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331B1 - Smart multi-tab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mart multi-tab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331B1
KR101709331B1 KR1020140151196A KR20140151196A KR101709331B1 KR 101709331 B1 KR101709331 B1 KR 101709331B1 KR 1020140151196 A KR1020140151196 A KR 1020140151196A KR 20140151196 A KR20140151196 A KR 20140151196A KR 101709331 B1 KR101709331 B1 KR 101709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roduct
outl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mot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1345A (en
Inventor
김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시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시냅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시냅스
Priority to KR102014015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331B1/en
Publication of KR20160051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3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3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8Calling by using continuous ac
    • H04Q9/12Calling by using continuous ac using combinations of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멀티탭 장치 및 스마트 멀티탭 제어 방법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멀티탭에 연결된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스마트 멀티탭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유무선 통신부; 외부의 전력을 각 콘센트에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하는 릴레이부; 각 전자제품의 리모콘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제품에 송신하는 리모콘 신호 송신부;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싱부;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별로 전자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식별 정보 생성부;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저장한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 상기 식별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ulti-tap device and a smart multi-tap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multi-tap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a multi-tap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rocess a communication protocol; A relay unit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to each outlet or for shutting off power;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generating a remote control signal of each electronic product and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product; A current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current applied to an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an electronic product for each outlet by using the measured current; An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for each outlet that stores the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each outlet; And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lets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nd storing the types of the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lets in the per-outlet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

Figure R1020140151196
Figure R1020140151196

Description

스마트 멀티탭 장치 및 스마트 멀티탭 제어 방법{SMART MULTI-TAB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0001] DESCRIPTION [0002] SMART MULTI-TAB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0003]

본 발명은 스마트 멀티탭 장치 및 스마트 멀티탭 제어 방법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멀티탭에 연결된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스마트 멀티탭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ulti-tap device and a smart multi-tap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multi-tap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a multi-tap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대기전력은 전자제품이 외부 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전자제품의 주기능을 수행하지 않거나 내외부의 켜짐 신호를 기다리는 상태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대기전력은 수년 전부터 전력 낭비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에너지관리공단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3억대)의 평균 대기전력은 3.6W로 3억대가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총 100만㎾ 전력을 소비한다. 따라서 대기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대기전력 절약형 멀티탭이 개발되었다.Standby power refers to the power consumed in the state where the electronic product does not perform the main func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while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or waits for an internal or external on signal. Standby power has been recognized as a main cause of power waste for many years. According to the Korea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the average standby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s (300 million) used in Korea is 3.6W, which is 300 million units do. Therefore, various types of standby power saving type multi tap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standby power.

그러나 이러한 멀티탭/콘센트 제어 장치 들은 대기전력을 차단/연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리모콘 버튼을 누르는 등의 행동을 추가로 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주(main)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주변기기가 차단되는 원리로 대기전력을 절약하는 멀티탭의 경우 PC나 홈씨어터 등 주변기기가 연동되는 가전제품에만 사용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인체감지센서 등으로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 가전제품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멀티탭도 사용자가 원치 않는 전원 차단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최근 널리 사용되는 TV 셋탑박스처럼 부팅시간이 오래 걸리는 전자제품의 경우에는 상기 기술들이 적용될 경우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However, such a multi-tap / socket outlet control apparat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in order to shut off / connect the standby power, the user must additionally perform an action such as pressing a remote control button.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n the case of a multi-tap that saves standby power due to the principle that peripheral devices are shut off when the main power is cut off, it can be used only in household appliances that are connected with peripherals such as a PC or a home theat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may be prevented from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by detecting a user's presence by means of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or the like, thereby blocking standby power of household appliances.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product which requires a long boot time, such as a recently-used TV set-top box, the above-described techniques are inconvenient to the user.

최근 홈오토메이션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각종 홈오토메이션 전자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선행 기술들은 리모콘 기능을 통해 전자제품들을 제어하였으나 리모콘의 단방향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명령 내린 결과가 제대로 수행되었는지(예컨대, 전원 ON) 알 수 없었다. 또한 선행 기술들은 전원 ON/OFF 기능만을 제공하여 단순 가동되는 냉난방기구, 조명 등에 밖에 사용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As interest in home automation grows, various home automation electronic products are being released. Although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electronic products through the remote control function, it is impossible to know whether the result of the user's command is properly performed (for example, power ON) due to the unidirectionality of the remote control. Also, the prior art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y can only be used for heating / heating equipment, lighting, etc., which are operated simply by providing a power ON / OFF function.

한국공개특허 10-2012-013378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33785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제품에 연결된 콘센트에 대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제품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upply to an outlet connected to a desired electronic product. In addition, a user can control an electronic produc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유무선 통신부; 외부의 전력을 각 콘센트에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하는 릴레이부; 각 전자제품을 동작시키는 리모콘 신호인 리모콘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제품에 송신하는 리모콘 신호 송신부; 상기 리모콘 송신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제품이 연결된 각 콘센트에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싱부; 상기 전류 센싱부에서 측정된 전류의 전류 패턴을 이용하여 각 콘센트별로 전자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식별 정보 생성부;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저장한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 상기 식별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rocess a communication protocol; A relay unit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to each outlet or for shutting off power;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generating a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which i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each electronic product, and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to the electronic product; A current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current flowing in each outlet to which an electronic product operated by the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is connected;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electronic product for each outlet by using the current pattern of the current measured by the current sensing unit; An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for each outlet that stores the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each outlet; And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lets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nd storing the types of the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lets in the per-outlet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

상기 스마트 멀티탭 장치는, 각 전자제품의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정보 생성부는,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별로 전자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mart multi-tap device includes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 remote controller of each electronic produc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It is possible to gener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electronic product by the outlet.

상기 전류 패턴은, 전자제품이 대기 전력을 소비할 때의 평균 대기 전력, 전자제품이 구동 전력을 소비할 때의 평균 구동 전력, 전자제품의 소모 전력이 상기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부팅 모드 시간, 전자제품이 상기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 발생하는 오버슈트(overshoot) 소요 시간, 전자제품이 전력을 소모할 때의 전류 특성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current pattern may be a boot pattern that takes an average standby power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standby power, an average drive power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the drive power, Mode time, time required for overshoot that occurs when the electronic product reaches the average driving power, and current characteristics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power.

상기 전류 특성은, 전류 파형의 비대칭도(skewness), 전류 파형의 첨도(kurtosis), 전류 파형의 파고율(crest factor), 전류 파형의 주파수 성분 비율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current characteristic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kewness of a current waveform, kurtosis of a current waveform, a crest factor of a current waveform, and a frequency component ratio of a current waveform.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연결된 식별 정보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전자제품의 종류를 수신받아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kind of the electronic product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Can be stored in the electronic product assignment storage section.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 각 콘센트의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의 릴레이 상태 및 전자제품의 전원 온 및 오프 상태를 알릴 수 있는 상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A user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a user input; And a state output unit capable of informing a relay state of a power supply or a power-off state of each socket-outlet and a power-on / off state of the electronic product.

상기 리모콘 송신 신호는, 적외선 신호, 블루투스 신호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may be any one of an infrared signal and a Bluetooth signal.

상기 제어부는,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자제품의 구동 제어 요청이 있는 경우,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에 연결된 콘센트를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를 통해 파악하여 파악된 콘센트의 릴레이를 전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the drive control of the electronic product through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outle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requested by the driving control through the outlet-based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Power can be controlled to be supplied.

각 전자제품을 구동시키는 리모콘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전자제품별로 각각 저장하고 있는 리모콘 신호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의 리모콘 신호를 상기 리모콘 신호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추출된 리모콘 신호를 리모콘 송신 신호로서 상기 리모콘 신호 송신부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And a remote control signal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remote control signal for driving each of the electronic products, respectively, for each of the electronic products, wherein the control unit extracts a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electronic product requested to be driven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storage unit , And transmit the extracted remote control signal as a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동통신단말기; 전자제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각 전자제품별로 할당된 식별 정보 서버;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생성한 식별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식별 정보 서버로부터 전자제품의 종류를 수신하여 각 콘센트별로 전자제품의 종류를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과 연결된 콘센트에 전원을 제어하며, 상기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의 리모콘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스마트 멀티탭;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식별 정보 서버 및 스마트 멀티탭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한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in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electronic product is assigned to each electronic product;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using currents applied to electronic appliance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lets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receiving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storing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for each outlet, A smart multi-tap for controlling power to an outlet connected to an electronic product requested to be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electronic product requested to be driven; And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and the smart multi-tab are connected by a wire /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저장하는 초기화 과정;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자제품의 구동 제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로부터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과 연결된 콘센트를 파악하는 과정; 상기 파악된 콘센트의 릴레이를 전원 공급되도록 하는 과정; 상기 전자제품을 동작시키는 리모콘 신호인 리모콘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itialization process of identifying the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lets and storing them in the per-outlet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A step of recognizing an outle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requested to be driven by the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outlet when there is a request for driving control of the electronic produc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using the identified receptacle to be powered on;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a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product.

상기 초기화 과정은,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대기 모드에서의 대기 전류의 전류 패턴과, 공급 모드에서의 공급 전류의 전류 패턴을 이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The initialization process can identify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by using the current pattern of the standby current in the standby mod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and the current pattern of the supply current in the supply mode.

