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042B1 -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 Google Patents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042B1
KR101712042B1 KR1020160009757A KR20160009757A KR101712042B1 KR 101712042 B1 KR101712042 B1 KR 101712042B1 KR 1020160009757 A KR1020160009757 A KR 1020160009757A KR 20160009757 A KR20160009757 A KR 20160009757A KR 101712042 B1 KR101712042 B1 KR 101712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ommunicating
central
sills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은호
Original Assignee
이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호 filed Critical 이은호
Priority to KR1020160009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0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0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02Means for connecting central heating radiators to circulation pipes
    • F24D19/0056Supplies from the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02Means for connecting central heating radiators to circulation pipes
    • F24D19/0056Supplies from the central heating system
    • F24D19/0058Supplies from the central heating system coming out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Abstract

A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comprises: a furnace below a room for burning fuel to produce heat; external holes interconnected to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urnace below a room and forming passages, the heights of which become higher from the ground along a proceeding direction of heat; internal holes interconnected to the inner sides of the outer holes and forming passages, the heights of which become higher from the ground along the proceeding direction of heat, switching the direction of heat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external holes; a central cavity interconnected to the internal holes to allow the heat passed through the inner holes to be collected and remain; and a chimney interconnected to the central cavity to allow the smoke to be emitted.

Description

반돌림 구들{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불씨가 꺼진 후에도 오랫동안 열기가 유지되고, 방 전체의 온도가 균일한 반돌림 구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emi-twist sleeves in which heat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even after the fire is turned off and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room is uniform.

구들은 아궁이를 통해 방 바닥 밑 부분에 열을 공급되고 이 열이 방 바닥 밑에 적층된 구들장의 열전도를 통해 방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난방시설이다.It is the representative heating system in Korea where the heat is supplied to the bottom of the room through the furnace and the heat is warmed through the heat conduction of the floor which is stacked under the floor of the room.

이러한 구들은 인체에 유리한 원적외선이 방출되고, 일반적인 온수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수맥과, 전기 장판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와 대비되는 장점이 있어서 최근 한옥의 각광과 더불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These spheres emit far infrared ray which is advantageous to the human body, and have advantages in comparison with water waves generated in a general hot water boiler and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an electric plate, and recently interest is increasing with the spotlight of Hanok.

보통 구들은 아궁이를 통해 연소된 열이 방 바닥 밑의 빈 공간인 고래로 공급되고 고래의 상부 즉, 방 바닥의 하부에 적층된 구들장의 열전도를 통해 방 바닥이 난방되는 구조이다. 또한 고래에 공급된 열의 일부는 고래를 통해 아궁이에 대향하는 굴뚝을 통해 외부로 연기와 함께 빠져나가게 된다.Usually, spheres are supplied to whales, which are empty spaces under the floor of the room, and the floor of the room is heated by the heat conduction of the upper floor of the whale, that is, the floor of the room. In addition, some of the heat supplied to the whale escapes through the chimney opposite the fireplace through the whale to the outside.

그런데 구들은 위에서 설명한 장점도 있지만 구들의 구조에 따라서 연소되어 공급된 열기가 오래 머물지 못하고 굴뚝을 통해 빠져나가 열효율 낮고, 불씨가 꺼진 후에는 급격히 방 바닥 온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ills have the advantages described above, but the heat supplied by the burns can not stay for a long time, escapes through the chimney, has a low heat efficiency, and has a problem of suddenly lowering the floor temperature after the fire is turned off.

