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394B1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rinting pla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rint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394B1
KR101713394B1 KR1020150001234A KR20150001234A KR101713394B1 KR 101713394 B1 KR101713394 B1 KR 101713394B1 KR 1020150001234 A KR1020150001234 A KR 1020150001234A KR 20150001234 A KR20150001234 A KR 20150001234A KR 101713394 B1 KR101713394 B1 KR 10171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late
main body
guide
mo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2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4681A (en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스크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스크린코리아(주) filed Critical 다이니폰스크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5000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394B1/en
Publication of KR20160084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6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3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3/00Preparing for use and conserving print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인쇄판이 적재되는 본체; 제1모터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본체에 설치되는 스크래치 방지용 암; 본체와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제2모터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승강부재; 제3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1승강부재에 설치되는 회전부재; 제4모터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회전부재에 설치되는 제2승강부재; 및 제2승강부재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제어되어 인쇄판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on which a plurality of printing plates are loaded; A scratch-preventing arm provided on the main body movably by the first motor; An upper fram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A first elevating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a second motor; A rotary member installed in the first elevating member to be rotatable by the third motor; A second elevating member installed on the rotary membe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a fourth motor; And a plurality of adsorption members provided on the second lifting member and controlled by a solenoid valve to adsorb the printing plate.

Figure R1020150001234
Figure R1020150001234

Description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rinting plate}[0001]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rinting plate [0002]

본 발명은 CTP 장치 등과 같은 인쇄 제판 기기에 인쇄판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 printing plate to a printing plate making machine such as a CTP apparatus or the like.

CTP(Computer To Plate)는 컴퓨터에 저장된 이미지를 인쇄판에 직접 빛을 주어 제판과 인쇄 사이의 공정을 간소화한 이미지 세터 기술의 한 갈래다. 필름 출력 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플레이트 세터(plate setter)라고도 하며, 필름 출력의 단계를 건너뛰는 공정을 말한다. 광원이 레이저이므로 초정밀 화상 형성이 가능하며, 판식의 종류에 따라 바이올렛 플레이트(violet plate), 서멀 플레이트(thermal plate), CTcP(Computer To coventional Plate) 타입이 있다. 탁상 출판(DTP)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쇄용 필름을 뽑아낼 때까지만 하는 것이 통례였으나, CTP에서는 이러한 필름 작업을 생략하고 직접 인쇄판을 뽑을 수 있다. 오프셋 인쇄에서는 출판물의 원래 크기의 제판 파일을 만들고 감광제를 씌운 알루미늄판에 노광시켜 인쇄기의 인쇄판을 만든다. 그러나 CTP에서는 필름을 사용한 노광 공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한 디지털 데이터를 반영할 수 있어서 설비나 보관 장소가 필요 없는 이점이 있다.CTP (Computer To Plate) is a branch of image setter technology that simplifies the process between plate making and printing by directly lighting images stored in a computer on a printing plate. It is also referred to as a plate setter because it does not go through the film output process and refers to a process of skipping the step of film output. Since the light source is a laser, super precise image formation is possible. There are violet plate, thermal plate, and computer to coventional plate (CTcP) type according to the type of plate. In tabletop printing (DTP), it is common to generally only print until the print film is pulled out, but in CTP it is possible to omit this film work and draw the printing plate directly. In offset printing, plates of the original size of the publication are made and exposed to an aluminum plate coated with a photosensitive agent to form the printing plate of the printing press. However, since the exposure process using the film is omitted in the CTP, it is possible to reflect the more accurate digital data,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acility or the storage place is not necessary.

CTP 장치 등과 같은 인쇄 제판 기기에는 인쇄판을 공급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인쇄판 공급장치에는 다수의 인쇄판이 적재되고, 이중에서 인쇄판은 하나씩 공급될 수 있다. 인쇄판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인쇄판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여 인쇄판이 손상될 수 있으며, 또한 2개 이상의 인쇄판이 한꺼번에 공급될 수 있다.
A printing plate making apparatus such as a CTP apparatus requires a device for supplying a printing plate. Generally, the printing plate feeding apparatus is loaded with a plurality of printing plates, and the printing plates can be supplied one by one. Scratches or the like may be generated on the printing plate during the supply of the printing plate, and the printing plate may be damaged, and more than two printing plates may be suppli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래치 등에 의한 인쇄판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인쇄판을 하나씩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ing plate automatic feeding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supplying printing plates one by one while effectively preventing damage to the printing plates due to scratches or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인쇄판이 적재되는 본체; 제1모터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본체에 설치되는 스크래치 방지용 암; 본체와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제2모터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승강부재; 제3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1승강부재에 설치되는 회전부재; 제4모터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회전부재에 설치되는 제2승강부재; 및 제2승강부재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제어되어 인쇄판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on which a plurality of printing plates are stacked; A scratch-preventing arm provided on the main body movably by the first motor; An upper fram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A first elevating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a second motor; A rotary member installed in the first elevating member to be rotatable by the third motor; A second elevating member installed on the rotary membe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a fourth motor; And a plurality of adsorption members provided on the second lifting member and controlled by a solenoid valve to adsorb the printing plate.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본체의 상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 및 제1가이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본체의 상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A printing plate automatic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uide installed on a top surface of a main body so as to be adjustable in position; And a second guide that is positionally adjustable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guide.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제1가이드에 설치되고 요철구조를 포함하는 2매 방지 패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The printing plate automatic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wo-piece prevention pad provided on the first guide and including a concavo-convex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복수의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고,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가 인쇄판의 크기를 인식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automatic printing plate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inting plate size recognizing sensor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s. When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zing sensor recognizes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The operation of the adsorption member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dsorption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킹 레일;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인쇄판의 낙하를 감지하는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 및 스크래치 방지용 암에 설치되어 인쇄판을 지지하는 인쇄판 지지판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A printing plate automatic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cking rail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main body; A plate drop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detect dropping of the printing plate; And a printing plate supporting plate provided on the scratch preventing arm for supporting the printing plate.

본 발명에서 스크래치 방지용 암의 출발위치는 본체의 상면의 상단부이며, 스크래치 방지용 암의 일측만 구동되고 다른 일측은 종속적으로 이동하며, 스크래치 방지용 암이 구동되는 일측에는 제1보호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rt position of the scratch-preventive arm is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only one side of the scratch-preventive arm is driven, the other side is moved in a dependent manner,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is installed on the side where the scratch- .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및 상부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보호커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A printing plate automatic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main body; A moving memb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And a second protective cover partially surrounding the upper frame.

본 발명에서 제1승강부재, 회전부재, 제2승강부재는 절곡 금속판 및 절곡 금속판에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vating member, the rot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may include a bending metal plate and a rib formed on the bending metal plate.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래치 방지용 암 등을 통해 인쇄판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damage to a printing plate through a scratch-preventing arm or the like.

또한,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operation of the adsorption member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through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and the solenoid valve.

또한, 2매 방지 패드를 통해 인쇄판이 한꺼번에 2매 이상 공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wo or more printing plates from being fed at a time through the two-sheet prevention pad.

또한, 흡착부재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스크래치 방지용 암의 구성과 구동을 단순화함으로써, 인쇄판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Further, the adsorption member can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and the structure and driving of the scratch prevention arm can be simplified, so that the printing plate can be efficiently suppli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중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하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상부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상부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중 회전부재와 제2승강부재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left side view of a printing plate automatic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automatic printing plate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front view of the automatic printing plate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elevational view of the automatic printing plate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op left side view of the automatic printing plate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rotating member and a second lifting member of the automatic printing plate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adsorption membe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through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and the solenoid valv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좌측면도로서, 제1보호커버(100) 및 제2보호커버(330)를 설치한 상태에서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전체를 좌측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FIG. 1 is a left side view of a printing plate automatic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st protective cover 100 and a second protective cover 330 are installed, and the entire printing plate automatic feeding apparatus is viewed from the lef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중 본체(10)의 평면도로서, 본체(10) 부위를 위에서 바로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면의 크기를 고려하여 세로로 회전시킨 상태이고, 도 2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본래의 위치가 된다. 따라서, 도 2에서 좌측은 본체(10)의 상단, 우측은 본체(10)의 하단, 상하는 본체(10)의 양측이 된다.FIG. 2 is a plan view of the main body 10 of the automatic printing plate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of the main body 10 portion viewed from above. Fig. 2 is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drawing, and becomes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g. 2 is rotated clockwise by 90 degrees. 2, the upper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0 are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of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body of the main body 1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하부 정면도로서, 장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160) 쪽을 제외하고 장치 하부, 즉 본체(10)와 그 하부만을 정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3 또한 도 2와 마찬가지로 도면의 크기를 고려하여 세로로 회전시킨 상태이다.FIG. 3 is a bottom front view of the automatic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only the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that is, the main body 10 and its lower portion except for the upper frame 16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FIG. 3 is also rotated vert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drawing as in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상부 정면도로서, 장치 하부를 제외하고, 상부 프레임(160) 쪽을 정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면의 크기를 고려하여 세로로 회전시킨 상태이고, 도 4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본래의 위치가 된다. 따라서, 도 4에서 좌측은 상부 프레임(160)의 상단, 우측은 상부 프레임(160)의 하단, 상하는 상부 프레임(160)의 양측이 된다.FIG. 4 is an upper front view of an automatic printing plate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front view of the upper frame 160 except for the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4 is rotated vert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drawing, and is 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G. 4 is rotated clockwise by 90 degrees. 4, the left side is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160, and the right side is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160, and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160 are broke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상부 좌측면도, 장치 상부를 좌측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5는 상부 프레임(160)을 누인 상태로서, 좌측은 상부 프레임(160)의 상단, 우측은 상부 프레임(160)의 하단이다.FIG. 5 is a left upper side view of the automatic printing plate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pper part of the apparatus is viewed from the left side. 5 shows a state where the upper frame 160 is in a tilted state. The left side is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160, and the right side is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16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중 회전부재(220)와 제2승강부재(260)의 확대 정면도로서, 회전부재(220)와 제2승강부재(260) 등을 확대하여 정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6 또한 도 4와 마찬가지로 도면의 크기를 고려하여 세로로 회전시킨 상태이다.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rotating member 220 and the second lifting member 260 of the automatic printing plate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member 220, the second lifting member 260, Fig. FIG. 6 is also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drawing as in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220)의 사시도로서, 회전부재(220) 등의 절곡 금속판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ng member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bending metal plate structure such as a rotating member 220 and the like.

도 8은 본 발명에서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와 솔레노이드 밸브(270)를 통해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3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간략화를 위해, 센서 장착 홀(16),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 및 흡착부재(320)만을 도시하였다.FIG. 8 illustrates a structur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dsorption member 32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through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18 and the solenoid valve 270. For the sake of simplicity, Only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18, and the adsorption member 320 are shown.

본 발명은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일명 오토 로더(Auto-Loader)라고도 부를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eeding apparatus for a printing plate, and an automatic feeding apparatus for a prin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called an auto-loader.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오토 로더)는 본체(10), 제1가이드(20), 2매 방지 패드(30), 제2가이드(40), 스크래치 방지용 암(50), 제1가이드 레일(60), 제1벨트(70), 제1풀리(pulley)(80, 82), 제1모터(90), 제1보호커버(100), 지지대(110), 이동부재(120), 정면 커버(130), 도킹 레일(docking rail)(140), 제어 패널(150), 상부 프레임(160), 제1승강부재(170), 제2가이드 레일(180), 제2벨트(190, 192), 제2풀리(200, 202, 204, 206), 제2모터(210), 회전부재(220), 제3벨트(230), 제3풀리(240, 242), 제3모터(250), 제2승강부재(260), 솔레노이드 밸브(270), 전달 기어(280, 282), 제4모터(290), 랙(rack)(300), 피니언(pinion)(310), 흡착부재(320), 제2보호커버(330) 등을 구비할 수 있다.1 to 7, a printing plate automatic feeding apparatus (automatic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first guide 20, a two-piece prevention pad 30, a second guide 40, The first guide rail 60, the first belt 70, the first pulleys 80 and 82, the first motor 90,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The first elevation member 170, the second guide rail 170, and the second guide rail 170. The first guide rails 110, the movable member 120, the front cover 130, the docking rail 140, the control panel 150, the upper frame 160, The first pulley 180, the second pulleys 190 and 192, the second pulleys 200, 202, 204 and 206, the second motor 210, the rotating member 220, the third belt 230, The third motor 250, the second lift member 260, the solenoid valve 270, the transmission gears 280 and 282, the fourth motor 290, the rack 300, a pinion 310, a suction member 320, a second protective cover 330, and the like.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대략 판상 또는 얇은 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일명 카세트(cassette)라고 불리기도 한다. 본체(10)의 재질은 금속,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도 2의 평면도를 참고하면, 도 2의 세로 방향은 본체(10)의 길이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이고, 도 2의 가로 방향은 본체(10)의 폭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main body 10 may be configured in a substantially flat or thin hexahedron shape. The body 10 is also called a cassette. The body 10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2,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IG. 2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ateral direction in FIG. 2 can be defined as the width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본체(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인쇄판(미도시)이 적재될 수 있다. 인쇄판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2 내지 100매가 적재될 수 있다. 인쇄판은 금속판 및 이 금속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수지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판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지층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감광성 수지, 적외선 흡수 염료, 기타 염료 및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rinting plates (not shown)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number of the printing plat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2 to 100 sheets may be stacked. The printing plate may be composed of a metal plate and a resin layer laminated on the metal plate. The metal plate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aluminum. The resin layer can be formed by coating a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Th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a photosensitive resin, an infrared absorbing dye, other dyes and additives, and the like.

