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662B1 -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662B1
KR101710662B1 KR1020140190754A KR20140190754A KR101710662B1 KR 101710662 B1 KR101710662 B1 KR 101710662B1 KR 1020140190754 A KR1020140190754 A KR 1020140190754A KR 20140190754 A KR20140190754 A KR 20140190754A KR 101710662 B1 KR101710662 B1 KR 10171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mbustion
cooling water
cool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424A (ko
Inventor
김상권
Original Assignee
에너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너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너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6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7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 F23M5/08Cooling thereof; Tub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 F23M5/08Cooling thereof; Tube walls
    • F23M5/085Cooling thereof; Tube walls using air or other gas as the cool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5/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solid or pulverulent fue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연소공기를 공급받아 하부에 결합되는 연료공급관에 의해 공급된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통을 구비하고, 고형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보일러로 배출하여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용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장치는 상기 연소통 내에 내벽으로 둘러싸여 하부에 공급된 연료를 연소시키는 원통형상의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내벽 외측 둘레에 형성되고 상, 하측에 각각 냉각수가 유출, 유입되는 냉각수 유출구와 냉각수 유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냉각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에 의해 연소실의 내벽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냉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냉실의 냉각수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가 유입되고, 압력용기로 이루어져 대기 중에 스팀화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포화수로 만들어 다시 연소장치의 수냉실로 공급하기 위한 플래쉬 탱크와, 상기 플래쉬 탱크로부터 냉각수를 상기 연소장치의 수냉실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연소장치의 냉각수가 연속적으로 순환하면서 발생되는 증발증기를 대기로 방출하지 않고 상기 냉각수가 다시 수냉실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SYSTEM FOR RECOVERING DISCHARGED STEAM IN A COMBUS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실 내에 고체연료 등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연소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에너지로 사용하기 위한 열회수용 연소장치에서 연소실 내벽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온수, 스팀 또는 고온의 가스를 필요로 하는 산업시설에서는 열에너지를 얻기 위해 연소통 내부에서 연료를 점화,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소장치가 이용되고 있고, 또한 이러한 연소장치에 사용되는 연료로서 생활폐기물을 연료화한 RDF 또는 폐플라스틱을 연료화한 RPF, 바이오매스(우드팰릿, 우드칩, 팜 부산물 팰릿, 왕겨 팰릿 등) 등의 고형연료가 경제성과 자원재활용 측면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연소장치에서는 연소실 내에 적재된 고형연료의 겉으로만 연소공기가 공급되어 고형연료의 겉부분은 잘 연소되나, 그 내부에 있는 고형연료는 연소공기와의 접촉이 어려워 불완전 연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의해 출원된 특허출원공개공보 제10-2012-16967호의 연소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 연소장치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통(10) 내에 내벽(12)으로 둘러싸여 화격자(17)상에 적재되는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실(11)과, 내벽(12) 외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중벽(14)과 내벽(12) 사이 공간에 형성되고, 중벽(14)의 상, 하측에 냉각수가 유출, 유입되는 냉각수 유출구(14b)와 냉각수 유입구(14a)가 형성되어 고온의 연소가스에 계속적으로 접촉하는 내벽(12)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냉실(13)과, 연소통(10)의 중벽(14) 외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벽(16)과 중벽(14)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공기공급구(16a)를 통해 공급된 연소공기가 내부를 선회 하강한 후 개방된 하부(12a)를 통해 연소실(11) 내로 선회하면서 공급되게 하는 측면연소공기공급실(15)과, 내부에 배치되는 이송스크류(22)에 의해 고형연료를 연소실(11) 내로 공급하는 연료공급관(21)을 구비하는 연료공급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료공급관(21)의 상부에는 연소실(11) 내로 돌출 형성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확경부(21a)와 확경부(21a)의 단부에서 아래로 절곡되고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형연료를 화격자(17)의 상면으로 안내하는 경사안내부(21b)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확경부(21a)에는 하부연소공기공급관(23)으로부터 공급된 연소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노즐(21c)이 둘레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연소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연료공급관(21)의 외측에 형성된 하부연소공기공급관(23)에 의해 공급되는 연소공기가 연료공급관(21)의 확경부(21a)에 형성된 급기노즐(21c)을 통해 공급되어 연소실(11) 내에 적재된 고형연료의 하부로도 연소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적재된 고형연료의 외부 뿐만 아니라 하부 및 내부에 존재하는 고형연료 또한 원활하게 연소된다. 