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905B1 -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동안 시스템 정보 취득에 관한 방법 및 노드 - Google Patents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동안 시스템 정보 취득에 관한 방법 및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905B1
KR101706905B1 KR1020167020894A KR20167020894A KR101706905B1 KR 101706905 B1 KR101706905 B1 KR 101706905B1 KR 1020167020894 A KR1020167020894 A KR 1020167020894A KR 20167020894 A KR20167020894 A KR 20167020894A KR 101706905 B1 KR101706905 B1 KR 10170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wireless device
nmin
network nod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512A (ko
Inventor
알리 베흐라반
무함마드 카즈미
이아나 시오미나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6009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운영되는 제1 셀에 위치된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자율 갭을 사용하여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510)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방법은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최소 개수에 대응하는 값(Nmin)을 획득하는 단계(520)를 더 포함하고, 값(Nmin)은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된다. 본 방법은 상기 시간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530)를 또한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무선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노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동안 시스템 정보 취득에 관한 방법 및 노드{METHODS AND NODES RELATING TO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DURING FLEXIBLE SUBFRAME OPERATION}
본원에서의 실시예는 전기 통신 시스템(telecommunication systems)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flexible subframe operation)이 구성될 때 시스템 정보(SI) 취득 동안 상향링크(UL) 피드백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무선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이 구성될 때 무선 디바이스가 SI 취득 동안 UL 피드백을 관리하는 것을 돕기 위한 방법 및 네트워크 노드가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전기 통신 시스템 내에서, UL 및 하향링크(DL)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현재 트래픽 조건에 맞게 더 잘 적응시키기 위해 가변 서브프레임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DL 트래픽이 주로 있을 때, 많은 DL 서브프레임을 갖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적 시분할 듀플렉스에서의 가변 서브프레임
동적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에서, 일군의 서브프레임은 고정 서브프레임(fixed subframe)인 반면 - 즉, 모든 라디오 프레임에서 UL 또는 DL 서브프레임임 -, 다른 서브프레임은 가변 서브프레임이지만 - 즉, 일부 라디오 프레임에서, UL 서브프레임일 수 있음 -. 다른 라디오 프레임에서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이 DL 서브프레임이거나 심지어 특수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UL 또는 DL 방향의 배정(assignment)이 라디오 프레임 또는 다수의 라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동적 방식으로 행해진다. 가변 서브프레임은 동적 서브프레임과 서로 바꾸어 불릴 수 있다.
표 1은 기존의 TDD 구성(UL-DL 구성 또는 TDD UL-DL 구성이라고도 알려져 있음)을 나타낸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01
도 1a는 2 개의 레거시 TDD 구성(구성 0 및 구성 2)으로부터 행해지는 동적 TDD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TDD 구성은 또한 UL/DL 서브프레임 구성이라고도 불리운다.
가변 서브프레임의 구성
가변 서브프레임은 셀에서 구성되고, UE도 시그널링에 의해 가변 서브프레임에 관해 통보받는다. 서브프레임이, 하나의 TDD 구성에서는 UL 서브프레임이고 제2 TDD 구성에서는 DL 또는 특수 서브프레임인 경우에, 본 문서에서 가변적(flexible)이라고 지칭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브프레임이, 하나의 TDD 구성에서는 UL 서브프레임이고 다른 TDD 구성에서는 DL 또는 특수 서브프레임인 경우에, 가변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서브프레임이, 하나의 TDD 구성에서는 UL 서브프레임이고 제2 TDD 구성에서는 DL 서브프레임인 경우에, 또한 가변적(flexible)일 수 있다. 동일한 셀에서의 상이한 라디오 프레임에서 또는 상이한 셀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라디오 프레임 동안 제1 및 제2 TDD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TDD 구성은 또한 UL-DL 구성 또는 특수 서브프레임 구성과 서로 바꾸어 불릴 수 있다. 2 개의 구성이 UL 스케줄링 및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타이밍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및 DL HARQ 타이밍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DD 구성은 그렇지 않은 경우 고정 구성(예컨대, 표 1에서의 구성 0 및 구성 5)에 기초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예(구성 0 및 구성 5)에서, 서브프레임 {3, 4, 7, 8, 9}은 가변적일 것이다.
소정의 시간 기간(예컨대, 10, 20, 40, 80 ms의 기간) 동안 적용될 TDD 구성이 DL 제어 정보(DCI) 포맷 1C에 의해 UE에 전달되는 것이 현재 3GPP에서 논의되고 있다. UE는 현재 라디오 프레임부터 또는 임의의 후속 라디오 프레임에서 이 구성을 적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반이중 동작에서의 가변 서브프레임
HD(half duplex: 반이중)에서,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HD-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서, UL 및 DL 전송이 상이한 짝을 이룬 반송파 주파수에서 일어나고, 동일한 셀에서 시간상 동시에 일어나지는 않는다. 이것은 UL 및 DL 전송이 상이한 시간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언하면, UL 및 DL 서브프레임이 시간상 중첩하지 않는다. DL, UL에 대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및 사용되지 않는 서브프레임의 개수 및 위치는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 또는 다수의 라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레임(예컨대, 프레임#1)에서, 서브프레임 9, 서브프레임 0, 서브프레임 4 및 서브프레임 5는 DL을 위해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2, 서브프레임 5 및 서브프레임 7은 UL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다른 프레임(예컨대, 프레임#2)에서, 서브프레임 0 및 서브프레임 5는 DL을 위해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2,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5,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8은 UL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일부 서브프레임은 UL 서브프레임과 DL 서브프레임 사이의 스위칭을 고려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이 예에서,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8 및 서브프레임 9는, 라디오 프레임 #1 및 라디오 프레임 #2에 걸쳐 UL 서브프레임, DL 서브프레임 및 사용되지 않는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변하기 때문에, 가변 서브프레임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자율 갭(autonomous gap)을 사용한 SI 취득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및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서빙 셀은 대상 셀의 SI를 취득하라고 UE에 요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상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CGI(cell global identifier)를 취득하기 위해 SI가 UE에 의해 판독된다.
UE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서빙 네트워크 노드(serving network node)로부터(예컨대, HSPA에서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또는 LTE의 경우에 eNode B로부터) 명시적 요청을 수신할 시에, 대상 셀(예컨대, 주파수내(intra-frequency), 주파수간(inter-frequency) 또는 RAT간(inter-RAT) 셀)의 SI를 판독한다. 취득된 SI는 이어서 서빙 셀에 보고된다. 시그널링 메시지는 관련 HSPA 및 LTE 규격에 정의되어 있다.
LTE에서, 대상 셀이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주파수내 또는 주파수간일 때, UE는 E-UTRAN의 CGI(ECGI(E-UTRAN CGI)라고도 알려져 있음)를 취득하기 위해 대상 E-UTRAN 셀(FDD 또는 TDD일 수 있음)의 MIB(master information block) 및 SIB1(SI block#1)을 판독해야만 한다. MIB 및 SIB1은, 각각, 미리 정의된 스케줄링 인스턴스에 걸쳐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및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송신된다.
대상 셀의 CGI를 포함하는 SI를 취득하기 위해, UE는 나중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MIB(master information block) 및 관련 SIB(SI block)를 포함하는 SI의 적어도 일부를 판독해야만 한다. SI 판독/디코딩/취득, CGI/ECGI 판독/디코딩/취득, CSG SI 판독/디코딩/취득이라는 용어가 때때로 서로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일관성을 위해, 보다 광의의 용어 "SI 판독 또는 취득"이 사용된다.
CGI의 취득을 위한 SI의 판독은 UE에 의해 자율적으로 생성되는 측정 갭(measurement gap) 동안 수행된다. 갭의 개수 및 그의 크기는 따라서 UE 구현은 물론, 라디오 상태 또는 판독될 SI의 유형과 같은 다른 인자에 의존한다.
TDD 주파수내 측정에 있어서, 자율 갭(autonomous gap)이 CGI를 보고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UE는
Figure 112016073963559-pct00002
내에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할 수 있을 필요가 있을 수 있고, 여기서 Tbasic_identify_CGI, intra는 UE가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기 위한 최대 허용 시간(maximum allowed time)이다. Tbasic_identify_CGI, intra는 150 ms와 동일하다. DRX(Discontinuous Reception)가 사용되지 않을 때 이 요건이 적용된다.
연속적인 DL 데이터 할당이 있고 DRX가 사용되지 않으며 측정 갭이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UE는 E-UTRA 셀의 새로운 CGI의 식별 동안 적어도 이하의 표 2에서 언급된 개수의 ACK/NACK(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연속적인 전송이란 본원에서 네트워크 노드가 Tbasic_identify_CGI, intra 동안 모든 DL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03
문제점
UE는 자율 갭에서 비서빙 셀(non-serving cell)의 SI를 취득한다. 자율 갭 동안, UE는 서빙 셀에서 수신 및 전송을 하지 않으며, 따라서 서빙 셀의 SI를 비롯한 어떤 유형의 서빙 신호(serving signal)도 수신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는 UE가 한번에 하나의 물리 채널(예컨대, PBCH, PDSCH)만을 디코딩할 수 있고 SI가 PBCH 및 PDSCH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이다
기존의 LTE TDD 해결 방안에서, UE는 정적 TDD 구성 하에서 명시되고 적용가능한 미리 정의된 SI 판독 요건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SI가 UE에 의해 취득되는 기간(T0) 전체에 걸쳐 모든 셀에서 서빙 반송파(serving carrier) 및 비서빙 반송파(non-serving carrier) 상에서 동일한 TDD 구성이 사용된다.
특정의 최소 서빙 셀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SI 판독 요건은 또한 UE가 연속적인 DL 데이터 전송에 응답하여 T0 동안 적어도 특정 개수의 ACK/NACK를 송신할 것을 요구한다. 정적 TDD에서는, HARQ 타이밍이 고정되고, 전송될 ACK/NACK의 개수의 측면에서의 요건이 또한 고정되어 있으며 TDD 구성에 의존한다.
그렇지만, 동적 TDD에서 또는 HD-FDD에서와 같은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을 갖는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의 방향이 빠르게(때때로 매 라디오 프레임마다만큼 빠르게) 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T0 동안 최소 개수의 ACK/NACK의 전송의 측면에서의 UE 거동이 명시되지 않는다. 이것은,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에서, UE가 어떤 요건에도 부합하지 않고, 따라서 이하의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을 야기할 것임을 의미한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04
SI 취득 동안 데이터의 수신 및 전송의 측면에서의 서빙 셀 성능의 열화;
Figure 112016073963559-pct00005
UE가 사용할 수 없을지도 모르기 때문에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승인(scheduling grant)의 상실; 및
Figure 112016073963559-pct00006
UE가 T0 동안 필요한 것보다 적은 자율 갭을 생성하는 경우 SI 판독 성능의 열화 또는 SI를 취득하지 못하는 것.
