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257B1 -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257B1
KR101708257B1 KR1020150082006A KR20150082006A KR101708257B1 KR 101708257 B1 KR101708257 B1 KR 101708257B1 KR 1020150082006 A KR1020150082006 A KR 1020150082006A KR 20150082006 A KR20150082006 A KR 20150082006A KR 101708257 B1 KR101708257 B1 KR 101708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gas
comfort
duct
liqui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5404A (ko
Inventor
강석진
조용일
한태석
김두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082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25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3/00Slaughtering or stunning
    • A22B3/005Slaughtering or stunning by means of ga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7/00Slaughterhouse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을 안락사시키기 위한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형성된 덕트, 덕트의 일단에 설치되며, 제1 관통구와 제2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는 밀폐판, 및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단과 대향되는 덕트의 타단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제1 관통구에 결합되며, 외부의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안락사용 가스를 제1 관통구를 통해 덕트에 분사하는 가스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가스 공급 유닛; 제2 관통구에 결합되며, 외부의 거품액 공급원으로부터 거품액을 공급받는 거품액 공급관, 및 덕트에 위치하도록 거품액 공급관에 결합되며, 거품액 공급관으로부터 전달된 거품액과 덕트에 분사된 안락사용 가스가 결합되어 베이스 거품이 생성되는 거품 헤드를 구비하는 거품액 공급 유닛; 베이스 거품과 안락사용 가스가 각각 유입되도록 덕트에 설치되며, 다수의 그물눈들이 형성된 그물망 구조를 갖고, 그물눈들에서 베이스 거품과 안락사용 가스가 결합되어 동물 안락사용 거품이 생성되는 제1 거품망; 및 동물 안락사용 거품이 유입되도록 배출구에 설치되며, 다수의 그물눈들이 형성된 그물망 구조를 갖고, 그물눈들에서 동물 안락사용 거품이 균일한 크기를 갖도록 정형되는 제2 거품망;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품 헤드에서 생성된 베이스 거품을 다수의 거품망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정형하여 동물 안락사용 거품을 생성하므로, 동물이 흡입하기 용이하도록 균일한 크기로 정형된 동물 안락사용 거품을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A bubble generator for euthanasia of animals}
본 발명은 동물을 안락사시키기 위한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또는 조류 인플루엔자(AI, avian influenza) 등과 같은 악성 가축 전염병은 치사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감염 속도가 빠르고 그 전파 경로가 다양하다. 이로 인해, 이러한 악성 가축 전염병은 감염된 가축 주변에 위치한 다른 가축들은 물론, 멀리 떨어진 타 가축 사육장 또는 농장으로도 순식간에 전파되어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따라서, 국내와 해외에서는 악성 가축 전염병의 예방 및 방역에 많은 노력과 비용을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악성 가축 전염병이 발생하면, 그 질병의 전파 방지를 위해 감염된 가축과, 감염된 가축이 수용된 축사의 다른 가축들뿐만 아니라 감염된 가축이 수용된 축사의 주변에 위치한 다른 축사의 가축들까지 모두 살처분(stamping out)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대량의 가축들을 안락사시키기 위한 세부적인 안락사 방법이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주로 악성 가축 전염병의 발생 지역에 매립지를 조성하여 살처분하기 위한 가축들을 이러한 매립지에 생매장시키기 있었다. 따라서, 가축들의 복지를 위해 살처분하기 위한 가축들을 고통 없이 안락사시키기 위한 안락사 방법의 제시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살처분하기 위한 가축들을 고통 없이 안락사시킬 수 있도록 아르곤(Ar),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및 질소(N2) 등과 같은 안락사용 가스를 이용해 동물을 살처분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가축들을 컨테이너와 같은 밀폐 공간에 수용하고, 이러한 밀폐 공간에 안락사용 가스를 채워 가축들을 살처분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안락사 방식은, 밀폐 공간의 전부를 안락사용 가스로 채워야 하므로 이로 인해 살처분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물을 안락사시키는데 필요한 안락사용 가스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동물 안락사용 거품을 동물들이 흡입하기 용이한 크기로 생성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동물 안락사용 거품의 생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품 생성 장치는, 내부에 형성된 덕트, 덕트의 일단에 설치되며, 제1 관통구와 제2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는 밀폐판, 및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단과 