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653B1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653B1
KR101708653B1 KR1020100119717A KR20100119717A KR101708653B1 KR 101708653 B1 KR101708653 B1 KR 101708653B1 KR 1020100119717 A KR1020100119717 A KR 1020100119717A KR 20100119717 A KR20100119717 A KR 20100119717A KR 101708653 B1 KR101708653 B1 KR 101708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anel
circular
auxiliary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090A (ko
Inventor
김성룡
홍석기
김종석
김성민
박대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9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653B1/ko
Priority to US13/205,378 priority patent/US9096965B2/en
Priority to BR112013002786A priority patent/BR112013002786A2/pt
Priority to JP2013524035A priority patent/JP5667293B2/ja
Priority to EP13156866.9A priority patent/EP2602374A1/en
Priority to CN201180048917.3A priority patent/CN103154351B/zh
Priority to EP13156868.5A priority patent/EP2602375A1/en
Priority to EP11816585.1A priority patent/EP2598686B1/en
Priority to PCT/KR2011/005797 priority patent/WO2012020969A2/en
Priority to RU2013110327/12A priority patent/RU2520895C1/ru
Publication of KR20120058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090A/ko
Priority to US14/179,261 priority patent/US9809917B2/en
Priority to US14/179,296 priority patent/US975891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전방 또는 후방이 개구되며, 회전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한 드럼과, 드럼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는 패널 및, 드럼의 외면을 지지하여 드럼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수용공간이 최대한 확보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세탁물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을 관리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세탁기와, 젖은 세탁물을 탈수하여 건조시키는 건조기, 세탁물을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여 세탁물로 인한 알러지를 방지함과 아울러, 세탁물을 간편하게 세탁하는 리프레셔 등이 있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여 회전되는 드럼을 갖는다. 세탁물이 수용되어 회전하는 드럼으로로 고온의 건조공기를 공급하고, 드럼 내의 습공기를 배기시킨다. 이러한 건조기의 드럼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수용 공간이 최대한 확보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탁물의 수용공간이 최대한 확보되는 드럼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드럼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며 회전하도록 드럼을 지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전방 또는 후방이 개구되며, 회전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한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는 패널; 및 상기 드럼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드럼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드럼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드럼을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지지부재가 드럼의 외면을 지지함에 따라, 드럼과 세탁물이 가지는 하중에 의해 드럼의 외형이 초기 설정된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에서 변형되지 않고, 초기 설정된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셋째, 드럼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지지부재가 드럼의 외면을 지자하여 방지함에 따라, 드럼의 회전 시 드럼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 형태를 유지하며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넷째, 지지부재가 드럼의 회전 시 드럼의 외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드럼의 형상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드럼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되어, 드럼의 구동이 원활해 진다.
다섯째, 지지부재가 복수개 구비됨에 따라 드럼의 외면이 복수개의 지점에서 지지되어, 드럼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드럼의 형상이 비원형의 폐곡선 단면을 유지하기 쉽게 된다.
여섯째, 드럼의 하부에 지지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드럼이 처질 때 원형 가이드의 양측면 부분과 드럼의 측면 부분 사이에 장력이 발생되어 마찰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곱째, 드럼의 하측 중앙을 기준으로 드럼 하측 양옆에 대칭되어 지지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드럼의 하측 중앙에 드럼의 하중과 세탁물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가장 최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덟째, 지지부재는 드럼의 외면을 지지함에 따라, 드럼이 초기에 설정된 비원형의 폐곡선 단면 형상을 유지하여 회전되어 패널 실러와 드럼 내면의 밀봉이 유지됨과 동시에 드럼의 회전이 원활해진다.
아홉째, 지지부재가 드럼의 외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보조 가이드가 드럼의 내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되어, 드럼이 처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제공하여 드럼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열번째, 구동 벨트가 접촉되지 않은 드럼의 하부의 외면을 지지부재가 지지하여, 드럼의 처짐을 방지한다.
열한번째, 클러스터 롤러가 드럼의 외면에 접촉되어 드럼을 지지함에 따라, 접촉된 드럼과 세탁물의 하중을 지지하여 드럼이 비원형의 폐곡선 단면을 유지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열두번째, 미끄럼패드가 드럼의 회전 시 드럼과 세탁물의 하중을 지지하여, 드럼이 처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드럼과 슬라이딩되어 드러밍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열세번째, 지지벨트에 접촉된 드럼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보조풀리가 지지벨트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여, 드럼과 세탁물의 하중에 의해 드럼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내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드럼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드럼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원형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면 패널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후면 패널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보조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에 내부 정면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사시도 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지지부재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물 처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1)과, 캐비닛(101) 내측에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며 회전 가능한 드럼(110)과, 드럼(110)의 단면 곡률이 일정한 부분을 지지하며 회전 가능한 원형 가이드(120a, 120b)와, 원형 가이드(120a, 120b)를 지지하며 드럼(1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전면 패널(111) 및 후면 패널(112)과, 원형 가이드(120a, 120b)가 지지하지 않는 부분을 지지하는 보조 가이드(140a, 140b)를 포함한다.
캐비닛(101)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전면에는 세탁물이 드럼(110)으로 출입되는 캐비닛 출입홀이 형성되며 캐비닛 출입홀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06)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캐비닛(101) 전면에는 사용자가 작동 명령을 입력하거나 사용자에게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 패널(109)이 구비된다.
캐비닛(101)의 전면 후방에는 전방 원형 가이드(120a)를 지지하는 전면 패널(111)이 구비된다. 전면 패널(111)에는 드럼(11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전방 원형 가이드(120a) 및 전방 보조 가이드(140a)가 구비된다.
전면 패널(111)은 전방 원형 가이드(120a)가 회전 가능하도록 전방 원형 가이드(120a)를 지지한다. 전면 패널(111)은 캐비닛(101)과 결합되어 드럼(1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전방 원형 가이드(120a)를 지지한다. 전면 패널(111)은 캐비닛(101)의 캐비닛 출입홀과 대응되어 세탁물이 드럼(110)으로 출입되는 패널 출입홀(111')이 형성된다. 패널 출입홀(111')은 도어(106)에 의하여 개폐된다.
전면 패널(111)에는 드럼(110) 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송풍팬(131)과, 송풍팬(131)에 의하여 송풍된 드럼(110) 내의 공기가 통과되는 배기 덕트(133)가 구비된다. 전면 패널(111)에는 배기 덕트(133)와 연통되어 드럼(110) 내의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홀이 형성된다. 전면 패널(111)은 드럼(110) 전방에서 드럼(110)과 접촉되어 드럼(110) 전방을 밀봉하여, 드럼(110) 내의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배기 덕트(133)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한다.
전면 패널(111)에는 송풍팬(131)으로 배기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거르는 린트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배기 덕트(133)를 통과한 드럼(110) 내의 공기는 캐비닛(101) 외부로 배기되거나, 히터(130)로 유입될 수 있다.
캐비닛(101)의 후면 전방에는 후방 원형 가이드(120b)를 지지하는 후면 패널(112)이 구비된다. 후면 패널(112)에는 드럼(11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후방 원형 가이드(120b) 및 후방 보조 가이드(140b)가 구비된다.
후면 패널(112)은 후방 원형 가이드(120b)가 회전 가능하도록 후방 원형 가이드(120b)를 지지한다. 후면 패널(112)은 캐비닛(101)과 결합되어 드럼(110)의 하중을 지지하는 후방 원형 가이드(120b)를 지지한다.
후면 패널(112)에는 히터(130)에서 가열된 공기가 드럼(110) 내로 유입되는 통로인 흡기 덕트(135)가 구비된다. 후면 패널(112)에는 흡기 덕트(135)와 연통되어 드럼(110)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홀이 형성된다. 후면 패널(112)은 드럼(110) 후방에서 드럼(110)과 접촉되어 드럼(110) 후방을 밀봉하여, 드럼(110) 내의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히터(130)는 드럼(110)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히터(130)는 캐비닛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가열하거나, 배기 덕트(133)와 연결되어 드럼(110)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히터(130)에서 가열된 공기는 흡기 덕트(135)를 통하여 드럼(110) 내로 유입된다.
