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881B1 - 발파폭약 장진차량 - Google Patents

발파폭약 장진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881B1
KR101708881B1 KR1020150127697A KR20150127697A KR101708881B1 KR 101708881 B1 KR101708881 B1 KR 101708881B1 KR 1020150127697 A KR1020150127697 A KR 1020150127697A KR 20150127697 A KR20150127697 A KR 20150127697A KR 101708881 B1 KR101708881 B1 KR 10170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ing
tank
compressed air
explos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수산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to KR1020150127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파폭약 장진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고, 하부에 앞바퀴를 갖는 전방부와;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고, 발파폭약 탱크와 상기 발파폭약 탱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가 탑재되는 탑재부가 설치되며, 상기 탑재부의 하부에 뒷바퀴를 갖는 후방부와;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에 위치하는 크레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하부 일부는 상기 탑재부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업자가 선 상태로 발파폭약 탱크의 상단부를 통해 발파폭약을 충전하는 등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작업을 함에 있어서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발파폭약 장진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파폭약 장진차량{VEHICLE FOR CHARGING A BLASTING POWDER}
본 발명은 발파폭약 장진차량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선 상태로 발파폭약 탱크의 상단부를 통해 발파폭약을 충전하는 등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작업을 함에 있어서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발파폭약 장진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파란 광산, 지하공간개발, 토목공사장, 터널 및 채석장 등에서 암반을 파괴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발파작업에는 다이너마이트, 질산암모늄 폭약 등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비교적 저렴하고 폭파력이 우수한 안포(AN-FO)와 같은 발파폭약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터널 등의 발파작업에서는 지상으로부터 높이차가 존재하는 터널의 내벽 등에 발파구멍을 천공하거나, 천공된 발파구멍에 발파약을 투입해야 하는데, 기존에는 사다리 등의 원시적인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이 경우 발파구멍에 사다리의 위치 등을 정확하게 맞추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수의 발파구멍을 천공하거나 각각의 발파구멍에 발파약을 투입할 경우 사다리를 수시로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수작업에 의해 발파구멍에 발파폭약을 장입하는 경우 그 장입량을 정확하게 장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터널 등과 같은 높이차가 존재하는 공사현장에 발파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발파폭약을 장입하는 발파폭약 장진 차량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발파폭약 장진차량에 대해서는 한국등록특허 제1029465호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발파폭약 장진차량은, 차량에 형성된 탑재부에 설치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 개의 붐들로 형성된 크레인과, 작업자가 탑승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상기 크레인의 최선단의 붐의 자유단부에 제공된 버켓과, 수직 높이 조정가능하며 지지부 상단에 장착된 상기 크레인의 붐조립체,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콤프레셔와, 발파폭약을 수용하고 압력에 의해 발파폭약을 공급하도록 상기 차량 탑재부에 장착되는 발파폭약 탱크와,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배출측에 제공된 토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발파폭약 탱크로부터 발파폭약을 발파공으로 공급하기 위한 토출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발파폭약 장진차량은 탑재부와 발파폭약 탱크 상단 사이의 높이가 높아서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상단부를 통해 발파폭약을 충전하는 등의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상기 발파폭약 탱크 위로 올라가서 작업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발파폭약 장진차량은 상기 탑재부와 상기 발파폭약 탱크 상단 사이의 높이가 높아서 상기 작업 도중 상기 발파폭약 탱크 위의 상기 작업자가 추락사고를 당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발파폭약 장진차량은 시중에 판매되는 기존 트럭 자체에 설치되어 있는 탑재부 상부에 상기 발파폭약 탱크, 콤프레셔 등과 같은 장치들을 그대로 설치하는 것이므로 각 장치들의 형태, 하중, 부피 등을 고려해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적용할 수 없고, 특히,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설치높이를 낮출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9465 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트럭 자체에 설치되어 있는 탑재부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 탑재부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발파폭약 탱크의 높이를 보다 낮출 수 있는 발파폭약 장진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파폭약 장진차량은,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고, 하부에 앞바퀴를 갖는 전방부와;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고, 발파폭약 탱크와 상기 발파폭약 탱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가 탑재되는 탑재부가 설치되며, 상기 탑재부의 하부에 뒷바퀴를 갖는 후방부와;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에 위치하는 크레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하부 일부는 상기 탑재부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재부는, 제1구멍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하부 일부는 상기 제1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에는 상기 제1구멍과 연통되는 제2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하부 일부는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재부는, 복수 개의 제2구멍이 형성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하나의 상기 제2구멍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제2구멍을 덮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하부 일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덮이지 않은 상기 제2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하단부에는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고정 바스켓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 바스켓에는 상기 발파폭약 탱크가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무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파폭약 장진차량은, 트럭 섀시와, 상기 트럭 섀시의 상부에 설치된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구멍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아래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발파폭약탱크와,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발파폭약 