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024B1 - Method for manufacturing meat broth using graviola, and meat broth using graviola for bossam, galbitang, soondae soup or jokbal manufacture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meat broth using graviola, and meat broth using graviola for bossam, galbitang, soondae soup or jokbal manufactured by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6024B1 KR101706024B1 KR1020160154663A KR20160154663A KR101706024B1 KR 101706024 B1 KR101706024 B1 KR 101706024B1 KR 1020160154663 A KR1020160154663 A KR 1020160154663A KR 20160154663 A KR20160154663 A KR 20160154663A KR 101706024 B1 KR101706024 B1 KR 1017060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viola
- extract
- stem
- weight
- fru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30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7
- UIIMBOGNXHQVGW-UHFFFAOYSA-M Sod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5000013580 sausage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41000405217 Viola <butterfly>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882 gra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31 harmfu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89799 Asimina trilo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264 Asimina trilo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67 Carica papay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39 Lemna min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42291 Lemna paucicost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720 Malnutri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20272 Panto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14450 Podocarpus latifol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UIIMBOGNXHQVGW-DEQYMQKBSA-M Sodium bicarbonate-14C Chemical compound [Na+].O[14C]([O-])=O UIIMBOGNXHQVGW-DEQYMQKB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1 cel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5 chlorophyl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4 chlorophy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TNHDLDRLWWWCB-AENOIHSZSA-M chlorophyll a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ATNHDLDRLWWWCB-AENOIHSZ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9 condim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33 cyto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72 cyto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16 dilat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4 duck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31 for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galbi-ta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217 heart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6 non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343 nutrient deficienc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77 scor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용 그라비올라 육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라비올라를 이용하여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용 육수를 제조함으로써, 육류의 누린내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라비올라 고유의 향과 맛이 가미되어 깔끔하고 개운한 맛의 육수를 제조할 수 있고, 그라비올라의 유효성분을 섭취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용 그라비올라 육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graviola broth and a graviola broth for bosom, galbtang, pungkuk or fo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ducing graviola broth using bovine, ,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nutrients in the meat and to add graviola's original flavor and taste to produce broth of a clean and refreshing taste and to use the effective ingredient of graviola to enhance the health of the consumer,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graviola broth manufactured by Bossam, Galbiot, the so-called pantoea or foot.
밥을 말아먹을 수 있는 국 종류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음식 중의 하나로, 순대국, 갈비탕, 소머리국밥, 돼지국밥 등 그 종류도 다양한데, 이러한 국 종류는 고기나 뼈를 우린 육수를 이용하며, 육수에 순대나 고기, 내장 등을 넣고 다양한 양념과 고명 등을 넣어 만든다. 이와 같은 국밥 이외에도 돼지고기나 소고기를 이용한 음식들은 각종 재료들이 함유된 육수로 삶아 제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음식들 중 보쌈, 순대국, 족발, 갈비탕 등은 오래전부터 서민들이 선호하는 음식들 중의 하나이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rice which can be eaten with rice, such as seonjangguk, galbi-tang, rice soup, and rice pork. These kinds of rice are meat and bone, I put meat, interior decoration, etc., and put various spices and famous name. In addition to Korean traditional rice, pork and beef can be prepared by boiling it with broth containing various ingredients. Among these foods, Bossam, Daejukguk, Podbal, and GalbiTang are among the foods that have been popular for a long time.
일반적으로 육수는 보통 돼지고기나 돼지사골, 우사골이나 우양지, 사태 등을 많이 이용하고, 돼지 사골과 우사골을 섞어서 육수를 우려내기도 하는데, 이러한 돼지나 소 이외에 멸치나 황태 등의 말린 생선이나 야채를 삶아내어 사용하는 등 요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되었다. In general, broth usually uses pork, pork ribs, rice bran or rice paddy fields, etc., and mixes pork bran and rice bran to stir up broth. In addition to these pigs and cows, dried fish such as anchovy It is us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kinds of dishes such as using vegetables for life and wives.
근래에 들어 소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식생활의 향상과 건강에 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과제를 양산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식생활의 관점에서 자연친화적인 연구가 다방면에서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improvement of the income level, the interest in the improvement of the eating habits and the health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concern about health is producing various research tasks for treating the diseases. Among them, natural-friendly researches from the viewpoint of dietary habits are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한편, 일반적으로 흔히 먹는 육류(肉類)로는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등이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육류에는 지방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육질이 질기며 또한 특유의 누린내를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어서, 일반 수요자들(특히, 어린이나 노인)이 육류의 섭취를 기피하거나 육류를 섭취하더라도 쉽게 질리는 문제가 흔히 있었다.On the other hand, meat (meat) commonly used is pork, beef, chicken, and duck meat. However, meat usually contains a large amount of fat, meat quality and specific nutritional deficiencies, so that general consumers (especially children and the elderly) can not easily eat meat or eat meat .
또한, 육류에는 콜레스테롤 성분 등 인체에 해로운 요소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들이 중화되지 않고 그대로 인체에 흡수됨으로써 많은 양의 육류의 섭취는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원인이 되었다.In addition, meat contains harmful elements such as cholesterol, which are not neutralized and absorbed by the human body as a whole, resulting in the harmful effects of eating a large amount of meat.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종래에는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육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육류를 요리하기 전에 육류에 처리하는 육류용 소스가 제시되거나, 각종 한약재 및 다양한 재료들을 첨가하는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soften the meat and remove the odor peculiar to the meat, a meat sauce to be processed in the meat is presented before the meat is cooked, or various kinds of herbal medicines and various materials are added Methods are disclosed.
