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072B1 - 터빈유 전용 여과기 - Google Patents

터빈유 전용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072B1
KR101706072B1 KR1020150184376A KR20150184376A KR101706072B1 KR 101706072 B1 KR101706072 B1 KR 101706072B1 KR 1020150184376 A KR1020150184376 A KR 1020150184376A KR 20150184376 A KR20150184376 A KR 20150184376A KR 101706072 B1 KR101706072 B1 KR 101706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oil
filter
unit
oil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헌
이진규
윤상섭
조한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지
Priority to KR1020150184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8Lubric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20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20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 F01M2011/1406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by considering ac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20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 F01M2011/146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by considering moisture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20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 F01M2011/1466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by considering quantity of so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20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 F01M2011/148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by considering visco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빈유 전용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빈유의 입자 오염물을 1차로 제거하는 1차 입자 필터부; 터빈유의 산과 슬러지를 제거하는 이온수지 필터부; 및 상기 이온수지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입자 오염물을 2차로 제거하고 레진의 유출을 막아주는 2차 입자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터빈유 전용 여과기에 따르면,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터빈유를 2개의 입자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이온수지 필터를 통해 여과시켜 줌으로써, 기존 산업유의 오염물인 수분과 미세 입자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산업유의 열화에 의해 발생되는 열화물질인 산과 슬러지도 제거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산업유의 오염물인 수분과 미세입자 뿐만 아니라 산업유의 열화에 의해 발생되는 열화물질인 산과 슬러지도 제거함으로써, 산업유의 교체주기를 연장시켜주고 기계설비의 부식화를 늦춰 기계설비의 수명도 연장시켜준다.

Description

터빈유 전용 여과기{TURBINE OIL PURIFIER}
본 발명은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빈유 전용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윤활유는 기계의 마찰면에 생기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거나 마찰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유상물질로 주로 석탄계 광물유가 쓰인다. 기본적으로 윤활유에 필요한 성질은 사용온도에 적당한 점성을 유지하고, 안정한 유막을 형성하며, 열과 산화에 대해 안정도가 높아야 하는 것이다. 윤활을 필요로 하는 기계요소가 여러 가지이고 기계가 작동하는 조건도 많기 때문에 윤활유의 종류 또한 매우 다양하며 품질도 각양각색이다.
윤활유 등의 산업유는 장치 내를 순환하면서 점차 수분, 연소 생성물, 금속 입자 및 오일 슬러지 등을 함유하게 되어 기능이 저하되는데, 오일 여과기는 이 산업유 속에 포함된 수분 및 금속 입자 등의 미세한 불순물을 여과시켜주는 장치로서 산업 설비 중 가장 중요한 장치 중 하나이다.
하지만, 기존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오일 여과기는 범용 여과기로서 모든 산업유에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 결과 범용 여과기로 여과할 수 있는 대상이 미세 입자와 수분에 한정되어 산업유 열화물질인 산과 오일 슬러지 등을 제거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서 각종 밸브의 막힘, 기계의 작동 불량, 누유, 산업유의 수명 단축, 기계설비 부식화, 및 기계 설비의 노화 속도를 촉진 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오일 여과기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10-2011-005936호(발명의 명칭: 오일 여과기, 공개일자: 2011년 01월20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터빈유를 2개의 입자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이온수지 필터를 통해 여과시켜 줌으로써, 기존 산업유의 오염물인 수분과 미세 입자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산업유의 열화에 의해 발생되는 열화물질인 산과 슬러지도 제거하는, 터빈유 전용 여과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산업유의 오염물인 수분과 미세입자 뿐만 아니라 산업유의 열화에 의해 발생되는 열화물질인 산과 슬러지도 제거함으로써, 산업유의 교체주기를 연장시켜주고 기계설비의 부식화를 늦춰 기계설비의 수명도 연장시켜주는, 터빈유 전용 여과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는,
터빈유 전용 여과기로서,
터빈유의 입자 오염물을 1차로 제거하는 1차 입자 필터부;
터빈유의 산과 슬러지를 제거하는 이온수지 필터부; 및