목적은 앞서 언급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을 완화시키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따른 방법, 무선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그리고 종속 청구항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달성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목적은, 무선 디바이스 또는 UE(user equipment)에 의해 수행되는,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이 구성되어 있을 때 시스템 정보 취득 동안 UL 피드백을 관리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운영되는 제1 셀에 위치된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되고,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자율 갭을 사용하여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방법은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대응하는 값(Nmin)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값(Nmin)은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본 방법은 또한 상기 시간 기간 동안 DL 데이터에 응답하여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운영되는 제1 셀에 위치될 때,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자율 갭을 사용하여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대응하는 값(Nmin)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값(Nmin)은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시간 기간 동안 DL 데이터에 응답하여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목적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이 구성되어 있을 때 무선 디바이스가 시스템 정보 취득 동안 UL 피드백을 관리하는 것을 돕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제1 셀을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셀에 의해 서빙된다. 본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가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는 소정의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무선 디바이스를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구성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된 값(Nmin)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값(Nmin)은 상기 시간 기간 동안 DL 데이터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전송해야 하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대응한다. 본 방법은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제1 셀에서 DL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DL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 셀에서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목적은 제1 셀을 운영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셀에 의해 서빙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가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는 소정의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무선 디바이스를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구성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된 값(Nmin)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값(Nmin)은 상기 시간 기간 동안 DL 데이터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전송해야 하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대응한다. 게다가,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제1 셀에서 DL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전송된 DL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 셀에서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본 목적은 전술한 양태에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상이한 양태의 장점은 가변 서브프레임 구성이 사용되더라도 UE가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는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서빙 셀 성능이 보장된다는 것이다. UE가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특정의 최소 개수의 DL 서브프레임의 측면에서 성능이 보장된다.
전술한 상이한 양태의 다른 장점은 가변 서브프레임 구성이 사용되더라도 연속적인 DL 데이터 전송에 응답하여 최소 개수의 ACK/NACK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의 측면에서의 UE 거동이 명시되고 UE가 SI를 취득하는 시간 기간 동안 명백하다는 것이다.
다른 장점은 UE가 셀의 SI를 취득할 때 네트워크 노드가 스케줄링 승인을 더 잘 사용할 수 있고, 제2 셀의 SI의 취득이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UE가 상기 시간 기간 동안 SI를 취득하는 데 필요한 개수의 자율 갭만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정의 특징들 및 그의 장점들을 포함하여 본원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태들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로부터 손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2 개의 레거시 TDD 구성으로부터 행해지는 동적 TDD 구성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도 1b는 본원에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노드를 각각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될 때 일어나는, SI 취득 동안 데이터의 수신 및 전송의 측면에서의 열화된 서빙 셀 성능의 문제점이 무선 디바이스가 SI를 취득하는 시간 기간에 DL 데이터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해결 방안에 의해 해결된다. 값(Nmin)은 무선 디바이스가 구성되어 있는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되어 있고,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서는 물론 무선 디바이스에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값(Nmin)은 따라서 서빙 셀 성능이 특정 레벨로 보장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가 다른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해 자율 갭을 사용하는 시간 기간에 UE가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DL 서브프레임의 특정의 최소 개수의 측면에서 성능이 보장된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TS 36.133 Rel-12, version 12.2.0에 따르면, 'reportCGI'를 위한 측정을 하라고 네트워크에 의해 요청될 때 UE가 CGI를 식별하고 보고해야만 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UE는 DL 수신 및 UL 전송에서 MIB 및 SIB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자율 갭을 만들 수 있다
문헌(TS 36.133 "E-UTRA TDD intra-frequency measurement with autonomous gap")의 섹션 8.1.2.2.4로부터 이하의 결론이 내려질 수 있다: 주파수내 측정의 경우에, UE는 Tidentify_CGI, intra = Tbasic_identify_CGI, intra 내에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Tbasic_identify_CGI, intra = 150 ms이다. 이것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RSRP)가 특정의 부가 조건(side condition)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GI를 식별하기 위한 최대 시간에 대한 그리고 RSRP에 대한 부가 조건의 충족에 대한 상기 요건에 부가하여, UE는 Tidentify_CGI, intra ms 동안 특정 개수의 ACK/NACK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 개수는 TDD UL/DL 구성에 의존하고, 배경기술 섹션에서 표 2에 나타내어져 있다.
그렇지만, 동적 TDD에서, 상이한 라디오 프레임이 상이한 TDD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UE가 TDD UL/DL 구성에 의존하는 개수의 ACK/NACK를 Tidentify_CGI, intra ms 동안 전송해야만 한다는 상기 요건이 적용될 수 없다. 따라서, 동적 TDD의 경우에, UE가 Tidentify_CGI, intra ms 동안 몇 개의 ACK/NACK를 전송해야만 하는지에 대한 요건은, TDD 구성 0인 최소 개수의 DL 서브프레임을 갖는 TDD 구성에 관련되어 있는, 적어도 그 개수의 ACK/NACK를 전송하는 것일 것이다(배경기술 섹션에서의 표 1을 참조). 따라서, 동적 TDD의 경우에, UE는, 배경기술 섹션의 표 2에서 TDD 구성 0에 대한 최소 개수의 ACK/NACK로서 표시되어 있는, 적어도 18 개의 ACK/NACK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결론은, 동적 TDD의 경우에, 자율 갭을 사용한 주파수내 측정을 위해, UE가 Tidentify_CGI, intra ms 동안 적어도 18 개의 ACK/NACK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자율 갭을 사용한 주파수내 측정과 유사하게, 주파수간 측정에 대한 문헌(TS 36.133: "TDD-TDD and TDD-FDD inter-frequency measurement with autonomous gap")의 섹션 8.1.2.3.6 및 섹션 8.1.2.3.7로부터 이하의 결론이 내려질 수 있다. 'reportCGI'를 위한 측정을 위해 자율 갭이 사용되는 경우, UE는 Tidentify_CGI, inter = Tbasic_identify_CGI, inter ms 내에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고, 여기서 Tbasic_identify_CGI, inter = 150 ms이다.
이것은 RSRP가 특정의 부가 조건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GI를 식별하기 위한 최대 시간에 대한 그리고 RSRP에 대한 부가 조건의 충족에 대한 상기 요건에 부가하여, UE는 Tidentify_CGI, inter ms 동안 30 개의 ACK/NACK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 요건은, TDD 구성 1이 공통의 구성이기 때문에, TDD 구성 1에 기초하여 설정되었다. 그렇지만, 동적 TDD에서, 상이한 라디오 프레임이 상이한 TDD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TDD 구성 1에 기초한 상기 요건이 적용될 수 없다. 따라서, 동적 TDD의 경우에, UE가 Tidentify_CGI, inter ms 동안 몇 개의 ACK/NACK를 전송해야만 하는지에 대한 요건은, TDD 구성 0인 최소 개수의 DL 서브프레임을 갖는 TDD 구성에 관련되어 있는, 적어도 그 개수의 ACK/NACK를 전송하는 것일 것이다(배경기술 섹션에서의 표 1을 참조). 따라서, 동적 TDD의 경우에, UE는, 배경기술 섹션의 표 2에서 TDD 구성 0에 대한 최소 개수의 ACK/NACK로서 표시되어 있는, 적어도 18 개의 ACK/NACK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결론은, 동적 TDD의 경우에 그리고 자율 갭을 사용한 TDD-TDD 및 TDD-FDD 주파수간 측정을 위해, UE가 Tidentify_CGI, inter ms 동안 적어도 18 개의 ACK/NACK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eIMTA(Enhanced Interference Mitigation & Traffic Adaptation)에 대한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요건에 관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 여기서 elMTA는 3GPP에 의해 정의된 가변 TDD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임 -, 이하의 결론이 내려질 수 있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07
동적 TDD의 경우에, 자율 갭을 사용한 주파수내 측정을 위해, UE가 Tidentify_CGI, intra ms 동안 (Nmin의 일 예로서) 적어도 18 개의 ACK/NACK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08
동적 TDD의 경우에, 자율 갭을 사용한 TDD-TDD 및 TDD-FDD 주파수간 측정을 위해, UE가 Tidentify_CGI, inter ms 동안 (Nmin의 일 예로서) 적어도 18 개의 ACK/NACK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 전체에 걸쳐, 적절할 때, 유사한 요소, 유닛, 모듈, 회로, 노드, 부분, 항목, 또는 특징을 가리키기 위해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었다. 도면에서, 일부 실시예에서만 나오는 특징은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b는 본원에서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LTE 시스템이다. 다른 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등과 같은, 임의의 3GPP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심지어 전술한 시스템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의 진화(evolution)일 수 있다. 게다가, UE가 단일의 반송파에 의해 서빙되도록 구성(단일 반송파 동작이라고도 알려져 있음)되거나 네트워크 노드에서 단일의 반송파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때의 실시예가 기술되어 있다. 그렇지만, 실시예가 다중 반송파 또는 반송파 집성 동작에도 적용가능하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본원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라고 지칭되는, 네트워크 노드(120)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라는 용어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RBS(Radio Base Station), RRU(Remote Radio Unit) 또는 RRH(Remote Radio Head), 액세스 포인트, 소위 3G(Third Generation) 네트워크에서의 NodeB, LTE 네트워크에서의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eNodeB 또는 eNB, 릴레이 노드(relay node), 릴레이를 제어하는 도너 노드(donor node), 전송 포인트 또는 노드, DAS(distributed antenna system)에서의 노드, 코어 네트워크 노드(core network node) 등을 지칭할 수 있다.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네트워크에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라는 용어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도 지칭할 수 있다. 게다가, GERAN(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 Radio Access Network)에서 - 여기서 EDGE는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의 약자임 -,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라는 용어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도 지칭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과 같은, 제1 셀(101)을 운영할 수 있다.
게다가,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1 셀(101)에 위치되어 있다. 달리 표현하면, 무선 디바이스(110)가 제1 셀(101)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이것은 무선 디바이스(110)가 제1 셀(101)에 연결되거나 제1 셀(101)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는 것 또는 무선 디바이스(110)가 제1 셀(101)에 캠프 온(camp on)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UE, 가입자 유닛, 휴대폰, 셀룰러폰, 라디오 통신 능력을 갖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내장형 또는 외장형 모바일 광대역 모뎀을 갖춘 랩톱 또는 개인용 컴퓨터(PC), 라디오 통신 능력을 갖춘 태블릿 PC, 휴대용 전자 라디오 통신 디바이스, 라디오 통신 능력을 갖춘 센서 디바이스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센서는 바람, 온도, 기압, 및 습도와 같은 임의의 종류의 기상 센서일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 센서는 광 센서, 전자 스위치, 마이크로폰, 스피커, 및 카메라 센서일 수 있다. 때때로, "사용자" 또는 "가입자"라는 용어는 무선 디바이스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제2 셀(102)을 포함한다. 제2 셀(102)은 제1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또는 추가의 네트워크 노드(130)(본원에서 제2 네트워크 노드라고 지칭됨)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이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운영되는지 추가의 네트워크 노드(130)에 의해 운영되는지에 따라 제1 셀(101) 또는 제2 셀(102)일 수 있는 셀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제1 셀(101) 및 제2 셀(102) 둘 다가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운영된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전형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이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이웃하는 네트워크 노드 - 무선 디바이스가 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또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 - 일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UE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09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을 위해 적용가능한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예컨대, T0)과 같은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셀의 SI를 취득하는 단계. 적어도 시간 기간(T0)의 일부 동안, UE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동작하고 있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10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예컨대, ACK/NACK)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Nmin 값은 미리 정의된 정보에 또는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음 -. UE는 바람직하게는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예컨대, PDSCH를 통한 UE로의 DL 데이터의 적어도 연속적인 전송에 응답하여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전송해야만 한다. Nmin은 구성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과 연관되어 있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11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UE로의 DL 데이터의 적어도 연속적인 전송에 응답하여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Figure 112016073963559-pct00012
하나 이상의 라디오 동작(예컨대, 제1 네트워크 노드로의 시그널링)을 위해 취득된 SI를 사용하는 단계.
