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074B1 -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 - Google Patents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074B1
KR101713074B1 KR1020150074844A KR20150074844A KR101713074B1 KR 101713074 B1 KR101713074 B1 KR 101713074B1 KR 1020150074844 A KR1020150074844 A KR 1020150074844A KR 20150074844 A KR20150074844 A KR 20150074844A KR 101713074 B1 KR101713074 B1 KR 101713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ck
unit
sensor
d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629A (ko
Inventor
김영주
권용장
이석
원종운
김학성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74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07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08Dock- or bumper-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에서, 상기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은 도크부, 근접 센서부, 접차 센서부, 판단부 및 동작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크부는 상면부, 하면부 및 측면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물류가 통과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근접 센서부는 상기 도크부에 근접한 차량을 센싱한다. 상기 접차 센서부는 상기 도크부에 접차한 차량을 센싱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근접 센서부 및 상기 접차 센서부의 센싱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도크부에 근접 또는 접차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접차한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도크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AUTO OPENING AND SHUTTING SYSTEM IN A DOCK AND AUTO OPENING AND SHUT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창고와 같은 도크시설에서 차량의 접근 또는 접차를 자동으로 센싱하여 도크시설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직까지도 도크시설에서는 차량이 도크시설에 접근함에 따라 도크시설을 개방하는 경우, 도크시설의 개방 또는 폐쇄를 도크시설 운영자의 시각적인 판단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도크시설의 개방 또는 폐쇄를 수행할 별도의 운영자가 필요하게 되며, 시각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도크시설을 제어하므로 운영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도크시설의 작동이 체계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나아가, 단순히 도크시설의 개방 또는 폐쇄의 동작 뿐 아니라, 물류창고의 여타의 동작에도 운영자에 의한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되므로 현재까지 물류창고의 동작 제어 시스템은 후진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물류창고를 자동화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48011호는 물류 창고의 자동 공정화에 관한 기술로서 리프트 장치의 상하방향의 이동으로 자동화 공정의 일부를 구현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물류 센터에서 수행되는 여러 공정들 중 극히 일부 공정에 대한 단순한 자동화 기술에 불과한 것으로 한계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84111호에서는 물류창고의 도어시트가 이탈된 상황을 감지하고 이를 자동으로 복원하기 위한 자동복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역시 물류 센터에서 수행되는 여러 공정들 중 극히 일부 공정에 대한 단순한 자동화 기술에 불과한 것으로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근접 및 접차를 센싱하여 도크시설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폐하며 특히 차량의 접차 상태를 정밀하게 센싱함으로써 도크부의 밀폐 동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을 이용한 자동개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은 도크부, 근접 센서부, 접차 센서부, 판단부 및 동작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크부는 상면부, 하면부 및 측면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물류가 통과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근접 센서부는 상기 도크부에 근접한 차량을 센싱한다. 상기 접차 센서부는 상기 도크부에 접차한 차량을 센싱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근접 센서부 및 상기 접차 센서부의 센싱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도크부에 근접 또는 접차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접차한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도크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부의 센싱으로 차량이 상기 도크부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도크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접차 센서부의 센싱으로 차량이 상기 도크부에 접차하는 경우 상기 도크부와 상기 차량 사이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접 센서부는, 상기 도크부에 고정되어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접 센서부는, 상기 도크부의 전면(前面)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 감지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차 센서부는, 상기 도크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측부 접차센서, 및 상기 도크부의 하면부에 형성된 하부 접차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크부는, 상기 도크부에 접차된 차량의 상부, 측부 및 하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의 공간을 각각 밀폐하는 상부 도크부, 측부 도크부 및 하부 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도크부는 상기 차량의 상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측부 도크부는 상기 차량이 측면부에 접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의 측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하부 도크부는 상기 차량이 하면부에 접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의 하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크시설의 자동개폐방법은 차량이 도크부에 