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914B1 - Remote Controlled Multi-Outlet Circuit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led Multi-Outlet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914B1
KR100880914B1 KR1020060053929A KR20060053929A KR100880914B1 KR 100880914 B1 KR100880914 B1 KR 100880914B1 KR 1020060053929 A KR1020060053929 A KR 1020060053929A KR 20060053929 A KR20060053929 A KR 20060053929A KR 100880914 B1 KR100880914 B1 KR 100880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gnal
outlet
contro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19370A (en
Inventor
김종실
Original Assignee
(주)웰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웰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06005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914B1/en
Publication of KR20070119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3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9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RF 신호를 이용하여 다수의 콘센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회로가 개시된다. 상기 RF 신호는 RF 송신기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주 ID 정보, 다수의 콘센트들중 제어하고자 하는 콘센트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개별 ID 정보 및 선택된 콘센트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비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선으로 다수의 콘센트들중 전원 공급을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Figure R1020060053929

Disclosed are a multi-outlet circuit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a plurality of outlets using RF signals. The RF signal includes main ID information having information on an RF transmitter, individual ID information having information on an outlet to be controlled among a plurality of outlets, and a control bit for generating an on / off signal for a selected outlet. . Therefore, the user can wirelessly select and control at least one outlet from which a plurality of outlets are to be powered.

Figure R1020060053929

Description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Remote Controlled Multi-Outlet Circuit}Wireless Multi-Outlet Circuits {Remote Controlled Multi-Outlet Circui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300 : RF 수신부 200 : RF 송수신부100, 300: RF receiver 200: RF transceiver

110, 210, 310 : 연산처리부 120, 220, 320 : 제어부110, 210, 310: arithmetic processing unit 120, 220, 320: control unit

130, 230, 330 : 전원 공급부 140, 240, 340 : 과전압차단부130, 230, 330: power supply 140, 240, 340: over-voltage cut-out

150, 250, 350 : 스위칭부 380 : 보조 스위칭부150, 250, 350: switching unit 380: auxiliary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외선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멀티콘센트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에 관한 것이 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for receiving an infrared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the multi-outlet.

사무용 및 가정용 전력을 사용하는 전기 제품들은 콘센트를 통하여 전기를 공급받는다. 통상, 가정용 및 사무용으로는 220V의 AC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가정 및 사무실 등에서는 콘센트에 전원 플러그를 삽입한 채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해당하는 전기 제품의 사용 유무와 무관하게 전원 플러그는 콘센트에 항상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는 사용자들이 전기 제품을 사용할 때마다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거나, 분리시켜야하는 불편함에 기인한다.Electrical appliances that use office and household power are supplied through outlets. Typically, 220V AC power is supplied for home and office use. In addition, homes and offices are often used with the power plug inserted into the outlet. That is, the power plug is always inserted into the outlet regardless of the use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appliance. This is due to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insert or disconnect the power plug every time a user uses the electrical appliance.

또한, 최근에는 컴퓨터 등의 전원을 사용하기 위하여 멀티탭 제품이 다수 공급되어 있다. 멀티탭의 경우, 하나의 세트에 다수의 콘센트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일괄적으로 다수의 콘센트의 전원을 턴 온 또는 턴 오프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을 전기 제품에 공급하여야 하는 경우, 제어 스위치는 턴 온되어 멀티탭 전체의 콘센트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의 사용이 종료되는 경우, 제어 스위치는 턴 오프되어 멀티탭 전체의 콘센트들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다.In recent years, many multi-tap products have been supplied in order to use a power source such as a computer. In the case of a multi-tap, a plurality of outlets are provided in one set, and a control switch for turning on or off power of a plurality of outlets in a batch is provided. Thus, when power must be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he control switch is turned on to supply power to the outlets throughout the power strip. In addition, when the use of power is terminated, the control switch is turned off so that the supply of power to the outlets of the entire power strip is cut off.

또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멀티탭의 전원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하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07338호에 개시된다. 상기 특허는 실내의 빛의 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광량에 따라 무선 신호를 발생하여 실내에 구비된 멀티탭의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멀티탭이 어두운 환경에 위치할 때, 이를 사용자가 일일이 찾아야하는 번거러움을 피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또한, CDS 센서를 이용하여 빛의 량을 감지하고, 미리 정해진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일정한 밝기 이하에서 자동으로 멀티탭에 전원이 인가되는 동작 특성을 가진다.In addition,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a power source of a power strip using a wireless signal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507338. The patent is characterized by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in the room, and generates a wireless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ed light amount to control the power of the power strip provided in the room. However, the patent has been devised to avoid the hassle that the user has to find when the multi-tap is located in a dark environment. In addition, the amount of light is detected using the CDS sens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RF signal us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code. Therefore, it has an operating characteristic in which power is automatically applied to the power strip under a certain brightness.