대향되는 덕트의 타단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제1 관통구에 결합되며, 외부의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안락사용 가스를 제1 관통구를 통해 덕트에 분사하는 가스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가스 공급 유닛; 제2 관통구에 결합되며, 외부의 거품액 공급원으로부터 거품액을 공급받는 거품액 공급관, 및 덕트에 위치하도록 거품액 공급관에 결합되며, 거품액 공급관으로부터 전달된 거품액과 덕트에 분사된 안락사용 가스가 결합되어 베이스 거품이 생성되는 거품 헤드를 구비하는 거품액 공급 유닛; 베이스 거품과 안락사용 가스가 각각 유입되도록 덕트에 설치되며, 다수의 그물눈들이 형성된 그물망 구조를 갖고, 그물눈들에서 베이스 거품과 안락사용 가스가 결합되어 동물 안락사용 거품이 생성되는 제1 거품망; 및 동물 안락사용 거품이 유입되도록 배출구에 설치되며, 다수의 그물눈들이 형성된 그물망 구조를 갖고, 그물눈들에서 동물 안락사용 거품이 균일한 크기를 갖도록 정형되는 제2 거품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거품 헤드는, 거품액 공급관을 통과한 거품액과 덕트에 분사된 안락사용 가스가 유입되는 헤드 본체; 및 다수의 그물눈들이 형성된 그물망 구조를 갖고, 헤드 본체에 유입된 거품액과 안락사용 가스가 결합되어 베이스 거품이 생성되는 거품 생성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헤드 본체는, 거품액 공급관과 거품 생성망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로; 및 덕트와 거품 생성망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가스 유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거품액 공급 유닛은, 거품액 공급관의 개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거품액 차단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거품액 공급 유닛은, 거품액 공급관을 통과하는 거품액의 압력을 측정하는 거품액 압력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 관통구는, 복수 개가 형성되며, 가스 공급 유닛은, 가스 분사 노즐에서 분사된 안락사용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유입부에 유입된 안락사용 가스를 복수의 경로로 분기하는 복수의 분기부를 갖는 분기관; 및 분기부들 중 어느 하나와 제1 관통구들 중 어느 하나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 관통구들은 제2 관통구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밀폐판과 제1 거품망 사이 공간을, 제1 관통구와 연통되는 제1 공간과, 제2 관통구와 연통되며 제1 거품망과 대면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덕트에 설치되는 구획 부재를 더 포함하며, 구획 부재는, 제1 공간에 분사된 안락사용 가스를 제2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가스 안내구를 구비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스 안내구는,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구획 부재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구획 부재는. 밀폐판에서 제1 거품망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깔때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구획 부재는, 일단이 밀폐판의 내측면과 접촉되고 또한 일단과 반대쪽의 타단이 덕트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거품액은, 적어도 물과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안락사용 가스는, 아르곤,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질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거품 헤드에서 생성된 베이스 거품을 다수의 거품망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정형하여 동물 안락사용 거품을 생성하므로, 동물이 흡입하기 용이하도록 균일한 크기로 정형된 동물 안락사용 거품을 생성할 수 있다.
둘째, 거품액을 거품 헤드를 이용해 거품 형태로 정형하여 거품망에 전달하므로, 거품망의 그물눈에 맺히지 못한 채 소실되는 거품액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셋째, 동물의 수용 공간에 동물을 둘러쌀 정도만 동물 안락사용 거품을 공급하여 동물을 안락사시킬 수 있으므로, 동물의 수용 공간 전체에 안락사용 가스를 충전하여 동물을 안락사시키는 경우에 비해 동물의 안락사에 필요한 안락사용 가스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의 부분 절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의 부분 절단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를 이용해 동물 안락사용 거품을 생성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A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1의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의 사용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의 부분 절단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1)(이하,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1)'라고 함)는, 거품액(L)과 안락사용 가스(G)를 결합하여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1)는, 본체(10), 구획 부재(20), 가스 공급 유닛(30), 거품액 공급 유닛(40), 제1 거품망(50) 및 제2 거품망(60)을 포함한다.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1)를 이용해 안락사 가능한 동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물은 구제역, 조류 인플루엔자 등의 악성 가축 전염병에 감염된 가축일 수 있다.
