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571A -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571A
KR20200141571A KR1020190068075A KR20190068075A KR20200141571A KR 20200141571 A KR20200141571 A KR 20200141571A KR 1020190068075 A KR1020190068075 A KR 1020190068075A KR 20190068075 A KR20190068075 A KR 20190068075A KR 20200141571 A KR20200141571 A KR 20200141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nel
police
information
user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520B1 (ko
Inventor
임중연
전희창
김영성
고으뜸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8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520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은 경찰 내부망에 존재하는 경찰 각 부서에서 교육인사, 신체능력, 업무능력, 인사고가 및 특기사항 등의 인사정보들이 생성되는 곳으로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 상기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에서 생성된 인사정보 및 이를 추가 또는 보완하는 인사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결합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정보를 생성하는 제 1사용자 관리서버, 외부 접속망에 존재하는 상기 생성된 인사정보들을 열람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장치인 사용자 유무선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사정보 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통합인사정보를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에 제공하는 제 2 사용자 관리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 제 1 사용자 관리서버, 사용자 유무선 장치 및 제 2 사용자 관리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생성된 스마트 계약에 따라 인사정보의 생성, 수정, 조회, 폐기를 타임 플로우(Time flow)에 따라 수행하고 경찰 인력의 교육, 신체능력, 업무능력, 인사고가 및 특이사항등과의 정합성에 따라 경찰 인력의 인사정보들을 상호 연결하여 줄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Integrated History Management System of Police Manpower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인력의 교육인사, 신체능력, 업무능력, 인사고가 및 특기사항 등의 통합되고 신뢰성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인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찰 인력의 인사관리는 다른 업무와는 달리 교육인사, 신체 능력, 업무능력, 인사고가 및 특기 사항 등의 많은 요소 등이 결합되어 가장 적격인 부서 및 업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경찰 인력의 업무 능력은 교육인사나 업무경험 등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에 발생되는 범죄가 매우 복잡해지고 고도화되는 경향이 있어서, 이러한 경찰 인력의 인사관리가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경찰인력에 대한 인사관리시스템은 인력의 교육, 적성, 능력, 경력 및 적합성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어 인력의 효과적인 배치 및 업무능력 향상에서 어려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경찰 인력의 인사배치는 인사 청탁 및 범죄 연루등의 문제에서 배제될 수 있도록 투명성 및 보안성이 유지될 수 있는 통합 인사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블록체인은, 트랜잭션들로 이루어진 블록들로 이루어진 컴퓨터 기반 비집중분산형 시스템으로서 구현된 피어투피어(peer-to-peer) 전자 원장이다. 각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시스템의 참여자들 간에 디지털 자산의 제어전달을 인코딩하는 데이터 구조이며, 적어도 하나의 입력과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포함한다. 각 블록은, 트랜잭션의 시작부터 블록체인에 기입된 모든 트랜잭션의 영구적이고 불변인 기록을 생성하도록 블록들이 함께 체인 연결되는 것에 대한 이전 블록의 해시를 포함한다. 트랜잭션에는 트랜젝션의 입력과 출력에 임베딩된 스크립트라고 하는 작은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크립트는 어떻게 그리고 누구에 의해 트랜잭션의 출력에 액세스할 수 있는지를 특정한다. 비트코인 플랫폼에서, 이들 스크립트는 스택 기반 스크립팅 언어를 사용하여 기입된다.