그러나, 사용자가 멀티탭에 삽입된 다수의 플러그들중 일부에만 전원을 인가하여야하는 경우, 이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는 침묵하고 있다.However, when the user needs to apply power only to some of the plurality of plugs inserted into the power strip,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controlling them are sil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RF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ulti-tap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power using the RF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RF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기 위한 RF 수신부; 상기 RF 수신부로부터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연산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RF 수신부, 상기 연산처리부 및 상기 제어부에 DC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제품에 의한 과전압 또는 과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콘센트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과전압차단부; 및 상기 각각의 콘센트에 연결된 릴레이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콘센트에 전달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RF 신호를 발생하는 RF 송신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주 ID 정보, 상기 각각의 콘센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가지는 개별 ID 정보 및 상기 개별 ID 정보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가지는 제어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F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the RF signal; An operation processor for receiving a modulated data signal from the RF receiver and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n on / off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operation processor;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RF receiver, the operation processor, and the controller; An overvoltage blocking unit for detecting an overvoltage or an overcurrent caused by an electrical appliance connected to an outlet to cut off power transmit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outlet; And a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power transmitted to the outlet according to an on / off signal of the controller, the relay having a relay connected to each outlet, wherein the data signal is for identifying an RF transmitter generating the RF signal. And control bits having main ID information having information about an identification code, individual ID information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utlet, and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said outlet selected by said individual ID information. It provides a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RF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플래그 신호를 변조하여 송출하기 위한 RF 송수신부; 상기 RF 송수신부로부터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데이터의 정확한 수신을 확인하는 상기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연산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RF 수신부, 상기 연산처리부 및 상기 제어부에 DC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제품에 의한 과전압 또는 과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콘센트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과전압차단부; 및 상기 각각의 콘센트에 연결된 릴레이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콘센트에 전달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RF 신호를 발생하는 RF 송신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주 ID 정보, 상기 각각의 콘센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가지는 개별 ID 정보, 상기 개별 ID 정보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가지는 제어 비트 및 상기 주 ID 정보, 개별 ID 정보 또는 제어 비트가 정확히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패리티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의 제공을 통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RF transceiver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the RF signal,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flag signal for confirming the reception of data; An operation processor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by receiving a modulated data signal from the RF transceiver and generating the flag signal for confirming correct reception of data;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n on / off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operation processor;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RF receiver, the operation processor, and the controller; An overvoltage blocking unit for detecting an overvoltage or an overcurrent caused by an electrical appliance connected to an outlet to cut off power transmit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outlet; And a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power transmitted to the outlet according to an on / off signal of the controller, the relay having a relay connected to each outlet, wherein the data signal is for identifying an RF transmitter generating the RF signal. Main ID information having information regarding an identification code, individual ID information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utlet, control bits hav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utlet selected by the individual ID information, and the main ID information; It can also be achieved through the provision of a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rity bit that can determine whether individual ID information or control bits are correctly receiv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First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는 RF 수신부(100), 연산처리부(110), 제어부(120), 전원 공급부(130), 과전압차단부(140) 및 스위칭부(150)를 가진다.Referring to FIG. 1, the wireless multi-concentrator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RF receiver 100, an operation processor 110, a controller 120, a power supply 130, an overvoltage cutoff unit 140, and a switching unit 150. )

RF 수신부(10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RF 신호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전기 제품의 리모트 컨트롤 신호이다. 즉, 주파수 변조된 신호인 FM 신호를 송신하는 RF 송신기를 통해 상기 RF 신호는 전달된다. 상기 RF 송신기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통상적으로 리모콘으로 불리운다. The RF receiver 100 receives an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 RF signal is a remote control signal of an electric product used in a home or office. That is, the RF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n RF transmitter that transmits an FM signal, which is a frequency modulated signal. The RF transmitter is commonly called a remote control among users.

상기 RF 신호에는 주 ID 정보, 개별 ID 정보 및 제어 비트가 주파수 변조된 상태이다. In the RF signal, main ID information, individual ID information, and control bits are frequency modulated.