상기 초기화 과정은,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에 대기 전력을 인가하는 대기 전력 공급 과정; 상기 대기 전력 공급 과정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대기 전류 측정 과정; 상기 전자제품을 구동시켜, 상기 전자제품에 구동 전력을 인가하는 구동 전력 공급 과정; 상기 구동 전력 공급 과정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구동 전류 측정 과정; 측정된 대기 전류 및 구동 전류의 전류 패턴을 이용하여 전자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식별 정보 생성 과정;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상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저장하는 콘센트별 전자제품 저장 과정; 나머지 다른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들에 대하여, 상기 대기 전력 공급 과정, 구동 전력 공급 과정, 전류 측정 과정, 식별 정보 생성 과정, 전자제품 할당 콘센트 저장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itialization process includes: a standby power supply process of applying standby power to an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an outlet; A standby current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a current applied in the standby power supply process; A driving power supply step of driving the electronic product to apply driving power to the electronic product; A driving current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current applied in the driving power supplying step;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electronic product using the measured current patterns of the standby current and the driving current; An electronic product storing process for each outlet to identify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outlet in the outlet allocating unit for each outlet; And a process of repeatedly performing the standby power supply process, the driving power supply process, the current measurement proces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process, and the storing step of the electronic product outlet for the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other outlet.

상기 전자제품 할당 콘센트 저장 과정은, 상기 식별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식별 정보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식별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전자제품의 종류를 수신받는 과정; 상기 콘센트에 상기 전자제품의 종류가 연결되었음을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Storing the electronic product-allocated receptacle includes: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connected to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a type of electronic product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And recording the fact that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to the outlet in the outlet-specific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상기 초기화 과정은, 전자제품을 동작시키는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The initialization process can identify the type of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by using an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produ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멀티탭의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사용자가 알지 못하더라도, 멀티탭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제품별로 대기 전력을 원격으로 차단 및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일이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알고 있어야 하는 불편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제품에 대하여 원격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활용하여 리모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multi-tap, the user can remotely shut off and supply the standby power for each electronic product desired by the us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know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outlet.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ly with respect to the electronic product desired by the user, so that efficient remote control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장치를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탭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탭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탭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멀티탭이 접속 조건의 초기 설정이 이루어질 때의 망 구성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멀티탭, 이동통신단말기, 식별 정보 서버간의 망 구성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대기모드, 부팅모드, 구동모드에서의 전류 파형을 도시한 그림.
도 8은 전류 파형의 비대칭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전류 파형의 주파수 성분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탭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탭의 초기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12는 리모콘 신호의 인코딩된 리모콘 신호를 도시한 그림.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multi-tab syste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smart multi-ta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multi-ta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smart multi-ta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when an initial setting of a connection condition is performed by a smart multi-t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between a smart multi-tap,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current waveforms in a standby mode, a boot mode, and a drive mode.
8 is a graph showing the asymmetry of the current waveform.
9 is a graph showing a frequency component ratio of a current waveform.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a smart multi-t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itialization process of a smart multi-t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n encoded remote control signal of a remote control signal.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 Other objects, features, and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its effect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장치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탭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탭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탭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a smart multi-ta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multi-ta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smart multi-ta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무선 통신망(400)은, 이동통신단말기(100), 식별 정보 서버(200) 및 스마트 멀티탭(300)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통신망이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하여 스마트 멀티탭(300)에 전자제품의 구동 제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구동 제어 요청은, 전원 온(ON), 전원 오프(OFF), 보일러 온도 조절, 볼륨 조절, 빛 강도 조절, 보온 및 취사 선택 등과 같이 전자제품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구동 제어 요청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멀티탭(300)은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하여 식별 정보 서버(200)에 전자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식별 정보 서버(200)로부터 식별 정보에 할당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무선 통신망(400)은 무선 이동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G, 4G, 와이파이(WiFi), 무선랜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인터넷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0 is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and the smart multi-tap 300 via a wired / wireless network.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transmit a request for driving control of the electronic product to the smart multi-tap 30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0. The drive control request may have various drive control requests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nic product such as power ON, power OFF, boiler temperature control, volume control, light intensity control, thermal insulation and cooking selection. The smart multitap 300 also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electronic product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0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As shown in FIG.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4G, WiFi, and wireless LAN, and may be implemented using an Internet wir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CP / 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Lt; / RTI >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전자제품의 구동을 요청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3세대(3G), 4세대(4G,LTE) 등의 무선 이동 통신을 따르는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또는 3G, 4G가 아니더라도 연산 처리 및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도 해당될 수 있다. 이밖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스마트폰 이외에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MP3P(MPEG layer 3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a smart phone follow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3G or 4G (4G, LTE) as a terminal capable of requesting driving of an electronic product, or may be a 3G or 4G A terminal capable of arithmetic process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may also be applicab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navigation, a digital camera, a MP3P (MPEG layer 3 Player), and the like.

식별 정보 서버(200)는, 전자제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각 전자제품별로 할당되어 있다. 전자제품이 연결된 각 콘센트에서 흐르는 전류 패턴을 이용하여 식별 정보가 생성되거나, 또는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이용하여 식별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allocated for each electronic produc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using the current pattern flowing in each outle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using the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상기에서 전류 패턴은, 전자제품이 대기 전력을 소비할 때의 평균 대기 전력, 전자제품이 구동 전력을 소비할 때의 평균 구동 전력, 리모콘 신호를 송신한 후 전자제품의 소모 전력이 상기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부팅 모드 시간, 전자제품이 상기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 발생하는 오버슈트(overshoot) 소요 시간, 전자제품이 전력을 소모할 때의 전류 특성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류 특성은, 전류 파형의 비대칭도(skewness), 전류 파형의 첨도(kurtosis), 전류 파형의 파고율(crest factor), 전류 파형의 주파수 성분 비율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urrent pattern, the average standby power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the standby power, the average drive power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the driving power, the consumed power of the electronic product after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the average driving power A time required for overshooting that occurs when the electronic product reaches the average driving power, and a current characteristic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power, . The current characteristic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kewness of a current waveform, kurtosis of a current waveform, a crest factor of a current waveform, and a frequency component ratio of a current waveform.

식별 정보 서버(200)는,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전자제품을 할당하여 저장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평균 대기 전력이 3.2W이며 평균 구동 전력이 500KW인 경우 상성 전자의 A모델의 전기 밥솥이 할당되어 저장되며, 평균 대기 전력이 2.7W이며, 평균 구동 전력이 400KW인 경우 LG 전자의 B모델의 전기 밥솥이 할당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식별 정보별 전자제품의 종류는 전자제품의 제품 설명 매뉴얼에 기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각 전자제품의 실험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verage standby power is 3.2 W and the average driving power is 500 KW,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allocates and stores electronic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average standby power is 2.7W and the average driving power is 400KW, the electric rice cooker of the LG model B is allocated and stored. The kind of th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set based on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roduct description manual of the electronic product or can be set through the experiment of each electronic product.

스마트 멀티탭(300)은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생성한 식별정보를 식별 정보 서버(200)에 전송하여 식별 정보 서버(200)로부터 전자제품의 종류를 수신하여 각 콘센트별로 전자제품의 종류를 저장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과 연결된 콘센트에 전원을 제어하며,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의 리모콘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The smart multi-tap 300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by using the currents applied to the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lets, receives the types of the electronic products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Stores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the outle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requested to be driven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electronic product requested to be driven.

스마트 멀티탭(300)은 유무선 통신부(320), 릴레이부(360), 리모콘 신호 송신부(330), 전류 센싱부(370), 식별 정보 생성부(380),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 제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리모콘 신호 저장부(340), 상태 표시부(390), 사용자 입력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multitap 300 include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a relay unit 360,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330, a current sensing unit 370,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80, , And a control unit 310. [ In addition, a remote control signal storage unit 340, a status display unit 390, and a user input unit 395 may be included.

유무선 통신부(320)는, 유무선 통신망(400)과 연결되어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예컨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경우, TCP/IP 프로토콜, Wi-Fi에 따라 통신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유무선 통신부(320)가 유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경우에는 유무선 통신부(320)는 유선 LAN 포트(Local access Network port)를 구비하여 프로토콜을 처리하며, 무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경우에는, 유무선 통신부(320)는 근접한 무선 AP(Access Point)에 Wi-Fi를 통하여 접속하다.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is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0 to process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example, when communication is performed via the Internet, transmission / reception of communication data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CP / IP protocol and Wi-Fi. When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is connected to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processes a protocol by providing a wired LAN port (Local access Network port). When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is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 to a nearby wireless AP (Access Point) via Wi-Fi.

한편, 이러한 유무선 통신부(320)가 유무선 통신망(400)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통신망 접속 조건(게이트웨이, 공유기 이름, 보안 설정)을 초기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무선 통신부(320)가 유선 통신 처리 모듈로 구현된 경우에는, 최초 설정될 시에 유선 LAN 포트에 연결된 PC를 연결하여 접속 조건을 초기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부(320)가 무선 통신 처리 모듈로 구현된 경우에는, 최초 설정될 시에 유무선 통신부(320)는 AP(Access Point)로 동작하여 AP 모드로 부팅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to be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0, it is necessary to initialize the network connection conditions (gateway, router name, security setting). When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is implemented as a wired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a connection condition can be initially set by connecting a PC connected to a wired LAN port at the time of initial setting. Also, when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is implement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may operate as an access point (AP) and boot in the AP mode at the time of initial setting.

따라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스마트 멀티탭(300)에 접속하여, 접속 조건을 초기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성공적으로 초기 설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일반 사용시에는 스마트 멀티탭(300), 이동통신단말기(100), 식별 정보 서버(200)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공유기(150)를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스마트 멀티탭(300)은 공유기(15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access the smart multi-tap 30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After the initial setting is successfully completed, the smart multi-tap 3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Internet as shown in FIG. 6 (a) .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smart multitap 300 through the router 150,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smart multitap 30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router 150, as shown in FIG. 6 (b).

