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731B1 - Smart multitap assembly with iot for aquarium - Google Patents

Smart multitap assembly with iot for aquar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731B1
KR102084731B1 KR1020180146706A KR20180146706A KR102084731B1 KR 102084731 B1 KR102084731 B1 KR 102084731B1 KR 1020180146706 A KR1020180146706 A KR 1020180146706A KR 20180146706 A KR20180146706 A KR 20180146706A KR 102084731 B1 KR102084731 B1 KR 102084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power
control signal
electronic devic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7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호테크
Priority to KR102018014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731B1/en
Priority to PCT/KR2019/011198 priority patent/WO202010585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7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oT-based smart power strip assembly for an aquarium comprises: an aquarium including at least two aquarium electronics among a heater, a pump, a bubble generator, and a light; a power strip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a plurality of outlets which are connected to the aquarium electronics to supply power to the aquarium electronics, a power conversion unit which includes a relay part for performing on/off control on power output to the outlets, and a frequency conversion part for converting the frequency of an alternating current voltage output to the outlets, and a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or each of the aquarium electronics; and an IoT serve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controller by the communication unit. The IoT-based smart power strip assembly for an aquariu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ower strip including outlet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quarium electronics provided in an aquarium,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IoT server to cut power supply to the outlets and converts the frequency, thereby enabling safe use of the power strip and saving electric energy.

Description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SMART MULTITAP ASSEMBLY WITH IOT FOR AQUARIUM} SMART MULTITAP ASSEMBLY WITH IOT FOR AQUARIUM}

본 발명은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족관의 구동에 요구되는 전자 기기의 전원 및 제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해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ulti-tap assembly for an IOT-based aquariu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multi-tap assembly for an IOT-based aquarium configured to manage power and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required for driving the aquariu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ill be.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및 공장 등에는 다수의 부하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멀티탭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멀티탭은 모든 부하기기의 전력량의 측정이되어 전력량을 검출하고 전원 공급을 관리, 제어 하는 기술의 진보가 이루어지는 등 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In general, homes, offices, and factories are equipped with a multi-tap to use a number of loads, such a multi-tap is measured by the amount of power of all the load equipment to detect the amount of power, to manage and control the power supply is advanced It is evolving rapidly.

하지만, 이러한 기술의 진보가 무색할 정도로 수족관용 멀티탭이 없는 실정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멀티탭 혹은 더 나아가 단순한 기능들이 추가로 구비된 멀티탭을 이용해 관상어를 키우는 사람들의 욕구에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progress of this technology is so colorless that there are no aquarium multi-taps, which are not generally used to meet the needs of those who raise ornamental fish using multi-taps that are generally used or even more simple functions.

또한, 수족관 전자기기에는 집에 들어오는 일광에 따라 시간별로 구동되는 장비 또는 계절에 따라 혹은 24시간 구동되어야 하는 장비도 인가되는 등 다양한 장비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사용자가 일일이 사용 시간을 설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In addition,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may be equipped with a variety of equipment, such as time-driven equipment according to the daylight coming into the house, or equipment that should be driven by the season or 24 hours, etc. This is a hassle for the user to set the use time every day Remorse occurs.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39234호(발명의 명칭 : 콘센트별로 전원관리가 가능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멀티콘센트)에서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다수의 부하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멀티콘센트의 각각의 콘센트의 전원상태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멀티콘센트를 제시하고 있다.As a related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39234 (name of the invention: a home network-based multi-outlet capable of power management for each outlet) has a multi-outlet for supplying power to a plurality of loads in a home or office. It presents multi-outlets configured to manage power status of each outlet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발명은 다수의 콘센트채널을 통해 다수의 콘센트의 상태를 관리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콘센트마다 사용되는 부하의 사용전력량을 산출하여, 어드레스가 부여된 콘센트입력 채널별로 결과값을 입력하는 콘센트별 전력량계; 상기 콘센트입력채널별 결과값을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하나의 포트에서 스캔하도록 구성된 채널확장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상기 콘센트입력채널별 결과값을 선택적으로 스캔하기 위하여 특정 콘센트입력채널을 선택적으로 턴온/턴오프시키는 채널선택기;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상기 스캔한 결과값을 통해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콘센트별로 전원을 턴온/턴오프시키는 콘센트별 릴레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managing the status of a plurality of outlets through a plurality of outlet channels; A power meter for each outlet that calculates an amount of power used for each of the outlets and inputs a result value for each outlet input channel to which an address is assigned; A channel expander configured to scan a result value for each outlet input channel at one port of the CPU; A channel selector for selectively turning on / off a specific outlet input channel to selectively scan a result value for each outlet input channel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relay for each outlet, which is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scan resul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urns on / off power for each outlet.

상기 발명은 콘센트별로 변류기(CT)와 전력량계 또는 온도센서를 내장하고 있어 콘센트별로 전력사용형태, 특정부하기기의 온도가 올라간 횟수 등을 월별 또는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홈네트워크를 통해 분전반 제어실의 제어기기로 제공하여 전원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안전 미 편리성과 전력관리의 효율성을 가져다주나, 멀티탭과 접속된 전자기기의 소모 전력별로 수족관 전자기기의 주파수를 변환하지 않아 전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current transformer (CT) and a power meter or a temperature sensor for each outle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ower usage pattern, the number of times the temperature of a specific load machine rises for each outlet in a monthly or real-time, the information on the administrator computer or It can be provided as a controller of the distribution panel control room through the home network to perform power monitoring, bringing safety and convenience to the user and efficiency of power management.However, the frequency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strip. There is a problem in that electrical energy cannot be saved because it is not converted.

