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197B1 - 배출 가스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배출 가스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197B1
KR101711197B1 KR1020150148000A KR20150148000A KR101711197B1 KR 101711197 B1 KR101711197 B1 KR 101711197B1 KR 1020150148000 A KR1020150148000 A KR 1020150148000A KR 20150148000 A KR20150148000 A KR 20150148000A KR 101711197 B1 KR101711197 B1 KR 101711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exhaust gas
duct
foreign matter
pur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의
Original Assignee
메탈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탈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탈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197B1/ko
Priority to PCT/KR2016/009571 priority patent/WO201706939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20Intercepting solids by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9/00Treatment devices
    • F23J2219/10Catalytic reduction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 가스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물질이 포함된 배출 가스를 제 1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1 덕트부; 상기 제 1 덕트부의 저면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제 1 이물질 수용부; 상기 제 1 덕트부의 저면 타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제 2 이물질 수용부; 상기 제 1 덕트부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와 연통되고, 이물질이 분리된 정화 가스의 일부분을 제 2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2-1 덕트부; 상기 제 1 덕트부의 측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와 연통되고, 이물질이 분리된 정화 가스의 다른 일부분을 제 3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2-2 덕트부; 상기 제 1 덕트부로 유입된 상기 배출 가스 중 일부분의 기류 방향이 상기 제 2-1 덕트부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1-1 배플; 및 상기 제 1 덕트부로 유입된 상기 배출 가스 중 타부분의 기류 방향이 상기 제 2-2 덕트부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1-2 배플;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출 가스 정화 장치{Cleaning apparatus of exhaust gas}
본 발명은 배출 가스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각종 재나 부유물과 같은 이물질의 제거가 필수적인 설비에 사용할 수 있는 배출 가스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 발전소, 소각로, 산업용 보일러와 같은 연소설비에서는 석탄, 중유, 천연가스 등과 같은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서 에너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화석 연료의 연소 시에는 연소 후 발생되는 분말이나 고형물 형태의 재(ash)나 미연소된 상태의 연료 물질이나 타지 않는 불연물질이나 질소 결합물, 탄소 결합물 등 다량의 이물질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물질을 포함하는 가스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대기오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연소설비와 연결되어 연소시 발생된 가스를 처리하는 설비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종 연소설비에서 발생되는 NOx, Co, Doxine 등과 같은 유해물질에 대해 촉매를 이용하여 무해하게 처리하는 배연기술인 선택적 촉매 환원 공정에서는 이러한 이물질들이 촉매층에 끼이게 되면서 촉매층의 기능 및 특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연소로 인해 발생된 가스 내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화석 연료를 연소 효율을 높이고자 강제적으로 소용돌이 형태로 연소하였다. 그러나 이런 소용돌이 형태의 연소 방법은 시스템 내 유량의 치우침 현상을 야기하여 후단 덕트간 유량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배출 가스에 대응하는 차별적인 형태의 복수개의 배플들을 설치하여 덕트간 유량차이를 극복하고 배플 설치에 따른 이물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는, 이물질이 포함된 배출 가스를 제 1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1 덕트부; 상기 제 1 덕트부의 저면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제 1 이물질 수용부; 상기 제 1 덕트부의 저면 타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제 2 이물질 수용부; 상기 제 1 덕트부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와 연통되고, 이물질이 분리된 정화 가스의 일부분을 제 2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2-1 덕트부; 상기 제 1 덕트부의 측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와 연통되고, 이물질이 분리된 정화 가스의 다른 일부분을 제 3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2-2 덕트부; 상기 제 1 덕트부로 유입된 상기 배출 가스 중 일부분의 기류 방향이 상기 