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976B1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976B1
KR101711976B1 KR1020130000676A KR20130000676A KR101711976B1 KR 101711976 B1 KR101711976 B1 KR 101711976B1 KR 1020130000676 A KR1020130000676 A KR 1020130000676A KR 20130000676 A KR20130000676 A KR 20130000676A KR 101711976 B1 KR101711976 B1 KR 10171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erminal
case
auxiliary
auxiliar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179A (ko
Inventor
권민형
서용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2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케이스, 케이스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 및 캡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단자부는 캡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전극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플레이트 및 캡 플레이트에 단자 플레이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전류 패스를 따라 흐르는 전류를 줄이기 위한 복 수의 개구들이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부의 구조를 개선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 또는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는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차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전지 모듈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원통형과 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차 전지는 원통형 또는 각형 등의 모양인 케이스에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어 전극 조립체가 이 물질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케이스의 외부에서 도전성 이물질(예: 도전성 못) 등이 케이스 및 전극 조립체에 침투하게 되면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는 음극 및 양극이 단락될 수 있다.
여기서, 이차 전지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케이스 및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케이스를 관통하여 전극 조립체에 침투한 도전성 이물질에 의하여 음극 및 양극 간에 단락이 발생하고 도전성 이물질과 케이스 및 단자 사이에 전류 패스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의 단자를 통하여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된 전류가 케이스의 내부의 전극 조립체에 침투한 도전성 이물질로 되돌아 오게 되면, 도전성 이물질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도전성 이물질에 발생되는 열이나 아크 등에 의하여 전극 조립체가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전성 이물질의 침투에 의해 발생되는 이차 전지 내부의 단락에 의해 이차 전지의 외부로 배출되는 전류가 이차 전지 내부로 다시 돌아오는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케이스, 케이스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 및 캡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단자부는 캡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전극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플레이트 및 캡 플레이트에 단자 플레이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전류 패스를 따라 흐르는 전류를 줄이기 위한 복 수의 개구들이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복 수의 개구들은 보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복 수의 홀들일 수 있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는 메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쉬 구조는 복 수의 홀들을 규정하는 복 수의 메쉬 가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는 메쉬 구조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는 메쉬 구조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는 보조 플레이트와 단자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는 단자 플레이트와 동일 평면에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복 수의 개구들은 보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복 수의 홈들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홈은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볼록부는 단자와 마주보고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는 단자 플레이트와 동일 평면에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플레이는 캡 플레이트와 동일 평면에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는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류 패스는 케이스와 전극 조립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자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보조 플레이트의 표면의 면적은 보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단자 플레이트의 표면의 면적과 같거나 클 수 있다.
또한, 단자 플레이트는 캡 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는 캡 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자 플레이트는 보조 플레이트를 경유하여 캡 플레이트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단자 플레이트는 양극 단자 플레이트이고,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단자부는 단자 플레이트를 전극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부재 및 단자 플레이트를 경유하는 것을 제외하고 단자 부재를 상기 캡 플레이트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단자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 전지의 내부에서 흘러나온 전류가 도전성 이물질로 되돌아 오는 양을 줄 일 수 있으므로, 도전성 이물질에 발생하는 열 또는 아트 등에 의해 이차 전지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이물질이 관통한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에서 II-II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에서 III-III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차 전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종래의 이차 전지를 도전성 물질이 관통하였을 때 이차 전지 내부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전성 물질이 관통하였을 때 이차 전지 내부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있어서,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층 또는 영역의 치수는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하나의 층 또는 요소가 다른 층 또는 기재의 “위에” 있다고 하는 것은 직접적으로 위에 있거나, 그 사이에 또 다른 층을 개재하여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그리고, 하나의 층이 다른 층의 “아래”에 있다고 하는 것은 직접적으로 아래에 있거나,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층을 개재하여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나아가, 하나의 층이 두 개의 층들 “사이”에 있다고 하는 것은 그 하나의 층이 두 개의 층들 사이의 유일한 층이거나,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층이 개재하여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이물질이 