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635B1 -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635B1
KR101706635B1 KR1020150103476A KR20150103476A KR101706635B1 KR 101706635 B1 KR101706635 B1 KR 101706635B1 KR 1020150103476 A KR1020150103476 A KR 1020150103476A KR 20150103476 A KR20150103476 A KR 20150103476A KR 101706635 B1 KR101706635 B1 KR 101706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middle shaft
terminal
shaft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1224A (ko
Inventor
최준일
박종건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테크
Priority to KR1020150103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63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01Glowing plug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9/00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 F02P19/02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electric, e.g. layout of circuits of apparatus having glowing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9/00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 F02P19/02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electric, e.g. layout of circuits of apparatus having glowing plugs
    • F02P19/026Glow plug actuation during engin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9/00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 F02P19/02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electric, e.g. layout of circuits of apparatus having glowing plugs
    • F02P19/028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electric, e.g. layout of circuits of apparatus having glowing plugs the glow plug being combined with or used as a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1/00Vacuum gauges
    • G01L21/30Vacuum gauges by making use of ionisation effects
    • G01L21/32Vacuum gauges by making use of ionisation effects using electric discharge tubes with thermionic cath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01Glowing plug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3Q2007/004Manufacturing or assembl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실린더용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는, 중공의 인너튜브와, 상기 인너튜브에 삽입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중축과, 상기 인너튜브에 삽입되고, 상기 중축의 일 단에 장착되며, 상기 중축으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발열되는 발열체 및 상기 중축의 일 단에 설치되는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중축과 접하는 상기 발열체의 일 단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Glow plug of terminal assembly}
본 발명은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제조 효율을 향상시킨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 특히 디젤형 기관에서, 각각의 실린더는, 특히 엔진을 시동하는 경우, 대응하는 연소실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글로우 플러그를 구비한다. 이러한 글로우 플러그는 엔진의 실린더 헤드를 통과하는 나선 가공된 보어 내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글로우 플러그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과 연결된다. 상기 압력 센서는 실린더 내부의 압력 값을 측정하여 실린더 안으로 연료가 분사되는 양을 조절하고, 엔진 내의 연소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에 연결되는 글로우 플러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 가능한 세라믹히터(6)와, 상기 세라믹히터(6) 상에 설치되며, 세라믹히터(6)에서 발생된 전기가 전달되는 중축(4)과, 상기 중축(4) 상에 설치되고, 센서 모듈에 설치되는 단자(8)를 포함한다.
상기 글로우 플러그(1)는 세라믹히터(6)에 설치된 캡(7)과 중축(4)을 용접하고, 중축(4)과 단자(8) 사이의 스프링(5)의 각 단을 스프링(5)을 중축(4)과 단자(8)에 각각 용접하여 조립하는 과정을 통해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글로우 플러그(1)를 성형하기 위해서 다수의 위치에서 용접을 통해 성형하기 때문에 글로우 플러그(1) 성형의 제조 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자(8)와 중축(4)을 연결하는 스프링(5)과 단자(8)가 결합하는 센서모듈(50) 사이의 절연 간극이 부족하여 전기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접 시공을 줄여 부품 제작이 용이해지고, 용접에 따른 부품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킨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단락 발생을 방지하는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실린더용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는, 중공의 인너튜브와, 상기 인너튜브에 삽입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중축과, 상기 인너튜브에 삽입되고, 상기 중축의 일 단에 장착되며, 상기 중축으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발열되는 발열체 및 상기 중축의 일 단에 설치되는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중축과 접하는 상기 발열체의 일 단에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는, 상기 센서모듈 내 삽입 시, 상기 센서모듈 내에 걸림되어 상기 