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457B1 -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457B1
KR101707457B1 KR1020140153563A KR20140153563A KR101707457B1 KR 101707457 B1 KR101707457 B1 KR 101707457B1 KR 1020140153563 A KR1020140153563 A KR 1020140153563A KR 20140153563 A KR20140153563 A KR 20140153563A KR 101707457 B1 KR101707457 B1 KR 101707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ella
chlorophyll
ethanol
conte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4239A (ko
Inventor
변희국
이정권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3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4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7/00Preparation of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with only O, N, S, Se or Te as ring hetero atoms
    • C12P17/18Preparation of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with only O, N, S, Se or Te as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at least two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e.g. rifamyc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7/00Preparation of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with only O, N, S, Se or Te as ring hetero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탄올 용매로 추출하기 전에, 클로렐라 분말을 물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클로렐라 분말이 서로 엉기지 않고, 수용액 상에 분산되어 에탄올이 침투할 수 있는 표면적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유효성분인 클로로필 a의 함량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독성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헥산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이용하는 클로로필 추출물의 제조방법이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의약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Method for enhancing chlorophyll a content in Chlorella ethanol extract}
본 발명은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로렐라(Chlorella)는 녹조류로 담수 중에 증식하는 단세포 식물로, 분류학상 클로로파이세아(Chlorophycea) 강, 클로로코쿰(Chlorococcum) 목, 클로렐라(Chlorella) 속에 속한다. 이들은 보통 연못이나 호수 등 담수에서 생육하며, 직경 2~10㎛의 구형 단세포 조류로 하나의 세포는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정도이다. 생식은 무성생식으로 증식하고 물, 공기, 질소와 인산 등의 식물 성장 요소가 있으면 빛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독립 영양적 성장 증식을 한다는 점이 생물학적으로 가장 큰 특징으로, 이는 산업적 대량 배양 공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사항이다. 클로렐라는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고 단백질 식품으로 총 아미노산 함량은 쇠고기에 비하여 월등히 높으며, 단백질, 지질, 식이섬유, 비타민류와 무기질에 관하여 다른 식품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영양학적으로도 균형 잡힌 식품이다.
클로렐라는 현재 사료 또는 1, 2차 식품으로 사용되며, 영양학적 우수성이 확인되었고, 항암 활성 외의 3차 식품으로서의 기능성 탐색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현재까지 클로렐라에 대한 연구는 산업적 생산을 위한 대량 배양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며 클로렐라로부터 생리 활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생산하는 가공 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배양기를 통해 생산된 클로렐라 제품이 대기업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어 있고 클로렐라 생산에 있어 세계적인 경쟁력이 있으므로, 클로렐라로부터 새로운 생리 활성 물질을 추출하여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클로렐라로부터 클로로필(chlorophyll)을 추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아세톤 또는 헥산 등의 친유성 용매는 유독성을 나타내므로 식품 산업에서 사용을 금지 또는 제한하는 규제 영역에 속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안정한 용매인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 강한 친유성 성질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클로로필을 추출하는 데 있어 높은 효율성을 나타내지 못한다. 클로렐라에는 클로로필이 다량 함유되어 있지만 클로렐라 원말을 그대로 섭취할 경우 두꺼운 클로렐라의 세포벽과 이들 활성 성분의 친유성으로 인해 소화 흡수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특히 클로렐라의 구성 성분 중 50% 이상이 수용성 단백질이기 때문에 클로렐라로부터 지용성 활성 물질을 추출할 경우 이러한 수용 성분이 함께 추출되도록 함으로써 총 추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클로렐라로부터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0827422호 및 제0657637호에 개시된 물을 사용하여 클로렐라의 수용성 활성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들이 있으나, 상기 방법을 사용할 경우 지용성 성분인 클로로필은 추출될 수 없으므로 클로렐라로부터 지용성 성분인 클로로필 추출을 위한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클로렐라 내에는 클로로필라아제 효소가 존재하는데 100℃ 이상의 열처리로 해당 효소를 불활성화시키지 않을 경우 가공 과정에서 페오포르바이드(pheophorbide)라는 독성 클로로필 부산물(식약청에 규제하고 있는 물질)이 다량 생성되므로 끓는점이 낮은 아세톤, 헥산과 같은 유기 용매로 추출시에는 이러한 독성 물질이 생성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미세 조류로부터 카로티노이드 중 루테인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 미국등록특허 제8357510호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클로로필라아제가 작용할 수 있는 온도 범위(70℃)에서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다. 