이렇게 멀티탭에 접속된 각각의 전자기기의 소모 전력별로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을 변환하기 위해 IOT 기술을 적용하여 스마트하게 전력을 변환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885720호(발명의 명칭 : IOT환경 개별 실내 공기질 제어가 가능한 원격 빌딩 제어 시스템)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직접 빌딩제어서버를 제어하지 못하도록 제어 경로를 차단하여 보안을 강화한 상태에서 건물 자동 제어를 위한 기계 설비, 전력설비, 조명설비 및 중요설비의 운전상황 데이터를 전달받는 빌딩제어서버와 디지털 접점인 멀티 I/O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 웹 컨트롤러를 구비 후, 스마트 웹 컨트롤러에 접속 가능한 패스워드를 발급받아 개별 실내에 설치된 실내공기측정 센서와 연결된 실내공기측정 센서를 통해 전송받은 개별 실내에 국한된 공기질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앱 또는 웹을 통해 원격 감시 또는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한 원격 빌딩 제어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In this way, to convert the power of each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strip for each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y applying the IOT technology it can be smartly converted power, the related art related to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85720 (Name of Invention: Remote building control system that can control individual indoor air quality in IOT environment) In order to control the building control server directly from the outside using the Internet, the machine blocks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building in the state of enhanced security by blocking the control path. After having a building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operating status data of power equipment, lighting equipment, and important equipment, and a smart web controller connected through multi-I / O, which is a digital contact point, a password for accessing the smart web controller is issued to an individual room. Dogs received through an indoor air measurement sensor connected to an installed indoor air measurement sensor Presents a remote building control system is configured to allow remote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indoor air quality of data specific to the app, or via the web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상기 발명은 건물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각 전자기기 별로 출력되는 전력을 제어하지 않으며 나아가 일반적으로 교류인 전자기기의 주파수를 변환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building, but specifically does not control the power output for each electronic device and furthermore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convert the frequency of the electronic device, which is generally AC.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히 수족관용 멀티탭으로서, 멀티탭의 콘센트에 각각 접속된 수족관 전자기기의 주파수 및 전력을 변환시킬 수 있는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need for developing an IOT-based aquarium smart power strip assembly that can convert the frequency and power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which ar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power tap, especially as an aquarium power strip. .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족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수족관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콘센트를 포함하는 멀티탭으로서, IOT 서버를 통해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콘센트의 전원을 차단하고 주파수를 변환하는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를 제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ique, a multi-tap including an outlet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quarium electronics provided in the aquarium,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IOT server to cut off the power of the outlet Its main purpose is to present a smart power strip assembly that converts frequenc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족관 전자기기의 소모 전력을 학습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주파수를 차등 변환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by learning power consumption of an aquarium electronic device and then differentially convert the frequenc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족관 전자기기에 의해 발생되는 수족관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족관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차등 생성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fferentiall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aquarium data generated by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수족관 데이터를 전원 정보를 기반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가중치를 반영하여 수족관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assify and store aquarium data based on power information and to analyze the aquarium data by reflecting weigh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는, 히터, 펌프, 기포발생기, 조명 중 적어도 2개의 수족관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수족관; 통신부와, 상기 수족관 전자기기와 접속하여 상기 수족관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콘센트 및, 상기 콘센트로 출력되는 전원을 ON/OFF 제어하는 릴레이 파트 및, 상기 콘센트로 출력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파트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부와, 각각의 상기 수족관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 변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 멀티탭;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매개로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IOT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mart multi-tap assembly for an IOT-based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quarium comprising at least two aquarium electronics of the heater, pump, bubble generator, lighting; A plurality of outlet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he aquarium electronics to supply power to the aquarium electronics, a relay part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power output to the outlets, and a frequency of the AC voltage output to the outlets. A power strip including a power converting unit including a frequency converting part to conver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power converting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or each aquarium electronic device; And an IOT serve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콘센트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환하는 전압 변환 파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converter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converting part for conver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outlet.

나아가, 상기 IOT 서버는,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 설정 범위를 입력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OT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smart phone having a function of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means.

더하여, 상기 복수 개의 콘센트는, 상기 주파수 변환 파트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콘센트와, 상기 릴레이 파트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콘센트 및, 상기 전압 변환 파트에 의해 제어되는 제 3 콘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outlets may include a first outlet controlled by the frequency conversion part, a second outlet controlled by the relay part, and a third outlet controlled by the voltage conversion part. .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는,Smart multi-tap assembly for an IOT based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콘센트의 전원 차단 및 수족관 전자기기의 주파수 변환을 통해 안전한 멀티탭 사용과 함께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1) You can save electric energy with safe power strip by turning off the outlet and changing the frequency of the aquarium electronics.

2) 소모 전력 학습을 통해 주파수를 자동으로 변환함으로써 스마트하게 전기를 아낄 수 있으며,2) You can save electricity smartly by automatically converting frequency through power consumption learning.

3) 수족관 내의 환경 및 외부 환경에 따른 수족관 전자기기의 구동 정도를 수족관 데이터를 통해 파악하여 정확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시한다.3) It shows the effect of generating accurate control signals by understanding the driving degree of aquarium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the aquarium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the aquarium data.

삭제delete

도 1은 본 발명의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탭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IOT 서버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mart multi-tap assembly for IOT-based aquariu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ulti-ta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IOT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탭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IOT 서버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mart multi-tap assembly for the IOT-based aquariu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ulti-ta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IOT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는 수족관(100)과 멀티탭(200) 및 IOT 서버(300)로 이루어진다.1 to 3, the smart multi-tap assembly for an IOT-based aquariu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quarium 100, a multi-tap 200, and an IOT server 300.

수족관(100)은 히터, 펌프, 기포발생기, 조명 중 적어도 2개의 수족관 전자기기(11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수족관(100)이나 어항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aquarium 100 includes at least two aquarium electronic devices 110 of a heater, a pump, a bubble generator, and an illumination, and may be understood to have a shape of an aquarium 100 or a fish tank which is generally known.

