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873B1 - 포장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 Google Patents

포장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873B1
KR101711873B1 KR1020150000260A KR20150000260A KR101711873B1 KR 101711873 B1 KR101711873 B1 KR 101711873B1 KR 1020150000260 A KR1020150000260 A KR 1020150000260A KR 20150000260 A KR20150000260 A KR 20150000260A KR 101711873 B1 KR101711873 B1 KR 10171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hydrogel
flat
contain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002A (ko
Inventor
서동성
조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켐
유비코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켐, 유비코스(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켐
Priority to KR1020150000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87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5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42Balusters; Grille-typ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드로겔을 코팅(coating)하고 합지(laminating)하는 공정과 톰슨(Thompson press) 공정을 생략하기 위해 하이드로겔을 직접 주입할 수 있는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얼굴형상에 대응되는 외곽선을 가지며 평평한 저면부(110)와, 상기 저면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저면부(110)를 복개하는 포장용 필름(210)이 부착되는 평면부(121)를 가지는 외곽선부(120)와;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저면부(110)로부터 상기 평면부(12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평평한 상단면(131)을 가지는 한 쌍의 제1돌출부(130)와;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저면부(110)로부터 상기 평면부(12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평평한 상단면(141)을 가지는 제2돌출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용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포장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Sealed Mask pack vessel, and mask pac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드로겔을 코팅(coating)하고 합지(laminating)하는 공정과 톰슨(Thompson press) 공정을 생략하기 위해 하이드로겔을 직접 주입할 수 있는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포장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겔은 일반적으로 분자 구조 내부에 3차원 그물 구조로 배열하거나 가교반응을 할 수 있는 반복되는 친수성 작용기에 의해 다량의 물을 함유한 점탄성을 가진 고분자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하이드로겔 형성 고분자 물질은 3차원 그물구조 때문에 자신의 무게보다 수십 배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성이 하이드로겔을 여러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이유이다.
최근 하이드로겔에 대한 연구는 의약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수용의 증가에 따라 하이드로겔을 담는 용기의 형태도 다양해 졌다. 예를 들면, 하이드로겔을 코팅한 시트 등을 접어서 넣는 파우치(pouch) 타입,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부직포나 필름 등을 절단하여 소형 용기에 담는 타입 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1233호에는 액상으로 된 화장용 내용물과 상호 결합 사용되는 부직포나 패드 등의 화장 부재를 하나의 용기 속에 독립적으로 수용하였다가 필요시 밀봉된 내용물을 개방 유출시켜 화장부재로 침투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내용물 함침식 화장부재를 갖는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18839호에는 시트의 가장자리 일측에 안면에 부착된 마스크팩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탈착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마스크팩으로서 안면부 형상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10-1199964호에 식물성 전분 시트와 화장 유액이 분리 포장된 마스크 시트로서 밀폐된 제1 포장공간 및 제2 포장 공간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포장 케이스와 상기 제1 포장 공간에 마스크 시트를 건조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제2 포장 공간에 액체 상태로 배치되는 미용액;을 포함하는 포장체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기술들은 모두 절단된 부직포나 필름 등을 소형 용기에 담는 것으로서 본 발명과 같은 하이드로겔을 성형하고 바로 포장까지 할 수 있는 포장용기는 개시된 바가 없다.
지금까지의 하이드로겔은 특히 화장품 분야에서 적용되는 마스크팩(mask pack)과 같은 제형에서는 하이드로겔은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었다. 그 이유는 겔을 형성하는 대부분의 고분자 물질에 겔화를 유발하는 가교제(cross-linking agent)를 적용하는 순간 아주 빠른 시간, 즉 몇 초에서 몇 분 이내에 겔이 형성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빠른 겔 형성시간은 적용하는 분야에 따라 장점일 수도 있지만,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기 위한 성형 공정에서는 커다란 단점이 된다. 따라서 마스크팩과 같은 화장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별도의 코팅 공정과 코팅면에 이형 필름 등을 붙이는 합지 공정, 그리고 원하는 형태로 자르는 톰슨 절단가공 공정이 반드시 존재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하이드로겔 마스크팩과 같은 제품은 별도의 코팅 공정과 합지 공정, 성형 공정을 거쳐 제조해 왔다.