근접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도크부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도크부의 하면부 또는 측면부에 접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도크부에 접차한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도크부와 상기 차량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이 도크부에 접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도크부의 측면부 및 하면부에 각각 형성된 측부 접차센서 및 하부 접차센서가 상기 차량의 접차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크부와 상기 차량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부 접차센서에서 상기 차량의 접차를 센싱하지 않으면 하부 도크부가 상기 도크부와 상기 차량 사이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크부와 상기 차량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부 접차센서 및 상기 하부 접차센서에서 모두 상기 차량의 접차를 센싱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 개방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상기 도크부와 상기 차량 사이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근접 센서부에 의해 차량의 근접을 센싱하고, 접차 센서부에 의해 차량의 접차를 센싱하며, 차량의 근접 상태 및 접차 상태에 따라 도크부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므로 도크부가 불필요하게 개방 또는 폐쇄되지 않고 최적의 시기에 개폐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물류창고 등에서 에너지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물류 이동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근접 센서부는 동작 감지센서 또는 하중 감지센서로서 기 저장된 차량의 크기, 동작 또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도크부의 개폐를 판단하므로, 차량 외의 사물이나 사람이 도크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도크부가 불필요하게 개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차 센서부는 도크부의 측면부 및 하면부에 각각 형성되며, 차량의 접차를 센싱하는 것은 물론, 차량의 접차가 센싱되지 않는 부분에서만 각각 상부 도크부, 측부 도크부 또는 하부 도크부가 차량과의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동작되므로, 차량의 크기 및 형상이 자동으로 고려되어 도크부의 밀폐가 수행되므로 도크부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 사람이 육안으로 식별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자동화할 수 있어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도 1의 근접 센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b는 도 1의 근접 센서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차 센서부가 장착된 도크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접차 센서부에 차량이 접차한 상태 및 이에 따른 도크부의 밀폐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b는 도 3의 접차 센서부에 차량이 접차한 상태 및 이에 따른 도크부의 밀폐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의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을 이용한 도크시설의 자동개폐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10)은 근접 센서부(100), 접차 센서부(200), 판단부(300), 동작 제어부(400) 및 도크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근접 센서부(100)는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근접하는 경우 이를 센싱하며, 상기 근접 센서부(100)에서 센싱되는 정보는 상기 판단부(300)로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근접 센서부(100)는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가까이 근접하는 지의 여부만을 센싱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차 센서부(200)가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실제로 접차하였는지를 센싱한다.
즉, 후술하겠으나 상기 근접 센서부(100)는 영상 센서, 로드 센서 등과 같이 상기 차량(1)의 대략적인 접근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로서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정확하게 접차하였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센싱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차 센서부(200)를 통해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정확하게 접차하였는지의 여부를 센싱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접차 센서부(200)에 의해 센싱된 정보는 상기 판단부(300)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 근접 센서부(100)는 후술하겠으나, 상기 차량(1)의 측부가 상기 도크부(500)에 접차하였는지의 여부를 센싱하는 측부 접차센서(220), 및 상기 차량(1)의 하부가 상기 도크부(500)에 접차하였는지의 여부를 센싱하는 하부 접차센서(22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크부(500) 중 상부 도크부(510)는 차량(1)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므로, 거의 모든 차량(1)은 상기 상부 도크부(510)의 높이보다 낮게 접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1)이 상기 상부 도크부(510)에 접차되었는지를 센싱하는 소위 상부 접차센서는 생략이 가능하며, 상기 상부 도크부(510)는 차량(1)의 접차시 항상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차량(1)의 상부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판단부(300)는 상기 근접 센서부(100) 및 상기 접차 센서부(200)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근접하였는지 또는 상기 도크부(500)에 접차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판단부(300)는 상기 근접 센서부(100)에서 센싱된 정보로부터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근접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동작 제어부(400)에 신호를 인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동작 제어부(400)는 상기 도크부(500)에 대한 필요한 구동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300)는 상기 접차 센서부(200)에서 센싱된 정보로부터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접차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판단부(300)는 상기 접차 센서부(200) 중 측부 접차센서(220) 및 하부 접차센서(230) 중 어느 접차센서에 상기 차량(1)이 접차하였는지를 판단한다.
