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690B1 - 안전성이 높은 배전 및 변전용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높은 배전 및 변전용 접속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6690B1 KR101706690B1 KR1020160103673A KR20160103673A KR101706690B1 KR 101706690 B1 KR101706690 B1 KR 101706690B1 KR 1020160103673 A KR1020160103673 A KR 1020160103673A KR 20160103673 A KR20160103673 A KR 20160103673A KR 101706690 B1 KR101706690 B1 KR 1017066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distribution
- distribution line
- ring
- panels
- press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5—Boxes split perpendicularly to main cable direction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과 배전선 또는 배전선과 각종 변전기 등 간의 안정된 연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배전 및 변전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전선을 다른 배전선 또는 전기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로부터 연장해 형성되어서 커넥터로 삽입되는 배전선을 감싸며 안내하고 내주면에 나선형 피치가 형성된 제1가압부와, 상기 제1가압부로부터 연장해 형성되어서 배전선의 둘레를 감싸는 제2가압부로 구성된 소켓; 다수의 패널이 제1 링을 매개로 일렬로 연결되어서 배전선을 감싸며 제1가압부에 삽입되는 환 형상을 이루고, 각각의 상기 패널은 제1 링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가압부의 제1 나선형 피치와 볼팅하는 제2 나선형 피치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그랩퍼; 상기 패널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날개가 제2 링을 매개로 일렬로 연결되어서 배전선을 감싸며 제2가압부에 삽입되는 환 형상을 이루되, 상기 날개는 패널과 각각 쌍을 이루며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날개는 제2 링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날개의 내측단은 패널의 선단과 일방으로만 걸리도록 맞물려 연결되는 한편, 상기 날개의 외측단은 제2 링을 중심으로 내측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중량으로 되어 제2가압부로부터 인출되는 펜스; 상기 배전선과 접하는 제1가압부 및 배전선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 재질의 제1 패커; 상기 제2가압부와 펜스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 재질의 제2 패커;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전선과 배전선 또는 배전선과 각종 변전기 등 간의 안정된 연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배전 및 변전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급처에서 생산된 특고압 전력은 가공배선 또는 지중배선을 통해 각각의 수요처로 공급된다. 또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가공배선은 지상에 배전선을 설치하므로 건물이 많이 배치된 도심지에는 그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근래에는 지중배선 방식으로 발전 전력을 각각의 수요처에 공급한다. 여기서 지중배선은 지중에 메인 지중배관을 매설하고, 메인 지중배관의 일정 지점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또 다른 지중배관이 매설된다. 계속해서, 이렇게 지상으로 노출된 지중배관의 상부에는 배전 시설이 배치되어서, 이를 중심으로 관할 구역의 수요처로 전력 공급을 위한 배전이 이루어진다.
결국, 가공배선과 지중배선은 배전선의 배치위치만 다를 뿐, 배전선을 이용해서 수요처로 전력을 배전한다는 점은 대동소이하다.