코팅 공정은 형성된 하이드로겔 벌크(bulk)를 부직포나 망사(mesh)와 같은 기재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는 공정을 말하는데, 이것은 하이드로겔 화장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겔화 공정과는 별도의 추가 공정이므로 제조시간과 제조공간의 비효율성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이어지는 성형 공정의 하나인 톰슨 절단가공을 실시하게 되면 제품에 포함되지 않고 버려지는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자투리로 인하여 내용물 손실이 과도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까지의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용기는 겔을 코팅하는 공정과 합지 공정 및 원하는 모양으로 절단하는 톰슨 공정 후에 얻어진 하이드로겔을 단순히 담는 형태이다.
예를 들면, 파우치, 백(bag) 형태의 용기가 대표적이며, 포장 용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하이드로겔 코팅 제품을 반으로 접은 용기도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할 때에는 기존 용기인 파우치 또는 백에 속의 하이드로겔을 꺼내고 접힌 겔을 펴고 합지된 필름을 벗겨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하였다.
KR 1020120005443 A KR 1020120000346 A KR 1020130118804 A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드로겔을 코팅(coating)하고 합지(laminating)하는 공정과 톰슨(Thompson press) 공정을 생략하기 위해 하이드로겔을 직접 주입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hydrogel)의 주입이 가능한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얼굴형상에 대응되는 외곽선을 가지며 평평한 저면부(110)와, 상기 저면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저면부(110)를 복개하는 포장용 필름(210)이 부착되는 평면부(121)를 가지는 외곽선부(120)와;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저면부(110)로부터 상기 평면부(12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평평한 상단면(131)을 가지는 한 쌍의 제1돌출부(130)와;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저면부(110)로부터 상기 평면부(12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평평한 상단면(141)을 가지는 제2돌출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용기을 개시한다.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130)를 포함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돌출부(140)를 포함하는 제2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저면부(110)를 상하로 구획하며 상기 저면부(110)로부터 상기 평면부(12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평평한 상단면(151)을 가지는 제5돌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면적비는, 50:50 내지 7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면부(121)는, 상기 저면부(110)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쐐기 형상의 하나 이상의 제1요입부(161, 162, 163, 1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팩 용기는, 코의 가장자리에 대응되어 상기 제5돌출부(150)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제2요입부(1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21)는, 턱 중에 대응되어 상기 저면부(110)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Y 자 형상의 제3요입부(1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곽선부(120)는, 외부의 고리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고리에 걸림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170)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팩 용기용기 내의 내용물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팩 용기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마스크팩 용기와; 상기 저면부(110) 및 상기 외곽선부(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지는 하이드로겔과; 상기 하이드로겔의 주입 후 상기 저면부(110) 및 상기 외곽선부(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시키는 포장용 필름(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을 개시한다.
상기 마스크팩은, 상기 저면부(110)에 지지되며 하이드로겔이 함침되는 지지체(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은, 사용자의 눈 및 입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돌출부가 형성된 평평한 저면부를 가지는 용기에 담아서 제공함으로써 마스크팩의 사용이 보다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은, 겔화 지연형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개발되면서 주입 성형이라는 새로운 하이드로겔 화장품 제조 공정을 적용시켜 시간을 절약하고 겔 재료의 손실이 없는 마스크팩 용기이면서, 용기의 디자인과 제품의 마케팅 차원에서 진열이 쉽고, 투명한 한쪽 면을 가지고 있어서 쉽게 제품을 설명할 수 있는 등의 여러 차별점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마스크팩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전면 사진이고 (b)는 후면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용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B-B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2에서 A-A방향의 단면도들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마스크팩 용기에 지지체를 깐 상태 (a), 하이드로겔을 주입한 상태 (b), 마스크팩 용기를 포장용 필름으로 실링(sealing)한 상태 (c), 최종 포장된 후 포장용 필름 일부를 개봉하여 하이드로겔의 상태 확인(d)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마스크팩 및 마스크팩 용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자들은 천연 고분자 물질로부터 하이드로겔이 형성되는 겔화 메커니즘을 예의 연구한 결과, 천연에서 유래된 고분자 화합물인 셀룰로오스 및 그들의 치환체로 이루어진 졸(sol) 용액에 외부로부터 겔화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투입하는 2종류 이상의 복합화된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겔화반응의 속도를 적절히 지연시킬 수 있는 조성물들의 조합을 찾아 내었다.
