 접근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드웨어의 한쪽은 이더넷이, 그리고 다른 한쪽은 유에스비(USB) 또는 파이어와이어(FireWire)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경우 계획된 모든 공용 네트워크 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접속을 시도하도록 되어 있으며, 유에스비(USB) 또는 파이어와이어(FireWire)를 통해 어떤 컴퓨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는 구동 프르그램을 다운로드하고 나열된 디스크 드라이브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컴퓨터는 전체 네트워크 적층을 통해 이들 디스크 드라이브에 접근할 필요가 없다. 일단 한 번 배치되면, 기술자는 아무런 컴퓨터로부터 공용 디스크 드라이브에 접근할 수 있으며, 이들 컴퓨터의 네트워크 설정이나 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대응에 관계 없이 재배치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상기 장치는 상기 유에스비(USB)/파이어와이어(FireWire)의 포트를 통해 상기 장치의 컴퓨터 시스템에 접근하면 저장장치가 보이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네트워크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단지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 카드와 같은 것에 불과하다. 이 발명은 파이어와이어(FireWire) 또는 유에스비(USB)를 통해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는 휴대 가능한 네트워크 접근점 장치가 결합된 계산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는데, 상기 장치는 네크워크 및 공용 네트워크 디스크 드라이브 접근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드웨어의 한쪽은 이더넷이, 그리고 다른 한쪽은 유에스비(USB) 또는 파이어와이어(FireWire)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경우 계획된 모든 공용 네트워크 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접속을 시도하도록 되어 있으며, 유에스비(USB)/파이어와이어(FireWire)를 통해 어느 한 컴퓨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는 구동 프르그램을 다운로드하고 나열된 디스크 드라이브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컴퓨터는 전체 네트워크 적층을 통해 이들 디스크 드라이브에 접근할 필요가 없다. 일단 한 번 배치되면, 기술자는 아무런 컴퓨터로부터 공용 디스크 드라이브에 접근할 수 있으며, 이들 컴퓨터의 네트워크 설정이나 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대응에 관계 없이 재배치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상기 장치는 상기 유에스비(USB)/파이어와이어(FireWire)의 포트를 통해 상기 장치의 컴퓨터 시스템에 접근하면 저장장치가 보이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네트워크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단지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 카드와 같은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다수의 방안은 기업을 대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바, 개인적 사용에 대한 간단하고 빠른 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구축원가 및 전문적 지식에 대한 욕구 면에서도 상당히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다양화된 기능적인 면에서 볼 때, 거의 대부분이 보다 많은 선택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주요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저장장치적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본 발명은 메인저장장치가 전력의 직렬 연결, 데이터의 상호 연결 및 집중 관리 역할을 담당하고, 여기에 보조 장치를 별도로 추가하여 메인저장장치의 저장공간을 확충시키는 저장장치적층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전력/데이터에 대한 통합관리를 통해 저장공간을 간단하게 추가하는 기능과 효과를 갖는 저장장치적층시스템을 제공함는 것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으로 확충 가능한 저장장치에 대한 제한을 줄일 수 있는 저장장치적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 내부 전압 유니트를 통해 외부의 교류를 직류로 전환함으로써 메인저장장치의 초기 구매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저장장치적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 데이터 브리지 수단을 이용하여 저장공간을 추가할 수 있는 것 외에도 부가적 기능 또한 추가할 수 있는 저장장치적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확충 가능으로 낡은 설비의 이용성을 높여 낡아서 도태되는 설비의 수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저장장치적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주요 기술적 수단은 아래 기술적 방안을 사용하여 실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장치적층시스템은, 전력 및 데이터로 전송되는 통합시스템으로, 메인저장장치 및 보조저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저장장치는 1차 기판에 의해 적재되고 그리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입력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전력출력인터페이스와 전력관리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메인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와 데이터관리모듈 및 메인저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저장장치는 2차 기판에 의해 적재되고 그리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신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저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특징은 상기 메인저장장치의 상기 전력입력인터페이스가 전력을 얻고 상기 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가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상기 전력관리모듈과 상기 데이터관리모듈 그리고 상기 메인저장모듈에는 전력이 인가되며, 이어서 상기 전력출력인터페이스는 상기 보조저장장치의 상기 전력수신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보조저장장치로 하여금 전력을 얻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메인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는 상기 보조저장장치의 상기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와 