그런데 가공배선은 물론 지중배선에서 배선을 담당하는 배전선은 각종 배전시설은 물론 변전기 등과의 전기적 연결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연결구간은 누전사고, 지락사고 또는 감전사고 등이 주로 발생하는 지점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간의 안전한 구조를 성립하기 위해서 다양한 접속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접속장치에서는 각종 요인에 의한 누전사고 또는 감전사고 발생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어서, 이에 대한 보완기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1578062호(2015.12.17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배전선과 배전선 또는 배전선과 각종 시설 등 간의 안전한 연결상태를 유지해서, 누전사고, 지락사고 또는 감전사고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배전 및 변전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안전성이 높은 배전 및 변전용 접속장치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선을 다른 배전선 또는 전기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로부터 연장해 형성되어서 커넥터로 삽입되는 배전선을 감싸며 안내하고 내주면에 나선형 피치가 형성된 제1가압부와, 상기 제1가압부로부터 연장해 형성되어서 배전선의 둘레를 감싸는 제2가압부로 구성된 소켓;
다수의 패널이 제1 링을 매개로 일렬로 연결되어서 배전선을 감싸며 제1가압부에 삽입되는 환 형상을 이루고, 각각의 상기 패널은 제1 링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가압부의 제1 나선형 피치와 볼팅하는 제2 나선형 피치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그랩퍼;
상기 패널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날개가 제2 링을 매개로 일렬로 연결되어서 배전선을 감싸며 제2가압부에 삽입되는 환 형상을 이루되, 상기 날개는 패널과 각각 쌍을 이루며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날개는 제2 링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날개의 내측단은 패널의 선단과 일방으로만 걸리도록 맞물려 연결되는 한편, 상기 날개의 외측단은 제2 링을 중심으로 내측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중량으로 되어 제2가압부로부터 인출되는 펜스;
상기 배전선과 접하는 제1가압부 및 배전선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 재질의 제1 패커; 및
상기 제2가압부와 펜스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 재질의 제2 패커;
를 포함하는 안전성이 높은 배전 및 변전용 접속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배전선과 배전선 또는 배전선과 각종 시설 등 간의 안전한 연결상태를 유지해서, 누전사고, 지락사고 또는 감전사고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배전 및 변전 환경을 구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와 종래 접속장치를 비교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P2 부분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의 그랩퍼와 펜스와 소켓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펜스를 구성하는 날개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배전선의 휨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배전선에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를 결합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P2 부분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의 그랩퍼와 펜스와 소켓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펜스를 구성하는 날개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배전선의 휨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배전선에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를 결합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와 종래 접속장치를 비교한 측면도이다.
원거리 배전을 위해서는 이에 상응하는 긴 길이의 배전선(C)이 필요하다. 그런데 규격에 맞춰 제작되는 일반 배전선(C)은 그 길이에 제한이 있으므로, 배전해야 할 거리가 배전선(C)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별도의 접속장치(10, 10', 100, 100')를 매개로 2개의 배전선(C)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배전선(C)에 통전하는 전기를 수요자 측으로 배선하기 위해서, 배전선(C)은 별도의 변압기 또는 기타 변전기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실시의 접속장치(100, 100')는 2개의 배전선(C)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2개의 배전선(C)에 각각 해당하는 접속장치(100, 100')를 연결하고, 이렇게 2개의 접속장치(100, 100')는 커넥터(110)에 구성된 플랜지(111, 111')를 서로 접합해서 볼팅 또는 핀 고정 방식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한다.
결국, 2개의 배전선(C)은 접속장치(100, 100')의 전기적 및 물리적 연결을 통해서 일체로 연결된다.