상기 주 ID 정보는 RF 송신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에 관한 정보를 가진다. 또한, 상기 개별 ID 정보는 멀티탭에 포함된 각각의 콘센트(161, 163, 165)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가지며, 제어 비트는 개별 ID 정보에 의해 선택된 콘센트(161, 163, 16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가진다.The primary ID information has information about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an RF transmitter. In addition, the individual ID information h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outlets 161, 163, and 165 included in the power strip, and the control bit controls to control the outlets 161, 163, and 165 selected by the individual ID information. Has a command.

따라서, 상기 RF 수신부(100)는 RF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복조하여 RF 신호에 포함된 주 ID 정보, 개별 ID 정보 및 제어 비트를 추출한다. 추출된 주 ID 정보, 개별 ID 정보 및 제어 비트는 연산처리부(110)에 입력된다. Accordingly, the RF receiver 100 receives an RF signal, demodulates it, and extracts main ID information, individual ID information, and control bits included in the RF signal. The extracted main ID information, individual ID information, and control bits are input to the operation processor 110.

또한, 상기 RF 신호는 보조 ID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ID 정보는 다수의 멀티탭들 중에서 특정의 멀티탭을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즉, 다수의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가 구비되는 경우, 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를 선택하는 정보로 사용된다. 또한, 무선 멀티콘센트 이외에 상기 RF 신호의 수신 대역을 가지는 전자 제품들 중에서 특정의 전자 제품을 선택하는 신호로서 상기 보조 ID 정보는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F signal may further include auxiliary ID information. The auxiliary ID information is used to designate a specific tap among a plurality of taps. That is, when a plurality of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is provided, it is used as information for selecting at least one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among them. In addition, the auxiliary ID information may be used as a signal for selecting a specific electronic product among electronic products having the reception band of the RF signal in addition to the wireless multi-outlet.

상기 연산처리부(110)는 수신된 다수의 정보 및 제어 비트들에 따라 제어부(12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The operation processor 110 generates a control sig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troller 120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received information and control bits.

먼저, 주 ID 정보를 근거로 RF 신호를 전송한 RF 송신기가 처리 가능한 정보를 전송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에는 RF 송신기의 식별 신호 등이 미리 상기 연산처리부(110)에 기록되고, 기록된 정보와 주 ID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주 ID 정보에 포함된 RF 송신기의 식별 번호가 연산처리부(110)가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연산처리부(110)는 나머지 정보 및 제어 비트를 처리하지 않는다. 또한, 주 ID 정보에 포함된 RF 송신기의 식별 번호가 연산처리부(110)에서 식별 가능하고, 이미 기록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연산처리부(110)는 개별 ID 정보 및 제어 비트를 처리하여 제어부(1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F transmitter which has transmitted the RF signal transmits the processable information based on the main ID information. This may include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an identification signal of an RF transmitter or the like is previously recorded in the operation processor 110 and whether the recorded information and the main ID information match. If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F transmitter included in the main ID information is not information that can be identified by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110,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110 does not process the remaining information and control bits. In addition, when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F transmitter included in the main ID information is identifiable by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110 and matches the already recorded information,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110 processes the individual ID information and the control bits to control the controller. Generate a control command to control 120.

개별 ID 정보는 멀티탭에 포함된 다수의 콘센트들(161, 163, 165)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가진다. 즉, 다수의 콘센트들(161, 163, 165)은 연산처리부(110)에 의해 식별 정보가 할당되며, 개별 ID 정보는 이러한 콘센트들(161, 163, 165)을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가진다. 따라서, 개별 ID 정보를 통해 연산처리부(110)가 제어할 수 있는 콘센트(161, 163, 165)는 결정된다. 예컨대, 연산처리부(110)는 제어부(120)를 통해 다수의 콘센트들(161, 163, 16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다수의 콘센트들(161, 163, 165) 중 특정의 다수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The individual ID information h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lurality of outlets 161, 163, and 165 included in the power strip. That is, the plurality of outlets 161, 163, and 165 are alloc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the operation processor 110, and the individual ID information may identify the outlets 161, 163, and 165 individually. Has Therefore, the outlets 161, 163, and 165 that the arithmetic processor 110 can control are determined based on the individual I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operation processor 110 may select and control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utlets 161, 163, and 165 through the control unit 120, and may determine a specific one of the plurality of outlets 161, 163, and 165. You can also select and control many.