그리고, 고온의 연소가스에 계속적으로 접촉하는 연소실 내벽(12)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냉각수 유입구(14a)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가 나선형상의 가이드판(13a)을 따라 수냉실(13) 내에서 선회 상승하면서 내벽(12)을 냉각시킨 다음 냉각수 유출구(14b)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냉각수 유출구(14b)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는 그 일부가 보일러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다시 수냉실(13)로 공급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냉각수의 순환과정에서 냉각수가 연소실 내벽(12)에 의해 계속적으로 가열됨으로써 고온의 증발증기가 발생되고, 이 발생된 증발증기는 대기로 방출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열손실이 발생하며 증발증기로 방출되는 물의 양만큼 다시 보충하여 순환수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소장치의 냉각수에서 발생되는 증발증기를 대기로 방출하지 않고 다시 냉각수로 사용할 수 있는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연소공기를 공급받아 하부에 결합되는 연료공급관에 의해 공급된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통을 구비하고, 고형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보일러로 배출하여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용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장치는 상기 연소통 내에 내벽으로 둘러싸여 하부에 공급된 연료를 연소시키는 원통형상의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내벽 외측 둘레에 형성되고 상, 하측에 각각 냉각수가 유출, 유입되는 냉각수 유출구와 냉각수 유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냉각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에 의해 연소실의 내벽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냉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냉실의 냉각수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가 유입되고, 압력용기로 이루어져 대기 중에 스팀화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포화수로 만들어 다시 연소기로 공급하기 위한 플래쉬 탱크와, 상기 플래쉬 탱크로부터 냉각수를 상기 연소장치의 수냉실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연소장치의 냉각수가 연속적으로 순환하면서 발생되는 증발증기를 대기로 방출하지 않고 상기 냉각수가 다시 수냉실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래쉬 탱크에는 수위조절밸브에 의해 플래쉬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여 저수위시 급수펌프를 가동시켜 플래쉬 탱크로 용수를 보충하도록 보충탱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소장치의 냉각수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워터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워터드럼에서 냉각수의 일부가 탈기기를 거쳐 급수펌프에 의해 상기 연소장치에 연결되는 보일러의 급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터드럼과 플래쉬 탱크 사이에는 상기 탈기기의 수위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탈기기의 수위에 따라 플래쉬 탱크로 가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장치의 냉각수가 연속적으로 순환하면서 연소실 내벽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발생되는 증발증기를 대기로 방출하지 않고 다시 회수하여 냉각수로 사용할 수 있는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이 제공된다.
도1은 연소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도1에서 연소통의 측면 확대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연소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도1에서 연소통의 측면 확대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은 연소통(10) 내에 내벽(12)으로 둘러싸여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실(11)과, 냉각수에 의해 연소실(11)의 내벽(12)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냉실(13)을 구비하는 연소기에 있어서, 다수의 연소기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가 수집되는 워터드럼(110)과, 워터드럼(110)으로부터 냉각수 중 일부가 공급되어 냉각수 내에 용존 기체를 제거하여 보일러 급수로 공급하기 위한 탈기기(200)와, 탈기기(200)로부터 냉각수를 각 연소기에 연결된 보일러에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230)와, 워터드럼(110)으로부터 나머지 냉각수가 공급되는 플래쉬 탱크(300)와, 플래쉬 탱크(300)에서 각 연소기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연소기에 대해 도1 및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연소기가 사용되며 각 연소기에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고형연료를 수용하고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통(10)은 연소통(10) 내에 내벽(12)으로 둘러싸여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실(11)과, 연소실(11)의 내벽(12)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냉실(13)과, 연소실(11)에 외부로부터의 연소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연소실(11)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연소공기공급실(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냉실(13)은 고온의 연소가스에 계속적으로 접촉하는 내벽(12)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것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원통의 내벽(12) 외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중벽(14)과 내벽(12) 사이 공간에 형성되고, 중벽(14)의 상, 하측에 냉각수가 유출, 유입되는 냉각수 유출구(14b)와 냉각수 유입구(14a)가 형성된다. 냉각수 유입구(14a)는 원통 중벽(14)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냉실(13)의 중벽(14) 내측에는 나선 모양으로 감겨 형성되는 냉각수 가이드판(13a)이 구비되어 냉각수 유입구(14a)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냉각수 가이드판(13a)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중벽(14) 상측에 형성된 냉각수 유출구(14b)를 통해 유출된다.