본체(10)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1)의 외형을 이루는 부재이다. 본체(10)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1)가 구비하는 각종의 구성 요소들을 설치하고 또한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을 생성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체(1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갖고, 덕트(11), 밀폐판(12) 및 배출구(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덕트(11)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며,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을 생성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덕트(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판(12)과 제1 거품망(5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덕트(14), 및 제1 거품망(50)과 제2 거품망(6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덕트(15)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덕트(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공급 유닛(30)에 의해 안락사용 가스(G)가 공급되는 제1 공간(16), 및 거품액 공급 유닛(40)에 의해 거품액(L)이 공급되는 제2 공간(17)을 포함한다.
밀폐판(12)은, 덕트(11)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며, 거품액(L)과 안락사용 가스(G)를 덕트(11)로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밀폐판(12)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밀폐판(12)은, 가스 공급 유닛(30)의 연결관(33)이 결합되는 제1 관통구(18), 및 거품액 공급 유닛(40)의 거품액 공급관(41)이 결합되는 제2 관통구(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구(1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덕트(14)의 제1 공간(16)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 관통구(18)의 형성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구(18)가 밀폐판(1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통구(1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통구(19)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관통구(18)에는, 후술할 가스 공급 유닛(30)의 연결관(33)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관통구(1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덕트(14)의 제2 공간(17)과 연통되도록 밀폐판(12)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관통구(19)에는, 후술할 거품액 공급 유닛(40)의 거품액 공급관(41)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출구(13)는, 덕트(11)의 하류 측 단부에 마련되며, 거품망(50)(60)들에서 생성된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배출구(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개방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은 배출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를 이용해 동물 안락사용 거품을 생성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A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4의 B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구획 부재(20)는, 제1 덕트(14)를 제1 관통구(18)들과 연통되는 제1 공간(16)과 제2 관통구(19)와 연통되는 제2 공간(17)으로 구획하는 부재이다. 구획 부재(2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획 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20a)에서 타단(20b)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또한 상기 일단(20a)과 상기 타단(20b)이 개방된 깔대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구획 부재(20)는, 일단(20a)에서 타단(20b)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사 구조를 갖는 것이다.
구획 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단(20a)이 밀폐판(12)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타단(20b)이 제1 덕트(14)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구획 부재(20)는, 일단(20a)이 밀폐판(12)의 제2 관통구(19)와 제1 관통구(18) 사이 부위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획 부재(20)에 의해 제1 덕트(14)는, 제1 관통구(18)들과 연통되며 가스 공급 유닛(30)에 의해 안락사용 가스(G)가 공급되는 제1 공간(16), 및 제2 관통구(19)들과 연통되며 거품액 공급 유닛(40)에 의해 거품액(L)이 공급되는 제2 공간(17)으로 구획된다.
구획 부재(20)는, 제1 공간(16)으로 분사된 안락사용 가스(G)를 제2 공간(17)으로 안내하는 가스 안내구(22)를 포함한다. 가스 안내구(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간(16)에 공급된 안락사용 가스(G)가 제2 공간(17)으로 안내되도록 형성된다. 가스 안내구(22)의 형성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스 안내구(22)는,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구획 부재(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스 안내구(22)가 마련됨에 따라, 안락사용 가스(G)는, 가스 안내구(22)들을 통해 제2 공간(17)으로 여러 방향에 걸쳐 고르게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구획 부재(20)는 밀폐판(12) 쪽에서 제1 거품망(50)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경사 구조를 가지므로, 가스 안내구(22)를 통과한 안락사용 가스(G)는 거품 헤드(42)의 유입구(46a)들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간(17)으로 안내된 안락사용 가스(G)는, 거품 헤드(42)의 유입구(46a)들에 유입된다.