그리하여, 상기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동작 제어부(400)에 신호를 인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동작 제어부(400)는 상기 도크부(500)에 대한 필요한 구동을 수행한다.
상기 동작 제어부(400)는 상기 판단부(300)에서 판단된 차량의 근접 또는 차량의 접차에 대한 판단 결과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도크부(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판단부(300)에서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근접한 상태임을 판단하면, 상기 동작 제어부(400)는 상기 도크부(5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도크부(500)를 개방한다.
이와 달리, 상기 판단부(300)에서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근접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차량이 아닌 다른 사물이 근접한 상태임을 판단하면, 상기 동작 제어부(400)는 상기 도크부(5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도크부(50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나아가, 상기 동작 제어부(400)는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접차한 상태임이 상기 판단부(300)에 의해 판단되는 경우, 상기 도크부(5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도크부(500)와 상기 차량(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한다.
이 경우, 상기 도크부(50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도크부(500)는 내부에 물류를 저장 또는 보관할 수 있는 물류창고의 입구부에 해당되며,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접차한 상태에서, 상기 물류를 싣거나 내린다.
상기 도크부(500)는 일반적으로는 접근하는 차량(1)의 적재함의 크기에 따라 상기 물류가 이동되는 개폐부(501)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으나, 물류 창고의 보다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다양한 크기 또는 종류의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접차하더라도 물류의 이동을 위한 공간을 제외하고는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크부(500)는 상부 도크부(510), 측부 도크부(520) 및 하부 도크부(530)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도크부(510)는 상면부(502)와 상기 차량(1)의 상부 사이를 밀폐하고, 상기 측부 도크부(520)는 측면부(504)와 상기 차량(1)의 측부 사이를 밀폐하며, 상기 하부 도크부(530)는 하면부(503)와 상기 차량(1)의 하부 사이를 밀폐한다.
다만, 상기 상부 도크부(510), 상기 측부 도크부(520) 및 상기 하부 도크부(530)는 각각 상면부(502), 측면부(504) 및 하면부(503)와 상기 차량(1)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에만 상기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동작되며, 상기 차량(1)의 크기가 커서 상기 상면부(502), 측면부(504) 및 하면부(503) 중 어느 하나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라면 공간의 밀폐가 필요없으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도크부(510)는 대부분의 차량(1)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므로, 상기 상부 도크부(510)와 상기 차량(1)의 사이는 공간이 항상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 도크부(510)는 하강하여 상기 공간을 밀폐한다.
도 2a는 도 1의 근접 센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근접 센서부(100)는 예를 들어, 동작 감지센서(110)일 수 있다.
즉, 상기 동작 감지센서(110)는 상기 도크부(500)의 전면(前面)으로 접근하는 상기 차량(10)의 동작을 감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차량(10)이 접근하는지의 여부, 접근하는 물체가 차량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특히, 물류센터에서 상기 도크부(500)의 전면에는 사람과 같이 차량이 아닌 사물들도 다수 이동하게 마련이며, 이에 따라 상기 동작 감지센서(110)에서 센싱된 정보는 상기 판단부(300)에서 판단되어 상기 센싱된 사물이 차량인지의 여부가 식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판단부(300)에서는 일반 사람이나 사물과 달리 차량이 가지는 외형적인 특징 또는 차량의 전체적인 크기 등에 관한 식별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동작 감지센서(110)에서 센싱된 정보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크부(500)로 근접하는 차량(1)의 경우, 상대적으로 일정한 저속으로 후진하며, 후미부가 물류를 운반할 수 있는 창고의 형상을 가지므로,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도크부(500)로 근접하는 사물이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2b는 도 1의 근접 센서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근접 센서부(100)는 예를 들어, 하중 감지센서(120)일 수 있다.
