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209B1 - 컨텐츠 제공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209B1
KR101708209B1 KR1020140108352A KR20140108352A KR101708209B1 KR 101708209 B1 KR101708209 B1 KR 101708209B1 KR 1020140108352 A KR1020140108352 A KR 1020140108352A KR 20140108352 A KR20140108352 A KR 20140108352A KR 101708209 B1 KR101708209 B1 KR 101708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content
interest
information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993A (ko
Inventor
박양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140108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209B1/ko
Priority to JP2015162852A priority patent/JP6095740B2/ja
Publication of KR2016002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1인 이상이 참여하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애플리케이션{METHOD, DEVICE AND COMPUTER APPLICATION OF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및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IMS, Instant Message Service)는 전자우편 프로그램이나 웹 브라우저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발신자가 보낸 메시지가 수신자의 디바이스의 화면에 즉시로 뜨도록 하는 실시간 온라인 의사소통 서비스를 의미한다. 특히,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채팅, 음성 및 영상통화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MIM(Mobile Instant Messenger) 서비스라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2315호에는 인스턴트 메시지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뉴스, 동영상, 이미지 등의 컨텐츠를 제공받으려면 컨텐츠를 제공하는 각종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해야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이 제공받은 컨텐츠를 자신과 공통 관심사를 갖는 제 3자와 공유하기 위해서는 직접 컨텐츠의 URL을 복사하여 인스턴트 메시지를 통해 전달하거나, 캡처, 파일 전송 등의 방법을 이용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자신과 공통 관심사를 갖는 다른 사용자들과 컨텐츠를 공유하려면 직접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직접 전달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과 공통 관심사를 가지는 제 3자와 컨텐츠 공유시, 공통 관심사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직접 선택하지 않아도,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인스턴트 메시지를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직접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지 않더라도,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컨텐츠를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디바이스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1인 이상이 참여하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시키는 계정 연동부,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1인 이상이 참여하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을 표시하는 채팅방 표시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시키고,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1인 이상이 참여하는 채팅방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상기 채팅방 상에 표시하되,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함으로써, 사용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직접 접속하지 않더라도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하고,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채팅방 상에 표시함으로써,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들과 무관한 컨텐츠가 아닌 사용자들이 공통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이 없어도,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공통 관심사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가 채팅방 상의 소정의 영역에 표시된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및 아이콘 클릭시 표시되는 컨텐츠의 목록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컨텐츠의 참여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하여 디바이스 상에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표시하는 일련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b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에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하여 디바이스 상에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표시하는 일련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c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참여도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하고 이를 디바이스 상에 표시하는 일련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d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에서 채팅방 상의 인스턴트 메시지를 파싱하여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하고 이를 디바이스 상에 표시하는 일련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 디바이스(200) 및 외부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 1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은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을 구성하는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이때 컨텐츠는 뉴스, 상품, 서비스, 게임 아이템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200)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제 1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20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200) 상에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200) 상에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다른 디바이스 상에 설치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디바이스(200)에서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300)로 전달하기 위한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외부 디바이스(300)로 전송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300)에서 전달한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 및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독립적인 서버 컴퓨터(server computer)에 위치하여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 1의 (A)와 같이 동일한 서버 컴퓨터에서 서버 프로그램(server program)으로 탑재되어 각각 실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 지칭하도록 한다.
디바이스(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컨텐츠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200)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200)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다른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에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디바이스(200)에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300)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수신된 인스턴트 메시지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 표시된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300)는 디바이스(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은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된다.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으로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 로그인을 요청하고,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가 로그인을 허용함으로써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허용 단계가 추가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로그인 단계와 별도로 디바이스(200)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연동을 위한 요청을 전송하면,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계정 연동 요청을 수신하고, 계정 연동을 허용함으로써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은 연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은 온라인 상에서 미리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동일한 계정일 수 있다. 즉, 하나의 계정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고,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은 서로 상이한 별개의 계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이 별개로 존재하는 경우에도, 계정 연동을 통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연동시킴으로써, 제 1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컨텐츠 중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의 공통 관심사에 해당하는 컨텐츠(이하, 공통 관심사 컨텐츠)는 채팅방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채팅방에 표시되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는 컨텐츠 자체 또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컨텐츠의 요약 설명, 컨텐츠가 저장된 서버 주소 등)일 수 있다.