제어 비트는 개별 ID 정보에 의해 선택된 콘센트(161, 163, 165)에 전달되는 제어명령을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 비트는 해당하는 콘센트(161, 163, 165)에 대한 온/오프 정보를 가진다.The control bit constitutes a control command delivered to the outlets 161, 163, 165 selected by the individual ID information. Thus, the control bit has on / off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outlet (161, 163, 165).

상술한 연산처리부(110)에 의해 형성된 제어 신호는 선택된 콘센트(161, 163, 165)에 대한 정보 및 콘센트(161, 163, 165)에 전달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The control signal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processor 11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outlets 161, 163, and 165 and instructions transmitted to the outlets 161, 163, and 165.

상기 연산처리부(110)의 출력인 제어 신호는 제어부(120)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콘센트(161, 163, 165)에 연결된 릴레이(151, 153, 155)를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신호를 생성한다. 즉, 제어 신호에 포함된 선택된 콘센트(161, 163, 165)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제어부(120)는 특정의 릴레이(151, 153, 155)에 연결된 단자를 활성화한다. 활성화된 단자를 통해 상기 제어부(120)는 온/오프 신호를 특정의 릴레이(151, 153, 155)에 전달한다.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processor 110 is input to the controller 120. The controller 120 generates an on / off signal for controlling the relays 151, 153, and 155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outlets 161, 163, and 165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at is, the controller 120 activates a terminal connected to a specific relay 151, 153, 155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outlet 161, 163, 165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an on / off signal to specific relays 151, 153, and 155 through the activated terminal.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130)는 RF 수신부(100), 연산처리부(110) 및 제어부(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30)는 과전압차단부(140)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DC 전원을 RF 수신부(100), 연산처리부(110) 및 제어부(120)에 공급한다. 또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 에서 전압 강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30 supplies power to the RF receiver 100,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20. The power supply unit 130 converts AC power input from the overvoltage blocking unit 140 into DC power, and supplies the converted DC power to the RF receiving unit 100,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20. In addition, a voltage drop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AC power to DC power.

상기 스위칭부(150)는 다수의 릴레이들(151, 153, 155)을 가진다. 각각의 릴레이들(151, 153, 155)은 과전압차단부(140)와 콘센트(161, 163, 165)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릴레이(151, 153, 155)의 제어단자에는 상기 제어부(120)의 온/오프 신호가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부(120)의 온/오프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칭부(150)의 릴레이(151, 153, 155)는 온/오프된다. The switching unit 150 has a plurality of relays 151, 153, and 155. Each of the relays 151, 153, and 155 is connected between the overvoltage cutoff unit 140 and the outlets 161, 163, and 165. In addition, the on / off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each relay (151, 153, 155). Accordingly, the relays 151, 153, and 155 of the switching unit 150 are turned on / off by the on / off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과전압차단부(140)는 전원 플러그(170)에 연결된다. 전원 플러그(170)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 전압이 소정의 임계치를 상회하는 경우, 상기 과전압차단부(140)는 릴레이(151, 153, 155)에 전달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또한, 콘센트(161, 163, 16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제품에서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정격 전류를 상회하는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도 상기 과전압차단부(140)는 릴레이(151, 153, 155)에 전달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The overvoltage cutoff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power plug 170.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plug 170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overvoltage blocking unit 140 cuts off the power supply delivered to the relays 151, 153, and 155. In addition, even when a current exceeding the rated current flows due to various factors in the electrical applianc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lets 161, 163, and 165, the overvoltage cutoff unit 140 transmits to the relays 151, 153, and 155. Cut off the power supply.

또한, 상기 과전압차단부(140)는 전원 공급부(130)에 AC 전력을 공급한다. 만일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170)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 전압이 소정의 임계치를 상회하거나 정격 전류를 상회하는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원 공급부(130)로 전달되는 AC 전력 또한 차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vervoltage cutoff unit 140 supplies AC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As described above, when a power supply voltage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plug 170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or a current exceeding a rated current flows, AC power delivered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also be cut off.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콘센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과전압차단부를 이용하여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제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콘센트의 전기 공급을 차단하여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의 전기적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wireless multi-concentra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individually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outlet by receiving the RF signal. In addition, eve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ctrical appliance connected to the outlet by using the overvoltage cutou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ical damage of the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by cutting off the electrical supply of the outlet.