UE에 서빙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13
적어도 하나의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예컨대, 동적 또는 가변 TDD, HD-FDD 동작)으로 UE를 구성하는 단계;
Figure 112016073963559-pct00014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을 위해 적용가능한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예컨대, T0)과 같은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셀의 SI를 취득하도록 UE를 구성하는 단계;
Figure 112016073963559-pct00015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모든 DL 서브프레임에서 DL 데이터를, 예컨대, PDSCH를 통해 UE로 전송하는 단계.
Figure 112016073963559-pct00016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UE로의 DL 데이터의 연속적인 전송에 응답하여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Nmin은 구성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동적 UL/DL 서브프레임 할당(예컨대, 동적 TDD 시스템 또는 HD-FDD 동작)에서, 일군의 서브프레임은 고정 서브프레임인 반면, 다른 서브프레임은 가변 서브프레임이다. 고정 서브프레임은 모든 라디오 프레임에서 UL 서브프레임이거나 모든 라디오 프레임에서 DL 서브프레임이다. 가변 서브프레임은 일부 라디오 프레임에서 UL 서브프레임일 수 있고 다른 라디오 프레임에서 DL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UL 또는 DL 방향의 배정은 동적 방식으로 행해진다. 서빙 셀 성능은 UE가 그의 서빙 셀(들)에서 수신 및/또는 전송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 개수로 표현될 수 있다. UE는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자율 갭을 생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UE가 자율 갭을 생성할 때, 동적 UL/DL 서브프레임 할당은 서빙 셀 성능을 훨씬 더 예측 불가능하게 만든다. 이 문제점은 본원에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본원에서의 실시예는 시스템 성능을 개선시킨다.
도 2는 도 1b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과 관련하여 수행될 때 본원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한다.
이하의 액션들 또는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이 임의의 적당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액션(201)
제1 네트워크 노드(120)는 UE를 적어도 하나의 가변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변 서브프레임은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예컨대, 배경기술 섹션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시간 기간(T0) 동안) 적용가능할 수 있는 가변 서브프레임 구성 방식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간 기간은 배경기술 섹션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DCI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액션(201)은 도 4b에서의 구성 모듈(10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액션(202)
제1 네트워크 노드(120)는 기지의 방식에 따라 SI를 취득하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거나 그에 지시/명령할 수 있다. 이 액션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가, 적용가능할 때, 액션(208)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 또는 UL 데이터의 일부를 누락(miss)시킬 수 있는, 자율 갭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UE가 DL에만 스케줄링되어 있다면, UE는 DL 데이터를 누락시킬 것이고, UE가 UL에만 스케줄링되어 있다면, UE는 UL 데이터를 누락시킬 것이다. 그렇지만, 섹션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하에서 SI 취득 동안 스케줄링을 적응시키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DL 데이터의 누락이 회피될 수 있다. 액션(202)은 도 4b에서의 구성 모듈(10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액션(203)
무선 디바이스(110)는, 자신이 예컨대 제2 셀에 대한 그리고/또는 제1 셀에 대한 SI를 획득해야 한다는 것에 관한 정보를 획득(예컨대, 수신)할 수 있다. 액션(203)은 도 3b에서의 획득 모듈(8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액션(204)
제1 네트워크 노드(120)는 무선 디바이스를 최소 UL 피드백에 관한 정보로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최소 UL 피드백에 관한 정보는 무선 디바이스가 어느 서브프레임에서 UL 피드백(예컨대, ACK/NACK와 같은 HARQ 피드백)을 송신해야 하는지를 명시할 수 있다. 최소 UL 피드백에 관한 정보는 UL 피드백 신호 및/또는 그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의 최소 개수일 수 있다. 더욱이, 최소 UL 피드백에 관한 정보는 가변 서브프레임 구성 방식(예컨대, UL/DL 구성)과 연관될 수 있다. 이 액션은 도 4b에서의 구성 모듈(10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 및 제1 네트워크 노드는 HARQ 타이밍(즉, UL 피드백이 언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지)의 공통의 이해를 획득할 수 있다.
액션(205a) 및/또는 액션(205b)
제1 네트워크 노드(120)가 SI를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제2 네트워크 노드(130)가 SI를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액션(206)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SI를 수신한다. 대안적으로,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2 네트워크 노드(130)로부터 SI를 수신할 수 있다(대안이 도 2에 도시되지 않음).
액션(207)
무선 디바이스(110)는 최소(min) UL 피드백을 획득한다. 최소 UL 피드백은, 액션(201)에서와 같이, 적용된 또는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변 서브프레임과 연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소 UL 피드백은 가변 서브프레임 구성 방식(UL/DL 구성 등)과 연관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min UL 피드백은 액션(204)에서와 같이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min UL 피드백은, 예컨대,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min UL 피드백은 섹션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하에서 SI 취득 동안 서빙 셀 성능을 적응시키는 UE에서의 방법"에서 항목 4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액션(207)은 도 3b에서의 결정 모듈(8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가 액션(207)을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알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네트워크 노드와 무선 디바이스는 UL 피드백이 언제 및/또는 어떻게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어야 하는지의 공통의 이해를 획득한다.
액션(208)
제1 네트워크 노드(120)는 DL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액션(209)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1 네트워크 노드(120)로부터 DL 데이터를 수신한다(액션(208)을 참조).
액션(210)
DL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110)는 UL 피드백을 송신한다.
액션(211)
제1 네트워크 노드(120)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UL 피드백을 수신한다(액션(210)을 참조).
액션(212)
무선 디바이스(110)는 수신된 SI를 다양한 방식으로(예컨대, 핸드오버 이전의 준비로서 제2 셀에 대해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액션(213)
네트워크 노드(120)는, 예컨대, 측정 보고를 수신할 수 있고, 여기서 측정 보고는 액션(212)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측정에 기초한다.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하에서 SI 취득 동안 서빙 셀 성능을 적응시키는 UE에서의 방법
이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빙되거나 운영되는 제1 셀에서 동작하는 UE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기술하고, 여기서 UE는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빙되거나 운영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셀의 SI를 취득하며, 여기서 UE는 또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예컨대, 동적 또는 가변 TDD 또는 HD-FDD 동작)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셀 - UE가 데이터를 그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또는 그에게로 전송함 - 에서 사용된다. 제1 셀은 서빙 셀 또는 다중 반송파 동작을 위해 복수의 서빙 셀로 구성된 UE의 서빙 셀들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서빙 셀은 또한 PCell(primary cell)과 서로 바꾸어 불리울 수 있다. SCell(secondary cell)도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서빙 셀이다.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이 또한 다른 셀(예컨대,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셀)에서 주파수내 및/또는 비서빙 반송파 주파수 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셀이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에서(주파수내 셀), 동일한 RAT의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에서(주파수간 셀), 상이한 RAT의 동일한 주파수에서, 또는 상이한 RAT의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에서 동작할 수 있다. 특수한 경우로서, 제1 및 제2 셀이 동일할 수 있다(예컨대, UE가 서빙 셀의 SI를 취득할 때). UE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이하의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 적어도 하나의 제2 셀의 SI가 취득되어야 한다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SI는 MIB, SIB1 또는 임의의 다른 SIB(예컨대, SIB2, SIB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가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거나, UE에 의해 내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수신된 요청의 일 예는 'reportCGI' 또는 'report CSG indicator' 또는 'reporting S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일 수 있고, 여기서 CSG는 폐쇄 가입자 그룹(Closed Subscriber Group)이다. 'SI의 취득 또는 SI를 취득'이라는 용어는 또한 'SI를 판독 또는 SI의 판독', "SI를 식별 또는 SI의 식별", 'SI를 결정' 등이라고도 불리울 수 있다. 이 액션은 액션(203)과 유사하다.
2.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자율 갭을 생성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지속기간(예컨대, T0 또는 다른 시간 기간) 동안 사용하기 위한 자율 갭이 생성된다. 미리 정의된 지속기간 또는 시간 기간은 셀의 CGI를 식별하는 데 필요한 시간, 또는 셀의 SI를 취득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자율 갭 동안, UE 서빙 동작이 중단된다. 이것은, 이러한 갭 동안, 서빙 셀 내의(즉, 제1 셀 내의) UE가 UL에서 어떤 신호도 전송하지 않을 수 있고 DL에서 어떤 신호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것은 UE가 이러한 갭 동안 그의 서빙 셀에 의해 UL 및 DL에서 서빙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액션은 액션(202)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액션은 상기 액션(203)의 일부일 수 있다.
3. UE가 T0의 적어도 일부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이 액션은 상기 액션(207)의 일부일 수 있다. 방식의 결정은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구성에 기초하고 그리고/또는 UE에 의해 지원되는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된 UE 라디오 액세스 능력에 기초할 수 있다.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은 이하의 것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용되는, 가변 또는 동적 TDD 구성. 가변 TDD 구성은 이하의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 UL 서브프레임, DL 서브프레임 및 특수 서브프레임 중 임의의 2 개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변한다;
ii. 서브프레임의 개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할당이 2 개의 상이한 라디오 프레임 동안 상이하다;
iii.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TDD UL/DL 구성이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거나 표시된다;
iv.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TDD UL/DL 구성이 UE에 의해 사용된다.
b.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용되는, HD-FDD에서의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HD-FDD에서의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은 이하의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 UL 서브프레임, DL 서브프레임 및 사용되지 않는 서브프레임 중 임의의 2 개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변한다;
ii. 서브프레임의 개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할당이 2 개의 상이한 라디오 프레임 동안 상이하다;
iii. HD-FDD 구성 또는 HD-FDD 서브프레임 구성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서브프레임 구성이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거나 표시된다;
iv.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서브프레임 구성이 UE에 의해 사용된다.