한편, 공통 관심사 컨텐츠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 참여하는 적어도 1인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때,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가입자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즉,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관심 카테고리 입력창 또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관심 카테고리 입력창을 통해 입력한 하나 이상의 관심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수집될 수 있다.
또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컨텐츠의 참여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가 제 1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댓글 이력, 공유 이력 및 선호도 이력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참여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참여도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주고받은 인스턴트 메시지를 파싱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즉,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주고받은 인스턴트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미리 분류된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에 매칭시키며, 매칭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관심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관심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참고로, 디바이스(200) 및 외부 디바이스(300)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디바이스(200) 및 외부 디바이스(300)는 휴대용 단말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즉,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일 수 있다. 이외에도 디바이스(200) 및 외부 디바이스(300)는 PC 등과 같이 서버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에 포함된 디바이스(200)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는 계정 연동부(210), 채팅방 표시부(220), 컨텐츠 수신부(230) 및 컨텐츠 표시부(240)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2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2의 디바이스(200)의 구성도는 도 1 및 이하 도면들에서 설명되는 디바이스(200) 및 외부 디바이스(300)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디바이스(200)의 구성도에 대하여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디바이스(200) 및 외부 디바이스(300) 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으로 대신할 수 있다.
계정 연동부(210)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시킨다. 즉, 계정 연동부(21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시키기 위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으로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 로그인을 요청하고,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가 로그인을 허용함으로써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은 제 2 애플리케이션과 계정이 연동될 수 있다. 이때, 로그인 단계와 별도로 디바이스(200)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 계정 연동을 요청하면,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계정 연동 요청에 따라 계정 연동을 허용함으로써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은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계정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됨으로써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공통 관심사 컨텐츠는 제 1 애플리케이션에서 직접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110)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 전달하고, 전달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 표시될 수도 있다.
채팅방 표시부(22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을 표시한다. 이때, 표시된 채팅방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1인 이상이 참여한다. 그리고, 채팅방 상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중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가 표시된다. 이때,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될 수 있며, 하나 이상의 관심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200)는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받는 수신 요청 입력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요청 입력부(260)는 채팅방의 개설과 동시에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수신 요청 입력부(260)는 채팅방이 표시된 후,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컨텐츠 수신부(23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한다. 이때,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그리고, 공통 관심사 컨텐츠는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 모두 또는 과반수 이상과 매칭되는 관심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수신부(23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컨텐츠 제공 서버(110)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 전달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컨텐츠 표시부(240)는 컨텐츠 수신부(230)가 수신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한다. 이때, 컨텐츠 표시부(240)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인스턴트 메시지 형태로 채팅방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컨텐츠 수신부(230)가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중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된 컨텐츠를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할 경우, 컨텐츠 표시부(240)는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의 소정의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가 채팅방 상의 소정의 영역에 표시된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뉴스로서 공통 관심사가 스포츠로 결정된 경우, 컨텐츠 수신부(230)는 스포츠 뉴스 중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된 스포츠 뉴스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된 컨텐츠는 실시간으로 가장 이슈가 되는 주요 뉴스와 같은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 수신부(230)가 스포츠 뉴스 중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된 뉴스를 수신하면, 컨텐츠 표시부(240)는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된 뉴스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방의 소정의 영역인 채팅방의 상단(22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팅방의 소정의 영역에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주고 받는 인스턴트 메시지로 인해 인스턴트 메시지 형태로 표시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가 채팅방 상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들은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표시부(240)는 팝업 목록 형태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채팅방은 수신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창 또는 채팅방의 제어창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및 아이콘 클릭시 표시되는 컨텐츠의 목록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아이콘이 채팅방의 제어창에 포함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채팅방의 제어창을 활성화시키면, “뉴스 버튼” 아이콘(223)이 다른 제어 아이콘들과 함께 표시된다. “뉴스 버튼” 아이콘(223)을 선택하면, 디바이스(200)에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목록이 활성화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200)는 아이콘을 통해 팝업 형태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어,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은 인스턴트 메시지 형태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시기에 아이콘을 통한 컨텐츠 목록을 팝업시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키워드를 