가스 공급 유닛(30)은,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을 생성하기 위한 안락사용 가스(G)를 제1 덕트(14)의 제1 공간(16)으로 공급하는 부재이다. 가스 공급 유닛(3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스 공급 유닛(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분사 노즐(31), 분기관(32) 및 연결관(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의 생성을 위해 사용 가능한 안락사용 가스(G)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안락사용 가스(G)는, 아르곤(Ar),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02) 및 질소(N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인체에 거의 해가 없는 이산화탄소(C02) 및/또는 질소(N2)가 안락사용 가스(G)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분사 노즐(31)은, 외부의 가스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안락사용 가스(G)를 분사하는 부재이다. 가스 분사 노즐(31)은, 가스 호스(미도시)에 의해 외부의 가스 공급원과 연결되며, 가스 호스를 통해 외부의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전달받은 안락사용 가스(G)를 분사할 수 있다.
분기관(32)은, 가스 분사 노즐(31)에서 분사된 안락사용 가스(G)를 다수의 경로로 분기하는 부재이다. 분기관(32)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분기관(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분사 노즐(31)에서 분사된 안락사용 가스(G)가 유입되는 유입부(34), 및 유입부(34)에 유입된 안락사용 가스(G)를 분기하는 복수의 분기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33)은, 분기관(32)의 분기부(35)들 중 어느 하나와 밀폐판(12)의 제1 관통구(18)들 중 어느 하나를 상호 연결하는 부재이다. 연결관(33)은, 분기관(32)의 분기부(35)들과 밀폐판(12)의 제1 관통구(18)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분기관(32)의 분기부(35)와 동일한 개수가 마련된다. 각각의 연결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분기관(32)의 분기부(35)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타단이 밀폐판(12)의 제1 관통구(18)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거품액 공급 유닛(40)은,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을 생성하기 위한 거품액(L)을 제1 덕트(14)의 제2 공간(17)으로 공급하는 부재이다. 거품액 공급 유닛(4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거품액 공급 유닛(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액 공급관(41), 거품 헤드(42), 거품액 차단 밸브(43) 및 거품액 압력계(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의 생성을 위해 사용 가능한 거품액(L)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거품액(L)은, 거품의 생성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물과 계면 활성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거품액 공급관(41)은, 외부의 거품액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거품액(L)을 공급받는 부재이다. 거품액 공급관(41)의 후단부는, 거품액 호스(미도시)에 의해 외부의 거품액 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된다. 거품액 공급관(41)의 선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판(12)의 제2 관통구(19)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거품 헤드(42)의 헤드 본체(45)와 연결된다. 거품액 공급관(41)의 내부에는, 거품액 공급관(41)의 후단부와 선단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로(41a)가 형성된다. 이러한 거품액 공급관(41)은 거품액 호스를 통해 외부의 거품액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은 거품액(L)을 거품 헤드(42)에 전달할 수 있다.
거품 헤드(42)는 거품액 공급관(41)으로부터 전달받은 안락사용 가스(G)를 베이스 거품(Fb)으로 정형하여 제1 덕트(14)의 제2 공간(17)으로 분사하는 부재이다. 거품 헤드(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덕트(14)의 제2 공간(17)에 위치하도록 거품액 공급관(41)의 선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거품 헤드(42)가 고장난 경우에는 거품액 공급관(41)을 제2 관통구(19)로부터 분리한 후 거품 헤드(42)를 거품액 공급관(41)으로부터 분리하여, 거품 헤드(42)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거품 헤드(42)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거품 헤드(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액 공급관(41)을 통과한 거품액(L)과 제1 덕트(14)의 제2 공간(17)으로 안내된 안락사용 가스(G)를 거품 생성망(46)의 내부 공간(46a)에 분사하는 헤드 본체(45), 내부 공간(46a)에 분사된 거품액(L)과 안락사용 가스(G)가 결합되어 베이스 거품(Fb)이 생성되는 거품 생성망(46)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본체(45)는, 거품액 공급관(41)의 연통로(41a)와 연통되는 연통로(45a), 제1 덕트(14)의 제2 공간(17)과 거품 생성망(46)의 내부 공간(46a)을 연통시키는 가스 유입구(45b), 연통로(45a)를 통과한 거품액(L)을 거품 생성망(46)의 내부 공간(46a)에 분사하는 분사 부재(45c)를 포함한다.