이때 수족관 전자기기(110)는 수족관(100)의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한정된 공간인 수족관(100) 내에 생존하는 수중생물이 강이나 바다와 같은 환경과 유사하도록 생존 환경을 구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quarium 100, and provides a function of providing a living environment so that aquatic organisms living in the limited space 100 are similar to an environment such as a river or the sea. do.

이러한 수족관 전자기기(110)로는 수족관(100)에 담긴 물을 일정 온도로 유지해주는 히터, 펌프, 기포 발생기, 조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족관(100)의 일 측에는 이러한 수족관 전자기기(110) 중 적어도 2개를 설치함으로써 수족관(100)에 사는 수중생물이 잘 생존할 수 있도록 한다.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may include a heater, a pump, a bubble generator, lighting, etc. to mainta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aquarium 100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ne side of the aquarium 100 such an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By installing at least two of the aquatic organisms living in the aquarium 100 to survive well.

이때 히터는 수족관(100)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수중용 히터로서 수족관(100)에 담긴 물을 일정 온도로 유지해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펌프 역시 수족관(100) 내부 일 측에 구비되어 수족관(100)에 담긴 물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제공하며, 기포 발생기는 수족관(100)에 담긴 물의 용존 산소를 유지시키기 위해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수족관(100) 내 수질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조명은 수족관(100)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족관(100)이 설치된 장소가 어두울 경우 수족관(100)에 빛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조명은 LED, 백열등, 전구, PL 직관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ter is an underwater heat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quarium 100 to provide a function of maintain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aquarium 100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pump is also provided on one side inside the aquarium 100, the aquarium 100 It provides a role of circul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bubble generator serves to manage the water quality in the aquarium 100 by supplying oxygen to maintain the dissolved oxygen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aquarium (100). The lighting is to provide a function of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aquarium 100, and when the place where the aquarium 100 is installed is dark, it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light to the aquarium 100. Such lighting may be comprised of LEDs, incandescent lamps, light bulbs, PL incandescent lamps, and the like.

첨언하자면, 본 발명의 수족관 전자기기(110)는 주파수 혹은 전압이 변환되어도 그 구동에 문제가 없는 전자기기인 것으로 한다.Incidentally, it is assumed that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no problem in driving even if a frequency or voltage is converted.

이렇게 수족관(100)에 포함된 수족관 전자기기(110) 각각은 멀티탭(20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센트(210)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족관 전자기기(110)에 콘센트(2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단자가 구비되는 것은 물론이다.As such, each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s 110 included in the aquarium 10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outlets 210 included in the power strip 200 to receive power. To this en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terminal is provided in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let 210.

이렇게 수족관 전자기기(1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멀티탭(200)은 복수 개의 콘센트(210)와 더불어 콘센트(210)의 전원을 차단하는 릴레이 파트(221)와, 각각의 콘센트(210)마다 출력되는 전압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파트(222)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power strip 2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is a relay part 221 which cuts off the power of the outlet 210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outlets 210, and is output for each outlet 210. A power converter including a frequency conversion part 222 for 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voltage may be provided.

이러한 전력 변환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력 변환부는 각 콘센트(210)에 연결된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구동 여부 및 수족관 전자기기(110)에 구비된 모터의 구동 정도에 따라 콘센트(210)로 출력되는 전력을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릴레이 파트(221) 및 주파수 변환 파트(222)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power conversion unit, the power conversion unit 210 according to whether the driving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connected to each outlet 210 and the motor provided in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To provide a function for converting the power output to the, specifically for this purpose includes a relay part 221 and the frequency conversion part 222.

릴레이 파트(221)는 콘센트(210)로 출력되는 전원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전압이 릴레이가 멀티탭(200)의 일 측에 구비되어 별도로 분리되어 흐르는 전기를 스위칭하는 신호 또는 펄스를 생성하며,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콘센트(210)로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릴레이는 주지 관용적으로 널리 쓰이는 것이므로 자세한 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relay part 221 controls the ON / OFF of the power output to the outlet 210, and as shown in FIG. 2, a constant voltag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ower strip 200 to separately separate and flow electricity. Generates a signal or pulse to switch, and provides the function to supply and cut off the power output to the outlet 210 according to the power supplied. Since such a relay is widely used for well-known idiom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inciple will be omitted.

주파수 변환 파트(222)는 콘센트(210)로 출력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교류 전압은 전압 220V에 주파수 60Hz를 가지는데 이러한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콘센트(210)와 접속된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구동 여부 및 수족관 전자기기(110)에 구비된 모터의 구동 정도에 따라 주파수를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즉, 기존의 60Hz에서 58Hz로 변환하는 등 수족관 전자기기(110)가 구동될 수 있는 주파수 범위 내(기존의 주파수에서 -5 내지 +5Hz 범위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Hz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에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frequency conversion part 222 converts the frequency of the AC voltage output to the outlet 210. In general, the AC voltage has a frequency of 220 Hz with a voltage of 220 V. The frequency of the AC voltage is connected to the aquarium 210 with the outlet 210. Provides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frequency according to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10 is driven and the driving degree of the motor provided in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that is,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is converted from the existing 60 Hz to 58 Hz). ) Can be driven within the frequency range in which it can be driven (which can range from -5 to +5 Hz at an existing frequency, preferably in the range of -2 to +2 Hz).

이때 릴레이 파트(221) 및 주파수 변환 파트(222)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부의 구동은 컨트롤러(220)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데, 이때 컨트롤러(220)는 멀티탭(200)의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수족관 전자기기(110)에 대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전력 변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driving of the power converter including the relay part 221 and the frequency conversion part 222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2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2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ower strip 200. As the control signal for each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performs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ower converter.