제2 2nd 실시예Example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는 RF 송수신부(200), 연산처리부(210), 제어부(220), 전원 공급부(230), 과전압차단부(240) 및 스위칭부(250)를 가진다.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multi-concentra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RF transceiver 200, an operation processor 210, a controller 220, a power supply 230, an overvoltage interrupter 240, and a switch 250. )

먼저, 통상적으로 리모콘으로 불리우는 RF 송수신 모듈을 통해 RF 신호가 전송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리모콘이 RF 송신부로 표현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리모콘은 RF 신호를 송신할 뿐 아니라,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First, an RF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n RF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commonly called a remote controll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ler is represented as an RF transmitter,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ler has a function of not only transmitting an RF signal but also receiving an RF signal.

RF 송수신부(20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복조한다. 복조된 신호는 연산처리부(210)로 전달된다. 상기 RF 신호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로, 주 ID 정보, 개별 ID 정보 및 제어 비트를 가지며, 이외에도 데이터가 정확히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패리티 비트(Parity Bit)를 더 포함한다. The RF transceiver 200 demodulates an RF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The demodulat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processor 210. The RF signal has main ID information, individual ID information, and control bits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further includes a parity bit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data is correctly received.

또한, 상기 RF 신호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보조 ID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ID 정보는 다수의 멀티탭들 중에서 특정의 멀티탭을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즉, 다수의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가 구비되는 경우, 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를 선택하는 정보로 사용된다. 또한, 무선 멀티콘센트 이외에 상기 RF 신호의 수신 대역을 가지는 전자 제품들 중에 서 특정의 전자 제품을 선택하는 신호로서 상기 보조 ID 정보는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F signal may further include auxiliary ID information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auxiliary ID information is used to designate a specific tap among a plurality of taps. That is, when a plurality of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is provided, it is used as information for selecting at least one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among them. In addition, the auxiliary ID information may be used as a signal for selecting a specific electronic product among electronic products having the reception band of the RF signal in addition to the wireless multi-outlet.

상기 RF 신호에 의해 복조된 주 ID 정보, 개별 ID 정보, 제어 비트 및 패리티 비트는 연산처리부(210)로 전송된다. 상기 연산처리부(210)는 수신된 주 ID 정보, 개별 ID 정보 및 제어 비트에 대해 연산 및 처리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용이한 이해 및 중복된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기로 한다. 다만, RF 송수신부(200)로부터 전달된 패리티 비트를 분석하여 상기 연산처리부(210)는 데이터가 정확히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The main ID information, the individual ID information, the control bits, and the parity bits demodulated by the RF signal ar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processor 210.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210 operates and processes the received main ID information, the individual ID information, and the control bits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so as to avoid easy understanding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owever, by analyzing the parity bits transmitted from the RF transceiver 200, the operation processor 210 determines whether data is correctly received.

만일, 패리티 비트의 분석 결과 수신된 데이터가 정확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산처리부(210)는 수신 데이터의 부정확함을 나타내는 플래그(flag)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RF 송수신부(200)에 전달한다. 플래그 신호를 수신한 RF 송수신부(200)는 이를 변조하여, RF 송수신 모듈에 전달한다. 또한, RF 송신 모듈은 플래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수신부를 구비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data is not accurate as a result of parity bit analysis, the operation processor 210 generates a flag signal indicating the inaccuracy of the received data and transmits the flag signal to the RF transceiver 200. To pass. The RF transceiver 200 receiving the flag signal modulat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RF transceiver module. In addition, the RF transmission module has a separate receiver for receiving a flag signal.

만일, 패리티 비트의 분석 결과 수신된 데이터가 정확히 전달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산처리부(210)는 정상적인 수신 확인을 나타내는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RF 송수신부(200)에 전달한다. 플래그 신호를 수신한 RF 송수신부(200)는 이를 변조하여 RF 송수신 모듈에 전달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data is correctly delivered as a result of parity bit analysis, the operation processor 210 generates a flag signal indicating a normal acknowledgment, and transmits the flag signal to the RF transceiver 200. The RF transceiver 200 receiving the flag signal modulat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RF transceiver module.