입력받고,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카테고리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250)는 제 1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25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250)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250)는 제 1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관심 카테고리 입력창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카테고리 입력창은 정치, 증권, 스포츠, 캠핑,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체크박스(251) 형태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입력을 통해 관심 카테고리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카테고리 입력창을 통해 키워드를 입력받고,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카테고리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카테고리 입력창(253)을 통해 “정치”, “증권” 및 “스포츠”라는 키워드를 입력하여 관심 카테고리를 추가할 수 있고, 추가된 키워드는 삭제 버튼을 통해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관심 카테고리 입력창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관심 카테고리 입력창은 체크박스나 키워드 입력 형태가 아니라 카테고리에 대한 이미지, 동영상, 슬라이드를 선택하는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활성화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200)에서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관심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수집되거나,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관심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수집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가 제 1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관심 카테고리 입력창을 통해 입력한 관심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먼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하여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250)를 통해 하나 이상의 관심 카테고리 입력되면, 하나 이상의 관심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입력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가 각 사용자 별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10)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부터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받으면,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전송 요청에 따라, 각 사용자 별로 매칭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의 공통 관심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공통 관심사 정보에 대응하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디바이스(200)로 직접 전송하거나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입력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가 각 사용자 별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별로 매칭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관심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공통 관심사 정보가 결정되면,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 공통 관심사 정보에 대응하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디바이스(200)에 직접 전송하거나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하여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 받는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25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250)를 통해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하는 방법은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화된 관심 카테고리 입력창의 체크박스 입력이나 키워드 입력을 통해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할 수 있으며, 그밖에 다양한 방법으로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할 수 있다.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250)를 통해 제 2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관심 카테고리가 입력되면,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입력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가 각 사용자 별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들의 공통 관심사 정보를 결정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 공통 관심사 정보에 대응하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한다. 전송 요청을 받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디바이스(200)로 직접 전송하거나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200)에서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제 1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관심 카테고리 입력창을 통한 입력이 아닌 채팅방 상의 인스턴트 메시지를 파싱하여 관심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200)는 컨텐츠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관심 카테고리 설정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심 카테고리 설정부(270)는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주고 받은 인스턴트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미리 분류된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에 매칭시키며, 매칭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관심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정치”로 카테고리가 미리 분류되어 있고, 사용자들이 주고받은 대화 중 “축구하자”라는 대화가 있는 경우, “축구”라는 키워드를 추출하여 “스포츠” 카테고리에 매칭시켜, “스포츠”를 관심 카테고리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관심 카테고리 설정부(270)는 키워드가 미리 분류된 카테고리에 매칭되는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 매칭된 카테고리를 관심 카테고리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카테고리에 매칭되는 키워드가 추출된 경우마다 관심 카테고리로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횟수 이상의 키워드가 추출된 경우에 한해 관심 카테고리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들에게 보다 신뢰성 있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관심 카테고리 설정부(270)는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주고받은 인스턴트 메시지를 기 설정된 주기로 파싱하여 관심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관심 카테고리 설정부(270)는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할 때마다 파싱하는 것이 아니라, 기 설정된 주기로 인스턴트 메시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미리 분류된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에 매칭시키며, 매칭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관심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관심 카테고리 설정부(270)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파싱하여 관심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200)의 관심 카테고리 설정부(200)에서 관심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서 인스턴트 메시지를 파싱할 수도 있다. 