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186B1 -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186B1
KR101707186B1 KR1020160087278A KR20160087278A KR101707186B1 KR 101707186 B1 KR101707186 B1 KR 101707186B1 KR 1020160087278 A KR1020160087278 A KR 1020160087278A KR 20160087278 A KR20160087278 A KR 20160087278A KR 101707186 B1 KR101707186 B1 KR 101707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fference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personne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넷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넷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넷츠
Priority to KR1020160087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8Techniques for file synchronisation in file systems
    • G06F17/3017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58Parallel file systems, i.e. file systems supporting multiple proces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7/30224
    • G06F17/3034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6Message passing systems or structures, e.g. que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는 수행 순서가 반영된 복수의 명령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큐와, 복수의 명령 메시지를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차이 정보를 추출하는 차이 정보 파악부와, 차이 정보를 상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기 위한 추가, 갱신 또는 삭제의 작업을 수행 순서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하는 작업큐, 그리고 작업큐의 작업을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차이 정보를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human resource information}
본 발명은 인사정보를 관련 시스템에 동기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정 관리 시스템에 인사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기화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입사원 입사, 조직 내 이동 또는 직무 변경 등과 같은 인사정보에 변경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접근하는 리소스(resource)의 범주가 변경되었을 때, 리소스 접근에 필요한 계정을 생성하거나 접근 권한을 변경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프로비저닝(provisioning)이라고 한다.
사용자가 접근하는 리소스는 액티브 디렉토리(active directory), 이메일, 그룹웨어,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등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나 시스템, 또는 각종 그룹이나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각 사용자마다 접근하는 리소스의 종류가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가 접근하는 리소스의 개수 또한 많게는 수천 개 이상이 되므로, 변경된 인사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여 프로비저닝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전사적 인사이동이 있는 경우에 회사 업무시간 종료 후 다음 업무시간 시작 전까지 인사이동에 따른 사용자별 계정 또는 권한이 모든 리소스에 정확하고 장애 없이 프로비저닝되어야 하므로, 변경된 인사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여 프로비저닝을 위한 시스템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6877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로비저닝을 위하여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Identity Management Database, IM DB)와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Human Resource Database, HR DB)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동기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의 일 예는, 수행 순서가 반영된 복수의 명령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큐; 상기 복수의 명령 메시지를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차이 정보를 추출하는 차이 정보 파악부; 상기 차이 정보를 상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기 위한 추가, 갱신 또는 삭제의 작업을 수행 순서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하는 작업큐; 및 상기 작업큐의 작업을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차이 정보를 상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사정보 동기화 방법의 일 예는, 복수의 명령 메시지를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차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차이 정보를 상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기 위한 추가, 갱신 또는 삭제의 작업을 작업큐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큐의 작업을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차이 정보를 상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파악된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므로, 동기화 과정에 오류가 발생하여도 다시 정확한 동기화를 진행할 수 있다.
변경된 인사정보를 반영하기 위하여 로컬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Embedded Database)를 활용하므로,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를 위한 정보 사이의 처리 순서를 보장하면서 최대로 병렬 실행하여 동기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사정보 동기화를 위한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사정보 동기화를 위한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사정보 동기화를 위한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차이정보 생성부 및 로컬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의 동기화부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사정보 동기화 방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큐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사정보 동기화를 위한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10), 델타프로세서(115), 계정관리부(120),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135), 스케줄러(140),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145), 변경정보 파악부(150), 프로비저닝 엔진(160) 등이 존재한다.
본 실시 예에서,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100)는 제어부(110), 델타프로세서(115), 계정관리부(120) 및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예일 뿐,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전체 구성을 포함하여 구현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추가 또는 배제하는 등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145)는 그룹, 조직, 직위, 사용자 등에 대한 각종 인사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신입사원의 입사, 퇴사, 부서 이동이나 진급, 새로운 부서의 생성이나 기존 부서의 통폐합 등 인사정보는 다양한 원인으로 변경 사항이 발생한다.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145)가 인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다양한 종래의 방법이 존재한다.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135)는 프로비저닝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여기서 프로비저닝 정보라고 함은 사용자가 접근하는 리소스, 즉 대상 시스템(165)에 대한 계정이나 패스워드, 권한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된 인사정보가 변경된 경우에,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135)에 저장된 프로비저닝 정보 또한 변경되어야 하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135)에서 변경된 프로비저닝 정보는 프로비저닝 대상 시스템(165)에 신속하게 반영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그룹1에서 그룹2로 부서 이동하여 업무 내용에 변경이 생긴 경우에,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145)에는 제1 사용자에 대한 부서 이동 등의 인사정보가 저장된다. 변경된 인사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가 접근하는 대상 시스템의 종류나 계정, 권한 등에 변경이 발생하므로, 이를 대상 시스템(160)에 반영는 프로비저닝을 위하여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135)에 변경된 인사정보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반영되어야 한다.