4. UE가 바람직하게는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UE로의 DL 데이터(예컨대, PDSCH)의 적어도 연속적인 전송에 응답하여 전송해야만 하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Nmin)를 획득(또는 결정)하는 단계. 최소 개수(Nmin)는 결정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본원에서 DL 데이터의 연속적인 전송은 제1 네트워크 노드가 SI 취득 시간 동안(즉, 예컨대, T0에 걸쳐) 모든 DL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소 개수(Nmin)는 부가의 조건 또는 제약조건 하에서 적용가능하거나 그와 연관될 수 있다. 이 부가의 조건 또는 제약조건은, T0의 적어도 일부 동안, UE가 측정 갭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것, UE가 어떤 DRX 사이클로도 구성되지 않은 것, UE가 DRX에서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것, UE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미리 정의된 개수의 코드 워드(예컨대, 서브프레임당 하나의 코드 워드)를 갖는 DL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및 어떤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도 서빙 셀 또는 PCell에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MBSFN 서브프레임으로서 구성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의 예는 FDD에 대한 서브프레임 # 1, 2, 3, 6, 7 및 8과 TDD에 대한 서브프레임 # 3, 4, 7, 8 및 9이다. 이 액션은 상기 액션(207)과 유사하다.
a. 미리 정의된 개수의 코드 워드의 예는 하나의 코드 워드이다. UL 피드백 신호의 예는 다음과 같다:
i. DL 채널의 수신(예컨대,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PDSCH의 수신)을 확인 응답하기 위해 HARQ 피드백의 일부로서 UE에 의해 송신되는 임의의 UL 신호.
ii. 보다 구체적으로는, HARQ 피드백의 일부로서 UE에 의해 전송되는 ACK/NACK 개수. 예를 들어, 하나의 ACK 또는 NACK는 단일의 또는 하나의 코드 워드를 갖는 DL 전송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당 하나의 코드 워드를 갖는 DL 전송을 갖는 10 개의 서브프레임에서, Nmin은 또한 10 개의 ACK/NACK이다.
b. 최소 개수(Nmin)가 이하의 수단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c.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즉, 최소 개수 값(Nmin));
d. 표준에서 명시되는, 미리 정의된 최소 개수(Nmin). 이 경우에, Nmin은 UE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e. Nmin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리 정의된 규칙, 표현식 또는 함수. 이러한 규칙 및 함수의 예는 다음과 같다: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이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될 때,
i. UE가 Nmin이 특정의 참조 또는 미리 정의된 서브프레임 구성을 위해 사용되는 ACK/NACK 개수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할 것이고, 여기서 서브프레임 구성은 프레임마다의 DL, UL, 사용되지 않는, 특수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Nmin은 프레임당 단지 2 개의 DL 서브프레임을 가정하는 HD-FDD 구성, 프레임당 특정 개수의 DL 서브프레임(예컨대, 프레임당 2 개의 DL)을 갖는 TDD 구성, 또는 TDD 구성 #0(즉 18 개의 ACK/NACK)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할 때의 ACK/NACK 개수일 수 있다.
ii. UE는 Nmin이 모든 가능한(즉, 미리 정의된) 서브프레임 구성에 대응하는 ACK/NACK 중에서(예컨대, TDD 구성 #0 내지 #6 중에서) 가장 낮은 ACK/NACK 개수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해야 한다.
iii. UE는 Nmin이 모든 미리 구성된 서브프레임 구성에 대응하는 ACK/NACK 중에서(예컨대, TDD 구성 #0, #1 및 #4 중에서) 가장 낮은 ACK/NACK 개수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해야 한다.
iv. UE는 적어도 2 개의 서브프레임 구성에 대응하는 복수의 ACK/NACK 개수의 함수에 기초하여 최소 개수 값(Nmin)을 도출해야 한다. 함수의 예는 최소, 최대, 평균, 및 X 번째 백분위수이다. 예를 들어, TDD 구성 #1 및 #6에 대응하는 ACK/NACK 개수가, 각각, 35 및 30인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최소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UE는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연속적인 DL 데이터 할당/전송 하에서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전송해야만 하는 Nmin = 30 개의 ACK/NACK를 도출해야 한다.
v. UE는 모든 미리 정의된 서브프레임 구성에 대응하는 복수의 ACK/NACK 개수의 함수에 기초하여 최소 개수 값(Nmin)을 도출해야 한다.
vi. UE는 T0 동안 UE에서 사용하도록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구성된 서브프레임 구성에 적어도 대응하는 복수의 ACK/NACK 개수의 함수에 기초하여 최소 개수(Nmin)를 도출해야 한다.
vii. UE는 T0 동안 UE에서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구성에 적어도 대응하는 복수의 ACK/NACK 개수의 함수에 기초하여 최소 개수(Nmin)를 도출해야 한다.
viii. UE는 가변 서브프레임 구성을 갖지 않는 시나리오에 대해 명시된 최소 개수(Nmin_ref) 및 Nmin_ref와 관련한 열화의 함수로서 최소 개수(Nmin)를 도출해야 한다. 열화의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17
Nmin=Nmin_ref-N, 여기서 N은 가변 서브프레임 구성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상실될 수 있는 ACK/NACK 개수이고; 다른 예에서, N은 DL 또는 UL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같은 가변적인 정확한 서브프레임 구성에 의존할 수 있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18
Nmin=Nmin_ref*r0 또는 Nmin=Nmin_ref*(1-r1) 또는 Nmin=Nmin_ref*(100%-r2)/100%, 여기서 r1(예컨대, 0.1) 및 r2(예컨대, 2%)는 상대 열화(relative degradation)이고, r0(0<r0<1)은 열화를 반영하는 파라미터이다.
5. 단계 1에서 획득된 정보에 적어도 기초하여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자율 갭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셀의 SI를 취득하는 단계. 이 액션은 액션(206)과 유사하다.
6. 시간 기간 동안(예컨대, T0 동안)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UE로의 DL 데이터의 연속적인 전송에 응답하여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 액션은 액션(210)과 유사하다.
7. 하나 이상의 라디오 동작을 위해 취득된 SI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 이 액션은 액션(212)과 유사하다. 라디오 동작의 예는 다음과 같다:
a. 취득된 SI를 제1 네트워크 노드로 또는 다른 UE로 신호하는 것;
b. 양 UE가 D2D(Device-to-Device) 동작 또는 통신을 할 수 있는 경우 취득된 SI를 다른 UE로 신호하는 것;
c. 취득된 SI를 장래 시간에 사용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 일 예에서, 저장된 데이터는 MDT(minimization of drive test) 또는 SON(self-organizing network)의 일부로서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된다.
d. 제2 셀의 ID(identification)를 검증하거나 확인하기 위해 SI에서의 취득된 CGI를 제2 셀의 PCI와 비교하는 것.
앞서 설명된 단계 1 내지 단계 7이 여기서 제시되는 순서로 꼭 행해질 필요가 없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UE가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인 단계 3이 단계 1 및 단계 2 이전에 행해질 수 있다.
UE가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하에서 SI 취득 동안 서빙 셀 성능을 적응시키는 것을 돕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이 실시예는 제1 셀을 운영하고 UE에 서빙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기술한다. UE는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셀의 SI를 취득한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예컨대, 동적 또는 가변 TDD 또는 HD-FDD 동작)으로 동작하도록 UE를 구성한다.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셀 - UE가 데이터를 그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또는 그에게로 전송함 - 에서 사용된다. 제1 셀은 서빙 셀 또는 다중 반송파 동작을 위해 복수의 서빙 셀로 구성된 UE의 서빙 셀들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서빙 셀은 PCell과 서로 바꾸어 지칭될 수 있다. SCell도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서빙 셀이다.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이 또한 다른 셀에서(예컨대,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셀에서) 주파수내 및/또는 비서빙 반송파 주파수 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셀이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에서(주파수내 셀), 동일한 RAT의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에서(주파수간 셀), 상이한 RAT의 동일한 주파수에서, 또는 상이한 RAT의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에서 동작할 수 있다. 특수한 경우로서, 제1 및 제2 셀이 동일할 수 있다(예컨대, UE가 서빙 셀의 SI를 취득할 때). 제1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이하의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UE를 구성하는 단계. 방식은, 예컨대, 섹션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하에서 SI 취득 동안 서빙 셀 성능을 적응시키는 UE에서의 방법"에서 단계 3에 기술된 바와 같은, 동적 또는 가변 TDD 또는 HD-FDD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액션은 액션(201)과 유사하다.
2. 적어도 하나의 제2 셀의 CGI를 보고하거나 SI를 취득하도록 UE에 요청하거나 UE를 구성하는 단계. 이 액션은 액션(202)과 유사하다.
3. UE가 바람직하게는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UE로의 DL 데이터(예컨대, PDSCH)의 적어도 연속적인 전송에 응답하여 전송해야만 하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Nmin)로 UE를 (임의로) 구성하는 단계. 최소 개수(Nmin)는 결정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UE를 Nmin으로 구성하기 전에,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Nmin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UE로 전송해야만 하는 데이터의 양에 대응하는 Nmin으로 UE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버퍼에 있는 UE에 대한 데이터의 양을 관찰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Nmin이, 섹션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하에서 SI 취득 동안 서빙 셀 성능을 적응시키는 UE에서의 방법"의 단계 4에 기술된 바와 같은, 미리 정의된 규칙, 표현식, 또는 함수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액션은 액션(204)과 유사하다.
4. 시간 기간(T0) 동안 DL 데이터(예컨대, PDSCH)를 연속적으로 UE로 전송하는 단계. 연속적인 DL 데이터 전송은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모든 DL 서브프레임에서 DL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액션은 액션(208)과 유사하다.
5. UE로의 DL 데이터의 적어도 상기 연속적인 전송에 응답하여 UE에 의해 전송되는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UL 신호의 최소 개수(Nmin)는 구성된 UL 신호 최소 개수; 표준에서 명시되는 미리 정의된 최소 개수; 및 섹션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하에서 SI 취득 동안 서빙 셀 성능을 적응시키는 UE에서의 방법"의 단계 4에 기술된 바와 같은 미리 정의된 규칙, 표현식, 또는 함수 중 하나와 동일하다. 이 액션은 액션(211)과 유사하다.
6.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적어도 취득된 SI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이 액션은 액션(213)과 유사하다.
