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554B1 - 높낮이 고정 기능형 가구용 받침다리 - Google Patents

높낮이 고정 기능형 가구용 받침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554B1
KR101709554B1 KR1020160035660A KR20160035660A KR101709554B1 KR 101709554 B1 KR101709554 B1 KR 101709554B1 KR 1020160035660 A KR1020160035660 A KR 1020160035660A KR 20160035660 A KR20160035660 A KR 20160035660A KR 101709554 B1 KR101709554 B1 KR 101709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support
locker
heigh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102016003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3/00Bottle cupboards; Bottle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가구의 밑판에 고정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하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조작에 따라 승강하면서 가구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로 이루어진 가구용 받침다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주연에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로커, 상기 조절부의 외주연에 상기 지지로커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조절로커 및 상기 지지로커 및 상기 조절로커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연이 형성되고, 양단에 상기 지지로커 및 상기 조절로커가 끼워져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조절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가구용 받침다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높낮이 고정 기능형 가구용 받침다리{KICKSTAND OF FURNITURE}
본 발명은 침대, 장롱, 싱크대, 찬장, 책장 등과 같은 각종 가구의 밑면(밑판)에 장착하는 가구용 받침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가구의 수평 상태 및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높낮이 고정 기능형 가구용 받침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 옷장, 장롱, 책장, 싱크대, 찬장 등과 같은 각종 가구의 밑면(밑판)에는 통풍 및 설치의 편의 등을 위해 바닥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가구를 세워서 떠받치거나 지지하는 받침다리가 장착된다.
이러한 가구용 받침다리는 대개 나사 조임 방식으로 좌우로 돌러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가구의 설치 시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가 가구의 설치 높낮이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어 설치 및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8424호에 주방 가구용 다리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용 가구(40)의 저면에 밀착되는 고정브라켓(11)과, 상기 고정브라켓(11)의 삽입홀(19)을 통해 결합되는 고정홀더(21)로 이루어진 고정몸체(10),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10)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는 높이조절결합부(31)와, 바닥에 밀착되는 지지부(33)로 이루어진 조절몸체(3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몸체(30)의 회전 조작에 따라 고정홀더(21)에 대하여 조절몸체(30)가 승강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구용 다리는 고정몸체(10)와 조절몸체(30)가 나사 결합을 통해 상대적인 높낮이 조절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상 침대와 같이 잦은 하중과 외력을 받는 가구에 장착할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조절몸체(30)가 저절로 회전되면서 높낮이의 변동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가구의 수평 상태가 비틀어지면서 사용 중 흔들리거나 삐걱거리는 소음이 발생하는 데다, 심한 경우 파손 및 사용수명의 단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절몸체(30)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에 따른 높낮이의 변동이 있으면 그 설치 높낮이를 일일이 다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과 수고로움이 따르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KR 2020090008424 U(2009.08.21) KR 200476510 Y1(2015.03.02) KR 101557329 B1(2015.09.25) KR 101434279 B1(2014.08.20) KR 101434278 B1(2014.08.2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가구용 받침다리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가구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간단하게 고정함으로써 외력을 받더라도 높낮이가 저절로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구의 수평 상태 및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높낮이 고정 기능형 가구용 받침다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받침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가구의 밑판에 고정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하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조작에 따라 승강하면서 가구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로 이루어진 가구용 받침다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주연에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로커, 상기 조절부의 외주연에 상기 지지로커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조절로커 및 상기 지지로커 및 상기 조절로커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연이 형성되고, 양단에 상기 지지로커 및 상기 조절로커가 끼워져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조절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받침다리를 제시한다.
