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628B1 -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628B1
KR101710628B1 KR1020100126353A KR20100126353A KR101710628B1 KR 101710628 B1 KR101710628 B1 KR 101710628B1 KR 1020100126353 A KR1020100126353 A KR 1020100126353A KR 20100126353 A KR20100126353 A KR 20100126353A KR 101710628 B1 KR101710628 B1 KR 101710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ing
density
continuous
shutter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3268A (ko
Inventor
주니치 타키자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976,156 priority Critical patent/US8736702B2/en
Publication of KR2011007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38Releasing-devices separate from shut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91Digital circuits
    • G03B7/095Digital circuits for control of aper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상 소자, 음성 정보를 취득하는 음성 정보 취득부, 음성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음성 정보를 해석하는 음성 정보 해석부, 음성 정보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연사 밀도를 조절하는 타이밍을 산출하는 타이밍 산출부 및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조절하도록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셔터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적은 연사 매수로 베스트 샷을 얻을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Photogh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고속 연사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촬상 장치는 연사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순간의 베스트 샷을 얻을 확률을 높이고, 촬영자는 움직임이 있는 피사체 등을 촬영할 때에, 원하는 화상을 얻을 확률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연사 기능으로 촬영을 한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촬영 매수가 증대하여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량이 커지게 되어, 외부 메모리의 용량 또는 촬상 장치의 구동용 배터리의 전력 등을 다량으로 소비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촬영 후에 일련의 연사 화상으로부터 베스트 샷을 추출할 필요가 있고, 고속 촬영이 가능한 상황에서는 촬영 매수가 방대하기 때문에 매우 번잡한 추출 작업이 요구되어서, 연속 촬상 화상으로부터 필요 화상을 선택하는 작업은 더욱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적은 연사 매수로 베스트 샷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상 소자; 음성 정보를 취득하는 음성 정보 취득부; 상기 음성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음성 정보를 해석하는 음성 정보 해석부; 상기 음성 정보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연사 밀도를 조절하는 타이밍을 산출하는 타이밍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셔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이도록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셔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이고, 상기 산출된 타이밍 사이에서 연사 밀도를 낮추도록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밍 산출부는 상기 연사 밀도를 높게 하는 타이밍을 산출하고,
상기 셔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가 주기적으로 높아지도록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정보 해석부는 상기 음성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음성 정보가 음악인 경우에 음악의 리듬 또는 템포를 해석하고,
상기 타이밍 산출부는 상기 음악의 박자의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정보 해석부는 상기 음성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음성 정보가 사람의 목소리인 경우에, 포르만트로부터 모음의 발음 타이밍을 해석하고,
