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364B1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1364B1 KR101711364B1 KR1020150062732A KR20150062732A KR101711364B1 KR 101711364 B1 KR101711364 B1 KR 101711364B1 KR 1020150062732 A KR1020150062732 A KR 1020150062732A KR 20150062732 A KR20150062732 A KR 20150062732A KR 101711364 B1 KR101711364 B1 KR 1017113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assembly
- insulator block
- contact
- assembly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6—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 H01R13/6587—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for mounting on PCB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방부가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내설되는 미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컨택트 조립체가 적용됨으로써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반복적인 접속고정 및 분리에도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미들 플레이트의 구성을 통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고정시 발생하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를 안정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부가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내설되는 미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컨택트 조립체가 적용됨으로써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반복적인 접속고정 및 분리에도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고정시 발생하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를 안정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에게 널리 보급되고 있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휴대용 게임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그 종류와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부수적인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한 커넥터 장치가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 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 내의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이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접속고정 및 분리되는 플러그 커넥터로 구성되어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전원 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 내의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플러그 커넥터가 선택적으로 접속고정 및 분리되는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수의 컨택트(contact)와, 상기 다수의 컨택트가 접속부의 일측 상면 또는 상, 하면으로 노출토록 내설되는 인슐레이터 블록(Insulator block) 및 상기 인슐레이터 블록을 감싸는 금속소재의 리셉터클 쉘(Receptacle shell)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컨택트가 인슐레이터 블록에 의해 상호 절연되면서 보유되며, 상기 인슐레이터 블록을 감싸는 리셉터클 쉘에 의해 외부와 차폐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가 반복적으로 접속고정 및 분리되는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대한 강도가 취약하여 접속불량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고정시 발생되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를 차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반복적인 접속고정 및 분리에도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고정시 발생하는 EMI 노이즈를 안정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부가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내설되는 미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컨택트 조립체가 적용됨으로써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방부가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내설되는 미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컨택트 조립체가 적용되어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대한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반복적인 접속고정 및 분리에도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방부가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내설되는 미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컨택트 조립체가 적용됨으로써 미들 플레이트의 구성을 통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고정시 발생하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를 안정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제1 컨택트 조립체의 후방으로부터 제2 컨택트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밀착되어 전방부 양측이 제1 컨택트 조립체의 제1 인슐레이터 블록과 고정설치되는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가 구비됨으로써 제1 컨택트 조립체와 제2 컨택트 조립체에 대한 결합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통신이나 전원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휴대용 전자기기 내의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플러그 커넥터가 선택적으로 접속고정 및 분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전면에 돌출 형성된 접속부 하면에 다수 개로 전단부 하면이 노출토록 제1 컨택트가 내설되는 제1 인슐레이터 블록과,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 두께방향 중앙에 전방부가 내설되는 미들 플레이트로 구성된 제1 컨택트 조립체; 다수의 제2 컨택트 전단부가 전방으로 돌출토록 상기 제2 컨택트의 후단부가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내설되는 제2 인슐레이터 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컨택트 전단부 상면이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 상면에 노출토록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결합되는 제2 컨택트 조립체;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결합된 후에 상, 하부로부터 밀착되면서 전방부 양측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의 제1 인슐레이터 블록과 고정설치되는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결합된 후에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제2 컨택트 조립체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로 외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쉘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는 다수의 상기 제1 컨택트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제1 컨택트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과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는 다수의 상기 제2 컨택트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제2 컨택트와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이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제조됨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결합고정되되,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은 후방의 조립홈 양측 내면에 결속홈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은 후방 양측 외면의 중앙에 상기 결속홈과 대응되어 결속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의 결합시 상기 결속돌기가 상기 결속홈에 결속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결합된 후에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가 상, 하부로부터 밀착되면서 전방부 양측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의 제1 인슐레이터 블록과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 후방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후단 상면에 이르기까지 밀착되는 전방 밀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밀착 프레임의 후단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방 밀착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밀착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하향 절곡되어 상부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 후방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중앙부 하면에 밀착되며, 전방 양측에 상향 절곡되어 상기 상부고정편과 대향되는 하부고정편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의 접속부 후방 양측에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 내부 일측에 상기 상부고정편이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제1고정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 내부 타측에는 상기 하부고정편이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제2고정단이 형성됨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결합된 후에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제2 컨택트 조립체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가 상기 리셉터클 쉘의 내측 상면에 텐션을 가지고 밀착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전방 밀착 프레임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후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향 절곡된 텐션 지지편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결합된 후에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가 상, 하부로부터 밀착되면서 각각의 후방부분이 각기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의 