또한, 아궁이에서 발생한 열기가 방 전체에 골고루 미치지 못하고 아궁이에 가까운 아랫목과 윗목의 온도차가 심해 사용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oven is not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room,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and upper legs close to the oven is severe.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아궁이를 통해 고래로 진입된 열에 의해 비교적 오랜 시간 방 바닥이 난방될 수 있고, 방 바닥 전체의 온도가 균일한 구조가 개선된 구들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Due to these problems, it is required to realize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floor can be heat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due to the heat entering the whale through the oven, and the structure of the entire bottom floor is uniform.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4432호Korean Patent No. 10-137443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305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3305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씨가 꺼진 후에도 열기가 오랫동안 유지되고, 방 바닥 전체의 온도가 균일한 반돌림 구들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mi-turned unit in which the heat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even after the fire is turned off and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floor of the room is unifor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땔감을 연소시켜 열기를 발생시키는 함실아궁이; 상기 함실아궁이와 좌,우 양측으로 연통되는 외측구들; 상기 좌, 우 양측의 외측구들의 내측 방향으로 각각 연통되며, 열기의 진행방향을 상기 외측구들과 반대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내측구들; 상기 좌, 우 양측의 내측구들과 연통되며, 상기 내측구들을 통과한 열기가 모여 머무르는 중앙개자리; 및 상기 중앙개자리와 연통되어 연기가 빠져나가는 굴뚝을 포함하는 반돌림 구들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ven for generating oven by burning firewood; Outer sidewalls communicating with both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f the chamber chamber; Inner sides communicating with inner sides of out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converting the progress direction of the heat in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uter sides; A central cannula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having the heat collected through the inner sides stay together; And a chimney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canopy and allowing smoke to escape.

상기 외측구들은 열기의 진행방향인 아랫목에서 윗목으로 갈수록 구들장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구들은 열기의 진행방향인 윗목에서 아랫목으로 갈수록 구들장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ills are inclined so that the height of the saddle is increas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inner sills are inclined so that the height of the saddle is increa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opening. have.

또한, 상기 외측구들은 열기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6~10%의 상향경사로 이루어지며 윗목의 상부에는 상기 외측구들을 지나온 열기가 모여 머무르는 제1 열고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구들은 열기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3~5%의 상향경사로 이루어지며 아랫목의 상부에는 상기 내측구들을 지나온 열기가 모여 머무르는 제2 열고임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idewalls are formed with an upward slope of 6 to 1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eat is progressed, a first heat sink space in which heat accumulated through the outer sidewalls collects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top, And a second open space in which the heat passing through the inner sills collects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또한, 상기 외측구들과 상기 내측구들의 연통은 상기 외측구들과 상기 내측구들의 경계뚝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열고임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열전달구멍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구들과 상기 중앙개자리의 연통은 상기 내측구들과 상기 중앙개자리의 경계뚝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열고임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열전달구멍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er sockets and the inner sphere is formed through a first heat transfer hole formed in a bottom of the outer sphere and the inner sphere and below the first slave cavit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openings and the central openings may be formed through the second heat transfer holes formed in the lower openings of the second openings.

또한, 상기 중앙개자리의 중앙부에는 열기로부터 열전달을 받을 수 있는 다수의 기둥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illars capable of receiving heat transfer from the heat can be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ntral canopy.

또한, 상기 굴뚝은 상기 중앙개자리와 연통되는 수평통과 상기 수평통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수직통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통과 상기 수직통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수평통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통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역류하여 들어온 찬공기가 상기 수평통으로 직접 들어가지 않고 머무를 수 있는 역류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imney may include a horizontal passage vert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canopy, and a vertical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horizontal passage vertically, wherein a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bar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orizontal passage, The backflow preventing portion can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barrel so that the cold air flowing backward from the outside can not enter directly into the horizontal barre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함실아궁이에서 발생한 열기가 지나는 구들의 길이를 길게 하여 충분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어 열효율이 높고 불씨가 꺼진 후에도 장시간 동안 온돌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sufficient heat transfer by lengthening the length of the holes through which the heat generated in the chamber is extend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ondol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even after the fire is turned off.

또한, 열기의 이동과 온도에 따라 아랫목과 윗목, 외측구들과 내측구들 및 중앙개자리의 방바닥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윗목과 아랫목의 온도차를 줄이고 방 전체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egs was reduced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lower and upper legs, the outer and inner legs, and the central canine according to the movement and temperature of the hea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body was maintained uniformly.