탱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은 작업자가 발파폭약 탱크 위로 오르지 않고서도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상단부를 통해 발파폭약을 충전하는 등의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발파폭약 탱크 위로 오르지 않고서도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상단부를 통해 발파폭약을 충전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파폭약 탱크의 크기 및 용량을 줄이지 않고서도 플레이트와 상기 발파폭약 탱크 상단 사이의 높이를 보다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하부 일부가 상기 탑재부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므로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기존 트럭의 섀시 상부에 별도의 플레이트와 보강프레임을 포함하는 탑재부를 고정설치하므로 상기 발파폭약 탱크, 압축공기 공급부 등 각 장치들의 형태, 하중, 부피 등을 고려해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을 도시한 좌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을 도시한 우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크레인부를 제외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의 탑재부와 발파폭약 탱크의 개략적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의 크레인부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의 공압시스템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의 탑재부와 발파폭약 탱크의 개략적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의 탑재부와 발파폭약 탱크의 개략적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을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을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크레인부를 제외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의 탑재부와 발파폭약 탱크의 개략적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의 크레인부를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의 공압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은,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고 하부에 앞바퀴를 갖는 전방부와,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고 발파폭약 탱크와 상기 발파폭약 탱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가 탑재되는 탑재부가 설치되며 상기 탑재부의 하부에 뒷바퀴를 갖는 후방부와,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에 위치하는 크레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하부 일부는 상기 탑재부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110)는 하부에 앞바퀴(131)를 갖는 전방부(130)와, 하부에 뒷바퀴(151)를 갖는 후방부(150)와, 차량(110)를 고정시키는 아웃트리거(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방부(130)는 차량(110)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방부(130) 내부에는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차량(110)의 전진 및 후진 등의 기동을 위한 구성들이 조립된 것으로서, 앞바퀴(131)와 뒷바퀴(151)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사륜규동(4WD)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부는 통상의 차량에 적용된 기술과 대동소이하므로, 상기 구동부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100)의 상기 구동부가 사륜구동인 경우, 발파폭약 탱크(210)가 후술할 탑재부(153)의 전방에 탑재되어 배치되는데 유리한 이점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발파폭약 장진차량의 경우, 일반적으로 뒷바퀴(151)만 구동되는 후륜구동을 사용하였으며, 이로 인해,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뒷바퀴(151)가 헛돌지 않도록 발파폭약 탱크(210)를 탑재부(153) 후방에 탑재, 즉, 뒷바퀴(151) 상부쪽에 배치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100)의 경우 사륜구동으로 구성됨으로써, 발파폭약 탱크(210)가 탑재부(153)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도, 뒷바퀴(151)나 앞바퀴(131)가 헛도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전방부(130)의 전방에는 케이블 드럼(133)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전방부(130)의 상부에는 낙석방지용 커버(135)가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 드럼(133)은 외부 전원을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선(미도시)과 상기 전원선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드럼(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선이 외부 전원에 연결됨으로써, 후술할 전원제어 시스템부(510)의 충전기(미도시)와, 제1압축기(31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낙석방지용 커버(135)는 전방부(130)의 상부에 설치되며, 발파폭약 장진 작업시 암반에서 발생되는 낙석이 전방부(130)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후방부(150)는 차량(110)의 후방, 즉, 전방부(130)의 후방에 위치하며, 하부에 뒷바퀴(151)를 갖는다.
후방부(150)에는 탑재부(153)가 고정설치된다.
탑재부(153)는 플레이트(1531)와 보강프레임(1533)을 포함한다.
플레이트(1531)는 사각판 형상으로 각종 장치들이 설치된다.
플레이트(1531)는 작업자가 작업 도중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에 복수 개의 볼록한 무늬가 형성된 알루미늄 무늬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1531)에는 후술할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부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1구멍(1531a)이 형성된다.
제1구멍(1531a)은 플레이트(1531)의 상하면이 관통된 원형의 구멍으로 플레이트(1531)의 전방 좌측에 1개 형성된다.
플레이트(1531)에는 보강프레임(1533)이 고정설치된다.
보강프레임(1533)은 격자형 프레임으로 하면이 후방부(150)의 상면에 고정설치되고, 상면이 플레이트(1531)의 하면에 고정설치된다.
보강프레임(1533)은 플레이트(1531) 및 플레이트(1531)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들을 지지하고, 플레이트(1531)를 보강하며, 플레이트(1531)와 후방부(150)를 연결한다.
보강프레임(1533)에는 후술할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부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2구멍(1533a)이 형성된다.
제2구멍(1533a)은 상하로 관통된 사각형상의 구멍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나란히 4개씩 2열로 총 8개의 제2구멍(1533a)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제2구멍(1533a) 중 하나의 제2구멍(1533a)은 보강프레임(1533)의 전방 좌측에 형성되어 제1구멍(1531a)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보강프레임(1533)은 플레이트(1531) 및 플레이트(1531)에 설치된 각 장치들을 지지할 수 있고, 발파폭약 탱크(210)의 토출부(213)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면 여러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탑재부(153)는 실질적으로 트럭 섀시의 후방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트럭 섀시는 시중에 판매되는 트럭에서 화물을 적재하는 부분, 즉, 후방측 바디를 제거한 것이다.
상기 트럭 섀시의 후방 상부에는 탑재부(153)의 보강프레임(1533)이 고정설치되고, 탑재부(153)의 보강프레임(1533) 상부에는 플레이트(1531)가 고정설치되며, 서로 연통된 플레이트(1531)의 제1구멍(1531a)과 보강프레임(1533)의 제2구멍(1533a)에는 발파폭약 탱크(2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플레이트(1531)의 아래에 발파폭약 탱크(21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발파폭약 탱크(210)는 플레이트(1531)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고정 바스켓(220)에 수용되어 고정설치된다.