제 2-1 덕트부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1-1 배플; 및 상기 제 1 덕트부로 유입된 상기 배출 가스 중 타부분의 기류 방향이 상기 제 2-2 덕트부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1-2 배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1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제 1 길이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2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상기 제 1 길이 보다 짧은 제 2 길이로 오목하게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 및 상기 제 1-2 배플은 일체형 판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1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전체적으로 제 1 길이로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2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전체적으로 상기 제 1 길이 보다 짧은 제 2 길이로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 및 상기 제 1-2 배플은 일체형 평판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1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전체적으로 제 3 길이로 돌출되고, 정면에서 볼 때, 제 1 곡률 반경을 갖도록 위로 볼록하며,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2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전체적으로 상기 제 3 길이로 돌출되고, 정면에서 볼 때, 제 2 곡률 반경을 갖도록 아래로 볼록하며,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 및 상기 제 1-2 배플은 절곡된 일체형 판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1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제 1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2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상기 제 1 경사각도 보다 큰 제 2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 및 상기 제 1-2 배플은 일체형 판상으로 부분 절곡된 절곡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1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측면에서 볼 때, 제 3 곡률 반경을 갖도록 둥글게 절곡된 형상이고,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2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3 곡률 반경 보다 작은 제 4 곡률 반경을 갖도록 둥글게 절곡된 형상이고,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 및 상기 제 1-2 배플은 일체형 판상으로 부분 절곡된 절곡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1 배플은, 정면에서 바라 볼 때, 아래로 볼록한 제 5 곡률 반경과 위로 볼록한 제 6 곡률 반경이 파도 형태로 반복되고, 측면에서 바라 볼 때, 위로 볼록하도록 제 7 곡률 반경을 갖는 제 1 복합 파형 곡면체이고, 상기 제 1-2 배플은, 정면에서 바라 볼 때, 아래로 볼록한 제 8 곡률 반경과 위로 볼록한 제 9 곡률 반경이 파도 형태로 반복되고, 측면에서 바라 볼 때, 위로 볼록하도록 제 10 곡률 반경을 갖는 제 2 복합 파형 곡면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덕트부의 저면 다른 타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제 3 이물질 수용부; 상기 제 1 덕트부의 측면 다른 타측에 형성되는 제 3 정화 가스 배출구와 연통되고, 이물질이 분리된 정화 가스의 또 다른 일부분을 제 4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2-3 덕트부; 및 상기 제 1 덕트부로 유입된 상기 배출 가스 중 다른 타부분의 기류 방향이 상기 제 2-3 덕트부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1-3 배플;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1 배플의 제 1 돌출 길이와, 상기 제 1-2 배플의 제 2 돌출 길이 및 상기 제 1-3 배플의 제 3 돌출 길이는 갈수록 작아지거나 또는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1 배플과, 상기 제 1-2 배플 및 상기 제 1-3 배플의 산 부분들 또는 골짜기 부분들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의 상방,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의 상방 및 상기 제 3 이물질 수용부의 상방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배출 가스에 대응하는 차별적인 형태의 복수개의 배플들을 설치하여 후단의 덕트간 유량차이를 줄여 장비 운용과 생산성,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 뿐만 아니라 부수적으로 이물질의 제거능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가 연소 장치와 연결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출 가스 정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출 가스 정화 장치의 배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플의 IV-IV 절단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의 배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의 배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플의 VII-VII 절단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의 배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의 배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의 제 