블록체인 기술은 암호화폐 구현의 사용을 위해 가장 널리 알려져 있지만, 디지털 기업가는 비트코인 기반으로 하는 암호식 보안 시스템 및 새로운 시스템을 구현하도록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모두의 사용을 모색하였다. 블록체인이 암호화폐의 영역으로 한정되지 않는 자동화된 태스크 및 프로세스에 사용될 수 있다면 매우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해결책은, 블록체인의 이점(예를 들어, 이벤트의 영구적인 변경불가 기록, 분산처리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응용분야에서 더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현재의 연구분야 중 하나는 "스마트 계약" 구현을 위해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것이다. 스마트 계약은, 기계 판독 가능한 계약 또는 합의서의 조건 실행을 자동화하도록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자연어로 작성된 기존의 계약과는 달리, 스마트 계약은,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입력을 처리할수 있는 규칙을 포함하는 기계 실행가능 프로그램이며, 그러한 결과에 따라 액션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성 및 보안성이 유지될 수 있는 경찰 인력 인사관리를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개별로 관리되던 경찰 인력의 인사정보들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가 가능하게하고, 교육인사, 신체능력, 업무능력, 인사고가 및 특기사항까지 통합된 인사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찰 인력에 대한 통합인사정보를 유무선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즉각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경찰 인력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인사행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합인사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은 경찰 내부망에 존재하는 경찰 각부서에서 교육인사, 신체능력, 업무능력, 인사고가 및 특기사항등의 인사정보들이 생성되는 곳으로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 상기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에서 생성된 인사정보 및 이를 추가 또는 보완하는 인사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결합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사용자 관리서버; 외부 접속망에 존재하는 상기 생성된 인사정보들을 열람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장치인 사용자 유무선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사정보 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통합인사정보를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에 제공하는 제 2 사용자 관리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경찰 인사관리 플랫폼, 제 1 사용자 관리서버, 사용자 유무선 장치 및 제 2 사용자 관리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생성된 스마트 계약에 따라 인사정보의 생성, 수정, 조회, 폐기를 타임 플로우(Time flow)에 따라 수행하고 경찰 인력의 교육, 신체능력, 업무능력, 인사고가 및 특이사항등과의 정합성에 따라 경찰 인력의 인사정보들을 상호 연결하여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은 경찰 인력의 각 부서에서 교육인사, 신체능력, 업무능력, 인사고가 및 특기사항 등의 인사정보들이 생성되는 곳으로 복수의 경찰 인사관리 부서들이 각각 사용하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등의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 및 데스크탑 컴퓨터 등 소정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작동이 가능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는 상기 생성된 인사정보들을 열람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장치들로써,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등의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 및 데스크탑 컴퓨터 등 소정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작동이 가능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는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는 인사데이터 블록체인 생성 모듈, 인사 데이터 분석 모듈 및 응용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서버의 인사데이터 블록체인 생성 모듈은 인사 관리를 위한 정보(인/적성 검사 결과, 직무 만족도, 교육내역등)을 블록체인 기반 인사관리 플랫폼에 적용하기 위해 인사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로, 기존 데이터베이스 혹은 신규 생성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 저장 단위인 블록에 입력하여 인사 데이터블록을 생성하고, 매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바로 전 블록의 해시값을 담고 있으며, 이어진 블록들이 시간순으로 생성되어 하나의 인사 데이터 블록체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사 인사데이터 블록체인 생성 모듈에 생성되는 블록은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나뉘며, 헤더에는 1) 현재 인사관리 시스템의 버전 2) 이전 블록을 해싱한 해시값, 3)현재 블록의 내역들을 모두 해싱한 해시값, 4) 현재 블록의 타임스탬프, 5) 해시 목표값(난이도), 및 6)논스값을 포함하며, 바디에는 해당 블록안에 기록된 모든 내역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의 인사데이터 분석 모듈은 각각의 인사 정보에 대한 인사조회 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된 복수의 통합인사정보들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복수의 통합인사정보들을 분석하여 유사도 데이터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유사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유사범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 통합인사정보를 삭제하는 삭제부 및 삭제부에 의해 삭제된 통합인사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통합인사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상에 