관통한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에서 II-II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100)는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 사이에 세퍼레이터(13)를 개재하여 귄취되어 형성된 전극 조립체(10), 전극 조립체(10)가 내장되는 케이스(26), 전극 조립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30)와 제2 단자부(40) 및 케이스(26)에 형성된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20) 및 케이스(26) 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하부 절연부재들(60, 8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서 각형인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의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1)은 음극으로 제2 전극(12)은 양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제1 전극(11)은 양극으로 제2 전극(12)은 음극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음극과 양극 대신에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극 조립체(10)는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 및 세퍼레이터(13)를 함께 권취함으로써 젤리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은 각각 박판의 금속 호일로 이루어지는 집전체와, 각각의 집전체의 표면에 코팅되는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은 집전체에 활물질이 코팅되는 코팅부와, 집전체에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는 제1 전극 무지부(11a) 및 제2 전극 무지부(12a)로 구획될 수 있다. 코팅부는 전극 조립체(10)에서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의 대부분을 형성하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무지부(11a, 12a)는 젤리롤 상태에서 코팅부의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전극 조립체(10)은 복수 개의 시트(sheet)로 이루어진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이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10)의 제1 전극 무지부(11a)에는 제1 단자부(30)가 제1 집전부재(50)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 무지부(12a)에는 제2 단자부(40)가 제2 집전부재(70)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자부(30)는 제1 전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단자부(40)는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6)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면에는 개방된 개구가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는 원통형, 파우치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캡 플레이트(20)는 얇은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케이스(26)의 개구에 결합되어 개구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캡 플레이트(20)에는 밀폐된 케이스(26)의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하는 전해액 주입구(21)가 형성될 수 있고, 전해액 주입구(21)는 전해액 주입 후, 밀봉마개(22)에 의하여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캡 플레이트(20)에는 밀폐된 케이스(26)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일 때 파단되는 벤트 플레이트(24)가 설치되는 벤트 홀(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자부(30, 40)는 제1 및 제2 단자 부재들(31, 41)(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리벳이라 함), 제1 및 제2 단자 플레이트(32, 42), 제1 및 제2 단자 연결기둥(33, 43), 제1 및 제2 가스켓(34, 44)(또는 단자 가스켓들 이라고도 함), 단자 절연부재(35) 및 보조 플레이트(45)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리벳(31, 41) 각각은 제1 및 제2 기둥부(31a, 41a), 제1 및 제2 플랜지 부(31b, 41b) 및 제1 및 제2 결합 돌기(31c, 41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벳(31, 41)의 제1 및 제2 결합 돌기(31c, 41c)는 제1 및 제2 집전부재(50, 70)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리벳(31, 41)은 제1 및 제2 집전부재(50, 70) 각 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단자 플레이트(32, 42)는 제1 및 제2 리벳(31, 41)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단자 연결기둥(33, 43)은 제1 및 제2 단자 플레이트(32, 4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리벳(31, 41)은 전극 조립체(10)를 제1 및 제2 단자 플레이트(32, 4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 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가스켓(34, 44)은 제1 및 제2 리벳(31, 41)과 캡 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리벳(31, 41)과 캡 플레이트(2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단자 절연부재(35)는 제1 단자 플레이트(32)와 캡 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단자 플레이트(20)와 캡 플레이트(20)를 절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플레이트(45)는 제2 단자 플레이트(42)와 캡 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플레이트(45)와 제2 단자 플레이트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2 단자 플레이트(42)와 보조 플레이트(45)는 캡 플레이트(20)와 마주보고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플레이트(45)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캡 플레이트(20)는 보조 플레이트(45)를 매개로 제2 집전부재(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26)는 캡 플레이트(20)를 매개로 하여 제2 전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극(12)의 극성(양극 또는 음극)에 따라 캡 플레이트(20)가 가지는 극성(양극 또는 음극)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집전부재(50, 70) 각각은 제1 및 제2 전극(11, 12)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전극 결합부(51, 71)와 제1 및 제2 단자부(30, 40)의 제1 및 제2 결합돌기들(31c, 41c)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단자 결합홈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단자 결합부(52, 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하부 절연부재(60, 80)는 케이스(26)의 내부에서 캡 플레이트(2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단자부(30)는 플레이트 타입의 단자가 아닌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에서 III-III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이차 전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 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 따른 제1 전극(11)은 전극 조립체(10)의 외곽 표면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1)은 음극으로 구성되고 제2 전극(12)은 양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극(12)과 제2 단자부(4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스(26)는 양극으로 대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자 플레이트(42)는 케이스(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 단자 플레이트일수 있다.