변경정보 파악부(150)는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145)에서 변경된 인사정보를 파악하여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앞서 든 예에서, 제1 사용자의 부서 이동이 있는 경우에, 변경정보 파악부(150)는 제1 사용자의 부서 이동에 대한 인사정보를 파악하여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스케줄러(140)는 일정 주기 또는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변경정보가 저장될 때마다 또는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변경정보의 양이 일정 크기 이상일 때 제어부(110)에 동기화 수행을 명령한다.
제어부(110)는 스케줄러(140)로부터 동기화 수행 명령을 받으면, 델타 프로세서(115)에게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변경 정보의 처리를 요청한다. 그러면 델타 프로세서(115)는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변경 정보를 읽어 계정관리부(120)로 전달한다. 델타 프로세서(115)는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처리할 변경 정보가 없으면 종료한다.
계정관리부(120)는 델타 프로세서(115)로부터 전달받은 변경 정보를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135)에 반영한다. 또한 계정관리부(120)는 프로비저닝 엔진(160)을 호출하여 대상 시스템(165)에 대한 프로비저닝을 수행하도록 한다.
프로비저닝 엔진(160)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135)를 참조하여 변경된 인사정보에 따른 계정이나 권한 등을 반영할 대상 시스템(165)을 확인하여 프로비저닝을 수행한다. 프로비저닝 엔진(160)은 종래의 다양한 프로비저닝 방법을 이용하여 프로비저닝을 수행할 수 있다. 델타 프로세서(115)는 동기화가 완료된 변경 정보를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삭제한다.
본 실시 예는,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145)로부터 변경 정보를 순차적으로 파악하여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135) 및 대상 시스템(165)에 반영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구현가능하고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부하를 거의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사정보 동기화를 위한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10), 스냅샷 생성부(220), 스냅샷 데이터베이스(225), 델타 생성부(230),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235), 델타 프로세서(240), 계정 관리부(245), 계정관리 데이터베애스(250), 스케줄러(205),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215), 프로비저닝 엔진(255) 등이 존재한다.
본 실시 예에서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200)는 제어부(210), 스냅샷 생성부(220), 스냅샷 데이터베이스(225), 델타 생성부(230),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235), 델타 프로세서(240), 계정 관리부(245)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하나의 예일 뿐,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전체 구성을 포함하여 구현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추가 또는 배제하여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215),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250), 스케줄러(205), 프로비저닝 엔진(255) 등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10)는 인사 정보의 스냅샷 작성을 위하여 스냅샷 생성부(220)를 호출하고, 변경정보 생성을 위해 델타 생성부(230)를 호출하고, 변경 정보를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250)에 반영하기 위해 델타 프로세서(240)를 호출한다. 제어부(210)는 스냅샷 생성, 변경정보 생성, 변경정보의 반영 순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스냅샷 생성부(220), 델타 생성부(230), 델타 프로세서(240)의 수행 순서를 제어한다.
스냅샷 생성부(220)는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215)로부터 인사 정보를 읽어, 스냅샷 데이터베이스(225)에 저장한다. 일 예로, 스냅샷 생성부(220)는 사용자, 조직, 직위, 직급 등 인사 정보의 종류별로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스냅샷)를 읽어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델타 생성부(230)는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250)와 스냅샷 데이터베이스(225)를 비교하여 차이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235)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2 그룹이 새롭게 생성되고, 제1 그룹에 있던 사용자가 제2 그룹으로 이동하는 인사 이동이 발생한 경우에,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215)는 인사 이동의 정보가 반영된 최신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나,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250)는 인사 이동 전의 정보, 즉 사용자가 제1 그룹에 속해 있다는 과거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델타 생성부(230)는 두 데이터베이스(225,250)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제1 그룹에서 새롭게 생성된 제2 그룹으로 이동하였음을 파악하여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235)에 저장한다.