컨트롤러(220)는 수족관 전자기기(110)에 대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전력 변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각각 콘센트(210)에 연결된 수족관 전자기기(110)마다 생성되는 개별 제어 신호(이는 후술할 IOT 서버(300)에서 생성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에 따라 전력 변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컨트롤러(2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ower convert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or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and each control signal generated for each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connected to the outlet 21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OT) It is generated in the server 30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And performs a function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IOT 서버(300)는 수족관 전자기기(11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를 매개로 컨트롤러(220)에 전송하는 주체이다. 이때 통신부는 멀티탭(200)과 IOT 서버(300) 간의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유선 방식(HomePNA, PLC, 이더넷 등)과 무선 방식(Bluetooth, W-LAN, 4G, LTE 및 Wifi 또는 라우터)으로 컨트롤러(220)와 IOT 서버(300)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IOT server 300 is a subject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is a modul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ulti-tap 200 and the IOT server 300, the controller by wired method (HomePNA, PLC, Ethernet, etc.) and wireless method (Bluetooth, W-LAN, 4G, LTE and Wifi or rou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220 and the IOT server 300 may be performed.

이때 IOT 서버(300)는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는데, 이때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IOT 서버(300)는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이때 사용자라 함은 로부터 제어 설정 범위를 입력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2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수단이라 함은 스마트폰에 별도로 구비된 키패드나 터치패드가 될 수 있으며, 제어 설정 범위를 입력할 수 있는 별도의 입력 템플릿을 생성한 후 스마트폰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것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IOT server 300 may be a PC, a tablet PC, a smartphone,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IOT server 300 implemented in the smartphone receives a control setting range from a user (in this case, a user) through an input means. A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20. Here, the input means may be a keypad or a touch pad separately provided in the smartphone, and a control setting range may be input. After generating a separate input template may b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이러한 IOT 서버(300)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고 하였는데, 이때 제어 신호라 함은 콘센트(210)에 접속된 수족관 전자기기(1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생성되는 신호를 의미한다.The IOT server 300 is sai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wherein the control signal means a signal generated to supply power to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connected to the outlet 210.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는 멀티탭(200)의 콘센트(210)에 각각 연결된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사용 전력량, 전압, 관찰 시점에서의 사용 여부 등에 따라 수족관 전자기기(110)에 부여되는 주파수를 변환함으로써 전기를 절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기 배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진다.The smart multi-tap assembly for an IOT-based aquariu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n aquarium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voltage, or use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connected to the outlet 210 of the power strip 200, respectively. By converting the frequency imparted to 110, it is possible to save electricity and to efficiently perform electricity distribution.

이때 전력 변환부는 주파수 변환 파트(222)에 더하여 콘센트(210)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환하는 전압 변환 파트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일반적인 교류에서 주파수를 변환시킬 뿐 아니라 전압 역시 변환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In this case, the power converter further includes a voltage converting part for conver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outlet 210 in addition to the frequency converting part 222, thereby providing a function of converting a voltage as well as converting a frequency in general AC.

일반적으로 교류의 경우 주파수가 감소하면 전압이 증가하게 되는 특성에 따라, 주파수 변환 파트(222)에 의해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주파수가 변환되면 전압 값 역시 변하게 된다. 이때 출력 전압의 변화는 전자기기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상기 전압 변환 파트는 출력 전압의 변화에 의해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구동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압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lternating current, when the frequency decreases, the voltage increases. When the frequency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is converted by the frequency converting part 222, the voltage value also changes. In this case, since the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may be unreasonable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voltage converting part perform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voltage so that the problem of driving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does not occur due to the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예를 들어, 전압 변환 파트는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쓰이는 220V, 60Hz의 전자기기의 경우 전압인 220V를 219V 등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For example, the voltage conversion part converts a voltage of 220V to 219V in the case of 220V and 60Hz electronic devices generally used in Korea.

나아가, 멀티탭(2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콘센트(210)는 각각 수족관 전자기기(110)와 접속되어 전원을 제공한다고 하였는데, 이때 각 콘센트(210)가 제어되는 요인을 달리 하여 이러한 콘센트(210)와 접속된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구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멀티탭(2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콘센트(210)는 주파수 변환 파트(222)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콘센트(210)와 릴레이 파트(221)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콘센트(210) 및 전압 변환 파트에 의해 제어되는 제 3 콘센트(21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제 1, 2, 3 콘센트(210)는 각각 복수 개의 콘센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outlets 210 provided in the power strip 200 are connected to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respectively, to provide power. In this case, the outlets 210 may be controlled by varying the factors in which each outlet 210 is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control the driving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is connected to. That is, the plurality of outlets 210 provided in the power strip 200 may include a first outlet 210 controlled by the frequency conversion part 222, a second outlet 210 controlled by the relay part 221, and a voltage. The third outlet 21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version part,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lets 210 may each include a plurality of outlets 210.

또한, 멀티탭(200)은 전류 측정부를 구비하여 수족관 전자기기(110)가 연결된 콘센트(210)에서 소비된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IOT 서버(300)는 소비된 전류량에 따라 수족관 전자기기(110)를 식별하고 각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소모 전력량을 학습하여 제어 신호를 차등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IOT 서버(300)는 구체적으로 식별 모듈(310)과 제어 신호 생성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tap 200 may be provided with a current measuring unit to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in the outlet 210 connected to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through which the IOT server 300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aquarium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 unit 110 may differentially generate the control signal by identifying the 110 and learning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To this end, the IOT server 300 may specifically include an identification module 310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20.

식별 모듈(310)은 전류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전류량을 통신부를 통해 전송받아 각각의 콘센트(210)에 접속된 수족관 전자기기(110)를 식별하는 것으로서, 각 콘센트(210)에 접속된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구동에 의해 측정된 전류량의 크기에 따라 각 콘센트(210)에 접속된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종류를 식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identification module 310 identifies an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connected to each outlet 210 by receiving a current amount measured from the current measuring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each outlet 210. It provides a function of identifying the type of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connected to each outlet 210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mount measured by the driving of (110).