그러나 종래에 육류를 요리하기 전에 육류용 소스를 사용하는 방법은 육류용 소스에 육류를 일정시간 숙성시키고 숙성시킨 육류를 조리하는데 한정되어 있었고, 종래의 육류용 소스는 마늘, 고춧가루 등 양념류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것으로 양념에 의한 맛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 육류의 육질을 부드럽게 하거나 육류의 누린내 등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the method of using the meat sauce before cooking the meat has been limited to the meat sauce for aging the mea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cooking the aged meat. The conventional meat sauce is mainly composed of condiments such as garlic and red pepper And it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taste by the seasoning only to soften the meat quality of the meat or to remove the nutrients etc. of the meat.
이에 본 발명자는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의 향과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육수의 제조방법을 연구하던 중, 그라비올라를 이용하여 육수를 제조함으로써, 그라비올라 고유의 향과 맛이 가미되고 그라비올라의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어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the method of producing broth which can improve the fragrance and flavor of bosom, galbi tang, pungkuk, or pawbal, and by using graviola to produce broth, the flavor and taste inherent to graviola are added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the active ingredients of Viola can be consumed and improve the health of consumers.
본 발명은 그라비올라를 이용하여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용 육수를 제조함으로써, 육류의 누린내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라비올라 고유의 향과 맛이 가미되어 깔끔하고 개운한 맛의 육수를 제조할 수 있고, 그라비올라의 유효성분을 섭취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용 그라비올라 육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gravy with a unique flavor and flavor inherent to graviola by removing grains from the meat by preparing graviola to produce bosom, brabitang, soya soup or pork broth.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graviola broth by which an effective ingredient of a viola can be consumed to improve the health of a consumer, and graviola broth for bosom,
또한, 본 발명은 몸에 유익한 재료들을 이용하여 육수를 제조함으로써, 육수로 제조된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을 섭취하는 소비자들에게 재료들의 유익한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용 그라비올라 육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graviola broth, which enables easy consumption of the beneficial ingredients of the ingredients to consumers who consume bosom, galbiot, And a process for producing graviola broth for bosom, galbiotech, soya bean, or foo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은 그라비올라의 생잎, 줄기 및 열매를 채취하고 세척하여 상기 그라비올라의 생잎, 줄기 및 열매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 세척 단계(S100); 상기 세척된 그라비올라 생잎을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그라비올라 생잎 건조 단계(S200); 상기 건조된 그라비올라 생잎을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그라비올라 생잎 추출액 제조 단계(S210); 상기 그라비올라 줄기를 분쇄한 후, 분쇄시 생성된 미분을 세척하여 제거하고, 상기 세척된 그라비올라 줄기를 정제수에 침지시키는 그라비올라 줄기 분쇄, 세척 및 침지 단계(S300); 상기 정제수에 침지된 그라비올라 줄기를 고압으로 가열하여 그라비올라 줄기 추출액을 제조하는 그라비올라 줄기 고압 가열 단계(S310);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그라비올라 열매 건조 단계(S400); 상기 건조된 그라비올라 열매를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액 제조 단계(S410);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 추출액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추출액 혼합 단계(S500); 및 상기 혼합 추출액을 저온 상태를 유지하는 저온 숙성실에 보관하여 숙성시켜 그라비올라 육수를 제조하는 저온 숙성 단계(S600)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eparing graviola br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graviola leaves, stems and fruit are removed and washed to remove foreign materials adhering to the fresh leaves, stem and fruit of the graviola, (S100); Drying the fresh graviola fresh leaves by drying the fresh graviola leaves in a dryer (S200); A step (S210) of preparing a graviola raw leaf extract to prepare an extract of the gravola fresh leaf by mixing the dried graviola fresh leaf with purified water and heating the mixture; Washing and immersion step (S300) of graviola stem pulverizing the graviola stem, washing and removing the fine powder produced during grinding, and immersing the washed graviola stem in purified water; Heating the graviolar stem immersed in the purified water to a high pressure to produce a graviolar stem extract; Drying the graviola fruit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the graviola fruit (S400); A step (S410) of preparing an extract of graviola to prepare an extract of the graviola fruit by mixing the dried graviola fruit with purified water and heating the mixture; (S500) mixing the gravola fresh leaves, stem and fruit extract to prepare a mixed extract; And a low temperature aging step (S600) in which the mixed extract is stored in a low-temperature aging chamber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and aged to produce graviola broth.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 세척 단계(S100)는 채취된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를 탄산수소나트륨이 정제수에 용해되어 형성된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세척하되, 상기 혼합용액은 3 내지 5(w/w)% 농도 범위를 가지고,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세척할 수 있다.The graviola leaves, stems, and fruit washing step (S100) are performed by washing the collected graviola leaves, stem and fruit using a mixed solution formed by dissolving sodium hydrogen carbonate in purified water, wherein the mixed solution contains 3 to 5 w / w)% concentration, and can be washed for 5 to 1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35 to 45 캜.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건조 단계(S200)는 온도 20 내지 30℃ 및 습도 35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5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의 수분 함량은 처음의 그라비올라 생잎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40 중량%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추출액 제조 단계(S210)는 상기 건조된 그라비올라 생잎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0 내지 30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의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The drying step (S200) of the gravola fresh leaves is performed in a drier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20 to 30 DEG C and a humidity of 35 to 40% for 5 to 15 hours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viora fresh leaves is reduced to the total weight of the fresh graviolar leaves The gravola fresh leaf extract preparation step (S210) is performed by mixing 2,000 to 3,0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dried gravola fresh leaves, For 4 hours to prepare an extract of the graviolar leaves.