델타 프로세서(240)는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235)에 저장된 차이 정보를 읽어 계정 관리부(245)에 전달한다. 델타 프로세서(240)는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235)에 저장된 차이 정보에 처리 순서가 존재하면 처리 순서에 따라 차이 정보를 순차적으로 읽어 계정 관리부(245)에 전달한다. 위 예에서, 제2 그룹의 생성 전에 사용자가 제2 그룹으로 이동할 수가 없다. 따라서 델타 프로세서(240)는 제2 그룹의 생성과 관련된 정보를 먼저 읽어 계정 관리부(245)에 전달한 후, 사용자가 제1 그룹에서 제2 그룹으로 이동하였다는 정보를 읽어 계정관리부(245)에 전달한다.
계정 관리부(245)는 델타 프로세서(240)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250)에 반영하고, 프로비저닝 엔진(255)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250)는 제2 그룹을 생성하고, 제2 그룹에 사용자를 추가하고, 제1 그룹에서 사용자를 삭제하도록 프로비저닝 정보를 갱신한다.
프로비저닝 엔진(255)은 대상 시스템(260)에 차이 정보를 반영한다. 위 예에서, 프로비저닝 엔진(255)은 대상 시스템에 제2 그룹을 생성하고, 제2 그룹에 사용자를 추가하고 제1 그룹에서 해당 사용자를 삭제하는 프로비저닝을 수행한다.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250)에 차이 정보의 반영이 모두 완료된 후, 즉 동기화가 완료된 후 변경정보 데이터베이스(235)에 저장된 차이 정보는 삭제된다.
본 실시 예는 도 1과 달리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215)에 저장된 인사 정보 전체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전체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 정보를 추출한다. 도 1의 경우에 변경정보 파악부(150)에 의한 변경정보 파악에 오류가 있거나, 변경정보를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135)에 반영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135)에 정확한 정보가 반영되지 아니한 경우에 추후 동기화시에도 그 오류가 계속하여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는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215)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정보의 전체를 비교하므로,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250)에 잘못 반영된 정보가 있다고 하여도 동기화할 때마다 매번 오류가 수정되어 정확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사정보 동기화를 위한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시지 큐(310), 차이정보 파악부(320), 로컬 데이터베이스(330), 작업 큐(340), 동기화부(350),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360),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370), 메시지큐 생성부(390)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300)는 메시지 큐(310), 차이정보 파악부(320), 로컬 데이터베이스(330), 작업 큐(340), 동기화부(350)로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3은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는 실시 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전체 구성을 포함하여 구현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추가 또는 배제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360)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370)는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와 관련된 내용 위주로 설명한다.
메시지큐 생성부(390)는 수행 순서가 반영된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큐(310)에 저장한다. 메시지큐 생성부(390)는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360)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370)의 각 스냅샷을 비교하여 차이 정보를 파악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 메시지와, 차이 정보를 계정 관리 데이터베이스(370)나 대상 시스템(380) 등에 반영하는 작업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 각 명령 메시지 사이의 수행 순서를 고려하여 병렬 처리 또는 순차 처리가 가능하도록 메시지 큐(310)에 저장한다.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 큐(310)에 복수의 명령 메시지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메시지큐 생성부(390)는 생략될 수 있다.
메시지 큐(310)는 수행 순서가 반영된 복수의 명령 메시지를 저장한다. 메시지 큐(310)의 일 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메시지 큐(310)는 수행 순서가 동일한 명령 메시지, 수행 순서가 서로 무관한 명령 메시지, 수행 순서가 존재하는 명령 메시지 등을 구분하여 수행 순서에 맞게 처리될 수 있도록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큐(310)는 수행 순서가 동일하거나 수행 순서가 무관한 복수의 명령 메시지가 병렬로 수행될 수 있도록 차이정보 파악부(32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지 큐(310)에 수행 순서를 반영하여 명령 메시지를 저장 관리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 일 예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다시 설명한다.