제어 신호 생성모듈(320)은 식별 모듈(310)에서 식별된 수족관 전자기기(110)에 따른 소모 전력을 학습하여 수족관 전자기기(110) 별로 제어 신호를 차등 생성하여 컨트롤러(220)에 전송하는 것으로서,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소모 전력 크기의 고저에 따라 제어 신호를 차등적으로 생성한 후 컨트롤러(2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즉,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소모 전력의 크기가 크면 해당 수족관 전자기기(110)에 전력을 많이 보내도록 콘센트(210)로 출력되는 주파수를 변환하기 위한 A라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20 learns th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identified by the identification module 310 and differentially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each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220. , And differentially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and then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220 (that is, the size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If large is to perform a function of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alled A for converting the frequency output to the outlet 210 to send a lot of power to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이에 따라, 주파수 변환 파트(222)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각각의 콘센트(210)로 출력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차등적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콘센트(210)에 접속된 수족관 전자기기(110)는 학습된 소모 전력에 맞춰 교류 전압을 공급받음으로써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requency conversion part 222 may provide a function of differentially 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AC voltage output to each outlet 21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refore,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connected to each outlet 210 may have an energy saving effect by receiving an AC voltage according to the learned power consumption.

나아가, 전력 변환부는 콘센트(210)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와 콘센트(21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파트를 포함하여 콘센트(210)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시간에 해당하면 콘센트(21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본 발명의 멀티탭 어셈블리의 사용에 따른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진다.In addition, the power converter includes a timer for measuring a time for which no current flows in the outlet 210 and a power cutoff part for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of the outlet 210. The power supply of the 210 may be cut off to save energ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ulti-tap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전력 변환부에 포함되는 타이머는 전류 측정부를 통해 특정 콘센트(210)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은 시간을 계수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멀티탭(200)에 구비된 콘센트(210) A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은 시간이 총 3시간이었다면 이를 계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 콘센트(210) A가 오전 12시부터 오전 5시까지 전류가 흐르지 않았다면 타이머는 콘센트(210)에 전류가 흐르지 않은 시각을 계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timer included in the power converter is to count the time that the current does not flow in the specific outlet 210 through the current measuring unit, for example, the current does not flow in the outlet 210 A provided in the power strip 200. If total time is 3 hours, count the number. Alternatively, if the outlet 210 A does not flow from 12 am to 5 am, the timer may perform a function of counting the time at which the outlet 210 does not flow.

전원 차단 파트는 타이머에 설정된 특정 시간에 이를 시 특정 콘센트(21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이때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타이머에 특정 시간을 설정하여 해당 시간 동안 해당 콘센트(21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이때 사용자의 스마트폰은 IOT 서버(300)로서 타이머와 연동될 수 있다.)The power cut-off part is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a specific outlet 210 at a specific time set in the timer, and at this time, set a specific time to the timer through the user's smartphone to supply power to the outlet 210 during the corresponding time. It provides a function to block. (At this time, the user's smartphone can be linked with a timer as the IOT server 300.)

이렇게 전류가 흐르지 않는 시간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잉여 전력이 낭비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In such a time when no current flows, the power supply can be cut off so that the surplus power is not wasted, thereby saving energy.

본 발명의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는 수족관(100) 내 환경에 따라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구동을 차등적으로 제어(즉,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구동을 차등 제어하기 위해 수족관 전자기기(110)에 공급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제어 신호를 차등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수족관(100) 내 환경을 파악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multi-tap assembly for an IOT-based aquarium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ially controls the driving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the aquarium 100 (that is, the aquarium electronic to differentially control the driving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And differentiall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verting a frequency of an alternating voltage supplied to the device 110.

구체적으로, 수족관(100)에는 히터의 구동에 따른 수온을 감지하여 수온 수치를 생성하는 온도감지센서와 기포발생기의 구동에 따른 수질(즉, 물의 용존 산소량)을 감지하여 수질 수치를 생성하는 DO 센서 및 조명의 구동에 따른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 수치를 생성하는 조도 센서를 구비하여 수족관(100) 내 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quarium 100 detects the wate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heater to generate a water temperature value and the DO sensor for generating the water quality by detecting the water quality (that is,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bble generator. And an illumination sensor for generating an illumination value by detecting an illumination according to driving of an illumination.

이에 따라, 제어 신호 생성모듈(320)은 수온 수치와 수질 수치 및 조도 수치를 기반으로 각각의 수족관 전자기기(11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차등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20 may perform a function of differentiall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each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based on the water temperature value, the water quality value, and the illuminance value.

이렇게 수족관(100) 내 환경(즉, 수온 수치, 수질 수치, 조도 수치)을 반영하여 제어 신호를 차등 생성하는 IOT 서버(300)의 추가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IOT server 300 to differentially generate a control signal reflecting the environment (that is, the water temperature value, water quality value, and illumination value) in the aquarium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IOT 서버(300)는 수온 수치, 수질 수치, 조도 수치를 반영하여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제어 신호를 차등 생성하기 위해 전원 정보 입력 모듈(330), 데이터 지정 모듈(340), 데이터 저장 모듈(350), 데이터 분석 모듈(360)을 포함한다.The IOT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the water temperature value, the water quality value, and the illuminance value, so as to differentially generate a control signal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the power information input module 330, the data designation module 340, and the data. Storage module 350 and data analysis module 360.