상기 타이밍 산출부는 상기 모음의 발음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상 장치는 음성 정보를 저장한 음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음 데이터베이스의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정보 취득부는 상기 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음성 정보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은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음성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음성 정보를 해석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연사 밀도를 조절하는 타이밍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이도록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셔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이고, 상기 산출된 타이밍 사이에서 연사 밀도를 낮추도록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정보를 해석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정보가 음악인 경우에 음악의 리듬 또는 템포를 해석하고,
상기 타이밍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의 박자의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정보를 해석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정보가 사람의 목소리인 경우에, 포르만트로부터 모음의 발음 타이밍을 해석하고,
상기 타이밍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모음의 발음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 장치가 구비하는 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음성 정보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적은 연사 매수로 베스트 샷을 확실히 촬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피촬영자가 동기를 취하기 쉬운 타이밍에서 촬영되기 때문에, 베스트 샷(Best Shot)을 연출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리듬 및 템포를 갖는 음악의 박자의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주기적으로 높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촬상 장치(100)는 일례로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이고, 고속으로의 연사 기능을 갖춘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촬영 렌즈 광학계(102), 촬상 소자(104), 마이크로 폰(106), 스피커(108), 음 데이터베이스(110), 외부 메모리(112), 입력부(114), CPU(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촬영 렌즈 광학계(102)는 피사체 상을 촬상 소자(104)의 촬상면에 결상시킨다. 촬상 소자(104)는 CCD 또는 CMOS 등의 센서로 구성되고, 그 촬상면에 결상된 피사체 상을 광전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로서 CPU(120)에 입력한다. 마이크로 폰(106)은 촬상 장치(100)의 주변 음성을 취득하여 음성 데이터로서 CPU(120)에 입력한다. 음 데이터베이스(110)는 음악이나 소정 리듬 등의 음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외부 메모리(112)는 일례로서 촬상 장치(10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 외부 기록 매체이고, 촬상 소자(104)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CPU(120)는 촬상 소자(104)로부터 보내진 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외부 메모리(112)에 기억시키는 화상 데이터 기록부(130)를 구비한다. 또한, CPU(120)는 음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108)에 보내고, 스피커(108)로부터 음성을 발생시키는 음 발생 지령부(132)를 구비한다. 또한, CPU(120)는 외부 음 또는 내부 음을 해석하여,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셔터의 연사 밀도가 주기적으로 높아지도록 제어한다. 이 때문에, CPU(120)는 음성 정보 취득부(122), 음성 정보 해석부(124), 타이밍 산출부(126), 셔터 제어부(128) 등의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또, 도 1에 도시된 CPU(120)의 각 블록은 CPU(120)와 이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고속으로의 연사 기능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촬상 장치(100)가 갖추는 연사 기능은, 피사체를 순간 또는 버스트(Burst) 촬영함으로써, 순간의 베스트 샷(Best Shot)이 얻어질 확률을 높여 베스트 샷을 확률적으로 저장하는 것이다.
한편, 연사 기능으로 촬영을 한 경우, 저장할 데이터 량이 방대하게 되어, 외부 메모리(112)의 용량 또는 촬상 장치(100)의 구동용 배터리의 전력 등을 많이 소비한다. 또한, 사용자는 촬영 후에 일련의 연사 화상으로부터 베스트 샷을 추출할 필요가 있고, 고속 촬영이 가능한 상황에서는 촬영 매수가 방대하게 되기 때문에, 매우 번잡한 추출 작업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1장의 베스트 샷을 위해, 100장의 연사를 하게 되면, 외부 메모리(112)의 용량 또는 배터리의 전력을 많이 소비하게 되고, 또 연속 촬상 화상으로부터 필요 화상을 선택하는 작업은 어려워진다.