탑재부(153)의 플레이트(1531)에는 발파폭약 탱크(210)와, 전원제어 시스템부(510)와, 압축공기 공급부(310)가 탑재되고, 탑재부(153)의 좌측면에는 제1사다리(155)가 설치된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플레이트(1531)의 전방 좌측에는 발파폭약 탱크(210)가 배치되어 탑재되고, 플레이트(1531)의 전방 우측에는 전원제어 시스템부(510)가 배치되어 탑재되고, 플레이트(1531)의 후방에는 압축공기 공급부(310)가 배치되어 탑재된다. 이 경우, 압축공기 공급부(310)는 플레이트(1531)의 후방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후술할 제1압축기(311), 제2압축기(312),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 순으로 배치된다.
전술한 플레이트(1531)에 설치된 각 장치의 배치구조로 인해, 작업자가 플레이트(1531)의 상면에서 발파폭약을 발파폭약 탱크(210) 내부로 투입하기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즉, 플레이트(1531)의 전방 좌측에 배치되어 탑재되는 발파폭약 탱크(210)와, 플레이트(1531)의 후방 좌측에 배치되어 탑재되는 제1압축기(311)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작업자가 플레이트(1531) 상면에서 자유로이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사다리(155)는 작업자가 호퍼(211)를 통해 발파폭약 탱크(210) 내부로 발파폭약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이격공간의 하부의 탑재부(153)의 좌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작업자는 제1사다리(155)를 타고 올라가 상기 이격공간에 서서 발파폭약을 용이하게 발파폭약 탱크(21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아웃트리거(170)는 차량(110)의 좌우측면에 각각 한 쌍씩,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2개의 아웃트리거(170)는 후술할 크레인부(410)의 지지부(411)의 하부 좌우측면에 설치되고, 나머지 2개의 아웃트리거(170)는 후방부(150)의 뒷바퀴(151)의 후방향 좌우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웃트리거(170)는 수직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그 단부가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을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의 발파폭약 장진 작업시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이 전복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아웃트리거(170)의 신장 및 수축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나, 무거운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유압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파폭약 탱크(210)는 발파폭약 탱크(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호퍼(211)와,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부에 연결되는 토출부(213)를 포함한다.
발파폭약 탱크(210)는 상부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이고, 하부가 상광하협의 원추형상으로 내부에 발파폭약이 충전된다.
발파폭약 탱크(210)의 원통형상 부분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4개의 브라켓(215)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고정설치된다.
발파폭약 탱크(210)는 플레이트(1531)의 전방 좌측에 고정설치된 고정 바스켓(220)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 바스켓(220)의 중앙부와 각각의 브라켓(215)이 볼팅또는 용접되는 것으로 고정 바스켓(220)에 고정설치되며, 이에 따라 발파폭약 탱크(210)는 플레이트(1531)의 전방 좌측에 배치된다.
고정 바스켓(220)에 고정된 발파폭약 탱크(210)는 하부 일부가 탑재부(153)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부, 즉, 상광하협의 원추형상 부분의 일부는 서로 연통된 제1구멍(1531a)과 제2구멍(1533a)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어 탑재부(153)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즉,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부 일부는 탑재부(153)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발파폭약 탱크(210)는 제1구멍(1531a)의 직경과 유사한 직경을 가지는 하부 일부까지 제1구멍(1531a) 및 제2구멍(1533a)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토출부(213)는 탑재부(153)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토출부(213)는 탑재부(153)의 하부에 위치하여 플레이트(1531)의 상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발파폭약 탱크(210)는 하부 일부가 탑재부(153)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탑재부(153)를 기준으로 전체적인 설치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부 일부가 제1구멍(1531a) 및 제2구멍(1533a)을 통해 탑재부(153)의 하부 측으로 삽입된 만큼 발파폭약 탱크(210)의 용량 및 크기를 줄이지 않고서도 플레이트(1531)와 발파폭약 탱크(210) 상단 사이의 높이를 보다 낮출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발파폭약 탱크(210) 위로 오르지 않고 선 채로 발파폭약 탱크(210)의 상단부의 호퍼(211)를 통해 발파폭약을 충전하는 등의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작업을 발파폭약 탱크(210) 위로 오르지 않고서도 할 수 있으므로 추락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부 일부가 탑재부(153)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므로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다.
발파폭약 탱크(210)는 발파폭약을 압축 및 저장하여 후술할 토출부(213)의 제1, 2토출호스(231, 232)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2노즐(미도시)로 상기 발파폭약을 토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 경우, 발파폭약 탱크(210)는 내부에 투입되는 발파폭약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력에 대응될 수 있는 재질, 예컨데,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호퍼(211)는 발파폭약 탱크(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미도시)와 결합하여, 발파폭약이 발파폭약 탱크(210) 내부로 투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호퍼(211)에는 발파폭약 탱크(210) 내에 발파폭약을 투입할 경우 설정된 크기 이하의 분말만 통과시키도록 하는 필터망(미도시)과. 외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발파폭약 탱크(210)를 밀폐시키는 호퍼 커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토출부(213)는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부에 구비되며, 후술할 크레인부(410)의 바스켓(415) 측으로 연장되는 제1토출호스(도 6의 231)와, 지면 작업용 제2토출호스(도 6의 232)에 연결됨으로써, 발파폭약 탱크(210) 내부에 저장된 발파폭약을 제1, 2토출호스(231, 232)로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토출부(213)에는 제1, 2토출호스(231, 232)로 유동되는 발파폭약의 유동을 제어하는 액츄레이터 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액츄레이터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토출호스(231)는 토출부(213)의 일측에 연결되며, 크레인부(41)의 바스켓(415) 측으로 연장됨으로써, 작업자가 바스켓(415)에서 발파폭약 장진 작업을 사용될 수 있다.