또한,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아 혈액순환 촉진 등 인체에 여러 가지 약리 작용 및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황토로 시공되어 건강에 도움이 되는 구들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has a high infrared emissivity of far-infrared rays, and it is provided with various kinds of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promotion of blood circulation and various pharmacological actions and beneficial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돌림 구들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돌림 구들의 정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반돌림 구들의 외측구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반돌림 구들의 내측구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돌림 구들의 중앙개자리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돌림 구들의 내부 평면도이다.
FIG. 1 is an internal plan view of semi-twisted sec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semi-turning tools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semi-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spheres of the semi-twisted seg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alf tur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internal plan view of semi-twisted sec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Of course.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반돌림"은 아궁이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연기의 좌,우 양측으로 반씩 나누어 보내되, 외측구들(20)의 진입에 앞서 반 바퀴 회전된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The term " half-turn "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s used to mean that half of the heat generated from the furnace is divided into two halve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moke, and is rotated half a turn prior to the entry of the outer halves 20.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돌림 구들의 내부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반돌림 구들의 정면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반돌림 구들의 외측구들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반돌림 구들의 내측구들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반돌림 구들의 중앙개자리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돌림 구들의 내부 평면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of the semi-twisted se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structural view of the semi-twisted sections of FIG. 1, FIG. 3 is a cross-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spheres of the semisphe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misphe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inner plan view of semispher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돌림 구들은, 연료를 연소시켜 열기를 발생시키는 함실아궁이(10)와, 함실아궁이(10)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외측구들(20)과, 외측구들(20)과 연통되도록 외측구들(20)의 내측으로 연결되는 내측구들(30)과, 내측구들(30)을 통과한 열기가 모여 머무르는 중앙개자리(40) 및 연기가 빠져나가는 굴뚝(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emicircular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avity chamber 10 for generating heat by burning fuel, outer soles (not shown) connected to the cavity chamber 10 An inner mouth 30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sheds 2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sheds 20 and a central canopus 40 in which the heat passed through the inner sheds 30 stay, And an outgoing chimney 50.

함실아궁이(10)는 아궁이뚝(11)과 고래뚝으로 이루어진 함체형태이고 좌,우로 공간이 확보되어 종래의 아궁이보다 많은 양의 땔감을 넣을 수 있다. 일단 땔감에 불이 붙으면 땔감을 추가로 넣은 후 불문(미도시) 조절을 통해 오랫동안 서서히 연소되도록 하여 열기가 오래가도록 할 수 있다. The Hamsilvia (10) is an enclosed form of an eggplant (11) and a whale pile. Space is secured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a larger amount of firewood can be placed than conventional eggshells. Once the firewood is on fire, you can add firewood and control the fire (not shown) so that it burns slowly for a long time.

함실아궁이(10)에서 발생한 열기는 외측구들(20)을 통해 윗목으로 이동하고 제1 열전달구멍(h1)을 통해 내측구들(30)에 유입되며 방향을 전환하여 윗목에서 다시 아랫목을 이동한 후 제2 열전달구멍(h2)을 통해 중앙개자리(40)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의 반돌림 구들은 이와 같이 종래처럼 아랫목에서 윗목으로 이동한 열기가 바로 굴뚝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열기가 이동하는 구들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열기가 오랫동안 구들에 머물며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eat generated in the cabinet 10 moves to the upper leg through the outer legs 20 and flows into the inner legs 30 through the first heat transfer opening h1, 2 through the heat transfer holes h2. In the semi-turning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does not directly escape into the chimney, but the length of the holes in which the heat is moved is long so that the heat can stay in the holes for a long time and heat can be transferred.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돌림 구들은 외측구들(20)과 내측구들(30), 중앙개자리(40)의 상부에 각각 외측구들장(22), 내측구들장(32), 중앙구들장(42)이 적층되고, 그 위에 외측바닥재(23), 내측바닥재(33), 중앙바닥재(43)가 각각 적층되는 구조이다. 바닥재(23, 33 ,43)의 상부에는 황토재(F)가 시공된다. 황토는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아 혈액순환 촉진 등 인체에 여러 가지 약리 작용 및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며, 습도를 조절하는데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에 함유된 효소는 항균작용이 뛰어나 세균과 곰팡이균을 없애줘 건강이 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emicircular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with outer grooves 22, inner grooves 32, central grooves (not shown) at upper portions of the outer grooves 20, inner grooves 30, 42 are stacked, and an outer bottom 23, an inner bottom 33, and a center bottom 43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The clay material (F) is applied to the top of the bottom material (23, 33, 43). Hwangto has many infrared pharmacological effects and beneficial effects on human body such as promoting blood circulation because of high infrared emissivity. In addition, the enzyme contained in the loess is excellent in antimicrobial activity, and it is said that it is beneficial to health by eliminating bacteria and fungus.