앞서 설명된 단계들이 여기서 제시되는 순서로 꼭 행해질 필요가 없다는 것에 유의한다.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하에서 SI 취득 동안 스케줄링을 적응시키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이 실시예는 섹션 "UE가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하에서 SI 취득 동안 서빙 셀 성능을 적응시키는 것을 돕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에서 언급된 동일한 시나리오에 대해 제1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되는 또 다른 방법을 기술한다. 이 방법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 노드가 이하의 것을 고려하면서 적어도 제2 셀의 SI 취득하도록 UE를 구성하거나 UE를 구성하려고 계획할 때, 적어도 T0 동안 그의 데이터 스케줄링을 UE에 맞게 적응시킨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19
UE가 바람직하게는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UE로의 DL 데이터(예컨대, PDSCH)의 적어도 연속적인 전송에 응답하여 전송해야만 하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Nmin). 최소 개수(Nmin)는 결정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20
UE가 T0의 적어도 일부 동안 적어도 하나의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
스케줄링 적응의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21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UE에 의해 전송되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Nmin)에 대응하거나 그를 초과하지 않는 개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UE를 스케줄링하는 것. Nmin은 섹션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하에서 SI 취득 동안 서빙 셀 성능을 적응시키는 UE에서의 방법"의 단계 4에서 그리고 "UE가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하에서 SI 취득 동안 서빙 셀 성능을 적응시키는 것을 돕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의 단계 3 및 단계 4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22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UE를 스케줄링할 수 있는 결정된 서브프레임 개수가 임계값 미만(예컨대, 15 개 미만의 서브프레임)인 경우, 이용가능한 서브프레임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것. 하나의 예는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라디오 프레임당 적어도 3 개 이상의 DL 서브프레임을 가지는 그 서브프레임 구성으로만 UE를 사용하거나 구성하는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를 고려하면서 무선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한다. 스케줄링 방식을 적응시킨 후에,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적응된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여 DL 데이터로 UE를 스케줄링하기 시작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기술된 방법의 실시예
도 5a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운영되는 제1 셀(101)에 위치된 무선 디바이스(110)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eNodeB에 의해 서빙되는 E-UTRAN의 셀(101)에 위치된 UE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이와 같이 eNodeB일 수 있다. 제1 셀(101)은 서빙 셀,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PCell, 또는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SCell일 수 있다. 본 방법은 이하의 것을 포함한다:
- 510: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자율 갭을 사용하여 제2 셀의 SI를 취득하는 단계. SI는 제2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 기간은 이전에 T0로서 지칭되었다. 상기 시간 기간의 일 예는 3GPP TS 36.331에 명시된 시간 기간 Tidentify_CGI, intra ms이다.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은, 예컨대, 동적 TDD 또는 HD-FDD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일 수 있다. 이 단계는 앞서 기술된 액션(206)에 대응할 수 있다.
- 520: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대응하는 값(Nmin)을 획득하는 단계. 일 실시예에서, Nmin은,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18일 수 있다.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는 HARQ 피드백의 일부인 ACK/NACK(acknowledgement and non-acknowledgement)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값(Nmin)은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값(Nmin)을 획득하는 단계는 값(Nmin)을 포함하는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아래의 단계(62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획득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에 저장된 값(Nmin)을 검색하는 단계, 또는 섹션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하에서 SI 취득 동안 서빙 셀 성능을 적응시키는 UE에서의 방법"에서의 항목 4.e에서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미리 정의된 규칙, 표현식, 또는 함수에 기초하여 값(Nmin)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530: 상기 시간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제1 셀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 셀에서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동적 TDD의 경우에 그리고 자율 갭을 사용한 TDD-TDD 및 TDD-FDD 주파수간 측정을 위해, UE가 Tidentify_CGI, intra ms 동안 적어도 18 개의 ACK/NACK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단계는 앞서 기술된 액션(209 및 2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b는 무선 디바이스(110)에서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방법은 이하의 것을 포함한다:
- 505: 제2 셀의 SI를 보고하라는 요청을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SI는 제2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앞서 기술된 액션(203)에 대응할 수 있다.
- 510: 요청에 응답하여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자율 갭을 사용하여 제2 셀의 SI를 취득하는 단계.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된다.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은, 예컨대, 동적 또는 가변 TDD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일 수 있다.
- 520: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대응하는 값(Nmin)을 획득하는 단계. 값(Nmin)은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 530: 상기 시간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동적 TDD의 경우에 그리고 자율 갭을 사용한 TDD-TDD 및 TDD-FDD 주파수간 측정을 위해, UE가 Tidentify_CGI, intra ms 동안 적어도 18 개의 ACK/NACK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 540: 취득된 SI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이 단계는 앞서 기술된 액션(212)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a는 제1 셀(101)을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노드(120)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1 셀(101)에 의해 서빙된다. 제1 셀(101)은 서빙 셀,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PCell, 또는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SCell일 수 있다. 본 방법은 이하의 것을 포함한다:
- 610: 무선 디바이스가 제2 셀의 SI를 취득하는 소정의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무선 디바이스를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구성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SI는 제2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은 동적 TDD(Time Division Duplex), 또는 HD-FDD(Half 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일 수 있다. 이 단계는 앞서 기술된 액션(201)에 대응할 수 있다.
- 620: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된 값(Nmin)을 획득하는 단계. 값(Nmin)은 상기 시간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전송해야 하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대응한다. UL 피드백 신호는 HARQ 피드백의 일부인 ACK/NACK(acknowledgement and non-acknowledgement)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값(Nmin)을 획득하는 단계는, 앞서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대안의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노드에 저장된 값(Nmin)을 검색하는 단계,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미리 정의된 규칙, 표현식 또는 함수에 기초하여 값(Nmin)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 노드의 버퍼에 있는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값(Nmin)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630: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제1 셀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이 단계는 앞서 기술된 액션(208)에 대응할 수 있다.
- 640: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 셀에서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 단계는 앞서 기술된 액션(211)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b는 네트워크 노드(120)에서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방법은
- 605: 제2 셀의 SI를 보고하라는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SI는 제2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앞서 기술된 액션(202)에 대응할 수 있다.
- 610: 무선 디바이스가 제2 셀의 SI를 취득하는 소정의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무선 디바이스를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구성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 620: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된 값(Nmin)을 획득하는 단계, 값(Nmin)은 상기 시간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전송해야 하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대응한다.
- 625: 값(Nmin)을 포함하는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 630: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제1 셀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 640: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 셀에서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650: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셀의 SI를 수신하는 단계.
섹션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하에서 SI 취득 동안 스케줄링을 적응시키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방법은, 앞서 기술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상기 시간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전송해야 하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스케줄링 방식을 적응시키는 단계, 및 적응된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상기 시간 기간 동안 무선 디바이스가 하향링크 데이터로 스케줄링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의 최소 개수에 기초하여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610에서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구성 정보는 이어서 무선 디바이스를 적응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기술된 장치의 실시예
무선 디바이스(110)의 일 실시예가 도 7a에 블록도로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운영되는 제1 셀(101)에 위치될 때,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자율 갭을 사용하여 제2 셀의 SI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셀은 서빙 셀,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PCell, 또는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SCell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된다.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은 동적 TDD 또는 HD-FDD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대응하는 값(Nmin)을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값(Nmin)은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UL 피드백 신호는 HARQ 피드백의 일부인 ACK/NACK(acknowledgement and non-acknowledgement)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시간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2 셀의 SI를 보고하라는 요청을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그리고 요청에 응답하여 SI를 취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2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SI를 취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또한 취득된 SI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셀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 셀에서 UL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값(Nmin)을 포함하는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 무선 디바이스에 저장된 값(Nmin)을 검색하는 것; 미리 정의된 규칙, 표현식 또는 함수에 기초하여 값(Nmin)을 도출하는 것 중 하나에 의해 값(Nmin)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처리 모듈(710) 및 메모리(705)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또한 네트워크 노드(120) 또는 통신 시스템의 다른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I/O(input/output) 유닛(704)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05)는 상기 처리 모듈(710)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고, 그로써 무선 디바이스(110)는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자율 갭을 사용하여 제2 셀의 SI를 취득하도록 동작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대응하는 값(Nmin)을 획득하도록 추가로 동작할 수 있다. 값(Nmin)은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또한 상기 시간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7a에서의 실시예를 기술하는 대안의 방식에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자율 갭을 사용하여 제2 셀의 SI를 취득하도록 적응된 취득 모듈(711)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은 동적 TDD 또는 HD-FDD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일 수 있다. 제1 셀은 서빙 셀,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PCell, 또는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SCell 중 하나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또한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대응하는 값(Nmin)을 획득하도록 적응된 획득 모듈(712)을 포함할 수 있다. 값(Nmin)은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 피드백의 일부로서 ACK/NACK(acknowledgement and non-acknowledgement)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상기 시간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응된 전송 모듈(7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보고하라는 요청을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적응된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취득 모듈(711)은 요청에 응답하여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전송 모듈(713)은 또한 취득된 시스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제2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모듈(713)은 제1 셀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 셀에서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적응될 수 있다.
획득 모듈(712)은 또한 값(Nmin)을 포함하는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 무선 디바이스에 저장된 값(Nmin)을 검색하는 것; 또는 미리 정의된 규칙, 표현식 또는 함수에 기초하여 값(Nmin)을 도출하는 것 중 하나에 의해 값(Nmin)을 획득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기능 유닛이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된다.
도 7a에서의 실시예를 기술하는 또 다른 대안의 방식에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단일의 유닛 또는 복수의 유닛일 수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무선 디바이스(110)는 비휘발성 메모리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703)(예컨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PP)(702)을 포함할 수 있다. CPP(702)는, 무선 디바이스(110)의 CPU 상에서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110)로 하여금 도 5a 및 도 5b와 관련하여 앞서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703) 상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701)을 포함할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 코드 수단이 CPU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코드 수단은 도 7a에서의 처리 모듈(710)에 대응한다.
네트워크 노드(120)의 일 실시예가 도 7b에 블록도로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제1 셀(101)을 운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1 셀(101)에 의해 서빙된다. 제1 셀은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PCell, 또는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SCell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무선 디바이스가 제2 셀의 SI를 취득하는 소정의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무선 디바이스를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구성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또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된 값(Nmin)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값(Nmin)은 상기 시간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전송해야 하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대응한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제1 셀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 셀에서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UL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제2 셀의 SI를 보고하라는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셀의 SI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I는 제2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네트워크 노드에 저장된 값(Nmin)을 검색하는 것, 미리 정의된 규칙, 표현식 또는 함수에 기초하여 값(Nmin)을 결정하는 것, 또는 네트워크 노드의 버퍼에 있는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값(Nmin)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값(Nmin)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값(Nmin)을 포함하는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상기 시간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전송해야 하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스케줄링 방식을 적응시키고, 적응된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또한 상기 시간 기간 동안 무선 디바이스가 하향링크 데이터로 스케줄링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의 최소 개수에 기초하여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고, 무선 디바이스를 적응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구성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처리 모듈(750) 및 메모리(795)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 또는 통신 시스템의 다른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I/O(input/output) 유닛(794)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95)는 상기 처리 모듈(750)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고, 그로써 네트워크 노드(120)는 무선 디바이스가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는 소정의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무선 디바이스를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구성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또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된 값(Nmin)을 획득하도록 추가로 동작할 수 있다. 값(Nmin)은 상기 시간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전송해야 하는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대응한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또한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제1 셀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 셀에서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동작할 수 있다.
도 7b에서의 실시예를 기술하는 대안의 방식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무선 디바이스가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는 소정의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무선 디바이스를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구성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적응된 제1 전송 모듈(751)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은 동적 TDD 또는 HD-FDD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일 수 있다. 제1 셀은 서빙 셀,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PCell, 또는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SCell 중 하나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또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된 값(Nmin)을 획득하도록 적응된 획득 모듈(752)을 포함할 수 있다. 값(Nmin)은 상기 시간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전송해야 하는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대응한다.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 피드백의 일부로서 ACK/NACK(acknowledgement and non-acknowledgement)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 모듈(752)은 또한 네트워크 노드에 저장된 값(Nmin)을 검색하는 것; 미리 정의된 규칙, 표현식 또는 함수에 기초하여 값(Nmin)을 결정하는 것; 또는 네트워크 노드의 버퍼에 있는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값(Nmin)을 결정하는 것 중 하나에 의해 값(Nmin)을 획득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제1 셀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적응된 제2 전송 모듈(7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 셀에서 적어도 최소 개수(Nmin)의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도록 적응된 수신 모듈(7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기능 유닛이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된다.