상기 이온수지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입자 오염물을 2차로 제거하고 레진의 유출을 막아주는 2차 입자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입자 필터부는,
터빈유의 입자 오염물을 1차로 제거하는 1차 3㎛ 입자 필터;
상기 1차 3㎛ 입자 필터로 여과되기 전의 터빈유 샘플을 채취하는 1차샘플링 포트; 및
상기 1차 3㎛ 입자 필터를 통해 여과된 후의 터빈유 샘플을 채취하는 2차 샘플링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입자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분 제거부는,
상기 1차 입자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수분을 제거하는 멤브레인 필터; 및
상기 멤브레인 필터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 샘플을 채취하는 3차 샘플링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수지 필터부는,
상기 멤브레인 필터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산과 슬러지를 제거하는 이온수지 필터; 및
상기 이온수지 필터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 샘플을 채취하는 4차 샘플링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수지 필터는,
산 제거 및 슬러지 흡착을 위한 약염기성 음이온교환 수지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수지 필터는,
색흡착을 위한 색흡착 레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수지 필터는,
약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 비율이 전체 중량 대비 60% 이상 70% 이하,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 비율이 전체 중량 대비 20% 이상 30% 이하, 그리고 잔량이 색흡착 레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입자 필터부는,
터빈유의 입자 오염물을 2차로 제거하고 레진의 유출을 막아주는 2차 3㎛ 입자 필터; 및
상기 2차 3㎛ 입자 필터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 샘플을 채취하는 5차 샘플링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터빈유의 상태를 진단하는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는,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터빈유가 상기 1차 입자 필터부로 이동하기 전 상기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로 이동시켜 주는 모터 펌프;
상기 모터 펌프를 통해 이동된 터빈유 중 큰 사이즈의 기포를 제거시켜 주는 사이클론;
상기 사이클론을 통해 큰 사이즈의 기포가 제거된 터빈유의 상태를 진단해주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진단한 터빈유 상태의 데이터를 가시화해 줄 PC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입자오염도 센서, 수분센서, 점도센서, 컬러센서 및 철분농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컬러센서는,
터빈유의 색상을 센싱하고 관찰하여 오일의 색상이 변하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이온수지 필터부의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터빈유 전용 여과기에 따르면,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터빈유를 2개의 입자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이온수지 필터를 통해 여과시켜 줌으로써, 기존 산업유의 오염물인 수분과 미세 입자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산업유의 열화에 의해 발생되는 열화물질인 산과 슬러지도 제거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산업유의 오염물인 수분과 미세입자 뿐만 아니라 산업유의 열화에 의해 발생되는 열화물질인 산과 슬러지도 제거함으로써, 산업유의 교체주기를 연장시켜주고 기계설비의 부식화를 늦춰 기계설비의 수명도 연장시켜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에서, 터빈유 전용 여과기의 전체 개요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에서, 1차 입자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에서, 수분 제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에서, 이온수지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에서, 2차 입자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에서,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터빈유 전용 여과기의 전체 개요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10)는, 1차 입자 필터부(100), 이온수지 필터부(300) 및 2차 입자 필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수분 제거부(200),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1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1차 입자 필터부(100)는, 터빈유의 입자 오염물을 1차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에서, 1차 입자 필터부(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입자 필터부(100)는, 1차 3㎛ 입자 필터(110), 1차 샘플링 포트(120), 2차 샘플링 포트(130), 제2 압력계(P.G-2), 제3 압력계(P.G-3), 및 제1 압력 스위치(P.S-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라서, 1차 3㎛ 입자 필터(110)는 터빈유의 입자 오염물을 1차로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1차 샘플링 포트(120)는 1차 3㎛ 입자 필터(110)로 여과되기 전의 터빈유 샘플을 채취하여 터빈유의 입자, 수분, 점도, 컬러의 상태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2차 샘플링 포트(130)는 1차 3㎛ 입자 필터(110)를 통해 여과된 후의 터빈유 샘플을 채취하여 터빈유의 입자, 수분, 점도, 컬러의 상태를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압력계(P.G-2)는 1차 3㎛ 입자 필터(110)로 여과되기 전의 터빈유 압력을 표시해주는 역할을 하고, 제3 압력계(P.G-3)는 1차 3㎛ 입자 필터(110)로 여과된 후의 터빈유 