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995B1 - 동물 안락사용 질소 거품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동물 안락사용 질소 거품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995B1
KR102294995B1 KR1020190086355A KR20190086355A KR102294995B1 KR 102294995 B1 KR102294995 B1 KR 102294995B1 KR 1020190086355 A KR1020190086355 A KR 1020190086355A KR 20190086355 A KR20190086355 A KR 20190086355A KR 102294995 B1 KR102294995 B1 KR 102294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gen
mixed solution
nitrogen bubble
bubble generating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608A (ko
Inventor
강장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지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지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지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9008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9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3/00Slaughtering or stunning
    • A22B3/005Slaughtering or stunning by means of gas
    • B01F15/0035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4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 B01F27/1143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screw-shaped, e.g.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2Level of the material in the mix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00416
    • B01F2003/0484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4Mixing biocidal, pesticidal or herbicidal ingredients used in agriculture or horticulture, e.g. for spraying
    • B01F2215/0009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신속하게 많은 가축을 안락사 처리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 세정액 및 글리세린의 혼합액으로 채워지는 혼합액 통과, 혼합액 통 내의 혼합액과 질소에 의해 질소 거품이 만들어 지는 질소거품발생 통과, 질소거품발생 통의 하부에 구비되는 질소가스 주입구와, 질소거품발생 통의 상부에 구비되는 혼합액 주입구와, 질소거품발생 통 상부의 일측에 구성되는 모터와, 모터에 연동되어 질소거품을 발생시키는 스크류와, 질소거품발생 통의 상부로 발생된 질소거품이 토출되는 질소거품 토출구와, 질소거품 토출구가 1개 이상 병렬 도킹 구성되어 다량의 질소거품을 토출할 수 있도록 메인 토출구가 구성되어, 안락사 시키고자하는 가축의 수에 따라 질소거품을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물 안락사용 질소 거품발생장치{Nitrogen bubble generator for Animal euthanasia}
본 발명은 질소거품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성가축전염병의 발생으로 인한 가축 등을 안락사시키기 위한 동물 안락사용 질소 거품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제역, 조류 인플루엔자 등의 가축전염병으로 가축 등을 안락사 시키기 위해 현재 다양한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으나 동물 복지와 관련하여 많은 문제점이 지적됨에 따라 위급한 순간에 많은 가축을 안락사 시키는데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방법은 일정공간에 가축을 수용하고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질식사 시키는데 강한 산성인 이산화탄소 주입 즉시 바로 호흡이 불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가축이 극심한 고통을 받게 되며, 산소 결핍을 이용한 질식사 방법 또한 가축이 죽을 때 고통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가스를 활용한 방법은 가금류 중 육계에서만 국한되게 사용가능했으며, 돼지의 안락사처리 시 활용된 약물을 이용한 안락사처리방법은 정맥을 통한 정확한 주입방법을 제외하고는 약물의 효과가 거의 없으며 약품공급 또한 원활하지 못하여 신속하게 많은 가축을 안락사 처리하는데 문제가 많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살처분 가축을 구제역 및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지역에서 매립지를 조성하여 생매장시킴으로 인하여 고통 없이 가축을 안락사 시킬 수 있는 대책이 시급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3768(2013.08.2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6778(2017.12.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7094(2016.11.11)
일반적으로 가축전염병으로 가축들을 안락사시키는 방법은 등록특허 제10-1303768. 제10-1677094과 같이 가축을 살처분 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등의 한정된 장소에 가축을 가두어 두고 이산화탄소(CO2), 아르곤(Argon), 질소(Nitrogen) 등의 가스에 의한 가스 폼(gas foam)을 채워 넣거나, 등록특허 제10-1806778의 별도로 제작된 호흡기계의 후두 부분에 외력을 가하여 동물을 안락사 시키는데, 안락사 시키고자 하는 가축이 수가 다수일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효과적으로 질소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질소거품발생 통을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병렬로 도킹 구성하여 다량의 질소거품을 토출하여 신속히 많은 수의 가축들을 살처분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속하게 많은 가축을 안락사 처리하기 위하여 물, 세정액 및 글리세린의 혼합액으로 채워지는 혼합액 통과, 혼합액 통 내의 혼합액과 질소에 의해 질소 거품이 만들어 지는 질소거품발생 통과, 질소거품발생 통의 하부에 구비되는 질소가스 주입구와, 질소거품발생 통의 상부에 구비되는 혼합액 주입구와, 질소거품발생 통 상부의 일측에 구성되는 모터와, 모터에 연동되어 질소거품발생 통의 하부에 질소거품을 발생시키는 스크류와, 질소거품발생 통의 상부로 발생된 질소거품이 토출되는 질소거품 토출구와, 질소거품 토출구가 질소거품의 필요량에 따라 1개 이상 병렬 도킹 구성되어 다량의 질소거품을 토출할 수 있도록 메인 토출구가 구성된다.
