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337B1 - 검안경 - Google Patents

검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337B1
KR101712337B1 KR1020150143148A KR20150143148A KR101712337B1 KR 101712337 B1 KR101712337 B1 KR 101712337B1 KR 1020150143148 A KR1020150143148 A KR 1020150143148A KR 20150143148 A KR20150143148 A KR 20150143148A KR 101712337 B1 KR101712337 B1 KR 101712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eyepiece
main body
illumination system
col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부빈
남은혁
Original Assignee
(주) 위키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위키옵틱스 filed Critical (주) 위키옵틱스
Priority to KR102015014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08Multiple lens hand-held instru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찰자의 눈 측에 위치하는 접안렌즈와, 상기 접안렌즈와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피검자의 눈 측에 위치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접안렌즈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릴레이렌즈를 포함하는 투사계; 광원으로부터 빔스플리터에 의한 반사와 상기 대물렌즈를 공유하여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하는 조명계; 및 상기 조명계의 광 경로에 설치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도록 한 검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망막의 혈관 및 황반 등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고, 망막의 이미징(imaging)이 용이하며, 노이즈 제거가 가능하고, 관찰자 및 피검자의 상이한 눈의 굴절률을 보상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검안의 신뢰성과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다양한 필터 및 어퍼처의 선택이 가능하고, 전원부의 편리한 사용 및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막이나 망막의 관찰에 유리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안경{Ophthalmoscope}
본 발명은 검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검안의 편의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검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안경은 피검안의 안저, 유리체, 수정체의 관찰과 굴절검사, 근시나 원시의 검사 등에 사용되는 기구를 비롯하여, 피검안의 다양한 검사에 사용되는 기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검안경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미국등록특허 제7784940호의 "Eye viewing device comprising video capture optics"가 있는데, 이는 관찰자 단부와 환자 단부를 가지는 휴대용 하우징; 상기 휴대용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광원과 촬상축에 교차하는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상기 휴대용 하우징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이미지 시스템; 상기 망막의 직접 보기를 용이하게 하는 접안렌즈;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이미지 센서; 상기 휴대용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전자 이미지 센서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촬상축에 배치되는 구경조리개; 그리고 한 쌍의 초점면을 정의하도록 배치되되, 한 쌍의 초점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자 이미지 센서의 위치에 대략적으로 일치하고, 상기 한 쌍의 초점면 중 다른 하나가 접안 렌즈의 전방으로 정의되어지고, 상기 장치의 촬상 축에 교차하는 빔 스플리터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는 미국등록특허 제6830347호의 "Eye viewing device comprising eye cup", 미국등록특허 제6390625호의 "Focusing mechanism"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 외에도 검안경과 관련되는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457479호의 "검안경"이 있는데, 이는 관찰자의 눈 측에 위치하고, 피검자의 눈을 관찰하기 위한 접안렌즈; 상기 접안렌즈와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피검자의 눈 측에 위치하고, 피검자의 눈 측에 상을 맺도록 하는 대물렌즈; 상기 접안렌즈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반전된 상을 역전시키는 릴레이렌즈; 및 피검자의 안저를 관찰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아이릴리프(eyerelief; R)가 25~27.5mm이면서,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킨다.
Figure 112015099028840-pat00001
여기서, fe는 접안렌즈의 초점거리이고, R은 아이릴리프이며, fr은 릴레이렌즈의 초점거리이고, d1은 대물렌즈와 릴레이렌즈 간의 마주보는 주요점간의 거리이며, d2는 릴레이렌즈와 접안렌즈 간의 마주보는 주요점간의 거리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관찰자 및 피검자의 눈마다 상이한 굴절률을 보상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다양한 필터 및 어퍼처 등의 선택 내지 전환이 쉽지 않으며, 보다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구조적으로 개선시킬 필요를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망막의 혈관 및 황반 등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고, 망막의 이미징(imaging)이 용이하며, 노이즈 제거가 가능하고, 관찰자 및 피검자의 상이한 눈의 굴절률을 보상하며, 다양한 필터 및 어퍼처의 선택이 가능하고, 전원부의 편리한 사용 및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하며, 각막이나 망막의 관찰에 유리한 구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관찰자의 눈 측에 위치하는 접안렌즈와, 상기 접안렌즈와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피검자의 눈 측에 위치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접안렌즈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릴레이렌즈를 포함하는 투사계; 광원으로부터 빔스플리터에 의한 반사와 상기 대물렌즈를 공유하여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하는 조명계; 및 상기 조명계의 광 경로에 설치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검안경이 제공된다.