드럼(110)은 세탁물을 수용하여 회전한다. 드럼(110)은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며 공기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하도록 전방 및/또는 후방이 개구된 통 형상이다. 이 때, 드럼(110)의 전방은 캐비닛(101) 전면 방향을 의미하며, 드럼(110)의 후방은 캐비닛(101)의 후면 방향을 의미한다. 드럼(110)의 전방과 후방 중 일방만 개구될 수 있으며, 또한 드럼(110)의 전방과 후방 모두가 개구되어 실시될 수 있다. 드럼(110)에는 드럼(110)의 회전시 수용된 세탁물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될 수 있도록 드럼(110)의 내면에 리프터(115)가 구비된다.
드럼(110)은 회전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드럼(110)의 단면 일부는 원형 가이드(120a, 120b)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정하여 곡률이 일정하다. 드럼(110)은 캐비닛(101) 내부에서 최대의 수용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캐비닛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110)은,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며 회전하도록, 탄력이 있으면서 구부러지는 금속 또는 고분자 화합물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110)은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 형상을 유지하며 회전하기 위하여 내면이 원형 가이드(120a, 120b) 및 보조 가이드(140a, 140b)에 의하여 지지된다.
드럼(110)의 단면 곡률이 일정한 부분은 원형 가이드(120a, 120b)에 의하여 지지된다. 드럼(110)에서 원형 가이드(120a, 120b)가 지지하지 않는 부분은 보조 가이드(140a, 140b)에 의하여 지지된다. 드럼(110)의 전방 및 후방의 내면은 전면 패널(111) 및 후면 패널(112)과 접촉되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가이드(120a, 120b)는 드럼(110)의 단면 곡률이 일정한 부분을 지지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전면 패널(111) 또는 후면 패널(112)에 구비되는 링 형상이다. 원형 가이드(120a, 120b)는 드럼(110)의 내면과 접촉하여 드럼(110)에 외측 방향으로 수직항력을 인가하여 드럼(110)을 지지한다. 원형 가이드(120a, 120b)는 드럼(110)의 하중을 지지하며 드럼(110)과 함께 회전한다.
원형 가이드(120a, 120b)에 의하여 지지되는 드럼(110)의 부분은 원형 가이드(120a, 120b)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하다. 원형 가이드(120a, 120b)는 회전 중심이 드럼의 회전 중심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드럼(110)의 상부 내면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가이드(120a, 120b)는 드럼(1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최대한 많은 부분에서 드럼(110)의 내면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가이드(120a, 120b)는 드럼(110)의 회전 중심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원형 가이드(120a, 120b)는, 드럼(110)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며 회전하도록, 드럼(110)의 단면 곡률이 일전한 부분과 접촉되어 드럼(110)과 함께 회전한다. 원형 가이드(120a, 120b)는 드럼(110)과 함께 회전하도록 드럼(110)과의 마찰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가이드(120a, 120b)는 회전 가능하도록 전면 패널(111) 또는 후면 패널(112)과 마찰을 최소화하여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가이드(120a, 120b)는 복수로 구비되어, 드럼(110)의 전방 가장자리 내면을 지지하는 전방 원형 가이드(120a) 및 드럼(110)의 후방 가장자리 내면을 지지하는 후방 원형 가이드(120b)로 구비된다. 전방 원형 가이드(120a)는 전면 패널(111)에 의하여 지지되며, 후방 원형 가이드는 후면 패널(112)에 의하여 지지된다.
전방 원형 가이드(120a)는 전면 패널(111)의 패널 출입홀(111')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전면 패널(111)의 패널 출입홀(111') 주변에 구비된다. 즉, 링 형상의 전방 원형 가이드(120a)는 패널 출입홀(111')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보조 가이드(140a, 140b)는 드럼(110)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며 회전하도록 드럼(110)에서 원형 가이드(120a, 120b)가 지지하지 않는 부분을 지지한다. 보조 가이드(140a, 140b)는 전면 패널(111) 또는 후면 패널(112)과 결합되어 드럼(110)이 회전 가능하도록 드럼(110)을 지지한다.
보조 가이드(140a, 140b)는 드럼의 회전 중심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드럼(110)의 하부 내면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가이드(140a, 140b)는 드럼(110)의 내면과 접촉하며 탄성력을 발생하여, 드럼(110)에 외측 방향으로 수직항력을 인가하여 드럼(110)을 지지한다. 원형 가이드(120a, 120b)가 드럼(110)과의 마찰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보조 가이드(140a, 140b)는 드럼(11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가이드(140a, 140b)는 복수로 구비되어, 드럼(110)의 전방 가장자리 내면을 지지하는 전방 보조 가이드(140a) 및 드럼(110)의 후방 가장자리 내면을 지지하는 후방 보조 가이드(140b)로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내부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으로 형성된 드럼(110)과,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70)와, 모터(17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드럼(110)을 회전시키는 구동 벨트(175)를 포함한다.
드럼(110)은 회전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하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더 긴 직사각형의 캐비닛(101)의 형태에 따라, 드럼(110)은 단면의 상하단 거리(b)가 양측단 거리(a)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110) 단면의 일부는 곡률이 일정한, 즉 반지름이 일정할 수 있다. 또한 드럼(110) 단면의 일부는 직선이 될 수 있다.
구동 벨트(175) 및 모터(170)는 드럼(110)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며 회전하도록 한다. 구동 벨트(175)는 드럼(110)의 외면과 미끄러지지 않도록 접촉되어 드럼(110)에 내측 방향으로 수직항력을 인가하고, 모터(17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드럼(110)을 회전시킨다. 구동 벨트(175)는 잘 구부러지며 탄력이 있는 고분자 화합물 또는 금속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벨트(175)는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드럼(110)의 외면과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거나, 구동 벨트(175)의 내면 및 드럼(110)의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호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170)는 회전력을 발생하여 구동 벨트(175)를 이송한다. 모터(170)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구동 벨트(175)에 의하여 전달되어 드럼(110)을 회전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조립체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전방 및/또는 후방이 개구되며, 회전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한 드럼(110)과, 드럼(110)의 전방의 가장자리 또는 후방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보강부재(150)를 포함한다.
드럼(110)은 상술한 것과 같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금속 패널의 일측 모서리와 타측 모서리가 용접되어 형성된다. 즉, 직사각형에 가까운 금속 패널에서 길이가 짧은 두 변인 일측 모서리와 타측 모서리가 용접되어, 그 단면이 비원형의 폐곡선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일측 모서리와 타측 모서리가 용접된 부분은 용접부(W)를 형성한다. 용접부(W)는 드럼(110)의 전방과 후방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용접부(W)의 방향을 일측 모서리와 타측 모서리가 접합되는 접합선을 따라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드럼(110)의 회전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용접부(W)는 일측 모서리와 타측 모서리가 용접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일측 모서리에 타측 모서리의 일부가 적층된 상태에서 심용접으로 형성되거나, 금속 패널의 일측 모서리와 타측 모서리를 맞댄 후 맞대기 용접으로 용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용접부(W)는 맞대기 용접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용접부(W)를 형성하는 용접 방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맞대기 용접에 의해 용접부(W)가 형성되면, 용접부(W)가 형성된 드럼(110)의 내면이 매끄럽게 형성 된다.
용접부(W)는 드럼(110)의 회전 시 드럼(110)의 형상이 비원형의 폐곡선 단면을 유지한채 회전됨에 따라, 용접부(W)가 형성되는 드럼(110)의 일부분은 곡률이 변화되면서 회전 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110)의 용접부(W)가 드럼(110)의 상부 또는 하부 위치에 이를 때 곡률이 최대를 이루며, 드럼(110)의 용접부(W)가 드럼(110)이 좌우측 위치에 이를 때 드럼(110) 내면의 곡률이 최소를 이룬다.