그리고 물, 세정액 및 글리세린의 혼합액이 물 95~97, 천연물질로 구성된 계면활성제 2~3, 발생된 거품을 오래 지속시키기 위한 식물성 글리세린 1~2의 부피비율이 되도록 혼합 구성되며, 질소 가스는 1분당 0.2루베(200리터)의 질소가 질소거품발생 통에 투입되어 혼합액과 섞이도록 구성한다.
또한 혼합액 통으로부터 혼합액을 펌핑하기 위해 모터로 구성된 펌핑부가 더 구성되며, 펌핑부 후단에 각각의 노즐을 통하여 혼합액 통으로부터 혼합액을 거품발생 통의 상부에 구비되는 혼합액 주입구로 각각의 혼합액 유로관이 연결 구성된다.
그리고 거품발생 통의 상부에 구비되는 혼합액 주입구와 연동되어 거품발생 통 내부의 혼합액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수위 조절장치가 더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질소거품발생장치는 안락사 시키고자하는 가축의 수에 따라 질소거품을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으며, 대부분의 질소거품 외에 소량의 산소를 포함하는 거품을 이용하므로 저산소증 상태 하에서 안락사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혼합액 통과 질소거품발생 통과의 연결 관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각각의 거품발생 통의 병렬 도킹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혼합액 통과 질소거품발생 통과의 연결 관계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각각의 거품발생 통의 병렬 도킹 구성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동물 안락사용 질소거품발생장치는 신속하게 많은 가축을 안락사 처리하기 위하여 물, 세정액 및 글리세린의 혼합액으로 채워지는 혼합액 통(10)과, 혼합액 통 내의 혼합액과 질소에 의해 질소 거품이 만들어 지는 질소거품발생 통(11)과, 질소거품발생 통의 하부에 구비되는 질소가스 주입구(12)와, 질소거품발생 통의 상부에 구비되는 혼합액 주입구(13)와, 질소거품발생 통 상부의 일측에 구성되는 모터(14)와, 모터에 연동되어 질소거품발생 통의 하부에 질소거품을 발생시키는 스크류(15)와, 질소거품발생 통의 상부로 발생된 질소거품이 토출되는 질소거품 토출구(21)와, 질소거품 토출구가 질소거품의 필요량에 따라 자유롭게 병렬 도킹 구성되어 다량의 질소거품을 토출할 수 있도록 메인 토출구(22)가 연결 구성된다.
산기 혼합액 통(10)에는 물, 세정액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혼합액(16)으로 채워지고, 상기 혼합액 통(10)으로부터 혼합액(16)을 펌핑부(17)의 압력 펌프에 의해 펌핑되고 밸브(19)를 통하여 혼합액 유로관(20)과 혼합액 주입구(13)을 거처 거품발생 통(11)에 연결되어 혼합액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벨브(19)는 펌핑부(17)의 후단에 구성되는데 다수개의 밸브가 구성되어져 있어서 사용 환경에 따라 도 2와 같이 메인 토출구(22)를 중심으로 병렬구성된 질소거품발생 통을 자유로이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질소거품발생 통(11)에 공급되는 혼합액은 물 95~97, 천연물질로 구성된 계면활성제 2~3, 발생된 거품을 오래 지속시키기 위한 식물성 글리세린 1~2의 부피비율이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되며, 질소거품발생 통(11) 내의 혼합액이 부족할 때 부력을 이용하는 자동 수위조절장치(18)에 의해 혼합액 주입구(13)가 개방되어 혼합액 통(10)에 혼합액을 자동 공급한다.