또한, 정상적인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연산처리부(210)는 제어부(220)에 제어신호를 공급하고, 제어부(22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250)의 릴레이(251, 253, 255)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스위칭부(250)의 릴레이(251, 253, 255)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콘센트(261, 263, 265)에는 전력이 선택적으로 공급된다.In addition, when normal data is received, the operation processor 210 su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220, and 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relays 251, 253, and 255 of the switching unit 25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ontrols the on / off operation of. Power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outlets 261, 263, and 265 by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relays 251, 253, and 255 of the switching unit 250.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는 리모콘인 RF 송수신 모듈을 가진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의 데이터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RF 신호를 이용하여 멀티콘센트 회로를 통해 다수의 콘센트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a user having an RF transceiver module, which is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performing a remote control, may check whether data is received by the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he RF signal may be used to selectively control a plurality of outlets through a multi-outlet circuit.

제3 The third 실시예Example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는 RF 수신부(300), 연산처리부(310), 제어부(320), 전원 공급부(330), 과전압차단부(340), 스위칭부(350) 및 보조 스위칭부(380)를 가진다.Referring to FIG. 3, the wireless multi-concentrator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RF receiver 300, arithmetic processor 310, a controller 320, a power supply 330, an overvoltage cutoff unit 340, and a switching unit 350. ) And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380.

본 실시예에서의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는 상기 제1 실시예에 개시된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에 보조 스위칭부(380)가 부가된 것이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개시된 내용과 동일한 것은 설명을 생략하고, 새로이 추가된 보조 스위칭부(380)를 중심으로 본 실시예의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를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380 is added to the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disclos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same description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the wireless multi-concentration circuit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newly added auxiliary switching unit 380.

상기 보조 스위칭부(380)는 연산처리부(310)에 연결된다. 또한, 보조 스위칭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 선택 버튼(381)을 가진다. 모드 선택 버튼(381)은 토글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버튼을 누름에 따라 자동 모드 또는 정상 모드가 선택된다.The auxiliary switching unit 38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310. In addition,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380 has at least one mode selection button 381. The mode selection button 381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toggle type. That is, the automatic mode or the normal mode is selected by pressing the button.

자동 모드는 상기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개시된 바대로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다수의 콘센트들(361, 363, 365)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이다. 따라서, 자동 모드에서는 RF 신호를 상기 RF 수신부(300)가 수신하고, 이를 복조한다. 복조된 데이터에는 상기 제1 실시예에 개시된 바대로 주 ID 정보, 개별 ID 정보 및 제어 비트가 포함된다. 복조된 데이터들은 연산처리부(310)에 입력되며, 연산처리부(310)는 스위칭부(350)의 릴레이(351, 353, 35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생성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부(320)는 스위칭부(350)의 릴레이(351, 353, 355)를 온/오프시킨다.The automatic mode is an operation of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outlets 361, 363, 365 by a remote control outside the wireless multi-concentration circuit as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refore, in the automatic mode, the RF receiver 300 receives the RF signal and demodulates it. The demodulated data includes main ID information, individual ID information, and control bits as disclos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emodulated data is input to the operation processor 310, and the operation processor 310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relays 351, 353, and 355 of the switching unit 350. According to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he control unit 320 turns on / off the relays 351, 353, and 355 of the switching unit 350.

또한, 정상 모드는 자동 모드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상기 보조 스위칭부(380)에 부가되는 스위치에 의해 다수의 콘센트들(361, 363, 365)에 공급되는 전원을 동시에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동작이다. 따라서, 정상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보조 스위칭부(380)는 온 스위치(383) 및 오프 스위치(385)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normal mode, the automatic mode function is not performed,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outlets 361, 363, 365 may be simultaneously turned on or off by a switch added to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380. Action.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the normal mode of operation,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38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n on switch 383 and an off switch 385.

상술한 보조 스위칭부(380)는 연산처리부(310)에 연결된다. 만일 보조 스위칭부(380)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의 동작 모드가 자동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연산처리부(310)는 RF 수신부(300)에서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고, 제어부(320)를 제어한다.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380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processor 310. If the operation mode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set to the automatic mode by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380,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310 processes the data signal received by the RF receiving unit 300, and controls the control unit 320. To control.

또한, 보조 스위칭부(380)에 의해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연산처리부(310)는 RF 수신부(3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지 않으며, 보조 스위칭부(380)에 구비된 온 스위치(383) 및 오프 스위치(385)의 상태 에 따라 제어부(320)를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normal mode by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380, the operation processor 310 does not process the data signal input from the RF receiver 300, and is provided in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380. The control unit 32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tates of the on switch 383 and the off switch 385.