용접부(W)가 위치되는 드럼(110)의 내면은 곡률 변화에 따라 응력이 변화하게 되고, 변화되는 응력에 의해 용접부(W)에 피로(fatigue)가 누적되며 피로가 일정치 이상 누적되면 용접부(W)에 크랙(crack) 및 크랙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접부(W)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드럼(110)의 전방 가장자리 및/또는 후방 가장자리에 보강부재(150)가 구비된다. 보강부재(150)는 용접부(W)의 강도를 보강하여, 용접부(W)에서 발생하는 크랙의 성장을 방지한다. 보강부재(150)가 용접부(W)에 구비됨에 따라,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여 회전되는 드럼(110)의 곡률변화에 의해 용접부(W)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부 발생된 크랙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강부재(150)는 용접부(W)가 형성된 드럼(110)의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드럼(110)에 형성된 용접부(W)는 드럼(110)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후방 가장자리까지 이어지며, 전방 가장자리 및/또는 후방 가장자리에 형성된 용접부(W)가 피로에 의한 파손이 가장 잘 일어난다. 드럼(110)의 전방 가장자리 및/또는 후방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용접부(W)는 일측 모서리의 끝단과 타측 모서리의 끝단이 만나는 지점으로 응력이 최대로 집중되는 지점이며, 이러한 응력이 최대한 집중되는 지점에서는 응력이 커져 피로에 의해 쉽게 파손된다. 보강부재(150)는 이러한 응력이 최대한 집중되는 지점인 용접부(W)의 전방 가장자리 및/또는 후방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용접부(W)의 강도를 보강해준다.
보강부재(150)가 용접부(W)의 전방 가장자리 및/또는 후방 가장자리에 구비됨에 따라, 크랙이 가장 발생하기 쉬운 용접부(W)의 가장자리의 강도를 보강시켜, 용접부(W)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강부재(150)는 용접부(W)가 형성된 드럼(110) 내면의 곡률을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소정의 곡률로 유지시킨다. 용접부(W)는 일반적으로 고온으로 열융착된 후 급속하게 냉각되어 경한(hard) 재질로 변형된다. 드럼(110)의 용접부(W)에 형성된 경한 재질 부분은 곡률이 변화됨에 따라 응력이 변화되며, 특정 곡률에 다다르면 응력이 최대로 집중되어 용접부(W)에 파단(fracture)등의 크랙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용접부(W)에 구비된 보강부재(150)가 크랙이 발생되지 않은 소정의 곡률을 유지시켜, 드럼(110)의 회전 시 용접부(W)가 이러한 크랙이 일어나는 특정 곡률에 이르는 것을 방지한다.
보강부재(150)는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150)는 드럼(110)의 변화되는 곡률에 대응하여 미세하게 변형될 수 있는 강도 높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보강부재(150)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드럼(110)의 변화되는 곡률에 대응하여 미세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의 경우보다 보강되는 강도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150)는 드럼(110)의 내면과 외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형성되는 드럼 클립으로 실시될 수 있다. 드럼 클립은 일측이 접혀저 형성된 보강부재(150)로써 접힌 부분에 드럼(110)이 결합된다. 드럼(110)에 결합된 드럼 클립은 드럼(110)의 전방 가장자리 및/또는 후방 가장자리의 내면과 외면을 동시에 지지하여, 용접부(W)의 강도를 보강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보강부재(150)는 드럼(110)의 내면 가장자리 또는 외면 가장자리 중 어느 한면만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부재(150)는 드럼(110)의 용접부(W)가 형성된 부분의 외면 또는 내면 중 일면에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보강부재(150)는 드럼(110)의 양면 모두에 구비될 수 있으며, 드럼 클립과 다르게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하는 보강부재(150)와 드럼(110)의 내면을 지지하는 보강부재(150)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측 보강부재(150)는 타측 보강부재(150)와 별개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드럼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구동 벨트(175)에서 드럼(110)과 접촉되지 않는 부분과 접촉되어 구동 벨트(175)에 장력을 인가하는 벨트 텐셔너(172)를 포함한다.
구동 벨트(175)는 드럼(11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모터 샤프트(171)와 접촉하므로 드럼(110)과 접촉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한다. 즉, 구동 벨트(175)는 드럼(110)의 외면 일부와 접촉한다. 벨트 텐셔너(172)는 드럼(110)과 접촉되지 않는 부분을 최소화하고, 구동 벨트(175)의 장력을 높인다.
구동 벨트(175)의 장력이 높아지면 구동 벨트(175)가 드럼(110)에 내측 방향으로 인가하는 수직항력이 높아져 드럼(110)이 원형 가이드(120a, 120b) 및/또는 보조 가이드(140a, 140b)에 의하여 원활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벨트 텐셔너(172)는 구동 벨트(175)를 회전시키는 모터(170)의 모터 샤프트(171)의 근처에 배치되어 구동 벨트(175)와 접촉된다. 벨트 텐셔너(172)는 구동 벨트(175)의 드럼(110)과 접촉되는 면이 아닌 면에 접촉되어 구동 벨트(175)가 드럼(110)과 접촉되지 않는 부분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드럼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구동 벨트(175)의 드럼(110)과 접촉되지 않는 부분과 접촉되는 제 1 벨트 텐셔너(272a) 및 제 2 벨트 텐셔너(272b)와, 제 1 벨트 텐셔너(272a) 및 제 2 벨트 텐셔너(272b)를 연결하는 텐셔너 탄성 부재(272c)를 포함한다.
제 1 벨트 텐셔너(272a) 및 제 2 벨트 텐셔너(272b)는 모터 샤프트(171)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면에서 구동 벨트(175)와 접촉하도록 대칭으로 배치된다. 제 1 벨트 텐셔너(272a) 및 제 2 벨트 텐셔너(272b) 상호간 인력이 발생하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텐셔너 탄성 부재(272c)로 제 1 벨트 텐셔너(272a) 및 제 2 벨트 텐셔너(272b)가 연결되어, 구동 벨트(175)가 드럼(110)과 접촉되지 않는 부분을 최소화한다. 또한, 제 1 벨트 텐셔너(272a) 및 제 2 벨트 텐셔너(272b)는 구동 벨트(175)의 장력을 높여 구동 벨트(175)와 드럼(110) 사이의 마찰을 최대화하고, 구동 벨트(175)가 드럼(110)에 내측 방향으로 인가하는 수직항력을 높여 드럼(110)이 원형 가이드(120a, 120b) 및/또는 보조 가이드(140a, 140b)에 의하여 원활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내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면 패널(111)은 전방 원형 가이드(120a)가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와, 드럼(110) 전방의 내면과 접촉되어 드럼(110)의 전방을 밀봉하는 전면 밀봉 패널(111-3)과, 드럼(110)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와, 캐비닛(101)의 전면 후방과 결합되는 전면 패널 결합 부재(111-9)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방 원형 가이드(120a)는 전면 패널(111)의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와 접촉되며 마찰을 저감하는 마찰 저감 부재(122)와, 마찰 저감 부재(122)와 결합되며 드럼(110)의 내면을 지지하는 원형 가이드 브라켓(121)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110)의 전방 테두리에 구비되어 드럼(110) 전방과 전방 원형 가이드(120a) 사이를 밀봉하는 드럼 실러(114)를 더 포함한다.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는 전방 원형 가이드(120a)가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된다.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는 전방 원형 가이드(120a)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전방 원형 가이드(120a)의 형상에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는 전방 원형 가이드(120a)의 마찰 저감 부재(122)와 접촉된다.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는 전방측(캐비닛(101) 전면 측)이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와 결합되고 후방측(드럼(110) 측)이 전면 밀봉 패널(111-3)과 결합된다.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는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의 중심이 전면 밀봉 패널(111-3)의 중심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는 전면 밀봉 패널(111-3)의 상부에 결합된다.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는 드럼(110)의 회전 중심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는 패널 출입홀(111') 주변으로 배치되어 세탁물이 드럼(110)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링 형상의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는 패널 출입홀(111')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드럼(110)에 세탁물이 투입되어 회전하면 세탁물의 불균형 분포로 인하여 드럼(110)의 회전 축 자체의 기하학적 중심과 실제 무게 중심이 불일치를 하는 언밸런스(Unbalance)에 의하여 드럼(110)에 진동이 발생한다. 드럼(110)의 축방향 진동 및/또는 상하 방향 진동에 의하여 드럼(110), 전방 원형 가이드(120a) 및 전면 패널(111)의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가 상호 이탈될 수 있다. 전방 원형 가이드(120a)는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와 전면 밀봉 패널(111-3) 사이에서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에 안착되므로, 드럼(110)의 언밸런스로 인한 진동으로 인하여 전방 원형 가이드(120a)가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는 캐비닛(101)의 전면 후방과 결합되는 전면 패널 결합 부재(111-9)와 결합된다.