이 방법을 클로렐라 추출에 적용할 경우, 추출 효율이 낮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추출 과정에서 독성 물질인 페오포르바이드가 생성되어 클로로필의 생산이 힘들기 때문에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클로로필의 생산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물질인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클로렐라 분말을 물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침지 단계의 혼합비율, 침지온도 및 침지시간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후 단계인,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 단계에서도 최적의 에탄올 혼합비율, 온도 및 교반 추출 시간 조건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클로렐라 동결건조 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25 내지 40℃의 온도 조건 하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및
(2) 상기 침지된 클로렐라 용액에 무수 에탄올을 첨가하고, 교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클로렐라 동결건조 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25 내지 40℃의 온도 조건 하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및
(2) 상기 침지된 클로렐라 용액에 무수 에탄올을 첨가하고, 교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클로로필 a의 함량이 증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20 내지 25중량%의 클로로필 a를 함유하는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1) 클로렐라 분말을 물에 침지하는 단계 및 2) 물에 침지된 클로렐라 용액으로부터 에탄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 및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추출된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은 간 해독 효소인 퀴논 리덕타아제 활성이 우수하여 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클로렐라 분말을 100% 에탄올 침지 후(A), 50%(v/v) 에탄올 침지 후(B) 및 물에 침지한 후(C),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클로렐라 분말:물의 혼합비율에 따른 추출 수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침지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클로렐라의 추출 수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침지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클로로필 a의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에탄올 첨가량(20배 ~ 200배)에 따른 추출물의 수율(%) 및 클로로필 a의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에탄올 첨가 후 교반 추출하는 시간에 따른 추출물의 수율(%) 및 클로로필 a의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에탄올 첨가 후 교반 추출하는 온도 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수율(%) 및 클로로필 a의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1) 클로렐라 동결건조 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25 내지 40℃의 온도 조건 하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및
(2) 상기 침지된 클로렐라 용액에 무수 에탄올을 첨가하고, 교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계 (1)에서의 물의 첨가는 클로렐라 동결건조 분말 100g에 대하여, 10 내지 900㎖의 비율로 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235㎖의 비율로 물을 첨가하는 것이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의 비율로 물을 첨가하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의 비율로 물을 첨가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에서 25 내지 40℃의 온도 조건 하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3 내지 37℃의 온도 조건 하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5℃의 온도 조건 하에서 3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 (2)의 무수 알코올의 첨가는 클로렐라 용액의 부피를 기준으로 20 내지 200배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배를 첨가하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0~40배를 첨가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2)에서의 교반 추출은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추출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온도와 시간은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클로렐라는 통상적인 어떠한 해수산 또는 담수산 클로렐라도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담수산 클로렐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클로렐라 엘립소이데아(Chlorella ellipsoidea ), 클로렐라 미누티시마(Chlorella minutissima), 클로렐라 불가리스( Chlorella vulgaris ), 클로렐라 푸스카(Chlorella fusca), 클로렐라 조핀기엔시스(Chlorella zofingiensis), 클로렐라 스티그마토포라(Chlorella stigmatophora) 또는 클로렐라 피레노이도사(Chlorella pyrenoidosa)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클로렐라 불가리스(Chlorella vulgaris; KMCC C-024)이다.