릴레이부(36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각 콘센트(301,302,300N)에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하는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 멀티탭(300)은 복수개의 콘센트를 구비하고 있는데, 각 콘센트에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꽂힘으로써 대기 전력 및 nr동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각 콘센트는 릴레이부(360)를 통하여 각 콘센트에 제공되는 공급 전력이 개별적으로 제공 또는 차단될 수 있다.The relay unit 360 performs a switching function of supplying power or cutting off power to each of the outlets 301, 302, and 300N. The smart multi-tap 300 has a plurality of outlets, and a standby power and a nr copper power can be supplied by plugging an electronic product into each outlet. Each outlet can be individually provided or blocked by the power supplied to each outlet through the relay portion 360. [

리모콘 신호 송신부(330)는, 각 전자제품의 리모콘 신호인 리모콘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제품에 송신한다. 리모콘 송신 신호는 전자제품에 따라서 적외선 신호인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 신호 등 다양한 신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TV의 경우 각 제조사별로 서로 다른 패턴의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적외선 신호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제조사별로 해당되는 IrDA의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리모콘 신호가 블루투스 통신으로 동작하는 프린터 등의 경우에는, 프린터 제조사별로 해당되는 블루투스 신호를 리모콘 송신 신호로 생성하여 송신한다. 참고로, 블루투스 신호의 경우에는 방향성을 가지지 않지만 IrDA 적외선 신호의 경우 방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IrDA 적외선 신호를 송신할 때 상하좌우 방향으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 기구적 구성을 가지도록 한다. 따라서 리모콘 신호 송신부(330)는 각 전자제품별 리모콘 신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이를 참고로 리모콘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330 generates a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which is a remote control signal of each electronic product, and transmits it to the electronic product. The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can have various signal types such as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and Bluetooth signal, which are infrared signals according to electronic produc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V,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infrared signals of different patterns are used for each manufacturer, and infrared signals of corresponding IrDA are generated for each manufacturer and transmitted. Similarly,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a printer or the like that operates by Bluetooth communication, a Bluetooth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printer manufacturer is generated as a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ted. For reference, since the Bluetooth signal has no directionality but has the directionality in the case of the IrDA infrared signal, it is necessary to have a hardware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infrared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ransmitting the IrDA infrared signal. Therefore,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r 330 has information on the remote control signals for each electronic product, and generates a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with reference to the remote control signals.

리모콘 신호 수신부(335)는 각 전자제품의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송하는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멀티탭 외부에 1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제품 리모콘은 전자제품 구입시에 제조사에서 제공하여 주는 리모콘이다.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335 receives an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remote controller of each electronic product. Therefore, one or more of them may be disposed outside the multi-tap to receive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by the user. Here, the electronic remote control is a remote control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when purchasing an electronic product.

전류 센싱부(370)는,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한다.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에 따라서 전류가 다르게 측정될 수 있다. 1번 콘센트(301)에 에어컨이 연결된 경우, 에어컨이 구동시에 에어컨 구동 전력에 해당하는 전류가 1번 콘센트(301)를 통해 에어컨으로 흘러가며, 2번 콘센트(302)에 선풍기가 연결된 경우, 선풍기가 구동시에 선풍기 구동 전력에 해당하는 전류가 2번 콘센트(302)를 통해 에어컨으로 흘러갈 수 있다.,The current sensing unit 370 measures a current applied to an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The current can be meas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When the air conditioner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301,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air conditioner driving power flows to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first outlet 301 while the air conditioner is in operation. When the fan 302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302,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an driving power may flow to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second outlet 302 at the time of driving.

식별 정보 생성부(380)는, 전자제품이 연결된 각 콘센트에서 흐르는 전류 패턴을 이용하여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측정된 전류의 전류 패턴을 이용하여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전류 패턴은, 전자제품이 대기 전력을 소비할 때의 평균 대기 전력, 전자제품이 구동 전력을 소비할 때의 평균 구동 전력, 리모콘 신호를 송신한 후 전자제품의 소모 전력이 상기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부팅 모드 시간, 전자제품이 상기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 발생하는 오버슈트(overshoot) 소요 시간, 전자제품이 전력을 소모할 때의 전류 특성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80 can gener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using a current pattern flowing in each outlet to which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That is, by using the current pattern of the measured cur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connected electronic products for each outlet is generated. The current pattern is calculated by the average standby power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the standby power, the average driving power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the driving power, the consumed power of the electronic product after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reaches the average driving power A time required for overshooting that occurs when the electronic product reaches the average driving power, and a current characteristic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power.

평균 대기 전력은 전자제품이 플러그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 온(ON)되지 않고 전원 오프(OFF)되어 있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의 소모 전력을 말한다. 대기 전력은, 대기전력은 실제 사용하지 않으면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둠으로써 낭비되는 전력을 말하는데, 한 시간 동안 소모되는 전력량을 말한다. 참고로, 도 7에 대기 모드 상태에서의 대기 전력이 소모되는 구간을 표시하였다. 평균 대기 전력은 대기 전력의 평균을 말하는 것으로서, 정확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어느 특정 시간대의 대기 전력이 아니라 평균적인 대기 전력을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각 전자제품별 평균 대기 전력은, 셋톱 박스의 경우 12.3W, 인터넷 모뎀의 경우 6W, 스탠드형 에어컨의 경우 5.6W, 보일러의 경우 5.8W, 오디오 스피커의 경우 5.1W, 유무선 공유기의 경우 4.0W, 전기밥솥의 경우 3.5W, 전자 레인지 의 경우 3.5W, PC의 경우 2.6W의 평균 대기 전력을 가질 수 있다.The average standby power refers to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mode, in which the electronic product is plugged in, turned on, and turned off. Standby power refers to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during an hour, which is the amount of power that is wasted by putting the plug into the outlet without actually using the standby power. For reference, FIG. 7 shows a period in which standby power is consumed in the standby mode. The average standby power is an average of the standby power. In order to obtain accur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verage standby power is measured instead of the standby power at a specific time. In general, the average standby power for each electronic product is 12.3W for set-top box, 6W for internet modem, 5.6W for stand-type air conditioner, 5.8W for boiler, 5.1W for audio speaker, 4.0 W, 3.5W for an electric rice cooker, 3.5W for a microwave oven, and 2.6W for a PC.

그런데 이러한 평균 대기 전력은 전자제품의 하드웨어의 구성에 따라서 전자제품별, 제조사별, 모델별로 서로 다른 평균 대기 전력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평균 대기 전력을 이용하여 전자제품을 식별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However, the average standby power may have different average standby power values according to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by the electronic product, by the manufacturer, and by the model. Therefore, this average standby power can be used as data for identifying electronic products.

평균 구동 전력은 전자제품이 전원 온(ON)되어 구동 전력을 소비할 때의 전력을 말한다. 참고로, 도 7에 구동 모드 상태에서의 대기 전력이 소모되는 구간을 표시하였다. 구동 모드는 오버슈트(overshoot)가 끝나고 전력이 안정화된 상태를 말한다. 평균 구동 전력은 평균 대기 전력보다 더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 예컨대, TV의 경우 전원 온(ON)되면 화면 표시 및 오디오 출력을 해야하기 때문에, TV의 평균 대기 전력보다 TV의 평균 구동 전력이 더 큰 값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평균 구동 전력은 전자제품의 하드웨어의 구성에 따라서 전자제품별, 제조사별, 모델별로 서로 다른 평균 구동 전력 값을 가질 수 있다.The average driving power refers to the electric power when the electronic product is turned on and consumes driving power. For reference, FIG. 7 shows a section in which standby power is consumed in the drive mode state. The driving mode refers to a state in which power is stabilized after overshoot is over. The average driving power consumes more power than the average standby pow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V, when the power is turned on, a screen display and an audio output are required, so that the average driving power of the TV is larger than the average standby power of the TV. Similarly, the average driving power may have a different average driving power value for each electronic product, manufacturer, and model depending on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부팅 모드 시간은, 리모콘 신호를 송신한 후 전자제품의 소모 전력이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부팅 시간(booting time)을 말한다. 전자제품의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 모드 상태에서 구동 모드 상태로 변환할 때의 구간으로서, 이러한 부팅 모드에서 걸리는 시간을 부팅 모드 시간이라 한다.The boot mode time refers to the booting time required for the consumed electric power of the electronic appliance to reach the average drive power after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product, as shown in Fig. 7, the time taken in the boot mode is referred to as a boot mode time, as a period when a transition is made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drive mode.

오버슈트(overshoot) 소요 시간은 전자제품이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 발생하는 오버슈트가 발생되는 소요 시간을 말한다. 오버슈트란, 전원 온(ON)/오프(OFF) 제어시에, 응답 지연 등의 이유로 목표값인 구동 전력을 초과하여 상승해 버리는 현상을 말한다. 전자제품은 전원이 오프(OFF)에서 온(ON)으로 될 경우에 전력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다가 구동 전력을 초과하는 오버슈트가 발생하는 경우 피드백(feedback) 제어 등을 통하여 구동 전력으로 안정화 도달되도록 한다.The overshoot time is the time required for the overshoot to occur when the electronic product reaches the average drive power. Overshoot is a phenomenon in which, during power ON / OFF control, the drive power exceeds the drive power, which is the target value, due to response delay or the like. When the power is continuously turned on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nd the electric power is continuously increased, when the overshoot exceeding the driving power occurs, the electronic product is stabilized by the driving power through the feedback control or the like .