상기 그라비올라 줄기 분쇄, 세척 및 침지 단계(S300)에서는 상기 그라비올라 줄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5 내지 10 시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그라비올라 줄기 고압 가열 단계(S310)는 135 내지 145℃의 열수추출 조건에서 압력용기 내부의 압력은 3.0 내지 4.0kgf/cm2 범위로 하고,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graviola stem pulverization, washing and immersion step (S300), 1000 to 20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i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graviola stem, followed by immersion for 5 to 10 hours. In the graviola stem high pressure heating step ( S310) can be performed by heating the pressure vessel inside the pressure vessel at a pressure in the range of 3.0 to 4.0 kgf / cm < 2 > under the hot water extraction condition of 135 to 145 DEG C for 5 to 10 hours.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건조 단계(S400)는 55 내지 65℃ 및 습도 35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건조하고,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액 제조 단계(S410)는 상기 건조된 그라비올라 열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0 내지 30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의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The drying step (S400) of the graviola fruit is performed for 20 to 40 hours in a drier maintained at 55 to 65 ° C and a humidity of 35 to 40%. In the step (S410) of producing the gravola fruit extract, the dried graviola fruit 2000 to 30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i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the mixture is heated at a temperature of 80 to 90 DEG C for 3 to 5 hours to prepare an extract of graviola fruit.
상기 추출액 혼합 단계(S500)에서 상기 혼합 추출액은 그라비올라 생잎 추출액 50 내지 100 중량부, 그라비올라 줄기 추출액 25 내지 50 중량부 및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액 25 내지 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혼합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0 내지 800 중량부의 정제수와 혼합될 수 있다.In the extractive liquid mixing step (S500), the mixed extract is mixed in a weight ratio of 50-100 parts by weight of graviola raw leaf extract, 25-50 parts by weight of graviola stem extract, and 25-50 parts by weight of graviola fruit extract, May be mixed with 500 to 8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per 100 parts by weight.
상기 저온 숙성 단계(S600)는 3 내지 7℃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보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The low-temperature aging step (S600) may be carried out by keeping at a temperature of 3 to 7 DEG C for 5 to 10 hours.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용 그라비올라 육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raviola broth for bosom, galbiot, top-of-the-line or paw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그라비올라를 이용하여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용 육수를 제조함으로써, 육류의 누린내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라비올라 고유의 향과 맛이 가미되어 깔끔하고 개운한 맛의 육수를 제조할 수 있고, 그라비올라의 유효성분을 섭취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gravy with a unique flavor and flavor inherent to graviola by removing grains from the meat by preparing graviola to produce bosom, brabitang, soya soup or pork broth. The active ingredient of Viola can be taken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consumer.
또한, 본 발명은 몸에 유익한 재료들을 이용하여 육수를 제조함으로써, 육수로 제조된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을 섭취하는 소비자들에게 재료들의 유익한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ingest the beneficial ingredients of the ingredients to consumers who consume bosom, galbiotang, pork soup, or foot pork produced in broth, by producing broth using the beneficial ingredient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effects not specifically mentio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에서 그라비올라 잎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에서 그라비올라 줄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에서 그라비올라 열매를 보여주는 사진이다.1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ducing graviora br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showing graviola leaves in a method of producing graviola br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graviola stem in the method for producing graviola br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showing graviola fruit in a method of producing graviola br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complishing the same,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ducing graviora br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이하에서 본 발명은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용 그라비올라 육수를 일 예로 개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그라비올라 육수는 상기한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 이외에,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그라비올라 육수를 이용하여 삼계탕, 돼지국밥, 해물탕 등 다양한 육수에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method for producing graviola broth, and graviola broth for bosom, ribtang,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graviola broth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kinds of broth such as samgyetang, pig soup, seafood, etc. Able to know.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그라비올라(Graviola)를 이용하여 육수를 제조하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그라비올라는 항암식물로 알려지고 있으며, 잎, 열매, 줄기, 뿌리, 씨앗에 활성이 높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그라비올라는 브라질을 포함한 아마존 일대와 남미, 북미의 열대에 자생하고 있는 6~7m 정도의 상록수로 단맛이 있는 타원형의 열매는 가시가 있으며, 짙은 녹색 또는 황록색의 껍질에는 흰 과육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graviola is used to produce broth. Graviol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known as an anticancer plant. It contains components having high activity in leaves, fruits, stems, roots and seeds have. The graviola is an evergreen tree of about 6 to 7 meters native to the tropics of the Amazon, including Brazil, and in South America and North America. The elliptical fruit of sweetness is prickly, and the skin of dark green or yellowish green has white flesh.
상기 그라비올라는 혈압저하, 혈관확장, 심장작용억제의 효과가 있고, 특히, 그라비올라의 잎, 열매, 씨, 줄기에 함유된 유효 성분들이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항암치료에의 이용이 기대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그라비올라를 주재료로 하여 육수를 제조할 수 있다.The graviola has the effect of lowering blood pressure, dilating blood vessels and inhibiting cardiac function. In particular, it has been known that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in leaves, fruits, seeds and stems of graviola are cytotoxic to cancer cell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gravy with graviola as a main ingredi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에서 그라비올라 잎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에서 그라비올라 줄기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에서 그라비올라 열매를 보여주는 사진이다.2 is a photograph showing graviola leaves in a method of producing graviola br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hotograph showing graviola le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ducing graviola br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graviola fruit in the method for producing graviola br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은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 세척 단계(S100), 그라비올라 생잎 건조 단계(S200), 그라비올라 생잎 추출액 제조 단계(S210), 그라비올라 줄기 분쇄, 세척 및 침지 단계(S300), 그라비올라 줄기 고압 가열 단계(S310), 그라비올라 열매 건조 단계(S400),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액 제조 단계(S410), 추출액 혼합 단계(S500) 및 저온 숙성 단계(S600)를 포함한다.1 to 4, the method for preparing graviola br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of washing graviola leaves, stem and fruit (S100), drying graviola leaves (S200), producing graviola leaves (S210 (Step S300), a graviola stem high pressure heating step S310, a graviola fruit drying step S400, a gravola fruit extract preparation step S410, an extractive mixing step S500, And a low temperature aging step (S600).