전지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전력이 인가된 후의 상기 보조저장모듈과 상기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메인저장장치간에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그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아래 기술적 조치를 사용하여 추가로 신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장치적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모듈은 변압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장치적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장치는 보조전력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력관리모듈은 상기 2차 기판에 적재되고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조전력관리모듈은 보조변압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장치적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장치는 상기 2차 기판에 의해 적재되고 그리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확장전력출력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장치적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는 상기 2차 기판에 적재되고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장치적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장치는 상기 2차 기판에 의해 적재되고 그리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데이터처리모듈 및 영상출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장치적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장치는 보조데이터관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은, (1) 저장용량을 간단하고 빠르게 추가할 수 있는 효과; (2) 각각의 변압유니트가 독립되는 것에 의해 확충에 대하 제한을 줄이고 구축에 따른 초기 원가를 높이는 효과; (3) 데이터 브리지를 이용하여 장치의 부가적 기능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1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2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3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4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5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장치적층시스템의 주요 실시형태로, 먼저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메인저장장치(10) 및 보조저장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저장장치(10)는 1차 기판(18)에 의해 적재되고 그리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전력입력인터페이스(11), 전력출력인터페이스(12), 전력관리모듈(13), 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14), 메인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15), 데이터관리모듈(16) 및 메인저장모듈(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입력인터페이스(11)는 상기 메인저장장치(10)에 필요한 전원을 얻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외부의 교류(Alternating Current, A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말하는 것이며, 상기 전력출력인터페이스(12)는 상기 전력입력인터페이스(11)로부터 얻은 외부의 교류(Alternating Current, AC)를 확장하여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말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력관리모듈(13)의 주요 기능은 상기 전력입력인터페이스(11)로부터 얻은 외부의 교류(Alternating Current, AC)에 따른 전원을 사용함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관리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14), 상기 메인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15),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6), 상기 메인저장모듈(17) 및 상기 1차 기판(18) 작동에 필요한 전원 및 에너지 절약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14)는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를 말하는 것으로,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혹은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메인저장장치(10)로 하여금 외부와의 연계성을 생성하도록 하고 아울러 외부로 하여금 관련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메인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15)의 주요 작용은 상기 보조저장장치(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외에 확장된 후의 관련 자원 또한 관리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6)은 복잡한 컴퓨터 절차를 처리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uP)를 말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메인저장모듈(17)은 정보 저장에 사용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보를 디지털화한 다음 다시 전기, 자기 또는 광학 등 방식에 따른 미디어를 이용하여 저장하는데,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 또는 자기에너지를 이용한 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1차 기판(18)은 일반적으로 회로기판(circuit board), 예컨데, 기판은 단층 또는 다층 회로를 가진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 기판은 리드프레임, 폴리마이드(Polymide), BT 회로판 또는 각종 칩 적재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저장장치(20)는, 2차 기판(24)에 의해 적재되고 그리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전력수신인터페이스(21),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22) 및 보조저장모듈(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제로, 상기 전력수신인터페이스(21)는 상기 보조저장장치(20)에 필요한 전원을 얻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외부의 교류(Alternating Current, A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말하는 