본 실시예의 외측바닥재(23), 내측바닥재(33), 중앙바닥재(43)는 고래를 지나가는 열기의 온도에 변화에 따라 두께가 모두 다르고, 윗목과 아랫목의 바닥재(23, 33 ,43) 두께 또한 다르게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방바닥 전체의 온도를 고르게 할 수 있고, 열기가 최대한 오래 머물며 충분히 열을 전달할 수 있다.The thicknesses of the outer floor 23, the inner floor 33 and the central floor 43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passing through the whale and the thicknesses of the bottoms 23, Differently. With this structure,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floor can be made even, and the heat can stay for a long time and the heat can be sufficiently transmitted.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외측구들(20)은 외측고래뚝(21)과 외측구들장(22)으로 구성되고, 함실아궁이(10)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연결되어 함실아궁이(10)에서 발생한 열기와 연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3 together, the outer sheds 20 are composed of an outer whitetail 21 and an outer shed 22 and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dewall 10 to form the heat and smoke generated in the siphon 10 Thereby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gas flows.

외측구들(20)은 열기와 연기의 진행방향, 즉, 윗목으로 갈수록 외측구들장(22)의 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마련된다. 즉, 외측고래뚝(21)과 외측구들장(22)은 열기의 진행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형성한다. 외측구들(20)의 경사크기는 6~10%이며, 바람직하게는 8%로 형성되고, 외측구들(20)의 바닥 또한 열기의 진행방향으로 동일한 경사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외측구들(20)을 경사지게 하는 이유는 뜨거운 열기가 이동하며 상승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것에 맞추어 고래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함실아궁이(10)에서 발생한 뜨거운 열기를 빠르게 윗목으로 이동시켜 윗목과 아랫목의 온도차이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윗목으로 이동한 뜨거운 열기는 열고임공간(24)에 모인 상태로 일정시간 머무른다.The outer sills 20 are provid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outer saddle 22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direction of the heat and smoke, that is, toward the top. That is, the outer whorl bank 21 and the outer areola 22 form an upward slope in the direction of the heating. The inclination of the outer peripheries 20 is 6 to 10%, preferably 8%, and the bottom of the outer peripheries 20 also forms the same inclination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heat. The reason for tilting the outer peripheries 20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whale is inclined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ion of the upward flow of the hot air as the hot air moves and thereby the hot air generated in the air chamber 10 is quickly moved to the top, This is to redu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The hot heat, which has moved to the top, opens and stays in the space (24)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한편, 외측구들장(22)의 상부에는 주로 자갈과 모래로 된 외측바닥재(23)가 수평으로 채워진다. 외측구들장(20)이 경사짐에 따라 외측바닥재(23)의 두께는 아랫목이 두껍고 윗목으로 갈수록 얇아진다. 즉, 상대적으로 열기의 온도가 높은 함실아궁이(10) 쪽인 아랫목은 방바닥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온도가 낮은 윗목은 방바닥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방바닥 두께가 얇은 윗목은 제1 열고임공간(24)에 고여있는 뜨거운 열기로부터 열을 전달받기 때문에 아랫목과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floors 23 mainly made of gravel and sand are horizontally fi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outer areola 22. As the outer canopy 20 is inclined, the thickness of the outer floor 23 becomes thicker and thinner toward the uppermost point. That is, the floor of the lower chamber is relatively thick and the thickness of the lower floor of the lower chamber is thinner than that of the lower chamber. Since the thick upper layer of the floor receives heat from the hot heat accumulated in the first space 24,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lower part.