특히 다수개의 밸브(19)가 구성된 공간과 혼합액 유로관(20)은 펌핑부(17)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압력이 걸려 있는데 질소거품발생 통(11)에 혼합액이 모자랄 경우 부력을 이용하는 자동수위 조절장치(18)에 의해 혼합액 주입구(13)가 열리게 되고, 밸브가 구성된 공간과 혼합액 유로관(20) 내부의 압이 떨어지게 되므로 일정 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펌핑부(17)가 구동되어 혼합액이 혼합액 유로관(20)을 거처 질소거품발생 통(11)에 공급됨으로써 혼합액을 자동으로 보충하게 된다.
그리고 질소거품발생 통(11)의 하부에는 질소가스 주입구(12)가 구비되어 혼합액의 하부에 공급되는 질소와 질소거품발생 통(11)의 상부 측 외부에 구성된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동된 질소거품발생 통(11) 내부의 하부 측에 위치하는 스크류(15)에 의해 생성되는 거품에 자연스럽게 질소가 섞이게 되어 질소거품이 만들어지게 된다.
상기 만들어지는 질소거품을 오래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혼합액에 글리세린을 혼합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글리세린은 친 환경적인 식물성 글리세린을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혼합액에 사용되어 거품을 만들어내는 계면활성제 또한 친 환경적인 천연물질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혼합액(16) 물95~97, 천연물질로 구성된 계면활성제 2~3, 발생된 거품을 오래 지속시키기 위한 식물성 글리세린 1~2의 부피비율이 되도록 혼합사용하며, 여기에 질소거품발생 통(11)의 하부 측의 질소가스 주입구(12)로부터 공급되는 질소 가스는 1분당 0.2루베(200리터)의 질소가 투입되어 혼합액과 섞이게 됨과 동시에 스크류의 구동에 의해 거품이 생성되고 거품의 내부에 질소가스가 함유된 질소거품이 만들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질소거품은 각각의 질소거품발생 통(11)의 상부 중앙부에 구성된 질소거품 토출구(21)를 통하여 메인 토출구(22)에 도킹되어 질소거품이 토출되게 된다.
특히, 본원 발명은 필요한 양 만큼의 질소거품을 얻기 위하여 각각의 질소거품발생 통(11)을 병렬로 구성하여 질소거품 토출구(21)를 메인토출(22)구에 도킹시키고 벨브(19)를 열고 닫음으로써 질소거품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혼합액 통(10)
질소거품발생 통(11)
질소가스 주입구(12)
혼합액 주입구(13)
모터(14)
스크류(15)
혼합액(16)
펌핑부(17)
자동수위 조절장치(18)
밸브(19)
혼합액 유로관(20)
질소거품 토출구(21)
메인 토출구(22)

Claims (6)

  1. 물, 세정액 및 글리세린의 혼합액으로 채워지는 혼합액 통;
    상기 혼합액 통 내의 혼합액과 질소에 의해 질소 거품이 만들어지는 다수개의 질소거품발생 통;
    상기 질소거품발생 통의 하부에 구비되는 질소가스 주입구;
    상기 질소거품발생 통의 상부에 구비되는 혼합액 주입구;
    상기 질소거품발생 통 상부의 일측에 구성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동되어 질소거품발생 통의 하부에 질소거품을 발생시키는 스크류;
    상기 질소거품발생 통의 상부로 발생된 질소거품이 토출되는 질소거품 토출구; 및
    상기 혼합액 통으로부터 혼합액을 펌핑하기 위해 모터로 구성된 펌핑부;
    상기 질소거품 토출구가 질소거품의 필요량에 따라 1개 이상 병렬 도킹 구성되어 다량의 질소거품을 토출할 수 있도록 메인 토출구가 구성되고,
    상기 혼합액 통의 혼합액은 상기 펌핑부 후단에 구성된 다수개의 밸브를 통하여, 각각의 밸브와 연결된 혼합액 유로관을 통하여 각각의 혼합액 주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질소거품발생 통에 공급되고,
    상기 혼합액 주입구와 연동되어 상기 질소거품발생 통 내부의 혼합액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수위 조절장치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질소거품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세정액 및 글리세린의 혼합액은 물95~97, 천연물질로 구성된 계면활성제 2~3, 발생된 거품을 오래 지속시키기 위한 식물성 글리세린 1~2의 부피비율이 되도록 혼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질소거품발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가스는 1분당 0.2루베(200리터)의 질소가 질소거품발생 통에 투입되어 혼합액과 섞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안락사용 질소거품발생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86355A 2019-07-17 2019-07-17 동물 안락사용 질소 거품발생장치 KR102294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355A KR102294995B1 (ko) 2019-07-17 2019-07-17 동물 안락사용 질소 거품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355A KR102294995B1 (ko) 2019-07-17 2019-07-17 동물 안락사용 질소 거품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608A KR20210009608A (ko) 2021-01-27