또한, 양극으로 대전된 케이스(26)와 음극으로 구성된 제1 전극(11)은 세페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전극(11)은 양극으로 구성되고 제2 전극(12)은 음극으로 구성되어 제2 전극(12)과 제2 단자부(4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스(26)는 음극으로 대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케이스(26)가 양극으로 대전될 때, 도전성 이물질(90)의 침투에 의하여 케이스(26), 제1 전극(11), 제2 단자부(40) 및 도전성 이물질(90) 사이에 형성되는 전류 패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으로 대전된 케이스(26)의 일 측면을 관통한 도전성 이물질(90)은 전극 조립체(10)의 절연성의 세퍼레이터(13), 음극으로 구성된 제1 전극(11)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양극으로 대전된 케이스(26)를 관통하는 도전성 이물질(90)은 케이스(26)에 의하여 양극으로 대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이물질(90)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를 관통하게 되면 음극으로 구성되는 제1 전극(11), 양극으로 대전된 케이스(26), 양극으로 대전된 도전성 이물질(90) 및 양극으로 구성되는 제2 전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부(40) 사이에는 전류가 연속적으로 흐르는 전류 패스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집전체(10) 내부의 전류는 음극으로 구성되는 제1 전극(11)에서 케이스(26) 캡 플레이트(20) 위에 설치된 제2 단자부(40)를 통하여 전극 집전체(10)의 외부로 흘러나가고, 제2 단자부(40)를 통하여 흘러나온 전류는 케이스(26)를 매개로 하여 도전성 이물질(90)를 통하여 전극 집전체(10)의 내부로 흘러 들어올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자부(40)의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보조 플레이트(45)는 메쉬 구조(45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쉬 구조(451)는 복 수의 메쉬 가닥(451a) 및 복 수의 메쉬 홀(451b)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쉬 가닥(451a)은 수백 혹은 수천개의 메쉬 홀(451b)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수 또는 가느다란 두께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메쉬 구조(451)에서의 전류가 소비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도전성 이물질(90)이 케이스(26), 제1 전극(11)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때 전극 집전체(10)에서 배출되는 전류는 제2 단자부(40)를 통과하여 도전성 이물질(90)로 다시 되돌아 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전성 이물질(90)이 침투하여 전극 집전체(10)에서 흘러나온 전류는 메쉬 구조(451)가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45)를 통과하여 케이스(26)를 매개로 하여 도전성 이물질(9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보조 플레이트(45)를 통과하는 전류는 메쉬 구조(451)의 일정한 두께를 가진 복 수의 메쉬 가닥(451a)을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제2 단자 플레이트와 접촉하는(42) 보조 플레이트(45)의 표면의 면적은 보조 플레이트(45)와 접촉하는 제2 단자 플레이트(42)의 표면의 면적과 같거나 클 수 있다.
따라서, 전류가 선접촉 상태에서 메쉬 가닥(451a)을 통과하기 때문에, 메쉬 구조(451)가 형성되지 않은 플레이트를 면접촉 상태로 통과할 때 보다 많은 전류가 보조 플레이트(45)에서 소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451)가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45)에 의하여 전극 조립체(10)의 내부에서 흘러나온 전류가 도전성 이물질(90)로 되돌아오는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이물질(90)에 발생하는 열 또는 아크 등에 의해 전극 조립체가 파괴되는 것이 줄어들거나 방지될 수 있다.