다수의 인쇄판 중 맨 위에 있는 인쇄판이 이동하는 중에 그 다음의 인쇄판을 손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하는 인쇄판의 하면 및/또는 모서리가 하부에 있는 인쇄판의 상면을 긁어서 손상시킬 수 있다. 즉, 로딩 중의 인쇄판 뒷부분이 다음 판의 수지막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스크래치를 유발한다. 또한, 인쇄판을 흡착하여 이동하는 중에 흡착부재(320)의 흡착력에 의해 인쇄판의 상면이 손상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damage the next printing plate while the printing plate at the top among the plural printing plates is moving. Specifically, the lower surface and / or the edge of the moving printing plate can scratch and damage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ing plate at the bottom. That is, the rear portion of the printing plate during loading causes contact with the resin film surface of the next plate, thereby causing scratches.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ing plate may be damag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ember 320 while the printing plate is being suctioned and moved.

도 2를 참고하면, 본체(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가 설치될 수 있다.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는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센서 장착 홀(16)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는 모든 센서 장착 홀(16)에 설치되거나, 일부 센서 장착 홀(16)에 설치될 수 있다.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는 센서 장착 홀(16)을 하나씩 건너뛰어 교대로 설치되어 규칙적인 배열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불규칙적으로 배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센서 장착 홀(16) 및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다만 센서 장착 홀(16)의 수는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와 적어도 동일하거나 상기 센서(18)의 수보다 많아야 한다. 도 2에는 복수의 센서 장착 홀(16) 및 복수의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가 본체(10)의 중앙에 일렬로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이들의 설치 위치와 배열 및 설치 방향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16) 및 센서(18)는 중앙이 아닌 측부 쪽으로 설치될 수 있고, 1개의 열이 아닌 복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열에서 일자 형태가 아닌 지그재그 등 불규칙인 배열도 가능하고, 폭 방향이 아닌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도 설치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홀(16)의 형상과 크기 그리고 상기 센서(18)의 종류, 형상 및 크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는 솔레노이드 밸브(270)와 연계되고, 상기 센서(18) 및 밸브(270)를 통해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3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어 구성은 후술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2, a plurality of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s 18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18 may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sensor mounting holes 16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18 can be installed in all the sensor mounting holes 16 or in some sensor mounting holes 16. [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18 can alternately arrange the sensor mounting holes 16 one by one to form a regular arrangement and also to arrange the arrangement irregularly. The number of the sensor mounting holes 16 and the number of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s 18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cessary.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sensors (18). 2, a plurality of sensor mounting holes 16 and a plurality of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s 18 are installed in a row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The installation direc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can be changed as needed. For example, the holes 16 and the sensor 18 may be installed in the side not in the center, and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instead of one row. In the row, the holes 16 and the sensor 18 may be arranged in an irregular arrangement such as a zigzag But also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not in the width direction. The shape and size of the hole 16 and the type, shape, and size of the sensor 18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cessary.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18 is associated with the solenoid valve 270 and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dsorption member 32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through the sensor 18 and the valve 270. A concrete control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와 3을 참고하면, 본체(10)의 상면에는 인쇄판을 정렬하고 인쇄판의 크기에 맞추어 인쇄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가이드(20, 40)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가이드(20, 40)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가이드를 설치할 수도 있다.2 and 3, guides 20 and 4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align the printing plates and adjust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plat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s. Preferably, two guides 20, 40 may be provided. Of course, you can install more than three guides as needed.

도 2와 3을 참고하면, 제1가이드(20)는 본체(10)의 상면 중에서 상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단부는 도 2에서 좌측으로, 본체(10)와 상부 프레임(160)이 연결되는 쪽이다. 제1가이드(20)는 인쇄판의 정렬과 위치 조절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가이드이다. 제1가이드(20)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본체(10)의 상면과 접촉하는 수평부재(22), 및 이 수평부재(22)의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위쪽으로 연장되고 인쇄판의 측면을 향하는 수직부재(24)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20)의 단면은 L자형일 수 있다. 제1가이드(2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가이드(20)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체(10)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50 내지 95%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first guide 20 may be installed 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end is the left side in FIG. 2, and the side where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frame 160 are connected. The first guide 20 is a guide for alignment and position adjustment of the printing plate. The first guide 20 includes a horizontal member 22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a vertical member 24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member. That is,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guide 20 may be L-shaped. The first guide 20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The length of the first guide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50 to 95% based on the entire length of the main body 10. [

제1가이드(20)는 본체(10)의 상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 홀(12)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도 2에서는 2개의 제1가이드 홀(12)이 형성되어 있으나, 하나만 형성되거나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가이드(20)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가이드 홀(12)은 제1가이드(20)와 직교하는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20)에는 체결부재(26)가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26)는 예를 들어 나사와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나사는 제1가이드(20)를 관통하며, 이를 위해 제1가이드(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 홀과 제1가이드 홀(12)은 동일한 간격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26)는 제1가이드 홀(12)이 위치하는 부위에서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2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adjustable in position. At least one first guide hole 1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ee FIG. 2). In FIG. 2, two first guide holes 12 are formed, but only one or more than three first guide holes 12 may be formed. The first guide 2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first guide hole 12 may be forme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orthogonal to the first guide 20. The first guide 20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member 26. The fastening member 26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screws and bolts. The screw passes through the first guide 20, and at least one screw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guide 20 for this purpose. The screw holes and the first guide holes 12 may be formed at the same interval and in the same number. The fastening member 26 can be fasten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guide hole 12 is located.

제1가이드(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나사 홀과 제1가이드 홀(12)을 정렬한 상태에서, 제1가이드(20)를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배치한 후, 제1가이드(20)의 나사 홀 및 제1가이드 홀(12)을 관통하도록 나사(26)를 끼운 다음, 나사(26)에 볼트를 체결하여 제1가이드(20)를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나사(26)는 본체(10)의 위에서 아래로 끼우거나, 반대로 본체(10)의 아래에서 위로 끼울 수 있다.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rst guide 20, the first guide 20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in a state in which the screw holes and the first guide holes 12 are aligned, The screw 26 is inserted so as to pass through the screw hole of the first guide 20 and the first guide hole 12 and then the bolt is fastened to the screw 26 to connect the first guide 20 to the main body 10 ). The screw 26 can be fit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body 10 or vice versa.

도 2를 참고하면,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28)는 제1가이드(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28)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체(10)의 상면이나 다른 부위에도 설치 가능하다.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28)는 인쇄판을 로딩할 때 어떠한 문제로 인쇄판이 흡착부재(320)로부터 떨어지면 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28)가 인쇄판이 떨어진 것을 감지하면,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동작을 멈추고 에러를 발생시킨다.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28)의 종류, 형상 및 크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rinting plate drop detection sensor 28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guide 20. However,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plate drop detection sensor 28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t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r in another area. The printing plate drop detection sensor 28 is a sensor that detects when the printing plate is separated from the suction member 320 due to some problem when the printing plate is loaded. When the platen detection sensor 28 detects that the printing plate has fallen, the automatic printing plate supply stops operating and generates an error. The type, shape and size of the printing plate drop detection sensor 28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eded.

도 2와 3을 참고하면, 2매 방지 패드(30)는 제1가이드(20)의 수직부재(24)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부재(24) 중 인쇄판을 향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매 방지 패드(3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20)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예를 들어 2 내지 20개의 2매 방지 패드(30)가 설치될 수 있다. 2매 방지 패드(30)는 제1가이드(20)에 나사결합, 접착,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2매 방지 패드(30)는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2매 방지 패드(30)는 얇고 작은 판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2매 방지 패드(3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2매 방지 패드(30)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한 변의 크기가 제1가이드(20)의 수직부재(24)의 높이와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2매 방지 패드(30)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한 변의 크기가 수직부재(24)보다 1 내지 100% 큰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two-piece preventive pad 30 may be installed on the vertical member 24 of the first guide 20. Specifically, it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24 facing the printing plate. Preferably, the two pieces of the preventing pad 3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pieces.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first guide 20, for example, 2 to 20 two-piece prevention pads 30 may be provided. The two-piece prevention pad 30 can be fixed to the first guide 20 by screwing, bonding, welding, or the like. The two-piece preventing pad 30 may be made of plastic, metal, or the like. The two-piece prevention pad 30 can be made in a thin and small plate shape. The shape of the two-piece preventive pad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square, a triangle, a circle, an ellipse, or the like. For example, the size of one side may be similar to the height of the vertical member 24 of the first guide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wo-piece preventive pad 30 is made of plastic, and one side can be made square or rectangular in size 1 to 100% larger than the vertical member 24.

도 3을 참고하면, 바람직하게는, 2매 방지 패드(30)는 요철구조(32)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철구조(32)는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높이 방향이나 경사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곡선 형태나 불규칙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요철구조(32)는 인쇄판이 2매 이상 한꺼번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인쇄판을 다수 개로 적재할 경우, 금속판과 수지층의 접착력에 의해 인접하는 인쇄판끼리 서로 붙을 수 있는데, 최상부 인쇄판을 흡착하여 들어올릴 때 그 아래 하나 이상의 인쇄판이 붙여서 한꺼번에 2매 이상의 인쇄판이 따라올라 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상부 인쇄판을 흡착한 후, 제2승강부재(260)를 통해 인쇄판의 말단부를 2매 방지 패드(30)와 접촉시킨 상태에서 위로 1회 올리거나 상하로 1회 내지 10회 흔들면, 흡착된 최상부 인쇄판만 남고 그 밑에 붙은 인쇄판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인쇄판만이 공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preferably, the two-piece preventive pad 30 may include a concave-convex structure 32. The concave-convex structure 32 may be formed regul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However, it may alternatively be formed in a height direction or an oblique direction, or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or an irregular shape. The concavo-convex structure 32 serves to prevent two or more printing plates from being fed at once. When a plurality of printing plates are stacked, adjacent printing plates can be adhered to each other due to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metal plate and the resin layer. When the uppermost printing plate is attracted and lifted, more than one printing plate may be attached have. In order to prevent this, after the uppermost printing plate is adsorbed, the end portion of the printing plat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wo pieces of the preventing pad 30 through the second lifting member 260, , Only the uppermost printing plate that has been adsorbed is left, and the printing plate adhered thereunder can be separated. Accordingly, only one printing plate can be supplied.

도 2와 3을 참고하면, 제2가이드(40)는 제1가이드(20)와 직교하는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본체(10)의 상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40)는 본체(10)의 상면 중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거나, 양쪽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40)는 제1가이드(20)와 이격되어 분리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제1가이드(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제2가이드(40)는 제1가이드(20)와 설치방향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제1가이드(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20)와 마찬가지로, 제2가이드(40)도 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본체(10)의 상면과 접촉하는 수평부재(42), 및 이 수평부재(42)의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위쪽으로 연장되고 인쇄판의 측면과 접촉하는 수직부재(44)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40)의 단면은 L자형일 수 있으며,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2 and 3, the second guide 40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a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orthogonal to the first guide 20. The second guide 40 may be provid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r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The second guide 40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guide 2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20. The second guide 4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guide 20 except that the second guide 4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guide 20 in the installation direction. That is, like the first guide 20, the second guide 40 also includes a horizontal member 42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a vertical member 44 extending upward perpendicularly from one end of the printing plate and contacting the side surface of the printing plate.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guide 40 may be L-shaped and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제2가이드(40)도 본체(10)의 상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가이드 홀(14)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제2가이드(40)는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가이드 홀(14)은 제2가이드(40)와 직교하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40)에는 예를 들어 나사와 볼트로 구성되는 체결부재(46)가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40)에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 홀과 제2가이드 홀(14)은 동일한 간격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40 may also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adjustable in position. At least one second guide hole 1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ee FIG. 2). The second guide 40 may b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cond guide hole 14 may 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orthogonal to the second guide 40. The second guide 40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member 46 composed of, for example, a screw and a bolt. At least one screw hole for receiving a screw may be formed in the second guide 40. The screw holes and the second guide holes 14 may be formed at the same interval and in the same number.

제2가이드(4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나사 홀과 제2가이드 홀(14)을 정렬한 상태에서, 제2가이드(40)를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배치한 후, 제2가이드(40)의 나사 홀 및 제2가이드 홀(14)을 관통하도록 나사(46)를 끼운 다음, 나사(46)에 볼트를 체결하여 제2가이드(40)를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second guide 4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in a state in which the screw hole and the second guide hole 14 are align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guide 40, The screw 46 is inserted so as to pass through the screw hole of the second guide 40 and the second guide hole 14 and then the bolt is fastened to the screw 46 to connect the second guide 40 to the main body 10 ).