이상과 같이, 연사의 고속화에 의해 셔터 찬스 또는 촬영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는 이점이 얻어지지만, 그 단점으로 전술한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미리 촬상 장치(100)의 음 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되어 있는 음성, 음악이나, 주변의 음성, 음악을 분석하고, 예를 들면 음악의 템포에 맞추어 스마트하게 또는 지능적으로 연사 밀도를 제어하여 촬영한다. 여기서, 연사할 때의 셔터의 시간 간격이 짧은 경우를 연사 밀도가 고밀도라고 정의하고, 셔터의 간격이 긴 경우를 연사 밀도가 저밀도라고 정의한다. 이와 같이, 음에 맞추어 연사 밀도를 바꿈으로써, 피촬영자에게 촬영 타이밍을 알게 할 수 있고, 피촬영자는 음에 따라 연사 밀도가 높아지는 타이밍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연사 밀도가 높아지는 타이밍에서 촬영자를 바라는 표정을 짓거나, 원하는 포즈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연사 밀도가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전술한 연사 밀도 조절에 의해, 총 촬영 매수를 줄이면서, 베스트 샷을 취득할 수 있는 확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총 촬영 매수를 줄이는 반면, 종래의 연사 기능이 가지는 확률적인 베스트 샷의 추출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PU(120)는 음성 정보 취득부(122)에 의해 취득한 음성 데이터 또는 음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리듬, 템포로부터 박자 타이밍을 검지한다. 또한, CPU(120)는 음성 정보 취득부(122)에 의해 취득한 음성 데이터, 음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정보 해석부(124)에 의해 해석하고, 음성 데이터가 사람의 목소리인 경우는 모음이 발음되는 타이밍을 검지한다. 그리고 CPU(120)의 타이밍 산출부(126)는 박자의 타이밍 또는 모음이 발음되는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이도록 타이밍을 설정하고, 셔터 제어부(128)로부터 촬상 소자(104)에 대해 지령을 한다. 촬상 소자(104)는 CPU(120)로부터 지시받은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게 한다. 이에 의해, 셔터를 누르는, 즉 릴리스하는 간격이 박자의 타이밍 또는 모음이 발음되는 타이밍에서 짧아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음에 따라 연사 밀도를 바꾸는 연사를 특히 지능형 또는 인텔리전트(intelligent) 연사라고 정의한다. 사용자는 입력부(114)로부터 입력함으로써, 연사 밀도가 일정한 통상의 연사와 지능형 연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다. 또, 입력부(114)는 조작 버튼, 포인팅 디바이스,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조작 정보를 입력받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리듬 및 템포를 갖는 음악의 박자의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주기적으로 높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각(T, 2T, 3T…)이 음악의 박자의 타이밍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자의 타이밍에서는 셔터를 릴리스하는 간격이 짧아지고, 연사 밀도를 높게 한다. 마이크로 폰(106)에 의해 취득된 음성이 일정한 리듬, 템포를 가지는 경우, 박자의 타이밍은 일정한 주기로 나타나기 때문에, 박자의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게 하고, 박자 사이의 타이밍에서는 연사 밀도를 낮게 하는 제어를 구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1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지능형 연사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지능형 연사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는, 단계 12로 진행하여 통상의 연사를 행한다. 일반적인 연사는, 피사체의 밝기 등에 따라 정해지는 셔터 속도(Shutter speed), CPU(120)의 처리 속도, 또는 외부 메모리(112)에의 전송 속도 등 중에서 촬영을 가장 저해하는 요소, 예를 들면 셔터 속도에 해당하는 시간 간격(T1)으로 촬영을 계속한다. 사용자에 의해 통상의 연사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시간 간격(T1)으로 연사가 행해진다.
한편, 촬영자가 지능형 연사를 선택한 경우는, 단계 14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내부 음을 선택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사용자가 내부 음을 선택한 경우, 단계 16으로 진행하여, CPU(120)는 음 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되어 있는 음성을 스피커(108)로부터 발음시킨다. 또한, CPU(120)는 단계 16에서 스피커(108)로부터 발음되는 음성이나 음악의 데이터를 해석한다. 여기서, 미리 해석한 데이터를 음 데이터베이스(110)에 유보하고 있어도 된다. 음의 해석에서, 발음되는 음이 사람의 음성일 때는, 모음의 발생 타이밍(Timing)을 추정한다. 또한, 발음되는 음이 음악일 때는, 리듬(Rhythm)이나 템포(Tempo)에 해당하는 타이밍을 추출한다. 그리고, 단계 18에서는, 해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또한 통상 촬영시의 시간 간격(T1)을 필요에 따라 참조하여, 셔터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타이밍을 계산한다. 그리고, 단계 20에서는, 단계 18의 타이밍 계산에 기초하여 셔터 타이밍을 변화시키면서 연사를 행한다.
한편, 단계 14에서 사용자가 외부 음을 선택했을 때는, 촬상 장치(100)가 내장하는 마이크로 폰(106)으로부터 CPU(120)로 음성이 입력된다. 이때의 처리는 내부 음과 같지만, 미리 음성을 분석해 둘 수 없기 때문에, 해석 결과를 피드백하여 연사 밀도를 설정한다. CPU(120)는 취득한 외부 음을 내부 음과 같이 해석하고(단계 22), 연사 밀도를 높게 하는 타이밍을 계산하며(단계 24), 그 타이밍 계산에 기초하여 셔터 타이밍을 변화시키면서 연사를 행한다(단계 26).