도 5a는 종래의 이차 전지를 도전성 물질이 관통하였을 때 이차 전지 내부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전성 물질이 관통하였을 때 이차 전지 내부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이물질이 이차 전지(100)를 완전히 관통할 때 이차 전지(100)의 내부 온도는 벤트 플레이트에서의 온도 변화(Temp at Vent) 제1 부분(A)에서의 온도 변화(Temp at A), 제2 부분(B)에서의 온도 변화(Temp at B), 제3 부분(C)에서의 온도 변화(Temp at C) 및 제4 부분(D)에서의 온도 변화(Temp at D) 각각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이차 전지를 도전성 이물질이 이차 전지를 완전 관통하였을 때 전압(V)이 순간적으로 최대 4.166V까지 올라갔으며, 이차 전지 내부의 온도는 최대 237°C까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물질이 관통할 때 전압이 순간적으로 최대 4.166V까지 올라간 것은 종래의 이차전지와 동일하지만 제2 부분(B)의 온도 변화(Temp at B)에 따른 이차 전지(100)의 내부 온도는 최대 95°C까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집전체(10)의 내부에서 흘러나온 전류가 제2 단자부(40)의 보조 플레이트(45)를 통과할 때 선접촉을 하는 메쉬 구조(451)에 의하여 소비되기 때문에, 도전성 이물질(90)로 되돌아 가는 전류의 향이 현저히 줄어 들어 전극 집전체(10) 내부의 온도의 상승이 억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200)는 제2 단자부(40a)의 보조 플레이트(46)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의 제2 단자부(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자부(4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자부(140)의 보조 플레이트(46)는 복 수의 홈들(4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홈들(461)의 단면의 모양은 사각형 일 수 있다. 여기서, 복 수의 홈들(461)은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보조 플레이트(461)에 형성된 홈들(461)의 단면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세모 모양 등 중 하나 일 수 있다.
이차 전지(200)에 침투한 도전성 이물질(90)에 의하여 발생된 단락에 의해 형성된 전류 패스에서 보조 플레이트(46)에서의 전류 소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조 플레이트(46)의 수백 또는 수천 개 이상의 홈들(46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들(461)의 볼록부는 단자 플레이트(42)와 마주보고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표면을 형성하므로, 보조 플레이트(46)와 제2 단자 플레이트(42) 사이의 접촉 면적을 늘려 보조 플레이트(46)와 제2 단자 플레이트(42) 사이에 전류 패스를 넓힐 수 있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46)는 제2 단자 플레이트(42)와 동일 평면에서 접촉할 수 있으며, 제2 단자 플레이트(42)와 접촉하는 보조 플레이트(46)의 표면의 면적은 보조 플레이트(46)와 접촉하는 제2 단자 플레이트(42)의 표면의 면적과 같거나 클 수 있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46)는 캡 플레이트(20)와 마주보고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단락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류 패스에서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이물질(90)이 케이스(26), 제1 전극(1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전극 집전체(10)에서 배출되는 전류가 제2 단자부(40a)의 보조 플레이트(46)를 통과하여 도전성 이물질(90)로 되돌아 올 때, 제2 단자부(40a)의 복 수의 홈들(461)이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46)와 전류가 선접촉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가 선접촉 상태에서 보조 플레이트(46)를 통과하기 때문에, 홈들(461)이 형성되지 않은 플레이트를 면접촉 상태로 통과할 때 보다 많은 전류가 보조 플레이트(46)에서 소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복 수의 홀들(461)이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46)에 의하여 전극 조립체(10)의 내부에서 흘러나온 전류가 도전성 이물질(90)로 되돌아오는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이물질(90)에 발생하는 열 또는 아크 등에 의해 전극 조립체가 파괴되는 것이 줄어들거나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300)는 제2 단자부(40b)의 보강 플레이트(47)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이차 전지(100)의 제2 단자부(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자부(4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자부(40b)는 제2 단자 플레이트(42)와 보조 플레이트(45)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 플레이트(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451)가 포함된 보조 플레이트(45)의 기계적 강도는 메쉬 구조가 포함되지 않은 플레이트의 기계적 강도 보다 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플레이트(47)는 제2 단자 플레이트(42)와 보조 플레이트(45)의 사이에 위치하여 보조 플레이트(45)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 플레이트(47)는 보조 플레이트(45)의 메쉬 구조(45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10)의 외부로 흘러나온 전류에 의하여 보조 플레이트(45)에 발생된 열이 보강 플레이트(47)에 의하여 흡수 되거나 분산될 수 있으므로, 열에 의한 보조 플레이트(45)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47)는 제2 단자 플레이트(42)와 동일 평면에서 접촉하여 보강 플레이트(47)와 제2 단자 플레이트(42) 사이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보강 플레이트(47)는 제2 단자 플레이트(42)와 보조 플레이트(45)사이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플레이트(45)와 캡 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47)는 전도성 물질 또는 비전도성 물질 중 어느 하나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200, 300: 이차 전지 10: 전극 조립체