도 2와 3을 참고하면,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본체(10)의 상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하나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복수 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의 평면도를 참고하면, 도 2에서는 제1가이드(20)를 표시하기 위해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이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의 출발 위치(홈 위치)는 본체(10)의 상면의 상단부이며, 이러한 위치 설정에 의해 인쇄판을 용이하게 적재하거나 취급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본체(10)의 상단부(도 2의 좌측)에서 하단부(도 2의 우측)로 이동했다가, 다시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되돌아오고, 즉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풀리(80, 82)와 벨트(7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동 메커니즘, 예를 들어 실린더와 피스톤 메커니즘, 랙과 피니언 메커니즘 등에 의해서도 구동될 수 있다.2 and 3, the scratch prevention arm 50 can be installed movab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Only one scratch preventing arm 50 may be provided, or a plurality of scratch preventing arms 50 may be provided. 2, the scratch-preventing arm 50 is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in order to display the first guide 20, but the starting position (the home position) of the scratch-preventing arm 5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 And the printing plate can be easily loaded or handled by this position setting. The scratch prevention arm 50 moves from the upper end portion (left side in FIG. 2) to the lower end portion (right side in FIG. 2) of the main body 10 and then returns from the lower end portion to the upper end portion, Can be mov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nti-scratch arm 50 may be driven by the rotation of the pulleys 80, 82 and the belt 70. However, it can also be driven by other drive mechanisms, such as cylinder and piston mechanisms, rack and pinion mechanisms, and the like.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막대부재(52), 막대부재(52)의 일단에 연결되는 롤러(54), 막대부재(52)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고 제1벨트(70)와 결합하는 제1연결부재(56)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금속,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scratch prevention arm 5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52 by a rod member 52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a roller 54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d member 52 A first connecting member 56 that engages with the first belt 70, and the like. The scratch resistant arm 50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rubber, or the like.

막대부재(52)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 등일 수 있다. 막대부재(52)의 길이는 본체(10)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50 내지 95%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막대부재(52)는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막대부재(52)는 본체(10)로부터 떠 있을 수 있다. 막대부재(52)가 떠 있는 이유는 막대부재(52)가 다수의 적재된 인쇄판 위를 이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막대부재(52)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cross section of the rod member 52 may be circular, polygonal, or the like. The length of the rod member 52 may be 50 to 95% based on the total length of the body 10. [ 3, the rod member 5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rod member 52 may float from the body 10. The reason for the rod member 52 being floating is that the rod member 52 must move over a plurality of stacked printing plates. The height of the rod member 52 can be appropriately set as needed.

막대부재(52)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링 부재(58)가 막대부재(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링 부재(58)는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막대부재(52)에 끼울 수 있다. 링 부재(58)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막대부재(52)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예를 들어 2 내지 20개의 링 부재(58)가 설치될 수 있다. 링 부재(58)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링 부재(58)는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링 부재(58)는 인쇄판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부재로서, 링 부재(58)를 설치함으로써 인쇄판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크래치 방지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링 부재(58)를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과 같이 매끄럽고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스크래치 방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링 부재(58)의 외주면을 중앙 부분이 가장자리보다 두껍게, 즉 볼록하게 구성함으로써, 인쇄판과의 접촉면적을 더욱 줄일 수 있다.At least one ring member 58 may be provided around the rod member 5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member 52. The ring member 58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may be fitted in the rod member 52. The number of the ring members 58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rod member 52, but for example, 2 to 20 ring members 58 may be provided. The intervals of the ring members 58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regularly arranged and arranged regularly, for example. The ring member 58 may be made of plastic, rubber, or the like. The ring member 58 is a member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printing plate. By providing the ring member 58, the contact area with the printing plate can be minimized, thereby improving the scratch prevention effect. In addition, the ring member 58 is made of a smooth and soft material such as plastic or rubber, thereby maximizing the scratch prevention effect. Further, by mak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ng member 58 thicker than the edge, that is, convex, the contact area with the printing plate can be further reduced.

막대부재(52)는 하나 이상의 인쇄판 지지판(53)을 구비할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은 막대부재(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막대부재(52)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의 형상과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진 얇은 판일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은 바람직하게는 막대부재(52)와 직교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상단 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2 내지 20개일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링 부재(58)와 일정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은 금속,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막대부재(52)와 인쇄판 지지판(53)은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은 이동하는 인쇄판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이 본체(10)의 상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마지막으로 올라가는 인쇄판의 후단부가 흔들리거나 요동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인쇄판 자체 및/또는 다른 부재들이 손상될 수 있다. 인쇄판 지지판(53)은 올라가는 인쇄판을 끝까지 지지함으로써 상기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bar member 52 may have one or more printing plate support plates 53. The printing plate supporting plate 53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member 52, and preferably at the upper end of the rod member 52. The shape and size of the printing plate supporting plate 53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thin plate made of a quadrangle or the like. The printing plate support plate 53 may preferably be disposed orthogonally to the rod member 52, and prefera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number of the printing plate supporting plates 5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2 to 20. The spacing of the printing plate supporting plates 5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regular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and may be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ring members 58 at regular intervals. The printing plate supporting plate 53 may be made of metal or plastic. The rod member 52 and the printing plate supporting plate 53 can be fastened by screwing, welding or the like. The printing plate supporting plate 53 serves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printing plate to be moved. When the scratch resistant arm 50 reaches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the rear end of the last rising printing plate may be shaken or oscillated, thereby damaging the printing plate itself and / or other members. The printing plate supporting plate 53 can effectively prevent the damage by supporting the printing plate up to the end.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일측만 구동되고 다른 일측은 종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와 3에서는 좌측에 구동부가 설치되고, 우측에는 롤러(54)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을 한쪽만 구동시킴으로써, 장치의 제조비용과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장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이 구동됨에 따라, 롤러(54)는 그냥 구르면서 따라간다. 롤러(54)에는 볼 베어링 등이 장착될 수 있다.The scratch prevention arm 50 can be driven on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an move on its own. In Figs. 2 and 3, a driving part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a roller 54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By driving only one side of the scratch preventing arm 5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operation cost of the apparatus, and simplify the apparatus configuration. As the anti-scratch arm 50 is driven, the roller 54 just rolls along. The roller 54 may be equipped with a ball bearing or the like.

제1연결부재(56)는 막대부재(52)와 제1벨트(7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1연결부재(56)와 막대부재(52)는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56)와 제1벨트(70)는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벨트(70)를 2개의 연결판(56b) 사이에 끼운 후 두 연결판(56b)을 고정함으로써, 제1연결부재(56)와 제1벨트(70)를 체결할 수 있다. 두 연결판(56b)의 고정은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56 serves to connect the rod member 52 and the first belt 70.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6 and the rod member 52 can be fastened by screwing, welding, or the lik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6 and the first belt 70 can be fastened by screwing, welding, bonding or the lik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6 and the first belt 70 are fastened by fixing the two connecting plates 56b after the first belt 70 is sandwiched between the two connecting plates 56b can do. The fixing of the two connecting plates 56b can be performed by screwing, welding, adhesion, or the like.

제1연결부재(56)는 복수의 부재가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연결부재(56)는 복수의 연결판(56a, 56b, 56c)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결부재(56)는 막대부재(52)와 연결되는 제1연결판(56a), 제1벨트(70)와 연결되는 2개의 제2연결판(56b), 제1연결판(56a)과 제2연결판(56b)을 연결하는 제3연결판(56c)을 구비할 수 있다. 각 연결판(56a, 56b, 56c)들은 수평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판(56a, 56b, 56c)의 개수, 형상, 크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각 연결판(56a, 56b, 56c)들은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linking member 56 may be construct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members, or may be integrally formed.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6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56a, 56b, and 56c.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6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late 56a connected to the rod member 52, two second connecting plates 56b connected to the first belt 70, And a third connecting plate 56c connecting the plate 56a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56b. The connecting plates 56a, 56b, 56c may b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number, shape, size, etc. of the connecting plates 56a, 56b, 56c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Each of the connecting plates 56a, 56b, 56c can be fastened by screwing, welding, bonding or the like.

도 3을 참고하면, 제1연결부재(56)의 하부에는 제1가이드 블록(59)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블록(59)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와 3을 참고하면, 본체(10)의 상면에는 제1가이드 레일(6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레일(60)은 제2가이드(40)와 마찬가지로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이드 레일(60)은 제2가이드(40)와 평행하게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레일(60)은 제1가이드 블록(59)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막대 형상의 레일부재(62), 이 레일부재(62)를 본체(10)의 상면에 고정하는 레일 고정부재(64)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부재(62)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 등일 수 있다. 레일부재(62)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체(10)의 전체 폭을 기준으로 50 내지 95%일 수 있다. 레일부재(62)와 레일 고정부재(64) 그리고 레일 고정부재(64)와 본체(10)는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레일부재(62)와 레일 고정부재(64)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의 제1가이드 블록(59)이 제1가이드 레일(60)을 따라 활주함으로써,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고 원활한 왕복이동을 도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first guide block 59 may be formed below the first linking member 56. A guid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irst guide block 59. 2 and 3, the first guide rail 6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The first guide rail 60 may be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like the second guide 40. For example, the first guide rail 6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and parallel to the second guide 40. The first guide rail 60 includes a rod-like rail member 62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first guide block 59, a rail fixing member (not shown) for fixing the rail member 62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64). The cross section of the rail member 62 may be circular, polygonal, or the like. The length of the rail member 6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50 to 95% based on the entire width of the main body 10. [ The rail member 62 and the rail fixing member 64 and the rail fixing member 64 and the main body 10 can be fastened by screwing, welding, adhesion, or the like. The rail member 62 and the rail fixing member 64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The first guide block 59 of the scratch prevention arm 50 slid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60 so that the scratch prevention arm 50 can be prevented from deviating from the path and smooth reciprocating movement can be achieved.

도 2를 참고하면, 제1벨트(70)는 적어도 한 쌍의 제1풀리(80, 82)에 감겨서 회전할 수 있다. 제1벨트(7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제1벨트(70)와 결합된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이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1벨트(70)는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제1가이드 레일(60)과 평행하게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벨트(70)는 예를 들어 타이밍 벨트(timing belt)일 수 있다. 제1벨트(70)는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벨트(70)는 고무,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벨트(70)의 길이, 폭, 두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belt 70 may be wound around at least a pair of first pulleys 80, 82 to rotate. The anti-scratch arm 50 coupled with the first belt 70 can be recipr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by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first belt 70. [ The first belt 7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and in parallel with the first guide rail 6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 The first belt 70 may be, for example, a timing belt. The first belt 70 may have a plurality of teeth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first belt 70 may be made of rubber, metal, plastic, or the like. The length, width, thickness, etc. of the first belt 7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도 2와 3을 참고하면, 제1풀리(80, 82)는 제1벨트(7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풀리(80, 82)는 한 쌍으로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제1풀리(80, 82) 사이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체(10)의 전체 폭을 기준으로 50 내지 95%일 수 있다. 제1풀리(80, 82)는 브라켓 등과 같은 풀리 고정부재(8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풀리 고정부재(84)는 본체(10)와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1풀리(80, 82)는 예를 들어 벨트 풀리일 수 있다. 제1풀리(80, 82)는 제1벨트(70)의 톱니와 맞물리고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풀리(80, 82)는 금속,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풀리(80, 82)의 직경과 폭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first pulleys 80 and 82 serve to rotate the first belt 70. Preferably, the first pulleys 80, 82 are configured as a pair, but may be further added as needed.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first pulleys 80 and 8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50 to 95% based on the entire width of the main body 10. [ The first pulleys 80 and 82 may be rotatably mounted on a pulley fixing member 84 such as a bracket or the like. The pulley fixing member 84 can be fastened to the main body 10 by screwing, welding, or the like. The first pulleys 80, 82 may be belt pulleys, for example. The first pulleys 80 and 82 may have a plurality of teeth that engage the teeth of the first belt 70 and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first pulleys 80 and 82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rubber, or the like. The diameter and the width of the first pulleys 80 and 82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도 2를 참고하면, 제1모터(90)는 한 쌍의 제1풀리(80, 82) 중 하나의 풀리(80 또는 82)와 연결되어 제1풀리(80, 8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모터(90)와 제1풀리(80, 82)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모터(9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풀리(80, 82)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제1풀리(80, 82)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전성과 미관 등을 고려하여, 제1모터(90)는 본체(10)의 상단부 코너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모터(90)는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일 수 있다. 제1모터(90)의 종류와 규격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모터(90)로는 낮은 토크(low torque)의 모터를 사용하여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을 구동하는데 큰 토크가 필요 없기 때문이다. 제1모터(90)는 본체(10)에 브라켓,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2, the first motor 90 is connected to one of the pulleys 80 and 82 of the pair of first pulleys 80 and 82 to rotate the first pulleys 80 and 82 . The first motor 90 and the first pulleys 80 and 82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e position of the first motor 9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pulleys 80 and 82 and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pulleys 80 and 82, for example. Preferably, the first motor 90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corner of the main body 10 in consideration of safety and beauty. The first motor 90 may be, for example, a stepping motor. The kind and specification of the first motor 9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Preferably, the first motor 90 uses a low torque motor to reduce the unit cost. This is because a large torque is not required to drive the scratch preventing arm 50. The first motor 90 can be fastened to the body 10 by bracket, screwing, welding or the like.