측면연소공기공급실(15)은 중벽(14) 외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벽(16)과 중벽(14)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외벽(16)의 상측에 외부로부터 연소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구(16a)가 형성되며, 하부(12a)는 개방되어 있다. 공기공급구(16a)는 원통형상의 외벽(16)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급된 연소공기가 측면연소공기공급실(15) 내부를 선회 하강한 후 개방된 하부(12a)를 통해 연소실(11) 내로 선회하면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연소통(10)의 상부는 연소된 고온의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고, 배출된 고온의 연소가스는 열을 회수하기 위해 연소가스배출관(도면 미도시)을 통해 보일러(미도시)로 유입되며, 보일러는 유입된 고온의 연소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고온의 스팀 등을 얻게 된다.
또한, 연소실(11) 하부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화격자(17)가 구비된다. 회전 화격자(17)는 그 상면에 공급된 고형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전 화격자(17)의 중앙에는 고형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부(20)가 형성된다.
연료공급부(2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통(10) 하부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연료공급관(2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외부로부터 고형연료가 연료이송수단(22)에 의해 연료공급관(21)을 따라 연소실(11) 내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연료공급관(21)의 외측에는 연료공급관(21)보다 직경이 크고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공기공급수단에 의해 연소공기를 연소실(11) 하부에서 연소실(11) 내로 공급하기 위한 하부연소공기공급관(23)이 형성된다.
연료공급관(21)의 상부에는 연소실(11) 내로 돌출 형성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확경부(21a)와 확경부(21a)의 단부에서 아래로 절곡되고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형연료를 화격자(17)의 상면으로 안내하는 경사안내부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확경부(21a)에는 하부연소공기공급관(23)으로부터 공급된 연소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노즐(21c)이 둘레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연소공기공급관(23)에서 연소실(11) 내로 돌출 형성되는 상단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급기확경부(23a)가 구비되어 연료공급관(21)의 확경부(21a) 하측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급기확경부(23a)의 단부는 연료공급관(21)의 경사안내부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연소공기공급관(23)을 통해 공급된 연소공기가 상측에 형성된 연료공급관(21)의 확경부(21a)에 형성된 급기노즐(21c)을 통해 연료의 저면으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연소통(1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연소된 고형연료의 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재배출구(19)가 형성되고, 상단 가장자리에는 연소공기배출관(도면미도시)이 결합되는 상단 플랜지(18)가 형성된다.
상기 워터드럼(110)은 다수의 연소기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각 연소기의 수냉실(13)의 냉각수 유출구(14b)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냉각수가 워터드럼(110)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워터드럼(110)으로 유입된 냉각수 중 약 50%는 탈기기(200)로 공급되고, 나머지 50%는 플래쉬 탱크(300)로 공급된다. 워터드럼(110)과 탈기기(200) 사이에는 탈기기(200) 수위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수위에 따라 탈기기(20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밸브(210)가 구비된다.
상기 탈기기(200)는 연소기의 내벽(12)을 냉각시키는 냉각수 중 일부를 냉각수 내에 존재하는 용존 기체를 제거한 다음 보일러 급수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탈기기(200)는 급수의 온도를 물의 증기압력에 해당하는 포화온도로 만드는 방법으로 탈기기(200) 내 증기를 주입하여 가열 탈기하게 되고 이 때 탈기기(200) 내의 급수온도에 따라 증기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절밸브(220)를 거쳐 증기가 탈기기(200)로 주입된다. 이와 같이 탈기기(200)에서 용존 기체가 제거된 냉각수는 급수펌프(230)에 의해 각 연소기의 보일러로 공급되고, 급수펌프(230)와 보일러 사이에는 노내 온도, 스팀 생산량, 보일러 수위에 따라 급수펌프(230)로부터 이송되는 보일러 급수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 조절 밸브(240)가 구비된다.
상기 플래쉬 탱크(300)는 압력용기로 이루어져 대기 중에 스팀화되는 고온의 물을 포화수(포화온도의 상태에 있는 물)로 만들어 다시 연소기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워터드럼(110)에서 탈기기(200)로 공급되고 남은 냉각수가 플래쉬 탱크(300)로 유입되며, 워터드럼(110)과 플래쉬 탱크(300) 사이에는 탈기기(200) 수위를 감지하여 탈기기(200) 수위에 따라 플래쉬 탱크(300)로 가는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수위조절밸브(310)가 설치된다. 이 수위조절밸브(310)에 의해 예를 들어 탈기기(200)의 수위가 저수위시에는 플래쉬 탱크(300)로 가는 유량이 적게 조절된다. 본 발명에서 플래쉬 탱크(300)는 약 7bar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압력용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플래쉬 탱크(300)에서 포화상태의 물이 다시 급수펌프(320)를 통해 각 연소기의 수냉실(13)로 공급되며, 급수펌프(320)와 각 연소기 사이에는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 표시 및 적산계(330)가 설치된다.