단계 16 및 22에서의 음의 해석에 있어서, 사람의 목소리를 해석하는 경우는, 모음이 발음되는 타이밍을 검출한다. 이 때문에, 음성을 푸리에 변환하여 파워 스펙트럼을 산출한다. 그리고, 주파수마다의 파워 특성으로부터 포르만트(Formant)를 추출한다. 여기서, 포르만트는 입 안에서의 특히, 모음의 음정 등의 주파수 세기의 분포를 의미하며 구강의 크기 등에 따라 개인의 차가 생겨 개인의 독특한 음색이 생기는 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유성음의 경우, 그 음성을 내었을 때의 음파를 주파수 측정분석기에 걸면 각각의 음성에 고유한 주파수 분포도형이 얻어진다. 모음이면 성대의 1초간의 진동수를 나타내는 기본주파수(대체로 75-300Hz)와, 그 정수 배의 대부분의 고주파로 이루어진다. 이 고주파 중의 몇 개인가가 강조되는 것이 있고(일반적으로 3개), 그 낮은 것부터 차례로 제1, 제2 및 제3 포르만트라고 한다. 여기서, 포르만트의 특성은 모음마다 정해져 있으므로, 어떤 모음 포르만트부터 다음의 모음 포르만트까지의 간격을 Ti로 하고, 다음 수학식 1로 구해지는 시간 간격(T)으로 연사 한다. 이에 의해, 모음이 발음하는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Figure 112010081589028-pat00001
이때, 어떤 모음 포르만트부터 다음의 모음 포르만트까지의 간격(T)은 통상 사람이 말하는 빠르기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촬영자가 피촬영자에게 말을 걸면서 촬영을 하는 경우, 미리 피촬영자에 대해 말하는 빠르기에 따라 셔터 타이밍 간격이 짧아지는 것을 전달해 둠으로써, 피촬영자는 촬영자가 말하는 빠르기에 기초하여 표정을 바꿈으로써, 베스트 샷이 얻어질 확률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피촬영자가 말을 걸면서 촬영을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피촬영자는 자신이 말하는 빠르기에 따라 연사 밀도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역시 베스트 샷을 얻을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음악의 리듬, 템포와 동기하는 경우, 외부 음 또는 내부 음의 리듬, 템포를 해석한다. 이 경우는, 음의 기본 주파수를 검출하고, 기본 주파수의 배수의 피크를 취하여 박자의 타이밍을 검출한다. 여기서, 박자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방법은 종래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리듬의 타이밍 또는 박자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연사 밀도를 제어한다. 또, 리듬의 간격이 통상의 T1보다 짧을 때는, T1에서 셔터를 누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때, 인간의 청각에 관한 인지 능력의 한계를 고려해도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사 밀도의 제어는 nT에서 고밀도, nT+T/2(n은 자연수)에서 저밀도가 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음악의 경우에서도 리듬에 맞추어 촬영하고 있는 것을 피촬영자에게 미리 전달함으로써, 피촬영자는 연사 밀도가 높아지는 박자의 타이밍에서 이상적인 표정, 포즈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목소리, 음악의 어떤 경우에서도 찍는 타이밍이 음성에 의해 피촬영자에게 주어지기 때문에, 피촬영자에게 연사 밀도가 높아지는 타이밍을 알릴 수 있고, 피촬영자는 주어진 타이밍에서 이상적인 표정, 포즈 등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베스트 샷의 확률을 대폭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촬상 장치(100)의 연사 기능을 지능화하여, 셔터 타이밍을 음, 음성, 또는 음악에 의해 전달한다. 음성이나 음악에는 리듬이나 템포 등의 인간이 동기를 취하기 쉬운 특징이 있고, 이 특징을 이용하여 연사 간격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음을 개재하여 피촬영자와 촬영자의 사이에 공통 또는 암묵적인 합의가 얻어지고, 이에 기초하여 촬영이 행해지므로, 더 많은 베스트 샷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촬영 매수를 줄이거나 촬영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베스트 샷을 추출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피촬영자에 따라서는 셔터를 누르는 순간에 긴장하기도 하는데, 피촬영자에게 복수회의 셔터 찬스를 줄 수 있고, 또한, 음악 등의 리듬의 타이밍에서 촬영된다는 사실은 피촬영자의 긴장감을 경감시키기 때문에, 한층 더 베스트 샷의 취득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촬상 장치
122 음성 정보 취득부
124 음성 정보 해석부
126 타이밍 산출부
128 셔터 제어부

Claims (14)

  1.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상 소자;
    음성 정보를 취득하는 음성 정보 취득부;
    상기 음성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음성 정보를 해석하는 음성 정보 해석부;
    상기 음성 정보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연사 밀도를 조절하는 타이밍을 산출하는 타이밍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셔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이도록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이고, 상기 산출된 타이밍 사이에서 연사 밀도를 낮추도록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산출부는,
    상기 연사 밀도를 높게 하는 타이밍을 산출하고,
    상기 셔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가 주기적으로 높아지도록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 해석부는,
    상기 음성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음성 정보가 음악인 경우에 음악의 리듬 또는 템포를 해석하고,
    상기 타이밍 산출부는,
    상기 음악의 박자의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 해석부는,
    상기 음성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음성 정보가 사람의 목소리인 경우에, 포르만트로부터 모음의 발음 타이밍을 해석하고,
    상기 타이밍 산출부는,
    상기 모음의 발음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음성 정보를 저장한 음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음 데이터베이스의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정보 취득부는,