재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의 응용 모듈은, 생성된 블록들을 권한별, 데이터 성격별, 활용 범위별 등으로 분류하는 인사데이터 분류화 모듈,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각각의 개인에게 부여할 개인 지갑 코드를 생성하여 권한을 부여하는 암호화 개인 지갑 코드 생성 모듈, 개인에게 부여한 개인지갑 인사데이터 및 분석데이터 접근 요청시 개인지갑의 코드로 권한을 확인한 후 데이터 접근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암호화 지갑 코드 확인 및 승인 모듈, 인사데이터의 입력, 수정, 조회, 분석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고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는 트랜잭션을 블록에 저장하여 모든 노드의 데이터베이스에 인사 데이터 트랜잭션 내용을 남기고 내역이 남았는지 탐지하여 확인하는 트랜잭션 탐지 모듈, 인사 데이터 블록을 참고하여 인성, 적성, 심리상태, 부서원간의 성향, 교육 수행 정도 등을 이용하여 부서 이동 적합성을 분석하는 부서이동 적합성 분석 모듈, 기존 인사정보를 분석하여 경찰 직무 교육시 직무 및 성향, 적성에 적합하도록 교육 이수 체계를 만들고 해당 데이터를 부서이동, 인사관리에 활동 가능하도록 정보를 생성하는 경찰 교육 분석 모듈, 인성 검사 및 적성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적합성이 높은 부서 및 업무를 추천하거나 인성 검사 결과로 얻을 수 있는 심리 상태를 기반으로 심리 상담 및 치료 등을 추천하는 등 인/적성검사의 결과를 인사 시스템에 적용가능하게 하는 인/적성 테스트 결과 AI분석 모듈, 및 기존 인사정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인사 시스템 구축을 위해 직무 만족도, 업무 능력 등을 분석하여 인사 정보 분석의 기준을 만드는 인사정보 AI 빅데이터 분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사용자 관리 서버의 사용자 유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각각의 인사 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의 저장부에 의해 재저장된 통합인사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된 통합인사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통합인사정보를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에 제공하고, 제 2 사용자 관리서버는 사용자 유무선 장치로부터 각각의 인사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서버 저장부에 의해 재저장된 통합인사정보와 매칭되는 통합인사정보가 없는 경우, 해당 인사가 위조된 것이라고 안내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에 제공하는 블록체인 정보 조회 및 시각화 모듈,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의 하드웨어에 제공된 암호화 지갑의 코드가 제공된 코드가 맞는지 확인하고 해당 코드의 권한 확인을 통해서 데이터 접근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 유무선 장치의 암호화 지갑 코드 식별 모듈, 및 사용자 유무선 장치로부터 각각의 신분 확인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일반 시민 및 경찰이 해당 경찰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로 인사데이터에서 이름, 계급, 소속의 데이터만 조회가 가능하게 하는 경찰 신분 확인 서비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기존의 교육 과정 및 인사고가 별로 따로 관리된 인사 정보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뿐만 아니라, 분석 및 평가 단계까지 통합된 인사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객관성ㅇ투명성ㅇ공정성이 확보되는 경찰 인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사용자 관리서버의 기능별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사용자 관리서버의 인사데이터 분석모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사용자 관리서버의 응용모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사용자 관리서버의 기능별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 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사,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휘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도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재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Service)는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는 서버 또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기초한 서비스, 디바이스 내에서 동작 가능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되는 서비스는 본 개시에 예로서 기재된 서비스 이외에도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시스템(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1)은 경찰 내부망에 존재하는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10) 및 이에 연결된 제 1 사용자 관리서버(20), 외부 접속망에 존재하는 사용자 유무선 장치(30) 및 이에 연결된 제 2 사용자 관리서버(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10), 제 1 사용자 관리서버(20), 사용자 유무선 장치(30) 및 제 2 사용자 관리서버(4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인사정보의 생성, 수정, 조회, 폐기를 타임 플로우(Time flow)에 따라 수행하고 경찰 인력의 교육, 신체능력, 업무능력, 인사고가 및 특이사항등과의 정합성에 따라 경찰 인력의 인사정보들을 상호 연결하여 주는 것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10)은 경찰 인력의 각 부서에서 교육인사, 신체능력, 업무능력, 인사고가 및 특기사항 등의 인사정보들이 생성되는 곳으로 복수의 경찰 인사관리 부서들이 각각 사용하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등의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는 물론, 데스크탑 컴퓨터 등 소정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작동이 가능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30)는 상기 생성된 인사정보들을 열람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장치들로써,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등의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 데스크탑 컴퓨터 등 