전원 정보 입력 모듈(330)은 수족관 전자기기(110) 각각의 정격전압과 최대전력 및 소모 전력 별 출력값을 포함하는 전원 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정격전압은 220V이므로 이를 전원 정보로 입력받으며 최대전력이라 함은 각 수족관 전자기기(110)가 최대로 출력할 수 있는 전력량(예를 들어 펌프의 경우 115W, 히터의 경우 300W, 조명의 경우 100W가 될 수 있다)을, 소모 전력 별 출력값이라 함은 수족관 전자기기(110)가 콘센트(210)에 접속될 시 출력되는 전력량을 의미한다.The power information input module 330 receives power information including the rated voltage of each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s 110 and the output value for each of the maximum power and power consumption. In the case of Korea, the rated voltage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is 220V. Therefore, it is inputted as power information, and the maximum power is the amount of power each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can output (for example, 115W for a pump, 300W for a heater, and 100W for a lighting). The output value for each power consumption means the amount of power output when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is connected to the outlet 210.

이때 정격 전압을 입력받는 방법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으며, 각 콘센트(210)마다 전력량을 측정하는 별도의 기기가 구비되어 최대전력 및 소모 전력 별 출력값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그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receiving the rated voltage can be input through the terminal (PC, tablet PC, smart phone, etc.) that the user possesses, and each outlet 21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maximum power and The output value for each power consumption can be input, and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method.

데이터 지정 모듈(340)은 수온 수치와 수질 수치 및 조도 수치를 수족관(100) 데이터로 지정하는 것으로서, 온도감지센서, DO 센서, 조도 센서를 통해 생성된 수온 수치, 수질 수치, 조도 수치를 입력받아 이를 수족관(100) 데이터로 지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족관(100) 내 수온은 30℃와 같이 온도 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수온 수치는 온도 단위를 제한 30만을 의미하며, 이는 수질 수치 및 조도 수치도 마찬가지로 해석한다.The data designation module 340 designates the water temperature value, the water quality value, and the illumination value as the aquarium 100 data, and receives the water temperature value, the water quality value, and the illumination value generat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the DO sensor, and the illumination sensor. It provides a function to specify this as the aquarium (100) data. At this time,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aquarium 100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may include a temperature unit, such as 30 ℃, but the water temperature value means a limit of 30 million temperature unit, which also interprets the water quality value and illuminance value.

데이터 저장 모듈(350)은 수족관(100) 데이터를 상기 전원 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정격 전압 별로 수족관(100) 데이터를 분류하거나 최대전력 및 소모 전력 별 출력값 별로 수족관(100)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경우 정격전압은 220V로 동일하나, 수족관 전자기기(110) 별로 최대 전력이 모두 다를 수 있고 같은 수족관 전자기기(110)여도(예를 들어 히터의 경우) 모델에 따라 최대 전력 값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원 정보(특히 최대 전력)에 따라 수족관(100) 데이터를 분류함으로써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식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data storage module 350 classifies the aquarium 100 data according to the power information and stores the data in the storage space. The data storage module 350 classifies the aquarium 100 data according to the rated voltage or the aquarium 100 by the output value for each of the maximum power and power consumption. It provides a function to classify data and store it in the storage space. In general, in the case of an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produced in Korea, the rated voltage is the same as 220V, but the maximum power may be different for each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even if the sam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for example of the heater In this case, since the maximum power valu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odel, the identification capability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may be improved by classifying the aquarium 100 data according to the power information (particularly the maximum power).

예를 들어 정격 전압이 110V인 수족관 전자기기(110) A와 220V인 수족관 전자기기(110) B 및 220V인 수족관 전자기기(110) C의 경우 수족관 전자기기(110) A에 의해 생성된 수족관(100) 데이터는 정격 전압 110V로 분류하고, 수족관 전자기기(110) B 및 C에 의해 생성된 수족관(100) 데이터는 정격 전압 220V로 분류하여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A having a rated voltage of 110 V and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B having a 220 V and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220 C having a 220 V, the aquarium produced by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A ( 100) The data is classified into a rated voltage 110V, and the aquarium 100 data generated by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s 110 and B may be classified into a rated voltage of 220V and stored in a storage space.

이때 저장 공간이라 함은 IOT 서버(300)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부에 마련된 데이터 저장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저장 공간에 수족관(100)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혹은 저장 공간을 분할하여 복수 개의 분할 공간을 생성하고 각 분할 공간에 저장 용량을 할당함으로써 각 분할 공간에 수족관 전자기기(110) 각각에 해당하는 수족관(100) 데이터를 분할 공간에 구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torage space refers to a data storage space provided in a separate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IOT server 300, and stores the aquarium 100 data in one storage space or divides the storage space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s. By generating a space and allocating a storage capacity to each divided space, the aquarium 100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s 110 may be distinguished and stored in each divided space.

데이터 분석 모듈(360)은 저장 공간에 저장된 수족관(100)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저장된 수족관(100)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원 정보에 따라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수족관(100) 데이터를 반복 데이터로 설정하는 반복 데이터 설정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analysis module 360 analyzes the data of the aquarium 100 stored in the storage space. Specifically, the data analysis module 360 analyzes the stored aquarium 100 data and sets the aquarium 100 data that appears repeatedly according to the power information as repetitive data. The repetition data setting unit 370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전원 정보 A로 분류된 수온 수치를 시계열적으로 나열했을 때 동일한 값을 가지는 수온 수치를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수족관(100) 데이터로 파악하여 이를 반복 데이터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수온 수치가 2018년 11월 14일 오후 3시에 28, 오후 4시에 29, 오후 5시에 30이고, 2018년 11월 15일 오후 3시에 다시 28, 오후 4시 29, 오후 5시 30과 같이 같은 시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이를 반복 데이터로 설정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water temperature values classified as the power source information A are arranged in time series, the water temperature values having the same value are identified as the aquarium 100 data repeatedly appearing and the function is set as the repetitive data. In other words, the water temperature reading is November 14, 2018 at 3 pm 28, 4 pm 29, and 5 pm 30, and November 15, 2018 at 3 pm 28, 4:29 pm and 5 pm If it appears repeatedly at the same time, such as hour 30, it is set as repeating data.