이로써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외력에 의해 높낮이가 저절로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구의 수평 상태 및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지지부의 하부 내주연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의 상부 외주연에 상기 지지부의 내주연과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조절부의 상부가 상기 지지부의 하부 중공 속으로 삽입되면서 승강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지지부에 대하여 조절부의 회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가구의 밑판에 받침부를 고정하고 지지부에 대하여 조절부의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슬리브를 지지로커와 조절로커에 씌우듯이 간단하게 끼워서 고정함으로써 받침부 및 지지부에 대하여 조절부가 자유로이 회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가구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높낮이가 저절로 변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가구의 수평 상태 및 설치 상태를 한층 견고하게 유지시켜 가구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작업의 편의성 및 사용성은 물론 다양한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범용성을 제고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의 일례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 중 국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Ⅰ-Ⅰ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Ⅱ-Ⅱ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를 가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를 나타낸 국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는, 가구를 바닥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떠받쳐 세우고, 나사 조임 방식으로 좌우 방향으로 돌러 그 높낮이를 자유롭게 가변 및 조절하며, 아울러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크게 가구의 밑판(F)에 고정되는 받침부(100)와, 받침부(100)의 하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지지부(200)와, 지지부(200)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조작에 따라 승강하면서 가구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부(300) 및 지지부(200)에 대하여 조절부(300)의 회전을 방지하는 슬리브(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부(100)는 싱크대 밑판(F)과의 안정적인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상면이 일정 넓이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태 또는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넓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부(100)의 사방 테두리에는 가구의 밑판(F)과 나사못으로 간편하게 고정하기 위한 나사못구멍(110)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나사못구멍(110)은 받침부(100)를 가구의 밑판(F)에 나사못으로 고정 시 그 나사못의 몸체부는 통과하여 가구의 밑면에 박히고 머리부는 받침부(100)에 묻혀 걸리도록 마치 카운터보어(counterbore)나 카운터싱크(countersink)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00)의 상면에는 가구의 밑판(F)에 형성되는 별도의 홈 속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중공형의 끼움돌기(120)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끼움돌기(120)는 다수 개의 절개홈에 의해 분할된 채로 받침부(10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끼움돌기(120)는 중공을 갖는 마치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둘레에는 하방에서 중공 속으로 별도의 쐐기를 압입 시 발생되는 가압력에 의해 외향으로 유연하고 탄력적인 변형 및 확장이 가능하도록 절개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끼움돌기(120)의 중공 안쪽 면 둘레는 상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좁아지게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바깥쪽 면 둘레에는 가구의 홈 속에 박히면서 파고들어가는 밀착돌기가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받침부(10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부(200)는 받침부(100)가 바닥면에 대하여 일정 높이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중공형의 원통으로 이루어져 받침부(10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부(200)는 평면상에서 볼 때 받침부(100)의 상하 및 좌우 폭보다 폭과 지름이 좁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0)의 하부 내주연에는 회전 조작에 따라 승강하면서 가구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부(300)가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21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암나사산(210)의 상부 즉, 지지부(200)의 상하 길이 방향의 가운데 부분 바깥쪽 면 둘레에는 받침부(100)와 지지부(200)를 회전 조작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손잡이부(230)가 평면상에서 볼 때 다각형 형상으로 더 형성되어 있다.