소정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작동이 가능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20)는 상기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10)에서 생성된 인사정보 및 이를 추가 또는 보완하는 인사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결합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사용자 관리 서버(20)는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사정보 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저장된 통합인사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된 통합인사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통합인사정보를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사용자 관리서버(20)의 기능별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20)는 상기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에서 생성된 인사정보를 확인하고 인사에 대한 최초의 블록(genesis block)에서 시작하여 바로 앞의 블록에 대한 해시값을 링크로 가지고 있는 링크드 리스트 형태의 블록체인 기반으로 보안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며 이를 추가 또는 보완하여 인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20)는 인사데이터 블록체인 생성 모듈(22), 인사 데이터 분석 모듈(24) 및 응용 모듈(26)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서버의 인사데이터 블록체인 생성 모듈은 인사 관리를 위한 정보(인/적성 검사 결과, 직무 만족도, 교육내역등)을 블록체인 기반 인사관리 플랫폼(10)에 적용하기 위해 인사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로, 기존 데이터베이스 혹은 신규 생성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 저장 단위인 블록에 입력하여 인사 데이터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매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바로 전 블록의 해시값을 담고 있으며, 이어진 블록들이 시간 순으로 생성되어 하나의 인사 데이터 블록체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사 인사데이터 블록체인 생성 모듈(22)에 생성되는 블록은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나뉘며, 헤더에는 1) 현재 인사관리 시스템의 버전 2) 이전 블록을 해싱(Hashing)한 해시값, 3)현재 블록의 내역들을 모두 해싱한 해시값, 4) 현재 블록의 타임스탬프, 5) 해시 목표값(target value, 난이도), 및 6)논스(Nonce)값을 포함하며, 바디에는 해당 블록안에 기록된 모든 내역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해싱은 데이터(존재하는 모든 데이터에 적용가능)를 무작위의 정해진 길이의 문자열로 치환시키는 것이다. 논스(nonce)는 블록체인에서 목표값 이하의 블록 해시를 찾기 위해 임시로 사용하는 숫자이다. 넌스, 난스 또는 임시값이라고도 한다. 해시 목표값은 프로그램에서 특정 목표값을 자동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경찰 개인 인사가 추적 및 파악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데이터 기록 리스트로서 분산 노드 운영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경찰 인력의 각 부서에서 교육인사, 신체능력, 업무능력, 인사고가 및 특기사항등 여러 인사정보들이 통합적으로 추적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객관성, 투명성 및 공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사용자 관리서버의 인사데이터 분석모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20)는 상기 인사 데이터 블록체인생성 모듈(22)을 기반으로 인사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사 데이터 분석 모듈은 추출부(24-a), 산출부(24-b), 삭제부(24-c), 저장부(24-d)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부(24-a)는 각각의 인사 정보에 대한 인사조회 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된 복수의 통합인사정보들을 추출한다. 또한, 추출부(24-a)는 추출된 통합인사정보를 이용하여 인사정보, 가공인사정보등으로 세분화하여 추출할 수 있다.
산출부(24-b)는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복수의 통합인사정보들을 분석하여 유사도 데이터를 산출한다. 유사도 데이터는 동일한 부서에서 생상된 인사에 대하여 복수의 가공인사정보들이 추가 또는 보완되고 상기 가공인사정보들을 분석하고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있는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유사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삭제부(24-c)는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유사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유사범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 통합인사정보를 삭제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유사범위는 상기 산출부에 의해 분석된 유사도 데이터를 고려하여 동일한 통합인사정보가 과반수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이와 같은 유사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통합인사정보들을 삭제할 수 있다.
저장부(24-d)는 삭제부에 의해 삭제된 통합인사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통합인사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상에 재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4-d)는 상기 블록체인 상에 재저장하는 과정을 설정된 시간마다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조 또는 누락된 데이터를 포함한 통합인사정보를 필터링하여 투명하고 신뢰성이 높은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서버(20)는 상기 인사데이터 블록체인 생성 모듈(22) 및 인사데이터 분석 모듈(24)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응용 모듈(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사용자 관리서버(20)의 응용모듈(26)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테면, 인사 데이터 분류화 모듈(26-a), 암호화 개인지갑 코드 생성 모듈(26-b), 암호화 지갑 코드 확인 및 승인 