즉,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주고 받은 인스턴트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여, 카테고리에 매칭시킨 후, 이에 따라 관심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200)에서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컨텐츠의 참여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전송 요청에 따라 컨텐츠의 참여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추출된 참여도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를 결정하며, 결정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따라 결정된 공통 관심사 정보에 대응하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디바이스(200)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참여도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컨텐츠의 참여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여도 정보는 컨텐츠에 대한 댓글 이력, 공유 이력 및 선호도 이력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가 뉴스인 경우, 사용자는 뉴스가 표시된 화면 하단에 활성화된 창(271)을 통해 댓글 입력, 컨텐츠 공유 및 선호도 입력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뉴스에 대한 댓글을 남긴 이력에 기초하여 참여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뉴스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한 횟수 등의 이력에 기초하여 참여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해당 뉴스에 대한 선호도 이력, 즉 “좋아요” 또는 “싫어요” 버튼이나, “추천”과 같은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이와 같은 버튼을 입력한 이력에 기초하여 참여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참여도 정보는 디바이스(200) 사용자의 댓글 이력, 공유 이력 및 선호도 이력 중 하나 이상이 존재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참여도 정보가 포함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참여도 정보는 디바이스(200) 사용자의 댓글 이력, 공유 이력 및 선호도 이력 중 하나 이상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존재하는 카테고리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참여도 정보는 댓글 이력, 공유 이력 및 선호도 이력 중 하나 이상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존재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참여도 정보 추출시 디바이스(200) 사용자뿐만 아니라 외부 디바이스(300) 사용자의 댓글 이력, 공유 이력 및 선호도 이력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110) 및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 및 참여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저장부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먼저,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시킨다. 이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은 서로 동일한 계정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서로 별개의 계정일 수도 있다. 즉, 하나의 계정으로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할 수도 있으며, 각각 상이한 계정을 통해 접속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이 별개로 존재하는 경우에도, 계정 연동을 통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 1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200)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디바이스(200)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다른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에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1인 이상이 참여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을 표시한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의미하며, 채팅방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1인 이상이 참여한다. 이에 따라, 하기 도 7a 내지 도 7b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가 관심 카테고리를 설정한 경우, 복수의 사용자 중 채팅방에 참여하고 있는 적어도 1인 이상의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공통 관심사 컨텐츠가 결정되고, 결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가 채팅방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사용자 중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한다. 이때, 관심 카테고리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다.
이와 같은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서 참여도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채팅방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내용을 파싱하여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하여 디바이스(200) 상에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표시하는 일련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디바이스(200)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연동시킨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시키기 위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으로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 로그인을 요청하고,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가 로그인을 허용함으로써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허용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즉, 로그인 단계와 별도로 디바이스(200)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연동을 위한 요청을 전송하면,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계정 연동 요청을 수신하고, 계정 연동을 허용함으로써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은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 이상의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하면, 하나 이상의 관심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 저장된다. 이때,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입력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가 각 사용자 별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채팅방이 표시되면(S110),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로부터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 받는다(S120). 이와 달리, 디바이스(200)는 채팅방의 개설과 동시에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 받음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한다(S130). 그리고,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전송 요청에 따라 각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 별로 매칭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관심사 정보를 결정한다(S140). 이와 같이 결정된 공통 관심사 정보에 대응하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는 디바이스(200)로 전송되거나(S150),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 전송되어 디바이스(200)에 전송될 수 있다(S155). 컨텐츠 제공 서버(110)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부터, 디바이스(200)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고(S160),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한다(S170).
도 7b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하여 디바이스(200) 상에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표시하는 일련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200)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연동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 1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 이상의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하면, 하나 이상의 관심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 저장된다. 이때,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입력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가 각 사용자 별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채팅방이 표시되면(S210),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로부터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 받는다(S220).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받음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의 공통 관심사 정보를 결정하고(S230),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 공통 관심사 정보에 대응하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한다(S240).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부터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받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디바이스(200)로 직접 전송하거나(S250),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 전송하며, 디바이스(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전송되거나(S250), 인스턴트 메시지로부터 전송된(S255)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고(S260), 수신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한다(S270).