센서모듈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중축과 상기 발열체가 접하는 접합면은 코킹(caulking)으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 및 상기 중축이 접하는 접합면은 코킹(caulking)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하여 발열부와 중축 및 중축과 단자를 코킹 공정으로 접합하여 단자 조립체를 조립하는 동안 별도의 용접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단자 조립체 표면에 용접 열에 의한 고온의 열이 전달되어 단자 조립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축과 발열부 및 중축과 단자를 코킹 공정을 통해 단자 조립체를 조립하기 때문에 단자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용접 없이 단자 조립체를 성형하므로 용접 시공을 시간, 작업 공수 등을 줄이므로 단자 조립체를 성형하기 위한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 조립체가 용접된 부분 없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단자 조립체의 구성 일부를 교체하고자 할 때, 용접 제거 시술 없이 단자 조립체를 분리하여 필요한 구성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단자 조립체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글로우 플러그 단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글로우 플러그의 조립체와 센서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글로우 플러그의 조립체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글로우 플러그의 조립체의 조립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글로우 플러그의 조립체와 센서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글로우 플러그의 조립체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글로우 플러그의 조립체의 조립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센서모듈(50)을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실린더용 글로우 플러그(10)의 단자 조립체(100)는, 중공의 인너튜브(120)와, 상기 인너튜브(120)에 삽입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중축(140)과, 상기 인너튜브(120)에 삽입되고, 상기 중축(140)의 일 단(142)에 장착되며, 상기 중축(140)으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발열되는 발열부(160) 및 상기 중축(140)의 일 단(142)에 설치되는 단자(180)를 포함하며, 상기 중축(140)과 접하는 상기 발열부(160)의 일 단에는 스프링(1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단자 조립체(100)의 발열부(160)는 중축(140)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부(160)에 전기가 통전되어 발생하는 전기적 저항에 의해 발열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하여 발열부(160)는 금속튜브나 세라믹 소결체에 발열선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축(140)은 발열부(160)가 발열될 수 있도록 외부 전원과 연결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발생한 전압이 용이하게 발열부(160)로 전달되도록 발열부(160)와 맞닿은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50)은 중축(140)과 발열부(160) 사이에 설치되며, 발열부(160)와 중축(140)이 맞닿도록 설치될 때, 중축(140)을 발열부(160) 상에 고정되게 한다. 즉, 중축(140)이 스프링(150)의 일 단(152)에 끼워지며 발열부(16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중축(140)이 설치되는 스프링(150)의 일 단(152)은 중축(140)의 단부 너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스프링(150)에 의해 중축(140)이 스프링(150)의 일 단(152)에 끼워지며 설치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중축(140)이 스프링(150)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150)의 일 단(152)에 중축(140)이 설치되면, 중축(140)과 스프링(150)의 일 단(152)을 코킹(caulking) 공정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50)의 일 단(152)과 중축(140)을 코킹 공정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별도의 용접 공정 없이도 발열부(160)와 중축(140)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스프링(150)의 일 단(152)은 수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150)의 일 단(152)에 맞물리는 중축(140)의 내면은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열부(160)와 중축(140)을 고정하기 위하여 발열부(160)에 설치된 스프링(150)의 일 단(152)에 중축(140)이 끼워짐에 따라 중축(140)이 발열부(160) 상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별도의 부재 사용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스프링(150)과 중축(140)이 접하는 면의 코킹공정 전에 스프링(150)상에 중축(140)이 안착되기 때문에 중축(140)과 스프링(150)의 일 단(152)이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흔들림 없이 중축(140)과 발열부(16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150)은 코일 스프링(150)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글로우 플러그(10)의 상, 하 이동에도 스프링(150)이 탄성적으로 상, 하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축(140)에서 발열부(160)로 전원이 용이하게 인가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단자(180)는 중축(140)의 일 단(142)에 맞물리며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사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축(140)의 일 단(142)이 단자(180)에 삽입되면서 단자(180)가 중축(140) 상에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중축(140)의 일 단(142)이 단자(18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중축(140)의 일 단(142)의 너비가 단자(180)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중축(140)의 일 단(142)에 단자(180)가 설치되면, 중축(140)의 일 단(142)과 단자(180)가 접하는 면을 코킹(caulking) 공정으로 조립한다. 