도 1을 참고하면,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이 구동되는 일측에는 안전성과 미관 등을 고려하여 제1보호커버(10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의 노출에 의한 미관 손상과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의 연결부재(56), 제1가이드 레일(60), 제1벨트(70), 제1풀리(80, 82) 및/또는 제1모터(90)를 덮어서 은폐하도록, 박스 형태의 제1보호커버(1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보호커버(100)의 일 측면은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의 막대부재(52)의 이동을 위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보호커버(10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보호커버(100)는 본체(10)에 나사결합, 용접, 끼움 결합, 슬라이딩 결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where the scratch prevention arm 50 is driven in consideration of safety and beauty. The first guide rail 60, the first belt 70, the first pulley 70, the second pulley 70, and the second pulley 70 of the scratch-preventive arm 50 to prevent damage to the aesthetics caused by exposure of the drive unit and damage to the drive unit. A first protective cover 100 in the form of a box may be installed so as to cover and hide the first and second motors 80, 82 and / or the first motor 90. One side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may be opened in whole or in part for movement of the rod member 52 of the anti-scratch arm 50.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The first protective cover 100 can be fastened to the main body 10 by screwing, welding, fitting, sliding or the like.

도 1과 3을 참고하면, 지지대(110)는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11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지지대(110)의 크기와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지지대(110)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지지대(112) 및/또는 수평 지지대(114)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110)는 복수의 수직 지지대(112)와 복수의 수평 지지대(114)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 지지대(112)는 본체(10)의 하부의 양 측면 쪽에 설치될 수 있고, 평판 형태 및/또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 지지대(114)는 양 측면의 수직 지지대(112)를 연결하는 평판 형태 및/또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 지지대(114)는 수직 지지대(112)의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CTP 장치(미도시)와의 결합 등을 고려하여, 수직 지지대(112)는 본체(10)의 하부 측면 중 본체(10)와 상부 프레임(160)의 연결부위 반대쪽을 향해 30 내지 70% 정도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프레임(160) 쪽으로 하중이 쏠리기 때문에, 오토 로더의 하중 쏠림을 보완하기 위해, 지지대(110)의 하부에서 수평 지지대(114)를 상부 프레임(160) 쪽으로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 연장된 수평 지지대(114)는 CTP 장치의 하단으로 들어갈 수 있다. 지지대(110)와 본체(10) 그리고 각 지지대(112, 114)끼리는 용접, 나사결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3, the support base 11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o support the main body 10. The support 110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The size and shape of the support member 11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t. The support 110 may comprise at least one vertical support 112 and / or a horizontal support 114. For example, the support 110 may compris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112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s 114. The vertical supports 112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 or a frame shape. The horizontal support 114 may b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 or frame connecting the vertical supports 112 on both sides. In addition, the horizontal support 114 may be configured as a frame provided under the vertical support 112. The vertical support 112 is installed only in the range of about 30 to 70%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frame 160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on with the CTP apparatus . In this case, since the load is concentrated toward the upper frame 160, the horizontal support rods 114 may be extend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s 110 toward the upper frame 160 to compensate the load of the autoloader. This extended horizontal support 114 may enter the lower end of the CTP apparatus. The support base 110, the main body 10, and the respective support bases 112 and 114 can be fastened together by welding, screwing, or the like.

도 1과 3을 참고하면, 이동부재(120)는 오토 로더 및/또는 CTP 장치의 보수와 청소 등을 위해 오토 로더가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재(120)는 지지대(1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동부재(120)는 복수의 바퀴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캐스터(caster)일 수 있다. 이동부재(120)는 지지대(110)에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3, the shifting member 120 may be installed to move the autoloader for maintenance and cleaning of the autoloader and / or the CTP apparatus. The movable member 120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10. Preferably, the shifting member 120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heels, for example a caster. The shifting member 120 may be fastened to the support 110 by screwing, welding, or the like.

도 3을 참고하면, 정면 커버(130)는 본체(10)의 하부 정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정면에서 보면, 사각 틀 형태의 지지대(110)를 제외하고, 본체(10)의 하부는 대부분 개방될 수 있는데, 이 개방 부위를 정면 커버(130)가 문 형태로 커버할 수 있다. 정면 커버(130)는 지지대(110)와 힌지 결합 등을 통해 개폐 가능하다. 본체(10)의 하부에는 진공펌프, 전원공급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는데, 정면 커버(130)를 통해 진공펌프 등을 은폐 및 보호할 수 있다. 정면 커버(130)에는 손잡이(132)가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ront cover 130 may be installed on a lower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a front view, except for the support frame 110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can be mostly opened, which can cover the front cover 130 in the form of a door. The front cover 130 is openable and closable by a hinge coupling with the support base 110. A vacuum pump, a power supply unit, and the like may be installed under the main body 10, and the vacuum pump and the like may be concealed and protected through the front cover 130. The front cover 13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132.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고정부재가 오토 로더의 고정을 위해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지지대(1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측면 쪽에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는 풋 브레이크(foot brake)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풋 브레이크는 실린더, 실린더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피스톤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는 고무부재, 피스톤 또는 실린더에 설치되어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해제 레버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풋 브레이크의 상단 고무부재를 발로 밟거나 손으로 누르면 피스톤이 내려가고 하단의 고무부재가 바닥과 밀착되어 오토 로더가 고정될 수 있고, 해제 레버를 발로 밟거나 손으로 누르면 피스톤이 올라가면서 오토 로더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fixing member can be provided for fixing the autoloader. The fixing member can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ase 110, and can be installed only on the side surface.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oot brake. The foot brake may include a cylinder, a piston mounted on the cylinde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 rubber memb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iston, and a release lever provided on the piston or cylinder to lift the piston. The upper rubber member of the foot brake is stepped on or pressed by hand, and the piston is lowered. The lower rubber memb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nd the autoloader can be fixed. When the release lever is stepped on or pressed by the hand, The fixation can be released.

도 1을 참고하면, 도킹 레일(140)은 오토 로더와 CTP 장치의 결합을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도킹 레일(140)은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직 지지대(112)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도킹 레일(140)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킹 레일(140)은 레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킹 레일(140)은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킹 레일(140)은 지지대(110)에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ocking rail 140 may be installed for coupling the autoloader and the CTP apparatus. The docking rail 140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ody 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112 in a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However,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docking rail 1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hanged as needed. The docking rail 140 may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rail. The docking rail 140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The docking rail 140 may be fastened to the support base 110 by screwing, welding, or the like.

도 2와 3을 참고하면, 제어패널(150)은 전원공급장치(미도시), 모터(90, 210, 250, 290), 진공펌프(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패널(15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체(10)의 일 측면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패널(150)은 오토 로더의 운전 제어를 위하여, 다수의 버튼 및/또는 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 및 솔레노이드 밸브(270)를 통해 흡착부재(320)의 작동이 자동 제어되므로, 흡착부재(320)의 작동 제어를 위한 별도의 버튼은 필요 없다.2 and 3, the control panel 150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not shown), motors 90, 210, 250, and 290, a vacuum pump (not shown), and the like, do. The position of the control panel 1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for example. The control panel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and / or lever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utoload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adsorption member 32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hrough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18 and the solenoid valve 270, a separate butt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dsorption member 320 is not required.

도 1, 4 및 5를 참고하면, 상부 프레임(160)은 제1승강부재(170), 회전부재(220), 제2승강부재(260), 흡착부재(320), 제2모터(210), 제3모터(250), 제4모터(290) 및 승강하는 인쇄판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프레임(160)은 본체(10)와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60)이 본체(10)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이유는 CTP 장치에 인쇄판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오토 로더와 CTP 장치를 인접하게 또는 겹치도록 설치하고, 인쇄판을 상부 프레임(160)의 상단까지 끌어올린 후 떨어뜨려서 CTP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본체(10)와 상부 프레임(160)이 이루는 각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둔각으로서, 95 내지 175도,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70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60도일 수 있다. 본체(10)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부 프레임(160)의 하단 연결부위가 경사질 수 있다.1, 4 and 5, the upper frame 160 includes a first elevating member 170, a rotating member 220, a second elevating member 260, a suction member 320, a second motor 210, The third motor 250, the fourth motor 290, and the printing plate that ascends and descends. The upper frame 16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reason why the upper frame 160 is inclined to the main body 10 is to smoothly supply the printing plate to the CTP apparatus. For example, the autoloader and the CTP apparatus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or overlapping each other, and the printing plate may be pulled up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160 and then dropped to be supplied to the CTP apparatus. The angle formed by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frame 16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95 to 175 degrees, preferably 100 to 170 degrees, more preferably 110 to 160 degrees, as an obtuse angle. The lower end connecting portion of the upper frame 160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ain body 10.

상부 프레임(160)은 본체(10)와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본체(10)와 상부 프레임(160)의 분리 및 조립 등을 위해, 본체(10)의 상면에는 지지 브라켓(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은 본체(10)와 체결되는 하판, 하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판, 수직판의 상단에서 상부 프레임(160)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와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160)의 하단부가 지지 브라켓의 상판에 걸릴 수 있도록 지지 브라켓을 구성 및 설치함으로써, 본체(10)와 상부 프레임(160)의 분리 및 조립 시에 상부 프레임(160)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60)은 각도 조절장치에 의해 본체(1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부 프레임(160)은 본체(10)의 상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160 can be fastened to the main body 10 by screwing, welding, or the like. A support bracke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for separating and assembling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frame 160. The support bracket may be composed of a lower plate coupled with the main body 10, a vertical plat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lower plate, and a top plat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toward the upper frame 160. The supporting bracket is construc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160 to be engaged with the main body 10 can be caught by the upper plate of the supporting bracket so that when the main frame 10 and the upper frame 160 are separated and assembled, 160 can be safely supported. In addition, the upper frame 160 may be installed to be adjustable in angle with the main body 10 by an angle adjusting device. The upper frame 16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상부 프레임(160)은 본체(10)의 양측과 연결되는 2개의 측부 프레임(162, 164)과 두 측부 프레임(162, 164)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16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66)은 하나 또는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각 프레임(162, 164, 166) 사이는 빈 공간이지만, 이 공간에 연결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부 프레임(160)은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의 정면도를 참고하면, 도 4의 세로 방향은 상부 프레임(160)의 길이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이고, 도 4의 가로 방향은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 방향, 폭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upper frame 160 may be composed of two side frames 162 and 164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and a horizontal frame 166 connecting the two side frames 162 and 164. One or more horizontal frames 166 may be provided. The space between the frames 162, 164, and 166 is an empty space, but a connecting plate may be provided in this space. The upper frame 160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4,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FIG. 4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60,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of FIG. 4 is defined as the height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60 .

도 4와 5를 참고하면, 제1승강부재(170)는 다른 부재와 조합하여 인쇄판을 상부 프레임(160)의 상단(도 4와 5에서 좌측)과 하단(도 4와 5에서 우측)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승강부재(170)는 상부 프레임(16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승강부재(170)는 하나 이상의 수평부재(171, 172) 및 이 수평부재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부재(173, 174)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략 판상 형태를 갖는 2개의 수평부재(171, 172)와 2개의 측면부재(173, 174)가 조합되어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를 이룰 수 있다. 수평부재(171, 172)는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상하로 설치될 수 있다. 측면부재(173, 174)는 후술할 회전부재(220)와의 결합을 위해, 두 수평부재(171, 172)의 간격보다 길게 아래쪽으로 연장된 연장부재(173a, 174a)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승강부재(17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1승강부재(170)는 스크래치 방지용 암(50)과 마찬가지로 풀리(200, 202, 204, 206)와 벨트(190, 192)의 회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동 메커니즘, 예를 들어 실린더와 피스톤 메커니즘, 랙과 피니언 메커니즘 등에 의해서도 구동될 수 있다.4 and 5,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160 (left side in FIGS. 4 and 5) and the lower end (right side in FIGS. 4 and 5) Up and down.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160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may include one or more horizontal members 171 and 172 and side members 173 and 17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member. For example, the two horizontal members 171 and 172 and the two side members 173 and 174 having a substantially plate shape can be combined to form a cube having front and rear open sides. The horizontal members 171 and 172 may be installed up and down in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60. The side members 173 and 174 may have extension members 173a and 174a extending downward lon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horizontal members 171 and 172 for engagement with the rotary member 22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and may be fastened by screwing, welding, or the like.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can be driven by rotation of the pulleys 200, 202, 204, 206 and the belts 190, 192 in the same manner as the scratch preventing arm 50. However, it can also be driven by other drive mechanisms, such as cylinder and piston mechanisms, rack and pinion mechanisms, and the like.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제1승강부재(170)는 제2벨트(190, 192)와의 결합을 위해 제2연결부재(175, 176)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175, 176)는 제1승강부재(170)의 두 측면부재(173, 174)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175, 176)는 제1승강부재(170)와 제2벨트(190, 19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2연결부재(175, 176)와 제1승강부재(170)는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175, 176)와 제2벨트(190, 192)는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벨트(190, 192)를 2개의 연결판(175b, 176b) 사이에 끼운 후 두 연결판(175b, 176b)을 고정함으로써, 제2연결부재(175, 176)와 제2벨트(190, 192)를 체결할 수 있다. 두 연결판(175b, 176b)의 고정은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may include second connecting members 175 and 176 for engaging with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The second connecting members 175 and 176 may be connected to the two side members 173 and 174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respectivel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s 175 and 176 serve to connect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and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The second connecting members 175 and 176 and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can be fastened by screwing, welding, or the lik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s 175 and 176 and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may be fastened by screwing, welding, bonding or the lik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y securing the two connecting plates 175b and 176b after inserting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between the two connecting plates 175b and 176b, the second connecting members 175 and 176 and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can be fastened. The fixation of the two connection plates 175b and 176b can be performed by screwing, welding, bonding or the like.