제2토출호스(232)는 토출부(213)의 타측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지면에서 발파폭약 장진 작업을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제1, 2토출호스(231, 232)는 그 단부에 각각 제1, 2노즐(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2토출호스(231, 232)의 재질은 유연성 있는 재질, 예컨데 고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2토출호스(231, 232)는 각각 후술할 공압시스템의 제4, 5유로(640, 650)에 의해 압축공기 저장탱크(313)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제1, 2토출호스(231, 232)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2토출호스(231, 232)는 압축공기만을 토출할 수도 있다.
즉, 제1, 2토출호스(231, 232)는 상황에 따라 상기 제1, 2노즐을 통해 발파폭약 또는 압축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압축공기 공급부(310)는 후방부(150)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1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제1압축기(311)와, 제2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제2압축기(312)와, 상기 제1, 2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압축기(311)는 제1케이스(321)의 내부에 저장되어 탑재부(153)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2압축기(312)와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는 제2케이스(322)의 내부에 저장되어 탑재부(153)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비 또는 눈이 오는 경우나, 터널의 습기 또는 암반의 낙석으로부터 제1, 2압축기(311, 312)와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를 보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2케이스(321, 322)는 각각 상면이 개폐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2케이스(321, 322) 상면에 작업자가 올라가게 되더라도 제1, 2압축기(311, 312) 및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제1, 2케이스(321, 322)의 상면에 올라갈 수 있어, 탑재부(153) 상면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이 더 넓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1압축기(311)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제1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에 상기 제1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압축기(311)는 상기 케이블 드럼의 전원선에 의해 외부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제2압축기(312)는 전술한 차량(110)의 전방부(130)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제2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에 상기 제2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2압축기(311, 312)에서 각각 생성된 제1, 2압축공기를 저장하여, 발파폭약 탱크(210)와 제1, 2토출호스(231, 232)에 상기 제1, 2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에서 발파폭약 탱크(210)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발파폭약 탱크(210) 내부로 유입되어 발파폭약 탱크(210) 내부에 투입된 발파폭약을 제1, 2토출호스(231, 232)로 토출되게 하는 역할로 쓰이게 된다.
또한,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에서 제1, 2토출호스(231, 232)로 직접 공급된 압축공기는 발파폭약이 장진되는 발파공에 작은 돌가루 등을 제거하는 역할로 쓰일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발파폭약 장진 작업을 할 경우, 드릴 등을 이용하여, 암반등에 상기 발파폭약을 장진할 발파공을 천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드릴 천공에 의해 작은 돌가루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제1, 2토출호스(231, 232)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2노즐(미도시)을 통해 압축공기를 토출함으로써, 상기 발파공에 발생한 돌가루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발파공에 발파폭약의 장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제1, 2압축기(311, 312)와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는 후방부(150)의 후방에 좌, 우측 방향으로 제1압축기(311), 제2압축기(312),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 순으로 수평하게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압축기(311)는 발파폭약 탱크(2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후방부(150)의 좌측, 즉, 탑재부(153) 후방 좌측에 배치되고,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는 후방부(150)의 후방 우측, 즉, 탑재부(153) 후방 우측에 배치되고, 제2압축기(312)는 제1압축기(311)와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후방부(150)의 후방 중앙, 즉, 탑재부(153) 후방 중앙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2압축기(311, 312)와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를 수평하게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종래의 압축공기 저장 탱크 위에 압축기가 올려져있는 구조보다 그 높이가 낮아지게 되므로, 탑재부(153)의 상면에서 차지하는 압축공기 공급부(31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됨으로써, 크레인부(41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달성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의 높이 방향 무게 중심이 아래쪽에 있게 되어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제1압축기(311)는 제2압축기(312)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작은데, 이러한 제1압축기(311)를 발파폭약 탱크(2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탑재부(153)의 후방 좌측에 배치함으로써, 발파폭약 탱크(210)와 제1압축기(311)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이 넓이가 넓어지게 되어, 탑재부(153)의 상면에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110)의 전방부(130)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제2압축기(312)의 경우 구동시 많은 열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2압축기(312)를 탑재부(153)의 후방 좌측에 배치되는 제1압축기(311)와, 탑재부(153)의 후방 우측에 배치되는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제2압축기(312)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화상 등을 입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2압축기(311, 312)에서 발생하는 제1, 2압축공기를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에 저장하게 되면,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 내부에 수분이 발생하게 되어, 주기적으로 상기 수분을 빼내줘야 하는데, 이러한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를 탑재부(153)의 후방 우측에 배치함으로써, 작업자가 탑재부(153)의 상면에 올라가지 않고도 용이하게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에서 상기 수분을 빼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제1, 2압축기(311, 312)와,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와, 발파폭약 탱크(210) 및 제1, 2토출호스(231, 232)에 유동되는 압축공기의 흐름, 즉, 공압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크레인부(410)는 전방부(130)와 후방부(150)사이에 위치하며, 차량(110)에 설치되는 지지부(411)와 지지부(411)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붐조립체(412)와, 제1붐조립체(412)를 회전시키는 제1데릭액츄에이터(421)와, 제1붐조립체(412)에 연결되는 제2붐조립체(413)와, 제2붐조립체(414)를 회전시키는 제2데릭액츄에이터(422)와, 제2데릭액츄에이터(422)와 제1붐조립체(41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23)와, 제2붐조립체(413) 단부에 설치되는 바스켓(4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411)는 유압모터(미도시)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차량(110)에 설치된다.