것이로, 여기서 상기 전력수신인터페이스(21)는 특히 전기적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저장장치(10)의 상기 전력출력인터페이스(12)로부터 확장되어 전송된 외부의 교류(Alternating Current, AC)를 얻는 것이고, 상기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22)는 상기 메인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저장장치(10)의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6)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외에 또한 확정된 후의 상기 보조저장장치(20) 관련 자원을 관리하는 것이며, 상기 보조 전장 모듈(23)은 정보 저장에 사용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보를 디지털화한 다음 다시 전기, 자기 또는 광학 등 방식에 따른 미디어를 이용하여 저장하는데,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 또는 자기에너지를 이용한 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2차 기판(24)은 일반적으로 회로기판(circuit board), 예컨데, 기판은 단층 또는 다층 회로를 가진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 기판은 리드프레임, 폴리마이드(Polymide), BT 회로판 또는 각종 칩 적재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관리모듈(13)은 변압유니트(13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저장장치(20)는 보조전력관리모듈(2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전력관리모듈(25)은 상기 2차 기판(24)에 적재되고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아울러 상기 보조전력관리모듈(25)은 보조변압유니트(2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변압유니트(131) 및 상기 보조변압유니트(251)의 주요 기능은 교류(Alternating Current, AC)를 직류(Direct Current, DC)로 전환하는 것에 있는데, 실내에서 사용하는 전기는 대부분 교류이기 때문에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변압을 통해 일반 전자부품에 필요한 전압 및 전류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저장장치(20)는 상기 2차 기판(24)에 의해 적재되고 그리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확장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26) 및 확장전력출력인터페이스(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확장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26) 및 상기 확장전력출력인터페이스(27)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저장장치(10)에서 상기 보조저장장치(20)에 연결된 상황하에서 상기 보조저장장치(20) 뒤에 다시 설비를 연결하는 경우 확충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어서,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저장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보조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28)는 상기 2차 기판(24)에 적재되고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조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28)는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말하는 것으로,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메인저장장치(10) 및 상기 보조저장장치(20)로 하여금 외부와의 연계성을 생성하도록 하고 아울러 외부로 하여금 관련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저장장치(20)는 상기 2차 기판(24)에 의해 적재되고 그리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처리모듈(29) 및 영상출력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통해 현존하는 저장공간의 용량을 높일 수 있는 것 에외도 비주얼 미디어 관련 기능 또한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처리모듈(29)은 멀티미디어에 대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uP)로 구성되며, 상기 영상출력모듈(30)은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디지털 비주얼 인터페이스(Digital Visual Interface, DVI) 또는 비디오 그래픽스 어레이(Video Graphics Array, VGA) 중의 하나 또는 세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저장장치(20)는 보조데이터관리모듈(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보조데이터관리모듈(31)은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6)에 대하여 데이터 처리를 협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장치적층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저장장치(10)의 상기 전력입력인터페이스(11)를 외부의 교류에 연결하면, 상기 메인 저장장치(10)의 상기 전력관리모듈(13)의 상기 변압유니트(131)가 상기 전력입력인터페이스(11)로부터 얻은 외부의 교류를 직류로 전환시키고 또한 상기 메인저장장치(10) 내의 각 부품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며, 상기 메인저장장치(10)의 상기 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14)는 외부 네트워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끝으로, 상기 메인 저장장치(10)는 이미 외부 전원 및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또한 그 내부의 전력입력인터페이스(11), 전력출력인터페이스(12), 전력관리모듈(13), 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14), 메인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15), 데이터관리모듈(16), 메인저장모듈(17) 및 1차 기판(1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부품은 모두 전원을 얻고 아울러 대응하는 기능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메인저장장치(10)의 상기 전력출력인터페이스(12)는 전기적 연결에 의해 외부의 교류를 상기 보조저장장치(20)의 상기 전력수신인터페이스(21)로 전송하며, 상기 보조저장장치(20)의 상기 보조전력관리모듈(25)의 상기 보조변압유니트(251)는 상기 전력수신인터페이스(21)가 얻은 외부의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고 또한 상기 보조저장장치(20) 내의 각 부품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며, 상기 메인 저장장치(10)의 상기 메인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15)는 상기 보조저장장치(20)의 