전류 특성은, 전자제품이 전력을 소모할 때의 전류 파형에서 나타나는 패턴의 특성을 말하다. 전자제품이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공급되는 60Hz 정현파의 전류 신호는 전자제품마다 각각 다른 특징을 보이게 된다. 전류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제품의 식별하기 위하여 이러한 특징들을 수치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치화된 전류 특성은, 전류 파형의 비대칭도(skewness), 전류 파형의 첨도(kurtosis), 전류 파형의 파고율(crest factor), 전류 파형의 주파수 성분 비율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current characteristic refers to a characteristic of a pattern that appears in a current waveform when an electronic product consumes power. When the electronic product operates in the operating mode, the current signal of the supplied 60 Hz sine wav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each electronic product. It is necessary to quantify these features to identify electronics based on current information. Such numerical current characteristic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kewness of current waveform, kurtosis of current waveform, crest factor of current waveform, and frequency component ratio of current waveform.

비대칭도(skewness)는, 전류 파형의 비대칭 정도를 나타낸다. 수학적으로 비대칭도는 분포의 비대칭의 정도, 즉 분포가 기울어진 방향과 그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포에서 긴 꼬리가 왼쪽에 있으면 음(negative)의 비대칭도, 그 반대의 경우 양(positive)의 비대칭도를 가진다고 한다. 비대칭도 계산값이 ‘0’이면 좌우대칭분포를 가지고, ‘0’보다 작으면 음의 비대칭도를 가지고, ‘0’보다 크면 양의 비대칭도를 가진다.The asymmetry degree (skewness) represents the degree of asymmetry of the current waveform. Mathematically, the asymmetry is a measure of the degree of asymmetry of the distribution, ie,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tribution is tilted and its degree of tilt. As shown in Fig. 8, when the long tail is on the left in the distribution, it is said to have a negative asymmetry and vice versa. If the calculated value of the asymmetry is '0', it has symmetrical distribution. If it is smaller than '0', it has a negative asymmetry. If it is larger than '0', it has a positive asymmetry.

비대칭도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비대칭도는, 하기의 [식 1]과 같이 변량 X의 도수 분포를 Xi라 할 때 크기 N인 집단에서 산술평균 mean 에 대한 order 차수의 모멘트에 해당된다. 여기서, 비대칭도는, 평균에 관한 제3차 모멘트의 제곱을 분산의 3제곱으로 나눈 몫 또는 몫의 양의 제곱근이다If the asymmetry is expressed as a mathematical expression, the asymmetry corresponds to the moment of the order order with respect to the arithmetic average mean in the group of size N whe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variance X is X i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Where the asymmetry is the square root of the quotient or quotient of the square of the third moment on the average divided by the square of the third of the variance

[식 1][Formula 1]

Figure 112014105668263-pat00001
Figure 112014105668263-pat00001

여기서, mean은

Figure 112014105668263-pat00002
을 가진다.Here, mean
Figure 112014105668263-pat00002
.

각 전자제품별로 소비되는 구동 전력이 다르기 때문에, 소비되는 60Hz의 정현파 형태의 전류 신호는 각각의 비대칭도를 가질 수 있다.
Since the driving power consumed by each electronic product is different, the current signal of the sinusoidal waveform of 60 Hz consumed may have a degree of asymmetry.

첨도(kurtosis)는, 전류 파형의 형상을 대수화(代數化)한 것이다. 첨도는, 뽀족한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서, 각 전자제품별로 소비되는 60Hz의 정현파 전류 신호에서 각각의 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참고로, 변량 X의 도수 분포를 Xi라 할 때 크기 N인 집단에서 산술평균 mean 에 대한 order 차수의 모멘트에 해당된다. 참고로, β4는 첨도이며, μ는 산술평균에 대한 모벤트(moment)이며, σ는 최정상점의 벗어남 정도(deviation)의 모멤트이며, μ4가 산술평균에 대한 4차 모멘트(moment)이며, σ4가 최정상점의 벗어남 정도(deviation)의 4차 모멘트라 할 때, 첨도는 하기의 [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Kurtosis refers to the shape of the current waveform, which is a hyperbola. The kurtosis refers to the degree of sharpness, and each kurtosis can be calculated from a sinusoidal current signal of 60 Hz consumed for each electronic product. For reference,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variable X is X i , which corresponds to the moment of order order with respect to the arithmetic average mean in the group of size N. For reference, β 4 is the kurtosis, μ is the moment for the arithmetic mean, σ is the deviation of the apex, μ 4 is the fourth order moment for the arithmetic mean, , And σ 4 is the fourth moment of deviation of the apex of the apex, the kurtosis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식 2][Formula 2]

Figure 112014105668263-pat00003
Figure 112014105668263-pat00003

참고로, β4는 무명수(無名數)로 β4=3인 때 정상적인 산 모양을 나타내며, β4<3인 때는 가파르지 않은 산 모양이고, β4>3인 때는 뾰족한 봉우리 모양을 이룬다. β4(歪度)=0, β4(첨도)=3일 때 정상 분포를 나타낸다.
For reference, β 4 is an anonymous number and β 4 = 3 indicates a normal mountain shape, β 4 <3 indicates a non-steep mountain shape, and β 4 > 3 indicates a sharp peak. β 4 (skewness) = 0, and β 4 (kurtosis) = 3.

파고율(crest factor)은 전류 파형의 파고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 전자제품별로 소비되는 60Hz의 정현파 전류 신호에서 각각의 파고율을 산출할 수 있다. 파고율은, 식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교류 파형의 최대값인│X│peak을 실효값인Xrms으로 나눈 값으로, 각종파형의 날카로움의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정상적인 정현파의 경우에는 파고율이 1.414의 값을 가진다. The crest factor represents the crest factor of the current waveform, and the crest factor can be calculated from the sinusoidal current signal of 60 Hz consumed by each electronic product. The crest factor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peak value of X of the AC waveform by X rms , which is the effective value, as shown in Equation [3], and indicates the degree of sharpness of various waveforms. For a normal sine wave, the crest factor has a value of 1.414.

[식 3][Formula 3]

Figure 112014105668263-pat00004
Figure 112014105668263-pat00004

주파수 성분 비율은 전류 파형의 주파수 성분을 말한다. 정상적인 AC교류 전류의 경우에는 60Hz 하나의 주파수 성분이 검출된다. 그러나, 전자제품별로 소비되는 전력에 의하여 전자제품에서 소비되는 전류를 한 주기 이상 주파수를 분석하면 도 9과 같이 60Hz, 120Hz, 180Hz, 240Hz, 300Hz 등과 같이 다양한 주파수 성분이 검출된다.The frequency component ratio refers to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current waveform. In the case of a normal AC alternating current, one frequency component of 60 Hz is detected. However, various frequency components such as 60 Hz, 120 Hz, 180 Hz, 240 Hz, and 300 Hz are detected as shown in FIG. 9 when the frequency consumed by the electronic product is analyzed by the electric power consumed by the electronic product over one cycle.

따라서 주파수 성분 비율은, 60Hz 주파수를 기본 주파수라 할 때 측정되는 전류 파형의 주파수 성분의 비율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전자제품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한 결과 도 9과 같이 각 주파수별 크기를 가지는 경우, 60Hz 주파수의 크기를 '1', 120Hz 주파수의 크기를 '2', 180Hz 주파수의 크기를 '3', 240Hz 주파수의 크기를 '4', 300Hz 주파수의 크기를 '5'라고 할 때 1:2의 비율, 1:3의 비율, 1:4의 비율 등을 각각 구하여 이러한 비율을 특징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requency component ratio refers to the ratio of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current waveform measured when the 60 Hz frequency is referred to as the fundamental frequency. For example, when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current consumed in the electronic product is analyzed, it can be seen that the frequency of the 60 Hz frequency is '1', the frequency of the 120 Hz frequency is '2' 1: 2 ratio, 1: 3 ratio and 1: 4 ratio are obtained when the size is "3", the size of the 240 Hz frequency is "4", and the size of the 300 Hz frequency is " It can be saved as feature value.

한편, 식별 정보 생성부(380)는 전류 패턴 이외에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이용하여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에, 전자제품 구입시에 제공되는 전자제품 리모콘으로 전원 온(ON)을 명령하면, 해당 전자제품이 동작하면서 콘센트에 흐르는 전력이 상승하게 된다. 멀티탭은 리모콘 신호 수신부(335)에서 리모콘 신호가 수신될 때, 콘센트 중에서 사용 전력이 상승하는 콘센트를 찾음으로써, 해당 리모콘 신호가 어떤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제품의 신호인지 알아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80 can gener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using an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in addition to the current pattern. When the user instructs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outlet with the electronic remote controller provided at the time of purchasing the electronic product, the electric power flowing into the outlet increases as the electronic product operates.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335, the multi-tap can find out which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connected to which outlet the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signal is located by searching for a socket in which the used power rises in the socket.

일반적으로 리모콘 신호의 엔코딩 방식은 크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체스터 인코딩 (manchester encoding), 펄스 간격 코딩(pulse distance coding), 펄스 길이 코딩(pulse length coding)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각각의 리모콘 신호는, 리더 코드(leader code), 커스텀 코드(custom code), 데이터 코드(data code)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2의 엔코딩 방식으로 해석하여 나온 일련의 데이터는 헤더 정보인 리더 코드(leader coder)와, 회사/장비 종류를 나타내는 커스텀 코드(custom code)와, 해당 장비의 제어 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 코드(data code)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커스텀 코드(custom code)는 회사의 제품 코드로서 고정된 코드로 표시될 수 있으며, 데이터 코드는 해당 전자제품의 버튼이 온(on), 오프(off), 음량조절, 채널조절, 채널번호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Generally, as shown in FIG. 12, the encoding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divided into manchester encoding, pulse distance coding, and pulse length coding. Each of these remote control signals can be classified into a leader code, a custom code, and a data code. A series of data interpreted by the encoding method of FIG. 12 includes a leader coder as header information, a custom code indicating a company / equipment type, a data code (data code ). &Lt; / RTI &gt; That is, the custom code can be displayed as a fixed code as a product code of the company, and the data code can be displayed on a button of a corresponding electronic product, such as on, off, volume control, Can be displayed.