모듈(26-c), 트랜젝션 감지모듈(26-d),부서이동 적합성 분석 모듈(26-e), 경찰 교육 분석 모듈(26-f), 인/적성 테스트 결과 AI(Artificial Intelligence)분석 모듈(26-g), 인사정보 AI 빅데이터 분석모듈(26-h) 등 필요에 따라 응용 모듈들을 추가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인사데이터 분류화 모듈(26-a)은 생성된 블록들을 권한별, 데이터 성격별, 활용범위별등으로 분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암호화 개인지갑 토드 생성 모듈(26-b)는 각각의 개인에게 부여할 개인 지갑 코드를 생성하여 권한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암호화 지갑 코드 확인 및 승인 모듈(26-c)는 개인에게 부여한 개인지갑 인사데이터 및 분석데이터 접근 요청시 개인지갑의 코드로 권한을 확인한 후 데이터 접근 승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탐지모듈(26-d)은 인사데이터의 입력, 수정, 조회, 분석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고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는 트랜잭션을 블록에 저장하여 모든 노드의 데이터베이스에 인사 데이터 트랜잭션 내용을 남기고 내역이 남았는지 탐지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부서이동 적합성 분석 모듈(26-e)은 인사 데이터 블록을 참고하여 인성, 적성, 심리상태, 부서원간의 성향, 교육 수행 정도 등을 이용하여 부서 이동 적합성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경찰 교육 분석 모듈(26-f)은 기존 인사정보를 분석하여 경찰 직무 교육시 직무 및 성향, 적성에 적합하도록 교육 이수 체계를 만들고 해당 데이터를 부서이동, 인사관리에 활동 가능하도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적성 테스트 결과 AI분석 모듈(26-g)은 인성 검사 및 적성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적합성이 높은 부서 및 업무를 추천하거나 인성 검사 결과로 얻을 수 있는 심리 상태를 기반으로 심리 상담 및 치료 등을 추천하는 등 인/적성검사의 결과를 인사 시스템에 적용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인사정보 AI 빅데이터 분석모듈(26-h)은 기존 인사정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인사 시스템 구축을 위해 직무 만족도, 업무 능력 등을 분석하여 인사 정보 분석의 기준을 만들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사용자 관리서버(40)의 기능별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2 사용자 관리 서버의 블록체인 정보 조회 및 시각화 모듈(42)은 사용자 유무선 장치(30)로부터 상기 각각의 인사 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20)의 저장부에 의해 재저장된 통합인사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된 통합인사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통합인사정보를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3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유무선 장치(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제 2 사용자 관리서버(40)는 매칭된 통합인사정보를 사용자 유무선 장치(3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인사정보들이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의 저장부에 의해 재저장된 통합인사정보와 모두 매칭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또한, 제 2 사용자 관리서버(40)는 사용자 유무선 장치(30)로부터 각각의 인사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서버 저장부에 의해 재저장된 통합인사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되는 통합인사정보가 없는 경우, 해당 인사가 위조된 것이라고 안내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3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사용자 관리서버(40)는 상기 매칭되는 통합인사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각각의 인사정보들과 가장 많은 항목이 매칭하는 통합인사정보를 선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정보 입력 부서중 매칭되지 않는 인사정보를 입력한 부서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판별된 부서가 입력한 인사에 대하여 상기 가장 많은 항목이 매칭하는 통합인사정보의 유사도데이터를 고려하여 인사정보의 위조, 오기재, 누락 등의 여부를 판별하여 해당 인사 데이터에 대한 접근시 코드화되어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인사데이터를 경찰 인사자료의 문서화 형식을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유무선 장치의 암호화 지갑 코드 식별 모듈(44)은 사용자 유무선 장치의 하드웨어어 제공된 암호화 지갑의 코드가 제공된 코드가 맞는지 확인하고 해당 코드의 권한 확인을 통해서 데이터 접근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경찰 신분 확인 서비스 모듈(46)은 사용자 유무선 장치(30)로부터 각각의 신분 확인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일반 시민 및 경찰이 해당 경찰의 신분을 확인할수 있는 서비스로 인사데이터에서 이름, 계급, 소소의 데이터만 조회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서버(20)에 존재하는 블록체인 생성 모듈 및 인사데이터분석 모듈 및 그 외 여러 응용 모듈이 제 2 사용자 관리서버(40)에도 동일하게 혹은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장치는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경찰 내부망에 존재하는 경찰 각 부서에서 교육인사, 신체능력,업무능력, 인사고가 및 특기사항 등의 인사정보들이 생성되는 곳으로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
    상기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에서 생성된 인사정보 및 이를 추가 또는 보완하는 인사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결합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정보를 생성하는 제 1사용자 관리서버;