전면 밀봉 패널(111-3)은 드럼(1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드럼(110) 전방의 내면과 접촉된다. 전면 밀봉 패널(111-3)은 드럼(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전면 밀봉 패널(111-3)은 세탁물이 드럼(110)으로 출입되는 패널 출입홀(111')이 형성된다. 전면 밀봉 패널(111-3)에는 배기 덕트(133)와 연통되어 드럼(110) 내의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홀이 형성된다.
전면 밀봉 패널(111-3)은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의 후방측과 결합된다. 전면 밀봉 패널(111-3)은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드럼(110)의 언밸런스로 인한 진동으로 인하여 전방 원형 가이드(120a)가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는 전면 밀봉 패널(111-3)의 패널 출입홀(111') 주변으로 배치되어 세탁물이 드럼(110)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링 형상의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는 패널 출입홀(111')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전면 밀봉 패널(111-3)은 드럼(110) 전방의 내면과 마찰을 저감하여 접촉되는 패널 실러(111-4)를 포함한다. 패널 실러(111-4)는 드럼(110)의 전방을 밀봉하며 마찰을 저감하도록 마찰 계수가 낮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오일이 침류된 합성 소재로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패널 실러(111-4)는 직물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 밀봉 패널(111-3)은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가 결합되는 부분의 하부에서 보조 가이드(140a, 140b)와 결합된다. 보조 가이드(140a, 140b)는 전면 밀봉 패널(111-3)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드럼(110)에서 원형 가이드(120a, 120b)가 지지하지 않는 부분을 지지한다.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는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의 형상에 대응하여 링 형태로 형성된다.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는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의 전방측과 결합된다.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는 드럼(11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드럼(110)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는 외측 가장자리가 캐비닛(101)의 전면측으로 향하도록 굴절되어 드럼(110)이 전방으로 어느 정도는 돌출될 수 있도록 하나, 드럼(110)의 언밸런스로 인한 진동으로 인하여 드럼(110)이 과도하게 돌출되는 경우,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가 드럼 실러(114)와 접촉되어 드럼(110)이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는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드럼(110)의 언밸런스로 인한 진동으로 인하여 전방 원형 가이드(120a)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는 캐비닛(101)의 전면 후방과 결합되는 전면 패널 결합 부재(111-9)와 결합된다.
전면 패널 결합 부재(111-9)는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 및 캐비닛(101)의 전면 후방을 결합하여,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가 드럼(11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한다.
마찰 저감 부재(122)는, 전방 원형 가이드 브라켓(121)이 드럼(110)의 하중을 지지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와 접촉된다. 마찰 저감 부재(122)는 일종의 베어링(Bearing)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찰 저감 부재(122)는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를 따라 구르는 회전 가능한 원형 가이드 롤러(122)이다. 원형 가이드 롤러(122)에는 원형 가이드 롤러(122)를 원형 가이드 브라켓(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롤러 축(123)이 구비된다.
원형 가이드 브라켓(121)은 드럼(110)의 내면과 접촉하여 드럼(110)에 외측 방향으로 수직항력을 인가하여 드럼(110)을 지지한다. 원형 가이드 브라켓(121)은 드럼(1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드럼(110)의 내면과 접촉되는 부분이 마찰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형 가이드 브라켓(121)의 드럼(110)의 내면과 접촉되는 상면은 마찰 계수가 큰 물질이 구비되거나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가이드 브라켓(121)의 하부에는 마찰 저감 부재(122)가 구비된다. 원형 가이드 브라켓(121)의 전방 측면은 드럼 실러(114)와 접촉되어 드럼(110) 전방을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 실러(114)는 드럼(110) 전방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드럼 실러(114)는 원형 가이드 브라켓(121)의 전방 측면과 접촉되어 드럼(110) 전방과 전방 원형 가이드(120a) 사이를 밀봉한다. 드럼(110)은 패널 실러(111-4)와 접촉되어 1차로 밀봉되며, 드럼 실러(114)가 원형 가이드 브라켓(121)과 접촉되어 2차로 밀봉된다. 드럼(110)의 언밸런스로 인한 진동으로 인하여 패널 실러(111-4)에 의한 1차 밀봉이 해제되어도 드럼 실러(114)가 2차로 밀봉하여 드럼(110) 내의 공기의 누설이 차단된다.
드럼 실러(114)는 원형 가이드 브라켓(121)의 전방 측면과 접촉되어, 드럼(110)의 언밸런스로 인한 진동으로 인하여 드럼(110)이 원형 가이드 브라켓(1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전방 원형 가이드(120a)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드럼 실러(114)는 드럼(110)의 언밸런스로 인한 진동으로 인하여 드럼(110)이 전방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경우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와 접촉된다. 드럼 실러(114)는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와 접촉하여 드럼(110)이 전방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드럼(110)과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 사이를 밀봉한다. 따라서, 드럼(110)의 과도한 진동으로 인하여, 1차 밀봉 및 2차 밀봉이 해제되어도 드럼 실러(114)가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와 접촉하여 드럼(110)이 3차로 밀봉된다.
드럼 실러(114)는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와 접촉되어도 드럼(11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마찰 계수가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 실러(114)는 패널 실러(111-4)와 마찬가지로 PTFE 오일이 침류된 합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예에 따라 직물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실러(114)는 드럼(110) 후방 테두리에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 실러(114)의 내측에는 미도시된 보강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보강부재(150)가 드럼의 가장자리 중 용접부(W)가 형성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드럼 실러(114)가 드럼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될 때 용접부(W)에 결합된 보강부재(150)를 포함하여 드럼(110) 가장자리의 최외측에 결합된다.
상술한 전면 패널(111) 및 전방 원형 가이드(120a)에 대한 설명은 후면 패널(112) 및 후방 원형 가이드(120b)에도 적용된다.
후면 패널(112)은 후방 원형 가이드(120b)가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미도시)와, 드럼(110) 후방의 내면과 접촉되어 드럼(110)의 후방을 밀봉하는 후면 밀봉 패널(미도시)과, 드럼(110)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면 패널 프로텍터(미도시)와, 캐비닛(101)의 후면 전방과 결합되는 후면 패널 결합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후방 원형 가이드(120b)는, 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와 접촉되며 마찰을 저감하는 마찰 저감 부재(미도시)와, 마찰 저감 부재와 결합되며 드럼(110)의 내면을 지지하며 접촉되는 원형 가이드 브라켓(미도시)을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치한다. 다만, 후면 밀봉 패널은 패널 출입홀(111')이 형성되지 않으며, 배기홀 대신 흡기 덕트(135)와 연통되어 드럼(110)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홀이 형성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배치나 형상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원형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방 원형 가이드(120a)의 마찰 저감 부재가 미끄럼 부재(222)로 형성된다. 미끄럼 부재(222)는 내면 전체가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와 면 접촉된다. 미끄럼 부재(222)는 마찰이 최소화되는 습동 부재로 형성되고, 미끄럼 부재(222)와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 사이에는 마찰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윤할유로 유체막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부재(222)는 원형 가이드 브라켓(221)과 결합되며, 원형 가이드 브라켓(221)은 드럼(110)의 내면을 지지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방 원형 가이드(120a)의 마찰 저감 부재가 원형 가이드 롤러(322)로 형성되고,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에 원형 가이드 롤러(322) 의 일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원형 가이드 안착홈(111-2')이 형성된다. 원형 가이드 롤러(322)는 원형 가이드 안착홈(111-2')에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하므로, 드럼(110)의 언밸런스로 인한 진동으로 인하여 원형 가이드 롤러(322)가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원형 가이드 브라켓(421)은 하측으로 둥글게 돌출된 브라켓 돌기(421')가 형성되며, 브라켓 돌기(421')는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에 형성된 원형 가이드 안착홈(111-2')에 삽입된다. 브라켓 돌기(421')가 원형 가이드 안착홈(111-2')에 삽입되어 마찰을 감소시키며, 드럼(110)의 언밸런스로 인한 진동으로 인하여 브라켓 돌기(421')가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마찰 저감 부재(422)는 유체막으로 형성되는 윤활유로서 원형 가이드 브라켓(121)과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 사이에 채워진다.