또한, 본 발명은 (1) 클로렐라 동결건조 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25 내지 40℃의 온도 조건 하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및
(2) 상기 침지된 클로렐라 용액에 무수 에탄올을 첨가하고, 교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클로로필 a의 함량이 증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단계 (1)에서의 물의 첨가는 클로렐라 동결건조 분말 100g에 대하여, 10 내지 900㎖의 비율로 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235㎖의 비율로 물을 첨가하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200㎖의 비율로 물을 첨가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2)의 무수 알코올의 첨가는 클로렐라 용액의 부피를 기준으로 20 내지 200배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배를 첨가하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0~40배를 첨가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2)에서의 교반 추출은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추출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온도와 시간은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클로렐라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23 내지 30 중량%의 클로로필 a를 함유하는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국제특허 WO 2013062168에는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중 클로로필 a의 함량이 추출물 기준으로 10% 정도라고 기재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클로로필 a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클로렐라 액상 및 분말의 에탄올 추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클로렐라 불가리스(Chlorella vulgaris; KMCC C-024)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조하는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은 액상 및 분말상태의 클로렐라의 10배의 무수 에단올을 첨가하고 6시간 교반하여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추출물은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의 건조 중량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조하는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은 액상 및 건조 분말의 성상에 따라, 수출 수율(%) 및 클로로필 a의 함량(%)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
클로렐라의 액상 및 건조 분말 성상에 따른 에탄올 추출 수율(%) 및 클로로필 a의 함량(%) 비교
동결 건조 전 동결 건조 후
추출 수율(%) 12~15 22~26
클로로필 a의 함량(%) 16~17 20~25
[추출 수율(%) = (클로렐라 추출물의 건조 중량(g)/클로렐라 분말의 중량(g))×100;
클로로필 a의 함량(%) = (클로로필 a의 건조 중량(g)/클로렐라 추출물의 건조 중량(g))×100]
실시예 2. 추출 및 제조 조건의 확립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클로렐라 시료(분말)의 추출 수율(%) 및 클로로필 a의 함량(%)을 높일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클로렐라 분말에 에탄올을 직접 첨가하면, 클로렐라 분말들이 서로 뭉친 상태로 존재하여 분산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반면에, 물에 침지하여 클로렐라 분말을 풀어놓은 상태에서 에탄올 추출을 하는 경우, 클로렐라 분말들의 분산도가 높아져, 추출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직접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보다 물과 반응한 후, 클로렐라의 추출 수율(%)은 10 내지 17% 증진되었으며, 클로로필 a의 함량(%)은 5 내지 7%가 증진된 것을 확인하였다.
추출 조건별, 클로렐라 분말의 추출 수율(%) 및 클로로필 a의 함량(%) 비교
100% 에탄올 추출1 ) 물과 반응후, 100% 에탄올 추출2 )
추출 수율(%) 7~8 18~24
클로로필 a의 함량(%) 15~18 20~25
1) 클로렐라 100g에 대하여, 100% 에탄올 1ℓ를 첨가하여 6시간 동안 교반 추출 후, 농축한 결과이고;
2) 클로렐라 100g에 대하여, 200㎖의 물을 첨가하여 클로렐라와 물을 잘 섞어 준 후, 100% 에탄올 1ℓ를 첨가하여 6시간 동안 교반 추출 후, 농축한 결과이다.
(1) 클로렐라 분말 및 물의 비율에 따른 비교
에탄올 추출 전, 클로렐라 분말을 물에 침지하여 응집되어 있는 클로렐라 분말을 풀어주는 단계에서의 클로렐라와 물의 혼합비율, 온도 및 시간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우선, 클로렐라와 물의 혼합비율은 클로렐라 100g에 대하여, 물의 양이 10(9:1), 25(8:2), 40(7:3), 65(6:4), 100(5:5), 150(4:6), 235(3:7), 400(8:2) 및 900(1:9)㎖이 되도록 각각 첨가하여 침지한 후, 무수 에탄올 1ℓ를 첨가하여 6시간 동안 교반 추출을 실시하였다.
물과의 혼합비율에 따른 결과는 클로렐라:물의 혼합 비율이 6:4(w(g):v(㎖)) 이상일 때, 추출 수율(%)이 약 18% 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4:6(클로렐라 분말(g):물(㎖))의 비율로 침지 하였을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우수하였다(도 2).
이하 실시예에서는 4:6(클로렐라 분말(g):물(㎖))의 혼합 비율로 클로렐라를 물에 침지 하였다.