그리고 이들 조성물로 이루어진 졸 용액에 복합화된 가교제를 순차적으로 적용한 겔화 지연형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겔화 지연형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개발되어 기존의 하이드로겔 화장품보다 간단한 제조공정과 보다 경제적인 제조비용으로 새로운 하이드로겔 화장품을 완성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과 포장 용기를 일체화 시킨 새로운 마스크팩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마스크팩은, 얼굴의 전면에 붙이는 화장품 제형을 말하는데, 얼굴에 보습효과를 부여하거나 미백, 주름 완화 효과와 같은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개발된 제형이다. 이러한 마스크팩은, 1회 1개씩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여러 가지 불편함이 존재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마스크팩 용기에 직접 주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일체형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용기(도 1 및 도 2)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형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용기로서 1회 1개씩 사용하는 것은 기존 제품과 동일하지만, 용기 겉면의 포장지를 개봉하면서 별다른 다른 동작이나 후속 과정 없이 그대로 얼굴에 바로 도포하면 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을 요약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의 눈 부위와 입 부위 및 코 부위에 해당하는 부분이 돌출되거나, 용기 옆 테두리(120, 121)와의 높이 차이, 즉 단차를 두어 겔이 주입 성형되지 않는 부분을 가지고 있도록 주입 성형이 가능한 일체형 하이드로겔 마스크 용기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 부분은 일체형 용기 하부, 즉 제2영역의 횡단면을 표시한 도 3에서 옆 테두리, 즉 외곽선(120)과 입 테두리, 즉 제2돌출부(140)의 상단면(141)의 높이 차이를 둘 수도 있다.
그리고 코 부분의 아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태의 분할선을 두는 것이 보다 얼굴에 밀착할 수 있게 해 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마스크팩은, 하이드로겔 주입 후 즉시 용기(1)의 겉면을 밀폐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필름으로 포장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를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선(120)의 평면부(121)를 테두리로서, 겉면 포장 필름(210)을 용기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일정한 1 내지 10mm 폭의 테두리를 설치한다.
겉면 포장 필름(210)에는 제품명이나 제품의 사용 설명서, 각종 표시 사항 등을 인쇄할 수 있다.
그리고 일체형 용기(1)의 겉면이 인쇄된 필름(210)으로 포장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뒷면은 일체형 용기 속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용기(1)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체형 용기의 재질을 폴리에틸렌(PE) 레진, 폴리프로필렌(PP) 레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레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용기에 색상을 부여하거나 불투명하게 하는 안료가 용기의 레진에 배합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2 분할된 일체형 용기 상부, 즉 제1영역의 어느 위치에 제품이 포장된 상태로 걸어서 전시할 수 있도록 고리에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부(170)가 형성되며, 걸ㄻ부(170)는 제품의 진열이나 전시를 하는데 보다 편리하게 해 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일체형 용기(1) 테두리 및 내면의 각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가공하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체형 용기(1)의 두께는 0.1 내지 2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0.1mm 보다 얇을 경우는 용기 속 내용물을 지지하는 힘이 약하여 파손되기 쉽고, 2mm 보다 두꺼울 경우는 용기의 디자인이 투박하게 될 뿐 아니라 용기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용기 1개 당 사용되는 레진의 양이 많아져 경제적이지 않다.
한편, 도 2에서, 외곽선(120)을 기준으로 가장 안쪽의 실선은 일체형 용기(1) 내부에 성형된 하이드로겔을 지지하기 위해 부직포나 망사와 같은 지지체가 설치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물론 하이드로겔의 상태에 따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팩 용기(1)와; 저면부(110) 및 외곽선부(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지는 하이드로겔과; 하이드로겔의 주입 후 저면부(110) 및 외곽선부(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시키는 포장용 필름(210)을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팩 용기(1)는, 하이드로겔의 주입 후 포장용 필름(210)에 의하여 밀폐, 즉 실링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마스크팩 용기(1)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형상에 대응되는 외곽선을 가지며 평평한 저면부(110)와, 저면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단에 저면부(110)를 복개하는 포장용 필름(210)이 부착되는 평면부(121)를 가지는 외곽선부(120)와;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저면부(110)로부터 상기 평면부(12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평평한 상단면(131)을 가지는 한 쌍의 제1돌출부(130)와;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저면부(110)로부터 상기 평면부(12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평평한 상단면(141)을 가지는 제2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면부(110)는, 얼굴형상에 대응되는 외곽선을 가지며 평평한 저면을 가짐으로써, 하이드로겔의 주입 또는 후술하는 지지체(1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평평한 저면을 가지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외곽선부(120)는, 저면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단에 저면부(110)를 복개하는 포장용 필름(210)이 부착되는 평면부(121)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외곽선부(120)는, 저면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방향 또는 외측을 향하는 경사를 이루어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곽선부(120)는, 저면부(110)에 설치되는 지지체(11)의 숫자 및 두께, 주입되는 하이드로겔의 양에 따라서 그 높이가 결정된다.