상기 빔스플리터와 상기 릴레이렌즈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편광판; 및 상기 컬러필터와 상기 빔스플리터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스플리터에 마주 대하도록 설치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렌즈 축에 대하여 45도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투사계, 상기 조명계 및 상기 컬러필터가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커싱노브; 및 상기 포커싱노브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접안렌즈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접안렌즈가 내측에 설치되는 경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커싱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접안렌즈가 -20~20 디옵터의 범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사계, 상기 조명계 및 상기 컬러필터가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광 경로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중심의 둘레에 상이한 컬러를 가지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컬러필터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회전 중심의 둘레에 상이한 크기를 가지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어퍼처 중에서 어느 하나가 광 경로에 위치하도록 선택하는 전환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사계, 상기 조명계 및 상기 컬러필터가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되, 버튼의 조작에 의해 분리되는 손잡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마련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사계, 상기 조명계 및 상기 컬러필터가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접안렌즈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막 관찰에 사용되는 코니어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코니어 렌즈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망막 관찰에 사용되는 아이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안경에 의하면, 망막의 혈관 및 황반 등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고, 망막의 이미징(imaging)이 용이하며, 노이즈 제거가 가능하고, 관찰자 및 피검자의 상이한 눈의 굴절률을 보상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검안의 신뢰성과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다양한 필터 및 어퍼처의 선택이 가능하고, 전원부의 편리한 사용 및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막이나 망막의 관찰에 유리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검안경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검안경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검안경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검안경의 브래킷을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검안경의 포커싱 부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검안경의 전환노브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검안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검안경의 전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검안경을 각각 도시한 정면 사시도, 배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검안경(100)은 투사계(110), 조명계(120) 및 컬러필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사계(110)는 관찰자의 눈 측에 위치하는 접안렌즈(111)와, 접안렌즈(111)와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피검자의 눈 측에 위치하는 대물렌즈(112)와, 접안렌즈(111)와 대물렌즈(112) 사이에 위치하는 릴레이렌즈(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안렌즈(111)는 피검자의 눈을 관찰하도록 하는데, 관찰자의 눈에 가까이 위치하여, 피검자 눈의 상을 관찰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대물렌즈(112)는 접안렌즈(111)와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피검자의 눈 측에 가까이 위치하게 되고, 피검자의 눈 측에 상을 맺히도록 한다. 릴레이렌즈(113)는 대물렌즈(112)에 의해 반전된 상을 역전시키며, 대물렌즈(112)에 의해 맺힌 상으로부터 또 다른 상을 맺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접안렌즈(111), 대물렌즈(112) 및 릴레이렌즈(113)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각각은 단일 렌즈로 이루어지거나, 렌즈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명계(120)는 광원(121)으로부터 빔스플리터(beam splitter; 122)에 의한 반사와 대물렌즈(112)를 공유하여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하며, 예컨대 피검자의 안저를 관찰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도록 한다. 여기서 광원(121)은 일례로 LED일 수 있다.
컬러필터(130)는 조명계(120)의 광 경로에 설치되는데, 예컨대 망막의 혈관 및 황반 등을 자세히 관찰하기 위한 레드 프리 이미징(red free imaging)을 구현할 수 있다.
빔스플리터(122)와 릴레이렌즈(113) 사이에는 제 1 편광판(141)이 설치될 수 있고, 컬러필터(130)와 빔스플리터(122) 사이에는 제 2 편광판(142)이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편광판(141,142)은 편광에 의해 망막의 이미징(imaging)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빔스플리터(122)에 마주 대하도록 브래킷(bracket; 15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브래킷(150)은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하는데, 빔스플리터(122)를 투과한 광의 산란효과를 유발하고, 후술하게 될 본체(160)의 파팅 라인(parting line)을 투과한 가시광의 반사 효과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브래킷(150)은 렌즈 축, 예컨대 접안렌즈(111)나 대물렌즈(112) 또는 릴레이렌즈(113)의 축에 대하여, 45도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빔스플리터(122)와 평행을 이룰 수 있는데, 브래킷에 있어서 톱니 패턴 유무와 설치 각도에 따른 망막 광세기 대비 노이즈 비율과 광원(121)인 LED 입력광 대비 노이즈 비율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며, 브래킷(150)에 있어서 톱니 미형성 구조와 45도 각도의 설치(실시례 1) 구조가 다른 비교례들(특히 톱니 형성 구조)과의 비교에서 노이즈 차단 비율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구분 톱니 여부 브래킷 설치