    외부 접속망에 존재하는 상기 생성된 인사정보들을 열람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장치인 사용자 유무선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사정보 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통합인사정보를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에 제공하는 제 2 사용자 관리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 제 1 사용자 관리서버, 사용자 유무선 장치 및 제 2 사용자 관리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생성된 스마트 계약에 따라 인사정보의 생성, 수정, 조회, 폐기를 타임 플로우(Time flow)에 따라 수행하고 경찰 인력의 교육, 신체능력, 업무능력, 인사고가 및 특이사항등과의 정합성에 따라 경찰 인력의 인사정보들을 상호 연결하여 주는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찰 인력 인사관리 플랫폼은 경찰 인력의 각 부서에서 교육인사, 신체능력, 업무능력, 인사고가 및 특기사항 등의 인사정보들이 생성되는 곳으로 복수의 경찰 인사관리 부서들이 각각 사용하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등의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 및 데스크탑 컴퓨터 등 소정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작동이 가능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는 상기 생성된 인사정보들을 열람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장치들로써,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등의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 및 데스크탑 컴퓨터 등 소정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작동이 가능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는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는 인사데이터 블록체인 생성 모듈, 인사 데이터 분석 모듈 및 응용 모듈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서버의 인사데이터 블록체인 생성 모듈은 인사 관리를 위한 정보(인/적성 검사 결과, 직무 만족도, 교육내역등)을 블록체인 기반 인사관리 플랫폼에 적용하기 위해 인사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로, 기존 데이터베이스 혹은 신규 생성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 저장 단위인 블록에 입력하여 인사 데이터블록을 생성하고, 매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바로 전 블록의 해시값을 담고 있으며, 이어진 블록들이 시간 순으로 생성되어 하나의 인사 데이터 블록체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사 인사데이터 블록체인 생성 모듈에 생성되는 블록은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나뉘며, 헤더에는 1) 현재 인사관리 시스템의 버전 2) 이전 블록을 해싱(Hashing)한 해시값, 3)현재 블록의 내역들을 모두 해싱(Hashig)한 해시값, 4) 현재 블록의 타임스탬프, 5) 해시 목표값(target value, 난이도), 및 6)논스(Nonce)값을 포함하며, 바디에는 해당 블록안에 기록된 모든 내역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의 인사데이터 분석 모듈은 각각의 인사 정보에 대한 인사조회 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정보에 대하여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된 복수의 통합인사정보들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복수의 통합인사정보들을 분석하여 유사도 데이터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유사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유사범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 통합인사정보를 삭제하는 삭제부 및 삭제부에 의해 삭제된 통합인사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통합인사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상에 재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의 응용 모듈은, 생성된 블록들을 권한별, 데이터 성격별, 활용범위별 등으로 분류하는 인사데이터 분류화 모듈,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각각의 개인에게 부여할 개인 지갑 코드를 생성하여 권한을 부여하는 암호화 개인 지갑 코드 생성 모듈, 개인에게 부여한 개인지갑 인사데이터 및 분석데이터 접근 요청시 개인지갑의 코드로 권한을 확인한 후 데이터 접근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암호화 지갑 코드 확인 및 승인 모듈, 인사데이터의 입력, 수정, 조회, 분석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고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는 트랜잭션을 블록에 저정하여 모든 노드의 데이터베이스에 인사 데이터 트랜잭션 내용을 남기고 내역이 남았는지 탐지하여 확인하는 트랜잭션 탐지 모듈, 인사 데이터 블록을 참고하여 인성, 적성, 심리상태, 부서원간의 성향, 교육 수행 정도 등을 이용하여 부서 이동 적합성을 분석하는 부서이동 적합성 분석 모듈, 기존 인사정보를 분석하여 경찰 직무 교육시 직무 및 성향, 적성에 적합하도록 교육 이수 체계를 만들고 해당 데이터를 부서이동, 인사관리에 활동 가능하도록 정보를 생성하는 경찰 교육 분석 모듈, 인성 검사 및 적성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적합성이 높은 부서 및 업무를 추천하거나 인성 검사 결과로 얻을 수 있는 심리 상태를 기반으로 심리 상담 및 치료 등을 추천하는 등 인/적성검사의 결과를 인사 시스템에 적용가능하게 하는 인/적성 테스트 결과 AI분석 모듈, 및 기존 인사정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인사 시스템 구축을 위해 직무 만족도, 업무 능력 등을 분석하여 인사 정보 분석의 기준을 만드는 인사정보 AI 빅데이터 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제 2 사용자 관리 서버의 사용자 유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각각의 인사 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제 1 사용자 관리 서버의 저장부에 의해 재저장된 통합인사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된 통합인사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통합인사정보를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에 제공하고, 제 2 사용자 관리서버는 사용자 유무선 장치로부터 각각의 인사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사용자 관리서버 저장부에 의해 재저장된 통합인사정보와 매칭되는 통합인사정보가 없는 경우, 해당 인사가 위조된 것이라고 안내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에 제공하는 블록체인 정보 조회 및 시각화 모듈, 상기 사용자 유무선 장치의 하드웨어에 제공된 암호화 지갑의 코드가 제공된 코드가 맞는지 확인하고 해당 코드의 권한 확인을 통해서 데이터 접근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 유무선 