차이정보 파악부(320)는 메시지 큐에 저장된 명령 메시지에 따라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360)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370)의 각 스냅샷을 비교하여 차이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로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다. 차이 정보는 사용자, 그룹, 조직, 직위 등의 인사 정보의 종류에 따라 각각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큐가 도 4와 같다면, 차이정보 파악부(320)는 사용자와 그룹에 대한 각 차이 정보의 추출을 병렬로 수행할 수 있다. 차이정보 파악부(320)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실시 예에 따라 저장하는 정보의 종류와 구조가 서로 상이하여 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구한 스냅샷에 포함된 정보의 표시의 단순 비교가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차이정보 파악부(320)는 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구한 스냅샷을 단순 비교하여 틀린 부분을 찾는 것이 아니라, 그룹, 조직, 직위,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종래의 여러 알고리즘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새로 생긴 그룹이나 없어진 그룹, 사용자의 그룹 이동이나 새로운 사용자의 추가 등과 같이 실질적인 변화가 있는 부분을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일정한 양식에 따라 로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이정보 파악부(320)는 그룹이나 사용자 이름, 필요한 작업의 종류(예를 들어, 그룹이나 사용자의 추가, 갱신, 삭제 또는 이들의 조합 등), 그룹이나 사용자가 속한 그룹이나 상위 그룹에 대한 정보 등으로 구성된 차이 정보를 로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작업 큐(340)는 로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차이 정보를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370) 또는 대상 시스템(380)에 반영하기 위한 작업을 작업 종류 및 수행 순서에 따라 저장한다. 인사 정보의 변경에 따라 대상 시스템(380)에 계정이나 권한 정보의 변경 사항을 반영하는 프로비저닝 작업 사이에 순서 관계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 생성한 제2 그룹에 제1 그룹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제2 그룹의 생성에 대한 프로비저닝 작업의 수행 완료 후에 제1 그룹의 사용자를 제2 그룹으로 이동하는 프로비저닝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작업 큐(340)는 프로비저닝 작업 순서에 맞추어 작업들을 구분하여 저장하며, 이에 대한 일 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동기화부(350)는 작업 큐(340)에 저장된 작업을 전달받아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370) 또는 대상 시스템(380)에 차이 정보를 반영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작업 큐(340)는 수행 순서가 동일한 복수의 작업이 존재하면, 이들 작업이 병렬로 처리될 수 있도록 동기화부(35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큐(340)가 도 5와 같다면, 동기화부(350)는 수행 순서가 동일한 복수의 그룹 추가 작업(510)을 작업 큐(340)로부터 전달받아 병렬로 수행한다.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370) 등에 차이 정보의 반영이 완료되면, 차이정보 파악부(320)는 로컬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차이 정보를 삭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시지 큐(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 메시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킷(410,420,450,460,470,480)으로 구성된다. 버킷(4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버킷(430,440)을 포함할 수 있다. 버킷 단위로 명령 메시지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제1 버킷(410)의 명령 메시지의 수행 완료된 후 제2 버킷(420)의 명령 메시지가 수행되고, 제2 버킷(420)의 명령 메시지가 수행 완료된 후 제3 버킷(450)의 명령 메시지가 수행된다. 각 버킷 내에 복수의 명령 메시지(432,434,435,436 등)가 포함된 경우, 해당 명령 메시지는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병렬 처리되는 버킷을 병렬 버킷이라고 하고,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버킷을 직렬 버킷이라고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사 정보의 종류 중 그룹과 사용자에 대한 변경 정보만을 파악하여 동기화하는 예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제2 버킷(420)의 서브 버킷인 제1 병렬 버킷(430) 및 제2 병렬 버킷(440)은 각각 저장된 명령 메시지들을 독립적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병렬 버킷(430)은 제2 병렬 버킷(440)의 명령 메시지들의 수행 완료 여부와 무관하게 자신에게 속한 명령 메시지를 차이정보 파악부(320)로 전달한다.
제1 병렬 버킷(430)은 그룹에 대한 차이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으로,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360)의 그룹에 대한 제1 스냅샷 생성 명령 메시지(432),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370)의 그룹에 대한 제2 스냅샷 생성 명령 메시지(434), 두 스냅샷의 비교를 통한 그룹에 대한 차이 정보 생성 명령 메시지(435) 등을 포함한다.
제2 병렬 버킷(440)은 사용자에 대한 차이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으로,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360)의 사용자에 대한 제1 스냅샷 생성 명령 메시지(442),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370)의 사용자에 대한 제2 스냅샷 생성 명령 메시지(444), 두 스냅샷의 비교를 통한 사용자에 대한 차이 정보 생성 명령 메시지(446) 등을 포함한다.
제1 병렬 버킷(430) 또는 제2 병렬 버킷(440)은 또한 병렬로 수행되는 복수의 명령과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복수의 명령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병렬 버킷(430)에 포함된 명령 중 스냅샷 생성과 관련된 두 명령 메시지(432,43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 가능하므로, 두 명령(432,434)은 병렬 처리 가능한 상태로 저장되고, 차이 정보 생성 명령 메시지(435)은 두 스냅샷 생성 명령메시지(432,434)의 수행 완료 후에 수행이 가능하므로, 두 명령 메시지(432,434) 다음에 처리될 수 있도록 저장된다.