압력을 표시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압력 스위치(P.S-1)는 1차 입자 필터부(100)를 통과하는 터빈유의 압력이 설정 값 이하로 감소되면 터빈유 압력 경고등을 점등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터빈유 전용 여과기(10)는, 1차 입자 필터부(10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가 수분 제거부(200)를 통해 여과되기 전의 터빈유 양을 제어해주는 제3 유량제어 밸브(VAL 3), 제4 유량제어 밸브(VAL 4), 및 1차 입자 필터부(10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양을 측정하여 표시해주는 유량계(FLOWMETE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3 유량제어 밸브(VAL 3)와 제4 유량제어 밸브(VAL 4)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수분 제거부(200)는 1차 입자 필터부(10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10)에서, 수분 제거부(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제거부(200)는, 멤브레인 필터(210) 및 3차 샘플링 포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라서, 멤브레인 필터(210)는 1차 입자 필터부(10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3차 샘플링 포트(220)는 멤브레인 필터(21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샘플을 채취하여 터빈유의 입자, 수분, 점도, 컬러의 상태를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분 제거부(200)에 사용되는 필터는 멤브레인 필터(210)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온수지 필터부(300)는 수분 제거부(20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에 포함되어 있는 산과 슬러지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에서, 이온수지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수지 필터부(300)는, 이온수지 필터(310), 4차 샘플링 포트(320), 및 제4 압력계(P.G-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에 따라서, 이온수지 필터(310)는 수분 제거부(20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에 포함되어 있는 산과 슬러지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4차 샘플링 포트(320)는 이온수지 필터(31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 샘플을 채취하여 터빈유의 입자, 수분, 점도, 컬러의 상태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제4 압력계(P.G-4)는 이온수지 필터부(300)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라, 이온수지 필터(310)는 산제거 및 슬러지흡착을 위한 약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로 구성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색흡착을 위한 색흡착 레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약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 비율이 전체 중량 대비 60% 이상 70% 이하,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 비율이 전체 중량 대비 20% 이상 30% 이하, 그리고 잔량이 색흡착 레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혼합 비율은 유종 및 해당 설비에 운용 중인 산업유의 오염 상태가 주어진 환경에 따라 다양하므로 그 배합은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온수지 필터부(300)와 2차 입자 필터부(400) 사이에, 이온수지 필터부(30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를 순방향으로 흐르게 하고, 역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자동적으로 막아주는 체크 밸브(CHECK VAL)가 연결될 수 있다.
2차 입자 필터부(400)는 이온수지 필터부(30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입자 오염물을 2차로 제거하고 레진 등의 유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에서, 2차 입자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입자 필터부(400)는, 2차 3㎛ 입자 필터(410), 5차 샘플링 포트(420), 제5 압력계(P.G-5), 제6 압력계(P.G-6), 및 제2 압력 스위치(P.S-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라서, 2차 3㎛ 입자 필터(410)는, 이온수지 필터부(30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입자 오염물을 2차로 제거하고 레진 등의 유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5차 샘플링 포트(420)는 2차 3㎛ 입자 필터(41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 샘플을 채취하여 터빈유의 입자, 수분, 점도, 컬러의 상태를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5 압력계(P.G-5)는 2차 3㎛ 입자 필터(410)로 여과되기 전의 터빈유 압력을 표시해주는 역할을 하고, 제6 압력계(P.G-6)는 2차 3㎛ 입자 필터(410)로 여과된 후의 터빈유 압력을 표시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압력 스위치(P.S-2)는 2차 입자 필터부(400)를 통과하는 터빈유의 압력이 설정 값 이하로 감소되면 터빈유 압력 경고등을 점등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2차 입자 필터부(40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는 제5 유량제어 밸브(VAL 5)를 통해 배출구로 나오게 되고 다시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어 제1 유량제어 밸브(VAL 1)를 통해 1차 입자 필터부(100)로 순환할 수 있다.