또한, 상기 보조 스위칭부의 동작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온 스위치, 오프 스위치 및 모드 선택 버튼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이전의 동작 상태는 새로운 동작 상태로 진입한다. 예컨대 모드 선택 버튼에 의해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가 자동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온 스위치가 선택되면,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는 정상 모드로 진입하여 보조 스위칭부에 연결된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의 모든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자동 모드 동작 중에 오프 스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의 모든 콘센트의 전원은 차단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That is, when any one of the on switch, the off switch, and the mode selection button is selected, the previous operating state enters a new operating state. For example, if the on switch is selected even if the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performs the automatic mode operation by the mode selection button, the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enters the normal mode and supplies power to all the outlets of the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connected to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do. In addition, when the off switch is selected during the automatic mode operation, power to all the outlets of the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is cut off.

상술한 동작은 정상 모드에서 자동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온 스위치가 선택되어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의 모든 콘센트에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모드 선택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는 자동 모드로 진입하여 RF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오프 스위치가 선택되어 모든 콘센트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모드 선택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는 자동 모드로 진입하여 RF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ay be applied in the same principle even when entering the automatic mode from the normal mode. That is, even if the on switch is selected and power is supplied to all the outlets of the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when the mode selection button is selected, the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enters the automatic mode and processes the RF signal. In addition, even if the power switch is turned off to all the outlets by selecting the off switch, when the mode selection button is selected, the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enters the automatic mode to process the RF sig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스위칭부(380)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광 다이오드 및 적외선 신호처리용 칩을 내장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Preferably,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380 is provided with a light receiving diode for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and an infrared signal processing chip to receive an infrared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별도의 보조 스위치를 통해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를 자동 모드 또는 정상 모드로 절환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스위치는 사용자와 가까운 장소에 위치시켜서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를 용 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can be selectively used by switching to the automatic mode or the normal mode through a separate auxiliary switch. In addition, the auxiliary switch can be located close to the user to easily control the wireless multi-outlet circuit.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보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도시된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에 부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보조 스위칭부는 제2 실시예의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에 부가될 수 있다. 즉, 자동 모드에서는 무선 데이터인 RF 신호의 정상적인 수신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in this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being added to the wireless multi-concentration circuit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in this embodiment may be added to the wireless multi-concentration circuit in the second embodiment. That is, the automatic mode may be provided to confirm normal reception of the RF signal, which is wireless data.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RF 신호를 이용하여 다수의 콘센트들 중에서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를 원격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신호인 RF 신호의 정확한 수신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조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여 자동 모드 및 정상 모드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무선 멀티콘센트 회로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콘센트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motely select at least one outlet to supply power from a plurality of outlets using the RF signa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accurate reception of an RF signal, which is a wireless signal. In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multi-concentration circuit is further provided to further perform an automatic mode and a normal mode operation by further including an auxiliary switching unit.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supply power to the outlet easi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RF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플래그 신호를 변조하여 송출하기 위한 RF 송수신부;An RF transceiver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an RF signal and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flag signal for confirming reception of data; 상기 RF 송수신부로부터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데이터의 정확한 수신을 확인하는 상기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연산처리부;An operation processor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by receiving a modulated data signal from the RF transceiver and generating the flag signal for confirming correct reception of data;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A controller for outputting an on / off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operation processor; 상기 RF 송수신부, 상기 연산처리부 및 상기 제어부에 DC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RF transceiver, the operation processor, and the controller; 각각의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제품에 의한 과전압 또는 과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콘센트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과전압차단부; 및An overvoltage blocking unit for detecting an overvoltage or an overcurrent by an electrical appliance connected to each outlet to cut off power deliver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outlet; And 상기 각각의 콘센트에 연결된 릴레이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콘센트에 전달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하고,It has a relay connected to each outlet, and includes a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delivered to the outlet in accordance with the on / off signal of the control unit,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RF 신호를 발생하는 RF 송신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주 ID 정보, 상기 각각의 콘센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가지는 개별 ID 정보, 상기 개별 ID 정보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가지는 제어 비트 및 상기 주 ID 정보, 개별 ID 정보 또는 제어 비트가 정확히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패리티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회로.The data signal is main outlet information having information on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an RF transmitter generating the RF signal, individual ID information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utlet, and the outlet selected by the individual ID information. And a parity bit for checking whether the main ID information, the individual ID information, or the control bit has been correctly receiv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처리부는 패리티 비트의 분석을 통해 상기 주 ID 정보, 개별 ID 정보 또는 제어 비트의 정확한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상기 플래그 신호로 상기 RF 송수신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회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peration processor checks whether the main ID information, the individual ID information, or the control bit is correctly received through parity bit analysis, and outputs the flag signal to the RF transceiver as the flag signal. Multi outlet circu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ID 정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는 선택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상응하는 릴레이에 제어 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회로.The multi-outlet circui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t least one outlet is selected by the individual ID information, and a control signal is supplied to a relay corresponding to the outlet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KR1020060053929A 2006-06-15 2006-06-15 Remote Controlled Multi-Outlet Circuit KR1008809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929A KR100880914B1 (en) 2006-06-15 2006-06-15 Remote Controlled Multi-Outlet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929A KR100880914B1 (en) 2006-06-15 2006-06-15 Remote Controlled Multi-Outlet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370A KR20070119370A (en) 2007-12-20
KR100880914B1 true KR100880914B1 (en) 2009-02-04