그룹 및 사용자의 인사 정보의 종류별로 차이 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각 차이 정보를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370) 또는 대상 시스템(380)에 반영하기 위한 작업(예를 들어, 그룹 추가, 그룹 갱신, 그룹 삭제, 사용자 추가, 사용자 갱신, 사용자 삭제 등)을 생성하여 작업 큐(340)에 저장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메시지 큐(400)는 차이 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작업 생성과 관련된 명령 메시지를 작업의 수행 순서에 맞게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룹의 추가나 갱신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추가, 갱신 또는 삭제의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메시지 큐(400)는 작업의 생성 관련 명령 메시지를 복수의 직렬 버킷에 저장한다. 직렬 버킷은 그룹 추가 작업의 생성 명령 메시지를 포함하는 버킷, 그룹 갱신 작업의 생성 명령 메시지를 포함하는 버킷, 사용자 추가, 갱신, 또는 삭제 작업의 생성 명령 메시지를 포함하는 버킷, 그룹 삭제 작업의 생성 명령 메시지를 포함하는 버킷의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룹 추가 작업과 그룹 갱신 작업은 사용자와 관련된 작업과 무관하므로, 본 실시 예와 같이, 그룹 추가 및 갱신 작업의 생성 명령 메시지(436,438)은 별도의 직렬 버킷으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앞서 살핀 제1 병렬 버킷(430)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차이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즉, 제2 병렬 버킷의 명령 메시지 수행 과정)과 그룹 추가 또는 그룹 갱신의 작업이 병렬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전체 동기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물론 그룹 추가 및 갱신 작업의 생성 명령 메시지가 각각의 직렬 버킷으로 생성되어 제2 버킷(420)과 제3 버킷(45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메시지 큐(400)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도 4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시지 큐(400)는 복수의 명령 메시지를 수행 순서에 따라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작업 큐(500)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복수의 버킷(510,520,530,540,550,560)으로 구성되고, 각 버킷은 병렬 처리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작업 큐(500)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도 5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메시지 큐(400)에 따라 생성된 작업 큐(5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그룹 추가 작업의 생성 명령 메시지(436)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 추가 작업이 생성되어 작업 큐(500)의 첫 번째 버킷(510)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그룹 갱신 작업의 생성 명령 메시지(438), 사용자 추가, 갱신 또는 삭제 작업의 생성 명령 메시지(450), 그룹 삭제 작업의 생성 명령 메시지(460)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메시지 큐(500)의 각 버킷(520,530,550)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그룹에 대해서는 변화가 없고 사용자가 기존 그룹 내에서 이동한 경우에, 그룹의 추가, 갱신 또는 삭제에 대한 작업은 필요하지 않다. 이 경우에, 도 4의 그룹 관련 작업의 생성 메시지(436,438,460)에 의한 작업 생성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따라서 작업 큐(500)에도 그룹 관련 버킷(510,520,550)은 생성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도 5의 작업 큐는 로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차이 정보에 따라 포함되는 작업의 종류가 달라진다.
작업 큐(500)는 동일 버킷 내에 포함된 작업들을 병렬 처리되도록 동기화부(350)에 전달할 수 있다. 작업 큐(500)는 하나의 버킷에 포함된 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다음 버킷에 포함된 작업을 동기화부(50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버킷(510)에 포함된 그룹 추가의 작업이 모두 수행이 완료된 후에, 두 번째 버킷에 포함된 그룹 갱신 작업이 동기화부(500)에 전달된다.
도 6은 도 3의 차이정보 생성부(320) 및 로컬 데이터베이스(33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이정보 생성부(320)는 제1 스냅샷 생성부(600), 제2 스냅샷 생성부(610) 및 델타 생성부(620)를 포함하고, 로컬 데이터베이스(330)는 제1 로컬 데이터베이스(602), 제2 로컬 데이터베이스(612) 및 제3 로컬 데이터베이스(622)를 포함한다. 로컬 데이터베이스(330)는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의 로컬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스냅샷 생성부(600)는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360)를 읽어 제1 스냅샷을 생성하고, 이를 제1 로컬 데이터베이스(602)에 저장한다. 제1 스냅샷 생성부(600)는 메시지 큐(310)로부터 전달받은 명령 메시지에 따라 인사정보의 종류별로 제1 스냅샷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큐(400)가 도 4와 같다면, 제1 스냅샷 생성부(600)는 제1 병렬 버킷(430)의 제1 스냅샷 생성 명령(432)과 제2 병렬 버킷(440)의 제1 스냅샷 생성 명령(442)을 병렬(실시 예에 따라, 순차 실행도 가능함)로 수행하여, 그룹에 대한 제1 스냅샷과 사용자에 대한 제1 스냅샷을 각각 생성하여 제1 로컬 데이터베이스(602)에 저장한다.