네트워크 노드(120)의 전송 모듈(751 및 753)은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보고하라는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적응될 수 있다. 수신 모듈(754)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적응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제2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모듈(751 및 753)은 값(Nmin)을 포함하는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적응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상기 시간 기간 동안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전송해야 하는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스케줄링 방식을 적응시키는 적응 모듈, 및 적응된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상기 시간 기간 동안 무선 디바이스가 하향링크 데이터로 스케줄링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의 최소 개수에 기초하여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추가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전송 모듈(751 및 753)은 무선 디바이스를 적응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구성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b에서의 실시예를 기술하는 또 다른 대안의 방식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단일의 유닛 또는 복수의 유닛일 수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네트워크 노드(120)는 비휘발성 메모리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793)(예컨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PP)(792)을 포함할 수 있다. CPP(792)는, 네트워크 노드(120)의 CPU 상에서 실행될 때, 네트워크 노드(120)로 하여금 도 6a 및 도 6b와 관련하여 앞서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793) 상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791)을 포함할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 코드 수단이 CPU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코드 수단은 도 7b에서의 처리 모듈(750)에 대응한다.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기술된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
도 3a에는, 무선 디바이스(110)에서의 방법의 예시적인 개략적 플로우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도 2에서의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들을 기술하고 있다(액션들의 설명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를 참조). 플로우차트의 액션들은 임의의 적당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무선 디바이스(110)의 개략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도 2 및 도 3a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원에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110)는 처리 모듈(810)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810)은 획득 모듈(820), 수신 모듈(830), 결정 모듈(840) 및 송신 모듈(85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본원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DL 데이터, SI, 본원에 기술되는 구성, 메시지, 값, 표시 등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I/O(Input/output) 유닛(8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O 유닛(804)은 수신 모듈(830), 송신 모듈(850),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무선 디바이스(110)는 처리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모듈로서 구현될 때, 예를 들어, 처리 모듈에 의해 실행될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8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110) 상에서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110)로 하여금 도 2 및/또는 도 7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유닛(computer readable code unit)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801)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예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 3b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803) 및 바로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803) 상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801)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802)을 예시하고 있다.
도 4a에는, 제1 네트워크 노드(120)에서의 방법의 예시적인 개략적 플로우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도 2에서의 제1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들을 기술하고 있다(액션들의 설명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를 참조). 플로우차트의 액션들은 임의의 적당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네트워크 노드(120)의 개략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네트워크 노드(120)는 도 2 및 도 4a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원에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네트워크 노드(120)는 처리 모듈(1010)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1010)은 구성 모듈(1020), 송신 모듈(1030), 및 수신 모듈(104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노드(120)는 본원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DL 데이터, SI, 본원에 기술되는 구성, 메시지, 값, 표시 등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I/O(Input/output) 유닛(10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O 유닛(1004)은 수신 모듈(1040), 송신 모듈(1030),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네트워크 노드(120)는 처리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모듈로서 구현될 때, 예를 들어, 처리 모듈에 의해 실행될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는 또한, 제1 네트워크 노드(120) 상에서 실행될 때, 제1 네트워크 노드(120)로 하여금 도 2 및/또는 도 9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유닛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1001)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예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 4b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1003) 및 바로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1003) 상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001)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1002)을 예시하고 있다.
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의 목록
1.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운영되는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제1 셀을 운영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UE에서의 방법으로서,
Figure 112016073963559-pct00023
소정의 시간 기간(T0) 동안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자율 갭을 생성하는 단계;
Figure 112016073963559-pct00024
UE가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UE로의 DL 데이터의 연속적인 전송에 응답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는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
Figure 112016073963559-pct00025
전송될 UL 피드백 신호의 최소 개수는 동적 또는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과 연관되어 있고;
Figure 112016073963559-pct00026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방식에 따라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UL, DL 및 특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임의의 2 개 사이에서 변할 수 있음 -;
Figure 112016073963559-pct00027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DL 데이터의 연속적인 전송에 응답하여 결정된 최소 개수의 UL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예 1에 있어서, 제2 셀은 제1 셀의 이웃 셀이거나 제2 셀은 제1 셀과 동일한, 방법.
3. 예 1 또는 예 2에 있어서, SI는 MIB, SIB1 및 CG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예 1 내지 예 3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UL 피드백 신호는 DL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ACK 및 NACK인, 방법.
5. 예 1 내지 예 4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DL 데이터 채널은 PDSCH인, 방법.
6. 예 1 내지 예 5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동적 또는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은
Figure 112016073963559-pct00028
UL 및 DL 서브프레임이 시간상 중첩하지 않고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에서 전송되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UL, DL 및 사용되지 않는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임의의 2 개 사이에서 변하는 HD-FDD 동작;
Figure 112016073963559-pct00029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UL 서브프레임, DL 서브프레임 및 특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임의의 2 개 사이에서 변하는 동적 TDD 중 임의의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예 1 내지 예 6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동적 TDD는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UL 및 DL TDD 구성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예 1 내지 예 7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제2 셀의 SI를 취득하라는 요청을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예 1 내지 예 8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T0의 적어도 일부 동안의 UE 구성은
Figure 112016073963559-pct00030
UE가 측정 갭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것;
Figure 112016073963559-pct00031
UE가 어떤 DRX 사이클로도 구성되지 않은 것 또는 UE가 DRX에서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것,
Figure 112016073963559-pct00032
UE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미리 정의된 개수의 코드 워드를 갖는 DL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및
Figure 112016073963559-pct00033
어떤 MBSFN 서브프레임도 서빙 셀(또는 PCell)에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것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예 1 내지 예 9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시간 기간(예컨대, T0) 동안 자율 갭을 사용하여 제2 셀의 SI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예 1 내지 예 10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Figure 112016073963559-pct00034
취득된 SI를 제1 네트워크 노드로 또는 다른 UE로 신호하는 것;
Figure 112016073963559-pct00035
취득된 SI를 장래 시간에 사용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 및
Figure 112016073963559-pct00036
제2 셀의 ID(identification)를 검증하기 위해 SI에서의 CGI를 PCI와 비교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제2 셀의 취득된 SI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예 1 내지 예 11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Figure 112016073963559-pct00037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표시;
Figure 112016073963559-pct00038
미리 정의된 정보 중 하나에 기초하여 전송될 필요가 있는 UL 피드백 신호의 상기 최소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예 11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정보는
Figure 112016073963559-pct00039
전송될 필요가 있는 UL 신호의 미리 정의된 개수;
Figure 112016073963559-pct00040
미리 정의된 규칙; 및
Figure 112016073963559-pct00041
미리 정의된 표현식 또는 함수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구현
A. 제1 예
문헌(TS 36.133 Rel-12, version 12.2.0, E-UTRAN TDD intra frequency measurements with autonomous gaps)의 섹션 8.1.2.2.4에 따르면, UE는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규칙 세트에 부합하거나 그를 준수해야만 한다.
자율 갭을 사용한 E-UTRA 셀의 새로운 CGI의 식별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기 위한 명시적 이웃 목록이 UE에 제공되지 않는다. UE는 'reportCGI'를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요청될 때 CGI를 식별하고 보고해야 한다. UE는 TS 36.331의 조항(clause) 5.5.3.1에 따라 하향링크 수신 및 UL 전송에서 MIB 및 SIB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자율 갭을 만들 수 있다. si-RequestForHO가 거짓(false)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UE가 자율 갭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에 유의한다. 'reportCGI'를 위한 측정을 위해 자율 갭이 사용되는 경우, UE는 Tidentify_CGI, intra = Tbasic_identify_CGI, intra ms 내에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고,
여기서 Tbasic_identify_CGI, intra = 150 ms이다. E-UTRA 셀이 UE에 의해 이미 식별되어 있다면, 이것은 UE가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기 위한 최대 허용 시간이 정의되는 상기 수식에서 사용되는 시간 기간이다.
셀은 이하의 조건이 충족될 때 식별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Figure 112016073963559-pct00042
대응하는 대역에 대해 RSRP 관련 부가 조건이 충족됨,
Figure 112016073963559-pct00043
대응하는 대역에 대한 SCH_RP 및
Figure 112016073963559-pct00044
(예컨대, 특정의 SNR 레벨 하에서) 특정의 PBCH 복조 요건이 충족된다면, CGI가 식별된 E-UTRA 셀의 MIB가 UE에 의해 디코딩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Tbasic_identify_CGI, intra 내에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기 위한 요건은 어떤 DRX도 사용되지 않을 때는 물론 TS 36.331에 명시된 모든 DRX 사이클이 사용될 때에 적용가능하다.
UE가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는 시간 - 여기서 Tidentify_CGI, intra ms임 - 내에, UE는
- 연속적인 DL 데이터 할당이 있고,
- 어떤 DRX 사이클도 사용되지 않으며,
- 어떤 측정 갭도 구성되지 않고,
- 단지 하나의 코드 워드가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면 표 2(배경기술 섹션에서의 표 2와 같음)에서 언급된, 적어도 그 개수의 ACK/NACK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표 2(배경기술 섹션에서의 표 2의 복제물): Tbasic_identify_CGI, intra 동안 전송할 ACK/NACK들의 최소 개수에 대한 요건.
Figure 112016073963559-pct00045
ECGI 보고 지연
ECGI 측정 보고를 UL DCCH의 TTI에 삽입할 때 지연 불확실성(delay uncertainty)으로 인해 ECGI 보고 지연이 발생한다. 지연 불확실성은 UL DCCH의 TTI의 2배이다. DRX가 사용되는 경우에, ECGI 보고가 다음 DRX 사이클까지 지연될 수 있다. IDC 자율 거부(autonomous denial)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부가의 지연이 예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 제1 예에 대해 UE에 대한 요건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UE가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는 시간 Tidentify_CGI, intra ms 내에 UE의 PCell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변 서브프레임이 사용되는 경우, UE는
- 연속적인 DL 데이터 할당이 있고,
- 어떤 DRX 사이클도 사용되지 않으며,
- 어떤 측정 갭도 구성되지 않고,
- 단지 하나의 코드 워드가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며
- 어떤 MBSFN 서브프레임도 PCell에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적어도 18 개의 18 ACK/NACK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B. 제2 예
문헌(TS 36.133 Rel-12, version 12.2.0, E-UTRAN TDD-FDD inter frequency measurements using autonomous gaps)의 섹션 8.1.2.3.6에 따르면, UE는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규칙 세트에 부합하거나 그를 준수해야만 한다. 이 조항에서의 요건은 FDD 및 TDD를 지원하는 UE에 적용되어야 한다.