이에 따라, 식별 모듈(310)은 전원 정보를 기준으로 소모 전력을 비교함으로써 각각의 콘센트(210)에 접속된 특정 수족관 전자기기(110)를 식별함으로써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식별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module 310 further improves the identification ability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by identifying the specific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connected to each outlet 210 by comparing the power consumption based on the power information. You can.

또한, 제어 신호 생성 모듈은 반복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시간을 기준으로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소모 전력 변화량을 산출하여 소모 전력 변화량의 고저에 따라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제어 신호를 차등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calculates an amount of change in power consumption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based on the repetitive data based on the repetitive data, and differentially generates a control signal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hange in power consumption. Can be.

즉,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특정 시간 동안의 수족관 전자기기(110) 각각의 소모 전력 변화량을 파악한 후 그 소모 전력 변화량 크기의 고저에 따라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제어 신호를 차등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즉, 수족관 전자기기(110)의 소모 전력 변화량이 크면 제어 신호를 차등 생성하여 각각의 수족관 전자기기(110)가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at is, after grasping the amount of change in power consumption of each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for a specific time set by the timer and provides a function of differentiall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hange amount of the power consumption. (I.e., if the amount of change in power consumption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is large, a control signal may be differentially generated to convert each aquarium electronic device 110 to have a different frequency.)

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mart multi-tap assembly for an IOT-based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Of cours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00 : 수족관 110 : 수족관 전자기기
200 : 멀티탭 210 : 콘센트
220 : 컨트롤러 221 : 릴레이 파트
222 : 주파수 변환 파트 300 : IOT 서버
310 : 식별 모듈 320 : 제어 신호 생성모듈
330 : 전원 정보 입력 모듈 340 : 데이터 지정 모듈
350 : 데이터 저장 모듈 360 : 데이터 분석 모듈
370 : 반복 데이터 설정부 380 : 패턴 분석부
381 : 기준 데이터 설정파트 382 : 비교 데이터 선정파트
383 : 피크 설정파트 384 : 동조 피크 파악파트
385 : 데이터 비교파트 386 : 반복 구간 파악파트
390 : 가중 패턴 생성부
100: aquarium 110: aquarium electronics
200: power strip 210: outlet
220: controller 221: relay parts
222: frequency conversion part 300: IOT server
310: identification module 320: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0: power information input module 340: data designation module
350: data storage module 360: data analysis module
370: repetition data setting unit 380: pattern analysis unit
381: Reference data setting part 382: Comparison data selection part
383: peak setting part 384: tuning peak grasp part
385: data comparison part 386: repetition section identification part
390: weighted pattern generation unit

Claims (13)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로서,
히터, 펌프, 기포발생기, 조명으로 이루어진 수족관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히터의 구동에 따른 수온을 감지하여 수온 수치를 생성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기포발생기의 구동에 따른 수질을 감지하여 수질 수치를 생성하는 DO 센서 및, 상기 조명의 구동에 따른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 수치를 생성하는 조도 센서를 구비한 수족관;
통신부와, 상기 수족관 전자기기와 접속하여 상기 수족관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콘센트 및, 상기 콘센트로 출력되는 전원을 ON/OFF 제어하는 릴레이 파트 및, 상기 콘센트로 출력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파트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부와, 각각의 상기 수족관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 변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수족관 전자기기가 연결된 각각의 상기 콘센트에서 소비된 전류량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를 포함한 멀티탭;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매개로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량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받아 각각의 상기 콘센트에 접속된 상기 수족관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모듈과, 상기 식별 모듈에서 식별된 상기 수족관 전자기기에 따른 소모 전력을 학습함으로써 상기 수족관 전자기기 별로 상기 제어 신호를 차등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제어 신호 생성모듈을 포함한 IOT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 변환 파트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각각의 상기 콘센트로 출력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차등적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 생성모듈은,
상기 수온 수치와 수질 수치 및 조도 수치를 반영하여 각각의 상기 수족관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차등 생성하며,
상기 IOT 서버는,
상기 수족관 전자기기 각각의 정격전압과 최대전력을 포함하는 전원 정보를 입력받는 전원 정보 입력 모듈과, 상기 수온 수치와 수질 수치 및 조도 수치를 수족관 데이터로 지정하는 데이터 지정 모듈 및, 상기 수족관 데이터를 상기 전원 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모듈과, 저장된 상기 수족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전원 정보에 따라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수족관 데이터를 반복 데이터로 설정하는 반복 데이터 설정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모듈은,
상기 전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소모 전력을 비교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콘센트에 접속된 특정 수족관 전자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제어 신호 생성모듈은,
상기 반복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수족관 전자기기의 소모 전력 변화량을 산출하여 상기 소모 전력 변화량의 고저에 따라 각각의 상기 수족관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차등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
Smart multi-tap assembly for IOT-based aquariums
It includes an aquarium electronic device consisting of a heater, a pump, a bubble generator, lighting, a temperature sensor for generating a water temperature value by detecting the wate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heater, and the water quality by detecting the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bble generator An aquarium having a DO sensor for generating a numerical value and an illuminance sensor for generating an illuminance value by detecting illuminance according to driving of the light;
A plurality of outlet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he aquarium electronics to supply power to the aquarium electronics, a relay part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power output from the outlets, and a frequency of the AC voltage output to the outlets. A power converter including a frequency converting part for convert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power convert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or each aquarium electronic device, and an amount of current consumed in each outlet connected to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Multi tap including a curren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An identification module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current amount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ing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identifying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each outlet; And an IOT server including a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configured to differentially generate the control signal for each aquarium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by learning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identified by the identification module.
The frequency conversion part,
And differentially converting a frequency of an AC voltage output to each of the outlet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Differentiall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each aquarium electronic device by reflecting the water temperature value, the water quality value, and the illuminance value;
The IOT server,
A power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receiving power information including rated voltage and maximum power of each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s, a data designation module for designating the water temperature value, the water quality value, and the illuminance value as aquarium data, and the aquarium data; And a data analysis module including a data storage module for classifying according to power information and storing the stored data in a storage space, and a repetitive data setting unit configured to analyze the stored aquarium data and set aquarium data repeated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power information as repetitive data. and,
The identification module,
By identifying the specific aquarium electronics connected to each of the outlets by comparing the power consumption based on the power information,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Based on the repetitive data based on a specific time to calculate the amount of change in power consumption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each of the aquarium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change in power consumption, IOT Smart power strip assembly for base aquarium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콘센트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환하는 전압 변환 파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converter,
A smart multi-tap assembly for an IOT-based aquariu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oltage conversion part for convert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outl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서버는,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 설정 범위를 입력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IOT server,
And a smart phone having a function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mean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콘센트는,
상기 주파수 변환 파트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콘센트와,
상기 릴레이 파트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콘센트 및,
상기 전압 변환 파트에 의해 제어되는 제 3 콘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rality of outlets,
A first outlet controlled by the frequency converting part;
A second outlet controlled by the relay part,
Smart outlet assembly for the IOT-based aquariu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hird outlet controlled by the voltage conversion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전류 측정부를 통해 특정 콘센트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은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서 설정된 특정 시간에 이를 시 상기 특정 콘센트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수족관용 스마트 멀티탭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converter,
And a timer for counting a time when no current flows in a specific outlet through the current measuring unit, and a power cut-off part that cuts off power supply to the specific outlet at a specific time set by the timer. Smart power strip assembly for base aquarium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46706A 2018-11-23 2018-11-23 Smart multitap assembly with iot for aquarium KR1020847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706A KR102084731B1 (en) 2018-11-23 2018-11-23 Smart multitap assembly with iot for aquarium
PCT/KR2019/011198 WO2020105853A1 (en) 2018-11-23 2019-08-30 Smart multi-tap assembly for iot-based aquar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706A KR102084731B1 (en) 2018-11-23 2018-11-23 Smart multitap assembly with iot for aquar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731B1 true KR102084731B1 (en) 2020-03-04