Family

ID=3913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929A KR100880914B1 (en) 2006-06-15 2006-06-15 Remote Controlled Multi-Outlet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91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32B1 (en) * 2009-05-19 2011-12-23 주식회사 맥스포 Multi-tap and remote controller
KR101124155B1 (en) 2009-10-01 2012-03-22 정재덕 Multi-tab for automatic cutting off the standby-pow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24Y1 (en) * 2012-03-21 2013-08-01 주식회사 서광정밀 The reclamation type system box where the waiting electric power prevention apparatus is had built-in
KR101479659B1 (en) * 2013-04-30 2015-01-07 (주)인사이드알에프 Method for individual and group controlling for multitap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dividual multitap and multitap group controlled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KR101709331B1 (en) * 2014-11-03 2017-02-23 주식회사 아이시냅스 Smart multi-tab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384920A (en) * 2016-10-25 2017-02-08 国网江苏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Fixed smart sock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48A (en) * 2001-02-03 2001-07-25 여배규 Rf remote control power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20071704A (en) * 2001-03-06 2002-09-13 (주) 잉카 시스템스 Power saving type outlet device that allows remote control
KR200320259Y1 (en) 2003-04-17 2003-07-16 한영전기공업주식회사 A confirmation and intermittence device of on/off for a power source of electric home applian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48A (en) * 2001-02-03 2001-07-25 여배규 Rf remote control power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20071704A (en) * 2001-03-06 2002-09-13 (주) 잉카 시스템스 Power saving type outlet device that allows remote control
KR200320259Y1 (en) 2003-04-17 2003-07-16 한영전기공업주식회사 A confirmation and intermittence device of on/off for a power source of electric home applian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32B1 (en) * 2009-05-19 2011-12-23 주식회사 맥스포 Multi-tap and remote controller
KR101124155B1 (en) 2009-10-01 2012-03-22 정재덕 Multi-tab for automatic cutting off the standby-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370A (en) 200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914B1 (en) Remote Controlled Multi-Outlet Circuit
RU2396652C2 (en) Electrically controlled receptacle outlet
RU2419932C1 (en) Plug device
KR100436114B1 (en) Power saving type outlet device that allows automatic control
EP1859424B1 (en) Power strip with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ality
US6456471B1 (en) Test, reset and communications operations in an ARC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optional memory and/or backup power
CN102067404A (en) Improved power supply
EP3327885B1 (en) Arc fault interrupter device, arc fault detection method in a circuit interrupte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2627013B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load power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same
JPH0549169A (en) Power controller
US20230138366A1 (en) In-wall power adapter having a switch and a recess adapted to receive a control module
EP18982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global management of electrical power in an electric network
KR102545957B1 (en) Multi-Outlet Device
CN112952769A (en) Setting method and device of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0373452B1 (en) Power supply cutoff apparatus
JPH08214095A (en) Circuit device for supplying at least one load with power
KR100964489B1 (en) Plug apparatus
KR20160028893A (en) A multi outlet device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of electric appliances with master and slave relationship
US6791478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for a wireless keyboard array
EP1455429A1 (en) Ground-fault protection coordinating system and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ground-fault protection coordinating unit
KR200320259Y1 (en) A confirmation and intermittence device of on/off for a power source of electric home appliances
KR20100003864A (en) Remote controlled multi-outlet circuit
KR100868706B1 (en) Power-saving system having rfid reader and power saving control device
JP2007005855A (en) Encryption communication system, encryption key setting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breaker apparatus
KR101764356B1 (en) Automatic power-saving control apparatus with automatic setup of remote control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