1-1 배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출 가스 정화 장치의 제 1-2 배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의 배플들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의 배플들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 등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100)가 연소 장치(BN)와 연결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배출 가스 정화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출 가스 정화 장치(100)의 배플(B)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플(B)의 IV-IV 절단선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100)는, 연소 장치(BN)와 연결되어 상기 연소 장치(BN)에서 발생되어 연소 덕트(BD)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다양한 형태의 배기 가스에 적극적으로 대응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장치로서, 크게 제 1 덕트부(10)와, 제 1 이물질 수용부(30-1)와, 제 2 이물질 수용부(30-2)와, 제 2-1 덕트부(20-1)와, 제 2-2 덕트부(20-2) 및 배플(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덕트부(10)는, 상기 연소 덕트(BD)와 연통되는 것으로서, 연소 후 발생되는 분말이나 고형물 형태의 재(ash)나 미연소된 상태의 연료 물질이나 타지 않는 불연물질이나 질소 결합물, 탄소 결합물 등의 이물질(1)이 포함된 배출 가스(G1)를 제 1 방향(도 1의 하방)으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도시된 상기 제 1 덕트부(10)는 사각통 형상인 것이나 이외에도 원통, 파이프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 가스(G1)은 비록 선회류는 아니지만 상기 연소 덕트(BD)에서 발생되는 선회류에 의해 한 쪽으로 치우쳐진 배출 가스(G1-1) 및 다른 한 쪽으로 치우쳐진 배출 가스(G1-2)로 나누어질 수 있고, 이러한 상기 배출 가스들(G1-1)(G1-2)은 예컨대, 좌측 기류 또는 우측 기류를 형성하여 그 유량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는, 상기 제 1 덕트부(10)의 저면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가스(G1) 중 한 쪽으로 치우쳐진 상기 배출 가스(G1-1)에 포함된 이물질(1)을 수용하고 이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물질(1)들이 하방으로 적층되도록 아래로 오목한 깔때기 형상의 호퍼(hopper)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는, 상기 제 1 덕트부(10)의 저면 타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가스(G1) 중 다른 한 쪽으로 치우쳐진 상기 배출 가스(G1-2)에 포함된 이물질(1)을 수용하고 이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물질(1)들이 하방으로 적층되도록 아래로 오목한 깔때기 형상의 호퍼(hopper)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와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는 옆으로 나란하게 이웃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이외에도 다수개가 더 연결되어 장비의 이물질(1) 제거 성능을 증설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1 덕트부(20-1)는, 상기 제 1 덕트부(10)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H1)와 연통되고, 이물질(1)이 분리된 정화 가스(G2)의 일부분을 제 2 방향(도 1의 우측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도시된 상기 제 2-1 덕트부(20-1)는 사각통 형상인 것이나 이외에도 원통, 파이프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덕트부(1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배출 가스(G1) 또는 정화 가스(G2)를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상기 배출 가스(G1) 또는 정화 가스(G2)의 유해한 성분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장치로 유입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처리장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설비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방향으로 유입된 상기 배출 가스(G1) 또는 상기 정화 가스(G2)는 선택적 촉매 환원 설비를 구성하는 촉매층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제 2-2 덕트부(20-2)는, 상기 제 1 덕트부(10)의 측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H2)와 연통되고, 이물질(1)이 분리된 정화 가스(G2)의 다른 일부분을 제 3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도시된 상기 제 2-2 덕트부(20-2)는 사각통 형상인 것이나 이외에도 원통, 파이프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방향 역시, 상기 제 1 덕트부(1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배출 가스(G1) 또는 정화 가스(G2)를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상기 배출 가스(G1) 또는 정화 가스(G2)의 유해한 성분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장치로 유입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처리장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설비일 수 있으며, 상기 제 3 방향으로 유입된 상기 배출 가스(G1) 또는 상기 정화 가스(G2)는 선택적 촉매 환원 설비를 구성하는 촉매층으로 유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플(B)은 상기 배출 가스(G1)에 