상기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저장장치(20)는 이미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고 또한 그 내부의 전력수신인터페이스(21),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22), 보조저장모듈(23), 2차 기판(24), 보조전력관리모듈(25), 확장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26), 확장전력출력인터페이스(27) 및 보조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부품은 모두 전원을 얻고 아울러 상기 메인저장장치(10) 및 상기 보조저장장치(20)는 모두 대응하는 기능, 예컨데, 일반 저장장치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복수 배열 독립 디스크(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RAID), 범용 인터넷 파일 시스템(Common Internet File System, CIFS) 및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etwork File System, NFS) 등 네트워크 서버 서비스 기능으로 작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보조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28)와 상기 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14)는 같거나 다른 네트워크 환경에 접속되어 협력 네트워크 또는 리던던트 네트워크의 기능과 효과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저장장치(20)는 데이터처리모듈(29), 영상 출력 모듀(30) 및 보조데이터관리모듈(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단순한 저장 기는 외에 부속적인 확충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 및 효과는 종래의 서버 저장장치와는 다르고 게다가 저장장치의 응용에 있어서 최초로 창안된 것이므로 특허출원 요건에 부합하는 바, 법에 따라 특허출원을 신청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당연히 뒤에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것을 기준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10 : 메인저장장치, 11 : 전력입력인터페이스, 12 : 전력출력인터페이스, 13 : 전력관리모듈, 131 : 변압유니트, 14 : 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 15 : 메인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 16 : 데이터관리모듈, 17 : 메인저장모듈, 18 : 1차 기판, 20 : 보조저장장치, 20’ : 보조저장장치, 21 : 전력수신인터페이스, 21’ : 전력수신인터페이스, 22 :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 22’ :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 23 : 보조저장모듈, 24 : 2차 기판, 25 : 보조전력관리모듈, 251 : 보조변압유니트, 26 : 확장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 27 : 확장전력출력인터페이스, 28 : 보조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 29 : 데이터처리모듈, 30 : 영상출력모듈, 31 : 보조데이터관리모듈

Claims (7)

  1. 전력 및 데이터 전송의 통합시스템으로,
    메인저장장치(10); 및 보조저장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저장장치(10)는 1차 기판(18)에 의해 적재되고 그리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입력인터페이스(11)와; 적어도 하나의 전력출력인터페이스(12)와; 전력관리모듈(13)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14)와, 적어도 하나의 메인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15)와; 데이터관리모듈(16); 및 메인저장모듈(1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고,
    상기 보조저장장치(20)는 2차 기판(24)에 의해 적재되고 그리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수신인터페이스(21)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22); 적어도 하나의 확장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26); 적어도 하나의 확장전력출력인터페이스(27); 적어도 하나의 보조 데이터 링크 인터페이스(28); 및 보조저장모듈(2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메인저장장치(10)의 상기 전력입력인터페이스(11)가 전력을 얻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링크인터페이스(14)가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상기 전력관리모듈(13)과 상기 데이터관리모듈(16) 및 상기 메인저장모듈(17)에는 전력이 인가되고, 이어서, 상기 전력출력인터페이스(12)가 상기 보조저장장치(20)의 상기 전력수신인터페이스(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보조저장장치(20)로 하여금 전력을 얻도록 하며, 상기 메인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15)가 상기 보조저장장치(20)의 상기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전력이 인가된 후의 상기 보조저장모듈(23)과 상기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22)를 거쳐 상기 메인저장장치(10)간에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전력출력인터페이스(27) 및 상기 보조 데이터 링크 인터페이스(28)는 또 다른 보조저장장치 (20')에서 가용될 수 있고, 상기 또 다른 보조저장장치 (20')는 또 다른 전력수신인터페이스(21'); 또 다른 보조데이터브리지인터페이스(22'); 및 메인저장장치 (10)의 확장을 위한 부품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적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모듈(13)은 변압유니트(131)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적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장치(20)는 보조전력관리모듈(2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전력관리모듈(25)은 상기 2차 기판(24)에 적재되고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조전력관리모듈(25)은 보조변압유니트(25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적층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장치(20)는 상기 2차 기판(24)에 의해 적재되고 그리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데이터처리모듈(29) 및 영상출력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적층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장치(20)는 보조데이터관리모듈(31)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적층시스템.