한편, 플래쉬 탱크(300)에는 저수위시 냉각수를 보충하기 위한 보충탱크(360)가 연결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밸브(340)가 구비되어 이에 의해 플래쉬 탱크(300)의 수위를 실시간 측정하여 저수위시 보충탱크(360)로부터 급수펌프(350)를 가동하여 용수를 보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연소기 내에서 고형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연료호퍼(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고형연료가 연료이송수단(22)에 의해 연료공급관(21)을 따라 연소실(11) 내로 공급되고, 연소실(11) 내로 처음 공급된 고형연료는 예열버너 및 점화버너(도면 미도시)에 의해 예열 및 점화된다.
그리고, 고형연료가 연소되는 데 필요한 연소공기는 외부로부터 측면연소공기공급실(15), 및 하부연소공기공급관(23)을 통해서 연소실(11)로 공급되는데, 먼저 측면연소공기공급실(15)에서는 원형 외벽(16)의 상부에 접선방향으로 형성된 공기공급구(16a)를 통해 공급된 연소공기가 측면연소공기공급실(15) 내부를 선회 하강한 후 개방된 하부를 통해 연소실(11) 내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연료공급관(210)의 외측에 형성된 하부연소공기공급관(23)에 의해 공급되는 연소공기가 급기노즐(21c)을 통해 고형연료의 저면으로도 공급된다.
한편, 연소실(11) 내에서 고형연료를 연소시킴과 동시에 내벽(12) 외측 둘레에 형성된 수냉실(13)의 냉각수 유입구(14a)를 통해 냉각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냉각수는 냉각수 가이드판(13a)에 의해 회전 상승하면서 내벽(12)을 냉각시킨 후 냉각수 유출구(14b)를 통해 유출되고, 이와 같이 내벽(12) 외측둘레에 수냉실(13)을 구비하여 연소실(11) 내벽(12)이 고온의 연소가스에 계속적으로 노출됨에 의해 생기는 변형, 열화 또는 균열 등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그 다음 각 연소기의 수냉실(13)로부터 빠져나온 냉각수는 워터드럼(110)에 수집되는데, 이 수집된 냉각수는 절반 가량이 수위조절밸브(210)를 통해 탈기기(200)로 공급되고, 나머지 냉각수는 플래쉬 탱크(300)로 유입된다. 워터드럼(110)과 탈기기(200) 사이에 설치되는 수위조절밸브(210)에 의해 탈기기(200) 수위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수위에 따라 밸브를 조절하여 탈기기(200) 내로 냉각수가 유입된다.
탈기기(200)는 내부로 증기를 주입하여 가열 탈기하게 되고 이 때 탈기기(200) 내의 급수온도에 따라 증기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절밸브(220)를 거쳐 증기가 탈기기(200)로 주입된다. 탈기기(200)를 거친 냉각수는 급수펌프(230)에 의해 각 연소기의 보일러로 공급된다.
한편, 워터드럼(110)으로부터 탈기기(200)로 공급되고 남은 나머지 냉각수가 플래쉬 탱크(300)로 유입되고, 워터드럼(110)과 플래쉬 탱크(300) 사이의 수위조절밸브(310)에 의해 탈기기(200)의 수위를 감지하여 플래쉬 탱크(300)로 가는 유량이 조절된다.