제2 스냅샷 생성부(610)는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370)를 읽어 제2 스냅샷을 생성하고, 이를 제2 로컬 데이터베이스(612)에 저장한다. 제2 스냅샷 생성부(610)는 메시지 큐(310)로부터 전달받은 명령 메시지에 따라 인사정보의 종류별로 제2 스냅샷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큐(400)가 도 4와 같다면, 제2 스냅샷 생성부(610)는 제1 병렬 버킷(430)의 제2 스냅샷 생성 명령(434)과 제2 병렬 버킷(440)의 제2 스냅샷 생성 명령(444)을 병렬(실시 예에 따라, 순차 실행도 가능함)로 수행하여, 그룹에 대한 제2 스냅샷과 사용자에 대한 제2 스냅샷을 각각 생성하여 제2 로컬 데이터베이스(612)에 저장한다.
델타 생성부(620)는 제1 로컬 데이터베이스(602)에 저장된 제1 스냅샷과 제2 로컬 데이터베이스(612)에 저장된 제2 스냅샷을 비교하여 인사 정보의 종류별 차이 정보를 추출한 후 제3 로컬 데이터베이스(622)에 저장한다. 도 4와 같은 메시지 큐(400)의 경우에, 델타 생성부(620)는 제1 병렬 버킷(430)의 차이정보 생성 명령(435)과 제2 병렬 버킷(440)의 사용자의 차이정보 생성 명령(446)을 병렬(실시 예에 따라, 순차 실행도 가능함)로 수행하여 그룹에 대한 차이 정보 및 사용자에 대한 차이 정보를 생성하여 제3 로컬 데이터베이스(622)에 저장한다.
델타 생성부(620)는 또한 제3 로컬 데이터베이스(622)에 저장된 인사정보의 종류별 차이 정보의 동기화를 위해 필요한 작업들을 작업 큐(34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메시지 큐(400)는 그룹의 추가 작업의 생성 명령, 그룹의 갱신 작업의 생성 명령, 사용자의 추가 작업, 갱신 또는 삭제 작업의 생성 명령, 그룹의 삭제 작업의 생성 명령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므로, 델타 생성부(620)는 각 명령의 순차적 수행에 따라 생성된 각 작업을 도 5와 같이 작업 큐(5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스냅샷 생성부(600)와 제2 스냅샷 생성부(610)는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를 읽어 스냅샷을 생성하므로,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냅샷 생성부(600)와 제2 스냅샷 생성부(610)는 동시에 수행되어 전체 동기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델타 생성부(620)가 차이 정보의 반영을 위한 각 작업을 작업 큐(340)에 전달하는 동작 또한 제1 스냅샷 생성부(600) 또는 제2 스냅샷 생성부(610)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로컬 데이터베이스(622)에 그룹에 대한 차이 정보가 추출되어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에 대한 차이 정보의 추출 과정이 현재 수행중이라면, 델타 생성부(620)는 그룹에 대한 차이 정보의 작업을 작업 큐(340)에 전달하는 동작을 병렬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부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기화부(350)는 델타 프로세서(700), 계정관리부(710) 및 프로비저닝 엔진(720)을 포함한다.
델타 프로세서(700)는 작업 큐(340)에 저장된 작업에 따라 로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인사정보의 종류별 차이 정보를 읽어 계정관리부(71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작업 큐(500)가 도 5와 같다면, 델타 프로세서(700)는 먼저 첫 번째 버킷(510)에 포함된 그룹 추가의 작업을 전달받고, 그룹 추가의 작업과 관련된 차이 정보를 로컬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읽어 계정 관리부(710)로 전달한다.