제1 인슐레이터 블록 및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의 제2 인슐레이터 블록과 조립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후방 밀착 프레임의 상단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한 쌍의 역 "U"자 타입을 가지는 상부조립편이 절곡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는 후방 하단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U"자 타입을 가지는 하부조립편이 절곡 연장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는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의 후방 상면 양측에 상기 상부조립편이 조립고정되는 상부조립홈이 하향 함몰형성되고,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후방 중앙부분 저면에 상기 하부조립편이 조립고정되는 하부조립홈이 상향 함몰형성됨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결합된 후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가 조립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쉘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조립되되,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후방 양측에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쉘은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제2 컨택트 조립체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로 외면을 감싸도록 한 후 상기 고정홈에 벤딩 고정되는 고정편이 후방 양측에 하향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결합되고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가 조립고정되어 상기 리셉터클 쉘의 내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을 상기 고정홈 내측으로 벤딩시켜 조립이 완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리셉터클 쉘의 후방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 컨택트의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 쉘은 후방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식별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식별공과 대응되어 후방부분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는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의 후방부분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식별공, 통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됨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와 결합된 후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가 조립고정된 후 상기 리셉터클 쉘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조립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부분에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 형성되는 정렬공에 안착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중앙부분 저면 양측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정렬공과 대응되어 정렬돌기가 하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는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의 후단 중앙 상면에 삽입홈이 함몰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전방 밀착 프레임의 후단부분 중앙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돌부가 하향 돌출형성됨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방부가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내설되는 미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컨택트 조립체가 적용됨으로써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둘째, 전방부가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내설되는 미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컨택트 조립체가 적용되어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대한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반복적인 접속고정 및 분리에도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전방부가 제1 인슐레이터 블록의 접속부에 내설되는 미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컨택트 조립체가 적용됨으로써 미들 플레이트의 구성을 통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고정시 발생하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를 안정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다.
넷째, 제1 컨택트 조립체의 후방으로부터 제2 컨택트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밀착되어 전방부 양측이 제1 컨택트 조립체의 제1 인슐레이터 블록과 고정설치되는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가 구비됨으로써 제1 컨택트 조립체와 제2 컨택트 조립체에 대한 결합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 분리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저면 분리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결합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요부인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제1 컨택트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요부인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제2 컨택트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에 의해 제1 컨택트 조립체와 제2 컨텍트 조립체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리구성도.
도 8은 도 7의 구성을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저면 분리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제1 컨택트 조립체와 제2 컨텍트 조립체가 결합된 후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저면 분리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결합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요부인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제1 컨택트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요부인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제2 컨택트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에 의해 제1 컨택트 조립체와 제2 컨텍트 조립체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리구성도.
도 8은 도 7의 구성을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저면 분리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제1 컨택트 조립체와 제2 컨텍트 조립체가 결합된 후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 분리사시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저면 분리사시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결합사시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요부인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제1 컨택트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요부인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제2 컨택트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에 의해 제1 컨택트 조립체와 제2 컨텍트 조립체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리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의 구성을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저면 분리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제1 컨택트 조립체와 제2 컨텍트 조립체가 결합된 후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상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통신이나 전원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휴대용 전자기기 내의 인쇄회로기판(P)에 실장되어 플러그 커넥터(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접속고정 및 분리되는 커넥터 장치이다.
이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미도시)는 도면으로 도시 하지는 않았으나 통상의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휴대용 게임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외부 기기와 연결하는 유에스비(USB) 타입 등과 같은 플러그 커넥터로 제공되어,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접속고정 및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크게 분류하면, 제1 컨택트 조립체(100), 제2 컨택트 조립체(200),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 및 리셉터클 쉘(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는 전면에 돌출 형성된 접속부(111) 하면에 다수 개로 전단부 하면이 노출토록 제1 컨택트(120)가 내설되는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과,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접속부(111) 두께방향 중앙에 전방부가 내설되는 미들 플레이트(1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는 다수의 상기 제1 컨택트(120)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130)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제1 컨택트(120)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130)가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과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제조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는 다수의 제2 컨택트(220) 전단부가 전방으로 돌출토록 상기 제2 컨택트(220)의 후단부가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내설되는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컨택트 조립체(200)는 상기 제2 컨택트(220) 전단부 상면이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접속부(111) 상면에 노출토록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다.