한편 상기 평면부(121)는, 상단에 저면부(110)를 복개하는 포장용 필름(210)이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포장용 필름(210)이 부착될 수 있을 정도, 예를 들면 1㎜~10㎜의 폭을 가지면 된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121)는, 저면부(110)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쐐기 형상의 하나 이상의 제1요입부(161, 162, 163, 1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요입부(161, 162, 163, 164)는, 입체 형상의 얼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얼굴 전면에 덮이는 하이드로겔 또는 지지체(11)에 형성된 절개선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요입부(161, 162, 163, 164)는, 얼굴 상측에 대응되어 양측에 한 쌍으로, 볼 쪽에 대응되어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쐐기 형상의 하나 이상의 제1요입부(161, 162, 163, 164)는, 얼굴의 곡면을 따라 밀착할 수 있도록 얼굴의 상부와 하부로 2분할된 상부 및 하부 각각의 가장자리에 1개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람의 얼굴은 곡면을 가지고 있는 입체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면 디자인으로 곡면에 밀착을 시키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 형상의 하나 이상의 제1요입부(161, 162, 163, 164)와 같은 형태의 쐐기형 격벽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요입부(161, 162, 163, 164)는, 사람의 코와 입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성을 갖는 얼굴의 곡면에 밀착감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 내지 8개의 쐐기형 격벽으로 구성될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130)는, 사용자의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저면부(110)로부터 평면부(12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평평한 상단면(131)을 가지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상단면(131)은, 앞서 설명한 포장용 필름(213)이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돌출부(140)는, 사용자의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저면부(110)로부터 평면부(12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평평한 상단면(141)을 가지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상단면(141)은, 앞서 설명한 포장용 필름(213)이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제1돌출부(130) 및 제2돌출부(140)에 의하여, 하이드로겔 또는 설치되는 지지체(11)에 형성된 개구들이 삽입됨으로써 하이드로겔이 함침된 지지체(11)를 형상이 유지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130) 및 제2돌출부(140)는, 주입되는 하이드로겔에 눈 및 입에 대응되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마스크팩 용기(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돌출부(130)를 포함하는 제1영역 및 제2돌출부(140)를 포함하는 제2영역을 형성하도록 저면부(110)를 상하로 구획하며 저면부(110)로부터 평면부(12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평평한 상단면(151)을 가지는 제5돌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영역은, 얼굴의 곡면을 따라 밀착할 수 있도록 얼굴 상부에 대응되며, 제2영역은, 얼굴 하부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분할, 즉 마스크팩 용기(1)의 분할은 얼굴의 코를 기준으로 코를 포함하는 부분을 상부로, 입이 포함된 부분을 하부로 분할하되, 얼굴 상부와 하부의 비율은 개인차를 감안하더라고 얼굴의 해부학적 비율로 보면 상부:하부의 면적비는 50:50 내지 70:3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5돌출부(150)는, 저면부(110)를 상하로 구획함으로써 상하로 분리된 하이드로겔 또는 지지체(11)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팩 용기(1)에 수용되는 하이드로겔 또는 지지체(11)는, 코 및 입을 사이를 두고 상하로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5돌출부(150)는, 사용자의 코 및 입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외곽선부(120) 중 서로 대향되는 부분을 가로질러 연결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면적비는, 마스크팩의 할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50:50 내지 7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크팩 용기(1)는, 코의 가장자리에 대응되어 상기 제5돌출부(150)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제2요입부(16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10)는, 후술하는 한 쌍의 제2요입부(165)로서, 기다란 형태의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21)는, 턱 중에 대응되어 상기 저면부(110)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Y 자 형상의 제3요입부(16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10)는, 후술하는 제3요입부(166)로서, 얼굴 부위의 굴곡 상황에 따라 Y자 형태의 갈라진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요입부(16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 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얼굴형상에 부합될 수 있도록 'Y 자 형상으로 절개선이 형성된 하이드로겔이 함침된 지지체(11)의 형상에 맞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3요입부(166)는, 지지체(11)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 주입된 하이드로겔에 얼굴형상에 부합될 수 있도록 'Y 자 형상으로 절개선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곽선부(120)는, 외부의 고리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고리에 걸림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170)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팩 용기(1)는 용기 내의 내용물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팩 용기(1)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팩 용기(1) 내에 주입되는 성분 및 재질에 따라서 하이드로겔 만으로는 마스크팩으로 형상 유지가 어려울 수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마스크팩은 저면부(110)에 지지되어 설치되어 하이드로겔이 함침되어 마스크팩의 본체를 형성하는 지지체(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1)는, 후술하는 하이드로겔이 함침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되는 마스크팩 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섬유재질의 부직포, 망사형 재질 등 하이드로겔이 함침되어 사용자 얼굴에 부착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체(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눈, 입 등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고, 입체 형상의 얼굴에 형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절개선들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체(11)는, 도 2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저면부(110)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하이드로겔은, 지지체(11) 내에 함침되도록 저면부(110) 및 외곽선부(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지는 물질로서 마스크팩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이면 실시예 1과 같이 어떠한 물질도 가능하다.