즉, 상기 하중 감지센서(120)는 상기 도크부(500)의 전면(前面)으로 접근하는 상기 차량(10)의 하중을 감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차량(10)이 접근하는지의 여부, 접근하는 물체가 차량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중 감지센서(120)는 상기 도크부(500)의 전면의 바닥에 고정되거나 매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판단부(300)에서는 일반 사람이나 사물과 달리 차량이 가지는 하중의 크기 등에 관한 식별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하중 감지센서(120)에서 센싱된 정보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서는 상기 근접 센서부(100)의 예를 두 가지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동작 감지센서(110) 및 상기 하중 감지센서(120)를 모두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차량의 식별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접차 센서부가 장착된 도크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접차 센서부(200)는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실제로 접차하였는지의 여부를 센싱한다.
상기 측부 접차센서(220)는 상기 측면부(504)와 상기 개폐부(501)의 경계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차량(1)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접차센서(230)는 상기 하면부(503)와 상기 개폐부(501)의 경계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차량(1)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부 접차센서(220) 및 하부 접차센서(230)는 모두 상기 개폐부(501)와의 경계 전체면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차량(1)이 상기 측면부(504) 및 하면부(503)의 어느 위치까지 접차하고 있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부(300)는 상기 측부 접차센서(220) 및 하부 접차센서(230)에서 센싱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1)이 어느 위치에 접차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동작 제어부(400)가 상기 도크부(5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4a는 도 3의 접차 센서부에 차량이 접차한 상태 및 이에 따른 도크부의 밀폐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차량(1)이 상기 하부 접차센서(230)에만 접차하며, 상기 측부 접차센서(220)에는 접차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동작 제어부(400)는 상기 하부 도크부(530)는 구동시키지 않으며 상기 상부 도크부(510) 및 상기 측부 도크부(520)만 구동시킨다.
즉, 상기 상부 도크부(510)가 상기 개폐부(50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차량(1)과 상기 상면부(502)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측부 도크부(520)가 상기 개폐부(50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차량(1)과 상기 측면부(504)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측부 도크부(520)의 동작은 상기 하부 접차센서(230)에 상기 차량(1)이 접차된 양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4b는 도 3의 접차 센서부에 차량이 접차한 상태 및 이에 따른 도크부의 밀폐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차량(1)이 상기 하부 접차센서(230) 및 상기 측부 접차센서(220)에 모두 접차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동작 제어부(400)는 상기 하부 도크부(530) 및 상기 측부 도크부(520)는 구동시키지 않으며 상기 상부 도크부(510)만 구동시킨다.
즉, 상기 상부 도크부(510)가 상기 개폐부(50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차량(1)과 상기 상면부(502) 사이의 공간을 밀폐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도크부(510)의 동작, 즉 상기 상부 도크부(510)가 상기 차량(1)의 상면으로 내려오는 양은 상기 차량(1)이 상기 측부 접차센서(220)에 접차된 양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동작 제어부(400)는 상기 판단부(300)에서 상기 접차 센서부(200)의 접차여부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된 접차상태를 바탕으로 상기 상부 도크부(510), 상기 측부 도크부(520) 및 상기 하부 도크부(5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차량(1)과 상기 도크부(500) 사이의 공간을 밀폐한다.
한편, 상기 차량(1)의 높이가 높고 및 너비가 작아서 상기 차량(1)이 도크부(500)에 접차하였더라도, 상기 측부 접차센서(220) 및 상기 하부 접차센서(230)에 의해 상기 차량(1)의 접차가 센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동작 제어부(400)는, 상기 차량(1)이 도크부(500)에 접차하기까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측부 접차센서(220) 및 상기 하부 접차센서(230)로부터 센싱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부 도크부(510), 상기 측부 도크부(520) 및 상기 하부 도크부(530)를 모두 동작시켜 상기 차량(1)과 상기 도크부(50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킨다.