더욱이,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는 다수의 상기 제2 컨택트(220)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제2 컨택트(220)와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이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제조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고정되되,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은 후방의 조립홈(112) 양측 내면에 결속홈(113)이 함몰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은 후방 양측 외면의 중앙에 상기 결속홈(113)과 대응되어 결속돌기(213)가 돌출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의 결합시 상기 결속돌기(213)가 상기 결속홈(113)에 결속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 후에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가 상, 하부로부터 밀착되면서 전방부 양측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의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과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10)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접속부(111) 후방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후단 상면에 이르기까지 밀착되는 전방 밀착 프레임(311)과 상기 전방 밀착 프레임(311)의 후단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방 밀착 프레임(315)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밀착 프레임(311)의 전방 양측에 하향 절곡되어 상부고정편(3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20)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접속부(111) 후방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중앙부 하면에 밀착되며, 전방 양측에 상향 절곡되어 상기 상부고정편(312)과 대향되는 하부고정편(32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의 접속부(111) 후방 양측에 고정공(115)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115) 내부 일측에 상기 상부고정편(312)이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제1고정단(115a)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고정공(115) 내부 타측에는 상기 하부고정편(322)이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제2고정단(115b)이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쉘(400)은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 후에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에 의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제2 컨택트 조립체(2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로 외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것이다.
이러한 리셉터클 쉘(40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P) 상에 실장되며, 아울러 상기 제1 컨택트(120)와 제2 컨택트(220)도 후방 측 하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P) 상에 실장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특히,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 후에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에 의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제2 컨택트 조립체(2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10)가 상기 리셉터클 쉘(400)의 내측 상면에 텐션을 가지고 밀착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10)는 상기 전방 밀착 프레임(311)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후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향 절곡된 텐션 지지편(313)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 후에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가 상, 하부로부터 밀착되면서 각각의 후방부분이 각기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의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 및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의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과 조립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10)는 상기 후방 밀착 프레임(315)의 상단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한 쌍의 역 "U"자 타입을 가지는 상부조립편(316)이 절곡 연장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는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의 후방 상면 양측에 상기 상부조립편(316)이 조립고정되는 상부조립홈(216a)이 하향 함몰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20)는 후방 하단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U"자 타입을 가지는 하부조립편(326)이 절곡 연장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후방 중앙부분 저면에 상기 하부조립편(326)이 조립고정되는 하부조립홈(116a)이 상향 함몰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상부조립편(316) 및 상부조립홈(216a)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10)가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의 상부로부터 밀착조립되되 더욱 안정적으로 조립 고정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와 같은 하부조립편(326) 및 하부조립홈(116a)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2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의 하부로부터 밀착조립되되 더욱 안정적으로 조립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 후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가 조립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쉘(4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후방 양측에 고정홈(114)이 함몰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리셉터클 쉘(400)은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에 의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제2 컨택트 조립체(2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로 외면을 감싸도록 한 후 상기 고정홈(114)에 벤딩 고정되는 고정편(410)이 후방 양측에 하향 연장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되고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가 조립고정되어 상기 리셉터클 쉘(400)의 내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410)을 상기 고정홈(114) 내측으로 벤딩시켜 조립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쉘(400)의 후방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 컨택트(12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P) 상에 실장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400)은 후방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식별공(407)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10)는 상기 식별공(407)과 대응되어 후방부분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통공(317)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는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의 후방부분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식별공(407), 통공(317)과 연통되는 연통공(217)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식별공(407)을 통하여 상기 통공(317)과 연통공(217)을 거쳐 상기 제1 컨택트(12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P) 상에 실장된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 후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가 조립고정된 후 상기 리셉터클 쉘(4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조립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기 인쇄회로기판(P)의 중앙부분에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 형성되는 정렬공(h)에 안착 정렬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중앙부분 저면 양측에 상기 인쇄회로기판(P)의 정렬공(h)과 대응되어 정렬돌기(100h)가 하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정렬돌기(100h)가 상기 정렬공(h)에 삽입되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기 인쇄회로기판(P) 상에 