각도
망막 광세기
대비 노이즈 비율
LED 입력광
대비 노이즈 비율
비교례1 톱니 형성 30 0.078% 0.00124%
비교례2 톱니 형성 45 0.084% 0.00134%
비교례3 톱니 형성 0 0.087% 0.00139%
실시례1 톱니 미형성 45 0.081% 0.00129%
비교례4 톱니 미형성 30 0.100% 0.00160%
비교례5 톱니 미형성 0 0.780% 0.01200%
한편 브래킷(150)은 톱니를 미형성한 상기한 실시례 1과 달리, 다른 예로서 빔스플리터(122)를 향하는 면에 광의 산란을 위한 톱니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란하도록 다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투사계(110), 조명계(120) 및 컬러필터(130)는 본체(16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160)는 관찰자의 눈으로 피검자의 눈을 관찰시, 관찰자의 눈과 피검자의 눈 사이에 암실을 이루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축 상에 접안렌즈(111), 릴레이렌즈(113) 및 대물렌즈(112)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체(160)는 조명계(12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60)에는 포커싱노브(171)와 경통(172)이 설치될 수 있다. 포커싱노브(171)는 본체(1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경통(172)은 포커싱노브(171)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160)에 접안렌즈(111)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접안렌즈(111)가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포커싱노브(171)의 회전방향에 따라 경통(172)은 접안렌즈(111)와 함께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때, 포커싱노브(171)의 회전에 의해 접안렌즈(111)가 -20~20 디옵터(diopter)의 범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관찰자 및 피검자 눈의 굴절률은 서로 상이한데, 포커싱노브(171)와 경통(172)은 접안렌즈(111)의 이동에 의해 이를 보상하도록 한다. 또한, 20mm 이상의 안점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20디옵터 위치일 때를 기준으로 본체(160)를 설계할 수 있고, 이 경우, 20디옵터일 때 경통(172)은 가장 많이 돌출하게 된다. 포커싱노브(171)의 회전에 의해 경통(172)은 일례로 25mm의 스트로크(strok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60)에는 전환노브(180)가 설치될 수 있다. 전환노브(180)는 본체(160)에서 광 경로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회전 중심의 둘레에 상이한 컬러를 가지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컬러필터(130)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회전 중심의 둘레에 상이한 크기를 가지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어퍼처(aperture) 중에서 어느 하나가 광 경로에 위치하도록 회전 조작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체(160)에는 착탈 가능한 전원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전원부(190)는 본체(160)에 결합되되, 버튼(161)의 조작에 의해 분리되는 손잡이부(191)가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부(191)의 내측에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92)가 마련될 수 있다. 전원부(190)는 본체(160) 하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버튼(161)의 누름 조작에 의해 버튼(161)에 마련된 후크(162)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상단 양측에 걸림홈(19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90)는 상단에 광원(121)의 전원 공급을 위하여, 스프링(195)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접속핀(194)이 상단에 마련될 수 있고, 컬러필터(130) 측과의 접지를 위한 판스프링(196)이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전원부(190)는 배터리(192)가 축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변저항을 가진 제 1 PCB(197)와, 배터리(192)의 충전을 위한 제 2 PCB(198)가 손잡이부(191)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60)에는 코니어 렌즈 어셈블리(cornea lens assembly; 210)와, 아이컵(eye-cup; 220)이 설치될 수 있다. 코니어 렌즈 어셈블리(210)는 본체(160)에서 접안렌즈(111)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각막 관찰에 사용될 수 있는데, 기울어진 코니어렌즈(211)를 통해 광원(121)의 광을 각막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아이컵(220)은 코니어 렌즈 어셈블리(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망막 관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검안경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포커싱노브(17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초점을 구동하여 관찰자의 초점을 맞추는데, 아이컵(220)을 이용하여 조명을 집주하여 피검자의 망막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전환노브(18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원하는 어퍼처를 설정하거나, 레드 프리 이미징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망막의 혈관 및 황반 등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고, 망막의 이미징(imaging)이 용이하며, 노이즈 제거가 가능하고, 관찰자 및 피검자의 상이한 눈의 굴절률을 보상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검안의 신뢰성과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다양한 필터 및 어퍼처의 선택이 가능하고, 전원부의 편리한 사용 및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막이나 망막의 관찰에 유리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투사계 111 : 접안렌즈
112 : 대물렌즈 113 : 릴레이렌즈
120 : 조명계 121 : 광원
122 : 빔스플리터 130 : 컬러필터
141 : 제 1 편광판 142 : 제 2 편광판
150 : 브래킷 160 : 본체
161 : 버튼 162 : 후크
171 : 포커싱노브 172 : 경통
180 : 전환노브 190 : 전원부
191 : 손잡이부 192 : 배터리
193 : 걸림홈 194 : 접속핀
195 : 스프링 196 : 판스프링
197 : 제 1 PCB 198 : 제 2 PCB
210 : 코니어렌즈어셈블리 221 : 코니어렌즈
220 : 아이컵

Claims (8)

  1. 관찰자의 눈 측에 위치하는 접안렌즈와, 상기 접안렌즈와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피검자의 눈 측에 위치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접안렌즈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릴레이렌즈를 포함하는 투사계;