장치의 암호화 지갑 코드 식별 모듈, 및 사용자 유무선 장치로부터 각각의 신분 확인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일반 시민 및 경찰이 해당 경찰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로 인사데이터에서 이름, 계급, 소속의 데이터만 조회가 가능하게 하는 경찰 신분 확인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KR1020190068075A 2019-06-10 2019-06-10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KR102221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75A KR102221520B1 (ko) 2019-06-10 2019-06-10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75A KR102221520B1 (ko) 2019-06-10 2019-06-10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571A true KR20200141571A (ko) 2020-12-21
KR102221520B1 KR102221520B1 (ko) 2021-03-03

Family

ID=7409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075A KR102221520B1 (ko) 2019-06-10 2019-06-10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9515A (zh) * 2023-07-14 2023-08-11 广东省科技基础条件平台中心 一种基于区块链的在孵企业导师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0241A (ja) * 2001-01-31 2002-08-16 Shinko Securities Co Ltd 人事管理システム、人事管理方法、及び記録媒体
KR101707186B1 (ko) * 2016-07-11 2017-02-15 주식회사 넷츠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769931B1 (ko) * 2017-02-21 2017-08-30 김완용 인사이동관리시스템 및 그의 인사이동방법
KR101932277B1 (ko) * 2017-12-22 2018-12-24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보 공유를 위한 분산 원장 장치 및 분산 원장 방법
KR20190002769A (ko) * 2017-06-08 2019-01-09 (주)필라웨어 사용자 인사 정보에 기반한 가상 데스크탑/가상 어플리케이션 환경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0241A (ja) * 2001-01-31 2002-08-16 Shinko Securities Co Ltd 人事管理システム、人事管理方法、及び記録媒体
KR101707186B1 (ko) * 2016-07-11 2017-02-15 주식회사 넷츠 인사정보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769931B1 (ko) * 2017-02-21 2017-08-30 김완용 인사이동관리시스템 및 그의 인사이동방법
KR20190002769A (ko) * 2017-06-08 2019-01-09 (주)필라웨어 사용자 인사 정보에 기반한 가상 데스크탑/가상 어플리케이션 환경 관리 시스템
KR101932277B1 (ko) * 2017-12-22 2018-12-24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보 공유를 위한 분산 원장 장치 및 분산 원장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9515A (zh) * 2023-07-14 2023-08-11 广东省科技基础条件平台中心 一种基于区块链的在孵企业导师管理系统及方法
CN116579515B (zh) * 2023-07-14 2023-10-17 广东省科技基础条件平台中心 一种基于区块链的在孵企业导师管理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520B1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2478B2 (en) Blockchain-based digital identity management method
Al-Zaben et al.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complied blockchain architecture for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management
Jarrett et al. The impact of autom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on digital forensics
Ashbourn Biometrics in the new world: The cloud, Mobile technology and Pervasive identity
AU20162019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ndidate profile screening
KR102509748B1 (ko) 메타데이터 및 딥러닝 보안제어를 이용한 가명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opp et al. Countering terrorism through information and privacy protection technologies
CN114693192A (zh) 风控决策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9658126A (zh) 基于产品推广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783144A (zh)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以及装置
US202202372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garding dark web
WO2021118413A2 (en) Data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secure multilateral computing and data analysis methods
CN112749973A (zh) 一种权限管理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846292B (zh) 脱敏规则生成方法及装置
JP2022517042A (ja) 分散型台帳システムへのデータの記録の誤ったコピーの送信を防止する
KR10222152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경찰 인력 통합인사관리 시스템
CN110362626A (zh) 一种基于区块链网络便民查询系统及使用方法
Ardina et al. Design of A blockchain-based employee attendance system
CN112508541A (zh) 基于培训学员信息数据采集的便携式手机采集软件系统
CN111292058A (zh) 基于区块链的企业构建及人力资源管理方法及设备、介质
CN115238311A (zh) 一种档案管理系统
CN113128595A (zh) 整合客户信息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2581129A (zh) 区块链交易数据治理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Deutch Image Activism After the Arab Uprisings| Challenges in Codifying Events Within Large and Diverse Data Sets of Human Rights Documentation: Memory, Intent, and Bias
CN112231367B (zh) 基于人工智能的业务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