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500)는, 터빈유의 상태를 진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에서,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500)는, 모터 펌프(510), 사이클론(520), 센서부(530), PC 패널(540), 제1 압력계(P.G-1), 제2 유량제어 밸브(VAL 2), 및 릴리프 밸브(RELIEF VAL)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라서, 모터 펌프(510)는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터빈유가 1차 입자 필터부(100)로 이동하기 전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500)로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사이클론(520)은 모터 펌프(510)를 통해 이동된 터빈유 중 큰 사이즈의 기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530)는 사이클론(520)을 통해 큰 사이즈의 기포가 제거된 터빈유의 입자, 수분, 점도 및 컬러의 상태를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부(530)는, 터빈유 입자의 오염을 센싱하는 역할을 하는 입자오염도 센서, 터빈유의 수분을 센싱하는 역할을 하는 수분센서, 터빈유의 점도를 센싱하는 역할을 하는 점도센서, 컬러센서 및 터빈유의 철분농도를 센싱하는 역할을 하는 철분농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컬러센서는, 터빈유의 색상을 센싱하고 관찰하여 마모에 의한 오염 또는 그 밖의 오염 등에 의해 오일의 색상이 변하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이온수지 필터부(300)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PC 패널(540)은 센서부(530)에서 진단한 터빈유 상태의 데이터를 가시화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압력계(P.G-1)는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500)에서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해주는 역할을 하고, 제2 유량제어밸브(VAL 2)는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500)를 통하는 터빈유의 양을 제어해주는 역할을 하며, 릴리프 밸브(RELIEF VAL)는 유압회로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회로 유량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탱크로 보내어 회로 내의 최고압력을 규제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유 전용 여과기
100: 1차 입자 필터부 110: 1차 3㎛ 입자 필터
120: 1차 샘플링 포트 130: 2차 샘플링 포트
200: 수분 제거부 210: 멤브레인 필터
220: 3차 샘플링 포트 300: 이온수지 필터부
310: 이온수지 필터 320: 4차 샘플링 포트
400: 2차 입자 필터부 410: 2차 3㎛ 입자 필터
420: 5차 샘플링 포트 500: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
510: 모터 펌프 520: 사이클론
530: 센서부 540: PC 패널
IN: 주입구 OUT: 배출구
VAL 1: 제1 유량제어 밸브 VAL 2: 제2 유량제어 밸브
VAL 3: 제3 유량제어 밸브 VAL 4: 제4 유량제어 밸브
VAL 5: 제5 유량제어 밸브 P.G-1: 제1 압력계
P.G-2: 제2 압력계 P.G-3: 제3 압력계
P.G-4: 제4 압력계 P.G-5: 제5 압력계
P.G-6: 제6 압력계 P.S-1: 제1 압력 스위치
P.S-2: 제2 압력 스위치 RELIEF VAL: 릴리프 밸브
CHECK VAL: 체크 밸브 FLOWMETER: 유량계
M.P㎛P: 모터 펌프

Claims (10)

  1. 터빈유 전용 여과기(10)로서,
    터빈유의 입자 오염물을 1차로 제거하는 1차 입자 필터부(100);
    터빈유의 산과 슬러지를 제거하는 이온수지 필터부(300); 및
    상기 이온수지 필터부(30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입자 오염물을 2차로 제거하고 레진의 유출을 막아주는 2차 입자 필터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입자 필터부(10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부(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분 제거부(200)는 상기 1차 입자 필터부(10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수분을 제거하는 멤브레인 필터(210)와, 상기 멤브레인 필터(21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 샘플을 채취하는 3차 샘플링 포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이온수지 필터부(300)는,
    상기 멤브레인 필터(21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의 산과 슬러지를 제거하는 이온수지 필터(310)와, 상기 이온수지 필터(31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 샘플을 채취하는 4차 샘플링 포트(320)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수지 필터(310)는,
    산 제거 및 슬러지 흡착을 위한 약염기성 음이온교환 수지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로 구성되고, 색흡착을 위한 색흡착 레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유 전용 여과기(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입자 필터부(100)는,
    터빈유의 입자 오염물을 1차로 제거하는 1차 3㎛ 입자 필터(110);
    상기 1차 3㎛ 입자 필터(110)로 여과되기 전의 터빈유 샘플을 채취하는 1차샘플링 포트(120); 및
    상기 1차 3㎛ 입자 필터(110)를 통해 여과된 후의 터빈유 샘플을 채취하는 2차 샘플링 포트(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유 전용 여과기(10).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수지 필터(310)는,
    약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 비율이 전체 중량 대비 60% 이상 70% 이하,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 비율이 전체 중량 대비 20% 이상 30% 이하, 그리고 잔량이 색흡착 레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유 전용 여과기(1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입자 필터부(400)는,
    터빈유의 입자 오염물을 2차로 제거하고 레진의 유출을 막아주는 2차 3㎛ 입자 필터(410); 및
    상기 2차 3㎛ 입자 필터(410)를 통해 여과된 터빈유 샘플을 채취하는 5차 샘플링 포트(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유 전용 여과기(10).