특히 지지부(200)의 외주연 일부분에는 슬리브(400)와 결합하기 위하여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지지로커(2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부(200)의 바깥쪽 면 둘레는 기어와 같은 요철 모양으로 지지로커(250)를 형성해서 슬리브(400)와 선택적인 접촉 간섭으로 유동없이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조절부(300)는 바닥면에 대한 가구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지지부(200)와의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조절부(300)의 상부는 지지부(200)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조작에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부(200)의 암나사산(210)과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특히 조절부(300)의 외주연 일부분에는 슬리브(400)와 결합하기 위하여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조절로커(3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조절부(300)의 바깥쪽 면 둘레는 기어와 같은 요철 모양으로 조절로커(350)를 형성해서 슬리브(400)와 선택적인 접촉 간섭으로 유동없이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부(300)는 중공형의 원통으로 이루어져 그 상부의 바깥쪽 면 둘레에는 지지부(200)의 안쪽 면 둘레에 형성된 암나사산(210)과 대응하여 나사 결합되도록 수나사산(310)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바깥쪽 면 둘레에는 높낮이 조절에 따른 파지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미부호)가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조절부(30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조절부(300)의 상부가 지지부(200)의 하부 중공 속으로 나사산을 타고 삽입되거나 인출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는 지지부(200)의 안쪽 면 둘레와, 이와 대응되는 조절부(300)의 바깥쪽 면 둘레에 각각 암수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지지부(200)의 바깥쪽 면 둘레와, 이와 대응되는 조절부(300)의 안쪽 면 둘레에 각각 암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지지부(200)의 하단부가 조절부(300)의 상단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서로 맞물리면서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지지부(200) 및 조절부(300)의 암수 나사산은 가구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떠받치면서 수월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의 형상을 등변사다리꼴 등과 같이 쉽게 마모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400)는 지지부(200)에 대하여 조절부(300)가 자유로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200) 및 조절부(300)의 일부분과 선택적인 접촉 간섭을 일으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브(400)는 지지부(200)에 대하여 조절부(3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단에 지지로커(250) 및 조절로커(350)가 끼워지도록 마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슬리브(400)는 지지로커(250) 및 조절로커(35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의 내주연을 갖는 마치 세레이션 보스, 스플라인 보스, 다각형 보스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400)의 바깥쪽 면 둘레에는 지지로커(250)와 조절로커(350)에 끼우거나 그 중 어느 하나로부터 손쉽게 빼내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쥐거나 파지할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파지돌기(410)가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의 밑판(F)에 받침부(10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못구멍(110)을 통하여 나사못 등으로 고정한 후 조절부(300)가 바닥에 밀착되도록 회전 조작하여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부(300)가 받침부(100) 및 지지부(200)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이를 통해 가구의 적합한 설치 높낮이를 조절 및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슬리브(400)가 지지로커(250)와 조절로커(350)를 함께 감싸도록 내려 끼워서 지지로커(250)와 조절로커(350)가 슬리브(400)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지지로커(250)와 조절로커(350) 그리고 슬리브(400) 간의 대향하는 면이 요철 및 다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 형태적 특성상 서로 접촉 간섭을 일으켜 견고한 고정력을 발생하여서 받침부(100) 및 지지부(200)에 대하여 조절부(300)가 자유로이 회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가구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외력을 받더라도 조절부(300)는 구속 상태를 유지하므로 높낮이가 저절로 변동되는 일이 없어 가구의 수평 상태 및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가구의 높낮이를 한층 더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가구를 설치 시 편의성 및 사용성의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받침부 110: 나사못구멍
120: 끼움돌기 200: 지지부
210: 암나사산 230: 손잡이부
250: 지지로커 300: 조절부
310: 수나사산 350: 조절로커
400: 슬리브 410: 파지돌기

Claims (6)

  1. 가구의 밑판(F)에 고정되는 받침부(100)와, 상기 받침부(100)의 하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지지부(200) 및 상기 지지부(200)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조작에 따라 승강하면서 가구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부(300)로 이루어진 가구용 받침다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의 외주연에 세레이션, 스플라인,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로커(250);
    상기 조절부(300)의 외주연에 상기 지지로커(25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조절로커(350); 및
    상기 지지로커(250) 및 상기 조절로커(35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연이 형성되고, 양단에 상기 지지로커(250) 및 상기 조절로커(350)가 끼워져 상기 지지부(200)에 대하여 상기 조절부(300)의 회전을 방지하는 슬리브(400);
    를 포함하는 가구용 받침다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 내주연에 암나사산(210)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300)의 상부 외주연에 상기 지지부(200)의 암나사산(210)과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310)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30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조절부(300)의 상부가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 중공 속으로 삽입 및 인출되면서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받침다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의 사방 테두리에 가구의 밑판(F)과 나사못으로 고정하기 위한 나사못구멍(110)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받침다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의 상면에 가구의 밑판(F)에 형성된 홈 속으로 압입되는 끼움돌기(12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받침다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400)의 바깥쪽 면 둘레에 파지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파지돌기(410)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받침다리.