분사 부재(45c)는, 연통로(45a)를 통과한 거품액(L)이 배출되는 연통로(45a)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분사 부재(45c)는, 분사 부재(45c)의 내부 공간(45d)과 거품 생성망(46)의 내부 공간(46a)을 연통시키는 거품액 분사구(45e)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스 유입구(45b)와 거품액 분사구(45e)는 각각, 이를 통과한 안락사용 가스(G)와 거품액(L)이 발산되도록 거품 생성망(46)의 내부 공간(46a)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품 생성망(46)은, 베이스 거품(Fb)이 일부 영역에 편중됨 없이 제1 거품망(50)의 전체 영역에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제1 거품망(50) 쪽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반구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거품 헤드(42)가 마련됨에 따라, 거품액(L)은 연통로(45a)와 거품액 분사구(45b)를 통해 거품 생성망(46)의 내부 공간(46a)에 분사되고, 안락사용 가스(G)는 가스 분사구(45b)를 통해 거품 생성망(46)의 내부 공간(46a)에 분사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액(L)이 거품 생성망(46)의 그물눈들에 맺혀 거품 생성망(46)의 그물눈들에 거품액막이 형성되고, 안락사용 가스(G)가 거품 생성망(46)의 그물눈들을 통과하면서 거품액막과 결합되어 베이스 거품(Fb)이 생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거품(F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 생성망(46)의 그물눈들을 통과한 안락사용 가스(G)에 의해 제1 거품망(50) 쪽으로 이동된다.
거품액 차단 밸브(43)는 거품액 공급관(41)의 개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부재이다. 거품액 차단 밸브(4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액 공급관(41)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거품액 차단 밸브(43)는, 연통로(41a)의 개도를 조절하여, 거품액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거품액 압력계(44)는, 거품액 공급관(41)을 통과하는 거품액(L)의 압력을 측정하는 부재이다. 거품액 압력계(4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액 차단 밸브(43)보다 거품액 공급관(41)의 하류 측에 위치하도록 거품액 공급관(41)에 설치된다. 거품액 압력계(44)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통상의 압력계가 거품액 압력계(44)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1 거품망(50)은 베이스 거품(Fb)을 정형하여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을 생성하는 부재이다. 제1 거품망(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덕트(14)의 제2 공간(17)을 통과한 베이스 거품(Fb)과 안락사용 가스(G)가 유입되도록 제2 공간(17)과 대면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1 거품망(50)은, 다수의 그물눈들이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그물망 구조를 갖는다. 제1 거품망(50)의 그물눈들은 전술한 거품 생성망(46)의 그물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거품망(50)이 마련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거품(Fb)이 제1 거품망(50)의 그물눈들을 만나 파괴되어 제1 거품망(50)의 그물눈들에 거품액막이 형성되고, 안락사용 가스(G)가 제1 거품망(50)의 그물눈들을 통과하면서 거품액막과 결합되어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이 형성된다. 제1 거품망(50)의 그물눈들이 거품 생성망(46)의 그물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은 베이스 거품(Fb)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게 된다. 이러한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액(L)과 결합되지 않은 채 제1 거품망(50)의 그물눈들을 통과한 안락사용 가스(G)에 의해 제2 거품망(60) 쪽으로 이동된다.
제2 거품망(60)은 제1 거품망(50)에서 생성된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을 균일한 크기로 정형하는 부재이다. 제2 거품망(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거품망(50)의 그물눈들을 통과한 안락사용 가스(G)와, 제1 거품망(50)에서 생성된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이 각각 유입되도록 배출구(13)에 설치된다. 제2 거품망(60)은, 다수의 그물눈들이 형성된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의 그물망 구조를 갖는다. 제2 거품망(60)의 그물눈들은 제1 거품망(50)의 그물눈들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2 거품망(60)이 마련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락사용 가스(G)와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이 제2 거품망(60)의 그물눈들에 각각 유입되면, 제2 거품망(60)의 그물눈들에서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이 균일한 크기로 정형된다. 즉, 제1 거품망(50)에서 생성된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은 크기가 불균일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이 제2 거품망(6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른 동물 안락사용 거품(Fe)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동물 안락사용 거품(Fea)이 다른 동물 안락사용 거품(Fe)과 유사한 크기로 분할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은, 거품액(L)과 결합되지 않은 채 제2 거품망(60)의 그물눈들을 통과한 안락사용 가스(G)에 의해 배출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제1 거품망(50)과 제2 거품망(60) 등 2개의 거품망이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더욱 균일한 크기를 갖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을 형성할 수 있도록 3개 이상의 거품망들이 거품 헤드(42)와 배출구(13)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의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1)를 이용한 동물 안락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동물(S)을 수용 가능한 컨테이너(70)를 마련한다.