상기 중축(140)의 일 단(142)과 단자(180)를 코킹 공정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별도의 용접 공정 없이도 중축(140)과 단자(18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축(140)과 단자(180)를 고정하기 위하여, 중축(140)의 일 단(142) 상에 단자(180)를 안착시킨 뒤, 중축(140)과 단자(180)를 코킹 공정으로 접합하여 고정함으로써, 단자(180)가 보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중축(140)과 접합될 수 있다. 즉, 단자(180)가 중축(140)의 일 단(142)에 끼워지며 안착된 상태에서 중축(140)과 접합되므로 단자(180)가 중축(140) 상에서 움직임 없이 중축(140)과 접합된다. 따라서, 중축(140)과 단자(180)의 조립 공정의 정확도가 향상되어 단자 조립체(100)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단자(180)는 센서모듈(50) 내에 삽입될 때, 센서모듈(50) 내에 걸림되어 센서모듈(50)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8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턱(182)은 단자(180)의 둘레보다 돌출된 부분이며, 센서모듈(50) 내에 단자(180)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단자삽입부(미도시) 주변에 걸림되어 단자(180)를 센서모듈(50)에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단자(180)가 센서모듈(50) 내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이탈방지턱(182)은 단자(180)를 성형할 때, 단자(180)를 성형하는 금형의 형상을 변경하여 형성할 수도 있지만, 성형이 완료된 단자(180)의 외벽에 별도의 턱을 별도로 설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단자 조립체(100)를 성형하기 위하여 발열부(160)와 중축(140) 및 중축(140)과 단자(180)가 코킹 공정으로 고정되므로, 용접 등의 공정으로 단자 조립체(100) 표면에 열이 가해져, 단자 조립체(100)의 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중축(140)과 발열부(160) 및 중축(140)과 단자(180)를 코킹 공정을 통해 단자 조립체(100)를 성형하므로, 단자 조립체(100)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용접 없이 단자 조립체(100)를 성형하므로 용접 시공을 시간, 작업 공수 등을 줄이므로 단자 조립체(100)를 성형하기 위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단자 조립체(100)가 용접된 부분 없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단자 조립체(100)의 구성 일부를 교체하고자 할 때, 용접 제거 시술 없이 단자 조립체(100)를 분리하여 필요한 구성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단자 조립체(100)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여 글로우 플러그(10)의 단자 조립체(100) 조립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스프링(150)이 장착된 발열부(160)를 마련한다(도 5의 (a)). 이때, 스프링(150)은 발열부(160)를 성형할 때, 발열부(160)와 일체로 성형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발열부(160) 상에 용접, 접착제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150)이 설치된 발열부(160) 상에 중축(140)을 설치한다(도 5의 (b)). 상기 중축(140)은 스프링(150)의 일 단(152)에 맞물리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중축(140)과 스프링(150)의 일 단(152)을 나사 결합, 억지 끼움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50) 상에 중축(140)이 설치되면, 스프링(150)의 일 단(152)과 중축(140)을 코킹 공정을 통해 접합하여 발열부(160)와 중축(140)을 고정하고, 상기 발열부(160)와 중축(140)이 고정되면, 중축(140)으로 절연튜브(170)를 삽입한다(도 5의 (C)). 상기 절연튜브(170)는 단자 조립체(100)가 장착되는 인너튜브(120)와 단자 조립체(100) 사이를 절연하는 부재로, 절연 가능하며, 열에 강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절연튜브(170)는 중축(140)을 감싸며 중축(140)에 삽입되도록 중심에 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절연튜브(170)는 중축(14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발열부(160) 상에 안착되되 스프링(150)을 감싸도록 중축(140)과 나란한 방향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튜브(170)를 설치하면, 상기 중축(140)과 발열부(160) 외부에 인너튜브(120)를 설치한다(도 5의 (d)). 이때, 인너튜브(120)와 발열부(160)는 용접,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며, 바람직하게는 용접으로 발열부(160)와 인너튜브(12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중축(140)과 발열부(160)의 외부에 인너튜브(120)가 설치되면, 중축(140)의 일 단(142)과 인너튜브(120) 사이에 절연부재(130)를 설치한다(도 5의 (e)). 상기 절연부재(130)는 절연와셔 등으로 인너튜브(120)와 중축(140)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절연부재(130)는 글로우 플러그(10)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에 의해도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발명의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130)가 중축(140)의 일 단(142)과 인너튜브(120) 사이에 설치되면, 중축(140)의 일 단(142)에 단자(180)를 설치한다(도 5의 (f)). 상기 단자(180)는 중축(140)의 일 단(142)과 나사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단자(180)과 중축(140)의 일 단(142)에 설치되면, 중축(140)의 일 단(142)과 접하는 단자(180) 표면을 코킹 공정으로 쪼아 중축(140)과 단자(180)를 접합하게 된다. 이후, 단자(180)를 센서모듈(50)에 장착하여 글로우 플러그(10)로 성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글로우 플러그(10)의 단자 조립체(100)를 조립하기 위하여 발열부(160)와 중축(140) 및 중축(140)과 단자(180)를 코킹 공정으로 접합하여 단자 조립체(100)를 조립하는 동안 별도의 용접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단자 조립체(100) 표면에 용접 열에 의한 고온의 열이 전달되어 단자 조립체(1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중축(140)과 발열부(160) 및 중축(140)과 단자(180)를 코킹 공정을 통해 단자 조립체(100)를 조립하기 때문에 단자 조립체(100)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용접 없이 단자 조립체(100)를 성형하므로 용접 시공을 시간, 작업 공수 등을 줄이므로 단자 조립체(100)를 성형하기 위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단자 조립체(100)가 용접된 부분 없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단자 조립체(100)의 구성 일부를 교체하고자 할 때, 용접 제거 시술 없이 단자 조립체(100)를 분리하여 필요한 구성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단자 조립체(100)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글로우 플러그 50: 센서모듈