포함된 이물질(1)들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 가스(G1)의 기류 방향을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플(B)은 제 1-1 배플(B1) 및 제 1-2 배플(B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1 배플(B1)은, 상기 제 1 덕트부(10)로 유입된 상기 배출 가스(G1) 중 일부분의 기류 방향이 상기 제 2-1 덕트부(20-1)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도록 유도하는 판형상의 구조체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배플(B2)은, 상기 제 1 덕트부(10)로 유입된 상기 배출 가스(G1) 중 타부분의 기류 방향이 상기 제 2-2 덕트부(20-2)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도록 유도하는 판형상의 구조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1 배플(B1)은,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제 1 길이(L1)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H1)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2 배플(B2)은,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상기 제 1 길이(L1) 보다 짧은 제 2 길이(L2)로 오목하게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H2)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B1) 및 상기 제 1-2 배플(B2)은 일체형 판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플(B)은 상기 제 1 덕트부(10)를 통해 제 1 방향으로 유입된 배출 가스(G1)의 방향을 상기 제 2-1 덕트부(20-1) 또는 상기 제 2-2 덕트부(20-2)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덕트부(10)를 통해 유입된 배출 가스(G1)는 제 1 방향(도 1의 하방)으로 유입된 후 상기 배플(B)에 의해 기류의 방향이 상기 제 2-1 덕트부(20-1) 또는 상기 제 2-2 덕트부(20-2)로의 방향인 제 2 방향 및 제 3 방향으로 급격하게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급격한 기류의 방향 전환이 발생될 때 배출 가스(G1)에 포함되어 있는 소정의 질량을 가진 이물질(1)은 관성(혹은 원심력)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지며, 이러한 급격한 기류방향의 전환에 대응하지 못하고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쪽 또는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배출 가스(G1)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배플(B)에 의해 유도된 급격한 기류의 변화에 의해 대부분의 상기 이물질(1)은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 또는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 2-1 덕트부(20-1) 또는 상기 제 2-2 덕트부(20-2)로는 상기 이물질(1)이 제거되어 정화된 정화 가스(G2)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플(B)은 유량이 서로 다른 상기 배출 가스(G1-1)(G1-2)에 대응되도록 예컨대, 좌측 유량이 많은 경우, 보다 많은 양의 운동 에너지를 갖는 상기 배출 가스(G1-1)와 먼저 충돌되는 상기 제 1-1 배플(B1)의 형태가 상대적으로 더 길게 돌출되고, 그 선단이 강화된 기류를 분산할 수 있도록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고, 보다 적은 양의 운동 에너지를 갖는 상기 배출 가스(G1-2)와 나중에 충돌되는 상기 제 1-2 배플(B2)의 형태가 상대적으로 더 짧게 돌출되고, 그 선단이 약화된 기류를 분산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평판 형상은 제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용 돌이 형태에 대응되도록 배플 형상의 차별화로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 및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에 수용된 이물질(1)의 양을 비슷하게 맞출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이물질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며, 후단 덕트간 유량을 균일하게 하여 장비 운용에 도움이 되고, 장비의 용량을 쉽게 증설할 수 있으며, 장비의 생산성과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배플(B)의 형상은 도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유량이 서로 다른 배출 가스(G1-1)(G1-2)에 대응하기 위하여 차별적 형태로 형성되는 모든 형태의 배플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200)의 배플(B)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200)의 제 1-1 배플(B1)은,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전체적으로 제 1 길이(L1)로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H1)의 상방에 고정되며, 제 1-2 배플(B2)은,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전체적으로 상기 제 1 길이(L1) 보다 짧은 제 2 길이(L2)로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H2)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B1) 및 상기 제 1-2 배플(B2)은 일체형 평판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플(B)은 유량이 서로 다른 배출 가스(G1-1)(G1-2)에 대응되도록 예컨대, 보다 많은 양의 운동 에너지를 갖는 상기 배출 가스(G1-1)와 먼저 충돌되는 상기 제 1-1 배플(B1)의 형태가 상대적으로 더 길게 돌출되어 그 선단이 강화된 기류를 분산할 수 있고, 보다 적은 양의 운동 에너지를 갖는 상기 배출 가스(G1-2)와 나중에 충돌되는 상기 제 1-2 배플(B2)의 형태가 상대적으로 더 짧게 돌출되며, 그 선단이 약화된 기류를 