그런데 외력 또는 배전선(C) 자체의 늘어짐에 의해 구부러지는 배전선(C)이 종래 접속장치(10, 10')의 단부를 기준으로 급격히 절곡하면서 배전선(C)의 피복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있었다. 즉, 도 1의 (a)도면에서 보인 대로, 배전선(C)이 접촉장치(10, 10')를 기준으로 빈번한 스윙이 있을 경우, 접속장치(100)와 직접 접하게 되는 'P1' 지점의 배전선(C) 피복은 빈번한 스윙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면서 손상되고, 상기 손상 부위를 통해서 누전 또는 지락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접속장치(100, 100')는 도 1의 (b)도면에서 보인 대로, 배전선(C)의 빈번한 스윙에도 접속장치(100, 100')의 단부와 접하는 지점의 파손을 방지하는 펜스(13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의 접속장치(100, 100')는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장치(100, 100')를 연결해서 다른 배전선과의 전기적 연결과 변압기 등과 같은 전기 장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110)와, 커넥터(110)로 삽입하는 배전선(C)을 안내하며 지지하는 소켓(120)과, 소켓(120)과 배전선(C) 간에 삽입되어서 스윙하는 배전선(C)과 소켓(120) 단부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펜스(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의 접속장치(100, 100')를 아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P2 부분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의 그랩퍼와 펜스의 하우징 간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펜스를 구성하는 날개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배전선의 휨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소켓(120)은, 커넥터(110)로부터 연장해 형성되어서 배전선(C)의 둘레를 감싸며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 피치(122)가 구성되는 제1가압부(121)와, 제1가압부(121)로부터 연장해 형성되어서 배전선(C)의 둘레를 감싸며 배전선(C)과 밀착한 펜스(130)를 배전선(C) 쪽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1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의 펜스(130)는, 다수의 날개(130a, 130b)가 강성 재질의 링(134)을 매개로 일렬로 연결되어서, 배전선(C)의 둘레를 감싸며 밀착하는 환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펜스(130)의 내면은 배전선(C)과 밀착하고, 펜스(130)의 외면은 제2가압부(124)와 밀착한다. 한편,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날개(130a, 130b)는 서로 독립하게 구성되므로, 배전선(C)의 스윙에 따라 압력을 직접 받는 일부의 날개(130a, 130b)만이 링(13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링(134)이 관통하는 날개(130a, 130b)의 관통공(133)은 링(134)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이루어서, 배전선(C)에 상응하여 곡면 형상을 이루는 날개(130a, 130b)가 곡형을 이루는 링(134)과의 간섭없이 원활히 회전하게 한다. 한편, 날개(130a, 130b)의 외측단은 소켓(120)의 제2가압부(124)로부터 바깥으로 인출한 구조로 되어서, 배전선(C)의 스윙에 따라 날개(130a, 130b)가 제2가압부(124)의 걸림 없이 개별적으로 회전하게 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펜스(130)는 날개(130a)와 날개(130b) 사이에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패커(135)가 배치되어서, 날개(130a)와 날개(130b) 간에 발생하는 틈을 매꿔 패킹 기능을 수행한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접속장치(100)는 제1가압부(121)와 배전선(C) 간에 삽입되어서 내면이 배전선(C)에 밀착하는 그랩퍼(14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의 그랩퍼(140)는 펜스(130)와 같이 다수의 패널(140a, 140b)이 강성 재질의 링(144)을 매개로 일렬로 연결되어서 환 형상을 이루고, 패널(140a, 140b)은 펜스(130)의 날개(130a, 130b)와도 짝을 이루며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랩퍼(140)의 패널(140a, 140b)과 펜스(130)의 날개(130a, 130b)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패널(140a, 140b) 1개와 날개(130a, 130b) 1개가 각각 짝을 이루면서 서로 나란히 배전선(C)을 감싼다. 펜스(130)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140a, 140b)에는 각각 관통공(143)이 형성되고, 관통공(143)을 관통하는 링(144)을 매개로 패널(140a, 140b)이 일렬로 연결되는데, 관통공(143) 또한 은 링(144)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이루어서, 배전선(C)에 상응하여 곡면 형상을 이루는 패널(140a, 140b)이 곡형을 이루는 링(144)과의 간섭없이 원활히 회전하게 한다.
한편, 그랩퍼(140)의 각 패널(140a, 140b)은 짝을 이루는 날개(130a, 130b)와 연동하게 연결되며, 이를 위해서 패널(140a, 140b)의 선단(141)은 마주하는 해당 날개(130a, 130b)의 내측단에 형성된 경사면(131)의 홈(132)으로 삽입한다. 따라서, 패널(140a, 140b)과 날개(130a, 130b) 중 하나가 회전하면, 짝을 이루는 다른 하나도 함께 회전한다. 그러나 회전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본 실시의 경사면(131)은 링(134)을 기준으로 하는 날개(130a, 130b)의 내측단이 패널(140a, 140b)과 일측 방향으로만(도 5의 경우 하방) 걸리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배전선(C)이 상방으로 스윙할 때에는 날개(130a, 130b)가 링(13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외측단은 제2가압부(124)와 밀착하고, 날개(130a, 130b)의 내측단은 배전선(C)과 밀착하며, 경사면(131)의 홈(132)과 맞물린 해당 패널(140a, 140b)은 링(14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패널(140a, 140b)의 후단이 제1가압부(121)와 밀착한다. 반면, 도 5의 (b)도면에서 보인 대로, 배전선(C)이 하방으로 스윙할 때는 배전선(C)이 날개(130a, 130b)에 직접적인 압력을 가하진 않으므로, 패널(140a, 140b)의 서포팅에 의해 현 자세를 유지한다. 결국, 본 실시의 펜스(130)는 배전선(C)이 한쪽 스윙시에만 해당하는 날개(130a, 130b)가 움직이면서 배전선(C)의 피복을 보호하고, 다른 쪽 스윙시에는 현 자세를 유지하면서 배전선(C)의 피복에 가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한다.