제2연결부재(175, 176)는 복수의 부재가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2연결부재(175, 176)는 복수의 연결판(175a, 175b, 176a, 176b)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연결부재(175, 176)는 제1승강부재(170)의 측면과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판(175a, 176a), 제2벨트(190, 192)와 연결되는 2세트의 제2연결판(175b, 176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연결판(175a, 176a)은 제1승강부재(170)의 두 측면부재(173, 174)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판(175b, 176b)은 2개가 1세트로 구성되고, 양쪽 제1연결판(175a, 176a)에 각각 1세트씩, 총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연결판(175a, 176a)은 제2연결판(175b, 176b)과 직교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즉 제2연결부재(175, 176)는 대략 L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판(175a, 175b, 176a, 176b)의 개수, 형상, 크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각 연결판(175a, 175b, 176a, 176b)들은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175, 176)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members 175 and 176 may be construct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members,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s 175 and 176 may have a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175a, 175b, 176a and 176b.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s 175 and 176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s 175a and 176a and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connected to the sides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175b and 176b. The first connecting plates 175a and 176a may be connected to the two side members 173 and 174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respectively. The second connection plates 175b and 176b may be constituted by one set, and the first connection plates 175a and 176a may be formed by four sets, one set for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s 175a and 176a. The first connection plates 175a and 176a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lates 175b and 176b at right angles,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members 175 and 176 may be substantially L-shaped. The number, shape, size, etc. of the connecting plates 175a, 175b, 176a, 176b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connecting plates 175a, 175b, 176a and 176b can be fastened by screwing, welding, bonding or the like. The second connection members 175 and 176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도 4를 참고하면, 제1승강부재(170)는 제2가이드 블록(177, 178)을 구비할 수 있다. 제2가이드 블록(177, 178)은 제1승강부재(170)의 뒤쪽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블록(177, 178)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와 5를 참고하면, 상부 프레임(160)의 양쪽 측부 프레임(162, 164) 각각에는 제2가이드 레일(18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레일(180)은 측부 프레임(162, 164)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레일(180)은 측부 프레임(162, 164)의 정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레일(180)은 제2가이드 블록(177, 178)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레일부재(181, 182), 레일부재(181, 182)를 상부 프레임(160)에 고정하는 레일 고정부재(183, 184)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부재(181, 182)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 등일 수 있다. 레일부재(181, 182)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160)의 전체 높이(폭)를 기준으로 50 내지 95%일 수 있다. 레일부재(181, 182)와 레일 고정부재(183, 184) 그리고 레일 고정부재(183, 184)와 상부 프레임(160)은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레일(180)은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승강부재(170)의 제2가이드 블록(177, 178)이 제2가이드 레일(180)을 따라 활주함으로써, 제1승강부재(170)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고 원활한 승강 이동을 도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may include second guide blocks 177 and 178. The second guide blocks 177 and 178 may be installed behind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Guide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second guide blocks 177 and 178. 4 and 5, the second guide rails 180 may be formed on the side frames 162 and 164 of the upper frame 160, respectively. The second guide rail 180 may be installed in the height direction along the side frames 162 and 164. The second guide rail 18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side frames 162 and 164. The second guide rail 180 includes rail members 181 and 182 inserted into guide grooves of the second guide blocks 177 and 178 and rail fixing members 181 and 182 for fixing the rail members 181 and 182 to the upper frame 160. [ (183, 184). The cross section of the rail members 181 and 182 may be circular, polygonal, or the like. The length of the rail members 181, 18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50 to 95% based on the total height (width) of the upper frame 160. The rail members 181 and 182 and the rail fixing members 183 and 184 and the rail fixing members 183 and 184 and the upper frame 160 can be fastened by screwing, welding, The second guide rail 180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The second guide blocks 177 and 178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slid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180 to prevent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from being deviated from the path and to smoothly move up and down have.

도 4와 5를 참고하면, 제2벨트(190, 192)는 적어도 한 쌍의 제2풀리(200, 202, 204, 206)에 감겨서 회전할 수 있다. 제2벨트(190, 19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제2벨트(190, 192)와 연결된 제1승강부재(170)가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제2벨트(190, 192)는 상부 프레임(16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2벨트(190, 192)는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 방향으로 제2가이드 레일(180)과 평행하게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2벨트(190, 192)는 예를 들어 타이밍 벨트일 수 있다. 제2벨트(190, 192)는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벨트(190, 192)는 고무,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벨트(190, 192)의 길이, 폭, 두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second belts 190, 192 can be wound around at least a pair of second pulleys 200, 202, 204, 206 to rotate.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connected to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60 by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160, respectively.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and parallel to the second guide rail 180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60. The second belt 190, 192 may be, for example, a timing belt.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may have a plurality of teeth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may be made of rubber, metal, plastic, or the like. The length, width, thickness, etc. of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도 4와 5를 참고하면,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제2벨트(190, 19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한 쌍이 한 세트로 구성되고, 양쪽 제2벨트(190, 192)에 각각 한 세트씩, 총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제2풀리(200, 202, 204, 206) 사이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50 내지 95%일 수 있다.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브라켓 등과 같은 풀리 고정부재(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풀리 고정부재는 상부 프레임(160)과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풀리 고정부재는 측부 프레임(162, 164)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second pulleys 200, 202, 204, and 206 serve to rotate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Preferably, the second pulleys 200, 202, 204, and 206 are configured as a pair, and each of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may be constituted by a total of four, one set for each, You can add more.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second pulleys 200, 202, 204, and 20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50 to 95% based on the total height of the upper frame. The second pulleys 200, 202, 204, and 206 may be rotatably mounted on a pulley fix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bracket. The pulley fixing member can be fastened to the upper frame 160 by screwing, welding, or the like. The pulley fixing member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ide frames 162 and 164.

한편, 제2벨트(190, 19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풀리 고정부재는 측부 프레임(162, 164)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풀리 고정부재는 측부 프레임(162, 16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긴 홀을 구비할 수 있고, 이 긴 홀의 길이만큼 풀리 고정부재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풀리 고정부재의 위치를 선정한 후, 상기 긴 홀을 통해 나사나 볼트를 삽입하여 풀리 고정부재와 측부 프레임(162, 164)을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풀리 고정부재 및 이에 실치된 제2풀리(200, 202, 204, 206)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2벨트(190, 19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at least one pulley fixing member may be positionally adjustable in the side frames 162 and 164. For example, the pulley fixing member may have one or more long hol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frames 162 and 164, and the position of the pulley fixing member may be adjusted by the length of the long holes. After the position of the pulley fixing member is selected, the pulley fixing member and the side frames 162 and 164 can be fixed by inserting screws or bolts through the long holes. In this way, the pulley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s of the pulleys 200, 202, 204, and 206, so that the tension of the two belts 190 and 192 can be adjusted.

도 4를 참고하면,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상부 프레임(160)의 양쪽 측부 프레임(162, 164)에 모두 한 세트씩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양쪽의 풀리(200, 204)는 상부 프레임(160)의 수평방향을 가로지르는 긴 회전축(208)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벨트(190, 192)도 양쪽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예를 들어 벨트 풀리일 수 있다.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제2벨트(190, 192)의 톱니와 맞물리고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금속,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풀리(200, 202, 204, 206)의 직경과 폭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4, the second pulleys 200, 202, 204, and 206 may be installed in one set on both side frames 162 and 164 of the upper frame 160, And 204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long rotary shaft 208 which crosses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60 and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The second pulleys 200, 202, 204, 206 may be belt pulleys, for example. The second pulleys 200, 202, 204, 206 may have a plurality of teeth that engage the teeth of the second belts 190, 192 and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second pulleys 200, 202, 204, and 206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rubber, or the like. The diameter and the width of the second pulleys 200, 202, 204, and 206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도 4와 5를 참고하면, 제2모터(210)는 두 쌍의 제2풀리(200, 202, 204, 206) 중 적어도 하나의 풀리(200, 202, 204 및/또는 206)와 연결되어 제2풀리(200, 202, 204, 206)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모터(210)와 제2풀리(200, 202, 204, 206)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2모터(21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2풀리(200, 202, 204, 206)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제2풀리(200, 202, 204, 206)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전성과 미관 등을 고려하여, 제2모터(210)는 상부 프레임(160)의 상단부 코너에 설치될 수 있다. 제2모터(210)는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일 수 있다. 제2모터(210)는 상부 프레임에 브라켓,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2모터(210)의 종류와 규격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4 and 5, the second motor 21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pulley 200, 202, 204 and / or 206 of the two pairs of second pulleys 200, 202, 204, Two pulleys 200, 202, 204, and 206, respectively. The second motor 210 and the second pulleys 200, 202, 204, and 206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may b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e position of the second motor 2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ovided adjacent to, for example, the second pulley 200, 202, 204, 206 and the second pulley 200, 202, 204, As shown in FIG. Preferably, the second motor 210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corner of the upper frame 160 in consideration of safety and aesthetics. The second motor 210 may be, for example, a stepping motor. The second motor 210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frame by brackets, screws, welding, or the like. The kind and specification of the second motor 21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도 4와 6을 참고하면, 회전부재(220)는 다른 부재와 조합하여 인쇄판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부재(220)는 제1승강부재(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재(220)의 형상과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부재(220)는 대략 판상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판재들이 조합되어 다면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부재(220)는 제1승강부재(170)의 양쪽 측면부재(173, 174) 중 연장부재(173a, 174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재(220)는 제1승강부재(170)의 수평부재(171, 172)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와 6을 참고하면, 회전부재(220)는 회전을 위해 제3풀리(240, 242) 중 하나의 풀리(240 또는 242)의 회전축(242a)과 직접 연결되거나 축 연결부재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재(2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제1승강부재(170)의 양쪽 연장부재(173a, 174a)에는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회전부재(220)의 회전각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앞쪽으로 또는 뒤쪽으로 5 내지 175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70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60도일 수 있다. 회전부재(22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회전부재(220)는 풀리(240, 242)와 벨트(23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서도 구동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서는 회전부재(220)가 약 90도 정도 회전된 상태이고, 따라서 도 4에서는 회전부재(220)의 상면 쪽만 보이며,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2승강부재(260)와 흡착부재(320) 등은 도 4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도 5에서는 측면부재(173)에 가려서 회전부재(220)가 보이지 않는다.Referring to FIGS. 4 and 6, the rotating member 220 serves to rotate the printing plate in combination with other members. The rotary member 22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The shape and size of the rotating member 22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t. For example, the rotary member 22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like shape, and a plurality of plates may be combined to form a polyhedron. The rotary member 22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extension members 173a and 174a of the side members 173 and 174 of the first elevation member 170. [ The rotary member 22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horizontal members 171 and 172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5 and 6, the rotary member 22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242a of one of the pulleys 240 and 242 of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for rotation, . Bearings may be mounted on both extension members 173a and 174a of the first elevation member 170 for smooth rotation of the rotary member 220. [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member 2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5 to 175 degrees, preferably 10 to 170 degrees, more preferably 20 to 160 degrees, for example, forward or backward. The rotating member 220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The rotating member 220 can be driven by rotation of the pulleys 240, 242 and the belt 230. However, it can also be driven by other driving mechanisms. 4, the rotating member 220 is rotated by about 90 degrees. Therefore,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220 is visible in FIG. 4, and the second lifting member 260 positioned below the rotating member 220, (320) and the like are not shown in Fig. 5, the side member 173 does not cover the rotating member 220.

도 5를 참고하면, 제3벨트(230)는 적어도 한 쌍의 제3풀리(240, 242)에 감겨서 회전할 수 있다. 제3벨트(23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제3벨트(230)와 연결된 회전부재(220)가 회전할 수 있다. 제3벨트(230)는 제1승강부재(170)의 측면부재(173 및/또는 174)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벨트(230)는 예를 들어 타이밍 벨트일 수 있다. 제3벨트(230)는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제3벨트(230)는 고무,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3벨트(230)의 길이, 폭, 두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3벨트(230)는 회전부재(220)를 회전시키는 역할만 하므로, 제2벨트(190, 192)에 비해 짧게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third belt 230 may be wound around at least a pair of third pulleys 240, 242 to rotate. The rotating member 220 connected to the third belt 230 can be rotated by the forward rotation or the reverse rotation of the third belt 230. The third belt 23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side members 173 and / or 174 of the first lifting member 170. [ The third belt 230 may be, for example, a timing belt. The third belt 230 may have a plurality of teeth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third belt 230 may be made of rubber, metal, plastic, or the like. The length, width, thickness, etc. of the third belt 23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Since the third belt 230 only rotates the rotating member 220, the third belt 230 can be formed shorter than the second belts 190 and 192.