계정 관리부(710)는 차이 정보를 계정 관리 데이터베이스(370)에 반영하고, 프로비저닝 엔진(720)에 전달한다. 프로비저닝 엔진(720)은 차이 정보를 대상 시스템(380)에 반영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사정보 동기화 방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이하, '장치'라 함)는 메시지 큐에 인사정보 동기화를 위해 필요한 복수의 명령 메시지를 수행 순서에 따라 저장한다(S800).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 큐에 도 5와 같은 복수의 명령 메시지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단계(S8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장치는 메시지 큐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 메시지를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스냅샷 비교를 통해 차이 정보를 추출한다(S810). 예를 들어, 장치는 그룹, 조직, 직위 또는 사용자의 인사 정보의 종류별로 차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인사 정보의 종류별로 차이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을 병렬로 수행할 수 있다. 메시지 큐에 병렬 처리 가능한 명령 메시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의 일 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장치는 차이 정보를 계정 관리 데이터베이스 또는 대상 시스템에 반영하기 위한 작업을 생성하여, 작업 수행 순서에 따라 작업 큐에 저장한다(S820,S830). 예를 들어, 메시지 큐가 도 4와 같다면, 장치는 메시지 큐에 저장된 명령 메시지를 수행하여 도 5와 같은 작업 큐에 작업을 저장한다.
장치는 작업 큐의 작업을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차이 정보를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대상 시스템에 반영한다(S840,S85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큐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와 같이 그룹 및 사용자의 인사정보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장치는 그룹에 대한 차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스냅샷 생성 메시지(432,434)), 그룹 차이 정보 생성 메시지(435), 그룹 추가 작업의 생성 메시지(436), 그룹 갱신 작업의 생성 메시지(438)를 포함하는 제1 병렬 버킷(430)을 생성한다(S900). 여기서, 스냅샷 생성 메시지(432,434)는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제1 스냅샷 생성 명령 메시지(432)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제2 스냇샷 생성 명령 메시지(434)로 구분되며 두 명령 메시지는 병렬 처리 가능하다.
장치는 사용자에 대한 차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스냅샷 생성 메시지(442), 사용자 차이 정보 생성 메시지(446)를 포함하는 제2 병렬 버킷(440)을 생성한다(S910). 제1 병렬 버킷(430)과 제2 병렬 버킷(440)은 병렬로 처리 가능한 상태로 생성된다.
다음으로, 장치는 사용자의 차이 정보를 반영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추가, 갱신 또는 삭제 작업의 생성 명령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직렬 버킷(450), 그룹의 삭제 작업 생성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직렬 버킷(460)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S920,S93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수행 순서가 반영된 복수의 명령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큐;
    상기 복수의 명령 메시지를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차이 정보를 추출하는 차이 정보 파악부;
    상기 차이 정보를 상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기 위한 추가, 갱신 또는 삭제의 작업을 수행 순서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하는 작업큐; 및
    상기 작업큐의 작업을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차이 정보를 상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차이 정보를 프로비저닝 대상시스템에 프로비저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 정보 파악부는,
    상기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그룹, 조직, 직위 또는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사정보의 종류별로 차이 정보를 병렬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큐는,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그룹, 조직, 직위 또는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사정보의 종류별로 차이 정보를 추출하는 명령 메시지를 인사정보의 종류별로 저장하는 복수의 병렬 버킷을 포함하고,
    상기 병렬 버킷은 각각 독립적으로 명령 메시지를 상기 차이 정보 파악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큐는, 상기 차이 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추가, 갱신 또는 삭제의 작업을 생성하는 명령 메시지를 작업 종류 및 수행 순서별로 저장하는 복수의 직렬 버킷을 포함하고,
    상기 직렬 버킷은 순차적으로 명령 메시지를 상기 차이 정보 파악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 정보 파악부는,
    상기 메시지큐로부터 전달받은 명령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룹, 조직, 직위 또는 사용자에 대한 인사정보를 읽어 제1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스냅샷생성부;
    상기 메시지큐로부터 전달받은 명령 메시지에 따라, 상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룹, 조직, 직위 또는 사용자에 대한 인사정보를 읽어 제2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 스냅샷생성부; 및
    상기 메시지큐로부터 전달받은 명령 메시지에 따라, 그룹, 조직, 직위 또는 사용자의 인사정보의 종류별로 차이 정보를 추출하여 제3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차이 정보를 상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기 위한 추가, 갱신 또는 삭제의 작업을 생성하여 상기 작업큐로 전달하는 델타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큐는, 상기 차이 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추가, 갱신 또는 삭제의 작업을 작업 종류 및 수행 순서별로 버킷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큐는,
    그룹 추가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을 포함하는 제1 버킷;
    그룹 갱신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을 포함하는 제2 버킷;
    사용자 추가, 갱신 또는 삭제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을 포함하는 제3 버킷; 및
    그룹 삭제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을 포함하는 제4 버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킷 내지 제4 버킷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9. 작업큐를 포함하는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에 의한 인사정보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는,
    복수의 명령 메시지를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와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차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차이 정보를 상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기 위한 추가, 갱신 또는 삭제의 작업을 상기 작업큐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큐의 작업을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차이 정보를 상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정보 동기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 정보를 프로비저닝 대상시스템에 프로비저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정보 동기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그룹, 조직, 직위 또는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사정보의 종류별로 차이 정보를 병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정보 동기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인사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은 정보를 제1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은 정보를 제2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로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2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그룹, 조직, 직위 또는 사용자의 인사정보의 종류별로 차이 정보를 파악하여 제3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차이 정보를 상기 계정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기 위한 추가, 갱신 또는 삭제의 작업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정보 동기화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큐에 저장하는 단계는,
    그룹 추가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작업을 생성하는 단계;
    그룹 갱신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작업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추가, 갱신 또는 삭제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작업을 생성하는 단계;
    그룹 삭제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작업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4 작업은 순차적인 순서 관계를 가진 서로 다른 버킷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정보 동기화 방법.