도 13을 참조하면, 원형 가이드 브라켓(521)은 하측으로 쐐기 형태로 돌출된 브라켓 돌기(521')가 형성된다. 다른 부분에 대한 설명은 도 10를 참조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전방 원형 가이드(120a) 및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111-2)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후방 원형 가이드(120b) 및 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미도시)에 상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내부 사시도이고, 도 15은 도 14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면 패널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후면 패널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회전 중심이 드럼(110)의 회전 중심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드럼(110)의 상부 내면을 지지하는 상부 원형 가이드(220a, 220b)와 회전 중심이 드럼(110)의 회전 중심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드럼(110)의 하부 내면을 지지하는 하부 원형 가이드(220c, 220d)를 포함한다.
상부 원형 가이드(220a, 220b)는 드럼의 상부에서 단면 곡률이 일정한 부분과 접촉되어 드럼(110)과 함께 회전하며, 하부 원형 가이드(220c, 220d)는 드럼의 하부에서 단면 곡률이 일정한 부분과 접촉되어 드럼(110)과 함께 회전한다. 상부 원형 가이드(220a, 220b) 및 하부 원형 가이드(220c, 220d)는 회전 가능하도록 전면 패널(211) 또는 후면 패널(212)과 마찰을 최소화하여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원형 가이드(220a, 220b) 및 하부 원형 가이드(220c, 220d)는 각각 복수로 구비되어, 전면 패널(211)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 전방 원형 가이드(220a) 및 하부 전방 원형 가이드(220c)와, 후면 패널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 후방 원형 가이드(220b) 및 하부 후방 원형 가이드(220d)로 구비된다.
상부 전방 원형 가이드(220a) 및 하부 전방 원형 가이드(220c)는 전면 패널(211)에 지지되도록 엇갈려 배치되며, 전면 패널(211)에 구비된 상부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211-2a) 및 하부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211-2c)에 각각 접촉되어 지지된다. 상부 전방 원형 가이드(220a) 및 하부 전방 원형 가이드(220c)는 전면 패널(211)의 패널 출입홀(211') 주변에 구비된다. 즉, 상부 전방 원형 가이드(220a) 및 하부 전방 원형 가이드(220c)는 패널 출입홀(211')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부 후방 원형 가이드(220b) 및 하부 후방 원형 가이드(220d)는 후면 패널(212)에 지지되도록 엇갈려 배치되며, 후면 패널(212)에 구비된 상부 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211-2b) 및 하부 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211-2d)에 각각 접촉되어 지지된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보조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보조 가이드(140a, 140b)는, 드럼(110)의 내면과 접촉하여 드럼(110)을 지지하는 보조 가이드 슬라이더(141)와, 보조 가이드 슬라이더(141)가 드럼(110)에 외측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도록 보조 가이드 슬라이더(141)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보조 가이드 탄성 부재(143)와, 전면 패널(111)과 고정 결합되며 보조 가이드 탄성 부재(143)와 결합되는 보조 가이드 결합부(149)를 포함한다.
보조 가이드 슬라이더(141)는 드럼(110)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며 회전하도록 드럼(110)의 내면과 접촉하여 드럼(110)을 지지한다. 보조 가이드 슬라이더(141)는 드럼(110)에서 원형 가이드(120a, 120b)가 지지지하지 않는 부분을 지지한다. 보조 가이드 슬라이더(141)가 드럼(110)과 미끄러지도록 접촉하기 위하여 보조 가이드 슬라이더(141)는 마찰 계수가 낮은 습동 부재로 형성되거나, 드럼(110)과 접촉되는 부분에 마찰 계수가 낮은 물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가이드 슬라이더(141)는 보조 가이드 탄성 부재(143)로부터 탄성력을 인가 받아 드럼(110)의 외측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여 드럼(110)을 지지한다. 즉, 보조 가이드 슬라이더(141)는 드럼(110)에 외측 방향으로 수직항력을 인가한다. 보조 가이드 탄성 부재(143)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보조 가이드 슬라이더(141)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보조 가이드 결합부(149)는 전면 패널(111)의 전면 밀봉 패널(111-3)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보조 가이드(140a, 140b)는, 드럼(110)의 내면과 접촉하여 드럼(110)을 지지하며 회전하는 복수의 보조 가이드 롤러(241)와, 보조 가이드 롤러(241)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보조 가이드 지지부(243)와, 보조 가이드 지지부(243)와 결합되며 전면 패널(111)과 고정 결합되는 보조 가이드 결합부(249)를 포함한다. 보조 가이드 지지부(243)와 보조 가이드 결합부(249) 사이에는 보조 가이드 탄성 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보조 가이드 지지부(243)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보조 가이드 롤러(241)는 드럼(110)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며 회전하도록 드럼(110)의 내면과 접촉하여 드럼(110)을 지지한다. 보조 가이드 롤러(241)는 드럼(110)에서 원형 가이드(120a, 120b)가 지지지하지 않는 부분을 지지한다. 보조 가이드 롤러(241)는 드럼(110)을 따라 구르는 회전체로 형성되어 드럼(110)과의 마찰을 최소화한다.
보조 가이드 롤러(241)는 보조 가이드 지지부(24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보조 가이드 지지부(243)는 보조 가이드 결합부(249)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보조 가이드 탄성 부재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아 드럼(110)의 내면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발생한다. 보조 가이드 롤러(241)는 보조 가이드 지지부(243)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드럼(110)의 외측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여 드럼(110)을 지지한다. 즉, 보조 가이드 롤러(241)는 드럼(110)에 외측 방향으로 수직항력을 인가한다.
보조 가이드 탄성 부재는 비틀림(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보조 가이드 지지부(243)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보조 가이드 결합부(249)는 전면 패널(111)의 전면 밀봉 패널(111-3)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드럼(110)의 내면과 접촉하여 드럼(110)을 지지하는 보조 가이드 플레이트 스프링(341)과, 보조 가이드 플레이트 스프링(341)을 지지하며 전면 패널(111)과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보조 가이드 결합부(349)를 포함한다.
보조 가이드 플레이트 스프링(341)은 드럼(110)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며 회전하도록 드럼(110)의 내면과 접촉하여 드럼(110)을 지지한다. 보조 가이드 플레이트 스프링(341)은 드럼(110)에서 원형 가이드(120a, 120b)가 지지하지 않는 부분을 지지한다. 보조 가이드 플레이트 스프링(341)이 드럼(110)과 미끄러지도록 접촉하기 위하여 보조 가이드 플레이트 스프링(341)은 마찰 계수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거나, 드럼(110)과 접촉되는 부분에 마찰 계수가 낮은 물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가이드 플레이트 스프링(341)은 탄성력을 발생하여 드럼(110)에 외측 방향으로 수직항력을 인가한다. 보조 가이드 결합부(349)는 보조 가이드 플레이트 스프링(341)의 양단과 결합되며 전면 패널(111)의 전면 밀봉 패널(111-3)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내부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에 내부 정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구동 벨트(175)가 접촉하지 않는 부분과 접촉하는 보조 벨트(185)와, 보조 벨트(185)에 접촉되어 장력을 인가하는 아이들러(182)를 포함한다.
보조 벨트(185)는 드럼(110)의 외면에서 구동 벨트(175)가 접촉하지 않는 부분과 접촉한다. 보조 벨트(185)는 도 19와 같이 드럼(110)을 전후방으로 투영하였을 때 구동 벨트(175)가 접촉하지 않는 부분과 접촉한다. 보조 벨트(185)는 구동 벨트(175)가 드럼(110)에 내측 방향으로 수직항력을 인가하지 않는 드럼(110) 부분에 내측 방향으로 수직항력을 인가하여 드럼(110)을 지지한다.