도 4을 참조하면, 외측구들(20)을 지나온 열기는 제1 열고임공간(24)에서 일정시간 열을 전달한 후 온도가 내려가면서 하강하여 외측구들(20)과 내측구들(30)의 경계뚝에 형성된 제1 열전달구멍(h1)을 통해 내측구들(30)로 유입된다. 제1 열전달구멍(h1)은 외측구들(20)의 제1 열고임공간(24) 바로 아래에 형성된다. 즉, 아랫목의 외측구들장(22)이 시작되는 부분으로부터 수평선을 그었을 때 수평선 바로 아랫부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구들(20)을 지나온 열기 중 높은 온도의 열기는 외측구들(20)의 상부에 모이게 된고, 외측구들장(22)과 외측바닥재(23)에 열이 전달된 후 어느 정도 온도가 떨어진 열기는 제1 열전달구멍(h1)을 통해 내측구들(30)로 유입된다.Referring to FIG. 4, the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outer sidewalls 20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heat sink space 24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n is lowered at a lower temperature to form a boundary between the outer sidewalls 20 and the inner sidewalls 30 Through the first heat transfer holes h1 formed in the inner holes 30. The first heat transfer holes h1 are formed immediately below the first open top spaces 24 of the outer sills 20. [ That is, when the horizon is drawn from the portion where the outer shoulder 22 of the bottom is started, it is directly below the horizon. As described above, the heat of the high temperature during the heating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outer sills 20 is collected at the upper part of the outer sills 20, and the heat is transmitted to the outer saddle 22 and the outer bottom 23, And the heat that has dropped away flows into the inner sills 30 through the first heat transfer holes h1.

내측구들(30)은 외측구들(20)로부터 유입된 열기와 연기가 방향을 바꾸어 다시 아랫목 쪽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내측구들(30)도 외측구들(20)과 같이 열기와 연기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진다. 경사의 기울기는 3~5%이며, 바람직하게는 4%로 형성된다. 외측구들(20)의 경사보다 작은 이유는, 열기가 윗목에서 아랫목으로 향하는 만큼, 윗목의 온도를 충분히 높이기 위해 열기의 이동속도를 늦출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The inner sidewalls 30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eat and the smoke introduced from the outer sidewalls 20 are changed in direction and then moved toward the bottom. The inner sills 30 are inclin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inner sills 30 increases toward the direction of the heat and smoke as the outer sills 20. [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ation is 3 to 5%, preferably 4%. The reason for this is because the heat is mov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order to sufficiently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top so as to slow the moving speed of the heat.

내측구들(30) 또한 내측고래뚝(31)과 내측구들장(32)이 경사짐에 따라 내측구들장(32)의 상부에 채워지는 내측바닥재(33)의 두께가 아랫목으로 갈수록 얇아진다. 아랫목으로 올수록 열기의 온도가 떨어지지만 방바닥을 형성하는 내측바닥재(33)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방바닥의 온도를 윗목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내측구들(30)을 지나온 열기는 제2 열고임공간(34)에 일정시간 머물며 내측구들장(32)과 내측바닥재(33)에 열을 전달한다.The thickness of the inner side floors 33 fi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ide girder 32 becomes thinner toward the lower side as the inner whale piles 31 and the inner lower side girder 32 are inclined. Although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goes down to the lower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floor can be kept constant with the upper temperature as the thickness of the inner bottom 33 forming the floor becomes thinner. The hea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ner sills 30 remains in the second sump space 34 for a period of time and transfers heat to the inner shed 32 and the inner sidewall 33.

도 5를 참조하면, 내측구들(30)을 지나온 열기와 연기는 제2 열전달구멍(h2)을 통해 중앙개자리(40)로 유입된다. 제2 열전달구멍(h2) 또한 내측구들(30)과 중앙개자리(40)의 경계뚝에 형성되고, 제2 열고임공간(34)의 열기가 일정시간 머물며 열을 전달하고 온도가 하강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제2 열고임공간(34) 바로 아래에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heat and smoke passing through the inner sills 30 flow into the central canopy 40 through the second heat transfer hole h2. The second heat transfer opening h2 is also formed in the boundary between the inner openings 30 and the central openings 40. The heat of the second open space 34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econd openable space 34 is formed.