이외에도 본 실시의 날개(130a, 130b)는 날개(130a, 130b)의 회전축 기능을 하는 링(134)이 날개(130a, 130b)의 내측단 방향으로 편중하게 배치되므로, 날개(130a, 130b)가 외력을 받지 않으면 날개(130a, 130b)의 외측단은 자체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기울어져서 배전선(C)과의 틈을 최소화하고, 날개(130a, 130b)의 내측단은 상방으로 이동해서 제2가압부(124)와 접한다. 결국,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배전선(C)이 스윙하더라도 날개(130a, 130b)는 배전선(C)을 덮어 틈 형성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서 외부 이물질이 본 실시의 접속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배전선(C)은 스윙 과정에서 제2가압부(124)와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 펜스(130)에 보호를 받으므로, 스윙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전선(C)의 피복이 최소화한다. 더 나아가 본 실시의 접속장치(100)는 배전선(C)의 스윙에도 접속장치(100) 내부로의 이물질을 유입을 다중 방지하므로, 접속장치(100) 내부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의 소켓(120)은 제1가압부(121)와 배전선(C) 사이에 탄성 재질의 패커(123)를 배치해서 제1가압부(121)와 배전선(C) 사이를 밀폐하고, 제2가압부(124)와 펜스(130) 사이에 탄성 재질의 패커(125)를 배치해서 펜스(130)의 날개(130a, 130b)가 회전할 때 제2가압부(124)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면서도 펜스(130)와 제2가압부(124) 사이를 밀폐한다. 결국, 패커(123, 125)는 펜스(130)의 날개(130a, 130b)가 배전선(C)의 스윙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항시 밀폐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한다.
계속해서 그랩퍼(140)의 링(144)을 기준으로 패널(140a, 140b)의 후단은 제1가압부(121)의 나선형 피치(122)에 상응하는 나선형 피치(142)가 패널(140a, 140b)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소켓(120)으로 삽입된 그랩퍼(140)는 나사 결합에 의해서 내설된다. 참고로, 제1가압부(121)의 나선형 피치(122)는 접속장치(100)의 안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고, 그랩퍼(140)의 나선형 피치(142) 또한 제1가압부(121)의 나선형 피치(12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외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다. 결국, 그랩퍼(140)는 나선형 피치(142)가 형성된 부분이 원뿔대 형상을 이룬다.