1.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 세척 단계(S100)1. Graviola leaves, stem and fruit washing step (S100)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 세척 단계(S100)는 그라비올라의 생잎, 줄기 및 열매를 채취하고 세척하여 상기 그라비올라의 생잎, 줄기 및 열매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In the graviola leaves, stem and fruit washing step (S100), fresh leaves, stem and fruit of graviola are collected and washed to remove foreign materials attached to the graviola leaves, stalks and fruits.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 세척 단계(S100)는 채취된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를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vola fresh leaves, stem and fruit washing step (S100) can be performed by washing the collected graviola leaves, stem and fruit using a mixed solution of sodium bicarbonate dissolved therein have.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 세척 단계(S100)에서 상기 혼합용액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용액은 3 내지 5(w/w)% 농도 범위를 가지고,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xed solution may be purified water in which sodium bicarbonate (NaHCO 3 ) is dissolved in the gravola fresh leaves, stem and fruit washing step (S100), and the mixed solution has a concentration range of 3 to 5 (w / Deg.] C, for 5 to 1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35 to 45 [deg.] C.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식품첨가물로도 이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를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여 세척함으로써,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곰팡이 등의 세포벽을 팽창시켜 살균시킬 수 있다.The sodium bicarbonate is also used as a food additive and has no toxicity and may have functions such as penetration, diffusion and swell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vola raw leaves, stem and fruit are washed with sodium bicarbonat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graviola leaves, stalks and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fruits, and expand the cell walls such as fungi and sterilize them.
2. 그라비올라 생잎 건조 단계(S200)2. Drying of graviola leaves (S200)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건조 단계(S200)는 상기 세척된 그라비올라 생잎을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단계이다.In the drying step (S200), the dried graviolar leaves are dried in a dryer.
본 발명에서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건조 단계(S200)는 햇빛 건조시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의 엽록소가 파괴되고 그라비올라 고유의 향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건조 단계(S200)는 온도 20 내지 30℃ 및 습도 35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5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의 수분 함량은 처음의 그라비올라 생잎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40 중량%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step (S200) of the graviola leaves can be performed in a dryer in which the chlorophyll of the graviola leaves is destroyed and the fragrance inherent in graviola is prevented from disappearing at the time of drying the sunligh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viora fresh-leaf leaves the first graviola fresh-leaf stage (S200) by drying in a drier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20 to 30 ° C and a humidity of 35 to 40% for 5 to 15 hours, And 30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can be maintained.
즉,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건조 단계(S200)에서는 상기와 같은 공정 조건의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점진적으로 고르게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그라비올라 생잎의 고유의 향과 유용성분을 보다 용이하게 발휘시킬 수 있고, 그라비올라 생잎의 세포조직의 파괴로 공기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발효작용을 촉진함으로써 그라비올라 생잎의 향과 유용성분이 진하게 우러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n the drying step (S200) of the graviola leave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graviola leaves is gradually evaporated by drying in the drier under the above-described process conditions, whereby the inherent fragrance and useful components of the graviola leaves And the cell tissue of the graviola leaves can be easily destroyed to facilitate permeation of air to promote the fermentation action, so that the fragrance of the graviola leaves and the usable components can be concentrated.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건조 단계(S200)에서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의 수분 함량은 처음의 그라비올라 생잎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40 중량%가 유지되도록 건조할 수 있는데, 그라비올라 생잎의 수분 함량이 30 중량%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그라비올라 생잎의 수분이 과도하게 증발되어 육수 제조시 그라비올라의 향과 유용성분이 충분히 침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라비올라 생잎의 떫은맛이 충분히 감소하지 않고 그라비올라 생잎의 조직이 충분히 연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vola fresh leaves in the drying step of the gravola fresh leaves (S200) may be dried to maintain 30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resh graviola fresh leaves, wherei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viola leaves is 30 wt% %, The moisture of the graviola leaves is excessively evaporated, so that the fragrance of graviola and the oil components can not be sufficiently leached when the gravy is prepared. When the graviola is contained in an amount exceeding 40% by weight, May not be sufficiently reduced and the texture of the graviolar leaves may not be sufficiently softened.
3. 그라비올라 생잎 추출액 제조 단계(S210)3. Preparation step of graviola raw-leaf extract (S210)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추출액 제조 단계(S210)는 상기 건조된 그라비올라 생잎을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In step (S210), the dried graviolar leaves are mixed with purified water and heated to prepare an extract of the graviolar leaves.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추출액 제조 단계(S210)는 상기 건조된 그라비올라 생잎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0 내지 30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의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The preparation step (S210) of the gravola fresh-leaf extract may be performed by mixing 2000 to 30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dried graviolar leaves, and heating the mixture at 75 to 85 ° C for 2 to 4 hours, An extract can be prepared.
본 발명에서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이 혼합된 정제수를 75℃ 미만의 온도에서 2시간 미만으로 가열하는 경우에는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침출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85℃를 초과한 온도에서 4시간을 초과하여 가열하는 경우에는 그라비올라 생잎이 과도하게 추출되어 전체적으로 기호성이 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urified water mixed with gravola fresh leaves is heated to less than 2 hours at a temperature lower than 75 캜,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ive ingredient of the gravola fresh leaves is difficult to leach sufficiently. , The graviola leaves may be excessively extracted and the overall taste may be deteriorated.
4. 그라비올라 줄기 분쇄, 세척 및 침지 단계(S300)4. Graviola stem pulverization, washing and immersion step (S300)
상기 그라비올라 줄기 분쇄, 세척 및 침지 단계(S300)는 상기 그라비올라 줄기를 분쇄한 후, 분쇄시 생성된 미분을 세척하여 제거하고, 상기 세척된 그라비올라 줄기를 정제수에 침지시키는 단계이다.In the graviola stem pulverization, washing and immersion step (S300), the graviola stem is pulverized, the fine powder produced in the pulverization is washed and removed, and the washed graviola stem is immersed in purified water.