11: 제1 전극 12: 제2 전극
13: 세퍼레이터 30: 제1 단자부
31: 제1 리벳 32: 제1 단자 플레이트
33: 제1 단자 연결 기둥 34: 제1 가스켓
35: 단자 절연부재 40, 40a, 40b: 제2 단자부
41: 제2 리벳 42: 제2 단자 플레이트
43: 제2 단자 연결 기둥 44: 제2 가스켓
45, 46: 보조 플레이트 451: 메쉬 구조
451a: 메쉬 가닥 451b: 메쉬 홀
461: 홈 47: 보강 플레이트
50: 제1 집전부재 51: 제1 전극 결합부
52: 제1 단자 결합부 60: 제1 절연부재
61: 제1 집전부재 결합부 70: 제2 집전부재
80: 제2 절연부재

Claims (20)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캡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에 상기 단자 플레이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전류 패스를 따라 흐르는 전류를 줄이기 위한 복 수의 개구들이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 수의 개구들은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복 수의 홀들인 이차 전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메쉬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구조는 상기 복 수의 홀들을 규정하는 복 수의 메쉬 가닥들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메쉬 구조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메쉬 구조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하는 이차 전지.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단자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단자 플레이트와 동일 평면에서 접촉하는 이차 전지.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 수의 개구들은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복 수의 홈들인 이차 전지.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홈은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단자와 마주보고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표면을 형성하는 이차 전지.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상기 단자 플레이트와 동일 평면에서 접촉하는 이차 전지.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레이는 상기 캡 플레이트와 동일 평면에서 접촉하는 이차 전지.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차 전지.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패스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전극 조립체 사이에 형성되는 이차 전지.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표면의 면적은 상기 보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상기 단자 플레이트의 표면의 면적과 같거나 큰 이차 전지.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캡 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상기 캡 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평면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를 경유하여 상기 캡 플레이트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차 전지.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는 양극 단자 플레이트이고, 상기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차 전지.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 플레이트를 상기 전극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부재 및 상기 단자 플레이트를 경유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단자 부재를 상기 캡 플레이트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단자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0130000676A 2012-05-04 2013-01-03 이차 전지 KR101711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43130P 2012-05-04 2012-05-04
US61/643,130 2012-05-04
US13/609,912 US9461295B2 (en) 2012-05-04 2012-09-11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erminal portion having auxiliary plate for reducing current flow along short circuit current path
US13/609,912 2012-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79A KR20130124179A (ko) 2013-11-13
KR101711976B1 true KR101711976B1 (ko) 2017-03-03

Family

ID=4701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676A KR101711976B1 (ko) 2012-05-04 2013-01-03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61295B2 (ko)
EP (1) EP2660896B1 (ko)
JP (1) JP6122338B2 (ko)
KR (1) KR101711976B1 (ko)
CN (1) CN1033839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767B1 (ko) * 2013-01-28 2017-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720611B1 (ko) * 2013-11-15 2017-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211527B1 (ko) * 2014-03-11 2021-02-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282244B1 (ko) * 2014-09-29 2021-07-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DE102014226167A1 (de) * 2014-12-17 2016-06-23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mit einem als weiblicher Steckverbinder ausgebildeten Terminal