이 경우, 지지부(411)는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의 차량(110)의 중앙 라인, 즉, 차량(110)의 좌, 우측 방향의 중앙 부분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에 일치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411)에는 작업자가 올라갈 수 있는 제2사다리(41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부(411)의 하부 좌우측면에는 각각 아웃트리거(17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붐조립체(412)는 지지부(4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피봇(431)에 의해 힌지구조로 지지부(411)와 연결된다.
이 경우, 제1붐조립체(412)는 제1데릭액츄에이터(421)에 의해 제1피봇(43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이로 인해, 제1붐조립체(412)가 위, 아래로 움직임으로써, 바스켓(415)의 수직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데릭액츄에이터(421)는 일단이 지지부(41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피봇(432)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붐조립체(412)에 형성되는 제3피봇(433)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붐조립체(412)가 제1데릭액츄에이터(421)에 의해 제1피봇(431)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데릭액츄에이터(421)도 제2피봇(43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붐조립체(413)는 제1붐조립체(41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4피봇(434)에 의해 힌지구조로 제1붐조립체(412)와 연결된다.
이 경우, 제2붐조립체(413)는 제2데릭액츄에이터(422)에 의해 제4피봇(434)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이로 인해, 제2붐조립체(413)가 위, 아래로 움직임으로써, 바스켓(415)의 수직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붐조립체(413)는 복수 개의 붐의 연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붐은 붐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제2붐조립체(413)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붐조립체(413)가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됨으로써, 바스켓(41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2데릭액츄에이터(422)는 일단이 제1붐조립체(412)에 형성되는 제5피봇(435)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붐조립체(413)에 형성되는 제6피봇(436)에 연결된다.
또한, 제2데릭액츄에이터(422)의 중앙에는 제7피봇(4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제2데릭액츄에이터(422)가 중앙에 형성된 제7피봇(437)를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다. 또한, 제7피봇(437)은 연결부재(423)의 일단이 연결된다.
따라서, 제2붐조립체(413)가 제2데릭액츄에이터(422)에 의해 제4피봇(434)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데릭액츄에이터(422) 자체가 상기 제5피봇(43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7피봇(437)을 중심으로 상부나 하부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연결부재(423)는 일단이 제2데릭액츄에이터(422)의 중앙에 형성된 제7피봇(437)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붐조립체(412)에 형성된 제8피봇(438)에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부재(423)는 제2붐조립체(413)가 제4피봇(434)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데릭액츄에이터(422)가 제7피봇(437)을 중심으로 접혀지면서 제5피봇(435)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이를 돕는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제2붐조립체(413)가 제4피봇(43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전술한 제1, 2데릭액츄에이터(421, 422) 및 붐액츄에이터는 상기 유압모터와 같이 유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바스켓(415)은 제2붐조립체(413)의 단부, 즉, 제2붐조립체(413)를 이루는 상기 복수 개의 붐의 최단부에 설치되며, 바스켓(415)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바스켓(415) 측으로 연장되는 제1토출호스(231)를 이용하여 발파폭약 장진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바스켓(415)에는 크레인부(410)를 조작하는 제1크레인조작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바스켓(41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크레인조작부는 전술한 유압 모터, 제1, 2데릭액츄에이터(421, 422) 및 상기 붐액츄에이터를 제어함으로써, 크레인부(410)의 바스켓(415)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부(410)의 지지부(411)에는 상기 제1크레인조작부와 같이 상기 유압 모터, 제1, 2데릭액츄에이터(421, 422) 및 상기 붐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2크레인조작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상의 작업자가 크레인부(410)를 제어하여 바스켓(41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전원제어 시스템부(510)는 차량(110)의 후방부(150)의 전방 우측, 즉, 탑재부(153)의 상면 전방 우측에 탑재되어 배치되며, 상기 유압모터 등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미도시)와, 제1, 2압축기(311, 312)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미도시)와, 변압기(미도시)와, 충전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원제어 시스템부(510)는 제3케이스(521)의 내부에 저장되어 탑재부(153)의 전방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비 또는 눈이 오는 경우나, 터널의 습기로부터 전원제어 시스템부(510)를 보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케이스(521)는 전술한 제1, 2케이스(321, 322)와 같이 상면이 개폐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3케이스(521) 상면에 작업자가 올라가게 되더라도 전원제어 시스템부(510)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제3케이스(521)의 상면에 올라갈 수 있어, 탑재부(153) 상면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이 더 넓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전술한 유압 모터, 제1, 2데릭액츄에이터(421, 422) 및 붐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인가를 제어함으로써, 크레인부(4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제1, 2압축기(311, 312)에 공급되는 전원의 인가를 제어함으로써, 압축공기 공급부(3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변압기는 케이블 드럼(133)에 의해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으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의 전압을 