도 5와 6을 참고하면, 제3풀리(240, 242)는 제3벨트(2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풀리(240, 242)는 한 쌍으로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제3풀리(240, 242) 사이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160)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5 내지 50%일 수 있다. 제3풀리(240, 242)는 브라켓 등과 같은 풀리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풀리 고정부재는 제1승강부재(170)의 측면부재(173 및/또는 174)에 설치될 수 있다. 풀리 고정부재는 측면부재(173 및/또는 174)와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3풀리(240, 242)는 제1승강부재(170)의 한쪽 측면부재(173 또는 174)에만 설치되거나, 양쪽 측면부재(173, 174)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제3풀리(240, 242)는 예를 들어 벨트 풀리일 수 있다. 제3풀리(240, 242)는 제3벨트(230)의 톱니와 맞물리고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제3풀리(240, 242)는 금속,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3풀리(240, 242)의 직경과 폭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5와 6을 참고하면, 제3풀리(240, 242) 중 하나의 풀리(240 또는 242)의 회전축(242a)은 회전부재(220)와 직접 연결되거나 축 연결부재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serve to rotate the third belt 230. Preferably,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are configured as a pair, but may be further added as needed. The gap between the pair of third pulleys 240 and 24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5 to 50% based on the total height of the upper frame 160. [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may be rotatably mounted on a pulley fixing member such as a bracket or the like. The pulley fixing member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members 173 and / or 174 of the first lifting member 170. [ The pulley fixing member can be fastened to the side members 173 and / or 174 by screwing, welding or the like.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may be installed only on one side member 173 or 174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or both side members 173 and 174. [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may be belt pulleys, for example.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may have a plurality of teeth that engage the teeth of the third belt 230 and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rubber, or the like. The diameter and the width of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5 and 6, the rotating shaft 242a of one of the pulleys 240 and 242 of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ng member 220 or may b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shaft connecting member or the like have.

도 5를 참고하면, 장력 조절 풀리(244)는 제3벨트(230)와 맞물려서 제3벨트(2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3벨트(230)의 장력 조절을 통해 회전부재(22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장력 조절 풀리(244)는 제1승강부재(170)의 측면부재(173 및/또는 17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장력 조절 풀리(244)는 제3벨트(230)의 외곽 쪽으로 제3벨트(230)의 중간 부위에서 제3벨트(230)와 맞물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tension adjusting pulley 244 is engaged with the third belt 230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third belt 230. The rotating member 220 can be rotated smoothly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hird belt 230. The tension adjusting pulley 244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side members 173 and / or 174 of the first lifting member 170. [ The tension adjusting pulley 244 may be installed to engage with the third belt 230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third belt 230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third belt 230.

도 4를 참고하면, 제3모터(250)는 한 쌍의 제3풀리(240, 242) 중 하나의 풀리(240 또는 242)와 연결되어 제3풀리(240, 24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3모터(250)와 제3풀리(240, 242)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3모터(25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3풀리(240, 242)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제3풀리(240, 242)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전성과 미관 등을 고려하여, 제3모터(250)는 제1승강부재(170)의 수평부재(171 또는 172)에 설치될 수 있다. 제3모터(250)는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일 수 있다. 제3모터(250)는 제1승강부재(170)의 수평부재(171 또는 172)에 브라켓,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3모터(250)의 종류와 규격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4, the third motor 250 is connected to one of the pulleys 240 and 242 of the pair of third pulleys 240 and 242 to rotate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 The third motor 250 and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e position of the third motor 2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an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for example. Preferably, the third motor 250 may be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ember 171 or 172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in consideration of safety, beauty, and the like. The third motor 250 may be, for example, a stepping motor. The third motor 250 may be fastened to the horizontal member 171 or 172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by brackets, screws, welding, or the like. The type and specification of the third motor 25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도 5와 6을 참고하면, 제2승강부재(260)는 다른 부재와 조합하여 인쇄판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승강부재(260)는 회전부재(22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승강부재(260)의 형상과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승강부재(260)는 대략 판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승강부재(260)는 회전부재(220)의 하부에 회전부재(22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승강부재(260)는 상부 프레임(160)이나 제1승강부재(170)와의 연결 없이 회전부재(220)에만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승강할 때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160)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승강부재(260)는 랙(300)과 피니언(310) 메커니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모터(290)의 회전 운동을 랙(300)과 피니언(310) 메커니즘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제2승강부재(260)를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2승강부재(260)는 다른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서도 구동될 수 있다. 제2승강부재(260)의 승강 높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2승강부재(26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second elevating member 260 serves to elevate the printing plate in combination with other members. The second lift member 260 can be installed on the rotary member 220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shape and size of the second elevation member 26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t. For example, the second elevating member 26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like shape. The second elevating member 26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rotating member 220 at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220. The second elevating member 260 can be installed only on the rotating member 220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60 or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In particular, They can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the second lifting member 260 may be driven by a rack 300 and a pinion 310 mechanism. Specifically, the rotation of the fourth motor 290 is converted into a rectilinear motion by the mechanism of the rack 300 and the pinion 310, so that the second lift member 260 is moved up and dow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60 . However, the second lifting member 260 can also be driven by another driving mechanism. The elevation height of the second elevation member 26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t. The second elevating member 260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도 4와 6을 참고하면, 솔레노이드 밸브(270)는 회전 부재(220)에 설치될 수 있고, 다른 위치에도 설치 가능하다. 솔레노이드 밸브(270)는 전자 밸브라고도 하며, 전자 코일의 전자력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밸브로서, 코일에 전기가 통하면 플런저가 올라가 열리고, 전기가 차단되면 플런저 무게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히는 밸브이다. 솔레노이드 밸브(270)는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와 케이블 등을 통해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제어장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270)는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어회로를 자체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270)는 흡착부재(320)와는 튜브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진공펌프와도 튜브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가 인쇄판의 크기를 인식하면, 솔레노이드 밸브(270)가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3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6, the solenoid valve 270 may be installed in the rotary member 220 and may be installed in other positions. The solenoid valve 270, also called a solenoid valve, is a valve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using electromagnetic force of an electromagnetic coil. When the coil is electrically energized, the plunger rises and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weight of the plunger when electricity is shut off. The solenoid valve 27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18 via a cable or indirectly via a separate control device. The solenoid valve 270 may itself have a control circu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signals of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18. [ The solenoid valve 270 may be connected to the adsorbing member 320 through a tube or the like, and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through a tube or the like. When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18 recognizes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the solenoid valve 270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ember 32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도 4와 6을 참고하면, 전달 기어(280, 282)는 제4모터(290)의 회전운동을 랙(300)과 피니언(310) 메커니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달 기어(280, 282)는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기어(280, 282)가 2개일 경우, 상부 전달 기어(280)는 제4모터(290)와 연결될 수 있고, 하부 전달 기어(282)는 상부 전달 기어(280)와 맞물리면서 동시에 피니언(3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연결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전달 기어(280, 282) 대신에 풀리와 벨트를 이용하여 제4모터(290)의 회전력을 랙(300)과 피니언(310) 메커니즘에 전달할 수도 있다.4 and 6, the transmission gears 280 and 282 serve to transmi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ourth motor 290 to the rack 300 and the pinion 310 mechanism. The transmission gears 280 and 282 may be composed of one, and preferably two or more. For example, when two transmission gears 280 and 282 are provided, the upper transmission gear 280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motor 290, and the lower transmission gear 282 may be engaged with the upper transmission gear 280 Can be connected to the pinion 310, and vice versa. Instead of the transmission gears 280 and 282,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ourth motor 290 may be transmitted to the rack 300 and the pinion 310 mechanism using a pulley and a belt.

도 4와 6을 참고하면, 제4모터(290)는 전달 기어(280, 282)와 연결되어 전달 기어(280, 28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승강부재(26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4모터(290)와 전달 기어(280, 282)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4모터(29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달 기어(280, 282)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전성과 미관 등을 고려하여, 제4모터(290)는 회전부재(220)에 설치될 수 있다. 제4모터(290)는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일 수 있다. 제4모터(290)는 회전부재(220)에 브라켓, 나사결합,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4모터(290)의 종류와 규격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S. 4 and 6, the fourth motor 290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gears 280 and 282 to rotate the transmission gears 280 and 282 to move the second lift member 260 upward and downward. The fourth motor 290 and the transmission gears 280 and 282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e position of the fourth motor 29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transmission gears 280 and 282, for example. Preferably, the fourth motor 290 may be mounted on the rotary member 220 in consideration of safety, beauty, and the like. The fourth motor 290 may be, for example, a stepping motor. The fourth motor 290 may be fastened to the rotary member 220 by a bracket, a screw connection, welding, or the like. The type and size of the fourth motor 29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도 4 내지 6을 참고하면, 랙(300)과 피니언(310) 메커니즘은 회전부재(220)에 설치될 수 있다. 피니언(310)은 전달 기어(280, 282)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모터(290)가 회전하면, 회전력은 전달 기어(280, 282)를 통해 피니언(310)에 전달되어 피니언(310)이 회전하고, 피니언(310)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310)과 맞물려 있는 랙(300)이 상하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랙(300)과 연결된 제2승강부재(260)가 높이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피니언(310)은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랙(300)은 피니언(310)의 톱니와 맞물리고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랙(300)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부재(220)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랙(300)의 하단은 제2승강부재(260)와 연결될 수 있다. 랙(300)은 기어 박스, 실린더, 브라켓 등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회전부재(220)에 설치될 수 있다. 랙(300)과 피니언(310) 메커니즘은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하나의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피니언(310)으로 2개 이상의 랙(300)이 동시에 구동될 수 있으며, 또한 각 피니언(310)은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2개 이상의 랙(300)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랙(300)과 피니언(310) 메커니즘 및 다른 부재는 나사결합, 브라켓,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랙(300)과 피니언(310)은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그 크기와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S. 4 to 6, the rack 300 and the pinion 310 mechanism may be installed in the rotary member 220. The pinion 310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gears 280 and 282. [ When the fourth motor 290 rotates,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inion 310 through the transmission gears 280 and 282 so that the pinion 310 rotates and is engaged with the pinion 310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310 The second lift member 260 connected to the rack 300 can move up and down in the height direction. The pinions 310 may have a plurality of teeth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rack 300 may have a plurality of teeth that engage the teeth of the pinions 310 and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rack 300 may be installed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ry member 220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rack 3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lifting member 260. The rack 300 may be installed on the rotary member 22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hrough a gear box, a cylinder, a bracket, or the like. The rack 300 and the pinion 310 mechanisms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units. In this case, two or more racks 300 may be simultaneously driven by one horizontally elongated pinion 310, The plurality of racks 310 may be connected through separate connecting members so that two or more racks 300 may be simultaneously driven. The rack 300 and pinion 310 mechanisms and other members may be fastened by screwing, bracketing, welding, or the like. The rack 300 and the pinion 310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and the size and shape thereof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한편, 전달 기어(280, 282), 랙(300)과 피니언(310) 등을 보호하기 위해 회전부재(220)에는 보호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보호판은 회전부재(22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회전부재(220)와는 나사결합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보호판은 상기 기어들(280, 282, 300, 310)를 커버하는 범위의 면적을 갖는 얇은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판은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할 수 있다.A protective plate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rotary member 220 to protect the transmission gears 280 and 282, the rack 300, and the pinions 310 and the like. The protection plate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otation member 220, and may be fastened to the rotation member 220 by screwing or the like. The shield plate may be formed of a thin plate having an area covering a range of the gears 280, 282, 300 and 310. The protection plate may be made of plastic, glass, metal, or the like, and may preferably be transparent.