  9. 제1항에 있어서,
    터빈유의 상태를 진단하는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500)는,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터빈유가 상기 1차 입자 필터부(100)로 이동하기 전 상기 터빈유 상태 모니터링부(500)로 이동시켜 주는 모터 펌프(510);
    상기 모터 펌프(510)를 통해 이동된 터빈유 중 큰 사이즈의 기포를 제거시켜 주는 사이클론(520);
    상기 사이클론(520)을 통해 큰 사이즈의 기포가 제거된 터빈유의 상태를 진단해주는 센서부(530); 및
    상기 센서부(530)에서 진단한 터빈유 상태의 데이터를 가시화해 줄 PC 패널(540)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530)는,
    입자오염도 센서, 수분센서, 점도센서, 컬러센서 및 철분농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유 전용 여과기(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센서는,
    터빈유의 색상을 센싱하고 관찰하여 오일의 색상이 변하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이온수지 필터부(300)의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유 전용 여과기(10).
KR1020150184376A 2015-12-22 2015-12-22 터빈유 전용 여과기 KR101706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376A KR101706072B1 (ko) 2015-12-22 2015-12-22 터빈유 전용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376A KR101706072B1 (ko) 2015-12-22 2015-12-22 터빈유 전용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072B1 true KR101706072B1 (ko) 2017-02-13

Family

ID=5815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376A KR101706072B1 (ko) 2015-12-22 2015-12-22 터빈유 전용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0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7511A (ja) * 2000-02-16 2001-08-24 Toshiba Corp 油圧発生装置
KR20110135312A (ko) * 2010-06-10 2011-12-16 주식회사 솔지 산업유의 온라인 모니터링 및 자동 정제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40113088A (ko) * 2013-03-15 2014-09-24 주식회사 제달씨케이 오일 정유기
KR101545538B1 (ko) * 2014-11-25 2015-08-20 (주)대일이앤지 하이브리드형 상향류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강우 유출수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7511A (ja) * 2000-02-16 2001-08-24 Toshiba Corp 油圧発生装置
KR20110135312A (ko) * 2010-06-10 2011-12-16 주식회사 솔지 산업유의 온라인 모니터링 및 자동 정제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40113088A (ko) * 2013-03-15 2014-09-24 주식회사 제달씨케이 오일 정유기
KR101545538B1 (ko) * 2014-11-25 2015-08-20 (주)대일이앤지 하이브리드형 상향류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강우 유출수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4976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潤滑システムの連続車内分析
DE19504327A1 (de) Kostenorientierte Steuerung für eine austauschbare oder regenerierbare Konditioniervorrichtung
EP1775571A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r Partikelfracht eines Fluids
JP4908417B2 (ja) 濾過エレメントの汚染度合を監視する方法
KR101706072B1 (ko) 터빈유 전용 여과기
Majdan et al. Filtration systems design for universal oils in agricultural tractors
CN205127535U (zh) 平衡电荷式抗燃油滤油机
CN106442245B (zh) 一种油液污染度的主动检测装置
DE102015200203A1 (de) Messanordnung zur Erkennung von Fremdpartikeln in einem Medium
KR101714415B1 (ko) 터빈 제어유 전용 여과기
Gorle et al. Effect of temperature, flow rate and contamination on hydraulic filtration
US6474144B1 (en) Determining the level of particulate contamination in a fluid power system
DE10343457C5 (de) Vorrichtung zur Partikelmessung
JP3168161U (ja) 流体の汚染度検査装置
RU2341791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загрязненности масляного фильтра
WO2014026733A1 (de) Vorrichtung zum feststellen von partikelverschmutzungen in fluiden
Raadnui Motor Current Signature Analysis (MCSA) from membrane patch maker: assessment for the solid contamination level from used oil samples
DE102016212887B4 (de) Messanordnung für Schmieröl und Messverfahren
EP0788598A1 (de) Anlage zur überprüfung einer suspension fluoreszenzfähigen materials
Muthukumar et al. Secondary Filtration of Closed Loop in DC Locomotive
CN111365325B (zh) 一种飞机集成刹车模块耐污染试验方法及试验系统
London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SOMS green hybrid spin-on micro-filter system
CN116858518A (zh) 一种润滑油精滤芯剩余寿命评估方法和系统
Blaylock Hydraulic System Filters: How They Perform in the Field
Wells Paper 27: Protection against Dirty Environments: Filt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