변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전기는 케이블 드럼(133)에 의해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으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에 구비된 차량용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전원제어 시스템부(510)가 상기 제1, 2제어부와, 상기 변압기와, 상기 충전기를 포함하여 모듈화되게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한번에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의 공압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제1압축기(311)는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이 발파폭약을 장진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 현장에 외부 전원이 있는 경우, 제1압축기(311)를 가동시켜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에 제1압축공기를 공급하며, 제2압축기(312)는 작업 현장에 외부 전원이 없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제2압축기(312)를 가동시켜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에 제2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즉, 작업 현장의 환경에 따라 제1, 2압축기(311, 312)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함으로써,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를 통해 제1, 2토출호스(231, 232)에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압시스템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에서 저장된 압축공기를 '제3압축공기' 라 통칭하며. 이 경우, '제3압축공기' 는 제1, 2압축기(311, 312)에서 각각 생성된 제1압축공기 및/또는 제2압축공기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의 공압 시스템은 제1압축기(311)와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를 연결하는 제1유로(610)와, 제2압축기(312)와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를 연결하는 제2유로(620)와,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와 발파폭약 탱크(210)를 연결하는 제3유로(630)와,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와 제1토출호스(231)를 연결하는 제4유로(640)와,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와 제2토출호스(232)를 연결하는 제5유로(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유로(610)는 제1압축기(311)에서 생성되는 제1압축공기를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유로(620)는 제2압축기(312)에서 생성되는 제2압축공기를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3유로(630)는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에 저장된 제3압축공기를 발파폭약 탱크(210)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3압축공기가 발파폭약 탱크(210)로 유입되어, 발파폭약 탱크(210) 내부에 투입되는 발파폭약을 상기 제3압축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발파폭약 탱크(210)의 토출부(213)와 연결된 제1, 2토출호스(231, 232)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2노즐(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3유로(630)에는 발파폭약 탱크(210)로 유동되는 상기 제3압축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공압밸브(63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공압밸브(631)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유로(630)에는 발파폭약 탱크(210)로 유동되는 상기 제3압축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1레귤레이터(63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파폭약 탱크(210)에는 일정한 압력의 상기 제3압축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제4유로(640)는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에 저장된 상기 제3압축공기를 제1토출호스(231)에 유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5유로(650)는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에 저장된 상기 제3압축공기를 제2토출호스(232)에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압축공기가 제1, 2토출호스(231, 232)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2노즐(미도시)을 통해 토출됨으로써, 발파공의 천공에 따라 발생된 돌가루 등을 제거함으로써, 발파폭약 장진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 5유로(640, 650)에는 제1, 2토출호스(231, 232)로 유동되는 상기 제3압축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 3공압밸브(641, 651)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3공압밸브(641, 651)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4, 5유로(640, 650)에는 제1, 2토출호스(231, 232)로 유동되는 상기 제3압축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2, 3레귤레이터(642, 65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2토출호스(231, 232)에는 일정한 압력의 상기 제3압축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제1, 2압축기(311, 312)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의 작업 현장에 외부 전원의 공급 여부에 관계없이 제1, 2압축기(311, 312)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압축공기 저장 탱크(313)를 통해 제1, 2토출호스(231, 232)에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2압축기(311, 312), 즉, 2개의 압축기가 1개의 압축공기 저장탱크(313)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인해, 2개의 압축기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압축공기 저장탱크(313)를 사용하는 구성보다, 유로와 공압 밸브 및 레귤레이터의 갯수를 줄일 수 있어 유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탑재플레이트(153)에서 압축공기 공급부(310)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탑재플레이트(153)의 상면의 공간이 확보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2압축기(311, 312)에서 각각 생성되는 제1, 2압축공기의 압력이 다르더라도, 1개의 압축공기 저장탱크(313)에 저장되기 때문에 압축공기 저장탱크(313)와 제1, 2압축기(311, 312)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에 별도의 레귤레이터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1, 2압축공기의 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을 이용하여, 발파폭약 장진 작업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은 터널 공사나 지하 토목 공사 등, 암반을 폭파시켜 제거하는 토목공사에 사용되게 된다.