도 5와 6을 참고하면, 흡착부재(320)는 제2승강부재(260)에 설치되어 인쇄판을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흡착부재(320)는 복수 개로 설치되고, 예를 들어 2 내지 20개의 흡착부재(320)가 설치될 수 있다. 흡착부재(32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승강부재(260)에 대하여 높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나사결합, 브라켓, 용접 등에 의해 제2승강부재(260)에 체결될 수 있다. 흡착부재(320)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내부에 갖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흡착부재(320)의 상단은 튜브(미도시)와 연결되고, 튜브는 솔레노이드 밸브(270)를 통해 진공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 진공펌프는 예를 들어 지지대(110)에 설치될 수 있다. 튜브는 모든 흡착부재(320)와 연결되고, 흡착부재(320)와 연결된 각 튜브는 하나로 합쳐지거나, 복수의 병렬 구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흡착부재(320)의 하단에는 고무나 플라스틱 재질의 빨판(sucker)(322)이 설치될 수 있다. 진공펌프가 작동하면 흡착부재(320)에 흡입력이 발생하여 빨판(322)에 인쇄판이 흡착될 수 있으며, 진공펌프가 멈추면 흡입력이 소멸하여 인쇄판이 흡착부재(32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adsorption member 320 is installed in the second elevation member 260 and serves to adsorb the printing plate. Preferably, a plurality of adsorption members 320 are provided, and for example, from 2 to 20 adsorption members 320 may be installed. The suction member 320 may be installed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elevation member 260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elevation member 260 by screwing, bracketing, welding or the like. The adsorption member 32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flow. The upper end of the adsorption member 320 is connected to a tube (not shown), and the tube can be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through a solenoid valve 270. The vacuum pump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on the support 110. The tube is connected to all the adsorption members 320, and each tube connected to the adsorption member 320 can be joined together or connected in a plurality of parallel configurations. Sucker 322 made of rubber or plastic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adsorption member 320. When the vacuum pump is operated,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suction member 320 so that the printing plate can be suctioned to the suction plate 322. When the vacuum pump is stopped, the suction force is extinguished and the printing plate can be removed from the suction member 320. [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쇄판이 흡착부재(320)에 흡착될 때 진공 흡입력에 의해 인쇄판의 흡착부위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빨판(322) 하단에 손상 방지용 필름(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손상 방지용 필름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손상 방지용 필름은 접착 등에 의해 빨판에 부착될 수 있다. 유로 연결을 위해, 손상 방지용 필름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손상 방지용 필름의 형상과 크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damage may occur to the suction area of the printing plate due to the vacuum suction force when the printing plate is attracted to the suction member 320. To prevent this, a damage prevention film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late 322 . The material of the damage prevention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plastic, rubber or the like. The anti-damage film may be attached to the sucker by adhesion or the like. For channel connection, a hole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amage prevention film. The shape and size of the damage prevention film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도 7을 참고하면, 제1승강부재(170), 회전부재(220), 제2승강부재(260)는 판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들 부재(170, 220, 260) 중 적어도 하나는 절곡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존에는 두꺼운 철판을 사용하여 무거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절곡 금속판을 사용함으로써, 무게를 줄이면서도 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회전부재(220)만 예시되어 있으나, 다른 부재(170, 260)에도 모두 적용 가능하다. 절곡 금속판은 예를 들어 수평판(222)과 이 수평판(222)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두 수직판(224, 2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절곡 금속판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종 강판, 알루미늄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절곡 금속판의 강성을 더욱 보완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리브(228)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228)는 두 수직판(224, 226)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두 수직판(224, 226)을 연결하는 수직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the rotating member 220,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26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t least one of the members 170, 220, Metal plate. In the past, a thick steel plate was used to make it heavy,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bent metal plate, rigidity can be improved while reducing the weight. Although only the rotary member 220 is illustrated in FIG. 7,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the other members 170 and 260 as well. The bending metal plate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horizontal plate 222 and two vertical plates 224 and 226 bent and extend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late 222. The material of the bending metal p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omposed of various steel plates, aluminum plates, and the like. One or more ribs 228 may be formed to further enhance the rigidity of the bendable metal plate. The ribs 228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connecting the two vertical plates 224 and 226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wo vertical plates 224 and 226.

도 1을 참고하면, 제2보호커버(330)는 상부 프레임(160) 쪽의 안전성과 미관 등을 고려하여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재, 전선, 튜브 등의 노출에 의한 미관 손상과 구동부재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160), 제1승강부재(170), 회전부재(220), 제2승강부재(260), 흡착부재(3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싸서 은폐하도록, 박스 형태의 제2보호커버(3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보호커버(330)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또한 2개 이상의 커버로 제작되어 이들을 조립 또는 용접할 수 있다. 제2보호커버(330)의 일부, 예를 들어 하면, 상면, 측면 및/또는 후면은 인쇄판의 이동을 위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보호커버(330)의 후면은 전면 개방됨으로써, 인쇄판의 최종 이동 후 인쇄판을 바로 떨어뜨려 공급할 수 있다. 제2보호커버(330)의 측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손잡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2보호커버(330)의 형상과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2보호커버(33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보호커버(330)는 상부 프레임(160) 등에 나사결합, 용접, 끼움 결합, 슬라이딩 결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30 may be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safety and aesthetics of the upper frame 160 side. Specifically, the upper frame 160,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the rotating member 220 (see FIG. 1), and the like are provided to prevent damage to the aesthetic appearance and damage to the driving member due to exposure of the driving member, A second protective cover 330 in the form of a box may be installed so as to partially or entirely surround at least one of the first lifting member 260, the second lifting member 260,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30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made of two or more covers to assemble or weld them. A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30,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the upper surface, the side surface and / or the rear surface, may be opened in whole or in part for movement of the printing plate. For example, since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30 is entirely opened, the printing plate can be immediately dropped after the final movement of the printing plate. One or a plurality of grip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30. The shape and size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3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30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or the like.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30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frame 160 by screwing, welding, fitting, sliding or the like.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는 인쇄판과 구동부재의 이동과 위치 등을 확인하기 위한 각종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printing plate fee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sensors for confirming the movement and position of the printing plate and the driving member.

도 8은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에 대응하는 사용 가능한 인쇄판 크기를 예시한 것으로, 6개의 센서 장착 홀(16)이 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되어 설치되고, 위로부터 2번째, 4번째, 6번째 홀(16)에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가 설치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각 홀(16)은 인쇄판의 폭 방향 크기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큰 인쇄판에 대응할 수 있으며, 즉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가 아래쪽에 위치할수록 보다 큰 인쇄판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하단을 보면,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는 인쇄판의 끝이 상기 센서(18)의 끝에서부터 예를 들어 약 3 mm 이후를 지나면서부터 인쇄판을 감지할 수 있다. 각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 및 각 흡착부재는 솔레노이드 밸브(27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8 shows an example of a usable printing plate size corresponding to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18. Six sensor mounting holes 16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Fourth, sixth, and sixth holes 16, 16, 16, 17, 18, 19, and 20, respectively. Each of the holes 16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widthwise size of the printing plate and may correspond to a larger printing plate as it goes down from top to bottom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A larger printing plate can be detected. 8,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18 can detect the printing plate from the end of the printing plate after passing the end of the sensor 18, for example, about 3 mm or later. Each of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s 18 and each adsorption member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270.

각 홀(16)은 복수의 영역(zone)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1번째 홀 이전은 제1영역(zone 1), 1번째와 2번째 홀은 제2영역(zone 2), 3번째와 4번째 홀은 제3영역(zone 3), 5번째와 6번째 홀은 제4영역(zone 4)으로 구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흡착부재(320)도 홀(16)의 영역과 대응되도록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인쇄판 크기가 제1영역에 해당하면 약 3개의 흡착부재(320)가 구동될 수 있고, 제4영역으로 갈수록 작동하는 흡착부재(320)의 수도 증가할 수 있다. 즉, 인쇄판의 크기가 커지면, 인쇄판을 흡착하는데 필요한 힘이 증가하므로, 작동하는 흡착부재(320)의 수도 증가하는 것이다. 반대로, 인쇄판의 크기가 작으면, 흡착부재(320) 전체를 구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수의 흡착부재(320)만 구동시키면 된다.Each hole 16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a first zone (zone 1) before the first hole, a first zone (zone 1) The third and fourth holes may be divided into a third zone (zone 3), and the fifth and sixth holes may be divided into a fourth zone (zone 4). Similarly, the plurality of adsorption members 320 may be divided into four regio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gions of the holes 16. When the printing plate size corresponds to the first area, about three adsorption members 320 can be driven, and the number of the adsorption members 320 operating toward the fourth region can be increased. That is, as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increases, the force required to adsorb the printing plate increases, so that the number of the adsorbing members 320 to be operated increases. Conversely, if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is small, it is not necessary to drive the entire adsorption member 320, and only a small number of the adsorption members 320 need be driven.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운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printing plate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인쇄판의 크기에 맞추어 제1가이드(20)와 제2가이드(4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인쇄판을 제1가이드(20)와 제2가이드(40)에 밀착시키면서 본체(10)의 상면에 적재한다. 제1가이드(20)에 2매 방지 패드(30)가 설치되므로, 인쇄판의 상단 측면은 실질적으로 2매 방지 패드(30)와 접촉하게 된다.The position of the first guide 20 and the second guide 4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and then the printing plat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20 and the second guide 40, Load on top. Since the first guide 20 is provided with the two-piece preventing pad 30, the upper side of the printing plate is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two-piece preventing pad 30. [

다음, 제4모터(290)를 구동하여 전달 기어(280, 28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랙(300)과 피니언(310)을 통해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켜 제2승강부재(260)를 하강시킴으로써 흡착부재(320)를 하강시키고, 흡착부재(320)가 인쇄판과 접촉하면 진공펌프를 작동시켜 진공 흡입에 의해 인쇄판을 흡착한다. 이때,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와 솔레노이드 밸브(270)를 통해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320)의 작동이 자동으로 제어된다. 상부 프레임(160)은 본체(10)의 상단부와 연결되므로, 인쇄판도 상단부만 흡착된다. 이때, 흡착부재(320)와 인쇄판이 직교하도록 회전부재(220)를 통해 흡착부재(320)를 미리 회전시킬 수 있다.Next, the fourth motor 290 is driven to rotate the transmission gears 280 and 282, and the second lift member 260 is lowered by switching to linear motion through the rack 300 and the pinion 310 When the adsorption member 3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inting plate, the vacuum pump is operated to suck the printing plate by vacuum suction.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adsorption member 32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through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18 and the solenoid valve 270. Since the upper frame 16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only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rinting plate is also adsorbed. At this time, the adsorption member 320 may be rotated in advance through the rotation member 220 so that the adsorption member 320 and the printing plat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다음, 인쇄판이 2매 방지 패드(30)와 밀착된 상태에서, 제4모터(290), 전달 기어(280, 282), 랙(300), 피니언(310)을 통해 제2승강부재(260)를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승강을 몇 차례 반복함으로써, 즉 제2승강부재(260)를 그대로 올리거나 상하로 몇 번 흔들어 줌으로써, 인쇄판을 분리하고 인쇄판이 2매 이상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하나의 인쇄판만을 흡착한다.Next, the second lift member 260 is rotated through the fourth motor 290, the transmission gears 280 and 282, the rack 300, and the pinion 310 while the printing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wo- By lifting the second lifting member 260 as it is or by shaking it up and down a few times,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printing plate and raise the printing plate up by two or more sheets So that only one printing plate is sucked.

다음, 하나의 인쇄판만이 흡착된 후, 제2모터(210)를 구동하여 제2풀리(200, 202, 204, 206)와 제2벨트(190, 19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승강부재(170)를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방향으로 상승시켜 인쇄판의 상승을 시작한다.Next, after only one printing plate is adsorbed, the second motor 210 is driven to rotate the second pulleys 200, 202, 204, 206 and the second belts 190, 192, 170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60 to start rising of the printing plate.

다음, 인쇄판이 제1가이드(20)의 높이를 벗어나서 일정 높이로 상승하면, 제3모터(250)를 구동하여 제3풀리(240, 242)와 제3벨트(230)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부재(220)를 회전시켜 인쇄판을 회전시킨다. 인쇄판을 회전시키는 이유는 인쇄판이 흡착부재(320)와 직각을 이루면서 흡착되기 때문이다. 본체(10)와 상부 프레임(160)은 둔각을 이루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부재와의 접촉 등에 의한 인쇄판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인쇄판을 효율적이고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인쇄판을 상부 프레임(160)과 평행하게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상면에서 인쇄판은 흡착부재(320)와 직각을 이루고, 본체(10)는 상부 프레임(160)과 둔각을 이루기 때문에, 인쇄판을 상부 프레임(160)과 평행하게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인쇄판을 뒤쪽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구체적으로, 인쇄판이 상부 프레임(160)과 평행하려면, 흡착부재(320)가 상부 프레임(160)과 직각을 이루도록 인쇄판을 뒤쪽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회전부재(220)를 회전시키면, 이와 연결된 제2승강부재(260)와 흡착부재(320)가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부재(220), 제2승강부재(260) 및 인쇄판은 상부 프레임(160)과 평행해지고 흡착부재(320)는 상부 프레임(160)과 직각을 이루게 된다. 인쇄판을 흡착할 때, 회전부재(220)가 미리 10 내지 80도의 범위 내에서 뒤로 회전하므로, 회전부재(220)의 두 번째 회전 각도는 90도에서 첫 번째 회전각도를 뺀 값이다. 즉, 두 차례에 걸친 회전부재(220)의 회전 각도의 합은 약 90도가 된다.Next, when the printing plate rises to a predetermined height beyond the height of the first guide 20, the third motor 250 is driven to rotate the third pulleys 240 and 242 and the third belt 230, (220) is rotated to rotate the printing plate. The reason for rotating the printing plate is that the printing plate is adsorbed at right angles to the adsorption member 320. In order to efficiently and smoothly supply the printing plate while preventing the printing plate from being damaged by contact with other members, the main frame 10 and the upper frame 160 are connected at an obtuse angle, It is preferable to raise it in parallel. Since the printing plate is perpendicular to the suction member 3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10 has an obtuse angle with the upper frame 160, in order to raise the printing plate in parallel with the upper frame 160, To the rear. Specifically, when the printing plate is parallel to the upper frame 160, the printing plate must be rotated backward so that the suction member 320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frame 160. The second lift member 260 and the suction member 320 are rotated together so that the rotation member 220, the second lift member 260 and the printing plate are separated from the upper frame 160, And the adsorbing member 320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frame 160. When the printing plate is attracted, the second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member 220 is 90 degrees minus the first rotation angle, because the rotation member 220 rotates back within a range of 10 to 80 degrees in advance. That is, the sum of the rotation angles of the rotary member 220 twice is about 90 degrees.