도 6은 배전선에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를 결합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접속장치(100)를 배전선(C)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6의 (a)도면에서 보인 대로, 우선 배전선(C)의 일 지점에 펜스(130)와 그랩퍼(140)를 감싸듯 끼운다. 일반적으로 접속장치(100)가 연결되는 배전선(C)은 단부에 해당하므로,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는 펜스(130)를 배전선(C)에 우선 끼우고, 그 다음으로 그랩퍼(140)를 끼운다. 이때, 펜스(130)를 구성하는 날개(130a, 130b)의 내측단인 경사면(131)과 그랩퍼(140)를 구성하는 패널(140a, 140b)의 선단(141)이 서로 마주하게 하고, 선단(141)은 경사면(131)의 홈(132)에 삽입되게 한다. 따라서, 날개(130a, 130b)는 경사면(131)의 홈(132)에 삽입된 패널(140a, 140b)의 선단(14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6의 (b)도면에서 보인 대로, 커넥터(110)의 소켓(120)을 배전선(C)을 감싸듯 끼우되, 소켓(120)의 제1가압부(121)는 그랩퍼(140)의 둘레를 감싸게 하고, 제2가압부(124)는 펜스(130)의 내측단 둘레를 감싸게 한다. 따라서 펜스(130)의 외측단은 소켓(120)으로부터 인출한 형상을 이룬다. 참고로, 그랩퍼(140)의 둘레에는 나선형 피치(142)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해서 제1가압부(121)의 내주면에는 그랩퍼(140)의 나선형 피치(142)와 결합하는 나선형 피치(132)가 형성되므로, 나선형 피치(132, 142)를 매개로 한 볼팅 방식으로 제1가압부(121)와 그랩퍼(140)를 연결한다. 물론, 제2가압부(121)의 내주면은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이고, 그랩퍼(140)의 둘레 또한 후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상이므로, 제1가압부(121)에 대한 그랩퍼(140)의 고정을 손쉽게 이룰 수 있다.
계속해서, 도 6의 (c)도면에서 보인 대로, 제1가압부(121)와 그랩퍼(140) 간의 연결을 완료하면, 제2가압부(124)에 펜스(130)를 강제 압입한다. 물론 펜스(130)의 내측단에 형성된 경사면(131)의 홈(132)과 그랩퍼(140)의 선단(141)을 서로 맞춰서, 펜스(130)의 날개(130a, 130b)가 선단(141)을 중심으로 패널(140a, 140b)과 개별적으로 맞물려 회전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 펜스(130)의 날개(130a, 130b)와 그랩퍼(140)의 패널(140a, 140b)은 각각 짝을 이루며 나란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결국, 소켓(120)의 제2가압부(124) 안으로 압입된 펜스(130)는 내측단이 그랩퍼(140)와 맞물려 연결되고, 외측단이 제2가압부(124) 밖으로 인출되어서, 배전선(C)의 스윙에도 펜스(130)의 날개(130a, 130b)가 배전선(C)을 감싸며 피복을 보호하고, 더불어서 그랩퍼(140)의 패널(140a, 140b)은 해당 날개(130a, 130b)와 연동하면서 배전선(C)을 단단히 그랩핑하여, 배전선(C)과 접속장치(100) 간의 안정된 결속을 유지하게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0', 100, 100'; 접속장치 110; 커넥터
120; 소켓 121; 제1가압부 122; 나사형 피치
123; 패커 124; 제2가압부 125; 패커
130; 펜스 131; 경사면 132; 홈
133; 관통공 134; 링 140; 그랩퍼
141; 선단 142; 나선형 피치 143; 관통공
144; 링
120; 소켓 121; 제1가압부 122; 나사형 피치
123; 패커 124; 제2가압부 125; 패커
130; 펜스 131; 경사면 132; 홈
133; 관통공 134; 링 140; 그랩퍼
141; 선단 142; 나선형 피치 143; 관통공
144; 링
Claims (1)
- 배전선을 다른 배전선 또는 전기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로부터 연장해 형성되어서 커넥터로 삽입되는 배전선을 감싸며 안내하고 내주면에 제1 나선형 피치가 형성된 제1가압부와, 상기 제1가압부로부터 연장해 형성되어서 배전선의 둘레를 감싸는 제2가압부로 구성된 소켓;
서로 독립된 다수의 패널이 제1 링을 매개로 일렬로 연결되어서 배전선을 감싸며 제1가압부에 삽입되는 환 형상을 이루고, 각각의 상기 패널은 제1 링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가압부의 제1 나선형 피치와 볼팅하는 제2 나선형 피치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그랩퍼;
상기 패널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날개가 서로 독립되어 제2 링을 매개로 일렬로 연결되어서 배전선을 감싸고 제2가압부에 삽입되는 환 형상을 이루되, 상기 날개는 패널과 각각 쌍을 이루며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날개는 제2 링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날개의 내측단은 패널의 선단과 일방으로만 걸리도록 맞물려 연결되는 한편, 상기 날개의 외측단은 제2 링을 중심으로 내측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중량으로 되어 제2가압부로부터 인출되는 펜스;
상기 배전선과 접하는 제1가압부 및 배전선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 재질의 제1 패커; 및