따라서,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을 터널 공사에 이용하는 경우,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을 작업 현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의 경우, 발파폭약 탱크(210)가 후방부(150)의 탑재부(153)의 전방에 탑재되어 배치되므로,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이 전복될 위험이 없어, 터널 밖에서 호퍼(211)에 발파폭약을 투입함으로써, 발파폭약 탱크(210) 내부로 발파폭약을 투입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종래의 발파폭약 장진 차량의 경우, 발파폭약 탱크(210)가 탑재부(153)의 후방에 배치되어, 발파폭약 탱크(210)에 발파폭약을 투입하게 되면 발파폭약 장진차량이 전복될 염려가 있었고, 이로 인해, 발파폭약의 장진량을 크게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즉, 발파폭약 탱크(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탑재부(153)의 전방에 배치되는 압축공기 공급부(310)는 그 무게가 수백 키로그램이고, 발파폭약 탱크(210)는 압축공기 공급부(310)에 비해 비교적 가벼운 무게를 갖고 있어, 평상시에는 상기 발파폭약 장진 차량이 전복될 염려가 없으나, 발파폭약 탱크(210)에 발파폭약이 모두 투입되면, 발파폭약 탱크(210)의 무게는 수천 키로그램으로 무거워지게 됨으로써, 발파폭약 장진 차량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쏠리게 되어, 상기 발파폭약 장진 차량이 전복될 위험성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가 발파폭약 탱크(210) 내부에 발파폭약을 투입할 때, 발파폭약 탱크(210)의 용량에 맞게 충분한 양의 발파폭약을 투입하는 것이 제한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발파폭약 장진 차량의 경우, 터널 내 작업 현장에서 아웃트리거(170)로 상기 발파폭약 장진 차량을 고정시킨 후, 발파폭약 탱크(210)에 발파폭약을 투입하는 것이 안전하였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의 경우에는 탑재부(153)의 전방에 발파폭약 탱크(210)가 배치되므로,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이 전복될 염려가 없어, 터널 밖에서도 발파폭약 탱크(210)에 발파폭약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발파폭약 장진 차량은 발파폭약 장진 작업을 마치고 다른 작업 현장으로 이동시 발파폭약 탱크(210)에 발파폭약이 많이 남아 있으면, 발파폭약 장진 차량이 전복될 염려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의 경우, 전복될 위험성이 없으므로, 발파폭약 탱크(210)에 남아 있는 발파폭약의 양에 상관없이 작업 현장을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이 작업현장에 도착하면, 아웃트리거(170)를 신장시켜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을 고정한 후, 작업자는 크레인부(410)의 바스켓(415)에 탑승하여 제1크레인조작부(미도시)를 이용하여 바스켓(415)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바스켓(415)을 발파폭약을 장진할 암반에 인접시킨다.
이 경우, 발파폭약 탱크(210)가 크레인부(410)의 지지부(411)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종래의 발파폭약 장진 차량에 비해, 크레인부(410)의 제1, 2붐조립체(412, 413)가 차량(110)의 후방부(150)에서 각각 제1, 4피봇(431, 434)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할 수 있는 반경이 넓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발파폭약 장진 차량(100)의 의 작업 반경이 넓어지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바스켓(415)이 상기 암반에 인접하게 되면 작업자는 드릴 등을 이용하여, 상기 암반을 천공하여 발파공을 형성시키며, 제1토출호스(231)에서 압축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발파공 주변에 발생하는 작은 돌가루 등을 제거한다.
그 후, 상기 발파공에 제1토출호스(231)의 단부에 형성된 제1노즐(미도시)을 삽입하여, 발파폭약 탱크(210)에 투입된 발파폭약을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발파공에 발파폭약을 장진시킨다.
상기 발파공에 발파폭약이 장진되면, 작업자는 상기 제1크레인조작부를 이용하여 상기 암반에서 멀리 떨어지게 되고, 상기 발파폭약을 원격으로 폭파시켜 암반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발파폭약을 장진할 암반이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 즉, 지면 부근에서 작업을 해야할 경우에, 전술한 크레인부(410)를 이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제2토출호스(232)를 이용하여, 상기 낮은 곳에 위치한 암반에 발파폭약을 장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의 탑재부와 발파폭약 탱크의 개략적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부(153')는, 복수 개의 제2구멍(1533a)이 형성되는 보강프레임(1533)과, 보강프레임(1533)에 고정설치되는 플레이트(1531')를 포함하되, 플레이트(1531')는 하나의 제2구멍(1533a)을 제외한 나머지 제2구멍(1533a)을 덮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고,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부 일부는 플레이트(1531')가 덮이지 않은 제2구멍(1533a)에 삽입되는 것을포함한다.
보강프레임은 격자형상의 프레임으로써 예컨대 나란히 4개씩 2열로 총 8개의 제2구멍(1533a)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1531')는 사각형상의 판으로써 전방 좌측에 형성된 제2구멍(1533a)을 제외한 각각의 나머지 제2구멍(1533a)을 덮도록 복수 개가 보강프레임(1533)의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플레이트(1531')는 보강프레임(1533)에 예컨대 총 7개가 고정설치되며, 전방 좌측에 형성된 제2구멍(1533a)을 제외한 각각의 나머지 제2구멍(1533a)의 상부마다 각각 설치된다.
플레이트(1531')가 덮이지 않은 제2구멍(1533a)에는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부 일부가 탑재부(153')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부 일부가 삽입된다.
제2구멍(1533a)에 삽입된 발파폭약 탱크(210)는 플레이트(1531') 및 보강프레임(1533)에 고정설치된 고정 바스켓(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파폭약 장진차량의 탑재부와 발파폭약 탱크의 개략적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부(153")는, 구획공간(1533a')이 형성되는 보강프레임(1533')과, 보강프레임(1533')에 고정설치되며 제1구멍(1531a)이 형성된 플레이트(1531)를 포함하되,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부 일부는 제1구멍(1531a)과 구획공간(1533a')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한다.
보강프레임(1533')은 십자형상의 프레임으로써 예컨대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좌측 및 후방 우측에 총 4개의 구획공간(1533a')이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1531)는 사각형상의 판으로써 보강프레임(1533')의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플레이트(1531)에는 보강프레임(1533')의 전방 좌측에 형성된 구획공간(1533a')과 서로 연통되는 제1구멍(1531a)이 형성된다.
서로 연통되는 구획공간(1533a')과 제1구멍(1531a)에는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부 일부가 탑재부(153")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발파폭약 탱크(210)의 하부 일부가 삽입된다.