    광원으로부터 빔스플리터에 의한 반사와 상기 대물렌즈를 공유하여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하는 조명계;
    상기 조명계의 광 경로에 설치되는 컬러필터;
    상기 빔스플리터와 상기 릴레이렌즈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편광판; 및
    상기 컬러필터와 상기 빔스플리터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편광판;
    을 포함하는, 검안경.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빔스플리터에 마주 대하도록 설치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검안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렌즈 축에 대하여 45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검안경.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투사계, 상기 조명계 및 상기 컬러필터가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커싱노브; 및
    상기 포커싱노브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접안렌즈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접안렌즈가 내측에 설치되는 경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커싱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접안렌즈가 -20~20 디옵터의 범위를 가지도록 하는, 검안경.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투사계, 상기 조명계 및 상기 컬러필터가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광 경로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중심의 둘레에 상이한 컬러를 가지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컬러필터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회전 중심의 둘레에 상이한 크기를 가지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어퍼처 중에서 어느 하나가 광 경로에 위치하도록 선택하는 전환노브;
    를 더 포함하는, 검안경.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투사계, 상기 조명계 및 상기 컬러필터가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되, 버튼의 조작에 의해 분리되는 손잡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마련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검안경.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투사계, 상기 조명계 및 상기 컬러필터가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접안렌즈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막 관찰에 사용되는 코니어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코니어 렌즈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망막 관찰에 사용되는 아이컵;
    을 더 포함하는, 검안경.
KR1020150143148A 2015-10-14 2015-10-14 검안경 KR101712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148A KR101712337B1 (ko) 2015-10-14 2015-10-14 검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148A KR101712337B1 (ko) 2015-10-14 2015-10-14 검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337B1 true KR101712337B1 (ko) 2017-03-22

Family

ID=5849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148A KR101712337B1 (ko) 2015-10-14 2015-10-14 검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520A (ko) * 2020-11-16 2022-05-24 (주) 위키옵틱스 안과 치료용 uv 조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0347B2 (en) * 2001-02-14 2004-12-14 Welch Allyn, Inc Eye viewing device comprising eye cup
KR101457479B1 (ko) * 2014-09-03 2014-11-04 (주) 위키옵틱스 검안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0347B2 (en) * 2001-02-14 2004-12-14 Welch Allyn, Inc Eye viewing device comprising eye cup
KR101457479B1 (ko) * 2014-09-03 2014-11-04 (주) 위키옵틱스 검안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520A (ko) * 2020-11-16 2022-05-24 (주) 위키옵틱스 안과 치료용 uv 조사장치
KR102450617B1 (ko) 2020-11-16 2022-10-05 (주)위키옵틱스 안과용 uv 조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86424A (en) Monocular indirect ophthalmoscope
US79223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lluminating and viewing the anterior segment of an eye of a patient
US6361167B1 (en) Digital eye camera
EP1441640B1 (en) Imaging device for imaging a focal plane of a target within the eye through the pupil of the eye
CN209611102U (zh) 适配器和包含适配器的眼底照相系统
CA2496558C (en) Portable ophthalmic apparatus and ophthalmic system
US10078226B2 (en) Portable eye viewing device enabled for enhanced field of view
US11471048B2 (en) Tele-microscopic magnifying attachment for binocular indirect ophthalmoscopes
US20130178707A1 (en) Medical device
JP2008049165A (ja) 光学機器、本発明による光学機器の使用法、ならびに光学機器の観察光路において迷光反射を遮断する方法。
KR101712337B1 (ko) 검안경
US5838421A (en) Binocular direct opthalmoscope
KR100781665B1 (ko)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
JP2005168941A (ja) 眼科撮像方法、眼科光学アダプタ、および眼科光学装置
CN110353627B (zh) 一种双目检眼镜
KR200450417Y1 (ko) 검안장치
KR100796355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세극등 검사장치
CN212546906U (zh) 一种便携式离轴照明的自动对焦眼底成像装置
KR102140486B1 (ko) 망막 관찰용 조명장치 및 이를 가지는 안저 카메라
JP6198028B1 (ja) 検眼システム
KR102007658B1 (ko) 컬러 고스트 이미지가 감소된 검안기
Schirmer The upright fundus image in indirect ophthalmoscopy
JP2024520972A (ja) 眼内撮像のための3次元撮像デバイス
GB2310051A (en) Aligning the condensing lens and eyepiece of a binocular indirect ophthalmoscope
KR101325018B1 (ko) 직상의 간접검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