상기 제2가압부와 펜스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 재질의 제2 패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높은 배전 및 변전용 접속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3673A KR101706690B1 (ko) | 2016-08-16 | 2016-08-16 | 안전성이 높은 배전 및 변전용 접속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3673A KR101706690B1 (ko) | 2016-08-16 | 2016-08-16 | 안전성이 높은 배전 및 변전용 접속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6690B1 true KR101706690B1 (ko) | 2017-02-15 |
Family
ID=5811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3673A KR101706690B1 (ko) | 2016-08-16 | 2016-08-16 | 안전성이 높은 배전 및 변전용 접속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669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59740A1 (en) * | 2010-12-23 | 2012-06-28 | Tyco Electronics Amp Gmbh | Clamp ring, cable screw connection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able screw connection |
KR20150024852A (ko) * | 2012-06-22 | 2015-03-09 | 트란베르그 에이에스 | 케이블 그랜드용 패커 및 그 사용방법 |
KR101578062B1 (ko) | 2015-07-20 | 2015-12-17 | 송인자 | 지중배전선로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
-
2016
- 2016-08-16 KR KR1020160103673A patent/KR1017066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59740A1 (en) * | 2010-12-23 | 2012-06-28 | Tyco Electronics Amp Gmbh | Clamp ring, cable screw connection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able screw connection |
KR20150024852A (ko) * | 2012-06-22 | 2015-03-09 | 트란베르그 에이에스 | 케이블 그랜드용 패커 및 그 사용방법 |
KR101578062B1 (ko) | 2015-07-20 | 2015-12-17 | 송인자 | 지중배전선로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81222B2 (en) | Cable termination device, a method for prefabricating a cable termin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achieving a cable termination | |
KR102343417B1 (ko) |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 |
BR112018011891B1 (pt) | Sistemas de conexão elétrica modular para aplicações de contenção de pressão e para aplicações na cabeça de poço | |
WO2017024931A1 (zh) | 快速插拔电缆分支箱 | |
CN204991997U (zh) | 电力电缆连接端子组合件 | |
US8347495B2 (en) | Method of extending the individual electromagnetic shielding of electrical strands in a twisted-strand cable to an electrical connector | |
EP391375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submarine high voltage cable system | |
KR20120011903A (ko) |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 |
CN104253400A (zh) | 风电母线进出线箱 | |
KR101706690B1 (ko) | 안전성이 높은 배전 및 변전용 접속장치 | |
CN102856873B (zh) | 应力锥组件、高压电缆连接器组件 | |
KR102348864B1 (ko) | 피뢰기능을 갖춘 안전형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 |
KR101626145B1 (ko) |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 |
KR102146972B1 (ko) | 지하 전력 케이블의 부분 방전 모니터링 | |
CN208548702U (zh) | 电缆中间接头 | |
KR101706683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배전 및 변전용 전선 설치대 | |
KR20100029809A (ko) |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 | |
CN104252962A (zh) | 装配变压器的方法 | |
US20160380421A1 (en) | End closure for a cabl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 |
CN201051645Y (zh) | 630a美式直通头 | |
CN204789647U (zh) | 双分裂导线在线监测装置安装卡具 | |
JP6846407B2 (ja) | 金属シースとhvdc miケーブルを電気的に分離する方法 | |
US20240006862A1 (en) | Submarine connection box for submarine power cables | |
KR100952211B1 (ko) | 절연형 지중매설 배전선 인입가이드 | |
KR102708725B1 (ko) | 지중 배전 변압기의 고압 케이블용 접지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