보조 벨트(185)는 드럼(110)에서 모터(170)가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과 접촉되어 드럼(110)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벨트(185)는 세탁물의 부하 변동에 따라 변화되는 드럼(110)의 하중을 지지하여, 드럼(110)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며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조 벨트(185)는 드럼(110)의 하중을 구동 벨트(175)와 분산하여 지지하여 구동 벨트(175)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보조 벨트(185)는 드럼(110)의 하부 외면을 지지하여 드럼(110)이 모터(170)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여, 드럼(110) 내의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조 벨트(185)는 드럼(110)의 외면과 미끄러지지 않도록 접촉되어 드럼(110)과 함께 회전한다. 보조 벨트(185)는 잘 구부러지며 탄력이 있는 고분자 화합물 또는 금속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벨트(185)는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드럼(110)의 외면과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거나, 보조 벨트(185)의 내면 및 드럼(110)의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호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들러(182)는 보조 벨트(185)와 접촉하여 보조 벨트(185)에 장력을 인가한다. 아이들러(182)는 드럼(11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모터(17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들러(182)는 보조 벨트(185)와 모터(170)의 반대편에서 접촉되어, 구동 벨트(175)가 드럼(110)에 내측 방향으로 수직항력을 주지 않는 드럼(110) 부분에 보조 벨트(185)가 드럼(110)에 내측 방향으로 최대의 수직항력을 주도록 한다.
아이들러(182)는 보조 벨트(185)의 장력을 높여 보조 벨트(185)와 드럼(110)의 사이의 마찰을 최대화하고, 보조 벨트(185)가 드럼(110)에 내측 방향으로 인가하는 수직항력을 높여 드럼(110)이 원형 가이드(120a, 120b) 및/또는 보조 가이드(140a, 140b)에 의하여 원활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아이들러(182)는 캐비닛(101)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드럼(110)의 진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아이들러(182)는 회전시 회전 중심이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들러(182)는 회전시 회전 중심이 변화하도록 캐비닛(101)과 탄성 부재(미도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벨트(185)는 도 18와 같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 벨트(185)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아이들러(182)도 복수로 구비된다. 제 1 보조 벨트(185a)는 드럼(110)의 전방을 지지하고, 제 2 보조 벨트(182b)는 드럼(110)의 후방을 각각 지지하여, 드럼(110)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며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드럼(110)의 언밸런스로 인한 드럼(110)의 진동을 억제한다. 제 1 보조 벨트(185a)는 제 1 아이들러(182a)에 접촉하여 장력을 인가받고, 제 2 보조 벨트(182b)는 제 2 아이들러(182b)에 접촉하여 장력을 인가받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드럼(110)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한 후 세탁물 처리기기를 작용시키면, 히터(130)가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는 드럼(110) 내로 유입되며 드럼(110)이 회전한다.
히터(130)에서 가열된 공기는 흡기 덕트(135)를 통하여 후면 패널(112) 측에서 드럼(110) 내부로 유입된다. 드럼(110)의 전방과 후방은 각각 전면 패널(111) 및 후면 패널(112)에 의하여 밀봉된다. 드럼(110)은 패널 실러(111-4)와 접촉되어 1차로 밀봉되며, 드럼 실러(114)가 원형 가이드 브라켓(121)과 접촉되어 2차로 밀봉되어, 드럼(110) 내의 공기의 누설이 차단된다. 드럼(110)의 과도한 진동으로 인하여, 1차 밀봉 및 2차 밀봉이 해제되어도 드럼 실러(114)가 전면 패널 프로텍터(111-1)와 접촉하여 드럼(110)이 3차로 밀봉된다. 드럼(110) 내의 공기는 송풍팬(131)에 의하여 배기 덕트(133)로 배기되고, 배기 덕트(133)로 배기된 공기는 캐비닛(101) 외부로 배출되거나 히터(130)로 다시 유입된다.
한편, 모터(170)가 회전력을 발생하면 구동 벨트(175)가 드럼(110)을 회전시킨다. 드럼(110)이 회전함에 따라 전방 원형 가이드(120a) 및 후방 원형 가이드(120b)가 함께 회전하여, 드럼(110)의 곡률이 일정한 부분이 원형 가이드(120a, 120b)에 의하여 지지된다.
드럼(110)은 원형 가이드(120a, 120b)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는 부분이 보조 가이드(140a, 140b)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며 회전한다. 원형 가이드(120a, 120b) 및 보조 가이드(140a, 140b)가 드럼(110)의 내면과 접촉하여 드럼(110)에 외측 방향으로 수직항력을 주어 드럼(110)을 지지하는 반면, 구동 벨트(175) 및 보조 벨트(185)는 드럼(110)의 외면과 접촉하여 드럼(110)에 내측 방향으로 수직항력을 주어 드럼(110)을 지지한다. 보조 벨트(185)는 구동 벨트(175)가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 접촉하여 드럼(110)이 치우치는 것을 방지한다. 드럼(110)이 회전되면 세탁물이 리프터(115)에 의하여 들어올려 진 후 낙하하며, 가열된 공기가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정면도이며, 도 23 내지 도 25는 지지부재(160)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O)을 수용하며 전방 또는 후방이 개구되며, 회전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한 드럼(110)과, 드럼(1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는 패널(111, 112) 및,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하여 드럼(110)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지지부재(16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는 상술한 설명으로 대체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한다.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의 외측에 구비되며 캐비닛(101) 또는 패널(111, 112)에 고정 구비될 수 있다. 드럼(110)의 외측에 구비된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하여, 드럼(110)의 형상을 유지시킨다.
즉, 드럼(110)의 회전 시 드럼(110)의 형상이 비원형의 폐곡선 형상으로 회전됨에 따라, 그 형상이 일정하기 않게되며, 드럼(110)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O)의 하중과 드럼(110) 자체의 하중에 의해 드럼(110)의 하부쪽에 하중이 분포되며, 그 집중되는 위치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110)과 세탁물(O)의 하중이 집중된 부분은 그 하중에 의해 드럼(110)이 주위보다 더 굽혀지거나 더 큰 곡률을 가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드럼(110)이 초기 설정된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에서 변화되면, 패널 실러(111-4)와의 실링이 해제되거나 드럼(110)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드럼(11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60)가 구비된다. 지지부재(160)는 상술한 것과 같이 드럼(110)과 드럼(110) 내부의 세탁물(O)이 가지는 하중에 의해 드럼(110)의 외형이 초기 설정된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에서 변형되지 않고, 초기 설정된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여 회전되도록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한다.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드럼(110)과 드럼(110) 내부의 세탁물(O)이 가지는 무게는 일정한 하중을 가지게 되며, 중력에 의한 자중에 의해 드럼(110)의 일부 표면이 처지게 된다. 특히, 드럼(110)의 하부가 가장 잘 처지게 된다. 이 경우, 드럼(110)의 외면에 구비된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하여 드럼(110)과 드럼(110) 내부의 세탁물(O)의 하중을 지지하여 드럼(110)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드럼(110)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지지부재(160)가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하여 방지함에 따라, 드럼(110)의 회전 시 드럼(110)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 형태를 유지하며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지지부재(160)는 상술한 것과 같이 캐비닛(101) 또는 패널(111, 112) 등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지지부재(160)는 패널(111, 112)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지지부재(160)의 고정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재(160)는 패널(111, 112)에 결합되고, 지지부재(160)의 외면이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드럼(110)이 회전되면 드럼(110)의 외면은 지지부재(160)를 회전시키거나 지지부재(160)에 슬라이딩된다. 지지부재(160)가 드럼(110)의 외면과 슬라이딩되는 구성은 도 24에서 후술하며, 이하에서는 지지부재(160)가 패널(111, 11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드럼(110)의 회전 시 드럼(110)의 외면이 회전되어 지지부재(16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설명한다.