상기 그라비올라 줄기 분쇄, 세척 및 침지 단계(S300)에서는 상기 그라비올라 줄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5 내지 10 시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graviola stem pulverization, washing and immersion step (S300), 1000 to 20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may be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graviola stem, followed by immersion for 5 to 10 hours.
5. 그라비올라 줄기 고압 가열 단계(S310)5. Graviola stem high pressure heating step (S310)
상기 그라비올라 줄기 고압 가열 단계(S310)는 상기 정제수에 침지된 그라비올라 줄기를 고압으로 가열하여 그라비올라 줄기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The graviolar stem high pressure heating step (S310) is a step of heating the graviola stem immersed in the purified water to a high pressure to prepare a graviola stem extract.
상기 그라비올라 줄기 고압 가열 단계(S310)는 135 내지 145℃의 열수추출 조건에서 압력용기 내부의 압력은 3.0 내지 4.0kgf/cm2 범위로 하고,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고압 조건으로 상기 정제수에 침지된 그라비올라 줄기를 가열함으로써, 그라비올라 줄기의 식물벽을 약화시켜 추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graviolator stem high-pressure heating step (S310) may be performed by heating the pressure vessel at a pressure ranging from 3.0 to 4.0 kgf / cm 2 under a hot water extraction condition of 135 to 145 ° C for 5 to 10 hours, , The graviola stem immersed in the purified water under high pressure conditions can be heated to weaken the plant wall of the graviola stem to increase the extraction efficiency.
6. 그라비올라 열매 건조 단계(S400)6. Drying process of gravola (S400)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건조 단계(S400)는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The drying step (S400) of remov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gravola is performed.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건조 단계(S400)는 55 내지 65℃ 및 습도 35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는데, 상기 건조기는 일반 열풍 건조기를 사용하거나 원적외선 방사 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The graviola fruit drying step (S400) may be performed in a dryer maintained at 55 to 65 ° C and a humidity of 35 to 40% for 20 to 40 hours. The dryer may be a general hot air dryer or a far-infrared radiation dryer have.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건조 단계(S400)에서는 상기와 같은 공정 조건의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점진적으로 고르게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그라비올라 열매의 고유의 향과 유용성분을 보다 용이하게 발휘시킬 수 있고, 그라비올라 열매의 세포조직의 파괴로 공기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발효작용을 촉진함으로써 그라비올라 열매의 향과 유용성분이 진하게 우러나도록 할 수 있다.In step (S400) of drying the graviola, the water contained in the graviola is gradually evaporated by drying in the dryer of the process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intrinsic fragrance of the graviola and the useful ingredient are more easily And breakage of the cell tissue of the graviola fruit facilitates penetration of air to facilitate fermentation, thereby enabling the fragrance of the graviola and the oil component to be concentrated.
7.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액 제조 단계(S410)7. Preparation of Graviola Extract (S410)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액 제조 단계(S410)는 상기 건조된 그라비올라 열매를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In step S410, the dried graviola fruit is mixed with purified water and heated to produce an extract of the graviola fruit.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액 제조 단계(S410)는 상기 건조된 그라비올라 열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0 내지 30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의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The step of preparing the gravure extract solution (S410) comprises mixing 2,000 to 3,0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dried graviola fruit, heating the mixture at a temperature of 80 to 90 ° C for 3 to 5 hours, An extract can be prepared.
본 발명에서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가 혼합된 정제수를 80℃ 미만의 온도에서 3시간 미만으로 가열하는 경우에는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침출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90℃를 초과한 온도에서 5시간을 초과하여 가열하는 경우에는 그라비올라 열매가 과도하게 추출되어 전체적으로 기호성이 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urified water mixed with the graviora fruit is heated to less than 3 hours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80 ° C, the effective ingredient of the graviola fruit is difficult to leach sufficiently. , The graviolar fruit may be excessively extracted and the overall taste may be deteriorated.
8. 추출액 혼합 단계(S500)8. Extractive liquid mixing step (S500)
상기 추출액 혼합 단계(S500)는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 추출액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In the extracting step (S500), the mixed extract is prepared by mixing the gravola raw leaves, stem and fruit extract.
상기 추출액 혼합 단계(S500)에서는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추출액, 그라비올라 줄기 추출액 및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액이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는데, 상기 혼합 추출액은 그라비올라 생잎 추출액 50 내지 100 중량부, 그라비올라 줄기 추출액 25 내지 50 중량부 및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액 25 내지 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혼합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0 내지 800 중량부의 정제수와 혼합될 수 있다.In the extractive liquid mixing step (S500), the graviola raw leaf extract, graviola stem extract, and graviola fruit extract may be mixed at a predetermined weight ratio. The mixed extract may include 50-100 parts by weight of graviola raw leaf extract, 25 to 5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 and 25 to 50 parts by weight of the graviora fruit extract, and may be mixed with 500 to 8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extract.
9. 저온 숙성 단계(S600)9. Low temperature aging step (S600)
상기 저온 숙성 단계(S600)는 상기 혼합 추출액을 저온 상태를 유지하는 저온 숙성실에 보관하여 숙성시켜 그라비올라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이다.In the low-temperature aging step (S600), the mixed extract is stored in a low-temperature aging chamber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and aged to prepare graviola broth.
본 발명에서 상기 저온 숙성 단계(S600)는 상기 혼합 추출액을 숙성시킴으로써 그라비올라의 향이나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데, 상기 저온 숙성 단계(S600)는 3 내지 7℃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보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In the low temperature aging step (S6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vor or aroma of graviola can be enhanced by aging the mixed extract solution. The low temperature aging step (S600) is performed by keeping the mixture at a temperature of 3 to 7 DEG C for 5 to 10 hours Can proceed.