도 5는 도 1의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을 이용한 도크시설의 자동개폐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근접 센서부(100)가 상기 차량(1)의 근접 상태를 센싱하여 센싱된 정보를 상기 판단부(300)로 제공하면, 상기 판단부(300)는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근접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
이 후, 상기 판단부(300)가 상기 차량(1)이 근접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동작 제어부(400)에 의해 상기 상부 도크부(510), 상기 측부 도크부(520) 및 상기 하부 도크부(530)를 모두 개방한다(단계 S20).
이 후, 상기 접차 센서부(200)는 상기 차량(1)이 상기 도크부(500)에 접차하는지 센싱하고 상기 판단부(300)에서 상기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접차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
이 경우, 상기 접차 센서부(200)의 측부 접차센서(220) 및 하부 접차센서(230)에 의해, 상기 차량(1)이 정확하게 접차한 위치를 센싱하며 이러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판단부(300)에서는 상기 차량(1)이 어느 도크부에 접차하였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40).
이 후, 상기 동작 제어부(400)는 상기 차량(1)이 접차한 도크부의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1)이 접차한 도크부를 제외한 다른 도크부(500)를 동작시켜 상기 도크부(500)와 상기 차량(1)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킨다(단계 S50). 이 경우, 상기 동작 제어부(400)에 의한 상기 도크부(500)의 동작의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 후, 상기 차량(1)과 상기 도크부(500) 사이의 공간이 모두 밀폐되면, 상기 차량(1)으로부터 물건을 하적하거나(단계 S60), 또는 상기 차량(1)에 물건을 적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근접 센서부에 의해 차량의 근접을 센싱하고, 접차 센서부에 의해 차량의 접차를 센싱하며, 차량의 근접 상태 및 접차 상태에 따라 도크부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므로 도크부가 불필요하게 개방 또는 폐쇄되지 않고 최적의 시기에 개폐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물류창고 등에서 에너지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물류 이동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근접 센서부는 동작 감지센서 또는 하중 감지센서로서 기 저장된 차량의 크기, 동작 또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도크부의 개폐를 판단하므로, 차량 외의 사물이나 사람이 도크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도크부가 불필요하게 개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차 센서부는 도크부의 측면부 및 하면부에 각각 형성되며, 차량의 접차를 센싱하는 것은 물론, 차량의 접차가 센싱되지 않는 부분에서만 각각 상부 도크부, 측부 도크부 또는 하부 도크부가 차량과의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동작되므로, 차량의 크기 및 형상이 자동으로 고려되어 도크부의 밀폐가 수행되므로 도크부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 사람이 육안으로 식별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자동화할 수 있어 효율성이 향상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은 물류센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100 : 근접 센서부 200 : 접차 센서부
220 : 측부 접차센서 230 : 하부 접차센서
300 : 판단부 400 : 동작 제어부
500 : 도크부 510 : 상부 도크부
520 : 측부 도크부 530 : 하부 도크부

Claims (11)

  1. 상면부, 하면부 및 측면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물류가 통과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도크부;
    상기 도크부에 근접한 차량을 센싱하는 근접 센서부;
    상기 도크부에 접차한 차량을 센싱하는 접차 센서부;
    상기 근접 센서부 및 상기 접차 센서부의 센싱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도크부에 근접 또는 접차하였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근접 센서부에서 상기 근접한 차량을 센싱하면 상기 도크부가 개방되고, 상기 접차 센서부에서 차량을 센싱하면 상기 접차된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도크부와 상기 차량이 접차된 위치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도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부는,
    상기 도크부에 고정되어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부는,
    상기 도크부의 전면(前面)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차 센서부는,
    상기 도크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측부 접차센서; 및
    상기 도크부의 하면부에 형성된 하부 접차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크부는,