플래쉬 탱크(300)로 유입된 냉각수는 대기 중에 스팀화되는 고온의 물이 포화수(포화온도의 상태에 있는 물)가 되어 급수펌프(320)에 의해 각 연소기의 수냉실(13)로 재공급되게 된다. 또한 플래쉬 탱크(300)에는 보충탱크(360)가 연결되어 수위조절밸브(340)에 의해 플래쉬 탱크(300)의 수위를 측정하여 저수위시 보충탱크(360)로부터 급수펌프(350)를 가동시켜 용수를 보충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는 연소기의 냉각수가 연속적으로 순환하면서 연소기 내벽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발생되는 증발증기가 대기로 방출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의 증발증기를 대기로 방출하지 않고 플래쉬 탱크에서 포화수 상태로 다시 연소기의 수냉실로 공급함으로써 증발증기로 인해 발생되는 냉각수 손실분 및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연소통 11 : 연소실
12 : 내벽 13 : 수냉실
14 : 중벽 16 : 외벽
17 : 회전 화격자 20 : 연료공급부
21 : 연료공급관 110 : 워터드럼
200 : 탈기기 300 : 플래쉬 탱크
360 : 보충탱크

Claims (4)

  1. 외부로부터 연소공기를 공급받아 하부에 결합되는 연료공급관에 의해 공급된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통을 구비하고, 고형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보일러로 배출하여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용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장치는 상기 연소통 내에 내벽으로 둘러싸여 하부에 공급된 연료를 연소시키는 원통형상의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내벽 외측 둘레에 형성되고 상, 하측에 각각 냉각수가 유출, 유입되는 냉각수 유출구와 냉각수 유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냉각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에 의해 연소실의 내벽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냉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장치의 냉각수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워터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워터드럼에서 냉각수의 일부가 탈기기를 거쳐 급수펌프에 의해 상기 연소장치에 연결되는 보일러의 급수로 공급되고,
    상기 워터드럼에서 나머지 냉각수가 유입되고, 압력용기로 이루어져 대기 중에 스팀화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포화수로 만들어 다시 상기 연소장치의 수냉실로 공급하기 위한 플래쉬 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워터드럼과 플래쉬 탱크 사이에는 상기 탈기기의 수위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탈기기의 수위에 따라 플래쉬 탱크로 이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플래쉬 탱크로부터 냉각수를 상기 연소장치의 수냉실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연소장치의 냉각수가 연속적으로 순환하면서 발생되는 증발증기를 대기로 방출하지 않고 상기 냉각수가 다시 수냉실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 탱크에는 수위조절밸브에 의해 플래쉬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여 저수위시 급수펌프를 가동시켜 플래쉬 탱크로 용수를 보충하도록 보충탱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
KR1020140190754A 2014-12-26 2014-12-26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 KR10171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754A KR101710662B1 (ko) 2014-12-26 2014-12-26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754A KR101710662B1 (ko) 2014-12-26 2014-12-26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424A KR20160079424A (ko) 2016-07-06
KR101710662B1 true KR101710662B1 (ko) 2017-02-27

Family

ID=5650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754A KR101710662B1 (ko) 2014-12-26 2014-12-26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6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9020A (ja) 2002-03-26 2003-10-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回転ストーカ式焼却炉の熱回収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9309A (ja) * 1996-02-22 1997-09-05 Mitsubishi Heavy Ind Ltd 復水再循環流量制御装置
KR101280857B1 (ko) * 2011-07-25 2013-07-02 김상권 연소효율이 향상되는 연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9020A (ja) 2002-03-26 2003-10-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回転ストーカ式焼却炉の熱回収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424A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1414B (zh) 在廢熱鍋爐停止期間保持焦爐室溫暖的方法和裝置
JP2009227752A (ja) ガス化設備の運転方法
NO148086B (no) Hvirvelskikt-forbrenningsinnretning.
US20160193584A1 (en) Gasification furnace, gasification system, reformer and reforming system
JP2015218979A (ja) 蒸気ボイラー装置
RU2508503C2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установки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биоэтанола
KR101503298B1 (ko) 연소장치
KR101710662B1 (ko) 연소장치의 배출증기 회수시스템
JP2008122021A (ja) 固形燃料燃焼装置
KR101557870B1 (ko)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장치
KR102049894B1 (ko) 급속 고온 살균 건조 장치
CN203880691U (zh) 无烟囱多功能燃油燃气锅炉
KR101399977B1 (ko) 클링커 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장치
KR101958092B1 (ko) 수직형 노통연관식 화목스팀보일러
RU16540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RU2607323C1 (ru) Способ подогрева жидкости в отопительном устройстве (варианты) и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6875410U (zh) 一种循环式燃气蒸汽锅炉的余热回收装置
KR101809896B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JP6633023B2 (ja) 熱取出しシステムおよび熱製造方法
RU2555892C1 (ru) Аппарат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активации и регенерации
KR20110056896A (ko) 쓰레기 소각열을 이용한 폐품의 열분해 에너지 회수장치
KR102078139B1 (ko) 고체 연료 보일러
JP2005326042A (ja) ガス化炉及び複合リサイクル装置
KR101892718B1 (ko) 폐열 회수율이 극대화된 소각 보일러
CN106765180A (zh) 一种垃圾焚烧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