자율 갭을 사용한 E-UTRA FDD 셀의 새로운 CGI의 식별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기 위한 명시적 이웃 목록이 UE에 제공되지 않는다. UE는 'reportCGI'를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요청될 때 CGI를 식별하고 보고해야 한다. UE는 TS 36.331의 조항 5.5.3.1에 따라 하향링크 수신 및 UL 전송 둘 다에서 MIB 및 SIB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자율 갭을 만들 수 있다. si-RequestForHO가 거짓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UE가 자율 갭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에 유의한다. DRX가 사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reportCGI'를 위한 측정을 위해 자율 갭이 사용되는 경우, UE는 Tidentify_CGI, inter = Tbasic_identify_CGI, inter ms 내에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고,
여기서, Tbasic_identify_CGI, inter = 150 ms이다. E-UTRA 셀이 UE에 의해 이미 식별되어 있다면, 이것은 UE가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기 위한 최대 허용 시간이 정의되는 상기 수식에서 사용되는 시간 기간이다.
셀은 이하의 조건이 충족될 때 식별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 대응하는 대역에 대해 RSRP 관련 부가 조건이 충족됨,
- 대응하는 대역에 대한 SCH_RP|dBm
Figure 112016073963559-pct00046
.
(예컨대, 특정의 SNR 레벨 하에서) 특정의 PBCH 복조 요건이 충족된다면, CGI가 식별된 E-UTRA 셀의 MIB가 UE에 의해 디코딩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Tbasic_identify_CGI,inter 내에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기 위한 요건은 어떤 DRX도 사용되지 않을 때는 물론 TS 36.331에 명시된 모든 DRX 사이클이 사용될 때에 적용가능하다.
연속적인 DL 데이터 할당이 있고 DRX가 사용되지 않으며, 어떤 측정 갭도 구성되지 않고, TS 36.331에 명시된 바와 같은 TDD 구성이 사용된다면, UE는 E-UTRA 셀의 새로운 CGI의 식별 동안 30 개 초과의 ACK/NACK를 전송해야 한다.
ECGI 보고 지연
ECGI 측정 보고를 UL DCCH의 TTI에 삽입할 때 지연 불확실성으로 인해 ECGI 보고 지연이 발생한다. 지연 불확실성은 UL DCCH의 TTI의 2배이다. DRX가 사용되는 경우에, ECGI 보고가 다음 DRX 사이클까지 지연될 수 있다. IDC 자율 거부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부가의 지연이 예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 제2 예에 대해 UE에 대한 요건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UE가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는 시간 Tidentify_CGI, inter ms 내에 UE의 PCell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변 서브프레임이 사용되는 경우, UE는
- 연속적인 DL 데이터 할당이 있고,
- 어떤 DRX 사이클도 사용되지 않으며,
- 어떤 측정 갭도 구성되지 않고,
- 단지 하나의 코드 워드가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며
- 어떤 MBSFN 서브프레임도 PCell에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적어도 18 개의 18 ACK/NACK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C. 제3 예
문헌(TS 36.133 Rel-12, version 12.2.0, E-UTRAN TDD-TDD inter frequency measurements with autonomous gaps)의 섹션 8.1.2.3.7에 따르면, UE는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규칙 세트에 부합하거나 그를 준수해야만 한다.
자율 갭을 사용한 E-UTRA TDD 셀의 새로운 CGI의 식별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기 위한 명시적 이웃 목록이 UE에 제공되지 않는다. UE는 'reportCGI'를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요청될 때 CGI를 식별하고 보고해야 한다. UE는 TS 36.331의 조항 5.5.3.1에 따라 하향링크 수신 및 UL 전송 둘 다에서 MIB 및 SIB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자율 갭을 만들 수 있다. si-RequestForHO가 거짓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UE가 자율 갭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에 유의한다. DRX가 사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reportCGI'를 위한 측정을 위해 자율 갭이 사용되는 경우, UE는 Tidentify_CGI, inter = Tbasic_identify_CGI, inter ms 내에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고,
여기서, Tbasic_identify_CGI, inter = 150 ms이다. E-UTRA 셀이 UE에 의해 이미 식별되어 있다면, 이것은 UE가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기 위한 최대 허용 시간이 정의되는 상기 수식에서 사용되는 시간 기간이다.
셀은 이하의 조건이 충족될 때 식별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 대응하는 대역에 대해 RSRP 관련 부가 조건이 충족됨,
- 대응하는 대역에 대한 SCH_RP 및
Figure 112016073963559-pct00047
.
(예컨대, 특정의 SNR 레벨 하에서) 특정의 PBCH 복조 요건이 충족된다면, CGI가 식별된 E-UTRA 셀의 MIB가 UE에 의해 디코딩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Tbasic_identify_CGI,inter 내에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기 위한 요건은 어떤 DRX도 사용되지 않을 때는 물론 TS 36.331에 명시된 모든 DRX 사이클이 사용될 때에 적용가능하다.
연속적인 DL 데이터 할당이 있고 DRX가 사용되지 않으며, 어떤 측정 갭도 구성되지 않고, TS 36.331에 명시된 바와 같은 TDD 구성이 사용된다면, UE는 E-UTRA 셀의 새로운 CGI의 식별 동안 30 개 초과의 ACK/NACK를 전송해야 한다.
ECGI 보고 지연
ECGI 측정 보고를 UL DCCH의 TTI에 삽입할 때 지연 불확실성으로 인해 ECGI 보고 지연이 발생한다. 지연 불확실성은 UL DCCH의 TTI의 2배이다. DRX가 사용되는 경우에, ECGI 보고가 다음 DRX 사이클까지 지연될 수 있다. IDC 자율 거부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부가의 지연이 예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 제3 예에 대해 UE에 대한 요건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UE가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는 시간 Tbasic_identify_CGI,Inter ms 내에 UE의 PCell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변 서브프레임이 사용되는 경우, UE는
- 연속적인 DL 데이터 할당이 있고,
- 어떤 DRX 사이클도 사용되지 않으며,
- 어떤 측정 갭도 구성되지 않고,
- 단지 하나의 코드 워드가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며
- 어떤 MBSFN 서브프레임도 PCell에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적어도 18 개의 18 ACK/NACK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용어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처리 모듈"이라는 용어는 처리 회로, 처리 유닛,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로세서, ASIC, FPGA 등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프로세서 커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처리 모듈은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모듈은 본원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결정 수단, 추정 수단, 포착 수단, 연관 수단, 비교 수단, 식별 수단, 선택 수단, 수신 수단, 전송 수단 등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수단"이라는 표현은 결정 모듈, 선택 모듈 등과 같은 모듈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to)"이라는 표현은 처리 회로가, 소프트웨어 구성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본원에 기술되는 액션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적응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메모리"라는 용어는 하드 디스크, 자기 저장 매체,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또는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지칭할 수 있다. 게다가, "메모리"라는 용어는 프로세서의 내부 레지스터 메모리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DVD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수신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메모리 스틱, MMC(Multimedia Card) 등), 기타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유닛"이라는 용어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텍스트,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파일된 포맷으로 나타낸 바이너리 파일의 일부 또는 전체 또는 이들 사이의 어떤 것이라도 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수", "값"이라는 용어는 이진수, 실수, 허수 또는 유리수 등과 같은 임의의 종류의 숫자일 수 있다. 더욱이, "수", "값"은, 글자(letter) 또는 글자 스트링(string of letters)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문자일 수 있다. "수", "값"이 또한 비트 스트링(bit string)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라는 표현은 기술된 실시예의 특징이 본원에 개시되는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다양한 양태의 실시예가 기술되어 있지만, 그의 많은 상이한 변경, 수정 등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기술된 실시예는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지 않다.
약어
BCH Broadcast channel
BS Base Station
CA Carrier Aggregation
CGI Cell global identifier
CPICH Common Pilot Channel
DL Downlink
DRX Discontinuous Reception
EARFCN Evolved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ECGI E-UTRAN CGI
E-CID Enhanced cell ID
E-SMLC Evolved SMLC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L1 Layer 1
L2 Layer 2
LMU Location measurement unit
LPP LTE positioning protocol
LPPa LTE positioning protocol annex
LTE Long Term Evolution
MAC Medium Access Control
MBSF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MIB Master Information Block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M Operational and Maintenance
OTDOA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PCI Physical cell identifier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RAT Radio Access Technology
RN Relay node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RRC Radio Resource Control
RSCP Received Signal Code Power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TD 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SMLC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SON Self Organizing Network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IB System information block
SI System information
UE User Equipment
UL Uplink
UTDOA UL time difference of arrival
X2 - LTE에서 BS-대-BS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Claims (45)

  1.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운영되는 제1 셀(101)에 위치된 무선 디바이스(110)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자율 갭(autonomous gap)을 사용하여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510) -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flexible subframe allocation scheme)으로 구성됨 -,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최소 개수인 값(Nmin)을 획득하는 단계(520) - 상기 값(Nmin)은 상기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을 고려하여 결정됨 -, 및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연속적인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적어도 상기 최소 개수(Nmin)의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530)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보고하라는 요청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50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취득되는(510)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시스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540)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제2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은 상기 제1 셀에서의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연속적인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셀에서 전송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값(Nmin)을 획득하는 단계(520)는,
    상기 값(Nmin)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저장된 상기 값(Nmin)을 검색하는 단계; 및
    미리 정의된 규칙, 표현식(expression) 또는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값(Nmin)을 도출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서빙 셀, 다중 반송파 동작(multi-carrier operation)에서의 PCell, 또는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SCell 중 하나인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은 동적 TDD(Time Division Duplex), 또는 HD-FDD(Half 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인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피드백의 일부로서 ACK 및 NACK(acknowledgement and non-acknowledgement) 신호들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 셀(101)을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노드(120)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 무선 디바이스(110)가 상기 제1 셀(101)에 의해 서빙됨 -,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는 소정의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구성 정보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610),
    상기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값(Nmin)을 획득하는 단계(620) - 상기 값(Nmin)은,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연속적인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전송해야 하는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최소 개수임 -,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제1 셀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연속적인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630), 및
    상기 전송된 연속적인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셀에서 적어도 상기 최소 개수(Nmin)의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640)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보고하라는 요청을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605)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650)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제2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값(Nmin)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625)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PCell 또는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SCell 중 하나인 방법.
  17.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은 동적 TDD(Time Division Duplex), 또는 HD-FDD(Half 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인 방법.
  18.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 피드백의 일부로서 ACK 및 NACK(acknowledgement and non-acknowledgement) 신호들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값(Nmin)을 획득하는 단계(620)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저장된 상기 값(Nmin)을 검색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규칙, 표현식 또는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값(Nmin)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버퍼에서의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값(Nmin)을 결정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연속적인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전송해야 하는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최소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스케줄링 방식을 적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적응된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하향링크 데이터로 스케줄링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들의 최소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610)되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적응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22. 무선 디바이스(110)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운영되는 제1 셀(101)에 위치될 때,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자율 갭을 사용하여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고 -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됨 -,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최소 개수인 값(Nmin)을 획득하고 - 상기 값(Nmin)은 상기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을 고려하여 결정됨 -,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연속적인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적어도 상기 최소 개수(Nmin)의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10).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보고하라는 요청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10).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시스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10).