분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평판 형상은 제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소용 돌이 형태에 대응되도록 배플 형상의 차별화로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 및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에 수용된 이물질(1)의 양을 비슷하게 맞출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이물질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며, 후단 덕트간 유량을 균일하게 하여 장비 운용에 도움이 되고, 장비의 용량을 쉽게 증설할 수 있으며, 장비의 생산성과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300)의 배플(B)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배플(B)의 VII-VII 절단선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300)의 제 1-1 배플(B1)은,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전체적으로 제 3 길이(L3)로 돌출되고, 정면에서 볼 때, 제 1 곡률 반경(R1)을 갖도록 위로 볼록하며,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H1)의 상방에 고정되며, 제 1-2 배플(B2)은,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전체적으로 상기 제 3 길이(L3)로 돌출되고, 정면에서 볼 때, 제 2 곡률 반경(R2)을 갖도록 아래로 볼록하며,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H2)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B1) 및 상기 제 1-2 배플(B2)은 전체적으로 절곡된 일체형 판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플(B)은 보다 많은 양의 운동 에너지를 갖는 상기 배출 가스(G1-1)와 먼저 충돌되는 상기 제 1-1 배플(B1)의 형태가 상대적으로 위로 볼록하게 절곡되어 그 선단이 강화된 기류를 먼저 분산할 수 있고, 보다 적은 양의 운동 에너지를 갖는 상기 배출 가스(G1-2)와 나중에 충돌되는 상기 제 1-2 배플(B2)의 형태가 상대적으로 아래로 볼록하게 절곡되어 그 선단이 약화된 기류를 나중에 분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절곡된 곡판 형상은 제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배플 형상의 차별화로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 및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에 수용된 이물질(1)의 양을 비슷하게 맞출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이물질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며, 후단 덕트간 유량을 균일하게 하여 장비 운용에 도움이 되고, 장비의 용량을 쉽게 증설할 수 있으며, 장비의 생산성과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400)의 배플(B)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400)의 제 1-1 배플(B1)은,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 방향으로 아래로 제 1 경사각도(K1)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H1)의 상방에 고정되며, 제 1-2 배플(B2)은,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 방향으로 아래로 상기 제 1 경사각도(K1) 보다 큰 제 2 경사각도(K2)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H2)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B1) 및 상기 제 1-2 배플(B2)은 일체형 판상으로 부분 절곡된 절곡부(C)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플(B)은 보다 많은 양의 운동 에너지를 갖는 상기 배출 가스(G1-1)와 먼저 충돌되는 상기 제 1-1 배플(B1)의 형태가 상대적으로 상기 제 1 경사각도(K1)가 작아서 그 선단이 강화된 기류를 먼저 분산할 수 있고, 보다 적은 양의 운동 에너지를 갖는 상기 배출 가스(G1-2)와 나중에 충돌되는 상기 제 1-2 배플(B2)의 형태가 상대적으로 상기 제 2 경사각도(K2)가 커서 그 선단이 약화된 기류를 나중에 분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절곡된 곡판 형상은 제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배플 형상의 차별화로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 및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에 수용된 이물질(1)의 양을 비슷하게 맞출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이물질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며, 후단 덕트간 유량을 균일하게 하여 장비 운용에 도움이 되고, 장비의 용량을 쉽게 증설할 수 있으며, 장비의 생산성과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500)의 배플(B)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500)의 제 1-1 배플(B1)은,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 방향으로 절곡되어 측면에서 볼 때, 제 3 곡률 반경(R3)을 갖도록 둥글게 절곡된 형상이고,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H1)의 상방에 고정되며, 제 1-2 배플(B2)은,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 방향으로 절곡되어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3 곡률 반경(R3) 보다 작은 제 4 곡률 반경(R4)을 갖도록 둥글게 절곡된 형상이고,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H2)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B1) 및 상기 제 1-2 배플(B2)은 일체형 판상으로 부분 절곡된 절곡부(C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플(B)은 