중앙개자리(40)는 열기가 충분히 오래 머무르며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형성되고, 중앙고래뚝(41)과 중앙구들장(42)이 수평으로 놓여 짐에 따라 중앙바닥재(43)의 높이도 수평하게 형성된다.The center canopy 40 is horizontally formed so that the heat stays long enough to transmit heat and the height of the central floors 43 is adjusted horizontally as the central whale bank 41 and the central canopy field 42 are laid horizontally .

중앙개자리(40)에는 다수의 기둥(45)이 세워진다. 기둥(45)은 열기의 진행을 막아 열기가 최대한 중앙개자리(40)에 오래 머무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중앙개자리(40)에 진입한 열기는 기둥과 중앙구들장(42)에 충분히 열을 전달하고, 연기는 굴뚝(50)을 통해 빠져나간다.A plurality of pillars (45) are installed in the central canopy (40). The pillars 45 are provided to prevent the heat from proceeding and to allow the heat to stay in the central canopy 40 as long as possible. The heat entering the central canopy 40 transfers sufficient heat to the pillars and central canopy 42, and the smoke exits through the chimney 50.

굴뚝(50)은 수평통(51)과 수직통(52)으로 구성된다. 수평통(51)은 중앙개자리(40)의 연기가 수직통(52)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중앙개자리(40)와 수직통(52)을 연결한다. 수평통(51)의 입구 높이는 중앙구들장(42) 높이로부터 바닥방향으로 1/3 지점에 형성되어 상부의 뜨거운 열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The chimney (50) is composed of a horizontal cylinder (51) and an orthogonal cylinder (52). The horizontal bar 51 connects the central canvas 40 and the vertical bar 52 such that the smoke of the central canvas 40 escapes through the vertical bar 52. The height of the inlet of the horizontal bar 51 is formed at a position 1/3 from the height of the center girder 42 to the bottom to prevent hot air from escaping from the upper portion.

수평통(51)과 수직통(52)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돌출부(51a)가 형성된다. 돌출부(51a)는 수평통(51)의 일부가 수직통(52) 안까지 연장되는 부분이다. 돌출부(51a)는 외부의 찬바람이 수직통(52)의 상부를 통해 역류하여 들어올 때 걸림턱을 형성하여 찬바람이 수평통(51)을 통해 중앙개자리(40)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 protrusion 51a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horizontal bar 51 and the vertical bar 52 are connected. The projecting portion 51a is a portion where a part of the horizontal bar 51 extends into the vertical bar 52. The projecting portion 51a is for preventing a cold wind from entering the central canopy 40 through the horizontal bar 51 by forming a catching jaw when the external cold wind flows back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barrel 52. [

수직통(52)은 중앙개자리(40)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수평통(51)과 수직으로 연결된다. 수직통(52)의 하부에는 역류방지부(52a)가 마련된다. 역류방지부(52a)는 수직통(52)의 상부를 통해 역류하여 들어오는 찬공기가 내려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다. 역류방지부(52a)의 바닥은 함실아궁이(10)의 바닥높이 이하로 형성되어야 역류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외부로부터 들어온 찬공기는 수평통(51)으로 직접 들어가지 않고 역류방지부(52a)에 머물며 온도가 상승한 후 다시 외부로 배출되거나 수평통(51)으로 유입된다.The vertical barrel 52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51 by discharging the smoke of the central canvas 40 to the outside. A backflow prevention portion 52a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bar 52. The backflow prevention portion 52a is a space through which the cold air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bar 52 can come down. The bottom of the backflow prevention portion 52a should be formed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floor height of the chamber-side oven 10 to exhibit a backflow prevention effect. The cold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does not directly enter the horizontal bar 51 but stays in the backflow preventing portion 52a. After the temperature rises, the cold air again flows out to the outside or into the horizontal bar 51.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육각정자에 설치되는 반돌림 구들의 내부 구조도이다. FIG. 6 is an internal structural view of half-turn tools installed in a hexagonal sperm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농어촌에는 마을 주민들이 친목을 도모할 수 있는 정자가 설치되어 있고, 최근 조경용으로 마당에 정자를 설치하는 가정이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정자는 기온이 떨어지는 시기에는 정자 바닥이 차가워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자에 반돌림 구들을 설치하면 기온이 떨어지는 시기에 불을 집혀 사용함으로써 년 중 사용기간을 늘일 수 있고, 장마철에는 농작물을 건조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In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spermatozoa where the villagers can socialize are installed. Recently, there are more households that install sperm in the yard for gardening. These spermatozoa have a problem that the sperm bottom is cold and difficult to use when the temperature drops. However, as in this embodiment, by installing semi-spherical spheres in the sper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eriod of use during the year by using the fire during the period when the temperature is low, and to use the seasonal fertilizer to dry the crops.