도 7c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서 참여도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하고 이를 디바이스(200) 상에 표시하는 일련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도 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연동시킨다. 그리고,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채팅방이 표시되면(S310),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로부터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 받는다(S320).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받음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에 대응하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한다(S330). 전송 요청을 받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컨텐츠의 참여도 정보를 추출한다(S340). 이때, 참여도 정보는 컨텐츠에 대한 댓글 이력, 공유 이력 및 선호도 이력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참여도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참여도 정보가 추출되면, 추출된 참여도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를 결정하고(S350), 결정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따라 결정된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의 공통 관심사 정보에 대응하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하여(S360), 디바이스(200)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S370). 이에 따라, 디바이스(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부터 전송 받은(S375)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고(S380),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한다(S390).
도 7d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에서 채팅방 상의 인스턴트 메시지를 파싱하여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하고 이를 디바이스(200) 상에 표시하는 일련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채팅방이 표시되면(S410),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로부터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 받는다(S420).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수신 요청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사용자가 주고 받은 인스턴트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S430), 추출된 키워드를 미리 분류된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에 매칭시킴에 따라 관심 카테고리를 설정하고(S440), 이에 따라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S450). 공통 관심사 컨텐츠가 결정됨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 공통 관심사 정보에 대응하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한다(S460).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부터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받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디바이스(200)로 직접 전송하거나(S470),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 전송하며, 디바이스(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전송되거나(S470), 인스턴트 메시지로부터 전송된(S475)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고(S480), 수신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한다(S490).
한편, 도 7a 내지 도 7d에서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110)가 디바이스(200)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2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직접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및 도 7a 내지 도7d를 통해 설명한 컨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터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폰)를 실행시키는 애플리케이션, 및 디바이스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200)에서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되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1인 이상이 참여하는 채팅방을 표시한다. 그리고, 복수의 사용자 중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며, 수신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상기 채팅방 상에 표시한다. 이때,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은 도 2 및 도 7a 내지 도 8c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은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컨텐츠 제공 시스템 110: 컨텐츠 제공 서버
120: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 200: 디바이스
210: 계정 연동부 220: 채팅방 표시부
230: 컨텐츠 수신부 240: 컨텐츠 표시부
250: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 260: 수신 요청 입력부
270: 관심 카테고리 설정부 300: 외부 디바이스

Claims (22)

  1. 디바이스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1인 이상이 참여하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결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입력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가 각 사용자 별로 매칭되어 저장된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상기 공통 관심사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되,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매칭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통 관심사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공통 관심사 정보에 대응하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입력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가 각 사용자 별로 매칭되어 저장된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 매칭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통 관심사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상기 공통 관심사 정보에 대응하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며,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결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컨텐츠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컨텐츠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채팅방의 개설과 동시에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받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채팅방이 표시된 후,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수신 요청을 입력받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컨텐츠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키워드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카테고리를 추출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의 컨텐츠 중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된 컨텐츠를 공통 관심사 컨텐츠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상기 채팅방의 소정의 영역에 표시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은 상기 수신한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하되, 상기 아이콘은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창 또는 상기 채팅방의 제어창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된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주고 받은 인스턴트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미리 분류된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에 매칭시키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키워드는 상기 미리 분류된 카테고리에 매칭되어 미리 저장된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가 상기 미리 분류된 카테고리에 매칭되는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 매칭된 카테고리를 관심 카테고리로 설정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참여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참여도 정보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댓글 이력, 공유 이력 및 선호도 이력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추출된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상기 공통 관심사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참여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참여도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따라 결정된 공통 관심사 정보에 대응하는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댓글 이력, 공유 이력 및 선호도 이력 중 하나 이상이 존재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카테고리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댓글 이력, 공유 이력 및 선호도 이력 중 하나 이상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존재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도 정보는 상기 댓글 이력, 공유 이력 및 선호도 이력 중 하나 이상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존재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관심사 컨텐츠는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모두 또는 과반수 이상과 매칭되는 관심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컨텐츠인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21.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을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시키는 계정 연동부,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1인 이상이 참여하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을 표시하는 채팅방 표시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결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상에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것인 디바이스.