    상기 도크부에 접차된 차량의 상부, 측부 및 하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의 공간을 각각 밀폐하는 상부 도크부, 측부 도크부 및 하부 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크부는 상기 차량의 상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측부 도크부는 상기 차량이 측면부에 접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의 측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하부 도크부는 상기 차량이 하면부에 접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의 하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8. 차량이 도크부에 근접하는지를 센싱하여 상기 차량의 근접이 센싱되면 상기 도크부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도크부의 하면부 또는 측면부에 접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도크부에 접차한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도크부와 상기 차량이 접차된 위치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도크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크시설의 자동개폐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도크부에 접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도크부의 측면부 및 하면부에 각각 형성된 측부 접차센서 및 하부 접차센서가 상기 차량의 접차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크시설의 자동개폐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크부와 상기 차량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부 접차센서에서 상기 차량의 접차를 센싱하지 않으면 측부 도크부가 상기 도크부와 상기 차량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하부 접차센서에서 상기 차량의 접차를 센싱하지 않으면 하부 도크부가 상기 도크부와 상기 차량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크시설의 자동개폐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크부와 상기 차량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부 접차센서 및 상기 하부 접차센서에서 모두 상기 차량의 접차를 센싱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 개방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상기 도크부와 상기 차량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크시설의 자동개폐방법
KR1020150074844A 2015-05-28 2015-05-28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 KR101713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844A KR101713074B1 (ko) 2015-05-28 2015-05-28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844A KR101713074B1 (ko) 2015-05-28 2015-05-28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29A KR20160139629A (ko) 2016-12-07
KR101713074B1 true KR101713074B1 (ko) 2017-03-07

Family

ID=5757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844A KR101713074B1 (ko) 2015-05-28 2015-05-28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0579B2 (en) * 2017-03-15 2019-05-07 Halo Maritime Defense Systems, Inc. Automatic gate operation and system status indication for marine barriers and gate systems
KR102445427B1 (ko) * 2020-06-19 2022-09-20 (주)현성 물류 보안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611A (ko) * 2008-04-18 2009-10-22 (주) 관우공영 도크실 승하차대 경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29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88224B2 (en) Vehicle alignment systems for loading docks
US11892818B2 (en) Dock door autom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302668B2 (en) Automated analyzer device
US9905448B2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CN106660702B (zh) 自动仓库以及自动仓库的控制方法
JP2010522390A (ja) 特に、飲料ボトルのための食品用充填設備の監視、制御及び最適化方法
KR101713074B1 (ko)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
EP3219663B1 (en) Automatic guided vehicle
KR101059927B1 (ko) 무인 이송장치의 팔레트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US20090249697A1 (en) Door assembly including a sensor for controlling automated door movement
KR101950696B1 (ko) 밀폐 구조를 갖는 도크 시스템
CN115989184A (zh) 自动仓库
KR20190027618A (ko) 컨테이너 안전 감시 방법
JP6799897B2 (ja) 立体駐車装置の無人確認システムとこれを備える立体駐車装置、及び立体駐車装置の無人確認方法
KR101992100B1 (ko) 트럭헤드 인식 및 인접 컨테이너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05628946A (zh) 一种容器的供给装置及方法
US20240177493A1 (en) Loaded attitude state detecting device
KR20190130773A (ko) 트럭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NL2029797B1 (en) Tire building machine and method for inspecting a tire component produced in said tire building machine
US20240181964A1 (en) Trailer alignment detection for dock automation using vision system and dynamic depth filtering
KR101415975B1 (ko) 포크리프트의 포크 자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24106595A (ja) フォークリフト
KR20110069989A (ko) 열진공챔버 도어의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240027489A (ko) 자동 이송 시스템 및 자동 이송 시스템 제어 방법
JP2022120450A (ja) エレベータ養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