    상기 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음성 정보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음성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음성 정보를 해석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연사 밀도를 조절하는 타이밍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조절하도록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이도록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이고, 상기 산출된 타이밍 사이에서 연사 밀도를 낮추도록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를 해석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정보가 음악인 경우에 음악의 리듬 또는 템포를 해석하고,
    상기 타이밍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의 박자의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를 해석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정보가 사람의 목소리인 경우에, 포르만트로부터 모음의 발음 타이밍을 해석하고,
    상기 타이밍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모음의 발음 타이밍에서 연사 밀도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 장치가 구비하는 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음성 정보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8 항에 따른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00126353A 2009-12-22 2010-12-10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710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76,156 US8736702B2 (en) 2009-12-22 2010-12-22 Apparatus and method of calculating a shooting frequency based on the obtained sound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0775A JP5406004B2 (ja) 2009-12-22 2009-12-22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JP-P-2009-290775 2009-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268A KR20110073268A (ko) 2011-06-29
KR101710628B1 true KR101710628B1 (ko) 2017-02-27

Family

ID=4434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353A KR101710628B1 (ko) 2009-12-22 2010-12-10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406004B2 (ko)
KR (1) KR1017106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0575A (ja) 2002-09-27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9077325A (ja) 2007-09-25 2009-04-09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
JP2009284234A (ja) 2008-05-22 2009-12-03 Fujifilm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10146572A (ja) 2003-11-05 2010-07-01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0575A (ja) 2002-09-27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10146572A (ja) 2003-11-05 2010-07-01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JP2009077325A (ja) 2007-09-25 2009-04-09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
JP2009284234A (ja) 2008-05-22 2009-12-03 Fujifilm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268A (ko) 2011-06-29
JP2011135172A (ja) 2011-07-07
JP5406004B2 (ja)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33709B (zh) 语音识别装置和语音识别方法
JP5197561B2 (ja) 電子機器
JP2003255993A (ja) 音声認識システム、音声認識方法、音声認識プログラム、音声合成システム、音声合成方法、音声合成プログラム
CN111475206B (zh) 用于唤醒可穿戴设备的方法及装置
JP5308598B1 (ja) 撮像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CN111935573B (zh) 音频增强方法、装置、存储介质及可穿戴设备
Paroni et al. Vocal drum sounds in human beatboxing: An acoustic and articulatory exploration using electromagnetic articulography
US873670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alculating a shooting frequency based on the obtained sound information
KR101710628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CN112672120B (zh) 一种带语音分析功能的投影仪及个人健康数据生成方法
JP6729635B2 (ja) 音声認識装置、ロボット、音声認識方法及び記録媒体
US11397799B2 (en) User authentication by subvocalization of melody singing
JP2015194766A (ja) 音声認識装置および音声認識方法
JP2012039523A (ja) 動画像処理装置、動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018006A (ja) 音声合成システム、音声合成方法、音声合成プログラム
JP6381367B2 (ja)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183580A1 (en) Method of providing spoken instructions for a device for determining a heartbeat
JP2011077883A (ja) 画像ファイル生成方法、そのプログラム、その記録媒体および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
JP2005010652A (ja) 音声検出装置
JP2020061656A (ja) 撮像装置およびデータ保存方法
KR200294684Y1 (ko) 대화형 디지털 액자
JP2016045456A (ja)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75129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190520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5257708A (ja) 音響信号の事象検出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