KR102392380B1 (ko) * 2015-08-19 2022-04-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N111029488B (zh) * 2019-08-14 2021-07-3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3336A (ja) * 2001-05-10 2002-11-29 Alps Electric Co Ltd 電池用感熱スイッチ
JP4580620B2 (ja) 2002-03-13 2010-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に用いる渦巻状電極群の製造方法
JP4967216B2 (ja) * 2003-12-05 2012-07-04 株式会社Gsユアサ 非水電解質電池
JP2005044626A (ja) * 2003-07-22 2005-02-17 Sanyo Gs Soft Energy Co Ltd 電池
JP4490129B2 (ja) 2004-02-02 2010-06-23 リンナイ株式会社 電池ケース用端子板
WO2005117196A1 (fr) 2004-05-26 2005-12-08 CHUNG, Hai Batterie secondaire ion-lithium dynamique a enroulement
KR100601522B1 (ko) 2004-07-30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
JP4404818B2 (ja) 2004-07-30 2010-01-27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080016047A (ko) * 2006-08-17 200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DE102006053273A1 (de) 2006-11-06 2008-05-08 Varta Microbattery Gmbh Galvanisches Element mit Kurzschluss-Schutz
KR100879297B1 (ko) 2007-09-27 2009-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012728B1 (ko) 2007-12-14 2011-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pcm 어셈블리 및 절연성 장착부재를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팩
US8276695B2 (en) 2007-12-25 2012-10-02 Byd Co. Ltd. Battery electrode sheet
JP5540588B2 (ja) * 2008-10-20 2014-07-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双極型二次電池、組電池およびそれらの電池を搭載した車両
US8236439B2 (en) * 2009-08-14 2012-08-07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084900B1 (ko) 2009-11-23 2011-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에 사용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KR101155889B1 (ko) * 2010-08-30 2012-06-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20120052341A1 (en) 2010-09-01 2012-03-01 Duk-Jung Kim Rechargeable battery
KR101310482B1 (ko) * 2010-10-19 2013-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신규 구조의 전기소자
US9478774B2 (en) * 2010-12-02 2016-10-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O2012077216A1 (ja) * 2010-12-09 2012-06-14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22338B2 (ja) 2017-04-26
CN103383997B (zh) 2017-07-21
US9461295B2 (en) 2016-10-04
EP2660896A1 (en) 2013-11-06
KR20130124179A (ko) 2013-11-13
EP2660896B1 (en) 2014-11-19
JP2013235832A (ja) 2013-11-21
CN103383997A (zh) 2013-11-06
US20130295420A1 (en)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137B1 (ko) 이차전지
KR101711976B1 (ko) 이차 전지
KR101627631B1 (ko)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JP6158474B2 (ja) 二次電池
US8557430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current collector plate with protrusion
US8778530B2 (en) Batter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US8722239B2 (en) Terminal of rechargeable battery, method of assembling the terminal of rechargeable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rechargeable battery module
US9136524B2 (en) Secondary battery
EP3109926B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US8828571B2 (en) Secondary battery
KR101084055B1 (ko) 이차 전지
KR101775546B1 (ko) 이차전지
US8956756B2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130022859A1 (en) Battery Module
KR102337492B1 (ko) 이차 전지
US9153809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retainer for electrode assembly
KR20150010568A (ko) 이차전지
KR101724003B1 (ko) 이차전지
US10312497B2 (en) Rechargeable battery
US9023517B2 (en) Secondary battery
US9028999B2 (en) Secondary battery
KR100599714B1 (ko) 이차 전지
US20100143774A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electrode assembly
US9012059B2 (en) Secondary battery
KR20160056580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