이후, 상기 저온 숙성 단계(S600)를 거쳐 제조된 그라비올라 육수를 이용하여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을 제조하기 위한 육수로 사용함으로써, 보쌈, 갈비탕, 순대국, 또는 족발에 사용되는 육류의 누린내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라비올라 고유의 향과 맛이 가미되어 깔끔하고 개운한 맛의 육수를 제조할 수 있다.Thereafter, the graviola broth manufactured through the low-temperature aging step (S600) is used as broth for the production of bosom, galbiet, gyeonggukguk, or paw paw, so that the meat used for bosom, And at the same time, the fragrance and flavor inherent to graviola are added, so that a clean and refreshing broth can be produc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ducing gravure 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실시예 1 >≪ Example 1 >
먼저,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를 세척하였는데, 세척은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정제수(4(w/w)%)로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First, graviola leaves, stem and fruit were washed. Purified water (4 (w / w)%) in which sodium hydrogencarbonate was dissolved was used to remove the graviola leaves, stalks and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fruits.
다음으로, 그라비올라 생잎을 25℃ 및 습도 37%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하였고, 상기 건조된 그라비올라 생잎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5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8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그라비올라 생잎의 추출액을 제조하였다.Next, the gravola fresh leaves were dried for 10 hours in a drier maintained at 25 캜 and a humidity of 37%, and 25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dried gravola fresh leaves, followed by drying at 80 캜 for 3 hours And heated to prepare an extract of graviola leaves.
그 다음으로, 그라비올라 줄기를 분쇄, 세척한 후, 상기 그라비올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5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7시간 동안 침지하였고, 이후 140℃의 온도 및 3.5kgf/cm2의 압력에서 7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그라비올라 줄기 추출액을 제조하였다.To the next, whilst the stem Gras grinding, After the cleaning was completed, the graphene was immersed for viola then a solution of 1500 parts of purified water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7 hours, after the temperature and at a pressure of 3.5kgf / cm 2 of 140 ℃ 7 For a period of time to prepare a graviolar stem extract.
이어서, 그라비올라 열매를 60℃ 및 습도 37%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30시간 동안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그라비올라 열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500 중량부를 혼합하였고, 85℃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액을 제조하였다.Then, the graviola fruit was dried in a dryer maintained at 60 ° C and a humidity of 37% for 30 hours, then 25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dried graviola fruit and heated at 85 ° C for 4 hours Thereby preparing an extract of gravola.
다음으로,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추출액 75 중량부, 그라비올라 줄기 추출액 30 중량부 및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액 3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였고, 상기 혼합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700 중량부를 혼합하였다.Next, 75 parts by weight of the above-mentioned graviola raw leaf extract, 30 parts by weight of graviola stem extract and 30 parts by weight of graviola fruit extract were mixed to prepare a mixed extract. 7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extract .
그 다음으로, 상기 혼합 추출액을 5℃의 온도에서 7시간 보관하여 저온 숙성시킴으로써, 그라비올라 육수를 제조하였다.Next, the mixed extract was stored at a temperature of 5 캜 for 7 hours and aged at a low temperature to prepare graviola broth.
이어서, 상기 그라비올라 육수를 이용하여 보쌈을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1에서는 보쌈 제조시 그라비올라 육수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공지된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게 보쌈을 제조하였다.Then, bosom was prepared by using the graviola broth. In Example 1, boso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known conventional method except that graviola broth was used in the production of bosom.
< 실시예 2 >≪ Example 2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그라비올라 육수를 이용하여 갈비탕을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2에서는 갈비탕 제조시 그라비올라 육수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공지된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게 갈비탕을 제조하였다.Galbiotan was prepared from the graviola broth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graviola broth was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Galvitan in Example 2,
< 실시예 3 >≪ Example 3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그라비올라 육수를 이용하여 순대국을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3에서는 순대국 제조시 그라비올라 육수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공지된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게 순대국을 제조하였다.In the case of the graviola broth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graviola broth was prepared. In Example 3, the graviola brot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method except that graviola broth was used.
< 실시예 4 ><Example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그라비올라 육수를 이용하여 족발을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4에서는 족발 제조시 그라비올라 육수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공지된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게 족발을 제조하였다.The foot paws were prepared using graviola broth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graviola broth was used in the production of foot paws in Example 4, in the same manner as the known conventional methods.
< 비교예 1 >≪ Comparative Example 1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쌈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1에서는 그라비올라 육수를 사용하지 않고 보쌈을 제조하였다.Bossa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graviola broth was not used in Comparative Example 1.
< 비교예 2 >≪ Comparative Example 2 &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갈비탕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2에서는 그라비올라 육수를 사용하지 않고 갈비탕을 제조하였다.A galbiotang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but in Comparative Example 2, a galbiotan was prepared without using graviola broth.
< 비교예 3 >≪ Comparative Example 3 &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순대국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3에서는 그라비올라 육수를 사용하지 않고 순대국을 제조하였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a pantanka wa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3, a pantanka was prepared without using graviola broth.
< 비교예 4 >≪ Comparative Example 4 &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족발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4에서는 그라비올라 육수를 사용하지 않고 족발을 제조하였다.The foot paw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except that graviola broth was not used in Comparative Example 4.