(2) 온도 및 침지 시간에 따른 비교
침지 온도는 25, 30, 35 및 40℃로, 반응시간은 1, 2 및 3시간으로 침지 하였고, 상기 각 조건별로 추출물의 수율(%) 및 추출물에 함유된 클로로필 a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온도 및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추출 수율이 증가하였으며, 40℃에서 3시간 침지 했을 때의 추출 수율은 25℃에서 3시간 침지 했을 때보다 1.6배 증가하였다.
또한, 상기 각 조건별로 추출된 추출물에 포함된 클로로필 a의 함량을 분석하였다(도 4). 클로로필 a의 함량 분석은 HPLC 기법으로 표준물질(시그마 알드리치에서 판매하는 클로로필 a)과 비교하여 실시였다. 검출 조건은 C18 ODS 칼럼(4.6×250mm, 5μm) 상에서 유속 1.0㎖/min으로 용리 하였으며, 분리용매 조건은 표 3에 나타내었고, 검출파장은 660nm에서 측정하였다.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3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추출물에서 클로로필 a의 함량이 24.8%로 가장 높았으며, 40℃ 구간에서 클로로필 a의 함량이 21.9%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추출물의 수율(%) 및 추출물에 함유된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측정하여 최적조건을 확인하였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침지 온도는 35℃이고, 침지 시간은 3시간으로 하였다.
클로로필 a의 HPLC 분석 조건
시간(분) 유속 (㎖/min) %(v/v) 용매 A %(v/v) 용매 B
0.0 1.0 100.0 0.0
10.0 1.0 50.0 50.0
25.0 1.0 50.0 50.0
30.0 1.0 100.0 0.0
용매 A; 75:25(v/v) 메탄올/물, 용매 B; 에틸 아세테이트
실시예 3. 에탄올의 첨가 비율, 온도 및 반응시간에 따른 추출 수율(%) 및 클로로필 a의 함량(%)의 비교
본 실시예 3에서는 상기 실시예 2에 획득한 침지 조건으로 클로렐라 분말을 물에 침지하고, 무수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 단계에서의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1) 에탄올의 첨가 비율 확립
우선, 에탄올의 첨가 비율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클로렐라가 침지된 물의 부피에 대하여, 100% 에탄올을 20, 25, 30, 40, 50, 100, 150 및 200배로 가한 후,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였고, 상기 추출물의 수율 및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30 내지 200배 구간에서 추출 수율(%) 및 클로로필 a 함량(%)이 우수하였으며, 무수 에탄올을 40배 가하여 제조한 추출물의 클로로필 a 함량(%)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무수 에탄올의 첨가량은 클로렐라 분말이 침지된 혼합용액의 40배로 정하고, 온도와 반응시간에 대한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2) 추출용매(에탄올)의 반응시간 확립
반응시간은 0, 1, 2, 3, 4 및 5시간을 반응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수율 및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측정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수율 및 클로로필 a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3시간 이후 반응한 추출물 간의 수율 및 클로로필의 함량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도 6의 결과에 따라, 반응시간은 3시간으로 정하였다.
(3) 추출용매(에탄올)의 반응온도 확립
반응온도에 따른 수율 및 클로로필 a 함량을 측정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반응온도는 25, 30 및 35℃ 조건으로 설정하였으며, 30℃ 구간에서 수율 및 클로로필 a 함유량은 각각 25.4 % 및 26.4%였으며, 35℃ 구간에서는 수율 및 클로로필 a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도 6의 결과로 최적 반응 온도는 30℃로 정하였다. 이상의 결과, 클로렐라 분말로부터 클로로필 a의 함량이 높은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조건으로, 100% 에탄올의 첨가량은 클로렐라 분말이 침지된 물(혼합용액) 부피의 40배, 온도는 30℃, 반응시간은 3시간으로 정하였다.