다음으로, 동물(S)을 컨테이너(70)에 수용시킨다.
이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1)를 가동하여,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이 동물(S)들을 둘러싸도록 컨테이너(70)에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을 충전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수행하면, 컨테이너(70)에 수용된 동물(S)들은,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에 의해 공기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을 흡입하게 된다. 그러면, 동물(S)들은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에 포획되어 있던 안락사용 가스(G)만으로 호흡하게 되어 안락사된다. 따라서, 동물(S)을 안락사시키기 위해 동물 안락사용 거품(Fe)을 컨테이너(70) 전체 공간에 충전할 필요없이 동물(S)들을 둘러쌀 정도만 충전하면 되므로, 동물(S)을 안락사시키는데 필요한 안락사용 가스(G)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10 : 본체
20 : 구획 부재
30 : 가스 공급 유닛
40 : 거품액 공급 유닛
50 : 제1 거품망
60 : 제2 거품망
70 : 컨테이너
L : 거품액
G : 안락사용 가스
Fb : 베이스 거품
Fe, Fea : 동물 안락사용 거품
S : 동물

Claims (13)

  1. 내부에 형성된 덕트, 상기 덕트의 일단에 설치되며, 제1 관통구와 제2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는 밀폐판, 및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일단과 대향되는 상기 덕트의 타단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제1 관통구에 결합되며, 외부의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안락사용 가스를 상기 제1 관통구를 통해 상기 덕트에 분사하는 가스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가스 공급 유닛;
    상기 제2 관통구에 결합되며, 외부의 거품액 공급원으로부터 거품액을 공급받는 거품액 공급관, 및 상기 덕트에 위치하도록 상기 거품액 공급관에 결합되며, 상기 거품액 공급관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거품액과 상기 덕트에 분사된 안락사용 가스가 결합되어 베이스 거품이 생성되는 거품 헤드를 구비하는 거품액 공급 유닛;
    상기 베이스 거품과 상기 안락사용 가스가 각각 유입되도록 상기 덕트에 설치되며, 다수의 그물눈들이 형성된 그물망 구조를 갖고, 상기 그물눈들에서 상기 베이스 거품과 상기 안락사용 가스가 결합되어 동물 안락사용 거품이 생성되는 제1 거품망; 및
    상기 동물 안락사용 거품이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며, 다수의 그물눈들이 형성된 그물망 구조를 갖고, 상기 그물눈들에서 상기 동물 안락사용 거품이 균일한 크기를 갖도록 정형되는 제2 거품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헤드는,
    상기 거품액 공급관을 통과한 상기 거품액과 상기 덕트에 분사된 상기 안락사용 가스가 각각 유입되는 헤드 본체; 및
    다수의 그물눈들이 형성된 그물망 구조를 갖고, 상기 헤드 본체에 유입된 상기 거품액과 상기 안락사용 가스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거품이 생성되는 거품 생성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는,
    상기 거품액 공급관과 상기 거품 생성망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로; 및
    상기 덕트와 상기 거품 생성망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가스 유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액 공급 유닛은,
    상기 거품액 공급관의 개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거품액 차단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액 공급 유닛은,
    상기 거품액 공급관을 통과하는 상기 거품액의 압력을 측정하는 거품액 압력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구는,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은,
    상기 가스 분사 노즐에서 분사된 상기 안락사용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에 유입된 상기 안락사용 가스를 복수의 경로로 분기하는 복수의 분기부를 갖는 분기관; 및
    상기 분기부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 관통구들 중 어느 하나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구들은 상기 제2 관통구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과 상기 제1 거품망 사이 공간을, 상기 제1 관통구와 연통되는 제1 공간과, 상기 제2 관통구와 연통되며 상기 제1 거품망과 대면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덕트에 설치되는 구획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제1 공간에 분사된 상기 안락사용 가스를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가스 안내구를 구비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안내구는,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구획 부재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밀폐판에서 상기 제1 거품망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깔때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는, 일단이 상기 밀폐판의 내측면과 접촉되고 또한 상기 일단과 반대쪽의 타단이 