안착 정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는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의 후단 중앙 상면에 삽입홈(211a)이 함몰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10)는 상기 전방 밀착 프레임(311)의 후단부분 중앙에 상기 삽입홈(211a)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돌부(311a)가 하향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하면, 전방부가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접속부(111)에 내설되는 미들 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제1 컨택트 조립체(100)가 적용됨으로써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접속부(111)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아울러, 전방부가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접속부(111)에 내설되는 미들 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제1 컨택트 조립체(100)가 적용되어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접속부(111)에 대한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반복적인 접속고정 및 분리에도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부가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접속부(111)에 내설되는 미들 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제1 컨택트 조립체(100)가 적용됨으로써 미들 플레이트(130)의 구성을 통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고정시 발생하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를 안정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의 후방으로부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밀착되어 전방부 양측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의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과 고정설치되는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가 구비됨으로써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제2 컨택트 조립체(200)에 대한 결합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제1 컨택트 조립체
110: 제1 인슐레이터 블록 111: 접속부
112: 조립홈 113: 결속홈
114: 고정홈 115: 고정공
115a: 제1고정단 115b: 제2고정단
116a: 하부조립홈 110h: 정렬돌기
120: 제1 컨택트 130: 미들 플레이트
200: 제2 컨택트 조립체
210: 제2 인슐레이터 블록 211a: 삽입홈
213: 결속돌기 216a: 상부조립홈
217: 연통공 220: 제2 컨택트
310: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
311: 전방 밀착 프레임 311a: 삽입돌부
312: 상부고정편 313: 텐션 지지편
315: 후방 밀착 프레임 316: 상부조립편
317: 통공
320: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
322: 하부고정편 326: 하부조립편
400: 리셉터클 쉘
407: 식별공 410: 고정편
P: 인쇄회로기판 h: 정렬공
110: 제1 인슐레이터 블록 111: 접속부
112: 조립홈 113: 결속홈
114: 고정홈 115: 고정공
115a: 제1고정단 115b: 제2고정단
116a: 하부조립홈 110h: 정렬돌기
120: 제1 컨택트 130: 미들 플레이트
200: 제2 컨택트 조립체
210: 제2 인슐레이터 블록 211a: 삽입홈
213: 결속돌기 216a: 상부조립홈
217: 연통공 220: 제2 컨택트
310: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
311: 전방 밀착 프레임 311a: 삽입돌부
312: 상부고정편 313: 텐션 지지편
315: 후방 밀착 프레임 316: 상부조립편
317: 통공
320: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
322: 하부고정편 326: 하부조립편
400: 리셉터클 쉘
407: 식별공 410: 고정편
P: 인쇄회로기판 h: 정렬공
Claims (11)
-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통신이나 전원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휴대용 전자기기 내의 인쇄회로기판(P)에 실장되어 플러그 커넥터가 선택적으로 접속고정 및 분리되는 것으로, 전면에 돌출 형성된 접속부(111) 하면에 다수 개로 전단부 하면이 노출토록 제1 컨택트(120)가 내설되는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과,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접속부(111) 두께방향 중앙에 전방부가 내설되는 미들 플레이트(130)로 구성된 제1 컨택트 조립체(100); 다수의 제2 컨택트(220) 전단부가 전방으로 돌출토록 상기 제2 컨택트(220)의 후단부가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내설되는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컨택트(220) 전단부 상면이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접속부(111) 상면에 노출토록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되는 제2 컨택트 조립체(200);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 후에 상, 하부로부터 밀착되면서 전방부 양측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의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과 고정설치되는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 및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 후에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에 의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제2 컨택트 조립체(2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로 외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P) 상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쉘(400)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 후에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가 상, 하부로부터 밀착되면서 전방부 양측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의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과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10)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접속부(111) 후방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후단 상면에 이르기까지 밀착되는 전방 밀착 프레임(311)과 상기 전방 밀착 프레임(311)의 후단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방 밀착 프레임(315)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밀착 프레임(311)의 전방 양측에 하향 절곡되어 상부고정편(31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20)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접속부(111) 후방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중앙부 하면에 밀착되며, 전방 양측에 상향 절곡되어 상기 상부고정편(312)과 대향되는 하부고정편(3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의 접속부(111) 후방 양측에 고정공(115)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115) 내부 일측에 상기 상부고정편(312)이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제1고정단(115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115) 내부 타측에는 상기 하부고정편(322)이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제2고정단(115b)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는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의 후단 중앙 상면에 삽입홈(211a)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10)는 상기 전방 밀착 프레임(311)의 후단부분 중앙에 상기 삽입홈(211a)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돌부(311a)가 하향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는 다수의 상기 제1 컨택트(120)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130)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제1 컨택트(120)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130)가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과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는 다수의 상기 제2 컨택트(220)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제2 컨택트(220)와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이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고정되되,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은 후방의 조립홈(112) 양측 내면에 결속홈(113)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은 후방 양측 외면의 중앙에 상기 결속홈(113)과 대응되어 결속돌기(213)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의 결합시 상기 결속돌기(213)가 상기 결속홈(113)에 결속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 