상기 포장용 필름(210)은, 지지체(11)의 설치 및 하이드로겔의 주입 후 저면부(110) 및 외곽선부(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시키는 구성으로서, 시트형태로서 다양한 재질 및 구조가 가능하다.
이하, 주입 성형이 가능한 겔화 지연형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맞게 해당 마스크팩 용기를 일체화시킨 것으로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특히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소듐 메틸하이드록시셀룰로오스 25.0g을 먼저 3리터의 비이커에 넣고, 이어서 피마자유 5.0g과 PEG-40 경화 피마자유 1.0g 및 암모늄 C6-16 퍼플루오로알킬에틸 포스페이트 5.0g을 넣어 퍼티(putty) 형태가 되도록 주걱으로 저어 소듐 메틸하이드록시셀룰로오스를 침지하고 상온에서 습윤 시켰다. 다음으로 퍼티 형태의 혼합물에 1,3-부틸렌글리콜 80.0g, 글리세린 10.0g, 1,2-헥산다이올 5.0g, 솔비톨 10.0g을 넣어 교반기로 서서히 혼합하였다. 이어서 비이커에 에탄올 50.0g과 정제수 600.0g을 천천히 계속 넣으면서 혼합을 계속하여 점성이 있는 졸 용액을 얻었다. 여기에 염화나트륨 0.6g을 49.4g의 정제수에 용해한 것을 넣어 계속 혼합하였다.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1.2g을 48.8g의 정제수에 용해한 것을 넣어 계속 혼합하였다. 여기에 염화알루미늄6수화물 2.0을 48.0g의 정제수에 용해한 것을 방울방울 천천히 넣어 계속 혼합하였다. 여기에 마치현추출물 10.0g을 천천히 넣어 계속 혼합하였다. 여기에 숙시닉애씨드 5.0g을 45.0g의 정제수에 용해한 것을 넣어 계속 혼합하였다. 이것을 계속 교반하면서 정제수 49.0g을 추가로 보충하여 전체가 1kg이 되는 투명한 졸 상태의 겔화 지연형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서 도 6의 (a)와 같이 PET 레진으로 만들어진 본 발명의 일체형 마스크팩 용기(1)에 지지체(11)를 깔고, 도 6의 (b)와 같이 상기에서 얻은 졸 상태의 수득물 30g을 용기 상부, 제1영역에 붓고, 이어서 졸 상태의 수득물 20g을 용기 하부, 제2영역에 부었다.
이것을 포장용 필름(210)으로 밀폐(sealing)한 후(도 1의 (a) 상태), 40℃가 유지되는 공간에서 4시간 방치하여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화장품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제품의 겉면 필름을 벗겨서 주입 성형된 하이드로겔의 상태를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 도 6의 (d)이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주입 성형 과정을 거쳐 화장품 제조 공정을 단축하고, 겔의 손실 없이 제품을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일체화된 마스크팩 마스크팩 용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마스크팩 용기
110 : 지지부 120 : 외곽선부

Claims (13)

  1. 얼굴형상에 대응되는 외곽선을 가지며 평평한 저면부(110)와,
    상기 저면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저면부(110)를 복개하는 포장용 필름(210)이 부착되는 평면부(121)를 가지는 외곽선부(120)와;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저면부(110)로부터 상기 평면부(12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평평한 상단면(131)을 가지는 한 쌍의 제1돌출부(130)와;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저면부(110)로부터 상기 평면부(12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평평한 상단면(141)을 가지는 제2돌출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130)를 포함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돌출부(140)를 포함하는 제2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저면부(110)를 상하로 구획하며, 상기 저면부(110)로부터 상기 평면부(12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며 평평한 상단면(151)을 가지는 제5돌출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면적비는, 50:50 내지 7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121)는, 상기 저면부(110)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쐐기 형상의 하나 이상의 제1요입부(161, 162, 163, 16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코의 가장자리에 대응되어 상기 제5돌출부(150)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제2요입부(16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121)는, 턱 중에 대응되어 상기 저면부(110)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Y 자 형상의 제3요입부(16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선부(120)는, 외부의 고리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고리에 걸림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170)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용기.