100: 단자 조립체 120: 인너튜브
140: 중축 150: 스프링
160: 발열부 180: 단자

Claims (6)

  1.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실린더용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에 있어서,
    중공의 인너튜브;
    상기 인너튜브에 삽입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중축;
    상기 중축의 일 단에 장착되며, 상기 중축으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
    상기 중축의 일 단에 설치되는 단자; 및
    상기 중축과 접하는 상기 발열부의 일 단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 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중축의 내면은 상기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센서모듈 내 삽입 시, 상기 센서모듈 내에 걸림되어 상기 센서모듈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축과 상기 스프링이 접하는 접합면은 코킹(caulking)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 및 상기 중축이 접하는 접합면은 코킹(caulking)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
  6. (a) 일 단에 스프링이 장착된 발열부를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스프링의 일 단에 나사 결합으로 맞물리도록 상기 발열부 상에 중축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스프링의 일 단과 상기 중축을 코킹 공정으로 상기 발열부와 상기 중축을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과 맞물린 상기 중축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중축의 단부와 상기 스프링 외부에 절연튜브를 장착하는 단계;
    (e) 상기 절연튜브의 일 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절연튜브 외부에 인너튜브를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중축의 일 단을 관통하도록 상기 중축의 일 단에 절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g) 상기 중축의 일 단에 나사 결합으로 단자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 제조 방법.
KR1020150103476A 2015-07-22 2015-07-22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 KR101706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476A KR101706635B1 (ko) 2015-07-22 2015-07-22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476A KR101706635B1 (ko) 2015-07-22 2015-07-22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224A KR20170011224A (ko) 2017-02-02
KR101706635B1 true KR101706635B1 (ko) 2017-02-16

Family

ID=5815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476A KR101706635B1 (ko) 2015-07-22 2015-07-22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6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4488A (ja) * 2011-07-22 2013-02-04 Ngk Spark Plug Co Ltd 燃焼圧検知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4999B2 (ja) * 1994-09-29 1999-03-08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プラグ用のソケット装置およびソケット一体形イグニッションコイル装置
US6900412B2 (en) * 2002-08-12 2005-05-31 Ngk Spark Plug Co., Ltd. Glow plug
KR20090057618A (ko) * 2007-12-03 2009-06-08 주식회사 유라테크 글로우 플러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4488A (ja) * 2011-07-22 2013-02-04 Ngk Spark Plug Co Ltd 燃焼圧検知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224A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2118B2 (en) Glow plu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979801B2 (en) Glow plug with built-in combustion pressur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623645B2 (ja) グロープラグ
US9644842B2 (en) Glow plu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612485B2 (en) Glow plug
US6900412B2 (en) Glow plug
KR101706635B1 (ko) 글로우 플러그의 단자 조립체
KR101720222B1 (ko) 글로우 플러그
JP2005509124A (ja) 電気加熱式のグロープラグ並びに電気加熱式のグロープラグを製造する方法
JP2006266526A (ja) 燃焼圧検知機構付きグロープラグ及び燃焼圧検知機能付きグロープラグの製造方法
KR101783301B1 (ko) 글로우 플러그
JP6283768B2 (ja) グロープラグ
JP4295164B2 (ja) グロープラグ
JP4268596B2 (ja) 燃焼圧検知機構付きグロープラグ及びグロープラグ接続構造体
JP2005207427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101770149B1 (ko) 글로우 플러그
JP5864330B2 (ja) グロープラグ
KR101775484B1 (ko) 글로우 플러그
KR20160044789A (ko) 압력센서 글로우 플러그
JP2002174423A (ja) グロープラグ
JP2006153338A (ja) グロープラグ
JP6586356B2 (ja) グロープラ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37883B1 (ko) 클램핑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글로우플러그
JP2013228183A (ja) グロープラグ
KR101566485B1 (ko) 글로우 플러그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