따라서 리모콘 신호의 헤더(Header) 온/오프 시간(리더코드 ON 시간, 리더코드 OFF 시간)은 메이커별/장비별로 다른 값을 가진다. 또한 리모콘 신호의 logic 0, logic 1의 각각의 시간은 메이커별/장비별로 다른 값을 가진다.Therefore, the header on / off time of the remote control signal (the leader code ON time and the leader code OFF time) have different values for each maker / equipment. Also, each time of the logic 0 and logic 1 of the remote control signal has different values for each maker / equipment.

또한 식별 정보 생성부(380)는 전자제품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엔코딩 방식, Header ON/OFF 시간, 한 bit당 시간, bit 사이의 간격 시간, 데이터 코드(Data code) 및 custom code등으로 분류함으로써,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전류 패턴과 같이 사용함으로써 해당 전자제품이 무엇인지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Als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80 classifi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ler into an encoding method, a header ON / OFF time, a time per bit, a time interval between bits, a data code and a custom code ,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y using the current patter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grasp more accurately what the electronic product is.

한편,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는,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어, 1번 콘센트(301)에 연결된 전자제품이 삼성전자의 A모델 에어컨인 경우 1번 콘센트(301)에 연결된 전자제품이 삼성전자의 A모델 에어컨이라는 정보가 저장되며, 2번 콘센트(302)에 연결된 전자제품이 LG전자의 B모델 선풍기인 경우 2번 콘센트(302)에 연결된 전자제품이 LG전자의 B모델 선풍기라는 정보가 저장된다.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는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메모리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let-specific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350 is a database storing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each outlet. For example, i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outlet 1 (301) is an A model air conditioner of Samsung Electronics, information that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outlet 1 (301) is Samsung Electronics' A model air conditioner is stored, 302 is a B model electric fan of LG Electronics, information that the electric applianc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 outlet 302 is a B model electric fan of LG Electronics is stored. The socket-specific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350 is stored in a memory. The memory may be a hard disk drive, an SSD drive, a flash memory, a Compact Flash card, It is a module that can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such as SD card (Secure Digital Card), SM card (Smart Media Card), MMC card (Multi-Media Card) or Memory Stick May be provided in the apparatus of FIG.

리모콘 신호 저장부(340)는 각 전자제품의 리모콘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전자제품별로 각각 저장한다. 예를 들어, TV의 경우 각 제조사별로 서로 다른 패턴의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적외선 신호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제조사별로 해당되는 IrDA의 적외선 신호를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리모콘 신호가 블루투스 통신으로 동작하는 프린터 등의 경우에는, 프린터 제조사별로 해당되는 블루투스 신호를 저장한다.The remote control signal storage unit 340 stores information on the remote control signal of each electronic product for each electronic produc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V,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infrared signals of different patterns are used for each manufacturer, and infrared signals corresponding to IrDA are stored for each manufacturer. Similarly,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a printer or the like that operates by Bluetooth communication, the Bluetoot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inter manufacturer is stored.

사용자 입력부(395)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 수단으로서, 스위치 형태나 터치패드 형태, 또는 사용자 음성 입력 수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의 스마트 멀티탭(300) 사시도에서는 사용자 입력부(395), 상태 표시부(390)를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다.The user input unit 395 may be a switch type, a touch pad type, a user voice input means, or the like as an input means capable of receiving a user input. In a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multi-tap 300 of FIG. 2, The display unit 395, and the status display unit 390 are not shown separately.

상태 표시부(390)는, 각 콘센트의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의 릴레이 상태 및 전자제품의 전원 온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의 경우에는 적색등을 표시하며, 반대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콘센트의 경우에는 아무런 표시도 하지 않는다. 또한 전원 온(ON)되어 동작하고 있는 전자제품에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는 별도의 전원 온 표시를 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39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잘 전달하기 위하여, 멀티탭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LCD나 LED, 스피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atus display unit 390 can output the power supply of each outlet or the relay state of the power supply cutoff and the power supply on state of the electronic product. In the case of a power outlet, a red light is displayed. Conversely, in the case of a power outlet, no indication is made. In addition, an outlet connected to an electronic product that is turned on and turned on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power-on indication. The status display unit 39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multi-tap, o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LCD, an LED, and a speaker in order to transmit information to the user.

제어부(310)는, 식별 정보 생성부(380)에서 생성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에 저장한다.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콘센트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 패턴을 측정하여 생성한 식별 정보를 유무선 통신부(320)를 통하여 연결된 식별 정보 서버(200)로 전송한다. 식별 정보 서버(200)는 식별 정보에 매칭된 전자제품의 종류(제조사, 모델명)를 추출하여, 스마트 멀티탭(300)에 전송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제어부(310)는 각 콘센트별로 전자제품의 종류를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에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310 identifies the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lets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80 and stores the types of the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lets in the per- 350). In order to determine the type of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a current pattern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each outlet is measured, and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connected through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extracts the type (maker, model name) of the electronic product match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extracted type to the smart multi-tap 300. The control unit 310 receives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In the per-outlet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350.

이와 같이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에 콘센트별로 전자제품의 종류를 저장이 이루어지고 나면, 제어부(310)는, 유무선 통신부(32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자제품의 구동 제어 요청이 있는 경우,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에 연결된 콘센트를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를 통해 파악하여 파악된 콘센트의 릴레이를 전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의 리모콘 신호를 리모콘 신호 저장부(340)에서 추출하여 리모콘 신호 송신부(330)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When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stored in the outlet-specific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35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When there is a control request, the outle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appliance requested to be driven is grasped through the appliance-specific appliance allocation storage unit 350, and the relay of the outlet can be controlled to be powered. The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electronic product requested to be driven can be extracted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storage unit 34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330.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집에 있는 삼성 전자 에어컨을 전원 온(ON)시키도록 요청하는 구동 제어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310)는 전원 온(ON) 요청된 에어컨에 연결된 콘센트를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를 통해 파악한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에어컨에 연결된 스마트 멀티탭(300)의 콘센트가 1번 콘센트(301)임을 파악할 수 있고, 1번 콘센트(301)의 릴레이부(360)를 전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전원 온(ON) 요청된 삼성 전자의 에어컨을 전원 온(ON)되도록 하는 리모콘 신호를 리모콘 신호 저장부(340)에서 추출하여 송신하여 에어컨이 켜지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is a drive control request to turn on the Samsung electronic air conditioner at hom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outlet 310 connected to the requested air conditioner By-outlet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350. [004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10 can recognize that the outlet of the smart multitap 300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is the outlet 301, and controls the relay unit 360 of the outlet 301 to be powered. T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storage unit 340 extract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the air conditioner of the Samsung which is requested to turn on the power, and transmits the remote control signal to turn on the air conditioner.

마찬가지로,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집에 있는 엘지 전자의 선풍기를 전원 온(ON)시키도록 요청하는 구동 제어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310)는 전원 온(ON) 요청된 선풍기에 연결된 콘센트를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를 통해 파악한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선풍기에 연결된 스마트 멀티탭(300)의 콘센트가 2번 콘센트(302)임을 파악할 수 있고, 2번 콘센트(302)의 릴레이부(360)를 전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전원 온(ON) 요청된 엘지 전자의 선풍기를 전원 온(ON)되도록 하는 리모콘 신호를 리모콘 신호 저장부(340)에서 추출하여 송신하여 선풍기가 켜지도록 할 수 있다.
Similarly, when there is a drive control request reques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urn on the fan of the LG electronic in the house, 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outlet connected to the fan requested to be turned on By-outlet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350. [ Accordingly, the controller 310 can recognize that the outlet of the smart multitap 300 connected to the fan is the outlet 302 and controls the relay unit 360 of the outlet 302 to be powered. T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storage unit 340 extracts and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the fan of the LG Electronics requested to be turned on so that the fan can be turned 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탭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탭의 초기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mart multi-t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nitializing a smart multi-t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스마트 멀티탭은,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전자제품 할당 콘센트 저장부에 저장하는 초기화 과정(S910)을 가진다.First, the smart multi-tap has an initialization process (S910)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and storing it in the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receptacle storage unit.

초기화 과정(S910)은,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대기 모드에서의 대기 전류의 전류 패턴과, 공급 모드에서의 공급 전류의 전류 패턴에 따라서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초기화 과정(S910)은, 대기 전력 공급 과정(S911), 대기 전류 측정 과정(S912), 구동 전력 공급 과정(S914), 구동 전류 측정 과정(S915), 식별 정보 생성 과정(S916), 콘센트별 전자제품 저장 과정(S917), 콘센트별 반복 과정(S918)을 차례로 가질 수 있다.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S910), the current pattern of the standby current in the standby mod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and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are stored according to the current pattern of the supply current in the supply mode. The initialization process S910 may include a standby power supply process S911, a standby current measurement process S912, a driving power supply process S914, a driving current measurement process S915,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process S916, (Step S917), and an outlet-by-outlet repeating step (step S918).