보다 많은 양의 운동 에너지를 갖는 상기 배출 가스(G1-1)와 먼저 충돌되는 상기 제 1-1 배플(B1)의 형태가 상대적으로 상기 제 3 곡률 반경(R3)이 커서 그 선단이 강화된 기류를 먼저 분산할 수 있고, 보다 적은 양의 운동 에너지를 갖는 상기 배출 가스(G1-2)와 나중에 충돌되는 상기 제 1-2 배플(B2)의 형태가 상대적으로 상기 제 4 곡률 반경(R4)이 작아서 그 선단이 약화된 기류를 나중에 분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절곡된 곡판 형상은 제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소용 돌이 형태에 대응되도록 배플 형상의 차별화로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 및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에 수용된 이물질(1)의 양을 비슷하게 맞출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이물질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며, 후단 덕트간 유량을 균일하게 하여 장비 운용에 도움이 되고, 장비의 용량을 쉽게 증설할 수 있으며, 장비의 생산성과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600)의 제 1-1 배플(B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배출 가스 정화 장치(600)의 제 1-2 배플(B2)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600)의 제 1-1 배플(B1)은, 정면에서 바라 볼 때, 아래로 볼록한 제 5 곡률 반경(R5)과 위로 볼록한 제 6 곡률 반경(R6)이 파도 형태로 반복되고, 측면에서 바라 볼 때, 위로 볼록하도록 제 7 곡률 반경(R7)을 갖는 제 1 복합 파형 곡면체일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600)의 제 1-2 배플(B2)은, 정면에서 바라 볼 때, 아래로 볼록한 제 8 곡률 반경(R8)과 위로 볼록한 제 9 곡률 반경(R9)이 파도 형태로 반복되고, 측면에서 바라 볼 때, 위로 볼록하도록 제 10 곡률 반경(R10)을 갖는 제 2 복합 파형 곡면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 가스(G1)의 유동이 매우 복잡하더라도 차등화된 복합 파형 곡면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 및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에 수용된 이물질(1)의 양을 비슷하게 맞출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이물질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며, 후단 덕트간 유량을 균일하게 하여 장비 운용에 도움이 되고, 장비의 용량을 쉽게 증설할 수 있으며, 장비의 생산성과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700)의 배플(B1)(B2)(B3)(B4)들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800)의 배플(B1)(B2)(B3)(B4)들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700) 또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출 가스 정화 장치(800)는, 상기 제 1 덕트부(10)의 저면 다른 타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가스(G1)에 포함된 이물질(1)을 수용하는 제 3 이물질 수용부(30-3)와, 상기 제 1 덕트부(10)의 측면 다른 타측에 형성되는 제 3 정화 가스 배출구(H3)와 연통되고, 이물질(1)이 분리된 정화 가스(G2)의 또 다른 일부분을 제 4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2-3 덕트부(20-3)와, 상기 제 1 덕트부(10)로 유입된 상기 배출 가스(G1) 중 다른 타부분의 기류 방향이 상기 제 2-3 덕트부(20-3)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1-3 배플(B3)와, 상기 제 1 덕트부(10)의 저면 또 다른 타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가스(G1)에 포함된 이물질(1)을 수용하는 제 4 이물질 수용부(30-4)와, 상기 제 1 덕트부(10)의 측면 또 다른 타측에 형성되는 제 4 정화 가스 배출구(H4)와 연통되고, 이물질(1)이 분리된 정화 가스(G2)의 또 다른 일부분을 제 5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2-4 덕트부(20-4) 및 상기 제 1 덕트부(10)로 유입된 상기 배출 가스(G1) 중 또 다른 타부분의 기류 방향이 상기 제 2-4 덕트부(20-4)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1-4 배플(B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1 배플(B1)의 제 1 돌출 길이(T1)와, 상기 제 1-2 배플(B2)의 제 2 돌출 길이(T2)와, 상기 제 1-3 배플(B3)의 제 3 돌출 길이(T3) 및 상기 제 1-4 배플(B4)의 제 4 돌출 길이(T4)는 갈수록 작아지거나 또는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1 배플(B1)과, 상기 제 1-2 배플(B2)과, 상기 제 1-3 배플(B3) 및 상기 제 1-4 배플(B4)의 산 부분(M1)(M2)(M3)(M4)들 또는 골짜기 부분(V1)(V2)(V3)(V4)들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30-1)의 상방,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30-2)의 상방, 상기 제 3 이물질 수용부(30-3)의 상방 및 상기 제 4 이물질 수용부(30-4)의 상방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상기 배플의 개수나, 이물질 수용부의 개수는 다양한 형태의 상기 배출 가스(G1)에 능동적으로 대응될 수 있고, 이를 동해서 2개, 3개, 4개, 5개 이상 등으로 다양하게 설치하여 장비의 용량을 자유롭게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이물질이 포함된 배출 가스를 제 1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1 덕트부;
    상기 제 1 덕트부의 저면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제 1 이물질 수용부;
    상기 제 1 덕트부의 저면 타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제 2 이물질 수용부;