다음, 인쇄판을 상부 프레임(160)과 평행하게 회전시킨 후, 계속 제1승강부재(170)를 상부 프레임(160)의 높이방향으로 상승시켜 인쇄판을 계속 상승시킨다. 인쇄판의 회전을 위해 인쇄판의 상승이 잠시 멈출 수도 있지만, 인쇄판의 회전과 상승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인쇄판이 상승 및 회전할 때, 인쇄판의 일부가 곡선 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Next, the printing plate is rotat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frame 160, and then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is continuously elevat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60 to continuously raise the printing plate. The rise of the printing plate may be stopped temporarily for the rotation of the printing plate, but the rotation and elevation of the printing plate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When the printing plate is lifted and rotated, a part of the printing plate can be curved.

다음, 인쇄판의 상승과 동시에, 제1모터(90), 제1풀리(80, 82), 제1벨트(70)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을 본체(10)의 상단부(홈 위치)에서 하단부로 이동시킨다. 인쇄판의 회전 시점에서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의 구동이 시작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은 아직 본체(10) 쪽에 남아 있는 인쇄판의 중간 부위와 하단부를 순차적으로 지지하면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이동 중의 인쇄판이 다음에 이동될 인쇄판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Next, at the same time as the printing plate is lifted, the scratch preventing arm 50 is rotat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t the home position (position)) by rotating the first motor 90, the first pulleys 80, ) To the lower end. The driving of the scratch prevention arm 50 can be started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printing plate. The scratch preventing arm 50 moves while supporting the middl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ing plate still remaining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in order to prevent or minimize the damage of the printing plate to be moved next.

다음, 인쇄판이 상부 프레임(160)의 상단 또는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하면, 진공펌프의 작동을 중지시켜 인쇄판을 흡착부재(320)로부터 탈착시킴으로써, 자유 낙하에 의해 인쇄판을 CTP 장치에 공급한다. 이때, 인쇄판의 최종 공급 위치나 공급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부재(220)를 통해 인쇄판을 추가로 회전시킨 후 떨어뜨릴 수도 있다. 인쇄판을 공급한 후에는, 다음 인쇄판의 공급을 위해, 제1승강부재(170)를 하강시키고, 동시에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을 홈 위치로 되돌려 놓는다.Next, when the printing plate rises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160 or to a desired height,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is stopped to detach the printing plate from the suction member 320, thereby supplying the printing plate to the CTP apparatus by free fall. At this time, the printing plate may be further rotated and dropped through the rotating member 220 to adjust the final supply position and supply angle of the printing plate. After supplying the printing plate, the first elevating member 170 is lowered and the scratch preventing arm 50 is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for supplying the next printing plate.

상술한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과정은 예시적인 것으로, 작동순서와 방식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printing plate supplying apparatus is an exemplary one, and the operation order and the metho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cessary.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정리하면, 첫째 본 발명에서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18)가 인쇄판의 크기를 인식하면, 솔레노이드 밸브(270)가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3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18 recognizes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the solenoid valve 270 operat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둘째, 본 발명에서는 2매 방지 패드(30)를 설치함으로써 인쇄판이 한꺼번에 2매 이상 공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Seco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wo or more printing plates from being fed at a time by providing the two-piece prevention pad 30. [

셋째, 본 발명에서는 스크래치 방지용 암(50) 등에 의해 인쇄판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irdly, in the present invention, damage to the printing plat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by the scratch-preventing arm 50 or the like.

넷째, 본 발명에서는 흡착부재(320)와 인쇄판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인쇄판의 손상을 방지하고 인쇄판을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종래에는 흡착수단이나 인쇄판의 회전 기능이 없었다.Fourt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sorption member 320 and the printing plate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e, whereby the printing pla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the printing plate can be efficiently and smoothly supplied. Conventionally, there is no rotation function of the adsorption means or the printing plate.

다섯째, 본 발명에서는 스크래치 방지용 암(50)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구동 방식이 효율적이다. 종래에는 복수의 와이어(6개 정도)를 설치하고 브러시 형태로 구동하여 구성이 복잡하고 비효율적이었다.Fift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scratch prevention arm 50 is relatively simple and the driving method is efficient. Conventionally, a plurality of wires (about six wires) are installed and driven in the form of a brush, which is complicated and inefficient.

여섯째, 본 발명에서는 도킹 레일(140)을 설치하여 오토 로더와 CTP 장치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Sixt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rail 140 is installed to easily connect the autoloader and the CTP apparatus.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본체
12, 14: 가이드 홀
16: 센서 장착 홀
18: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
20, 40: 가이드
22, 42, 171, 172: 수평부재
24, 44: 수직부재
26, 46: 체결부재
28: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
30: 2매 방지 패드
32: 요철구조
50: 스크래치 방지용 암
52: 막대부재
53: 인쇄판 지지판
54: 롤러
56, 175, 176: 연결부재
56a, 56b, 56c, 175a, 175b, 176a, 176b: 연결판
58: 링 부재
59, 177, 178: 가이드 블록
60, 180: 가이드 레일
62, 181, 182: 레일부재
64, 183, 184: 레일 고정부재
70, 190, 192, 230: 벨트
80, 82, 200, 202, 204, 206, 240, 242: 풀리
84: 풀리 고정부재
90, 210, 250, 290: 모터
100, 330: 보호커버
110: 지지대
112: 수직 지지대
114: 수평 지지대
120: 이동부재
130: 정면 커버
132: 손잡이
140: 도킹 레일
150: 제어패널
160: 상부 프레임
162, 164: 측부 프레임
166: 수평 프레임
170, 260: 승강부재
173, 174: 측면부재
173a, 174a: 연장부재
208, 242a: 회전축
220: 회전부재
222: 수평판
224, 226: 수직판
228: 리브
244: 장력 조절 풀리
270: 솔레노이드 밸브
280, 282: 전달 기어
300: 랙
310: 피니언
320: 흡착부재
322: 빨판
10: Body
12, 14: Guide hole
16: Sensor mounting hole
18: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20, 40: Guide
22, 42, 171, 172: horizontal member
24, 44: vertical member
26, 46: fastening member
28: Pressure drop sensor
30: 2-sheet prevention pad
32: concave and convex structure
50: Scratch prevention arm
52:
53:
54: Roller
56, 175, 176: connecting member
56a, 56b, 56c, 175a, 175b, 176a, 176b:
58: Ring member
59, 177, 178: guide block
60, 180: Guide rail
62, 181, 182: the rail member
64, 183, 184: rail fixing member
70, 190, 192, 230: belt
80, 82, 200, 202, 204, 206, 240, 242:
84: pulley fixing member
90, 210, 250, 290: motor
100, 330: protective cover
110: Support
112: vertical support
114: horizontal support
120: moving member
130: Front cover
132: Handle
140: Docking rail
150: Control panel
160: upper frame
162, 164: side frame
166: Horizontal frame
170, 260:
173, 174: side member
173a, 174a: extension member
208, 242a:
220: rotating member
222: horizontal plate
224, 226: Vertical plate
228: rib
244: tension adjusting pulley
270: Solenoid valve
280, 282: transmission gear
300: Rack
310: pinion
320:
322: Sucker

Claims (8)

다수의 인쇄판이 적재되는 본체;
제1모터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본체에 설치되는 스크래치 방지용 암;
본체와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제2모터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승강부재;
제3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1승강부재에 설치되는 회전부재;
제4모터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회전부재에 설치되는 제2승강부재;
제2승강부재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제어되어 인쇄판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부재; 및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복수의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를 구비하고,
인쇄판 크기 인식 센서가 인쇄판의 크기를 인식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인쇄판의 크기에 따라 흡착부재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A main body on which a plurality of printing plates are loaded;
A scratch-preventing arm provided on the main body movably by the first motor;
An upper fram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A first elevating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a second motor;
A rotary member installed in the first elevating member to be rotatable by the third motor;
A second elevating member installed on the rotary membe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a fourth motor;
A plurality of adsorption members installed on the second lifting member and controlled by a solenoid valve to adsorb the printing plate; And
A plurality of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a solenoid valve,
Wherein the solenoid valve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dsorption me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when the printing plate size recognition sensor recognizes the size of the print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 및
제1가이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본체의 상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를 추가로 구비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guid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adjustable in position; And
And a second guide that is positionally adjustable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guide.
제2항에 있어서,
제1가이드에 설치되고 요철구조를 포함하는 2매 방지 패드를 추가로 구비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further comprising a two-sheet prevention pad provided on the first guide and including a concave-convex structur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킹 레일;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인쇄판의 낙하를 감지하는 인쇄판 낙하 감지 센서; 및
스크래치 방지용 암에 설치되어 인쇄판을 지지하는 인쇄판 지지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ocking rail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 plate drop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detect dropping of the printing plate; And
And a printing plate supporting plate provided on the scratch preventing arm for supporting the print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스크래치 방지용 암의 출발위치는 본체의 상면의 상단부이며, 스크래치 방지용 암의 일측만 구동되고 다른 일측은 종속적으로 이동하며, 스크래치 방지용 암이 구동되는 일측에는 제1보호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 position of the scratch preventing arm is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only the one side of the scratch preventing arm is driven and the other side is moved in a dependent manner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is provided on the side where the scratch preventing arm is driven. Automatic supply.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및
상부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보호커버를 추가로 구비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 moving memb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rotective cover partially surrounding the upper frame.
제1항에 있어서,
제1승강부재, 회전부재, 제2승강부재는 절곡 금속판 및 절곡 금속판에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자동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vating member, the rotating member,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include ribs formed on the bending metal plate and the bending metal plate.
KR1020150001234A 2015-01-06 2015-01-06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rinting plate KR1017133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234A KR101713394B1 (en) 2015-01-06 2015-01-06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rinting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234A KR101713394B1 (en) 2015-01-06 2015-01-06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rinting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81A KR20160084681A (en) 2016-07-14
KR101713394B1 true KR101713394B1 (en) 2017-03-07

Family

ID=5649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234A KR101713394B1 (en) 2015-01-06 2015-01-06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rinting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3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122A1 (en) * 2019-10-09 2021-04-15 이철윤 Jig for easily fixing composing paper and composing paper-drawing flatbed hav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943A (en) * 2002-03-28 2003-10-07 Fuji Photo Film Co Ltd Printing plate conveying device
JP2004002015A (en) * 2002-04-05 2004-01-08 Agfa Corp Device and method for picking up one printing plate from a stack of printing plates
KR100976567B1 (en) * 2009-01-07 2010-08-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heet feeding casset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943A (en) * 2002-03-28 2003-10-07 Fuji Photo Film Co Ltd Printing plate conveying device
JP2004002015A (en) * 2002-04-05 2004-01-08 Agfa Corp Device and method for picking up one printing plate from a stack of printing plates
KR100976567B1 (en) * 2009-01-07 2010-08-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heet feeding casset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122A1 (en) * 2019-10-09 2021-04-15 이철윤 Jig for easily fixing composing paper and composing paper-drawing flatbed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81A (en)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1818B (en) Inline buffer apparatus
EP2703879A1 (en) Liquid crystal module assembling device
JP2003017890A (en) Transfer for tray feeder
KR100244688B1 (en) Wafer transfer apparatus
RU2374192C2 (en) Device for laminating glass sheets
JP2019147671A (en) Image reading device
KR100977870B1 (en) Transfer robot
KR101713394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rinting plate
KR101031105B1 (en) Apparatus for cleaning mini display panels
CN110355021A (en) A kind of device and method that panel light eliminates bright border
CN104206048B (en) The erecting device of the component feeding unit of component mounter
KR20100116573A (en) Glass side tape attachment tape attachment device
TWI729819B (en) Bonding device and bonding method
CN211319004U (en) Watch lens detector
CN103183228A (en) Feeding mechanism for photoelectric component testing machine table
CN110850702A (en) Watch lens detector
CN109879064A (en) A kind of feeding-distribution device
KR101590850B1 (en) Mask loading device
JP4564191B2 (en) Substrate transfer device
CN2692322Y (en) Flat plate type rolling shutter door device
CN220164865U (en) Article lifting and conveying system
JP3185750B2 (en) Automatic warehouse
CN210029050U (en) Lifting type plate feeding device
JP2002068412A (en) Material storing device
JP3262072B2 (en) Automatic warehouse for clean 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