< 관능 평가 ><Sensory Evaluation>
상기와 같이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보쌈, 갈비탕, 순대국, 족발의 맛, 향, 종합적 선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식품관련 전문가 및 일반 소비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tast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of Bossam, Galbtang, Sukkukguk, and Pyeongbang which were prepared through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The sensory test was conducted on 30 food specialists and general consumers. The score and evaluation criteria were 9 point scoring method and shown in [Table 1] below.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보쌈, 갈비탕, 순대국, 족발의 맛, 향, 종합적 선호도가 비교예들에 따라 제조된 보쌈, 갈비탕, 순대국, 족발에 비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the above Table 2, it can be seen that the tast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of Bossam, Galvutang, Sundae and Podoes produced according to the Examples are superior to those of Bossam, there was.
이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보쌈, 갈비탕, 순대국, 족발은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그라비올라 육수를 사용함으로써, 보쌈, 갈비탕, 순대국, 족발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육류의 누린내를 제거하고, 또한, 그라비올라 고유의 향과 맛이 가미되어 깔끔하고 개운한 맛을 부여함으로써,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배가시킨 것으로 판단된다.This is because the graviola broth prepa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uses graviola broth manufactured by using graviola leaves, stem and fruit, which is used in the production of bosom, galbiet, , And the fragrance and flavor inherent in graviola are added to provide a clean and refreshing taste, thus doubling the preference of consumers.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possibl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8)
상기 세척된 그라비올라 생잎을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그라비올라 생잎 건조 단계(S200);
상기 건조된 그라비올라 생잎을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그라비올라 생잎 추출액 제조 단계(S210);
상기 그라비올라 줄기를 분쇄한 후, 분쇄시 생성된 미분을 세척하여 제거하고, 상기 세척된 그라비올라 줄기를 정제수에 침지시키는 그라비올라 줄기 분쇄, 세척 및 침지 단계(S300);
상기 정제수에 침지된 그라비올라 줄기를 고압으로 가열하여 그라비올라 줄기 추출액을 제조하는 그라비올라 줄기 고압 가열 단계(S310);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그라비올라 열매 건조 단계(S400);
상기 건조된 그라비올라 열매를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액 제조 단계(S410);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 추출액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추출액 혼합 단계(S500); 및
상기 혼합 추출액을 저온 상태를 유지하는 저온 숙성실에 보관하여 숙성시켜 그라비올라 육수를 제조하는 저온 숙성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
A graviola raw leaf, a stem and a fruit washing step (S100) for collecting and washing raw leaves, stem and fruit of graviola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fresh leaves, stem and fruit of the graviola;
Drying the fresh graviola fresh leaves by drying the fresh graviola leaves in a dryer (S200);
A step (S210) of preparing a graviola raw leaf extract to prepare an extract of the gravola fresh leaf by mixing the dried graviola fresh leaf with purified water and heating the mixture;
Washing and immersion step (S300) of graviola stem pulverizing the graviola stem, washing and removing the fine powder produced during grinding, and immersing the washed graviola stem in purified water;
Heating the graviolar stem immersed in the purified water to a high pressure to produce a graviolar stem extract;
Drying the graviola fruit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the graviola fruit (S400);
A step (S410) of preparing an extract of graviola to prepare an extract of the graviola fruit by mixing the dried graviola fruit with purified water and heating the mixture;
(S500) mixing the gravola fresh leaves, stem and fruit extract to prepare a mixed extract; And
(S600) in which the mixed extract is stored in a low-temperature aging chamber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and aged to produce graviola broth (S600).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 세척 단계(S100)는 채취된 그라비올라 생잎, 줄기 및 열매를 탄산수소나트륨이 정제수에 용해되어 형성된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세척하되,
상기 혼합용액은 3 내지 5(w/w)% 농도 범위를 가지고,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avola fresh leaves, stem and fruit washing step (S100) are carried out by washing the collected graviola leaves, stem and fruit using a mixed solution formed by dissolving sodium hydrogen carbonate in purified water,
Wherein the mixed solution has a concentration range of 3 to 5 (w / w)% and is washed at a temperature of 35 to 45 DEG C for 5 to 10 minutes.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건조 단계(S200)는 온도 20 내지 30℃ 및 습도 35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5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의 수분 함량은 처음의 그라비올라 생잎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40 중량%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 추출액 제조 단계(S210)는 상기 건조된 그라비올라 생잎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0 내지 30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그라비올라 생잎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ying step (S200) of the gravola fresh leaves is performed in a drier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20 to 30 DEG C and a humidity of 35 to 40% for 5 to 15 hours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viora fresh leaves is reduced to the total weight of the fresh graviolar leaves By weight to 30 to 40% by weight,
The preparation step (S210) of the gravola fresh-leaf extract may be performed by mixing 2000 to 30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dried graviolar leaves, and heating the mixture at 75 to 85 ° C for 2 to 4 hours, Wherein the extract is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그라비올라 줄기 분쇄, 세척 및 침지 단계(S300)에서는 상기 그라비올라 줄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5 내지 10 시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그라비올라 줄기 고압 가열 단계(S310)는 135 내지 145℃의 열수추출 조건에서 압력용기 내부의 압력은 3.0 내지 4.0kgf/cm2 범위로 하고,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graviola stem pulverization, washing and immersion step (S300), 1000 to 20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i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graviola stem, followed by immersion for 5 to 10 hours,
Wherein the graviora stem high pressure heating step (S310) is carried out by heating the pressure vessel at a pressure within the pressure vessel of 3.0 to 4.0 kgf / cm < 2 > under hot water extraction conditions of 135 to 145 DEG C for 5 to 10 hours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graviola broth.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건조 단계(S400)는 55 내지 65℃ 및 습도 35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건조하고,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액 제조 단계(S410)는 상기 건조된 그라비올라 열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0 내지 30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rying step (S400) of drying the graviola is performed for 20 to 40 hours in a dryer maintained at 55 to 65 ° C and a humidity of 35 to 40%
The step of preparing the gravure extract solution (S410) comprises mixing 2,000 to 3,0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dried graviola fruit, heating the mixture at a temperature of 80 to 90 ° C for 3 to 5 hours, Wherein the extract is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추출액 혼합 단계(S500)에서 상기 혼합 추출액은 그라비올라 생잎 추출액 50 내지 100 중량부, 그라비올라 줄기 추출액 25 내지 50 중량부 및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액 25 내지 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혼합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0 내지 800 중량부의 정제수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extractive liquid mixing step (S500), the mixed extract is mixed at a weight ratio of 50-100 parts by weight of graviola raw leaf extract, 25-50 parts by weight of graviola stem extract, and 25-50 parts by weight of graviola fruit extract, Is mixed with 500 to 8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gravure oil.