  14. 제 9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60087278A 2016-07-11 2016-07-11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707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278A KR101707186B1 (ko) 2016-07-11 2016-07-11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278A KR101707186B1 (ko) 2016-07-11 2016-07-11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186B1 true KR101707186B1 (ko) 2017-02-15

Family

ID=5811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278A KR101707186B1 (ko) 2016-07-11 2016-07-11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1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0688A (zh) * 2018-11-26 2019-05-03 福建天泉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实时比对校验方法及消息中间件
KR20200141571A (ko) * 2019-06-10 2020-12-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243A (ja) * 1997-08-05 1999-02-26 Hitachi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WO2005036365A2 (en) * 2003-10-10 2005-04-21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Tool for synchronization of business information
KR20070068773A (ko) 2005-12-27 2007-07-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832093B1 (ko) * 2007-07-09 2008-05-27 주식회사 넷츠 통합 계정관리를 위한 권한기반 리소스 계정 및 권한의프로비저닝 장치
JP2010205183A (ja) * 2009-03-05 2010-09-16 Oki Electric Ind Co Ltd アクセス権限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セン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243A (ja) * 1997-08-05 1999-02-26 Hitachi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WO2005036365A2 (en) * 2003-10-10 2005-04-21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Tool for synchronization of business information
KR20070068773A (ko) 2005-12-27 2007-07-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832093B1 (ko) * 2007-07-09 2008-05-27 주식회사 넷츠 통합 계정관리를 위한 권한기반 리소스 계정 및 권한의프로비저닝 장치
JP2010205183A (ja) * 2009-03-05 2010-09-16 Oki Electric Ind Co Ltd アクセス権限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セン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0688A (zh) * 2018-11-26 2019-05-03 福建天泉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实时比对校验方法及消息中间件
KR20200141571A (ko) * 2019-06-10 2020-12-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KR102221520B1 (ko) 2019-06-10 2021-03-0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0617B2 (ja) 開発支援システム
US7562102B1 (en) Extensible handling of new or modified data within an independent distributed database system
US8615768B2 (en) Dependency-ordered resource synchronization across multiple environments using change list created based on dependency-ordered graphs of the multiple environments
US7933866B2 (en) Systems, methods and software programs for data synchronization
US10476878B2 (en) Access permission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677376B2 (en) Expressing equivalency relationships with identity graphs across multiple environments to create change list to be traversed to conform the environments
US8832701B2 (en) Management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management program
US11281655B2 (en) Data migration validation
EP3314469B1 (en) Cloud-native documents integrated with legacy tools
KR101707186B1 (ko)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US20190361844A1 (en) Data management method and data analysis system
US9847941B2 (en) Selectively suppress or throttle migration of data across WAN connections
KR101826827B1 (ko) 데이터베이스 간의 실시간 통합 복제 시스템
KR20150081250A (ko) 통신 및 crm 애플리케이션의 양방향 동기화 기법
CN110263060B (zh) 一种erp电子附件管理方法及计算机设备
US10248314B2 (en) Migrate nickname cache for email systems and devices
KR101676467B1 (ko) 프로비저닝 방법 및 그 장치
JP2006031608A (ja) 計算機、ストレージシステム、計算機が行うファイル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09651B2 (en) Incremental workflow execution
JP2008226054A (ja) 工数管理システム、サーバ端末、工数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60359953A1 (en) Migration enhanced by presence, instant messaging, and last log-on time
US2013013868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ic generation and execution of database queries
CN110245148B (zh) 一种数据存储方法、装置、系统及介质
CN106878068B (zh) 一种配置管理方法和装置
CN108694219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