본 실시예의 반돌림 구들은 전 실시예와 같이 함실아궁이(60)와, 외측구들(70), 내측구들(80), 중앙개자리(90), 굴뚝(50)으로 구성되며, 외측구들(70)와 내측구들(80)가 육각 정자의 형태에 맞추어 각진 형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emicircular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mposed of a hollow chamber 60, outer sides 70, inner sides 80, a central canopy 90 and a chimney 50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inner sphere 80 and the inner sphere 80 are angl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hexagonal sperm, so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반돌림 구들은 함실아궁이(10)에서 발생한 열기가 아랫목에서 윗목으로 연결되는 외측구들(20)과 윗목에서 아랫목으로 연결되는 내측구들(30)을 지나고 다시 중앙개자리(40)에 모이도록 하여 열기가 지나는 구들의 길이를 길게 하였다. 따라서 열기가 구들을 지나며 충분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어 열효율이 높고 장시간 동안 온돌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twisted sections include the outer sidewalls 20 connected to the upper leg from the lower leg and the inner sidings 30 connected to the lower leg from the upper sidewall, (40), so that the length of the openings is extended. Therefore, heat can pass through the spheres and sufficient heat transfer can be made, so that the thermal efficiency is high and the temperature of the ondol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또한, 열기의 이동과 온도에 따라 아랫목과 윗목, 외측구들(20)과 내측구들 (30) 및 중앙개자리(40)의 방바닥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윗목과 아랫목의 온도차를 줄이고 방 전체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였다.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egs can be reduc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bottom and top, outer legs 20, inner legs 30 and central canopus 4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eat and the temperature, .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함실아궁이 20: 외측구들
30: 내측구들 40: 중앙개자리
50: 굴뚝
10: The chamber of the chamber 20: The outer spheres
30: medial side 40: central dogleg
50: chimney

Claims (6)