지지부재(160)가 드럼(110)의 회전 시 드럼(110)의 외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드럼(110)의 형상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드럼(1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되어, 드럼(110)의 구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재(160)는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점마다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지지부재(160)가 각각 이격되어 드럼(110)의 외면을 각 지점마다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60)가 복수개 구비됨에 따라 드럼(110)의 외면이 복수개의 지점에서 지지되어, 드럼(110)의 형상이 비원형의 폐곡선 단면을 유지하기 쉽게 된다.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드럼(110)의 하부에는 드럼(110) 내부의 세탁물(O)이 집중되어 하중에 의해 드럼(110)이 처지기 쉽다. 드럼(110)이 처지게 되면, 드럼(110)의 회전 시 드럼(110)과 원형 가이드(120a, 120b) 사이에 마찰이 집중되는 부분이 발생하며, 이러한 부분이 드럼(110)의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특히, 드럼(110)이 처지게 되면, 원형 가이드(120a, 120b)의 양측면 부분과 드럼(110)의 측면 부분 사이에 장력이 발생되어 마찰이 집중될 수 있다. 마찰이 집중되는 곳은 드럼(110)의 원활환 회전을 방해한다. 이를 해결하기위해 드럼(110)의 하부에 지지부재(160)가 구비되어, 드럼(110)의 형상을 유지시킨다.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의 하측 중 드럼(110)을 수직하게 가로지르는 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드럼(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의 단면을 수직하게 가로지르는 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드럼(110)의 하측 양옆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드럼(110)의 하측 중앙에 드럼(110)의 하중과 세탁물(O)의 하중이 집중되며, 이 경우 드럼(110)의 하측 중앙을 기준을 대칭되는 드럼(110) 하측 양옆에 지지부재(160)가 구비되면 드럼(110)과 세탁물(O)의 하중을 가장 최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의 회전 시 상기 패널 실러(111-4)의 실링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한다. 패널 실러(111-4)는 상술한 것과 같이 패널(111, 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며, 드럼(110)의 내면과 원형 가이드(120a, 120b) 사이를 밀봉한다. 이 경우, 패널(111, 112)은 드럼(110)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섬됨에 따라 드럼(110)의 형상인 비원형의 폐곡선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패널 실러(111-4)도 패널(111, 11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됨에 따라,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이루는 드럼(110)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이때, 드럼(110)이 자중에 의해 처지게 되면, 패널 실러(111-4)와 접촉된 드럼(110)의 내면 중 일부가 변형된 드럼(110)의 형상에 의해 패널(111, 112)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패널 실러(111-4)는 패널(111, 112)의 형상과 대응되어 형성되므로, 변형된 형상의 드럼(110)은 패널 실러(111-4)와 다른 형상을 가지게 되어, 그 단면의 형상이 불일치된다. 패널 실러(111-4)와 드럼(110)의 단면 형상이 달라지면 드럼(110)과 패널 실러(111-4)의 접촉이 해제되어 밀봉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패널 실러(111-4)를 드럼(110)의 내면이 과도하게 압착하는 지점이 발생되며, 이 지점의 드럼(110)은 패널 실러(111-4)와의 마찰이 필요 이상으로 증대되어, 드럼(110)의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드럼(110)이 초기에 설정된 비원형의 폐곡선 단면을 유지하여 회전되어야 한다.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하여 드럼(110)이 초기에 설정된 비원형의 폐곡선 단면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패널 실러(111-4)와 드럼(110) 내면의 밀봉이 유지됨과 동시에 드럼(11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의 외면 중 보조 가이드(140a, 140b)가 지지하지 않는 부분을 지지한다. 보조 가이드(140a, 140b)는 상술한 것과 같이 원형 가이드(120a, 120b)가 지지하지 않은 부분을 지지한다. 이 경우 보조 가이드(140a, 140b)는 드럼(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드럼(1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수직항력을 드럼(110)의 내면에 제공하여 드럼(110)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이때, 드럼(110)의 하부에서 작용하는 수직항력은 드럼(110)과 세탁물(O)의 하중에 의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다. 드럼(110)과 세탁물(O)의 하중과 보조 가이드(140a, 140b)가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중력 방향으로 작용되면 드럼(110)이 처지는 현상이 더 심화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110)의 외면 중 보조 가이드(140a, 140b)가 지지하지 않는 부분을 지지부재(160)가 지지하여, 드럼(110)과 세탁물(O)의 하중에 의해 드럼(1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재(160)가 드럼(110)의 하부 외면에 구비되는 경우, 지지부재(160)가 드럼(110)의 외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보조 가이드(140a, 140b)가 드럼(110)의 내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되어, 드럼(110)이 처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제공하여, 드럼(1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의 외면 중 구동 벨트(175)가 접촉되지 않은 부분을 지지한다. 구동 벨트(175)는 상술한 것과 같이 모터(170)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되어, 드럼(110)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며 회전되도록 한다. 드럼(110)을 회전시키는 구동 벨트(175)는 모터(170)와 내부 구성 등의 결합관계에 의해 드럼(110)의 일부분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구동 벨트(175)가 드럼(110)과 이격되어 있는 부분은 모터(17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모터(170)가 드럼(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드럼(110)의 하부의 일부가 구동 벨트(175)와 이격되어 있다. 구동 벨트(175)와 접촉되지 않은 드럼(110)의 하부 일부는 드럼(110)과 세탁물(O)의 하중에 의해 상술한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60)가 드럼(110)의 외면 중 구동 벨트(175)가 접촉되지 않은 부분을 지지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드럼(110)의 하부의 일부가 구동 벨트(175)와 이격되어 있으며, 구동 벨트(175)가 접촉되지 않은 드럼(110)의 하부의 외면을 지지부재(160)가 지지하여 드럼(110)의 처짐을 방지하여, 드럼(110)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의 원형 가이드(120a, 120b)가 지지하지 않는 부분을 지지한다. 원형 가이드(120a, 120b)가 지지하는 드럼(110)의 내면은 드럼(110)의 상부에 해당되며, 드럼(110)의 하부는 원형 가이드(120a, 120b)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 원형 가이드(120a, 120b)에 지지되지 않는 드럼(110)의 하부는 드럼(110)과 세탁물(O)의 하중이 집중되므로, 지지부재(160)가 드럼(110) 하부의 외면을 지지하여 드럼(110)과 세탁물(O)의 하중을 지지한다.
지지부재(160)는 실시예에 따라 도 22에 도시된 회전 가능한 롤러(160)로 형성된다. 롤러(160)의 회전축은 패널(111, 112)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롤러(160)의 외면은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하여 회전된다. 드럼(110)이 회전되면 드럼(110)의 외면이 롤러(160)를 고정된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시키면서, 롤러(160)가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하게 된다. 롤러(160)로 형성된 지지부재(160)는 드럼(110)의 회전 시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드럼(110)의 외면에 의해 회전된다.
롤러(160)의 외면은 고경도의 탄성부재로 실시될 수 있다. 롤러(160)의 외면이 고경도의 탄성부재로 실시되면, 드럼(110)의 외면과 상대회전시 슬립(slip)이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드럼(110)의 진동을 흡수하여, 드럼(11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60)는 패널(111, 112)에 고정되고, 내부에 롤러 수용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클러스터 하우징(262) 및, 롤러 수용부에 수용되고 클러스터 하우징(2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클러스터 롤러(261)를 포함한다.
클러스터 하우징(262)은 캐비닛(101) 및/또는 패널(111, 112)에 고정된다. 이하에서 클러스터 하우징(262)은 패널(111, 112)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클러스터 하우징(262)의 고정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캐비닛(101)에 고정될 수도 있다.
클러스터 하우징(262)의 내측에는 롤러 수용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클러스터 하우징(262)은 드럼(110)의 하측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양옆에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롤러 수용부에는 클러스터 롤러(26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클러스터 롤러(261)는 하나의 롤러 수용부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회전축이 클러스터 하우징(262)에 결합되어 클러스터 롤러(261)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클러스터 롤러(261)는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한다. 클러스터 롤러(261)의 외면은 드럼(110)의 외면에 접촉되어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하고, 접촉된 드럼(110)과 세탁물(O)의 하중을 지지하여 드럼(110)이 비원형의 폐곡선 단면을 유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4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360)는 만곡되어 형성된 미끄럼패드(360)로 형성된다. 미끄럼패드(360)의 만곡된 중앙의 일면은 비원형의 폐곡선의 외면에 대등되어 형성되어, 드럼(110)의 외면을 지지한다.
이 경우, 드럼(110)의 회전 시 미끄럼패드(360)와 드럼(110)의 외면이 슬라이딩된다. 드럼(110)의 외면이 슬라이딩될 때 미끄럼패드(360)와 마찰이 발생하며, 이러한 마찰을 줄이기 위해 미끄럼패드(360)의 재질은 마찰 계수가 낮은 재질로 형성된다. 마찰 계수가 낮은 물질로 형성된 미끄럼패드(360)는 드럼(110)의 회전 시 드럼(110)과 세탁물(O)의 하중을 지지하여, 드럼(110)이 처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드럼(11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5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지지부재(460)는 드럼(110)의 하측을 지지하고드럼(1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지지벨트(461)와, 지지벨트(461)의 내측에서 지지벨트(461)가 회전되도록 지지벨트(461)를 지지하는 메인풀리(462) 및, 지지밸트의 내측에서 지지벨트(461)가 팽팽해지도록 지지벨트(461)에 장력을 제공하는 보조풀리(463)를 포함한다.