Claims (6)

  1. (1) 클로렐라 동결건조 분말 100g에 대하여, 100 내지 200㎖의 비율로 물을 첨가하고, 33 내지 37℃의 온도 조건 하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및
    (2) 상기 침지된 클로렐라 용액의 부피를 기준으로 30 내지 40배의 에탄올을 첨가하고, 30 내지 35℃의 온도 조건 하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1) 클로렐라 동결건조 분말 100g에 대하여, 100 내지 200㎖의 비율로 물을 첨가하고, 33 내지 37℃의 온도 조건 하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및
    (2) 상기 침지된 클로렐라 용액의 부피를 기준으로 30 내지 40배의 에탄올을 첨가하고, 30 내지 35℃의 온도 조건 하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클로로필 a의 함량이 증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40153563A 2014-11-06 2014-11-06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KR101707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563A KR101707457B1 (ko) 2014-11-06 2014-11-06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563A KR101707457B1 (ko) 2014-11-06 2014-11-06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39A KR20160054239A (ko) 2016-05-16
KR101707457B1 true KR101707457B1 (ko) 2017-02-17

Family

ID=5610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563A KR101707457B1 (ko) 2014-11-06 2014-11-06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4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1349A (ja) 2007-09-19 2009-04-30 Ogaki Bio Technology Kenkyu Center:Kk クロレラ抽出物を含む皮膚外用剤、浴用剤または化粧品、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608B1 (ko) * 1993-09-10 1996-08-06 재단법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녹차류의 음료용 농축물 제조방법
KR100979224B1 (ko) * 2007-09-28 2010-09-01 광주과학기술원 안정화된 클로로필 a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1349A (ja) 2007-09-19 2009-04-30 Ogaki Bio Technology Kenkyu Center:Kk クロレラ抽出物を含む皮膚外用剤、浴用剤または化粧品、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a K.H. et al, J. Agric. Food Chem. 2010, 58, 793-797 (2009.12.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39A (ko)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kshi et al. Green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silver nanoparticles biosynthesized from de-oiled biomass of thermotolerant oleaginous microalgae Acutodesmus dimorphus
Choe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lotus leaves (Nelumbo nucifera) and barley leaves (Hordeum vulgare) extracts
AÇIKGÖZ et al. CHEMICAL COMPOSITION OF TURKISH OKRA SEEDS (Hibiscus esculenta L.) AND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OKRA SEEDS FLOUR.
Farahin et 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etraselmis tetrathele (West) Butcher 1959 cultured in annular photobioreactor
Scaglioni et al. Can microalgae act as source of preservatives in food chain
TWI595088B (zh) 樟芝菌絲體培養基
KR101707457B1 (ko)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Daood et al. Effect of titanium on the activity of lipoxygenase
JP6542486B2 (ja) 食品として天然クロロフィルaを使用するために植物細胞からそれを効率的に抽出する方法及び食品中の抽出されたクロロフィルaを安定化するための種々の調製方法
CN104905050A (zh) 一种防治水产动物病害的植物热榨饼粕高值化利用方法
CN107494769B (zh) 葡萄籽调和油及其制作方法
Seven et al. The ameliorative effects of propolis against Cyclosporine A induced hepatotoxicity and nephrotoxicity in rats.
KR101045011B1 (ko) 비타민나무를 이용한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396513B1 (ko) 버섯의 감마-아미노부티르산 함량 증가용 조성물
KR20110117454A (ko) 클로렐라로부터 아임계 용매를 이용하여 카로티노이드 및 클로로필을 생산하는 방법
KR101712699B1 (ko) 홍삼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홍삼 발효 조성물
KR101534391B1 (ko) 사과 재배용 퇴비형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5327A (ko) 사카로미세스속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JP7264657B2 (ja) 霊芝加工粉
CN104509729A (zh) 一种提高免疫力的成鳗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TWI601818B (zh) 白樺茸的培養基及其製備方法
CN110235989A (zh) 一种海洋微藻粕复合营养素微胶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FR2663202A1 (fr) Procede et production d'une huile alimentaire grasse contenant des algues chlorella.
KR100644091B1 (ko) 마늘 올레오레진의 미세캡슐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미세캡슐
CN109007232A (zh) 基于富硒富硼植植株的高硼高硒蛋白营养素的提取和纯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