KR1020160045868A 2015-04-20 2016-04-15 저장장치 적층시스템 KR101713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4112549A TW201638797A (zh) 2015-04-20 2015-04-20 儲存裝置堆疊系統
TW104112549 2015-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675A KR20160124675A (ko) 2016-10-28
KR101713481B1 true KR101713481B1 (ko) 2017-03-07

Family

ID=5580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868A KR101713481B1 (ko) 2015-04-20 2016-04-15 저장장치 적층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306405A1 (ko)
EP (1) EP3086203A1 (ko)
JP (1) JP2016207213A (ko)
KR (1) KR101713481B1 (ko)
CN (1) CN106200850A (ko)
TW (1) TW2016387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76569A (zh) * 2021-05-20 2022-11-2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拓展的数据存储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1511A1 (en) 2004-01-14 2005-07-14 Intel Corporation Transferring power between devices in a personal area network
US20070013523A1 (en) 2002-09-26 2007-01-1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Quasi-passive wakeup func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 devices
US20080307240A1 (en) 2007-06-08 2008-12-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electronic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and processes of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0674A (en) * 1984-07-16 1987-07-14 Moore Fergus E Modular computer system with integral electronic bus
JPH03278213A (ja) * 1990-03-28 1991-12-09 Nec Corp 拡張記憶装置の電源状態遷移検出・報告方法
US5296936A (en) * 1991-07-22 1994-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mage data from a source to one or more receivers
JPH10191310A (ja) * 1996-12-20 1998-07-21 Fujitsu General Ltd カメラ映像表示システム
US5956048A (en) * 1997-11-10 1999-09-21 Kerry R. Gaston Electronic book system
JP3927466B2 (ja) * 2002-08-06 2007-06-06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自動製氷機の貯氷検知装置
TWI333620B (en) 2003-03-05 2010-11-21 Lenovo Singapore Pte Ltd Network access point apparatus and method
TW200739349A (en) * 2006-04-12 2007-10-16 Giga Byte Tech Co Ltd Volatile storage device and serial connection type mixed storage device having the same
US8661268B2 (en) * 2010-02-22 2014-02-25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ly providing power to a device
JP2012061748A (ja) * 2010-09-16 2012-03-29 Sharp Corp 多段積載型デジタル複合機
TW201235858A (en) * 2011-02-18 2012-09-01 Walton Advanced Eng Inc Storag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ata sharing
TWI510069B (zh) * 2011-09-29 2015-11-21 Walton Advanced Eng Inc Storage device with image sharing and method for executing the same
US9098233B2 (en) * 2013-01-23 2015-08-04 Dot Hill Systems Corporation Storage device carrier for high density storage system
TW201432473A (zh) 2013-02-07 2014-08-16 Delta Electronics Inc 雲端網路硬碟陣列供應系統及其建構方法
US10158213B2 (en) * 2013-02-22 2018-12-1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Worksite power distribution box
TW201435612A (zh) 2013-03-12 2014-09-16 Hon Hai Prec Ind Co Ltd 儲存空間擴展系統及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3523A1 (en) 2002-09-26 2007-01-1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Quasi-passive wakeup func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 devices
US20050151511A1 (en) 2004-01-14 2005-07-14 Intel Corporation Transferring power between devices in a personal area network
US20080307240A1 (en) 2007-06-08 2008-12-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electronic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and processes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675A (ko) 2016-10-28
TW201638797A (zh) 2016-11-01
EP3086203A1 (en) 2016-10-26
JP2016207213A (ja) 2016-12-08
CN106200850A (zh) 2016-12-07
US20160306405A1 (en)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6539B2 (en) Authentication of 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 users in a blade server system
US200400033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used in the apparatus
CN111033435A (zh) 用于端口管理的系统和方法
CN106155231A (zh) 一种存储服务器
US82611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delivery to system components
CN103856556A (zh) 基于云的应用程序账户管理
US10205325B2 (en) Providing power to integrated electronics within a cable
US20090144469A1 (en) Usb key emulation system to multiplex information
CN104021809A (zh) Usb存储器
US20170345428A1 (en) Docking device for providing computing ser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KR101713481B1 (ko) 저장장치 적층시스템
US10747702B2 (en) Interposer systems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US20090265412A1 (en) Plural Computer System
US71902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control and data communication among devices
TW201348921A (zh) 電子裝置的擴充座
CN107247677B (zh) 一种转换装置和电子设备
KR20160124676A (ko) 저장장치 적층시스템의 수행방법
US11829212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N104112103A (zh) 一种应用于刀片服务器的远程管理数据加密子卡
US8046606B2 (en) Host computer with shared storage device
US20090300398A1 (en) Control structure for a power supply cluster
US1078918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mi-custom printed circuit boards based on standard interconnections
JP3187629U (ja) 外接式記憶装置
US20220413577A1 (en) Powering patch panel system
US9195469B2 (en)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in a computer system operating a boot-strap or a work peri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