    상기 제 1 덕트부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와 연통되고, 이물질이 분리된 정화 가스의 일부분을 제 2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2-1 덕트부;
    상기 제 1 덕트부의 측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와 연통되고, 이물질이 분리된 정화 가스의 다른 일부분을 제 3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2-2 덕트부;
    상기 제 1 덕트부로 유입된 상기 배출 가스 중 일부분의 기류 방향이 상기 제 2-1 덕트부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1-1 배플; 및
    상기 제 1 덕트부로 유입된 상기 배출 가스 중 타부분의 기류 방향이 상기 제 2-2 덕트부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1-2 배플;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배플은,
    상기 배출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들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 가스의 기류 방향을 급격하게 변화시키기 위하여,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제 1 길이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2 배플은,
    상기 배출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들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 가스의 기류 방향을 급격하게 변화시키기 위하여,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상기 제 1 길이 보다 짧은 제 2 길이로 오목하게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 및 상기 제 1-2 배플은 일체형 판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인, 배출 가스 정화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전체적으로 제 1 길이로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2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전체적으로 상기 제 1 길이 보다 짧은 제 2 길이로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 및 상기 제 1-2 배플은 일체형 평판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인, 배출 가스 정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전체적으로 제 3 길이로 돌출되고, 정면에서 볼 때, 제 1 곡률 반경을 갖도록 위로 볼록하며,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2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전체적으로 상기 제 3 길이로 돌출되고, 정면에서 볼 때, 제 2 곡률 반경을 갖도록 아래로 볼록하며,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 및 상기 제 1-2 배플은 절곡된 일체형 판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인, 배출 가스 정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제 1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2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아래로 상기 제 1 경사각도 보다 큰 제 2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 및 상기 제 1-2 배플은 일체형 판상으로 부분 절곡된 절곡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인, 배출 가스 정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측면에서 볼 때, 제 3 곡률 반경을 갖도록 둥글게 절곡된 형상이고, 후단이 상기 제 1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2 배플은,
    선단이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3 곡률 반경 보다 작은 제 4 곡률 반경을 갖도록 둥글게 절곡된 형상이고, 후단이 상기 제 2 정화 가스 배출구의 상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 1-1 배플 및 상기 제 1-2 배플은 일체형 판상으로 부분 절곡된 절곡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인, 배출 가스 정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배플은,
    정면에서 바라 볼 때, 아래로 볼록한 제 5 곡률 반경과 위로 볼록한 제 6 곡률 반경이 파도 형태로 반복되고, 측면에서 바라 볼 때, 위로 볼록하도록 제 7 곡률 반경을 갖는 제 1 복합 파형 곡면체이고,
    상기 제 1-2 배플은,
    정면에서 바라 볼 때, 아래로 볼록한 제 8 곡률 반경과 위로 볼록한 제 9 곡률 반경이 파도 형태로 반복되고, 측면에서 바라 볼 때, 위로 볼록하도록 제 10 곡률 반경을 갖는 제 2 복합 파형 곡면체인, 배출 가스 정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덕트부의 저면 다른 타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제 3 이물질 수용부;
    상기 제 1 덕트부의 측면 다른 타측에 형성되는 제 3 정화 가스 배출구와 연통되고, 이물질이 분리된 정화 가스의 또 다른 일부분을 제 4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2-3 덕트부; 및
    상기 제 1 덕트부로 유입된 상기 배출 가스 중 다른 타부분의 기류 방향이 상기 제 2-3 덕트부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1-3 배플;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1 배플의 제 1 돌출 길이와, 상기 제 1-2 배플의 제 2 돌출 길이 및 상기 제 1-3 배플의 제 3 돌출 길이는 갈수록 작아지거나 또는 갈수록 커지는, 배출 가스 정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배플과, 상기 제 1-2 배플 및 상기 제 1-3 배플의 산 부분들 또는 골짜기 부분들이 상기 제 1 이물질 수용부의 상방, 상기 제 2 이물질 수용부의 상방 및 상기 제 3 이물질 수용부의 상방에 각각 위치되는, 배출 가스 정화 장치.