초기화 과정(S910) 중에서 대기 전력 공급 과정(S911)은 어느 하나의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에 대기 전력을 인가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1번 콘센트(301)에 에어컨이 플러그인되어 꽂혀 있는 경우 1번 콘센트(301)의 릴레이부(360)를 전원 공급하여, 1번 콘센트(301)에 연결된 에어컨으로 대기 전력을 공급한다. 에어컨은 전원 온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대기 모드로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 전력을 소모할 뿐이다.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S910), the standby power supply process (S911) is a process of applying standby power to an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one of the outlets. For exampl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plugged in the outlet 301, the relay unit 360 of the outlet 301 is powered to supply standby power to the air conditioner connected to the outlet 301 . Since the air conditioner is not in the power-on state, it operates as a standby mode and therefore consumes standby power.

대기 전류 측정 과정(S912)은, 대기 전력 공급 과정 인가되는 전류(대기 전류)의 전류 패턴을 측정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1번 콘센트(301)에 연결된 에어컨의 경우, 대기 모드 상태에서 소비되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도 7과 같은 그래프에서의 대기 모드에서의 전류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The standby current measurement process (S912) is a process for measuring a current pattern of a current (standby current) applied in the standby power supply proces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air conditioner connected to the No. 1 receptacle 301, the current pattern in the standby mode in the graph as shown in FIG. 7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current consumed in the standby mode.

구동 전력 공급 과정(S914)은, 전자제품을 구동시켜 전자제품에 구동 전력을 인가하는 과정이다. 전자제품에 리모콘 신호의 인가가 있는 경우(S913), 전자제품에 전원이 제공되어 구동 전력이 공급되는 과정(S914)이다. 예를 들어, 1번 콘센트(301)에 연결된 에어컨을 전원 온(ON)시켜 구동 전력이 에어컨에서 소비되도록 한다. 여기서 리모콘 신호의 인가는 멀티탭에서 생성된 리모콘 송신 신호의 인가이거나, 또는 전자제품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리모콘 신호의 인가에 해당될 수 있다.The drive power supply process (S914) is a process of driving an electronic product and applying drive power to the electronic product. When there is an application of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product (S913), a process of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product to supply driving power (S914). For example, the air conditioner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301 is turned on so that the driving power is consumed in the air conditioner. Here, the application of the remote control signal may correspond to the application of the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generated in the multi-tap or the application of the remote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remote control of the electronic product.

구동 전류 측정 과정(S915)은, 구동 전력 공급 과정에서 인가되는 전류의 패턴을 측정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1번 콘센트(301)에 연결된 에어컨의 경우, 구동 모드 상태에서 소비되는 전류(구동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도 7과 같은 그래프에서의 구동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The drive current measurement process (S915) is a process of measuring a pattern of a current applied in the drive power supply proces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air conditioner connected to the No. 1 receptacle 301, the driving current in the graph shown in FIG. 7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current (driving current) consumed in the driving mode.

식별 정보 생성 과정(S916)은, 측정된 전류의 전류 패턴을 이용하여 전자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1번 콘센트(301)에 연결된 에어컨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전류 패턴에 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패턴은, 전자제품이 대기 전력을 소비할 때의 평균 대기 전력, 전자제품이 구동 전력을 소비할 때의 평균 구동 전력, 리모콘 신호를 송신한 후 전자제품의 소모 전력이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부팅 모드 시간, 전자제품이 상기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 발생하는 오버슈트(overshoot) 소요 시간, 전자제품이 전력을 소모할 때의 전류 특성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전류 특성은, 전류 파형의 비대칭도(skewness), 전류 파형의 첨도(kurtosis), 전류 파형의 파고율(crest factor), 전류 파형의 주파수 성분 비율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process (S916) gener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electronic product using the measured current pattern.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air conditioner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301 can be generated by the current pattern. Such a current pattern can be classified into an average standby power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the standby power, an average drive power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the driving power, a consumption power of the electronic product after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reaches the average driving power A time required for overshooting that occurs when the electronic product reaches the average driving power, and a current characteristic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power. The current characteristic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kewness of a current waveform, kurtosis of a current waveform, a crest factor of a current waveform, and a frequency component ratio of a current waveform.

이밖에 초기화 과정(S910)은, 전류 패턴 이외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제품을 동작시키는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전류 패턴과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모두 활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initialization process (S910), the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lets can be grasped by using an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product as shown in Fig. 12 in addition to the current pattern. Furthermore, by utilizing both the current pattern and the electronic remote control signal, the type of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can be grasped more accurately.

콘센트별 전자제품 저장 과정(S917)은, 생성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1번 콘센트(301)에 연결된 에어컨의 경우, 3[W]의 평균 대기 전력, 500[W]의 평균 구동 전력, 3초의 부팅 모드 시간, 0.2초의 오버슈트(overshoot) 소요 시간, a의 비대칭도, b의 첨도, c의 파고율, 1:x의 주파수 성분 비율을 가지는 경우, 이 중에서 4가지 이상 일치하는 패턴을 가지는 삼성 전자의 A모델의 에어콘이 전자제품의 종류로서 결정될 수 있다.In the socket-by-socket electronic product storing process (S917),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is identified by using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socket is stored in the socket- do.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air conditioner connected to the No. 1 outlet 301, the average standby power of 3 [W], the average driving power of 500 [W], the boot mode time of 3 seconds, the required time of overshoot of 0.2 seconds, When the asymmetry degree of a, the kurtosis of b, the crest factor of c, and the frequency component ratio of 1: x are used, the air conditioner of Samsung Electronics' A model having four or more identical patterns can be determined as the type of electronic product .

이러한 콘센트별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저장하는 과정(S917)은, 자체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지만 외부의 서버를 활용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식별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400)에 연결된 식별 정보 서버(200)에 전송하는 과정과, 식별 정보 서버(200)로부터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전자제품의 종류를 수신받는 과정과, 콘센트에 전자제품의 종류가 연결되었음을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에 저장하는 과정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식별 정보 서버(200)는, 수신한 각 식별 정보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전자제품의 종류를 추출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식별 정보와 오차 범위 내의 동일한 정보를 가지는 전자제품을 추출할 수 있다.The process of identifying and storing the type of electronic product by outlet can be grasped by using its own information, but it can be grasped by using an external server.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connected to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0, receiving the kind of the electronic product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In the electronic appliance allocation storage unit 350 for each outlet. For referen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200 can extract the kind of electronic product having the same value as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but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electronic product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ame information within the error range have.

상기와 같이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에 저장한 후에는, 나머지 다른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들이 있는지 파악(S918)하여, 나머지 콘센트들에 대하여 대기 전력 공급 과정(S911), 대기 전류 측정 과정(S912), 전자제품 구동 온 과정(S913), 구동 전력 공급 과정(S914), 대기 전류 측정 과정(S915), 식별 정보 생성 과정(S916), 전자제품 할당 콘센트 저장 과정(S917)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멀티탭(300)의 1번 콘센트(301)에 연결된 전자제품이 삼성 전자의 A모델의 에어컨이라고 파악된 경우에는, 스마트 멀티탭(300)의 2번 콘센트(302), 3번 콘센트(303), 4번 콘센트(304) 등에 대하여 차례로 대기 전력 공급 과정(S911), 대기 전류 측정 과정(S912), 전자제품 구동 온 과정(S913), 구동 전력 공급 과정(S914), 대기 전류 측정 과정(S915), 식별 정보 생성 과정(S916), 전자제품 할당 콘센트 저장 과정(S917)들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After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outlet is identified and stored in the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350 according to the outle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are any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other outlet (S918) A power supply process S911, a standby current measurement process S912, an electronic product drive-on process S913, a drive power supply process S914, a standby current measurement process S915,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process S916, And an allocation socket storing process (S917).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301 of the smart multi-tap 300 is identified as the air conditioner of the A model of Samsung Electronics, the outlet 302 of the smart multi-tap 300, (Step S911), a standby current measurement step (step S912), an electronic product drive on step (step S913), a drive power supply step (step S914), a standby current measurement step (S915),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process (S916), and the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receptacle storing process (S917) are repeatedly performed, so that the kind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can be grasped.

한편, 상기와 같이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에 저장하는 초기화 과정(S910)을 가진 후에는, 유무선 통신부(32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자제품의 구동 제어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S920)하여 요청이 있는 경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로부터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과 연결된 콘센트를 파악하는 과정을 가진다(S930).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집 거실에 설치된 삼성 전자의 에어컨의 전자제품에 대한 전원 온(ON) 요청의 구동 제어 요청이 있는 경우, 전원 온(ON) 요청된 삼성 전자의 에어컨이 플러그인 꽂혀 있는 콘센트가 1번 콘센트(301)임을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350)를 통해 파악한다.Meanwhile, after the initialization process (S910) in which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is determined and stored in the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350 according to the outle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0) 100 in step S920. If there is a request for the electronic product from the outlet-specific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350, ). For example, when there is a drive control request for a power ON request for the electronic produc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Samsung Electronics installed in the housing room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air conditioner of Samsung Electronics requested to turn on the power And recognizes that the outlet plugged with the plug is the outlet 301 (301) through the outlet-specific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350).

상기와 같이 콘센트가 파악(S930)되면,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에 연결된 콘센트의 릴레이가 전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S940). 예를 들어, 에어컨의 전자제품에 대한 전원 온(ON) 요청의 구동 제어 요청이 있는 경우, 전원 온(ON) 요청된 삼성 전자의 에어컨이 플러그인 꽂혀 있는 1번 콘센트(301)의 릴레이를 전원 공급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outlet is identified (S930), the relay of the outle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requested to be driven is controlled to be powered (S940). For example, when there is a driving control request for a power ON request for an electronic product of an air conditioner, the power is turned ON, and the relay of the first outlet 301, to which the air conditioner of the requested Samsung is plugged, State.