  8.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용기 내의 내용물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용기.
  9.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에서 선택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용기.
  10.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마스크팩 용기와;
    상기 저면부(110) 및 상기 외곽선부(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지는 하이드로겔과;
    상기 하이드로겔의 주입 후 상기 저면부(110) 및 상기 외곽선부(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시키는 포장용 필름(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마스크팩.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용기 내의 내용물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마스크팩.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에서 선택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마스크팩.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110)에 지지되며 하이드로겔이 함침되는 지지체(11)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포장 마스크팩.
KR1020150000260A 2015-01-02 2015-01-02 포장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1711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260A KR101711873B1 (ko) 2015-01-02 2015-01-02 포장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260A KR101711873B1 (ko) 2015-01-02 2015-01-02 포장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002A KR20160084002A (ko) 2016-07-13
KR101711873B1 true KR101711873B1 (ko) 2017-03-06

Family

ID=5650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260A KR101711873B1 (ko) 2015-01-02 2015-01-02 포장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237U (ko) 2021-03-11 2022-09-20 김경민 마스크팩 포장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543A (ja) 2004-08-18 2006-03-02 Kanae Technos:Kk パック用ゲルシート包装体
JP2009066061A (ja) * 2007-09-11 2009-04-02 Spc:Kk ゲル状組成物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371U (ko) * 2009-01-12 2010-07-21 백연화 저주파 발생 마스크팩
KR101169194B1 (ko) 2009-12-21 2012-07-26 신이치 츠카모토 안면으로부터 목끝의 3d에 대응하는 다기능 팩용 시트
KR101176723B1 (ko) 2010-06-25 2012-08-23 (주)엔코스 화장용 팩
KR20130110818A (ko) * 2012-03-30 2013-10-10 지한상 마스크 팩의 덕용 보관 구조
KR101497040B1 (ko) 2012-04-20 2015-03-02 씨앤텍 주식회사 하이드로겔 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543A (ja) 2004-08-18 2006-03-02 Kanae Technos:Kk パック用ゲルシート包装体
JP2009066061A (ja) * 2007-09-11 2009-04-02 Spc:Kk ゲル状組成物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237U (ko) 2021-03-11 2022-09-20 김경민 마스크팩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002A (ko)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3258A1 (en) Beauty care product
US6623751B2 (en) Cosmetic, pharmaceutical, or dermatological patch
US20100175704A1 (en) Device for applying a product
WO2013108918A1 (ja) パック化粧料収容物及びパック化粧料並びにパック化粧料の製造方法
CN107810093A (zh) 便携式一次性流体分配毛发移除装置
KR101711873B1 (ko) 포장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20190029255A (ko) 3차원 입체 마스크팩 비닐포장용 포대
CN106573714A (zh) 包装小袋
US20110202072A1 (en) Tensionable Depilatory Article
EP2962818B1 (en) Disposable fluid dispensing hair removal device
EP2407143B1 (en) Transparent depilatory article
MX2012009626A (es) Articulo depilatorio adherente.
KR20190002011U (ko) 비닐지로 제작되는 낱장의 화장용 마스크 팩
MX2012009638A (es) Articulo estable para el cuidado personal.
CN102781400A (zh) 耐用的脱毛剂制品
JP3172582U (ja) 化粧料内容物の吐出量の調節が可能な多室包装袋
CN210301772U (zh) 一种面膜、包装盒以及含有面膜的包装盒
JP2007084093A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
KR20160059298A (ko) 마스크팩에 사용되는 건조된 상태의 페이퍼나 비닐 형태의 화장품 필름 제조방법
KR20180044045A (ko)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CN209758003U (zh) 一种改性膜布的包装装置
CN209758002U (zh) 一种改性膜布的包装装置
JP6830812B2 (ja) 剤入個装材
KR20150134556A (ko)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IT202100021734A1 (it) Metodo di confezionamento di garze pre-imbibite per trattamento cosmetico del corpo umano e relativo kit accessorio mediante vaschette plastiche preformate monou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