상기 덕트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액은, 적어도 물과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락사용 가스는, 아르곤,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질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KR1020150082006A 2015-06-10 2015-06-10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KR101708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006A KR101708257B1 (ko) 2015-06-10 2015-06-10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006A KR101708257B1 (ko) 2015-06-10 2015-06-10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04A KR20160145404A (ko) 2016-12-20
KR101708257B1 true KR101708257B1 (ko) 2017-02-27

Family

ID=5773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006A KR101708257B1 (ko) 2015-06-10 2015-06-10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2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3104A1 (en) * 2017-10-19 2019-04-24 Anoxia B.V. A method of performing a procedure on an animal involving stunning and/or euthanizing said animal
KR20200145950A (ko) * 2019-06-21 2020-12-31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안락사용 가스거품 생성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9341A (ja) 2006-03-03 2007-09-13 Nohmi Bosai Ltd 泡発生装置
KR100765820B1 (ko) 2006-10-24 2007-10-10 주식회사 씨플러스 자력 회전형 포말발생기용 노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320B1 (ko) * 2010-08-31 2012-03-22 주식회사환경과생명 나노 기공 구조의 다공질 소결체 벤튜리 튜브를 이용한 다용도 나노 버블수 발생장치
KR101303768B1 (ko) * 2011-12-16 2013-09-11 대한민국 가축 안락사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9341A (ja) 2006-03-03 2007-09-13 Nohmi Bosai Ltd 泡発生装置
KR100765820B1 (ko) 2006-10-24 2007-10-10 주식회사 씨플러스 자력 회전형 포말발생기용 노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3104A1 (en) * 2017-10-19 2019-04-24 Anoxia B.V. A method of performing a procedure on an animal involving stunning and/or euthanizing said animal
KR20200145950A (ko) * 2019-06-21 2020-12-31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안락사용 가스거품 생성장치
KR102256137B1 (ko) * 2019-06-21 2021-05-28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안락사용 가스거품 생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04A (ko)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9105642A (ru) Средство приведения в действие для ингалятора
US7779838B2 (en) Inhalation therapy device
KR101708257B1 (ko)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RU2009105638A (ru) Средство приведения в действие для ингалятора
RU2015110026A (ru) Система с аппаратом искусственной вентиляции легких,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подачи аэрозоля
JP2011524228A5 (ko)
JP2009520514A5 (ko)
JP2015211850A5 (ko)
TW201729868A (zh) 壓縮空氣泡沫流體混合裝置
RU2012119994A (ru) Пенообраз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жарных рукавов
KR101771444B1 (ko) 동물 안락사용 거품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대차
RU2009105639A (ru) Средство приведения в действие для ингалятора
KR101677094B1 (ko) 동물 안락사용 거품 발생 장치
KR101044390B1 (ko) 중공섬유를 이용하는 호흡장치
AU2016380926B2 (en) Air-flow in a nebulizer head
KR20110061231A (ko) 산불 소화장치
KR101960133B1 (ko) 기구 헤드, 기구 헤드를 가지는 투약 기구, 투약 시스템, 및 공급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KR102256137B1 (ko) 안락사용 가스거품 생성장치
RU175400U9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US9808592B2 (en) Nebulizing catheter for bronchial therapy
JP6660620B2 (ja) 歯漂白装置
KR102330749B1 (ko) 기도내 분사장치
KR102294995B1 (ko) 동물 안락사용 질소 거품발생장치
CN205198204U (zh) 动物烟雾吸入装置
JP3210494U (ja) 美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