KR1020150148000A 2015-10-23 2015-10-23 배출 가스 정화 장치 KR101711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000A KR101711197B1 (ko) 2015-10-23 2015-10-23 배출 가스 정화 장치
PCT/KR2016/009571 WO2017069394A1 (ko) 2015-10-23 2016-08-29 배출 가스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000A KR101711197B1 (ko) 2015-10-23 2015-10-23 배출 가스 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197B1 true KR101711197B1 (ko) 2017-03-03

Family

ID=5841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000A KR101711197B1 (ko) 2015-10-23 2015-10-23 배출 가스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1197B1 (ko)
WO (1) WO201706939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611A (ja) * 1997-02-17 1998-08-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排ガス脱硫装置のダクト構造
US20050150439A1 (en) * 2004-01-08 2005-07-14 Ryan Anthony M. Baffle for increased capture of popcorn ash in economizer hoppers
KR101218403B1 (ko) * 2012-07-16 2013-01-0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배출 가스 정화 장치 및 이의 배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0820B1 (en) * 2002-01-23 2003-01-28 The Babcock & Wilcox Company Compartmented gas flue for NOx control and particulate removal
KR100624823B1 (ko) * 2004-11-10 2006-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플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611A (ja) * 1997-02-17 1998-08-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排ガス脱硫装置のダクト構造
US20050150439A1 (en) * 2004-01-08 2005-07-14 Ryan Anthony M. Baffle for increased capture of popcorn ash in economizer hoppers
KR101218403B1 (ko) * 2012-07-16 2013-01-0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배출 가스 정화 장치 및 이의 배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394A1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6120B2 (en) Gas transfer pipe arrangement
KR101218403B1 (ko) 배출 가스 정화 장치 및 이의 배플
EP2076335B1 (en) Vortex cyclone separator with aqueous stream injectors
US8034143B2 (en) Cyclone
CN205461770U (zh) 同轴短程快速循环协同脱除污染物的半干法烟气净化设备
CN101362037B (zh) 脉冲型叶片除雾器
EP2478206B1 (en) Particle trap and filter device comprising a particle trap
WO2008056405A1 (fr) Collecteur de poussière
EP0784498B1 (en) Removal of particulate material
KR101711197B1 (ko) 배출 가스 정화 장치
JP4388510B2 (ja) 集塵装置
JP5915351B2 (ja) 除塵装置
EP3064833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large particle ash in thermal power plant
RU185045U1 (ru) Каплеуловитель
CN110538518A (zh) 一种促进气流中微尘与汞联合脱除的装置与方法
KR101781096B1 (ko) 배출 가스 정화 장치
TWI321642B (ko)
KR101656609B1 (ko) 화력발전소의 조대입자 포집장치
KR102434432B1 (ko) 제련공정 미세먼지 제거장치
RU190593U1 (ru) Батарейный циклон с циклон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циклон-фильтр"
CN108883421B (zh) 气体除尘过滤设备和方法
SU709132A1 (ru) Инерционный пылеуловитель
SU936971A1 (ru) Инерционный пылеотделитель
SU1440555A1 (ru) Циклон
RU2259889C1 (ru) Вихревой пылеулов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