  25.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10).
  26.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에서의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연속적인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셀에서 상기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10).
  27.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값(Nmin)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저장된 상기 값(Nmin)을 검색하는 것; 및
    미리 정의된 규칙, 표현식 또는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값(Nmin)을 도출하는 것
    중 하나에 의해 상기 값(Nmin)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10).
  28.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10).
  29.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서빙 셀,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PCell, 또는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SCell 중 하나인 무선 디바이스(110).
  30.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은 동적 TDD(Time Division Duplex), 또는 HD-FDD(Half 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인 무선 디바이스(110).
  31.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 피드백의 일부로서 ACK 및 NACK(acknowledgement and non-acknowledgement) 신호들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110).
  32. 제1 셀(101)을 운영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대한 네트워크 노드(120)로서 - 무선 디바이스(110)가 상기 제1 셀(101)에 의해 서빙됨 -,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는 소정의 시간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제1 셀에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구성 정보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값(Nmin)을 획득하고 - 상기 값(Nmin)은,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연속적인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전송해야 하는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최소 개수임 -,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제1 셀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연속적인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연속적인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셀에서 적어도 상기 최소 개수(Nmin)의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0).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보고하라는 요청을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0).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셀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0).
  35.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제2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20).
  36.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값(Nmin)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0).
  37.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PCell 또는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SCell 중 하나인 네트워크 노드(120).
  38.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은 동적 TDD(Time Division Duplex), 또는 HD-FDD(Half 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인 네트워크 노드(120).
  39.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 피드백의 일부로서 ACK 및 NACK(acknowledgement and non-acknowledgement) 신호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20).
  40.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저장된 상기 값(Nmin)을 검색하는 것;
    미리 정의된 규칙, 표현식 또는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값(Nmin)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버퍼에서의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값(Nmin)을 결정하는 것
    중 하나에 의해 상기 값(Nmin)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0).
  41.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연속적인 하향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전송해야 하는 상향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최소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스케줄링 방식을 적응시키고,
    상기 적응된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0).
  42.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하향링크 데이터로 스케줄링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들의 최소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고,
    상기 적응된 가변 서브프레임 할당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구성 정보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0).
  43. 무선 디바이스(110)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701)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4. 네트워크 노드(120)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하여금 제11항 또는 제12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791)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5. 삭제
KR1020167020894A 2014-01-31 2015-01-29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동안 시스템 정보 취득에 관한 방법 및 노드 KR101706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33892P 2014-01-31 2014-01-31
US61/933,892 2014-01-31
PCT/SE2015/050102 WO2015115988A1 (en) 2014-01-31 2015-01-29 Methods and nodes relating to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during flexible subframe op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512A KR20160098512A (ko) 2016-08-18
KR101706905B1 true KR101706905B1 (ko) 2017-02-14

Family

ID=5268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894A KR101706905B1 (ko) 2014-01-31 2015-01-29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동안 시스템 정보 취득에 관한 방법 및 노드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9974073B2 (ko)
EP (2) EP3209080B1 (ko)
JP (1) JP6125736B2 (ko)
KR (1) KR101706905B1 (ko)
CN (2) CN105940741B (ko)
AP (1) AP2016009384A0 (ko)
AU (1) AU2015211432B2 (ko)
DK (1) DK3100555T3 (ko)
ES (2) ES2632579T3 (ko)
HK (1) HK1223772A1 (ko)
IL (1) IL246190A (ko)
MA (1) MA39220B1 (ko)
MX (1) MX358677B (ko)
MY (1) MY176558A (ko)
PH (1) PH12016501153A1 (ko)
PL (1) PL3100555T3 (ko)
PT (1) PT3100555T (ko)
RU (1) RU2638539C1 (ko)
TR (1) TR201904975T4 (ko)
WO (1) WO20151159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905B1 (ko) * 2014-01-31 2017-02-14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동안 시스템 정보 취득에 관한 방법 및 노드
US11432305B2 (en) 2014-05-19 2022-08-3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ous multiplexing and multiple access for different latency targets utilizing thin control
US11019620B2 (en) 2014-05-19 2021-05-2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band pairing of carriers for time division duplex transmit- and receive-switching and its application to multiplexing of different transmission time intervals
US10314035B2 (en) 2015-01-05 2019-06-04 Apple Inc. Sub-frame allocation for low power LTE
US10462839B2 (en) * 2015-04-08 2019-10-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idelink terminal inform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tilizing the method
US10412749B2 (en) 2015-05-21 2019-09-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cheduling in license assisted access
CN108141848B (zh) * 2015-08-31 2022-05-31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无线通信方法、基站以及系统
US11452091B2 (en) * 2016-02-04 2022-09-20 Acer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transmission
KR102555612B1 (ko) * 2016-10-26 2023-07-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브프레임 구조 구성 방법 및 응답신호 회신 방법,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
EP3852295A1 (en) * 2016-11-04 2021-07-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with short tti
GB2563412B (en) * 2017-06-14 2020-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interference reduction in dynamic TDD systems
WO2019031843A1 (en) * 2017-08-08 2019-02-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TI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12879B2 (en) * 2017-08-09 2021-05-18 Acer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flexible duplexing
CN107911841B (zh) * 2017-10-24 2020-10-30 浙江工业大学 一种传感网时延优化的可靠传输方法
CN107872828B (zh) * 2017-12-15 2021-04-13 北京泰德东腾通信技术有限公司 eIMTA终端一致性测试方法和装置
CN110167155B (zh) 2018-02-13 2021-10-2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上下行传输配置的确定方法、上下行传输配置方法及设备
US10784945B2 (en) * 2018-02-15 2020-09-22 Nokia Technologies Oy Robust system information delivery on subset of beams
CN110225589B (zh) 2018-03-01 2022-04-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AU2019265902B2 (en) * 2018-05-10 2024-02-22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sition of on-demand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601228B2 (en) * 2018-09-28 2023-03-07 Qualcomm Incorporated HARQ feedback for multicast/unicast
WO2020076229A1 (en) * 2018-10-08 2020-04-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handling autonomous gaps
WO2021007740A1 (zh) * 2019-07-15 2021-01-21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在无线mesh网络中实现HARQ机制的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757A1 (en) 2012-05-15 2013-11-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of sending feedback signaling under carrier specific measurement gaps in multi-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9962B2 (en) * 2006-05-01 2011-04-19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communications during idle periods in a wireless system
US8045596B2 (en) * 2007-02-06 2011-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CA2977066C (en) * 2007-06-18 2020-01-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of system information on a downlink shared channel
CN102083124B (zh) * 2009-11-30 2014-04-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CoMP发送和接收的系统信息动态反馈方法和系统
US8559343B2 (en) * 2009-12-23 2013-10-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subframes
WO2012108720A2 (ko) * 2011-02-10 2012-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확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59594B1 (ko) * 2011-03-10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 지원 방법 및 장치
CN102752862B (zh) 2011-04-20 2015-09-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上下行数据业务传输的方法、基站及用户设备
CN107484193B (zh) * 2011-06-21 2021-09-0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网络中用于执行测量的方法和装置
CN102938693B (zh) * 2011-08-15 2015-09-23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Lte-a tdd不同上下行配比的反馈方法
US9526091B2 (en) * 2012-03-16 2016-12-2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self-optimization func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9143984B2 (en) * 2012-04-13 2015-09-22 Intel Corporation Mapping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185620B2 (en) * 2012-05-30 2015-11-10 Intel Corporation Adaptive UL-DL configurations in a TDD heterogeneous network
CN103580825B (zh) * 2012-08-03 2017-05-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Uci的传输方法和设备
JP6041295B2 (ja) * 2012-08-03 2016-12-0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9713026B2 (en) * 2013-05-17 2017-07-18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measurement and reporting for 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for traffic adaptation (eIMTA) in LTE
KR101706905B1 (ko) * 2014-01-31 2017-02-14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동안 시스템 정보 취득에 관한 방법 및 노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757A1 (en) 2012-05-15 2013-11-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of sending feedback signaling under carrier specific measurement gaps in multi-carri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 WG1 #75 R1-135292
3GPP TSG-RAN WG4 #69 R4-1371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P2016009384A0 (en) 2016-08-31
IL246190A0 (en) 2016-08-02
CN105940741B (zh) 2018-06-12
TR201904975T4 (tr) 2019-05-21
EP3209080B1 (en) 2019-03-27
AU2015211432A1 (en) 2016-07-14
MY176558A (en) 2020-08-17
PH12016501153B1 (en) 2016-08-15
US20160262137A1 (en) 2016-09-08
HK1223772A1 (zh) 2017-08-04
MX358677B (es) 2018-08-31
US9974073B2 (en) 2018-05-15
IL246190A (en) 2017-07-31
ES2729342T3 (es) 2019-10-31
PL3100555T3 (pl) 2017-09-29
AU2015211432B2 (en) 2016-11-17
EP3100555B1 (en) 2017-04-12
CN108495370B (zh) 2022-06-10
BR112016017368A8 (pt) 2020-06-16
BR112016017368A2 (pt) 2017-08-08
JP2017510147A (ja) 2017-04-06
MA39220B1 (fr) 2017-08-31
CN105940741A (zh) 2016-09-14
PT3100555T (pt) 2017-06-12
KR20160098512A (ko) 2016-08-18
ES2632579T3 (es) 2017-09-14
EP3209080A1 (en) 2017-08-23
EP3100555A1 (en) 2016-12-07
RU2638539C1 (ru) 2017-12-14
US20180302885A1 (en) 2018-10-18
WO2015115988A1 (en) 2015-08-06
PH12016501153A1 (en) 2016-08-15
DK3100555T3 (en) 2017-06-19
MX2016008471A (es) 2016-10-12
JP6125736B2 (ja) 2017-05-10
MA39220A1 (fr) 2017-01-31
CN108495370A (zh)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905B1 (ko) 가변 서브프레임 동작 동안 시스템 정보 취득에 관한 방법 및 노드
US20230421330A1 (en) Pucch resource indication for csi and harq feedback
CN106031257B (zh) 终端装置以及方法
JP661808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US1012978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SI measurement configuration and reporting on unlicensed spectrum
CN106233805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JP6873697B2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KR101605979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측정 및 보고 구성
JP6649247B2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15141825A1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JP2017228814A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方法
KR20160060742A (ko) Lte-tdd eimta에 대한 csi 보고
CN110291735B (zh) 控制节点、测量节点及用于其的方法
TW201225725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220393794A1 (en) Timer handling in multiple active grant configurations
JP2017228815A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方法
OA17828A (en) Methods and nodes relating to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during flexible subframe operation.
BR112016017368B1 (pt) Método realizado em um dispositivo sem fio, método realizado em um nó de rede, dispositivo sem fio, nó de rede, mídia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