제1구멍(1531a)에 삽입된 발파폭약 탱크(210)는 플레이트(1531')에 고정설치된 고정 바스켓(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발파폭약 장진차량 110: 차량
130: 전방부 131: 앞바퀴
133: 케이블 드럼 135: 낙석방지용 커버
150: 후방부 151: 뒷바퀴
153,153',153": 탑재부 155: 제1사다리
170: 아웃트리거 210: 발파폭약 탱크
211: 호퍼 213: 토출부
215 : 브라켓 220: 고정 바스켓
231: 제1토출호스 232: 제2토출호스
310: 압축공기 공급부 311: 제1압축기
312: 제2압축기 313: 압축공기 저장 탱크
321: 제1케이스 322: 제2케이스
410: 크레인부 411: 지지부
412: 제1붐조립체 413: 제2붐조립체
414: 제2사다리 415: 바스켓
421: 제1데릭액츄에이터 422: 제2데릭액츄에이터
423: 연결부재 431: 제1피봇
432: 제2피봇 433: 제3피봇
434: 제4피봇 435: 제5피봇
436: 제6피봇 437: 제7피봇
438: 제8피봇 510: 전원제어 시스템부
521: 제3케이스 610: 제1유로
620: 제2유로 630: 제3유로
631: 제1공압밸브 632: 제1레귤레이터
640: 제4유로 641: 제2공압밸브
642: 제2레귤레이터 650: 제5유로
651: 제3공압밸브 652: 제3레귤레이터
1531,1531' : 플레이트 1533,1533' : 보강프레임
1531a : 제1구멍 1533a : 제2구멍
1533a' : 구획공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고, 하부에 앞바퀴를 갖는 전방부;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고, 발파폭약 탱크와 상기 발파폭약 탱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가 탑재되는 탑재부가 설치되며, 하부에 뒷바퀴를 갖는 후방부; 및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에 위치하는 크레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탑재부는, 제1구멍이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제1구멍과 연통되는 제2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하부 일부는 상기 탑재부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파폭약 장진차량.
  5.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고, 하부에 앞바퀴를 갖는 전방부;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고, 발파폭약 탱크와 상기 발파폭약 탱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가 탑재되는 탑재부가 설치되며, 하부에 뒷바퀴를 갖는 후방부; 및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에 위치하는 크레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하부 일부는 상기 탑재부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탑재부는, 복수 개의 제2구멍이 형성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하나의 상기 제2구멍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제2구멍을 덮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하부 일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덮이지 않은 상기 제2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파폭약 장진차량.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하단부에는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파폭약 장진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고정 바스켓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 바스켓에는 상기 발파폭약 탱크가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파폭약 장진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무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파폭약 장진차량.
  9. 트럭 섀시;
    상기 트럭 섀시의 상부에 설치된 보강프레임;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구멍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아래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발파폭약탱크; 및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발파폭약 탱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프레임에는 상기 제1구멍과 연통되는 제2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발파폭약 탱크의 하부 일부는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발파폭약 장진차량.
KR1020150127697A 2015-09-09 2015-09-09 발파폭약 장진차량 KR10170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697A KR101708881B1 (ko) 2015-09-09 2015-09-09 발파폭약 장진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697A KR101708881B1 (ko) 2015-09-09 2015-09-09 발파폭약 장진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881B1 true KR101708881B1 (ko) 2017-02-21

Family

ID=5831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697A KR101708881B1 (ko) 2015-09-09 2015-09-09 발파폭약 장진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8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51Y1 (ko) * 2003-08-08 2003-10-30 홍종덕 발파용 장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51Y1 (ko) * 2003-08-08 2003-10-30 홍종덕 발파용 장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43959B (zh) 一种新型隧道掘进设备
WO2002103162A1 (en) Rock-bolting apparatus and method
CN111894596A (zh) 竖井反井施工方法
KR20100003061A (ko) Tbm을 이용한 파일롯터널 굴착, 확대발파, 라이닝병행시공 터널굴착 방법 및 장치
US10315850B2 (en) Proppant conveyor systems and methods of use
KR101029465B1 (ko) 발파 폭약 장진장치
KR101708881B1 (ko) 발파폭약 장진차량
JP6972668B2 (ja) 防護扉、トンネル坑内の発破防護方法及びガントリー
AU2019200302B2 (en) A vehicle
JPH11173800A (ja) 発破方法および発破用管体
KR101714485B1 (ko) 발파폭약 장진 차량
JP2005054364A (ja) 発破等の防護方法およびトンネル掘削方法並びに発破等の防護装置
KR101730095B1 (ko) 발파폭약 장진차량
CN103661072B (zh) 一种地下颗粒状炸药装药服务车
KR100351270B1 (ko) 3차원적 다단계 터널굴착방법 및 장치
JP7428560B2 (ja) 破砕材装填装置
JP3409690B2 (ja) マンケージ
AU2010202658A1 (en) A vehicle
CN203742604U (zh) 一种新型隧道掘进设备
ES2401165T3 (es) Dispositivo para la compactación de terreno
AU2002302200B2 (en) Rock-bolting apparatus and method
AU2014100878A4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cavating a cavity and setting an object at least partially therein
AU2002302200A1 (en) Rock-bolting apparatus and method
JP3148142B2 (ja) 切羽地山の崩落防止装置
CN215672197U (zh) 一种钻爆清护竖井掘进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