  22. 디바이스에서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과 연동시키고,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1인 이상이 참여하는 채팅방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상기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결정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공통 관심사 컨텐츠를 상기 채팅방 상에 표시하되,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것인,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KR1020140108352A 2014-08-20 2014-08-20 컨텐츠 제공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KR101708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352A KR101708209B1 (ko) 2014-08-20 2014-08-20 컨텐츠 제공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JP2015162852A JP6095740B2 (ja) 2014-08-20 2015-08-20 コンテンツ提供方法、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アプリケーショ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352A KR101708209B1 (ko) 2014-08-20 2014-08-20 컨텐츠 제공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993A KR20160022993A (ko) 2016-03-03
KR101708209B1 true KR101708209B1 (ko) 2017-02-21

Family

ID=5553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352A KR101708209B1 (ko) 2014-08-20 2014-08-20 컨텐츠 제공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95740B2 (ko)
KR (1) KR1017082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095B1 (ko) * 2016-04-25 2019-04-01 (주)올윈웨어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서버
JP6337186B1 (ja) 2017-09-01 2018-06-06 株式会社ドワンゴ コンテンツ共有支援装置およびオンラインサービス提供装置
KR20200144721A (ko) * 2019-06-19 2020-12-30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조건에 따라 대화방을 자동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45250B1 (ko) * 2020-01-03 2021-04-27 주식회사 카카오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3477A (ja) * 2000-10-12 2002-04-26 Isao:Kk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情報処理装置、情報端末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4357823B2 (ja) * 2002-09-27 2009-11-04 株式会社東芝 情報共有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475487B1 (ko) * 2004-11-12 2005-03-14 엔에이치엔(주) 커뮤니티 홈페이지에 외부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삽입하는 방법
US20070174384A1 (en) * 2006-01-25 2007-07-26 John Abd-El-Malek Sideb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8255421B2 (en) * 2008-04-02 2012-08-28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assistance device, communication assistance method, and communication assistance program
JP4968216B2 (ja) * 2008-08-29 2012-07-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装置、並びに、情報受信方法及び情報受信装置
KR100985927B1 (ko) * 2008-11-03 2010-10-06 주식회사 케이티 Ims 기반의 가상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73358B1 (ko) * 2008-12-19 2011-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그 기반 정보 검색 장치, 방법 및 태그 관리 방법
KR101462348B1 (ko) * 2013-07-11 2014-11-21 권태호 모바일 메신저에 적용 가능한 태그를 이용한 재능 교환 및 공통 관심 사용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카오 API 적용 서비스', VENTURE SQUARE, 2014.08.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993A (ko) 2016-03-03
JP2016045960A (ja) 2016-04-04
JP6095740B2 (ja)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5206B2 (en) Contextual connection invitations
KR101740274B1 (ko) 이모티콘 탐색 방법 및 단말
US201501722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over a network
US8468202B2 (en) Aggregation system
US7673327B1 (en) Aggregation system
US8555177B1 (en) Real-time interaction during video viewing
US8990340B1 (en) Aggregation system
KR101590418B1 (ko) 인스턴트 메시지의 필터링 방법, 필터링 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 이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US20140372179A1 (en) Real-time social analysis for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20150281142A1 (en) Hot Topic Push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834188B1 (ko) 콘텐츠 정보 공유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1708209B1 (ko) 컨텐츠 제공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US9716676B2 (en) Method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in third-party service and instant messaging server apparatus for providing the messaging service
Curran et al. Google+ vs Facebook: The Comparison
US105290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activities to a community of contacts
US20180302761A1 (en) Recommendation System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Sessions
WO2023020154A1 (zh) 画面的显示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160014060A1 (en) Native ad format for interest-based content subscriptions in email
US9584454B2 (en) Executing commands embedded in messages
KR20150067111A (ko) 채팅서비스와 응용서비스를 연결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40258358A1 (en) Method of combining network data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KR101457101B1 (ko) 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폴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