땔감을 연소시켜 열기를 발생시키는 함실아궁이;
상기 함실아궁이와 좌,우 양측으로 연통되는 외측구들;
상기 좌, 우 양측의 외측구들의 내측 방향으로 각각 연통되며, 열기의 진행방향을 상기 외측구들과 반대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내측구들;
상기 좌, 우 양측의 내측구들과 연통되며, 상기 내측구들을 통과한 열기가 모여 머무르는 중앙개자리; 및
상기 중앙개자리와 연통되어 연기가 빠져나가는 굴뚝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구들은 열기의 진행방향인 아랫목에서 윗목으로 갈수록 구들장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6~10%의 상향경사로 이루어지며 윗목의 상부에는 상기 외측구들을 지나온 열기가 모여 머무르는 제1 열고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구들은 열기의 진행방향인 윗목에서 아랫목으로 갈수록 구들장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3~5%의 상향경사로 이루어지며 아랫목의 상부에는 상기 내측구들을 지나온 열기가 모여 머무르는 제2 열고임공간이 형성되는 반돌림 구들.
A fireplace that burns firewood to generate heat;
Outer sidewalls communicating with both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f the chamber chamber;
Inner sides communicating with inner sides of out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converting the progress direction of the heat in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uter sides;
A central cannula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having the heat collected through the inner sides stay together; And
And a chimney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canopy and allowing the smoke to escape,
The outer sills are inclined at an upward slope of 6 to 10% so that the height of the saddle is increas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which i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heat, and a first heat sink space in which the heat passing through the sills is accumulate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top. ,
The inner sills are inclined at an upward slope of 3 ~ 5% so that the height of the saddle is increa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opening, and the second open space is formed at the top of the bottom so that the heat accumulated in the inner sills collects. Half-rounded spher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구들과 상기 내측구들의 연통은 상기 외측구들과 상기 내측구들의 경계뚝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열고임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열전달구멍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구들과 상기 중앙개자리의 연통은 상기 내측구들과 상기 중앙개자리의 경계뚝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열고임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열전달구멍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반돌림 구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er sockets and the inner sphere is formed through a first heat transfer hol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first sockets and the inner sockets and through a first heat transfer hol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first sockets, Where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openings and the central openings is formed through a second heat transfer 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pen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개자리의 중앙부에는 열기로부터 열전달을 받을 수 있는 다수의 기둥이 형성되는 반돌림 구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pillars capable of receiving heat transfer from the heat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entral canop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뚝은 상기 중앙개자리와 연통되는 수평통과 상기 수평통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수직통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통과 상기 수직통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수평통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통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역류하여 들어온 찬공기가 상기 수평통으로 직접 들어가지 않고 머무를 수 있는 역류방지부가 형성되는 반돌림 구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imney includes a horizontal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canopy, and a horizontal passage vert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horizontal passage, wherein the horizontal passage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vertical passage, a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passage is formed, Wherein the backflow prevention part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cold air flowing backward from the outside can not enter directly into the horizontal barrel.
KR1020160009757A 2016-01-27 2016-01-27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KR1017120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757A KR101712042B1 (en) 2016-01-27 2016-01-27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757A KR101712042B1 (en) 2016-01-27 2016-01-27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042B1 true KR101712042B1 (en) 2017-03-03

Family

ID=5841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757A KR101712042B1 (en) 2016-01-27 2016-01-27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04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261B1 (en) * 2006-09-22 2007-09-04 이학수 The floor circle
KR20130033057A (en) 2011-09-26 2013-04-03 인슐래드 아시아 주식회사 Improved structure for korean floor heating system
KR101374432B1 (en) 2013-03-07 2014-03-19 문재남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with multi-layer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261B1 (en) * 2006-09-22 2007-09-04 이학수 The floor circle
KR20130033057A (en) 2011-09-26 2013-04-03 인슐래드 아시아 주식회사 Improved structure for korean floor heating system
KR101374432B1 (en) 2013-03-07 2014-03-19 문재남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with multi-layer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432B1 (en)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with multi-layer structure
KR101000802B1 (en) Korean floor heating system
KR101775465B1 (en) A Goodeul System
KR101917982B1 (en)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with three heat flow line of Aja-Gorae
US1313085A (en) Combined andirons, radiator, and ventilator.
KR100896722B1 (en) Firewood conbustion-type movable formentation room
KR101712042B1 (en)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KR100755261B1 (en) The floor circle
KR20100118844A (en) Gudle structure
KR20130033057A (en) Improved structure for korean floor heating system
KR20160134420A (en) Ondol type heating structure with assembly and moving type house
KR101556446B1 (en) A Multifunctional Cooling-Heating Device
KR20090086889A (en) The system of multifunctional hypocaust
KR101448226B1 (en) Double-floor heating structure using a floor-heating
CN209428461U (en) The furnace body unit and coke oven of coke oven
KR102182085B1 (en) Hypocaust heating apparatus
KR101530596B1 (en) Korean floor heating device
CN206547607U (en) A kind of water system parrot incubator
KR101468799B1 (en) Yellow soil bed having water supply device
KR101744274B1 (en) Movable wellbeing fomentation house
KR20150146002A (en) Hot-water heating systems utilizing rocket stove
KR102134556B1 (en) the heating system for a korean floor type heater bed
KR102463614B1 (en) Korean floor heating system
KR200356663Y1 (en) The briquet-fired boiler for a greenhouse
CN202232522U (en) Heat insulation device for chicken f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