후에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에 의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제2 컨택트 조립체(2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10)가 상기 리셉터클 쉘(400)의 내측 상면에 텐션을 가지고 밀착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10)는 상기 전방 밀착 프레임(311)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후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향 절곡된 텐션 지지편(31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 후에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가 상, 하부로부터 밀착되면서 각각의 후방부분이 각기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의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 및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의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과 조립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10)는 상기 후방 밀착 프레임(315)의 상단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한 쌍의 역 "U"자 타입을 가지는 상부조립편(316)이 절곡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20)는 후방 하단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U"자 타입을 가지는 하부조립편(326)이 절곡 연장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는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의 후방 상면 양측에 상기 상부조립편(316)이 조립고정되는 상부조립홈(216a)이 하향 함몰형성되고,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후방 중앙부분 저면에 상기 하부조립편(326)이 조립고정되는 하부조립홈(116a)이 상향 함몰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 후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가 조립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쉘(4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조립되되,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후방 양측에 고정홈(114)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쉘(400)은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에 의해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제2 컨택트 조립체(2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로 외면을 감싸도록 한 후 상기 고정홈(114)에 벤딩 고정되는 고정편(410)이 후방 양측에 하향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되고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가 조립고정되어 상기 리셉터클 쉘(400)의 내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410)을 상기 고정홈(114) 내측으로 벤딩시켜 조립이 완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쉘(400)의 후방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 컨택트(12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P) 상에 실장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 쉘(400)은 후방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식별공(407)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10)는 상기 식별공(407)과 대응되어 후방부분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통공(317)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는 상기 제2 인슐레이터 블록(210)의 후방부분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식별공(407), 통공(317)과 연통되는 연통공(217)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트 조립체(200)가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와 결합된 후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310, 320)가 조립고정된 후 상기 리셉터클 쉘(4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조립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기 인쇄회로기판(P)의 중앙부분에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 형성되는 정렬공(h)에 안착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컨택트 조립체(100)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블록(110)의 중앙부분 저면 양측에 상기 인쇄회로기판(P)의 정렬공(h)과 대응되어 정렬돌기(100h)가 하향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2732A KR101711364B1 (ko) | 2015-05-04 | 2015-05-04 | 리셉터클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2732A KR101711364B1 (ko) | 2015-05-04 | 2015-05-04 | 리셉터클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0658A KR20160130658A (ko) | 2016-11-14 |
KR101711364B1 true KR101711364B1 (ko) | 2017-03-03 |
Family
ID=5752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2732A KR101711364B1 (ko) | 2015-05-04 | 2015-05-04 | 리셉터클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136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87533A (ja) * | 2006-04-19 | 2007-11-01 | D D K Ltd | カードコネクタ |
JP4431675B2 (ja) * | 2006-12-06 | 2010-03-17 | 大宏電機株式会社 | 接続感知機能付きレセプタクル及びその実装構造 |
CN204243363U (zh) * | 2014-02-21 | 2015-04-01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电连接器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6013553A2 (en) | 2004-08-02 | 2006-02-09 | M-Systems Flash Disk Pioneers Ltd. | Reversible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and connector |
-
2015
- 2015-05-04 KR KR1020150062732A patent/KR1017113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87533A (ja) * | 2006-04-19 | 2007-11-01 | D D K Ltd | カードコネクタ |
JP4431675B2 (ja) * | 2006-12-06 | 2010-03-17 | 大宏電機株式会社 | 接続感知機能付きレセプタクル及びその実装構造 |
CN204243363U (zh) * | 2014-02-21 | 2015-04-01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电连接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0658A (ko) | 2016-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47604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structure | |
US9774130B2 (en) |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 |
US9590347B2 (en) | Receptacle connector having improved insulative housing | |
US9601876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KR101680191B1 (ko) | 커넥터 | |
JP3377965B2 (ja) | 印刷配線板用コネクタ | |
US7189090B2 (en) | Coupler for flat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7435140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060040562A1 (en) | Connector with built-in substrate and its assembling method | |
KR20160009491A (ko)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
KR101328321B1 (ko) | 복수개의 전송 인터페이스를 가진 전기 커넥터 | |
US9653850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10199775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device securing shielding plate and insulator together before molding | |
TWM524574U (zh) | 電連接器 | |
KR20180111144A (ko) | 기판 대 기판 커넥터 | |
US9263836B2 (en) | Electrical connector reducing antenna interference | |
KR20160085683A (ko) | 리셉터클 커넥터 | |
KR101474486B1 (ko) | 배터리용 커넥터 | |
US20150087165A1 (en) | Receptacle connector with double metallic shells | |
US20160072208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200403338A1 (en) | Plug connector | |
KR101711364B1 (ko) | 리셉터클 커넥터 | |
KR101773502B1 (ko) | 리셉터클 커넥터 | |
US11264743B2 (en) | Plug connector | |
KR101651653B1 (ko) |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