지지벨트(461)는 드럼(110)의 하측 외면에 접촉되어, 드럼(110)의 하측을 지지하여 드럼(110)의 처짐을 방지한다. 지지벨트(461)는 잘 구부러지며 탄력이 있는 고분자 화합물 또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풀리(462)는 지지벨트(461)의 내측에 구비되어, 지지벨트(461)에 장력을 제공한다. 메인풀리(462)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지지벨트(461)의 양측을 지지하고, 모터(170) 또는 별도의 구동부에의 의해 회전되어 지지벨트(461)를 회전시킨다. 메인풀리(462)의 회전축은 패널(111, 112) 또는 캐비닛(101)에 구비될 수 있다.
보조풀리(463)는 지지벨트(461)의 내측에 구비되고,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보조풀리(463)는 지지벨트(461)와 드럼(110)의 하측 외면이 접촉되도록 보조풀리(463)를 지지하고, 지지벨트(461)가 팽팽해지도록 지지벨트(461)의 양측에서 지지벨트(461)를 당겨준다. 지지벨트(461)에 접촉된 드럼(110)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보조풀리(463)가 지지벨트(461)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여, 드럼(110)과 세탁물(O)의 하중에 의해 드럼(1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풀리텐셔너(464)는 일측이 보조풀리(463)에 결합되고, 타측이 패널(111, 112)에 고정 구비된다. 폴리 텐셔너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보조풀리(46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보조풀리(463)에 제공되는 탄성력은 일측 보조풀리(463)와 타측 보조풀리(463)를 반대 방향으로 이격시켜, 일측 보조풀리(463)와 타측 보조풀리(463) 사이의 지지벨트(461)가 팽팽하지도록 한다. 풀리텐셔너(464)에 의해 일측 보조풀리(463)와 타측 보조풀리(463)에 제공된 탄성력은 지지벨트(461)를 팽팽하게 당겨, 지지벨트(461)가 드럼(110) 하부의 외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건조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드럼(110)이 사용되는 세탁기 등 다양한 세탁물 처리기기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1: 캐비닛 106: 도어
109: 컨트롤 패널 110: 드럼
111, 211: 전면 패널 `111', 211': 패널 출입홀
111-1: 전면 패널 프로텍터 111-2: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
211-2a: 상부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
211-2b: 상부 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
211-2c: 하부 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
211-2d: 하부 후방 원형 가이드 안착부
111-2': 원형 가이드 안착홈 111-3: 전면 밀봉 패널
111-4: 패널 실러 111-9: 전면 패널 결합 부재
112: 후면 패널 114: 드럼 실러
115: 리프터 130: 히터
131: 송풍팬 133: 배기 덕트
135: 흡기 덕트 120a: 전방 원형 가이드
120b: 후방 원형 가이드 220a: 상부 전방 원형 가이드
220b: 상부 후방 원형 가이드 220c: 하부 전방 원형 가이드
220d: 하부 후방 원형 가이드 421', 521': 브라켓 돌기
121, 221, 321, 321, 421, 521: 원형 가이드 브라켓
122, 222, 322, 422, 522: 마찰 저감 부재
122, 322: 원형 가이드 롤러 222: 미끄럼 부재
123: 롤러 축 140a: 전방 보조 가이드
140b: 후방 보조 가이드 141: 보조 가이드 슬라이더
241: 보조 가이드 롤러 341: 보조 가이드 플레이트스프링
143: 보조 가이드 탄성 부재 243: 보조 가이드 지지부
149, 249, 349: 보조 가이드 결합부 170: 모터
171: 모터 샤프트 172: 벨트 텐셔너
272a: 제 1 벨트 텐셔너 272b: 제 2 벨트 텐셔너
272c: 텐셔너 탄성 부재 175: 구동 벨트
182: 아이들러 182a: 제 1 아이들러
182b: 제 2 아이들러 185: 보조 벨트
185a: 제 1 보조 벨트 185b: 제 2 보조 벨트
150 : 보강부재 160, 260, 360, 460 : 지지부재

Claims (20)

  1. 세탁물을 수용하며 전방 또는 후방이 개구되며, 회전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한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는 패널; 및
    상기 드럼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드럼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드럼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지지벨트, 상기 지지벨트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벨트가 회전되도록 상기 지지벨트를 지지하는 메인풀리, 상기 지지벨트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벨트가 팽팽해지도록 상기 지지벨트에 장력을 제공하는 보조풀리로 구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외면이 상기 드럼의 외면을 지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개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드럼의 하측 중 상기 드럼을 수직하게 가로지르는 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드럼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회전 가능한 롤러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의 외면이 상기 드럼의 외면을 지지하여 회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패널에 고정되고, 내부에 롤러 수용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클러스터 하우징; 및
    상기 롤러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클러스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클러스터 롤러;
    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클러스터 롤러의 외면은 상기 드럼의 외면을 지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만곡되어 형성된 미끄럼패드로 형성되어, 상기 미끄럼패드의 일면이 상기 드럼의 외면을 지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면은 상기 미끄럼패드의 일면에 슬라이딩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보조풀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풀리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보조풀리가 상기 지지벨트를 팽팽하게 당기도록 하는 풀리텐셔터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단면 곡률이 일정한 부분을 지지하며 회전 가능한 원형가이드; 및
    상기 원형 가이드가 지지하지 않는 부분을 지지하는 보조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드럼의 외면 중 상기 보조 가이드가 지지하지 않는 부분을 지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6. 제1항에 있어서,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및
    상기 드럼의 외면 일부와 접촉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 벨트;
    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드럼의 외면 중 상기 구동 벨트가 접촉되지 않은 부분을 지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단면 곡률이 일정한 부분을 지지하며 회전 가능한 원형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드럼의 상기 원형 가이드가 지지하지 않는 부분을 지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상기 드럼 사이를 실링하는 패널 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패널 실러의 실링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럼의 외면을 지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접촉된 드럼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드럼이 비원형의 폐곡선의 단면을 유지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00119717A 2010-08-09 2010-11-29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08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717A KR101708653B1 (ko) 2010-11-29 2010-11-29 세탁물 처리기기
US13/205,378 US9096965B2 (en) 2010-08-09 2011-08-08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having a ring shaped circular guide
JP2013524035A JP5667293B2 (ja) 2010-08-09 2011-08-09 洗濯物処理機器
EP13156866.9A EP2602374A1 (en) 2010-08-09 2011-08-09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CN201180048917.3A CN103154351B (zh) 2010-08-09 2011-08-09 衣物处理装置
EP13156868.5A EP2602375A1 (en) 2010-08-09 2011-08-09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BR112013002786A BR112013002786A2 (pt) 2010-08-09 2011-08-09 aparelho para tratamento de vestuário para lavar
EP11816585.1A EP2598686B1 (en) 2010-08-09 2011-08-09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PCT/KR2011/005797 WO2012020969A2 (en) 2010-08-09 2011-08-09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RU2013110327/12A RU2520895C1 (ru) 2010-08-09 2011-08-09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14/179,261 US9809917B2 (en) 2010-08-09 2014-02-12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US14/179,296 US9758919B2 (en) 2010-08-09 2014-02-12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717A KR101708653B1 (ko) 2010-11-29 2010-11-29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090A KR20120058090A (ko) 2012-06-07
KR101708653B1 true KR101708653B1 (ko) 2017-02-21

Family

ID=4660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717A KR101708653B1 (ko) 2010-08-09 2010-11-29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6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8097A (ja) * 1995-05-26 1996-12-03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JP3161964B2 (ja) * 1996-02-06 2001-04-25 株式会社アサヒ製作所 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090A (ko)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9917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US20110258872A1 (en) Dryer
US8615898B2 (en) Dryer
US9758919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US20140145575A1 (en) Dryer
KR10170865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9974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9975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0865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9974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9975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99756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699753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70865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9975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91822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89161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20220145520A1 (en) Dryer seals for a clothes dryers and related methods
KR10189205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1822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89160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89161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4024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89204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89204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