그 후, 전자제품을 구동시키는 리모콘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가진다(S950). 예를 들어, 에어컨의 전자제품에 대한 전원 온(ON) 요청의 구동 제어 요청이 있는 경우, 전원 온(ON) 요청된 삼성 전자의 에어컨이 전원 온(ON)이 되도록 삼성 전자의 에어컨이 인식할 수 있는 리모콘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에어컨이 켜지도록 할 수 있다.Thereafter, a remote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electronic produc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S950). For example, if there is a driving control request for a power ON request for an electronic product of an air conditioner, the power of the air conditioner is recognized by the air conditioner of the SAMSUNG so that the requested air conditioner is turned on So that the air conditioner can be turned on.

결국, 본 발명을 따르게 되면 사용자는 전자제품에 연결된 콘센트 번호를 일일이 알지 못하더라도, 스마트 멀티탭(30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제품별로 대기 전력을 원격으로 차단 및 공급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해당 전자제품의 리모콘 신호를 발생시켜 전자제품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the outlet number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the user can remotely block and supply standby power for each electronic product desired by the user in the smart multi-tap 300, So that it is possible to freely control the electronic product.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이동통신단말기 200:식별 정보 서버
300:스마트 멀티탭 400:유무선 통신망
310:제어부 320:유무선 통신부
330:리모콘 신호 송신부 340:리모콘 신호 저장부
350: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
360:릴레이부 370:전류 센싱부
380:식별 정보 생성부 390:상태 표시부
395:사용자 입력부
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300: Smart Multi-tap 400: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10: control unit 320: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30: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340: remote control signal storage unit
350: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for each outlet
360: Relay unit 370: Current sensing unit
380: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90: status display unit
395: User Input

Claims (20)

복수 개의 콘센트를 구비하는 스마트 멀티탭 장치로서,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유무선 통신부; 외부의 전력을 각 콘센트에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하는 릴레이부;
각 전자제품의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며,
각 콘센트에 접속된 전자제품에 대하여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에 대응하는 리모콘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각 전자제품에 송신하는 리모콘 신호 송신부; 상기 리모콘 송신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제품이 연결된 각 콘센트에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싱부; 상기 전류 센싱부에서 측정된 전류의 전류 패턴을 이용하여 각 콘센트별로 전자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식별 정보 생성부;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저장한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 상기 식별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 생성부는,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별로 해당 전자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 패턴은, 각 콘센트에 접속된 전자제품이 대기 전력을 소비할 때의 평균 대기 전력, 상기 전자제품이 구동 전력을 소비할 때의 평균 구동 전력, 상기 전자제품의 소모 전력이 상기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부팅 모드 시간, 상기 전자제품이 상기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 발생하는 오버슈트(overshoot) 소요 시간, 상기 전자제품이 전력을 소모할 때의 전류 특성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전류 특성은, 전류 파형의 비대칭도(skewness), 전류 파형의 첨도(kurtosis), 전류 파형의 파고율(crest factor), 전류 파형의 주파수 성분 비율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전류 파형의 비대칭도(skewness)는 전류 파형의 비대칭 정도를 나타내고, 상기 첨도(kurtosis)는 전류 파형의 형상을 대수화(代數化)한 것이고, 상기 파고율(crest factor)은 전류 파형의 날카로움 정도를 나타내고, 상기 주파수 성분 비율은 전류 파형에 포함되고 설정되는 기본 주파수 대비 주파수 성분의 비율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연결된 식별 정보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전자제품의 종류를 수신받아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 각 콘센트의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의 릴레이 상태 및 전자제품의 전원 온 및 오프 상태를 알릴 수 있는 상태 출력부;가 더 포함되고 스마트 멀티탭 장치.
A smart multi-tap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outlet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rocess a communication protocol; A relay unit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to each outlet or for shutting off power;
And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remote controller of each electronic product,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generating a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with respect to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and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transmitting signal to each electronic product; A current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current flowing in each outlet to which an electronic product operated by the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is connected;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electronic product for each outlet by using the current pattern of the current measured by the current sensing unit; An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for each outlet that stores the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each outlet; And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nd storing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in the outlet-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a corresponding electronic product for each outlet by using an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Wherein the current pattern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an average standby power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consumes standby power, an average driving power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the driving power, A time required for an overshoot that occurs when the electronic product reaches the average driving power, and a current characteristic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power, ,
Wherein the current characteristic includes at least one of a skewness of a current waveform, a kurtosis of a current waveform, a crest factor of a current waveform, and a frequency component ratio of a current waveform,
Wherein the skewness of the current waveform represents a degree of asymmetry of the current waveform and the kurtosis is a degree of algebraic shape of the current waveform and the crest factor is a degree of sharpness of the current waveform Wherein the frequency component ratio is a ratio of a frequency component to a fundamental frequency included in the current waveform and set,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kind of the electronic product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A user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a user input; And a status output section for informing a relay state of power supply or power off of each outlet and a power on / off state of the electronic produc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송신 신호는,
적외선 신호, 블루투스 신호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탭 장치.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 infrared signal, and a Bluetooth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자제품의 구동 제어 요청이 있는 경우,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에 연결된 콘센트를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를 통해 파악하여 파악된 콘센트의 릴레이를 전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멀티탭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n a request for driving control of an electronic product is issu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outle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requested to be driven is grasped through the outlet-based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Smart multi-tap device.
청구항 8에 있어서,
각 전자제품을 구동시키는 리모콘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전자제품별로 각각 저장하고 있는 리모콘 신호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의 리모콘 신호를 상기 리모콘 신호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추출된 리모콘 신호를 리모콘 송신 신호로서 상기 리모콘 신호 송신부를 통하여 송신하는 스마트 멀티탭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d a remote control signal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remote control signal for driving each electronic product for each electronic product,
Wherein the control unit extracts a remote control signal of an electronic product requested to be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storage unit and transmits the extracted remote control signal as a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이동통신단말기;
전자제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각 전자제품별로 할당된 식별 정보 서버;
복수 개의 콘센트를 구비하는 스마트 멀티탭 장치로서,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유무선 통신부; 외부의 전력을 각 콘센트에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하는 릴레이부; 각 전자제품의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며, 각 콘센트에 접속된 전자제품에 대하여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에 대응하는 리모콘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각 전자제품에 송신하는 리모콘 신호 송신부; 상기 리모콘 송신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제품이 연결된 각 콘센트에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싱부; 상기 전류 센싱부에서 측정된 전류의 전류 패턴을 이용하여 각 콘센트별로 전자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식별 정보 생성부;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저장한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 상기 식별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 생성부는,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별로 해당 전자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 패턴은, 각 콘센트에 접속된 전자제품이 대기 전력을 소비할 때의 평균 대기 전력, 상기 전자제품이 구동 전력을 소비할 때의 평균 구동 전력, 상기 전자제품의 소모 전력이 상기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부팅 모드 시간, 상기 전자제품이 상기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 발생하는 오버슈트(overshoot) 소요 시간, 상기 전자제품이 전력을 소모할 때의 전류 특성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전류 특성은, 전류 파형의 비대칭도(skewness), 전류 파형의 첨도(kurtosis), 전류 파형의 파고율(crest factor), 전류 파형의 주파수 성분 비율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전류 파형의 비대칭도(skewness)는 전류 파형의 비대칭 정도를 나타내고, 상기 첨도(kurtosis)는 전류 파형의 형상을 대수화(代數化)한 것이고, 상기 파고율(crest factor)은 전류 파형의 날카로움 정도를 나타내고, 상기 주파수 성분 비율은 전류 파형에 포함되고 설정되는 기본 주파수 대비 주파수 성분의 비율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연결된 식별 정보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전자제품의 종류를 수신받아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 각 콘센트의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의 릴레이 상태 및 전자제품의 전원 온 및 오프 상태를 알릴 수 있는 상태 출력부;가 더 포함되고 스마트 멀티탭 장치;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식별 정보 서버 및 스마트 멀티탭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한 유무선 통신망;
을 포함하는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장치.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in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electronic product is assigned to each electronic product;
A smart multi-tap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compris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rocess a communication protocol; A relay unit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to each outlet or for shutting off power; And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 remote controller of each electronic product, wherein a remote controller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product to each electronic product; A current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current flowing in each outlet to which an electronic product operated by the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is connected;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electronic product for each outlet by using the current pattern of the current measured by the current sensing unit; An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for each outlet that stores the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each outlet; And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nd storing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in the outle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a corresponding electronic product for each outlet by using an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d at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An average standby power at the time of consuming the standby power, an average drive power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the drive power, a boot mode time taken until the consumption power of the electronic product reaches the average drive power, An overshoot time required for the product to reach the average driving power, And the current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consumption, the current characteristics include at least one of a skewness of a current waveform, kurtosis of a current waveform, a crest factor of a current waveform, a frequency component ratio of a current waveform Wherein the skewness of the current waveform represents a degree of asymmetry of the current waveform and the kurtosis is a sign of the shape of the current waveform and the crest factor ) Indicates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urrent waveform, and the frequency component ratio is a ratio of a frequency component with respect to a fundamental frequency included in the current waveform,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wired /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kind of electronic product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A user input unit for storing the goods in the outlet-specific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and receiving input from the user; And a state output section for informing a relay state of a power supply or a power-off state of each socket-outlet and a power-on / off state of the electronic product; And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and the smart multi-tab are connected by a wired / wireless network;
/ RTI &gt;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자제품의 구동 제어 요청이 있는 경우,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과 연결된 콘센트를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를 통해 파악하여, 파악된 콘센트의 릴레이를 전원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제품을 동작시키는 리모콘 송신 신호를 상기 리모콘 신호 송신부를 통하여 송신하는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장치.
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a driving control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the relay of the outlet by grasping the outle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requested by the drive control through the outlet-based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And transmits a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product through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복수 개의 콘센트를 구비하는 스마트 멀티탭 장치로서,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유무선 통신부; 외부의 전력을 각 콘센트에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하는 릴레이부; 각 전자제품의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며, 각 콘센트에 접속된 전자제품에 대하여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에 대응하는 리모콘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각 전자제품에 송신하는 리모콘 신호 송신부; 상기 리모콘 송신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제품이 연결된 각 콘센트에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싱부; 상기 전류 센싱부에서 측정된 전류의 전류 패턴을 이용하여 각 콘센트별로 전자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식별 정보 생성부;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저장한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 상기 식별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 생성부는,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별로 해당 전자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 패턴은, 각 콘센트에 접속된 전자제품이 대기 전력을 소비할 때의 평균 대기 전력, 상기 전자제품이 구동 전력을 소비할 때의 평균 구동 전력, 상기 전자제품의 소모 전력이 상기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부팅 모드 시간, 상기 전자제품이 상기 평균 구동 전력에 도달할 때 발생하는 오버슈트(overshoot) 소요 시간, 상기 전자제품이 전력을 소모할 때의 전류 특성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전류 특성은, 전류 파형의 비대칭도(skewness), 전류 파형의 첨도(kurtosis), 전류 파형의 파고율(crest factor), 전류 파형의 주파수 성분 비율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전류 파형의 비대칭도(skewness)는 전류 파형의 비대칭 정도를 나타내고, 상기 첨도(kurtosis)는 전류 파형의 형상을 대수화(代數化)한 것이고, 상기 파고율(crest factor)은 전류 파형의 날카로움 정도를 나타내고, 상기 주파수 성분 비율은 전류 파형에 포함되고 설정되는 기본 주파수 대비 주파수 성분의 비율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연결된 식별 정보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전자제품의 종류를 수신받아 각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 각 콘센트의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의 릴레이 상태 및 전자제품의 전원 온 및 오프 상태를 알릴 수 있는 상태 출력부;가 더 포함되고 스마트 멀티탭 장치에 대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저장하는 초기화 과정;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자제품의 구동 제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로부터 구동 제어 요청된 전자제품과 연결된 콘센트를 파악하는 과정; 상기 파악된 콘센트의 릴레이를 전원 공급되도록 하는 과정; 상기 전자제품을 동작시키는 리모콘 신호인 리모콘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마트 멀티탭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초기화 과정은,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대기 모드에서의 대기 전류의 전류 패턴과, 공급 모드에서의 공급 전류의 전류 패턴을 이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고,
상기 초기화 과정은,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에 대기 전력을 인가하는 대기 전력 공급 과정; 상기 대기 전력 공급 과정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대기 전류 측정 과정; 상기 전자제품을 구동시켜, 상기 전자제품에 구동 전력을 인가하는 구동 전력 공급 과정; 상기 구동 전력 공급 과정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구동 전류 측정 과정; 측정된 대기 전류 및 구동 전류의 전류 패턴을 이용하여 전자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식별 정보 생성 과정;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여, 상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저장하는 콘센트별 전자제품 저장 과정; 나머지 다른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들에 대하여, 상기 대기 전력 공급 과정, 구동 전력 공급 과정, 전류 측정 과정, 식별 정보 생성 과정, 전자제품 할당 콘센트 저장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마트 멀티탭 제어 방법.
A smart multi-tap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compris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rocess a communication protocol; A relay unit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to each outlet or for shutting off power; And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 remote controller of each electronic product, wherein a remote controller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product to each electronic product; A current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current flowing in each outlet to which an electronic product operated by the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is connected;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electronic product for each outlet by using the current pattern of the current measured by the current sensing unit; An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for each outlet that stores the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each outlet; And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nd storing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in the outle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a corresponding electronic product for each outlet by using an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d at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An average standby power at the time of consuming the standby power, an average drive power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product consumes the drive power, a boot mode time taken until the consumption power of the electronic product reaches the average drive power, An overshoot time required for the product to reach the average driving power, And the current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consumption, the current characteristics include at least one of a skewness of a current waveform, kurtosis of a current waveform, a crest factor of a current waveform, a frequency component ratio of a current waveform Wherein the skewness of the current waveform represents a degree of asymmetry of the current waveform and the kurtosis is a sign of the shape of the current waveform and the crest factor ) Indicates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urrent waveform, and the frequency component ratio is a ratio of a frequency component with respect to a fundamental frequency included in the current waveform,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wired /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kind of electronic product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A user input unit for storing the goods in the outlet-specific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and receiving input from the user; And a status output section for notifying the relay state of the power supply or the power-off state of each outlet and the power-on / off state of the electronic product. Further, the smart multi-tap device can be identified by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An initialization process of storing the electronic product in the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A step of recognizing an outle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requested to be driven by the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outlet when there is a request for driving control of the electronic produc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using the identified receptacle to be powered on;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which i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product,
The initialization process determines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by using the current pattern of the standby current in the standby mod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and the current pattern of the supply current in the supply mode,
The initialization process includes: a standby power supply process of applying standby power to an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an outlet; A standby current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a current applied in the standby power supply process; A driving power supply step of driving the electronic product to apply driving power to the electronic product; A driving current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current applied in the driving power supplying step;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electronic product using the measured current patterns of the standby current and the driving current; An electronic product storing process for each outlet to identify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outlet in the outlet allocating unit for each outlet; And a step of repeatedly performing the steps of: the standby power supply process, the driving power supply process, the current measurement proces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process, and the storing step of the electronic product outlet for the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other outlet, .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품 할당 콘센트 저장 과정은,
상기 식별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식별 정보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식별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전자제품의 종류를 수신받는 과정;
상기 콘센트에 상기 전자제품의 종류가 연결되었음을 상기 콘센트별 전자제품 할당 저장부에 기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스마트 멀티탭 제어 방법.
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connected to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a type of electronic product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Recording in the outlet-specific electronic product allocation storage that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to the outlet;
And a smart multi-tap control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과정은,
전자제품을 동작시키는 전자제품 리모콘 신호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종류를 파악하는 스마트 멀티탭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n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an electronic product A smart multi-tap control method for identifying the type of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utlet by using a remote control signal.
KR1020140151196A 2014-11-03 2014-11-03 Smart multi-tab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093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196A KR101709331B1 (en) 2014-11-03 2014-11-03 Smart multi-tab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196A KR101709331B1 (en) 2014-11-03 2014-11-03 Smart multi-tab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345A KR20160051345A (en) 2016-05-11
KR101709331B1 true KR101709331B1 (en) 2017-02-23