KR1020160035660A 2016-03-25 2016-03-25 높낮이 고정 기능형 가구용 받침다리 KR101709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660A KR101709554B1 (ko) 2016-03-25 2016-03-25 높낮이 고정 기능형 가구용 받침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660A KR101709554B1 (ko) 2016-03-25 2016-03-25 높낮이 고정 기능형 가구용 받침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554B1 true KR101709554B1 (ko) 2017-02-23

Family

ID=5831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660A KR101709554B1 (ko) 2016-03-25 2016-03-25 높낮이 고정 기능형 가구용 받침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787A (ko) 2017-04-20 2018-10-30 김종원 높낮이 조절식 가구용 받침다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368A (ko) * 1999-11-26 2000-03-06 남희철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KR20090008424U (ko) 2008-02-18 2009-08-21 주식회사에넥스 주방 가구용 다리
KR20110072511A (ko) * 2009-12-23 2011-06-29 윤재기 싱크대 다리 결합구조
KR101434278B1 (ko) 2014-02-26 2014-08-28 김종원 가구용 높낮이 조절형 받침다리
KR101434279B1 (ko) 2014-06-16 2014-08-28 김종원 가구용 높낮이 조절형 받침다리
KR200476510Y1 (ko) 2013-12-30 2015-03-11 박석곤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101557329B1 (ko) 2015-04-28 2015-10-06 김종원 가구용 받침다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368A (ko) * 1999-11-26 2000-03-06 남희철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KR20090008424U (ko) 2008-02-18 2009-08-21 주식회사에넥스 주방 가구용 다리
KR20110072511A (ko) * 2009-12-23 2011-06-29 윤재기 싱크대 다리 결합구조
KR200476510Y1 (ko) 2013-12-30 2015-03-11 박석곤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101434278B1 (ko) 2014-02-26 2014-08-28 김종원 가구용 높낮이 조절형 받침다리
KR101434279B1 (ko) 2014-06-16 2014-08-28 김종원 가구용 높낮이 조절형 받침다리
KR101557329B1 (ko) 2015-04-28 2015-10-06 김종원 가구용 받침다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787A (ko) 2017-04-20 2018-10-30 김종원 높낮이 조절식 가구용 받침다리
KR102345824B1 (ko) 2017-04-20 2021-12-30 김종원 높낮이 조절식 가구용 받침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6849B2 (en) Fastening structure for footrest ring of chair
KR101434278B1 (ko) 가구용 높낮이 조절형 받침다리
EP2735828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door hinge assembly
KR101709554B1 (ko) 높낮이 고정 기능형 가구용 받침다리
KR2019011622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용 다리
KR20180117787A (ko) 높낮이 조절식 가구용 받침다리
KR102118514B1 (ko) 가구 받침다리
KR20200030236A (ko) 테이블 다리용 레벨러
KR20110033631A (ko) 가구용 받침대
KR20090072786A (ko) 실험대의 높이조절 장치
KR102210396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1782181B1 (ko) Pc 테이블용 신축 아암
KR200395362Y1 (ko) 물품의 수평조절장치
KR101066110B1 (ko) 높이조절식 테이블
US3390421A (en) Chair base
KR101587818B1 (ko) 가구용 받침다리
KR102094177B1 (ko) 싱크대 받침다리
KR101599413B1 (ko) 양방향 연동승강식 가구 받침다리
KR101434619B1 (ko) 테이블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20996Y1 (ko) 주방용 식기건조대의 길이조절봉 고정구조
KR101782396B1 (ko) 높낮이 조절 및 고정형 가구용 받침다리
KR20190061559A (ko) 싱크대 받침다리
KR200399635Y1 (ko) 가구용 다리의 높이조절구
KR20110023058A (ko) 진동 저감 장치
CN211573065U (zh) 一种轨道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