KR102294995B1 true KR102294995B1 (ko) 2021-08-27

Family

ID=7423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355A KR102294995B1 (ko) 2019-07-17 2019-07-17 동물 안락사용 질소 거품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9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090A (ja) * 2001-07-26 2003-02-12 Fukuoka Sanso Kk 動物処分装置と動物処分方法、及び動物処分装置に使用する炭酸ガス回収装置と炭酸ガス回収方法
WO2007129100A1 (en) * 2006-05-09 2007-11-15 Rentokil Initial 1927 Plc Humane animal euthanasia method
KR101303768B1 (ko) 2011-12-16 2013-09-11 대한민국 가축 안락사 처리장치
KR101877035B1 (ko) * 2016-10-27 2018-07-1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살충용 거품제제 사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778B1 (ko) 2014-09-22 2017-12-07 최승규 애완동물 안락사를 위한 장치
KR101677094B1 (ko) 2014-11-17 2016-11-18 대한민국 동물 안락사용 거품 발생 장치
KR20190001381U (ko) * 2017-12-01 2019-06-11 경기도 휴대용 신속 가금안락사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090A (ja) * 2001-07-26 2003-02-12 Fukuoka Sanso Kk 動物処分装置と動物処分方法、及び動物処分装置に使用する炭酸ガス回収装置と炭酸ガス回収方法
WO2007129100A1 (en) * 2006-05-09 2007-11-15 Rentokil Initial 1927 Plc Humane animal euthanasia method
KR101303768B1 (ko) 2011-12-16 2013-09-11 대한민국 가축 안락사 처리장치
KR101877035B1 (ko) * 2016-10-27 2018-07-1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살충용 거품제제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608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6488B (zh) 混合具有细粒固体的密闭容器中的液体的方法,这种容器,喷射器喷射嘴以及这种喷射嘴的用途
US10874110B2 (en) Method of performing a procedure on an animal involving stunning and/or killing said animal
MX2019004866A (es) Aparato de limpieza.
KR20110111861A (ko) 약액 분사장치
US11103838B2 (en) Jet injection device
KR20170045858A (ko) 휴대용 전동식 연무기
KR100991250B1 (ko) 고효율 자체발열 중, 고온 호기성 소화장치
KR101637531B1 (ko) 무인방제장치
MY197617A (en) Gas injection systems for optimizing nanobubble formation in a disinfecting solution
KR102505233B1 (ko) 나무 주입 시스템 및 방법
KR102294995B1 (ko) 동물 안락사용 질소 거품발생장치
KR101677094B1 (ko) 동물 안락사용 거품 발생 장치
KR101051367B1 (ko) 미세폭기장치
JPH09173804A (ja) 気液溶解混合方法と装置
KR102046709B1 (ko) 농약 또는 소화약제 살포용 드론
KR101232340B1 (ko) 에어포그 발생장치
JP5024144B2 (ja) 気体溶解器
CN112236219B (zh) 微细气泡生成装置
KR200486839Y1 (ko) 양어장용 산소 공급장치
KR101690293B1 (ko) 농업용 산소수 공급장치
CN108236565B (zh) 水疗设备及该水疗设备的消毒方法
US2327335A (en) Pressure proportioner
JP6310313B2 (ja) 噴霧装置
CN107304573A (zh) 一种用于马桶的卫生泡沫器的供液装置和供液方法
US20180071051A1 (en) Powder mixed gas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