Family

ID=5602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196A KR101709331B1 (en) 2014-11-03 2014-11-03 Smart multi-tab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33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682A (en)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비알인포텍 Standby power multI-tap with prevention lim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232B1 (en) * 2016-07-14 2018-12-21 (유)해양전자장비 Outlet device including function of voice alarm
CN108332386A (en) * 2018-01-04 2018-07-27 浙江大学 It is a kind of that there is the intelligent socke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ir-conditioning state
KR102084731B1 (en) * 2018-11-23 2020-03-04 주식회사 삼호테크 Smart multitap assembly with iot for aquarium
KR102154826B1 (en) * 2020-01-06 2020-09-10 주식회사 에스이디 Smart Plug and Electrical Appliance U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225935B1 (en) * 2020-12-31 2021-03-10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transport information
CN115347426A (en) * 2022-08-15 2022-11-15 深圳市美志光电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extension socket and plant monitoring control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832B1 (en) 2008-07-07 2011-02-14 주식회사 잉카솔루션 Energy-saving experience system through standby power intercep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14B1 (en) * 2006-06-15 2009-02-04 (주)웰텍코리아 Remote Controlled Multi-Outlet Circuit
KR20120046847A (en) * 2010-10-28 2012-05-11 권치호 Conc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133785A (en) 2011-06-01 2012-12-11 김무갑 Multi-tap
KR101266078B1 (en) * 2011-09-27 2013-05-27 윤홍식 Home electric power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832B1 (en) 2008-07-07 2011-02-14 주식회사 잉카솔루션 Energy-saving experience system through standby power intercep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682A (en)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비알인포텍 Standby power multI-tap with prevention lim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345A (en)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331B1 (en) Smart multi-tab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738195B2 (en) Inferencing energy usage from voltage droop
TWI483580B (en) Intelligent inserting row and intelligent home system using the same
KR101826630B1 (en) Integrated network system for realizing the expans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KR101659453B1 (en) Server and system for managing home energy
JP2010161848A (en) Power control system
CN112944582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mpting self-cleaning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KR201700248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 smart plug
WO2015134987A1 (en) Digital thermostat, power outlet, and light dimmer
CN204290354U (en) Charging circuit
EP2687992A1 (en) Method for automatic decommissioning of network participants
US20120325013A1 (en) Flow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s
TWI501110B (en) Protocol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automatically updating a datum
JP5812307B2 (en) Power socket and electrical event detection method
JP4850090B2 (en) Power strip and equipment control system
US11262720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adaptor,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parameter response method, and program
KR100634448B1 (en) Method for remote power control and apparatus thereof
KR201401041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based on living pattern
EP3038431A1 (en) Circuit for driving cooker, system for driving cooker, cooker, and method for driving cooker
WO2018233310A1 (en) Power strip
US11650608B2 (en) Timing for power-stealing circuits in smart-home devices
KR101829135B1 (en) Smartphone-controllable smart multi-tap
KR20180130931A (en) Power connecting device providing power usage information by identifying connected apparatus
Adjardjah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Voice Controlled Smart Power Strip
Vongchumyen et al. Home Appliances-Controlled Platform with HomeKit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