상기 저온 숙성 단계(S600)는 3 내지 7℃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보관함으로써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올라 육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w-temperature aging step (S600) is carried out by keeping at a temperature of 3 to 7 DEG C for 5 to 10 hou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4663A KR101706024B1 (en) | 2016-11-21 | 2016-11-21 | Method for manufacturing meat broth using graviola, and meat broth using graviola for bossam, galbitang, soondae soup or jokbal manufactured by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4663A KR101706024B1 (en) | 2016-11-21 | 2016-11-21 | Method for manufacturing meat broth using graviola, and meat broth using graviola for bossam, galbitang, soondae soup or jokbal manufactured by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6024B1 true KR101706024B1 (en) | 2017-02-10 |
Family
ID=5812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4663A KR101706024B1 (en) | 2016-11-21 | 2016-11-21 | Method for manufacturing meat broth using graviola, and meat broth using graviola for bossam, galbitang, soondae soup or jokbal manufactured by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6024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4043A (en) | 2003-05-01 | 2004-11-09 | 김희숙 | the art of cooking for beef-rib soup |
KR101581340B1 (en) * | 2015-03-03 | 2015-12-31 | 김천와송영농조합법인 | Fermentation Method for Wasong and Graviola Mixing Powder |
KR20160007812A (en) | 2014-07-01 | 2016-01-21 | 최일남 | manufacturing method of broth sauce and cooking method sundae soup using the same |
KR101602679B1 (en) * | 2015-12-09 | 2016-03-11 | 한국참생약 영농조합법인 | Method for manufacturing graviola liquid tea and graviola liquid tea manufactured by thereof |
KR20160117102A (en) * | 2015-03-31 | 2016-10-10 | 정찬영 | Food edible containing extract graviola |
KR101666649B1 (en) | 2015-03-11 | 2016-10-14 | 조우형 | Method for preparing ox head soup |
-
2016
- 2016-11-21 KR KR1020160154663A patent/KR10170602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4043A (en) | 2003-05-01 | 2004-11-09 | 김희숙 | the art of cooking for beef-rib soup |
KR20160007812A (en) | 2014-07-01 | 2016-01-21 | 최일남 | manufacturing method of broth sauce and cooking method sundae soup using the same |
KR101581340B1 (en) * | 2015-03-03 | 2015-12-31 | 김천와송영농조합법인 | Fermentation Method for Wasong and Graviola Mixing Powder |
KR101666649B1 (en) | 2015-03-11 | 2016-10-14 | 조우형 | Method for preparing ox head soup |
KR20160117102A (en) * | 2015-03-31 | 2016-10-10 | 정찬영 | Food edible containing extract graviola |
KR101602679B1 (en) * | 2015-12-09 | 2016-03-11 | 한국참생약 영농조합법인 | Method for manufacturing graviola liquid tea and graviola liquid tea manufactured by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4510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sauce for ribs using sarcodon asparatus and sauce for ribs using sarcodon asparatus manufactured by the same | |
KR102311303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seasoned meat sauce and seasoned meat sauce manufactured by the same | |
KR101812006B1 (en) | A method for manufacturing meat boiled in water using sarcodon aspratus and meat boiled in water using sarcodon aspratus manufactured by the same | |
CN107625108B (en) | Chafing dish bottom material containing antibacterial pept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102132334B1 (en) | A sauce composition for removing off-flavor of meats or fishes and a method for removing off-flavor of meats or fishes by using the same | |
KR101186276B1 (en) | A natural condiment, a food comprising the same,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
KR101471450B1 (en) | Smoked duck and chicken using mulberry 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952904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dried yellow corvina using barley ingredient containing salt mixture and dried yellow corvina thereof | |
KR101927193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boogak compring edible insects | |
KR20100035352A (en) | Method | |
KR101673400B1 (en) | Preparation Method of Kimchi Containing Extract of Phragmitis Rhizoma and Kimchi Manfactued Thereby | |
KR101706024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meat broth using graviola, and meat broth using graviola for bossam, galbitang, soondae soup or jokbal manufactured by the same | |
KR101742975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Kimchi Containing Sugar Immersion Extracts of Purslane | |
KR101515528B1 (en) | Kimchi comprising beef brisket stock and the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 |
KR102037760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pasta of dried herb and pasta of dried herb manufactured by the same | |
KR102126179B1 (en) | Method of manufactuering for Radon Blocking Material | |
KR101111288B1 (en) | Functional red pepper pas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660408B1 (en) | Fusion kimchi seasoning and fusion kimchi using the same | |
CN104872623A (en) | Nvjindan hot sauce | |
KR102657698B1 (en) | Composition for removing bone od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302950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pork cutlet sauce and pork cutlet sauce manufactured by the same | |
KR101813496B1 (en) | Composition of gruel and rice gruel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 |
KR102624860B1 (en) | Nutrition Bangyetang and neungi mushroom boiled duck manufacturing method | |
KR102470191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convenient korean beef steak containing wild ginseng ingredients and convenient korean beef steak manufactured thereby | |
KR102090966B1 (en) | A manufacturing method for godubaki kimchi contained dried radish roast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