Family

ID=6978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706A KR102084731B1 (en) 2018-11-23 2018-11-23 Smart multitap assembly with iot for aquariu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4731B1 (en)
WO (1) WO2020105853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667A (en) 2021-12-30 2023-07-07 정태영 An aquarium that enables convenient and safe managemen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854A (en) * 2010-08-24 2012-03-0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dministrating electric power per appliance
KR20150134499A (en) * 2014-05-21 2015-12-02 주식회사 이지몬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concent and smart concent,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multi-tap and multi-tap
KR20160092709A (en)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아이원맥스 Concentric Plug for Controling Electric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662A (en) * 2014-09-05 2016-03-24 주식회사 에스티씨 Blocking System of Standby Powewr of Electronic Equipment
KR101709331B1 (en) * 2014-11-03 2017-02-23 주식회사 아이시냅스 Smart multi-tab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854A (en) * 2010-08-24 2012-03-0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dministrating electric power per appliance
KR101172602B1 (en) * 2010-08-24 2012-08-08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dministrating electric power per appliance
KR20150134499A (en) * 2014-05-21 2015-12-02 주식회사 이지몬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concent and smart concent,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multi-tap and multi-tap
KR101672368B1 (en) * 2014-05-21 2016-11-17 주식회사 이지몬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concent and smart concent,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multi-tap and multi-tap
KR20160092709A (en)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아이원맥스 Concentric Plug for Controling Electric Appli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667A (en) 2021-12-30 2023-07-07 정태영 An aquarium that enables convenient and safe managemen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5853A1 (en)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5870A1 (en) Control device having buttons with multiple-level backlighting
US8452554B2 (en) Networked device with power usage estimation
EP3427550B1 (en) Universal smart lighting gateway
Mani et al. Iot based smart energy management system
US8527105B1 (en) Energy monitoring
WO2015189118A1 (en) Demand response for networked distributed lighting systems
US20170094134A1 (en) Electrical Devices with Camera Sensors
KR102084731B1 (en) Smart multitap assembly with iot for aquarium
Muhendra et al. Development of street lights controller using wifi mesh network
Khairudin et al. Development of fuzzy logic control for indoor lighting using leds group
CN109884555B (en) Direct-current centralized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lamp state thereof
CN106686835B (en) Circuit for adjusting electric appliance parameters by sine wave decoding and coding control circuit thereof
Visconti et al. Wireless monitoring system of household electrical consumption with DALY-based control unit of lighting facilities remotely controlled by Internet
CA3014905C (en) Reserve power and control for light sources in a light fixture
KR1020928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rming dimming status of illuminator
Visconti et al. Wireless monitoring and driving system of household facilities for power consumption savings remotely controlled by Internet
CN203658872U (en) Swimming pool temperature and liquid level monitoring and alarm instrument
Visconti et al. Wireless smart system for monitoring and driving of household electrical facilities remotely controlled by Internet
Kasenda et al. Light Intensity Control Prototype Design Using Arduino Uno
CN210725440U (en) Light control cabinet and light control internet of things system
Azman et al. Integration of IoT on Power Monitoring and Control of Electrical Load for Home Automation System
Timur et al. Enhancement of a low-cost intelligent device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in buildings
Manheij A comparison of two types of light control systems: Open-and closed light control system and their different behaviors
CN113364128A (en) Transformer area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electric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UA150370U (en) Device for remote reading of levels of electromechanical electricity meters with led ind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